KR20230082123A -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물품 - Google Patents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123A
KR20230082123A KR1020210169742A KR20210169742A KR20230082123A KR 20230082123 A KR20230082123 A KR 20230082123A KR 1020210169742 A KR1020210169742 A KR 1020210169742A KR 20210169742 A KR20210169742 A KR 20210169742A KR 20230082123 A KR20230082123 A KR 2023008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eat
fire
parts
expanded graph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102021016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123A/ko
Publication of KR2023008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매, 팽창흑연, 내열성 충진재(무기질 단열재), 곡물가루, 및 설탕을 포함하는 내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용매 100중량부 당, 팽창흑연 20∼180중량부, 내열성 충진재 20∼100중량부, 곡물가루 10∼100중량부, 및 설탕 20~200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도 포함한다.

Description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물품{Nonflammable Fire-resistant Coating Composition and an Article Manufactur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샌드위치 패널) 등의 내부에 도포하여 불연 또는 단열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도 포함한다.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은 화재로 인한 건축물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철골 구조물에 도포되는 조성물이다. 철골 구조물로 건축되는 대부분의 건축물은 화재가 발생하면 고열로 인하여 철골 구조물이 약화되어, 건축물이 붕괴되는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가 나더라도, 철골 구조물이 붕괴되지 않도록, H-빔이나 철판 표면에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철골 구조물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화재로부터 철골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철골 구조물에 도포되는 내화 도료 조성물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국특허 제0982176호는 카르복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인계 난연제, 금속산화물, 및 팽창흑연으로 구성된 불연 단열성의 페이스트 조성물을 개시한다.
한국특허 제0996720호는 바인더 수지, 물, 팽창성 흑연, 및 백등유로 이루어지고, 건조속도와 장기 보관성이 우수한 불연성 도막 형성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한국특허 제1601708호는 팽창흑연을 200~1,000℃로 가열하여 팽창시킨 흑연을 코팅제에 침잠하고, 상기 코팅제 내에 침잠된 팽창된 흑연을 그 상태에서 분쇄하여 불연성 도막 코팅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한국특허공개 제2019-0111598호는 페놀수지 혼합물을 발포 성형한 페놀 폼의 표면에 팽창흑연, 접착성 수지, 및 유기용매를 혼합한 조성물을 도포하여 페놀 폼에 불연성의 팽창흑연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불연성 내화 도료(코팅) 조성물에는 화재시 불연 및 단열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중요한 성분 중의 하나로 팽창흑연(expandable graphite)이 사용된다. 팽창흑연은 천연 인편흑연을 산성재료로 화학 처리를 하여 흑연의 층간에 산성 화합물을 침투시켜 건조한 것으로 60∼300메쉬(mesh)의 입도를 갖는다. 팽창흑연은 150℃ 이상으로 가열하면 200∼300배로 팽창한다. 팽창흑연은 그 자체가 불연성이기 때문에 불연 또는 난연 제품에 다양하게 적용된다.
팽창흑연은 그 자체가 불연성이기 때문에 불연 또는 난연성 도막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의 중요한 성분이지만, 화재로 인하여 도막이 연소되는 경우, 비산(飛散)하는 문제가 있다. 팽창흑연은 150℃ 이상으로 가열되면 200∼300배로 팽창하기 때문에, 팽창된 흑연이 비산하지 않고 고착된 흑연층을 형성한다면 그 흑연층으로 인하여 방염, 차열, 단열 효과가 나타나서 더 이상의 연소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팽창된 흑연이 비산해버리면 방염, 차열, 단열 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연소가 진행되어 화재가 증폭된다.
따라서, 화재시에 철골 구조물에 도포된 내화 도료 조성물로부터 팽창된 흑연이 비산되지 않고 고착되게 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다. 화재시에 팽창된 흑연이 비산하지 않고 고착된 층을 형성한다는 것은 바로 열을 그만큼 잘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화재시에 팽창된 흑연이 비산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연성 또는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이 갖추어야 할 다른 중요한 특성은 도포된 코팅층이 탈리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코팅층이 탈리되지 않기 위해서는 기재(substrate: H-빔 또는 철판)에 도포된 코팅층(도막)의 두께가 얇아야 하고, 코팅층과 기재와의 결합력이 우수해야 한다. 종래의 내화 도료 조성물은 도막의 두께가 6mm 이상 20mm 정도이다. 때로는 도막의 두께가 30mm가 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도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막 자체의 하중에 의해 기재로부터 분리되는 탈리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벽면이 아닌 천정에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탈리 현상이 더 심각하다. 그런데 도막의 두께가 얇으면 단열성이 양호하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반되는 이유 때문에 도막의 두께가 얇으면서 우수한 단열성을 갖는 내화 코팅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궁극의 목표라 할 수 있다.
화재와 같은 상황에서 기재에 도포된 도막이 가열되면 도막 내의 팽창 흑연이 팽창하게 된다. 이때 팽창된 도막(코팅층)은 비산되지 않고 기재에 부착되어 있어야 불연 및 단열 효과를 지속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시에 팽창된 도막이 비산되지 않고 기재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하는 것은 내화 도료 조성물의 또다른 필수 요건이다.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의 또다른 문제점은 화재시 시안화수소, 다이옥신, 비스페놀A, 불화수소 등과 같은 유독가스가 방출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유독가스는 기재와 도막(코팅층)의 견고한 결합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가 연소될 때 주로 발생한다. 따라서 기재와 도막(코팅층)의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 연소시 유독가스 방출을 줄일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바인더 수지를 가급적 적게 사용하거나, 그 수지를 대체할 성분을 찾는 것도 내화 도료 조성물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기재에 도포된 도막은 H-빔이나 철판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방수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수성은 내화 도료 조성물의 또다른 요건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요건을 갖춘 내화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많은 연구를 거듭하여 아래와 같은 특허를 출원하였다.
본 발명자는 도막이 연소될 때 팽창흑연이 비산하지 않고 팽창된 상태로 기재에 고착된 흑연층을 형성함으로써 불연 및 단열 효과가 우수하고, 도막이 2.0mm 이하의 얇은 두께로 형성되더라도 불연성이 불연성 내화 코팅 조성물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20-72283호로 출원하였다(2020.06.15. 출원).
본 발명자는 연소된 도막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1,000∼1,200℃의 고온에서 발포된 팽창흑연 발포층이 3시간 이상 탈리되지 않도록 바인더 수지 외에 설탕을 사용한 내화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20-174099호로 출원하였다(2020.12.14. 출원).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2020-174099호의 도료 조성물에서 바인더 수지 대신에 물을 사용함으로써 연소시 유해가스가 배출되지 않는 내화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21-1436호로 출원하였다(2021.01.06. 출원).
특허출원 제2021-1436호의 내화 도료 조성물은 10mm 이상의 두께로 발포된 후에도 탈리되지 않았으나, 연소 시간이 경과하면서 발포층이 비산하여 발포층의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2021-1436호의 내화 도료 조성물의 결점을 보완하여 1,000℃ 이상의 고온에서 발포된 팽창흑연 발포층이 최소 2시간 후에도 비산하지 않고, 유해가스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수성 바인더 수지(바인더 수지 수용액)을 사용하고, 무기질 울을 함유시킨 내화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21-67503호로 출원하였다(2021.05.26. 출원).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제2021-67503호의 내화 도료 조성물에서 수성 바인더 수지 대신에 물을 사용하더라도 거의 동일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대하여 특허출원 제2021-75832호로 출원하였다(2021.06.11. 출원).
상기 특허출원 제2021-67503호 및 제2021-75832호의 내화 도료 조성물은 우수한 불연 및 단열 효과, 3mm 이하의 얇은 도막 두께, 탈리 현상 방지, 연소시 비산 방지, 방수성, 및 연소시 유독가스 발생의 최소화를 달성할 수 있는 완벽한 요건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들 내화 도료 조성물은 기재에 도포하는 작업과정에서 또다른 문제가 노출되었다.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은 H-빔이나 철판에 도포하는 경우 분사 노즐을 이용한 분사방식 또는 롤러나 브러쉬를 이용한 미장 방식으로 도포하게 되는데, 작업효율을 위해 주로 분사 방식으로 도포한다. 분사 노즐은 그 직경이 통상 0.5mm 이상 5.0mm 범위이다. 도포된 표면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직경이 1.0mm 이하의 분사 노즐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경우 특허출원 제2021-67503호 및 제2021-75832호의 내화 도료 조성물은 분사가 원활하게 되지 못함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자는 제2021-67503호 및 제2021-75832호의 내화 도료 조성물에 내열성 충진재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직경이 1.0mm 이하의 분사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 도포된 표면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내화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2021-157260호로 출원하였다(2021.11.16. 출원).
상기 설명된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은 불연 및 단열을 필요로 하는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샌드위치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은 두 장의 철판 사이에 단열재를 충진하고, 상기 단열재와 철판이 접촉하는 면 사이에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시켜 제조한다. 내화 도료 조성물은 단열재가 철판에 접착하도록 하는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화재시에 단열 효과를 나타낸다.
그런데 H-빔과 같은 건축물의 철골 구조물에 도포하는 내화 도료 조성물과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의 내부에 도포되는 내화 도료 조성물은 화재시에 불연 및 단열 성능을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도포막의 노출여부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즉, 철골 구조물에 도포하는 내화 도료 조성물은 도포막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지만,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의 내부에 도포되는 내화 도료 조성물은 도포막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철골 구조물에 도포된 도포막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화재시에 발포된 도막이 비산되거나 탈리되지 않아야 한다. 발포된 도막이 비산되거나 탈리되면, 불연 및 단열 효과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반면,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의 내부에 도포된 도포막은 화재가 나더라도 비산되거나 탈리될 우려가 없다.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의 내부에 도포된 도포막은 단열재와 철판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특허출원 제2021-157260호의 내화 도료 조성물을 개량하여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샌드위치 패널) 등의 내부에 도포하여 불연 또는 단열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본 발명의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 등의 내부에 도포하여 우수한 불연 또는 단열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 등의 내부에 도포하여 1,000℃ 이상의 고온에서 3시간 동안 연소 후에도 우수한 불연 및 단열 효과를 나타내는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매로서 수용성 수지 또는 물을 사용함으로써 화재시 유해가스 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용 내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 원가가 절감된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용 내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및/또는 물로 구성되는, 팽창흑연, 내열성 충진재(무기질 단열재), 곡물가루, 및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인더 수지는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한 바인더 및 다른 성분들을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20∼40중량%의 수지와 80∼60중량%의 물로 구성된 수성 수지 용액이다. 수성 수지이기 때문에 유성 수지에 비하여 연소시에 유해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지는 아크릴 수지, 초산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올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 수지 대신에 물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고, 바인더 수지와 물을 함께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팽창흑연은 150℃ 이상으로 가열하였을 때 100∼300배로 팽창하고 60∼300메쉬의 입도를 갖는 것으로 탄소성분이 9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내열성 충진재(무기질 단열재)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세라믹섬유, 미네랄섬유, 실리카섬유, 케블라, 아라미드섬유 등의 무기질 섬유 및 퍼라이트, 규조토, 흑연, 팽창된 흑연, 그래핀, 이산화티탄(TiO2), 탈크, 탄산칼슘, 석고 등의 무기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내열성 섬유 또는 무기물로서, 섬유장(纖維長)이나 입자의 크기가 0.01∼12.0mm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곡물가루는 글루텐을 함유하는 곡물가루가 바람직하며, 밀가루, 보리, 호밀, 귀리, 옥수수, 쌀 등의 1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곡물가루는 내열성 충진재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분사 작업을 원활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곡물가루에 함유된 글루텐이 물과 반응하여 결합력이 증가되며, 내화 도료의 발포층 균열을 방지하고, 설탕과 결합하여 탄화되며, 발포층의 강도를 높여 탈리를 방지한다.
설탕은 물에 용해되어 팽창흑연, 및 곡물가루 입자를 결합시키는 결합제, 및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은 용매 100중량부 당, 팽창흑연 20∼180중량부, 내열성 충진재 20∼100중량부, 곡물가루 10∼100중량부, 및 설탕 20~20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페이스트(paste) 상태로서 브러쉬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철판이나 단열재 시이트(sheet)와 같은 기재에 도포할 수 있다. 도포된 도막은 1∼3mm 두께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샌드위치 패널) 등의 내부에 도포하여 우수한 불연 또는 단열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샌드위치 패널) 등의 내부에 도포하여 1,000℃ 이상의 고온에서 3시간 동안 연소 후에도 우수한 불연 및 단열 효과를 나타내는 내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을 제공한다.
도 1은 방화문 또는 단열 판넬의 단면도로서, 한 쌍의 철판(11, 12), 그 사이에 삽입된 단열재(31), 및 상기 철판과 단열재 사이에 도포된 내화 도료층(접착제층)(21, 22)을 도시한다.
도 2는 2장의 단열재(31, 32)가 삽입된 단열 판넬의 단면도로서, 한 쌍의 철판(11, 12), 그 사이에 삽입된 단열재(31, 32), 상기 철판과 단열재 사이에 도포된 내화 도료층(접착제층)(21, 22), 및 단열재(31, 32) 사이에 도포된 내화 도료층(접착제층)(23)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샌드위치 패널) 등의 내부에 도포하여 우수한 불연 또는 단열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로서, 바인더 수지 및/또는 물로 구성되는 용매, 팽창흑연, 내열성 충진재(무기질 단열재), 곡물가루, 및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은 특허출원 제2021-157260호의 내화 도료 조성물에서 실란 화합물이 첨가되지 않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내화 도료 조성물은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의 내부에 도포되어 화재가 나더라도 발포된 도포막이 비산되거나 탈리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실란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더라도 우수한 불연 및 난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내화 도료 조성물은 화재시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이 우수한 불연 및 단열 성능을 발휘하도록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의 내부에 도포되는 조성물이다. 따라서 내화 도료 조성물은 엄격한 시험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예를 들어, 방화문의 내부 단열재와 내화 도료 조성물의 시험규정에 따르면, 도료 조성물이 도포된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의 한쪽면을 950℃ 이상의 온도에서 1∼3시간 연소시켰을 때 철판 반대쪽의 온도가 140℃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용매로서의 바인더 수지는 20∼40중량%의 수지와 80∼60중량%의 물로 구성된 수지 수용액이다. 수성 수지이기 때문에 유성 수지에 비하여 연소시에 유해가스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지는 아크릴 수지, 초산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올 등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인더 수지 대신에 물을 용매로 사용할 수 있고, 바인더 수지와 물을 함께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화 도료 조성물은 화재시 발포된 도포막이 비산되거나 탈리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실란 화합물을 첨가하지 않는다. 그만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팽창흑연은 150℃ 이상으로 가열하였을 때 100∼300배로 팽창하고 60∼300메쉬의 입도를 갖는 것으로 탄소성분이 9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팽창흑연은 화재시 팽창되어 기재에 고착된 발포흑연층을 형성한다. 팽창흑연은 2,000℃ 이상의 온도에서도 연소되지 않기 때문에 불연 및 단열 효과가 탁월하다.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팽창흑연은 용매 100중량부 당 20∼180중량부로 첨가된다. 팽창흑연은 연소되어 발포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20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면 발포층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고, 180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되면 불필요한 양이 사용되게 된다.
내열성 충진재(무기질 단열재)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세라믹섬유, 미네랄섬유, 실리카섬유, 케블라, 아라미드섬유 등의 무기질 섬유, 및 퍼라이트, 규조토, 흑연, 팽창된 흑연, 그래핀, 이산화티탄(TiO2), 탈크, 탄산칼슘, 석고 등의 무기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내열성 섬유 또는 무기물로서, 섬유장(纖維長)이나 입자의 크기가 0.01∼12.0mm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세라믹섬유나 미네랄섬유와 같은 내열성 섬유는 섬유장이 12.0mm 이하의 단섬유(fibers)가 적층된 시이트(sheet) 상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그 시이트를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소섬유와 같이 장섬유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섬유장이 12.0mm 이하가 되도록 절단하여 사용한다. 내열성 충진재는 불연 및 단열 기능을 부여하고,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며, 바인더 수지 등에 의하여 발포흑연과 결합하여 장시간 연소 후에도 발포층 두께가 얇아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내열성 충진재는 용매 100중량부 당 20∼100중량부로 첨가된다. 내열성 충진재는 팽창흑연과 함께 불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첨가되는 팽창흑연의 양을 고려하여 20∼100중량부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곡물가루는 글루텐을 함유하는 곡물가루가 바람직하며, 밀가루, 보리, 호밀, 귀리, 옥수수, 쌀 등의 1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곡물가루는 내열성 충진재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곡물가루는 용매 100중량부 당 10∼100중량부로 첨가된다. 곡물가루는 내열성 충진재가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10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면 내열성 충진재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으며, 100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되면 불필요한 양이 사용되게 된다. 곡물가루에 함유된 글루텐이 물과 반응하여 결합력이 증가되며, 내화 도료의 발포층 균열을 방지하고, 설탕과 결합하여 탄화된다.
설탕은 물에 용해되어 팽창흑연 및 곡물가루 입자를 결합시키는 결합제, 및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설탕은 액상 과당, 포도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액상 과당으로는 고과당 옥수수 시럽(HFCS: High Fructose Corn Syrup)이 있으며, 이는 한 예로 설탕 76중량%와 물 24중량%로 이루어진다. 설탕은 용매 100중량부 당 20∼200중량부로 첨가된다. 설탕은 물에 용해되어 팽창흑연 및 곡물가루 입자를 결합시키는 결합제, 및 도료 조성물을 기재에 접착시키는 접착제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20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면 충분한 결합력을 부여하지 못하고, 200중량부 이상으로 첨가되면 불필요한 양이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의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은 용매 100중량부 당, 팽창흑연 20∼180중량부, 내열성 충진재 20∼100중량부, 곡물가루 10∼100중량부, 및 설탕 20~20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페이스트(paste) 상태로서 브러쉬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기재에 도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화 도료 조성물에는 일반 도료 조성물(페인트)에 첨가되는 분산제, 레벨링제(leveling agent)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분산제는 조성물 내의 각 성분들의 분산을 좋게 하는 촉매 역할을 하고, 레벨링제는 도포 후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내준다. 이들 첨가제는 용매 100중량부 기준으로, 1∼2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페이스트(paste) 상태로서 브러쉬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철판이나 단열재 시이트(sheet)와 같은 기재에 도포할 수 있다. 도포된 도막은 1∼3mm 두께가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방화문 또는 단열 판넬의 단면도로서, 한 쌍의 철판(11, 12), 그 사이에 삽입된 단열재(31), 및 상기 철판과 단열재 사이에 도포된 내화 도료층(접착제층)(21, 22)을 도시한다. 단열재(31)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것으로, 유리섬유, 세라믹섬유, 미네랄섬유 등의 무기질 섬유 부직포 시이트(sheet)이다. 화재시 어느 한쪽의 철판이 가열되면, 그에 인접한 내화 도료층이 발포되어 발포된 도막층을 형성하여 열을 차단한다. 화재가 진행되어 철판 온도가 500℃ 이상이 되면, 단열재(31)가 녹기 시작하고, 단열재(31)가 녹은 후에서 반대편 내화 도료층이 발포되어 발포된 도막층을 형성하여 열을 차단한다. 발포된 내화 도료층(21, 22)은 철판(11, 12) 내부에 잔존하기 때문에 비산되거나 탈리되지 않는다.
도 2는 2장의 단열재(31, 32)가 삽입되어 약 200mm 두께를 갖는 단열 판넬의 단면도로서, 한 쌍의 철판(11, 12), 그 사이에 삽입된 두 장의 단열재(31, 32), 상기 철판과 단열재 사이에 도포된 내화 도료층(접착제층)(21, 22), 및 단열재(31, 32) 사이에 도포된 내화 도료층(접착제층)(23)을 도시한다. 단열재(31, 32)는 이미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것으로, 유리섬유, 세라믹섬유, 미네랄섬유 등의 무기질 섬유 부직포 시이트(sheet)이다. 화재시 어느 한쪽의 철판이 가열되면, 그에 인접한 내화 도료층이 발포되어 발포된 도막층을 형성하여 열을 차단한다. 화재가 진행되어 철판 온도가 500℃ 이상이 되면, 인접한 단열재가 녹기 시작하고, 단열재가 녹은 후에는 중간에 도포된 내화 도료층(23)이 발포되어 발포된 도막층을 형성하고, 화재가 더 진행되면 반대쪽 단열재가 녹기 시작하고, 반대쪽 단열재가 녹은 후에는 반대쪽 내화 도료층이 발포되어 발포된 도막층을 형성하여 열을 차단한다. 발포된 내화 도료층(21, 22, 23)은 철판(11, 12) 내부에 잔존하기 때문에 비산되거나 탈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으로 제시될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1-3: 내화 도료 조성물의 조성 및 시험 결과
표 1에 나타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1-3의 내화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된 각 성분은 아래와 같다.
바인더 수지 수용액으로는 고형분이 33중량%인 초산비닐 수지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곡물가루는 밀가루와 호밀가루를 7:3으로(중량부)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설탕은 시중에서 구입한 백설탕을 사용하였다
팽창흑연은 150℃ 이상으로 가열하였을 때 약 200배로 팽창하는 80메쉬의 입도를 갖는 탄소성분이 95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하였다.
내열성 충진재는 세라믹 울 단섬유로 제조된 시판되는 세라믹 울 시이트(sheet)를 사용하였다.
비교실시예 1-3에서 사용된 실란 화합물로는 다우 코닝사의 XIAMETER(등록상표) OFS-6070 실란인 메틸트리메톡시실란(CH3-Si-(OCH3)3)을 사용하였다. 실란 화합물 100중량부에는 1.0중량부의 초산이 첨가되었다.
상기 내화 도료 조성물에는 일반 도료(페인트) 조성물에 첨가되는 첨가제로 분산제와 레벨링제를 미량 첨가하였다. 분산제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사용하였고, 레벨링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옥틸 페닐 에테르를 사용하였다.
상기 성분들을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각각의 내화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도포 작업 및 도막 두께 측정 : 1.0mm 두께의 철판에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여 약 2mm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였다.
연소시험 :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1-3의 도료 조성물을 도포한 상기 철판의 한쪽 면을 향하여 1,000∼1,100℃의 토오치(torch)로 3시간 가열하였다. 3시간 가열 후, 기재(철판)의 비가열면 온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1-3은 모두 내화 도료 조성물의 시험요건인 140℃ 이하로 측정되었다. 다만, 비교실시예 1-3의 도료 조성물도 실시예 1-5와 같이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 등의 내부에 도포하여 불연 또는 단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로 적합하지만, 실란화합물이 추가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만큼 제조원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실시예 1-5 및 비교실시예 1-3의 내화 도료 조성물은 방화문이나 단열 판넬 등의 내부에 도포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탈리나 비산에 대한 시험결과는 의미를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1, 12: 철판
21, 22, 23: 내화 도료층
31, 32: 단열재

Claims (9)

  1. 용매, 팽창흑연, 내열성 충진재(무기질 단열재), 곡물가루, 및 설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100중량부 당, 팽창흑연 20∼180중량부, 내열성 충진재 20∼100중량부, 곡물가루 10∼100 중량부, 및 설탕 20~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바인더 수지 수용액,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 수용액은 20∼40중량%의 수지와 80∼60중량%의 물로 구성된 수성 수지 용액으로, 상기 수지는 아크릴 수지, 초산비닐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올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흑연은 150℃ 이상으로 가열하였을 때 100∼300배로 팽창하고 60∼300메쉬의 입도를 갖는 것으로 탄소성분이 95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충진재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세라믹섬유, 미네랄섬유, 실리카섬유, 케블라, 및 아라미드섬유의 무기질 섬유, 및 퍼라이트, 규조토, 흑연, 팽창된 흑연, 그래핀, 이산화티탄(TiO2), 탈크, 탄산칼슘, 및 석고의 무기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내열성 섬유 또는 무기물로서, 섬유장(纖維長)이나 입자의 크기가 0.01∼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가루는 글루텐을 함유하는 곡물가루로서, 밀가루, 보리, 호밀, 귀리, 옥수수, 및 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방화문.
  9.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단열 판넬.
KR1020210169742A 2021-12-01 2021-12-01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물품 KR20230082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742A KR20230082123A (ko) 2021-12-01 2021-12-01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742A KR20230082123A (ko) 2021-12-01 2021-12-01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123A true KR20230082123A (ko) 2023-06-08

Family

ID=86765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742A KR20230082123A (ko) 2021-12-01 2021-12-01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1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4008A (en) Fire retardant coating composition
JPS63273690A (ja) 難燃剤添加組成物
KR20090116042A (ko)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에 내화성부여 방법
KR101766316B1 (ko) 가연성 유기 발포 단열재에 부착성이 우수한 불연성 뿜칠 모르타르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0229804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断熱層の現場発泡工法及び防火コート剤
KR101589060B1 (ko) 수성계 친환경 및 무독성 발포 방염 내화도료
KR100610059B1 (ko) 수용성 무기 발포 내화제 및 이를 이용한 내화보드
JP3218359B2 (ja) 発泡耐火性積層体とその形成方法
KR20170010676A (ko) 내화 방화벽
KR101323343B1 (ko) 커튼월 내화성 경량보드용 접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커튼월 구성방법
JP2974247B1 (ja) 耐火被覆材組成物
KR20230082123A (ko)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조된 물품
US7045080B1 (en) Intumescent ceramic fire retardant coating containing intumescent ceramic particles
JP4502739B2 (ja) 防火断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90100750A (ko) 불연 시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7610A (ko)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팽창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1263A (ko)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 키트
KR101118136B1 (ko) 무기중공입자를 포함하는 내화도료 조성물
KR100344675B1 (ko) 스프레이형 내화피복재
KR20220159649A (ko)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그 조성물 키트, 및 내화 충전재
KR20220159650A (ko) 물을 용매로 한 친환경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 키트
KR20220082694A (ko)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그 조성물 키트 및 내화 충전재
JP4123370B2 (ja) 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20099324A (ko) 물을 용매로 한 친환경 불연성 내화 도료 조성물, 그 조성물 키트 및 내화 충전재
JP3738987B2 (ja) 軽量不燃断熱材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