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122A - 멀티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멀티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122A
KR20230082122A KR1020210169740A KR20210169740A KR20230082122A KR 20230082122 A KR20230082122 A KR 20230082122A KR 1020210169740 A KR1020210169740 A KR 1020210169740A KR 20210169740 A KR20210169740 A KR 20210169740A KR 20230082122 A KR20230082122 A KR 20230082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opening
inlet
flow path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122A/ko
Publication of KR2023008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 여과공간을 제공하는 제1 여과망 및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2 여과공간을 제공하는 제2 여과망을 포함하는 여과망; 상기 제1 여과공간을 지나는 상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여과공간을 지나는 상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유로를 제공하는 몸체; 및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유입개폐부; 및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유출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개폐부 및 상기 유출개폐부는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다른 하나가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멀티 스트레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스트레이너{MULTI STRAINER}
본 발명은 멀티 스트레이너에 대한 발명이다.
스트레이너는 유체 내에 포함된 고형물을 제거하여, 유체가 이용되는 기기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이너의 몸체에는 여과망이 구비되며 몸체에 유입된 유체가 여과망을 통과하면서 유체에 포함된 고형물이 제거된다.
이러한 여과망이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면, 여과망에는 많은 양의 고형물이 적층된다. 이처럼 시간이 지날수록 여과망에 적층되는 고형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여과망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여과망은 일정 주기마다 교체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의 스트레이너에는 하나의 여과망이 구비되었다. 한편, 스트레이너에 여과망이 하나만 구비될 경우, 여과망이 교체되어야 할 시기가 도래하면 여과망은 몸체 내의 유체의 흐름을 멈추도록 한 이후에 교체되어야 한다. 이처럼, 여과망이 교체되어야 할 때마다 여과망이 교체되는 동안 유체가 이용되는 기기의 구동이 중단되어야 한다. 이처럼, 여과망이 교체될 때마다 기기의 구동이 중단될 경우, 구동이 중단되는 시간 동안 기기의 구동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유체를 이용하는 기기의 구동이 유지된 상태에서 여과망이 교체될 수 있는 멀티 스트레이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 여과공간을 제공하는 제1 여과망 및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2 여과공간을 제공하는 제2 여과망을 포함하는 여과망; 상기 제1 여과공간을 지나는 상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여과공간을 지나는 상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유로를 제공하는 몸체; 및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유입개폐부; 및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유출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개폐부 및 상기 유출개폐부는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다른 하나가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멀티 스트레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개폐부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출개폐부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입개폐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입개폐부는, 상기 유출개폐부가 상기 제1 유로의 출구인 제1 유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제1 유로의 출구인 제1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되고, 상기 유출개폐부가 상기 제2 유로의 출구인 제2 유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제2 유로의 입구인 제2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되는, 멀티 스트레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외측부; 및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개폐부와 상기 유출개폐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내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개폐부는, 상기 유출개폐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입개폐 기어; 및 상기 유입개폐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입구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유입개폐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개폐부는, 상기 유입개폐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출개폐 기어; 및 상기 유출개폐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출구 및 상기 제2 유출구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유입개폐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삽입된 삽입상태 및 상기 삽입상태가 해제된 삽입해제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은, 상기 삽입상태일 때 상기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 놓이고, 상기 삽입해제상태일 때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멀티 스트레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트레이너는, 여과망이 교체되는 동안에도 유체를 이용하는 기기의 구동이 유지되도록 하여 기기의 구동 중단으로 인한 기기의 구동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트레이너의 제1 유로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트레이너의 제2 유로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트레이너(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트레이너(1)는 유체 내에 포함된 고형물을 여과시켜 유체를 이용하는 기기(미도시)로 여과된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멀티 스트레이너(1)는 몸체(100), 개폐유닛(200), 여과망(300), 플러그(400) 및 실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0)는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몸체유입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0)의 외부유입구에는 여과되지 않은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여과된 유체가 유출되기 위한 몸체유출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유출로에서 유출된 유체는 유체를 이용하는 기기를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00)는 복수 개의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유로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0)에는 여과망(30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입구(100a) 및 여과망(3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출구(100b)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00a)에는 몸체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00a)는 여과망(3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00a)는 후술할 내측부(110) 및 지지부(1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00a)는 제1 유입구(101a) 및 제2 유입구(10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입구(101a)는 제1 유로의 입구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입구(101a)는 몸체유입로에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유체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유입구(102a)는 제2 유로의 입구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입구(102a)는 제1 유입구(101a)가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유체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입구(102a)가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방향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제1 유입구(101a)가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방향과 대칭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전후방향 중 전방은 일 예로, 유체가 몸체유입로로 유입되는 방향일 수 있고, 후방은 전방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입구(102a)와 제1 유입구(101a)는 좌우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유출구(100b)는 여과망(300)을 통과한 유체가 유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유출구(100b)는 내측부(110) 및 외측부(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구(100b)는 제1 유출구(101b) 및 제2 유출구(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출구(101b)는 제1 유로의 출구일 수 있다. 제1 유출구(101b)는 일 예로, 제1 유입구(101a)가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체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유출구(102b)는 제2 유로의 출구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출구(102b)는 일 예로, 제2 유입구(102a)가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유체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출구(102b)가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방향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제1 유출구(101a)가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방향과 대칭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출구(102a)와 제1 유출구(101a)는 좌우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내측부(110), 외측부(120), 지지부(130) 및 스톱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부(110)는 외측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부(110)는 개폐유닛(20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부(110)의 전방측은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측부(110)의 후방측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내측부(110)는 개폐유닛(200)의 회전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부(110)의 전방측이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정도가 커질수록 후술할 유출개폐부(220)의 회전각이 커질 수 있다. 또한, 내측부(110)의 후방측이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정도가 커질수록 후술할 유입개폐부(210)의 회전각이 커질 수 있다. 회전각은 개폐유닛(200)이 회전 가능한 각도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내측부(110)의 후방측는 여과망(3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부(110)의 후방측 단부는 후술할 지지부(130)의 단부와 함께 유입구(100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부(110)는 외측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부(110)는 외측부(120)에 형성된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부(110)에는 개폐유닛(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홀(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홀(110a)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2개의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홀(110a)은 내측부(110)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외측부(120)는 몸체(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부(120)의 전방측에는 몸체유출로가 형성되고, 외측부(120)의 후방측에는 몸체유입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부(120)에는 플러그(40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구(120a)는 일 예로, 외측부(12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구(120a)는 여과망(3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지지부(130)는 여과망(3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외측부(120)로부터 내측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30)의 단부는 내측부(110)의 후방측 단부와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몸체유입로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는 삽입구(120a)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3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지지부(130)는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지지부(130)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부(130)는 제1 유입개방상태일 때 개폐유닛(200)과 접촉된 상태에서 개폐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30)는 제1 유입개방상태일 때 유입개폐부(210)가 제2 유출개방상태에서 제1 유출개방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유입개방상태는 제1 유입구(101a)가 개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입개방상태는 제2 유입구(102a)가 개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유출개방상태는 제1 유출구(101b)가 개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유출개방상태는 제2 유출구(102b)가 개방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부(130) 중 상대적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부(130)는 제2 유입개방상태일 때 개폐유닛(200)과 접촉된 상태에서 개폐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30)는 제2 유입개방상태일 때 유입개폐부(210)가 제1 유출개방상태에서 제2 유출개방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스톱퍼부(140)는 제1 유출개방상태일 때, 개폐유닛(200)과 접촉된 상태에서 개폐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톱퍼부(140)는 제1 유출개방상태일 때 유출개폐부(220)가 제2 유출개방상태에서 제1 유출개방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톱퍼부(140)는 제2 유출개방상태일 때, 개폐유닛(200)과 접촉된 상태에서 개폐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톱퍼부(140)는 제2 유출개방상태일 때 유출개폐부(220)가 제1 유출개방상태에서 제2 유출개방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개폐유닛(200)은 제1 유로 및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유닛(200)은 제1 유로 개방하고 제2 유로를 폐쇄하는 제1 개폐상태 및 제1 유로를 폐쇄하고 제2 유로를 개방하는 제2 개폐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개폐유닛(200)은 유입개폐부(210) 및 유출개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개폐부(210)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개폐부(210)는 제1 유입구(101a)를 개방하고 제2 유입구(102a)를 폐쇄하는 제1 유입개방상태 및 제1 유입구(101a)를 폐쇄하고 제2 유입구(102a)를 개방하는 제2 유입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부(210)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몸체(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방향은 일 예로, 상하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부(210)가 회전되는 방향은 유출개폐부(220)가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스트레이너(1)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유입개폐부(2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유출개폐부(2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유출개폐부(220)가 제1 유출구(101b)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때, 유입개폐부(210)는 제1 유입구(101a)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부(210)와 유출개폐부(220)에 의해 제1 유로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유출개폐부(220)가 제2 유출구(102b)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때, 유입개폐부(210)는 제2 유입구(102a)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부(210)와 유출개폐부(220)에 의해 제2 유로가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부(210)는 유입개폐 기어(211), 유입개폐 연결부(212) 및 유입개폐 디스크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개폐 기어(211)는 후술할 유출개폐 기어(221)와 맞물린 상태에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 기어(211)는 가이드홀(110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입개폐 기어(211)의 상단에는 유입개폐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은 몸체(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개폐 연결부(212)는 유입개폐 기어(2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 연결부(212)의 어느 일부는 유입개폐 기어(211)와 이격되고, 다른 일부는 유입개폐 기어(2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 연결부(212)는 일 예로, 반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 연결부(21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홀(110a)과 대향하고, 유입개폐 연결부(212)의 내주면은 유입개폐 기어(211)와 대향할 수 있다.
유입개폐 디스크부(213)는 유입개폐 연결부(21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 디스크부(213)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입개폐 디스크부(213)는 제1 유입구(101a) 및 제2 유입구(102a)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
유출개폐부(220)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출개폐부(220)는 제1 유출구(101b)를 개방하고 제2 유출구(102b)를 폐쇄하는 제1 유출개방상태 및 제1 유출구(101b)를 폐쇄하고 제2 유출구(102b)를 개방하는 제2 유출개방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유출개폐부(220)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몸체(1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방향은 일 예로, 상하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축은 제1 회전축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유입개폐부(210)가 제1 유입구(101a)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때, 유출개폐부(220)는 제1 유출구(101b)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유입개폐부(210)가 제2 유입구(102a)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때, 유출개폐부(220)는 제2 유출구(102b)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개폐부(220)는 유출개폐 기어(221), 유출개폐 연결부(222) 및 유출개폐 디스크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개폐 기어(221)는 유입개폐 기어(211)와 맞물린 상태에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개폐 기어(221)는 가이드홀(110a)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출개폐 기어(221)의 상단에는 유출개폐부(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출개폐 기어(221) 및 유입개폐 기어(211) 중 어느 하나에 핸들이 연결될 수 있다.
유출개폐 연결부(222)는 유출개폐 기어(2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개폐 연결부(222)의 어느 일부는 유출개폐 기어(211)와 이격되고, 다른 일부는 유출개폐 기어(2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개폐 연결부(222)는 일 예로, 반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출개폐 연결부(22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홀(110a)과 대향하고, 유출개폐 연결부(222)의 내주면은 유출개폐 기어(211)와 대향할 수 있다.
유출개폐 디스크부(223)는 유출개폐 연결부(22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개폐 디스크부(223)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출개폐 디스크부(223)는 제1 유출구(101a) 및 제2 유출구(102a)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할 수 있다.
제1 유입개방상태 및 제1 유출개방상태일 때, 제1 유로는 몸체유입로, 유입개폐 디스크부(213), 제1 유입구(101a), 제1 유출구(101b) 및 유출개폐 디스크부(2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입개방상태 및 제2 유출개방상태일 때, 제2 유로는 몸체유입로, 유입개폐 디스크부(213), 제2 유입구(102a), 제2 유출구(102b) 및 유출개폐 디스크부(2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과망(300)은 몸체유입로로 유입된 유체 내에 포함된 고형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여과망(300)은 몸체(100)에 고정된 상태인 고정상태에 놓일 수 있다. 고정상태일 때, 여과망(300)은 외측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과망(300)은 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인 분리가능상태에 놓일 수 있다. 분리가능상태일 때 여과망(300)은 외측부(120)의 내부로부터 몸체(100)의 외부로 분리 가능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망(300)은 플러그(400), 지지부(130) 및 내측부(110)의 후방측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망(3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여과망(300)은 제1 여과망(310) 및 제2 여과망(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여과망(310)은 제1 여과망(310)을 통과하는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제1 여과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유로는 제1 여과공간을 지날 수 있다. 제2 여과망(300)은 제2 여과망(320)을 통과하는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제2 여과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유로는 제2 여과공간을 지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여과망(320)과 제1 여과망(320)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400)는 삽입구(120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그(400)는 삽입상태 및 삽입해제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삽입상태는 플러그(400)가 삽입구(120a)에 삽입되어 여과망(300)을 지지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삽입해제상태는 플러그(400)가 삽입상태로부터 벗어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해제상태에서는 몸체(100)에 고정되어 있던 여과망(300)이 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실링부(500)는 가이드홀(110a)과 접촉된 상태에서 가이드홀(110a)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50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실링부(500)는 유입개폐 연결부(212)의 외주면의 양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실링부(500)는 유출개폐 연결부(222)의 외주면의 양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스트레이너(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서술한다.
멀티 스트레이너(1)는 제1 유로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를 개방하고 다른 하나의 유로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개폐부(210)와 유출개폐부(220)는 어느 하나의 회전 동작에 의해 다른 하나가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유입개폐 디스크부(2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유입구(101a)를 폐쇄할 때, 유출개폐 디스크부(22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유출구(101b)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는 폐쇄되고, 제2 유로는 개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유로가 폐쇄될 때, 플러그(400)는 삽입해제상태에 놓인 후에 제1 여과망(310)이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유입개폐 디스크부(21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유입구(102a)를 폐쇄할 때, 유출개폐 디스크부(2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유출구(102b)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는 개방되고, 제2 유로는 폐쇄될 수 있다. 제2 유로가 폐쇄될 때, 플러그(400)가 삽입해제상태에 놓인 후에 제2 여과망(320)이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 스트레이너(1)는 유입개폐부(210)와 유출개폐부(220) 중 어느 하나의 회전에 의해 다른 하나가 회전됨에 따라,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여과망(300)이 교체 가능한 상태에 놓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멀티 스트레이너 100: 몸체
110: 내측부 120: 외측부
130: 지지부
140: 스톱퍼부 200: 개폐유닛
210: 유입개폐부 220: 유출개폐부
300: 여과망 310: 제1 여과망
320: 제2 여과망 400: 플러그
500: 실링부

Claims (5)

  1.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1 여과공간을 제공하는 제1 여과망 및 유체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2 여과공간을 제공하는 제2 여과망을 포함하는 여과망;
    상기 제1 여과공간을 지나는 상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여과공간을 지나는 상기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제2 유로를 제공하는 몸체; 및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는 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유입개폐부; 및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2 유로 중 하나 이상의 유출구를 개폐하는 유출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개폐부 및 상기 유출개폐부는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다른 하나가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멀티 스트레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개폐부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출개폐부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유입개폐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유입개폐부는,
    상기 유출개폐부가 상기 제1 유로의 출구인 제1 유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제1 유로의 출구인 제1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되고, 상기 유출개폐부가 상기 제2 유로의 출구인 제2 유출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제2 유로의 입구인 제2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회전되는,
    멀티 스트레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유체가 유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외측부; 및
    상기 외측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개폐부와 상기 유출개폐부의 회전을 안내하는 내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개폐부는,
    상기 유출개폐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입개폐 기어; 및
    상기 유입개폐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2 유입구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유입개폐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이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개폐부는,
    상기 유입개폐부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유출개폐 기어; 및
    상기 유출개폐 기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출구 및 상기 제2 유출구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하는 유입개폐 디스크부를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삽입된 삽입상태 및 상기 삽입상태가 해제된 삽입해제상태 중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과망은,
    상기 삽입상태일 때 상기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 놓이고, 상기 삽입해제상태일 때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놓이는,
    멀티 스트레이너.
KR1020210169740A 2021-12-01 2021-12-01 멀티 스트레이너 KR20230082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740A KR20230082122A (ko) 2021-12-01 2021-12-01 멀티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740A KR20230082122A (ko) 2021-12-01 2021-12-01 멀티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122A true KR20230082122A (ko) 2023-06-08

Family

ID=86765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740A KR20230082122A (ko) 2021-12-01 2021-12-01 멀티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774B1 (ko) 2023-06-15 2024-02-05 이학재 이물질 청소형 스트레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774B1 (ko) 2023-06-15 2024-02-05 이학재 이물질 청소형 스트레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120B1 (ko) 여과 장치
KR20230082122A (ko) 멀티 스트레이너
JP6577043B2 (ja) ボール−本体空洞内で流れを引き起すマルチポートボールバルブ
JP2017521236A (ja) 逆洗フィルタ及びそのためのフィルタインサート
JP6534383B2 (ja) 逆洗フィルタ及びそのためのフィルタインサート
KR19990076640A (ko) 로터리형 소음 감쇠 밸브
CN103038049A (zh) 用于高粘性介质的过滤装置
KR102666234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6117189B2 (ja) 高粘性流体用の濾過装置
JP3827868B2 (ja) スクリーン交換装置
JP6970987B2 (ja) 切換弁および浄水システム
KR20090008896A (ko) 다방향 밸브
DE102012008808A1 (de) Abscheidevorrichtung
JP4890979B2 (ja) 遊技機
WO2012165490A1 (ja) 濾過装置
EP3789530A1 (en) A filter group suitable for use in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s
JP6529292B2 (ja) 洗濯機
CA2420431C (en) Screen apparatus
JP5489120B2 (ja) 流体用スクリーンチェンジャー
JP4145861B2 (ja) 汚水中継ポンプ設備
JP3452766B2 (ja) 弁装置
KR102654032B1 (ko) 양방향 스트레이너
KR102552390B1 (ko) 듀얼 스트레이너
JP4582625B2 (ja) ゴム混合比切替装置及びゴム押出機
TW202332495A (zh) 過濾器匣及改造過濾器外殼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