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032B1 - 양방향 스트레이너 - Google Patents

양방향 스트레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032B1
KR102654032B1 KR1020230138573A KR20230138573A KR102654032B1 KR 102654032 B1 KR102654032 B1 KR 102654032B1 KR 1020230138573 A KR1020230138573 A KR 1020230138573A KR 20230138573 A KR20230138573 A KR 20230138573A KR 102654032 B1 KR102654032 B1 KR 10265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orifice
housing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최창형
이상환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의 방향이 일측은 물론 타측에서 유입되어도 이물질의 여과가 가능한 스트레이너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 상태로 되어 상부는 덮개부에 의해 차단되고, 일측에는 제1유출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유출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삽입 결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여과부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공간부; 상기 하우징의 제1유출입구에서 유동공간부를 가로질러 여과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1여과오리피스와 상기 제1여과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제1여과개폐볼; 상기 하우징의 제2유출입구에서 유동공간부를 가로질러 여과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2여과오리피스와 상기 제2여과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제2여과개폐볼; 상기 제1유출입구 측에서 유동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배출오리피스와 제1배출개폐고리; 및 상기 제2유출입구 측에서 유동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배출오리피스와 제2배출개폐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스트레이너에 의해 배관에 흐르는 물의 방향이 어느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흐름이 발생하여도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스트레이너{Two way strainer}
본 발명은 상수도는 물론 다양한 배관에 중도부에 적용하여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수의 방향이 일측은 물론 타측에서 유입되어도 이물질의 여과가 가능한 스트레이너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상수도관은 대부분 주철관이어서 노후화되면 녹이나 불순물이 떨어져 용수에 이물질이 포함되기도 하고, 상수도관의 교체 또는 보수 공사시에도 불순물이 용수를 오염시켜 공급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렇게 이물질이 포함된 용수가 별도의 여과과정을 거치지 않고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으로 공급되는 경우, 수도꼭지에서 녹 등이 포함된 붉은물이나 음용하기에 부적합한 이물질이 섞인 용수가 나오게 된다. 또한, 음용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 급수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급수량을 계측하는 계량기가 고장나거나 보일러가 막혀 고장이 나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기 위해 배관의 중도부에 스트레이너를 설치하여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상수도관의 용수는 여러 방향으로 분기된 말단의 어느 사용자측에서 용수를 사용함에 따라, 용수가 일방향으로만 흐름이 발생하지 않고 반대측 방향으로도 용수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스트레이너는 일방향으로 용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으나, 반대측 방향으로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걸러진 이물질이 다시 사용자측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양방향의 흐름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므로 배관을 2개로 분기시키고 체크밸브 등을 설치함으로써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만 용수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또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 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배관의 밸브를 잠그고 각각의 스트레이너를 청소하여야 한다. 따라서, 청소를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단수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74269호 '회전가능한 메쉬스크린을 구비한 양방향 스트레이너'는 하나의 스트레이너로 양방향의 물의 흐름에 대응하여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어느 일측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메쉬스크린의 이물질 포집면에 의해 여과가 진행되다가, 물의 흐름이 바뀌게 되면 밸브를 잠그고 메쉬스크린의 이물질 포집면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반대방향의 물의 흐름에도 이물질의 포집이 가능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 또한 메쉬스크린의 방향을 바꾸어주기 위해서는 여전히 배관의 밸브를 잠구는 작업과 메쉬스크린을 회전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고, 메쉬스크린의 청소 또한 뚜껑을 개방하고 메쉬스크린의 청소를 진행하여야 함에 따라 불편함이 해소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74269호
본 발명은 배관에 흐르는 물의 방향이 어느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흐름이 발생하여도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하나의 스트레이너에 의해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의 흐름 방향이 바뀌어도 여과부에 의해 여과된 이물질이 배관으로 유입될 염려가 없는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의 여과망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여과망에 의해 걸리진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 상태로 되어 상부는 덮개부에 의해 차단되고, 일측에는 제1유출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유출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삽입 결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여과부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공간부; 상기 하우징의 제1유출입구에서 유동공간부를 가로질러 여과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1여과오리피스와 상기 제1여과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제1여과개폐볼; 상기 하우징의 제2유출입구에서 유동공간부를 가로질러 여과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2여과오리피스와 상기 제2여과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제2여과개폐볼; 상기 제1유출입구 측에서 유동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배출오리피스와 제1배출개폐고리; 및 상기 제2유출입구 측에서 유동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배출오리피스와 제2배출개폐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여과오리피스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유출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며, 상기 제2여과오리피스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2유출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출오리피스와 제2배출오리피스는 유동공간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부의 내부에는, 여과부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한 이물질제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여과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여과부의 내벽면과 접하도록 회전체의 끝단에 결합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여과부의 하측에는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이물질배출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에는 하우징의 내경과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배관과 연결하기 연결소켓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스트레이너에 의해 배관에 흐르는 물의 방향이 어느 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흐름이 발생하여도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레이너의 여과망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여과망에 의해 걸리진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양방향 스트레이너의 분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트레이너의 종방향 절개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스트레이너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절개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트레이너의 제1방향에서 용수가 유입되어 제2방향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절개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스트레이너의 제2방향에서 용수가 유입되어 제1방향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절개 단면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방향 스트레이너(100)는 하우징(110)과 여과부(120) 및 유동공간부(130), 그리고, 제1,2여과오리피스(140)(141)와 제1,2여과개폐볼(150)(151), 제1,2배출오리피스(160)(161)와 제1,2배출개폐볼(170)(171) 및 이물질제거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내부가 소정 직경의 중공으로 되어 수직의 관 형태를 이루며, 상부는 개방되어 덮개부(113)에 의해 차단된다. 일측면에는 제1유출입구(111)가 관통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제2유출입구(112)가 관통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상부를 통해 여과부(120)가 삽입 결합된다. 여과부(120)는 미세망 형태로 되며 용수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메쉬 중 어느 하나의 메쉬를 선택하여 적용 가능하다. 여과부(120)는 내벽면을 통해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며, 여과부(120)의 내벽면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여과수는 여과부(120)의 외측으로 통과된다.
이를 위해 여과부(120)는 하우징(1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는 여과부(120)의 외측과 하우징(110)의 내벽면 사이에는 여과부(120)를 통해 여과된 여과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으로 유동공간부(130)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제1유출입구(111) 측에는 제1여과오리피스(140)와 제1배출오리피스(160)가 형성되고, 제1여과오리피스(140)는 유동공간부(130)를 가로질러 여과부(1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여과오리피스(140)는 소정 길이의 관 형태로 되어 일측 끝단이 여과부(1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여과부(12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유동공간부(130)를 가로질러 제1유출입구(111)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배출오리피스(160)는 하우징(110)의 내벽면과 제1여과오리피스(140)의 외측 사이를 구획하여 형성되며, 일측은 제1유출입구(111)와 연통되고 타측은 유동공간부(130)와 연통되도록 일부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제1배출오리피스(160)는 전체적으로 제1여과오리피스(140)의 외측을 감싸며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여과오리피스(140)를 개폐하기 위한 제1여과개폐볼(150)과, 환형의 제1배출오리피스(160)를 개폐하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환형으로 되는 제1배출개폐고리(170)가 더 구비된다.
또한, 제2유출입구(112) 측에는 제2여과오리피스(141)와 제2배출오리피스(161)가 형성되고, 제2여과오리피스(141)도 유동공간부(130)를 가로질러 여과부(1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2여과오리피스(141)는 소정 길이의 관 형태로 되어 일측 끝단이 여과부(1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여과부(120)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유동공간부(130)를 가로질러 제2유출입구(112)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배출오리피스(161)는 하우징(110)의 내벽면과 제2여과오리피스(141)의 외측 사이를 구획하여 형성되며, 일측은 제2유출입구(112)와 연통되고 타측은 유동공간부(130)와 연통되도록 일부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제2배출오리피스(161)는 전체적으로 제2여과오리피스(141)의 외측을 감싸며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여과오리피스(141)를 개폐하기 위한 제2여과개폐볼(151)과, 환형의 제2배출오리피스(161)를 개폐하기 위하여 마찬가지로 환형으로 되는 제2배출개폐고리(171)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제1,2여과개폐볼(150)(151)과 제1,2배출개폐볼(170)(171)은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탄성을 가지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제1,2배출오리피스(160)(161)는 제1,2여과오리피스(140)(141)의 외측을 감싸며 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여과오리피스(140)는 하우징(110) 내부에서 제1유출입구(111)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제2여과오리피스(141)는 하우징 내부에서 제2유출입구(112)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배출오리피스(160)는 제1유출입구(111) 측에서 유동공간부(130) 측으로 갈수록, 제2배출오리피스(161)는 제2유출입구(112) 측에서 유동공간부(130) 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여과오리피스(140)와 여과부(120) 사이, 제1배출오리피스(160)와 제1유출입구(111) 사이, 제2여과오리피스(141)와 여과부(120) 사이 및 제2배출오리피스(161)와 제2유출입구(112) 사이에는 각각 물은 통과할 수 있도록 지지망(121)이 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제거부(180)는 여과부(120)의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여과부(120) 내벽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탈리시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체(181)와 브러쉬부(182) 및 회전체(18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181)는 여과부(120)의 내측에 나란하게 축설되며, 상부 덮개부(113) 외측에는 회전체(18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83)가 구비된다. 구동부(183)는 회전체(181)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수동으로 구동하거나 또는 모터 등에 구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회전체(181)에서 여과부(120)의 내벽면 방향으로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지지대(184)가 구비되고, 지지대(184)의 끝단에는 여과부(120)의 내벽면과 접하도록 브러쉬부(18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여과부(120)의 하부에는 여과부(120)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배출구(12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물질배출구(122)는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양방향 스트레이너(100)를 배관(P)과 연결시, 배관(P)의 직경이 제1유출입구(111) 및 제2유출입구(112)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거나 더 큰 직경으로 되는 경우에도 배관(P)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연결소켓(19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양방향 스트레이너(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방향 스트레이너(100)는 배관(P)의 중도부에 결합되어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만약 본 발명의 양방향 스트레이너(100)의 직경과 배관(P)의 직경이 상이한 경우에는 연결소켓(190)에 의해 연결하여 결합한다.
배관(P)의 밸브를 개방하여 물의 흐름이 제1방향에서 본 발명의 양방향 스트레이너(100)의 하우징(110)의 일측인 제1유출입구(111) 측으로 용수가 유입되는 경우, 여과부(120)의 외측인 유동공간부(130) 측으로는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고 여과부(120)의 내측으로만 유입되도록 유도된다. 여과부(120)의 내측으로 유도된 용수는 여과부(120)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여과부(120)의 외측으로 통과하여 유동공간부(130)를 지나 제2유출입구(112) 측인 제2방향으로 배출된다.
마찬가지로, 물의 흐름이 제2방향에서 본 발명의 양방향 스트레이너(100)의 하우징(110)의 타측인 제2유출입구(112) 측으로 용수가 유입되는 경우, 여과부(120)의 외측인 유동공간부(130) 측으로는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고 여과부(120)의 내측으로만 유입되도록 유도된다. 여과부(120)의 내측으로 유도된 용수는 여과부(120)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여과부(120)의 외측으로 통과하여 유동공간부(130)를 지나 제1유출입구(111) 측인 제1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인 제1유출입구(111) 측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압력에 의해 제1여과오리피스(140)를 개폐하는 제1여과개폐볼(150)이 밀리면서 지지망(121)에 걸리게 되고, 제1여과오리피스(140)가 개방이 된다. 또한, 제1배출오리피스(160)를 개폐하는 제1배출개폐고리(170)가 밀리면서 제1배출오리피스(160)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제1유출입구(111) 측으로 유입된 용수는 차단된 제1배출오리피스(160) 측으로는 유입되지 않고, 관 형태의 제1여과오리피스(140)를 통해 여과부(120) 내부로 유입된다.
여과부(120) 내측으로 유입된 용수는 여과부(120)의 내벽면에서 외측으로 통과하고, 이는 다시 유동공간부(130)를 통해 제2유출입구(112) 측인 제2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혹여라도 용수에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 미세기공을 가지는 여과부(120)에 의해 이물질은 걸러지고 양질의 여과수만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여과수가 유동공간부(130)에서 제2유출입구(112) 측으로 흐를 때, 용수의 압력에 의해 제2여과오리피스(141)를 개폐하는 제2여과개폐볼(151)이 밀리면서 제2여과오리피스(141)가 차단이 된다. 또한, 제2배출오리피스(161)를 개폐하는 제2배출개폐고리(171)가 밀리면서 지지망(121)에 걸리고 제2배출오리피스(161)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제1유출입구(111)에서 여과부(120)를 거쳐 유동공간부(130)로 유입된 용수는 제2여과개폐볼(151)에 의해 차단된 제2여과오리피스(141) 측으로는 유입되지 않고, 제2배출오리피스(161) 측으로만 흘러 제2유출입구(112) 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배관(P)에 흐르는 용수는 필요에 따라 또는 상황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흐름이 발생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흐름이 제2방향인 하우징(110)의 타측 제2유출입구(112) 측으로 용수가 유입되는 경우, 용수의 압력에 의해 제2여과오리피스(141)를 개폐하는 제2여과개폐볼(151)이 밀리면서 지지망(121)에 걸리고 제2여과오리피스(141)가 개방이 된다. 또한, 제2배출오리피스(161)를 개폐하는 제2배출개폐고리(171)가 밀리면서 제2배출오리피스(161)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제2유출입구(112) 측으로 유입된 용수는 제2배출개폐고리(171)에 의해 차단된 제2배출오리피스(161) 측으로는 유입되지 않고, 관 형태의 제2여과오리피스(141)를 통해 여과부(120) 내부로 유입된다.
마찬가지로 여과부(120)를 통해 여과가 이루어진 여과수는 여과부(120) 외측으로 유출된 후 유동공간부(130)에서 제1유출입구(111) 측으로 흐르게 되며, 용수의 압력에 의해 제1여과오리피스(140)를 개폐하는 제1여과개폐볼(150)이 밀리면서 지지망(121)에 걸리게 되고 제1여과오리피스(140)가 개방이 되어 용수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배출오리피스(160)를 개폐하는 제1배출개폐고리(170)는 수압의 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제1배출오리피스(160)를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2방향에서 여과부(120)를 거쳐 유동공간부(130)로 유입된 용수는 차단된 제1여과오리피스(140) 측으로는 유입되지 않고, 제1배출오리피스(160)를 통해 제1유출입구(111) 측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양방향 스트레이너(100)는 배관(P)에 흐르는 물의 흐름 방향이 일측만이 아니라 타측으로 흐르는 경우에도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배관(P)을 통해 각 말단의 사용자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양방향 스트레이너(100)는 배관(P)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이물질제거부(180)를 작동시켜 여과부(120)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이물질제거부(180)의 구동부(183)를 모터 또는 수동에 의해 구동시키게 되면, 회전체(181)가 회전하면서 지지대(184) 끝단에 결합된 브러쉬부(182)가 여과부(120)의 내벽면에 접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브러쉬부(182)가 회전하면서 여과부(120)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여 떨어뜨림으로써 여과부(120)는 다시 여과성능을 회복하게 된다.
이물질제거부(180)에 의해 떨어뜨려진 이물질은 여과부(120)의 바닥부에 떨어진 후, 별도의 밸브에 의해 개방되는 이물질배출구(122)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100 : 양방향 스트레이너 110 : 하우징
120 : 여과부 130 : 유동공간
140,141 : 제1,2여과오리피스 150,151 : 제1,2여과개폐볼
160,161 : 제1,2배출오리피스 170,171 : 제1,2배출개폐볼
180 : 이물질제거부

Claims (7)

  1. 수직 상태의 내부가 중공 상태로 되어 상부는 덮개부에 의해 차단되고, 일측에는 제1유출입구가 관통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유출입구가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이격되도록 삽입 결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여과부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는 유동공간부;
    상기 여과부의 일측에서 여과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외측방향으로 관 형태로 인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부를 가로질러 하우징의 제1유출입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1여과오리피스와 상기 제1여과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제1여과개폐볼;
    상기 여과부의 일측에서 여과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외측방향으로 관 형태로 인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간부를 가로질러 하우징의 제2유출입구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2여과오리피스와 상기 제2여과오리피스를 개폐시키는 제2여과개폐볼;
    상기 제1유출입구 측에서 유동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하우징의 내벽면과 제1여과오리피스의 외측 사이에서 관통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상기 제1여과오리피스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배출오리피스와 제1배출개폐고리; 및
    상기 제2유출입구 측에서 유동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하우징의 내벽면과 제2여과오리피스의 외측 사이에서 관통 형성되되, 전체적으로 상기 제2여과오리피스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배출오리피스와 제2배출개폐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트레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여과오리피스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유출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며,
    상기 제2여과오리피스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2유출입구 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트레이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오리피스와 제2배출오리피스는 유동공간부 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트레이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의 내부에는,
    여과부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한 이물질제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트레이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여과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 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여과부의 내벽면과 접하도록 회전체의 끝단에 결합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트레이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의 하측에는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이물질배출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트레이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유출입구와 제2유출입구에는 하우징의 내경과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배관과 연결하기 연결소켓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스트레이너.
KR1020230138573A 2023-10-17 2023-10-17 양방향 스트레이너 KR102654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8573A KR102654032B1 (ko) 2023-10-17 2023-10-17 양방향 스트레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8573A KR102654032B1 (ko) 2023-10-17 2023-10-17 양방향 스트레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032B1 true KR102654032B1 (ko) 2024-04-03

Family

ID=90662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8573A KR102654032B1 (ko) 2023-10-17 2023-10-17 양방향 스트레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0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754U (ko) * 1980-06-03 1982-01-08
JPH05302902A (ja) * 1992-04-27 1993-11-16 Meidensha Corp 三酸化バナジウム中の五酸化バナジウムの分析方法
JPH07185223A (ja) * 1993-12-27 1995-07-25 Cosmo Koki Co Ltd 双方向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JP2004283804A (ja) * 2003-03-25 2004-10-14 Cosmo Koki Co Ltd 流体管の夾雑物除去装置
JP2005185895A (ja) * 2003-12-24 2005-07-14 Kurimoto Ltd 夾雑物除去装置
KR20220074269A (ko) 2020-11-27 2022-06-03 한국가스공사 회전가능한 메쉬스크린을 구비한 양방향 스트레이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754U (ko) * 1980-06-03 1982-01-08
JPH05302902A (ja) * 1992-04-27 1993-11-16 Meidensha Corp 三酸化バナジウム中の五酸化バナジウムの分析方法
JPH07185223A (ja) * 1993-12-27 1995-07-25 Cosmo Koki Co Ltd 双方向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JP2004283804A (ja) * 2003-03-25 2004-10-14 Cosmo Koki Co Ltd 流体管の夾雑物除去装置
JP2005185895A (ja) * 2003-12-24 2005-07-14 Kurimoto Ltd 夾雑物除去装置
KR20220074269A (ko) 2020-11-27 2022-06-03 한국가스공사 회전가능한 메쉬스크린을 구비한 양방향 스트레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2341B (zh) 反冲洗式前置水过滤器
CN106139666B (zh) 双层滤网前置过滤器及其工作方法
CN207270825U (zh) 一种可同步正反冲洗的前置过滤器
CN106267964A (zh) 反冲洗式前置水过滤器
JPH04203681A (ja) ろ過器用の切換え弁装置
KR102654032B1 (ko) 양방향 스트레이너
WO2009025413A1 (en) Water purifier filter having a filter washing function
KR102642484B1 (ko) 양방향 스트레이너
KR101064635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춘 필터
JP4938629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CN206063906U (zh) 一种反冲式前置过滤装置及净水机
JPH11114321A (ja) 弁部材内蔵型ストレ―ナ
KR102585330B1 (ko) 배관의 이물질 여과용 스트레이너
JP6605353B2 (ja) 流体用ストレーナの装着ユニット
CN208292752U (zh) 一种超滤炭纤维复合龙头滤芯
CN208762166U (zh) 一种具有反冲洗功能的净水机
CN101201122B (zh) 球阀装置
KR102621053B1 (ko) 상수도 배관의 이물질 제거용 스트레이너
KR101972113B1 (ko) 역세척 앵글밸브
JPH1098U (ja) 浄水器
JPH11253936A (ja) 浄水器
KR102665389B1 (ko) 배관의 이물질 여과용 스트레이너
CN109607902A (zh) 一种可反冲洗的井水过滤器
KR20220097840A (ko) 듀얼 스트레이너
CN109276936A (zh) 一种反冲洗过滤水龙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