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7610A -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팽창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팽창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7610A
KR20160087610A KR1020150006793A KR20150006793A KR20160087610A KR 20160087610 A KR20160087610 A KR 20160087610A KR 1020150006793 A KR1020150006793 A KR 1020150006793A KR 20150006793 A KR20150006793 A KR 20150006793A KR 20160087610 A KR20160087610 A KR 20160087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gent
water
adhesiv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6032B1 (ko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그리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리니아 filed Critical (주)그리니아
Priority to KR102015000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03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8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using foamed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09J1/02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containing water-soluble alkali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3/00Presence of epoxy res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화재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없으며, 접착력도 강화한 것으로서, 방화문, 샌드위치패널, 방화차열보드, 흄드실리카(Fumed Silica)보드 등의 접착제 혹은 내화구조용 경량발포 벽체, 불연성 발포 경량블록, 불연성 발포 실리콘, 불연성 발포 가스켓, 불연성 발포 보온재, 불연성 발포 전선관 관통부 충진제, 불연성 발포 파이프 관통부 충진제, 커튼월 선형 충진제 등 충진제로 유용한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팽창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queous Inorganic Incombustible expanded Adhesiv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재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없으며, 접착력도 강화한 것으로서, 방화문, 샌드위치패널, 방화차열보드, 흄드실리카(Fumed Silica)보드 등의 접착제 혹은 충진제로 유용한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화재사고의 특징은 화재 시 내장재의 연소로 인한 다량의 연기 및 유독가스를 배출하여 수많은 인명피해를 수반하는 대형 참사로 이어진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참사가 발생하는 이유는 각종 고분자 재료의 내장재를 사용함에 따라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 및 독성가스로 인한 대피의 어려움 때문이다.
연기 및 독성가스의 발생원인으로는 건축물이나 차량, 가구, 가전제품 등의 내, 외장재로 사용되는 각종 고분자 재료의 연소에 의한 것으로 이의 해결방법은 고분자 재료에 내화성 혹은 불연성을 부여하여 화재가 급격히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조기에 화재를 진압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합성수지를 비롯한 고무, 섬유, 제지 등에 대한 연소성 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있는 현실이기에 이에 대응하는 내화 혹은 불연화의 필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건축물의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 출입문 또는 비상 통로의 개폐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외부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금속 재질의 견고한 재질로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화재 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도 출입문이나 비상문이 불에 타거나 변형되지 말아야 되는 물리적인 성질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인 방화문은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해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을 각기 분리 형성하고 그 이격된 공간에 벌집 모양의 하니콤 코어나 유,무기 단열재를 삽입하여 방화문의 중량은 가볍게 하면서도 단열 및 방음, 방열 효과가 뛰어나게 구성한다. 그러나 패널과 하니콤 코어의 접착을 위해 대부분 우레탄 발포성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우레탄 발포성 접착제는 한계산소지수(Limiting Oxygen Index: LOI)가 17%로 한계산소지수가 27%을 초과하는 내화성 자재에 해당하지 않으며, 발화점이 50℃ 내외로 내고온성이 취약하다. 한편 연소 시 독성가스를 배출하는 문제를 않고 있다.
또한 금속판과 금속판 사이에 유·무기 코어 단열재를 사용하는 샌드위치패널의 경우도 금속판과 코어의 접착을 위해 우레탄 발포성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우레탄 발포성 접착제는 화재 시 쉽게 연소되고 독성가스를 배출하여 패널의 내화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화재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유독 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불연성 발포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화재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없으며, 접착력도 강화한 것으로서, 방화문, 샌드위치패널, 방화차열보드, 흄드실리카(Fumed Silica)보드 등의 접착제 혹은 충진제로 유용한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팽창 접착제 조성물은 다음의 성분 (1)과 성분 (2)로 이루어진 2 성분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1) 성분계 접착제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며, (1)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인 수용성아연수지, 규산 나트륨, 규산 칼륨, 수용성 에폭시수지 물질중 혼합물 23-50 중량%,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분체 물질인 팽창형 진주암, 팽창형 질석, 해포석섬유, 근청석 분말(Cordierite Powder) 물질 중 혼합물 20-40 중량물%, 보강 섬유 물질인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물질 중 2-5 중량%, 커플링제 물질인 실란 커플링제, 티타네이트 커플링제, 알루미네이트 커플링제 물질 중 0.3-1 중량%, 다기능 복합 첨가제 물질인 유기규소 습윤제, 부착력 촉진제, 나노 방청제 물질 중 혼합물 0.02-5 중량%, 물 25-50 중량%, 발포제 물질인 ADC 발포제, OBSH 발포제, 미세구 발포제, 고 효율성 팽창제 물질 중 0.1-0.3 중량%, 커플러 0.01-0.03 중량% 포함하는 100%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2) 성분계 부착력 강화 경화제인 복합인산알루미늄, 플루오르화규소산나트륨, 자분(Magnatic powder), 이산화규소 미세분말 혼합물 중 한가지 혹은 몇가지 혼합물, 분말형태의 혼합물 또는 증류수와 혼합한 액체형태의 혼합물에 (1) 성분계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부착력 강화 경화제 5-10 중량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2 성분계 접착제는 분산제, 밀착촉진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가교제, 착색(색소) 혼합제, 경화제,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 안정제, 유화제, 점도조절제, 난연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에 착색 혼합제 중 1종을 선택 투입하여 필요한 색을 나타내는 색상 배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색 혼합제는 산화철, 크롬산 바륨, 군청, 산화 크롬, 이산화망간, 카본블랙, 카드뮴, 티타늄, 아연화안 물질 중 1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단계 1) 반응용기에 물을 넣고 70 내지 100 로 가열하는 단계; 단계 2)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커플링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내화성 무기 충진 분체를 커플링제로 코팅 처리하는 단계; 단계 3) 커플링제로 코팅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상기 단계 1)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단계 4)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을 상기 단계 3)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단계 5) 보강 섬유를 상기 단계 4)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단계 6) 발포제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추가로 커플링제를 투입한 다음 코팅처리 하는 단계; 단계 7) 커플링제로 코팅된 발포제를 상기 단계 5)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 교반하여 성분 (1) 성분접착제를 제조하고, 제조된 (1) 100 중량부를 생산하는 단계; 단계 8) (1) 접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알루미늄, 플루오르화규소산나트륨, 자분 및 이산화규소 미세분말 중 한가지 혹은 몇 가지 혼합물, 분말형태의 혼합물 또는 증류수와 혼합한 액체형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2) 부착 강화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를 상기 단계 7)의 반응용기에 추가 투입 교반하여 수용성 무기 불연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 단계; 단계 9) 착색 혼합제 중 1종을 상기 단계 8)의 반응용기에 추가 투입 교반하여 필요한 색상의 수용성 무기 불연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력 및 불연성, 발포성이 우수하고 금속 자재에 대한 부식성이 없다. 한편 무기물 혹은 유기물과의 접착성이 좋아 높은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은 방화문, 샌드위치패널, 방화차열보드, 흄드실리카(Fumed Silica)보드 등의 접착제 혹은 충진제로 사용 시 화재저항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은 성분 (1)로 이루어진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성분 (2)로 이루어진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는 하기 성분 (1)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성분 (1)은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 25 내지 50 중량%,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 20 내지 40 중량%, 보강 섬유 2 내지 5 중량%, 커플링제 0.3 내지 1 중량%, 다기능 복합 첨가제 0.02 내지 5 중량%, 물 25 내지 50 중량%, 발포제 0.1 내지 0.3 중량%, 커플러 0.01 내지 0.03 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은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되어 금속과 비금속 표면에 우수한 부착력을 부여하고, 금속 표면에 견고한 박막을 형성하여 금속 표면과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금속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한다. 바람직하기로 물유리, 수용성 에폭시 수지 또는 산화아연 함유 수용성 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물유리는 규산나트륨, 규산칼륨, 규산소다칼륨과 같은 한 종류 이상의 규산염물질의 수용액으로서, 규산염물질의 함량이 0.5~80중량%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산화아연 함유 수용성 수지는 산화아연 분말이 함유된 수용성 에폭시 수지, 수용성 아크릴 수지가 가능하다.
상기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은 (1) 성분계 접착제 중 25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만약 상기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필름 내지 박막 형성이 어려울 우려가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조성물 중에 경화 성분이 충분하지 못하여 경화가 어렵고 접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는 (1) 성분계 접착제 중 20 내지 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의 열팽창계수를 조절하고 접착제가 일정한 강도 및 내크랙성을 갖도록 한다. 즉,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이 피착제의 열팽창계수와 동일 내지 근사한 열팽창계수를 갖도록 하여, 접착력 및 피착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 조절이 어려워 피착제에 도포하기 어렵다.
여기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는 팽창 세피오라이트(해포석), 팽창 버미큘라이트(질석), 팽창 펄라이트(진주암), 및 코디에라이트(Cordierite: 근천석)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의 입도는 1500 내지 2000 메쉬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보강 섬유는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의 내 크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성분계 접착제 중 2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아크릴 섬유가 가능하다.
상기 커플링제는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과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상용화제이다. 상기 커플링제는 실란(silane) 커플링제, 티타네이트(titanate) 커플링제, 알루미네이트(aluminate) 커플링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수용성 커플링제를 사용한다. 상기 커플링제는 (1) 성분계 접착제 중 0.3 내지 1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커플링제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과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와의 상용성이 향상되어,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의 전반적인 물성이 개선된다.
발포제는 제조 과정에서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기체를 생성하며, 이때 생성된 기체는 반응기 내에서 수용성 수지나 물유리 내에 용해된다. 즉, 발포제는 소정의 온도 또는 압력 조건이 갖춰진 상태에서 반응하여 분자 구조가 변경되며 기체를 생성하는 것으로 화학 발포제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기로 ADC(Azodicarbonamide) 발포제 또는 OBSH(4,4-oxybisbenzenesulfonylhydrazide) 발포제, 미세구 발포제, 고 효율성 팽창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발포제는 (1) 성분계 접착제 중 0.1 내지 0.3 중량%로 사용된다. 발포제의 함량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발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너무 많이 포함되면 발포가 크게 이루어져 발포셀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물은 (1) 성분계 접착제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잔부로써 포함된다.
상술한 성분 (1)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성분 (2)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가 포함된다.
상기 경화제는 본 발명의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되는 금속재에 대한 부착력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경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피착물에 대한 부착력 부여 효과가 미미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도포성이 떨어진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첨가제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접착성 강화를 목적으로 물성을 보완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점도, 접착성 등 기본적인 물성의 확보를 위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어느 것을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일예로 분산제, 밀착촉진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가교제, 착색제, 경화제,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 안정제, 유화제, 점도조절제, 난연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첨가제는 (1) 성분계 접착제 중 0.02 내지 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에 착색 혼합제 중 1종을 선택 투입함으로써 필요한 색을 나타내는 색상 배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색 혼합제는 산화철, 크롬산 바륨, 군청, 산화 크롬, 이산화망간, 카본블랙, 카드뮴, 티타늄, 아연화안 물질 중 1종이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은
단계 1) 반응용기에 물을 넣고 70 내지 100℃로 가열하는 단계;
단계 2)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커플링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커플링제로 코팅 처리하는 단계;
단계 3) 커플링제로 코팅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상기 단계 1)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단계 4)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을 상기 단계 3)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단계 5) 보강 섬유를 상기 단계 4)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단계 6) 발포제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추가로 커플링제를 투입한 다음 코팅처리 하는 단계;
단계 7) 커플링제로 코팅된 발포제를 상기 단계 5)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여 상기 성분 (1) 접착제를 제조하고, 제조된 (1) 접착제 100 중량부로 (1)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 (1)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부착력 강화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를 상기 단계 7)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 교반하여 수용성 무기 불연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9) 착색 혼합제 중 1종을 상기 단계 8) 반응용기에 투입 교반하여 필요한 색상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살펴본다.
단계 1) 먼저, 반응용기에 물을 넣고 70 내지 100℃로 가열한다.
단계 2) 이어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커플링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커플링제로 코팅 처리한다. 본 단계는 커플링제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코팅하여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과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정이다. 이때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 투입 후 교반 속도는 450 내지 550회/분으로 8 내지 12분 동안 교반 처리하고, 커플링제 투입 후 교반 속도는 700 내지 900회/분으로 15 내지 25분 동안 혼합 교반 처리한다.
단계 3) 다음으로, 커플링제로 코팅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상기 단계 1)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한다. 이때 교반 속도는 270 내지 330회/분으로 하여 25 내지 35분 동안 수행한다.
단계 4) 이어서,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을 상기 단계 3)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한다. 이때 교반 속도는 450 내지 550회/분으로 하여 25 내지 35분 동안 수행한다.
단계 5) 다음으로 보강 섬유를 상기 단계 4)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한다. 필요한 경우 보강 섬유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한 후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다.
단계 6) 발포제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추가로 커플링제를 투입한 다음 코팅처리 한다. 이때 교반 속도는 200회/분으로 하여 5분 동안 교반 처리하고, 커틀링제 투입 하여 분산시간을 10분으로 한다.
단계 7) 발포제를 상기 단계 5)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 교반하여 성분 (1) 접착제를 제조하고, 제조된 (1) 접착제 100 중량부를 생산한다.
단계 8) (1) 접착제 100 중량부 대하여 (2) 부착력 강화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를 상기단계 7)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 교반하여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다. 이때 교반속도는 500회/분으로 하여 5분 동안 교반한다.
단계 9) 착색 혼합제 중 1종을 단계 8) 반응용기에 투입 교반하여 필요한 색상 조성물을 얻는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00kg의 물을 2000L의 반응용기에 투입하여 온도를 80-100℃로 가열하였다. 1500-2000메쉬의 팽창 진주암 100kg, 팽창 질석 200kg을 고속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회전속도를 450-550회/분으로 설정하여 10분 동안 분산하였다. 그리고 수용성 커플링제 3kg을 원심분리기 내에 투입하여 회전속도를 700-900회/분으로 설정하여 20분 동안 분산하였다.
커플링제로 코팅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 303kg을 반응용기에 투입하여 회전속도를 270-330회/분으로 설정하여 30분 동안 분산하였다. 고형분 함량이 48인 수용성 아연 수지 274kg을 상기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회전속도를 450-550 회/분으로 하여 30분 동안 분산시켰다. 이후 폴리프로필렌 섬유 20kg을 반응용기 내에 추가로 투입하여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규소 습윤제, 분산제, 부착력 촉진제의 혼합물 1kg에 이어서 다기능 복합 첨가제로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였다.
OBSH 발포제 1.8kg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회전속도를 200회/분으로 설정하고 5분 동안 처리하였다. 이어서, 커플러 0.2kg를 복합형 발포제에 투입하여 분산시간을 10분으로 하여 처리한다.
커플링제로 코팅된 발포제 2kg을 반응용기 내에 추가로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다.
상기 성분 (1) 1000 kg의 성분계 접착제에 대해 (2) 부착력 강화 경화제 복합인산알루미늄, 플루오르화규소산나트륨, 자분, 이산화규소 미세분말 혼합물 중 한가지 혹은 몇 가지 혼합물, 분말형태 혼합물 또는 증류수와 혼합한 액체상태 혼합물 80kg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교반 후 철제, 목재방화문 충진제, 샌드위치 패널, 방화차열보드, 흄드실리카(Fumed Silica)보드 등 접착제로 사용한다.
실시예 2
500kg의 물을 2000L의 반응용기에 투입하여 온도를 80-100℃로 가열하였다. 1500-2000 메쉬의 팽창 해포석 200kg을 고속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회전속도를 550회/분으로 설정하여 10분 동안 분산하였다. 그리고 수용성 커플링제 4kg을 원심분리기 내에 투입하여 회전속도를 700-900회/분으로 설정하여 20분 동안 분산하였다.
커플링제로 코팅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 204kg을 반응용기에 투입하여 회전속도를 320회/분으로 설정하여 35분 동안 분산하였다. 고형분 함량이 48%인 물유리 250kg을 상기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회전속도를 500회/분으로 하여 30분 동안 분산시켰다. 이후 폴리프로필렌 섬유 40kg을 반응용기 내에 추가로 투입하여 25분 동안 교반하였다.
부착력 촉진제, 나노 내염수제 혼합물 3kg을 다기능 복합 첨가제로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하였다.
OBSH 발포제 2.7kg을 원심분리기에 투입하여 회전속도를 200회/분으로 설정하고 5분 동안 처리하였다. 이어서, 커플러 0.3kg를 복합형 발포제에 투입하여 분산시간을 10분으로 하여 처리한다.
상기 성분 (1) 1000kg의 성분계 접착제에 대해 (2) 부착력 강화 경화제 80kg의 복합인산알루미늄, 플루오르화규소산나트륨, 자분 및 이산화규소 미세분말 혼합물 중 한가지 혹은 몇가지 혼합물, 분말형태 혼합물 또는 증류수와 혼합한 액체상태 혼합물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 후 철제, 목재방화문, 샌드위치패널, 방화차열보드, 흄드실리카(Fumed Silica)보드 등 접착제로 사용한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성분 (1) 1000 과 성분 (2) 80의 2 성분계를 혼합하여 접착제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성분 (1) 1000 과 성분 (2) 80의 2 성분계를 혼합하여 접착제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Claims (5)

  1. 다음의 성분 (1)과 성분 (2)로 이루어진 2 성분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1) 성분계 접착제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며,
    (1)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인 수용성아연수지, 규산 나트륨, 규산 칼륨, 수용성 에폭시수지 물질중 혼합물 23-50 중량%,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분체 물질인 팽창형 진주암, 팽창형 질석, 해포석섬유, 근청석 분말(Cordierite Powder) 물질 중 혼합물 20-40 중량물%,
    보강 섬유 물질인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물질 중 2-5 중량%,
    커플링제 물질인 실란 커플링제, 티타네이트 커플링제, 알루미네이트 커플링제 물질 중 0.3-1 중량%,
    다기능 복합 첨가제 물질인 유기규소 습윤제, 부착력 촉진제, 나노 방청제 물질 중 혼합물 0.02-5 중량%,
    물 25-50 중량%,
    발포제 물질인 ADC 발포제, OBSH 발포제, 미세구 발포제, 고 효율성 팽창제 물질 중 0.1-0.3 중량%,
    커플러 0.01-0.03 중량% 포함하는 100%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2) 성분계 부착력 강화 경화제인 복합인산알루미늄, 플루오르화규소산나트륨, 자분(Magnatic powder), 이산화규소 미세분말 혼합물 중 한가지 혹은 몇가지 혼합물, 분말형태의 혼합물 또는 증류수와 혼합한 액체형태의 혼합물에 (1) 성분계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부착력 강화 경화제 5-10 중량부를 구성하는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성분계 접착제는
    분산제, 밀착촉진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가교제, 착색(색소) 혼합제, 경화제, 자외선 차단제, 자외선 안정제, 유화제, 점도조절제, 난연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에 착색 혼합제 중 1종을 선택 투입하여 필요한 색을 나타내는 색상 배합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팽창 접착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혼합제는 산화철, 크롬산 바륨, 군청, 산화 크롬, 이산화망간, 카본블랙, 카드뮴, 티타늄, 아연화안 물질 중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팽창 접착제 조성물.
  5. 단계 1) 반응용기에 물을 넣고 70 내지 100 로 가열하는 단계;
    단계 2)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커플링제를 추가로 투입하여 내화성 무기 충진 분체를 커플링제로 코팅 처리하는 단계;
    단계 3) 커플링제로 코팅된 내화성 무기 복합 충진 분체를 상기 단계 1)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단계 4) 수용성 박막 형성 물질을 상기 단계 3)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단계 5) 보강 섬유를 상기 단계 4)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단계 6) 발포제를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한 후 추가로 커플링제를 투입한 다음 코팅처리 하는 단계;
    단계 7) 커플링제로 코팅된 발포제를 상기 단계 5)의 반응용기에 추가로 투입 교반하여 성분 (1) 성분접착제를 제조하고, 제조된 (1) 100 중량부를 생산하는 단계;
    단계 8) (1) 접착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인산알루미늄, 플루오르화규소산나트륨, 자분 및 이산화규소 미세분말 중 한가지 혹은 몇 가지 혼합물, 분말형태의 혼합물 또는 증류수와 혼합한 액체형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2) 부착 강화 경화제 5 내지 10 중량부를 상기 단계 7)의 반응용기에 추가 투입 교반하여 수용성 무기 불연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 단계;
    단계 9) 착색 혼합제 중 1종을 상기 단계 8)의 반응용기에 추가 투입 교반하여 필요한 색상의 수용성 무기 불연 접착제 조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50006793A 2015-01-14 2015-01-14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93A KR101796032B1 (ko) 2015-01-14 2015-01-14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793A KR101796032B1 (ko) 2015-01-14 2015-01-14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610A true KR20160087610A (ko) 2016-07-22
KR101796032B1 KR101796032B1 (ko) 2017-11-09

Family

ID=5668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793A KR101796032B1 (ko) 2015-01-14 2015-01-14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0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647B1 (ko) * 2020-12-21 2021-10-29 신현덕 불연도료 조성물
KR20220074728A (ko) * 2020-11-27 2022-06-03 한미르 주식회사 1300도 이상 고온에 견디는 내열 불연접착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접착제
KR20220111573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바위 수성 무기계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5805A1 (ja) 2005-01-17 2006-07-20 Yasutalou Fujii 使用時混合型無機系接着組成物
KR100821326B1 (ko) 2007-11-15 2008-04-11 김민우 투수성 아스콘 및 박층포장조성물과 이들을 이용한컬러무늬 포장재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4728A (ko) * 2020-11-27 2022-06-03 한미르 주식회사 1300도 이상 고온에 견디는 내열 불연접착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접착제
KR102318647B1 (ko) * 2020-12-21 2021-10-29 신현덕 불연도료 조성물
KR20220111573A (ko)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바위 수성 무기계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032B1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6463A (en) Silicate-containing flame-resistant adhesive composition
CN108203525B (zh) 一种可膨胀柔性防火材料及其应用
CN109439083A (zh) 一种超薄膨胀型钢结构水性防火涂料及其制备方法
KR20090116042A (ko)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에 내화성부여 방법
KR101431002B1 (ko) 발포 폴리스티렌폼용 난연성 코팅 조성물
KR100717721B1 (ko) 밀봉 부재용 1액형 조성물
KR101796032B1 (ko) 수용성 무기 불연 발포 접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0148A (ko) 불연성 코팅층이 형성된 건축용 판넬 및 불연성 코팅층 형성 방법
KR101321901B1 (ko) 발포 폴리스티렌 폼 단열재의 난연성 조성물
JP2000230287A (ja) 発泡耐火積層体及びその形成方法
JPH07276552A (ja) 発泡耐火性積層体とその形成方法
JP2974247B1 (ja) 耐火被覆材組成物
CN109467878A (zh) 一种轻质多效膨胀型防火密封材料
CN113185875A (zh) 一种防火涂料及其制备方法
JP2013043891A (ja) 無機系及び有機系ハイブリッド型不燃塗料
KR20110017794A (ko) 난연제 조성물과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CN112159631B (zh) 一种可膨胀防火装甲及其用途
KR101437636B1 (ko) 수성 세라믹 불연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90305B1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드 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2172847A (ja) 膨張型耐火被覆組成物
KR20160033372A (ko) 방화용 불연성 코팅모르타르 조성물
KR102622491B1 (ko) 1300도 이상 고온에 견디는 내열 불연접착제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접착제
KR101118136B1 (ko) 무기중공입자를 포함하는 내화도료 조성물
JPS63111046A (ja) 耐火断熱性積層ボ−ド
KR20130066455A (ko) 고단열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