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595A -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모듈 - Google Patents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595A
KR20230081595A KR1020220118779A KR20220118779A KR20230081595A KR 20230081595 A KR20230081595 A KR 20230081595A KR 1020220118779 A KR1020220118779 A KR 1020220118779A KR 20220118779 A KR20220118779 A KR 20220118779A KR 20230081595 A KR20230081595 A KR 20230081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ell
liquid injection
sealing member
power storag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노리 오쿠라
히데토 모리
신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230081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01M50/645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e.g. determining prof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은, 각각이 주액구(16h)를 갖는 적어도 1개의 축전 셀(10)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주액 부재(16)에 밀봉 부재(20)를 장착 고정하는 고정 공정과, 밀봉 부재(20)의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축전 셀(10) 내를 감압하는 감압 공정과, 감압 공정 후에 밀봉 부재(20)의 형상을 다시 측정하는 재측정 공정과, 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와 재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밀봉 부재(20)의 변위량을 산출함과 함께, 그 변위량이 기준값 이상일 때에 축전 셀(10)의 내압이 적정하다고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모듈{METHOD OF MANUFACTURING POWER STORAGE MODULE AND POWER STORAGE MODULE}
본 개시는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특개2021-64489에는, 이차전지의 케이스의 변형량에 기초하여 케이스 내에서의 가스의 발생을 판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차전지(셀)의 사용에 의해서, 셀의 케이스 내부에 있어서 가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제조시에 있어서의 셀의 내압의 보증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각 축전 셀의 내압이 적정한 것을 보증 가능한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모듈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국면에 따른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은, 각각이 전해액을 축전 셀에 주입하기 위한 주액구(注液口)를 갖는 주액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축전 셀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가요성(可撓性)을 갖고 또한 상기 주액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에 의해 상기 주액구가 덮이도록 상기 주액 부재에 상기 밀봉 부재를 장착 고정하는 고정 공정과, 상기 주액 부재에 고정된 상기 밀봉 부재의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 후에 상기 축전 셀 내를 감압하는 감압 공정과, 상기 감압 공정 후에 상기 축전 셀을 밀봉하는 밀봉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 후에 상기 밀봉 부재의 형상을 다시 측정하는 재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와 상기 재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밀봉 부재의 변위량을 산출함과 함께, 그 변위량이 기준값 이상일 때에 상기 축전 셀의 내압이 적정하다고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구비한다.
또, 본 개시의 다른 국면에 따른 축전 모듈은, 각각이 전해액을 축전 셀에 주입하기 위한 주액구를 갖는 적어도 1개의 축전 셀과, 가요성을 갖고, 또한,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전 셀의 상기 주액구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전 셀은 각각, 상기 주액구를 갖는 주액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액 부재는, 상기 주액구를 둘러싸고 상기 밀봉 부재를 받는 받이면을 갖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받이면에 접하는 주연(周緣) 접촉부와, 상기 주연 접촉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주연 접촉부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고, 상기 축전 셀의 내압은 대기압 이하이다.
본 개시에 의하면, 각 축전 셀의 내압이 적정한 것을 보증 가능한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고,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전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축전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축전 모듈의 주액구가 폐색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폐색 공정 후에 있어서의 주액 부재 및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측정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감압 공정 후에 있어서의 주액 부재 및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축전 셀의 내압의 대기압으로부터의 감압도와 밀봉 부재의 변위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주액 부재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주액 부재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주액 부재의 변형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가 붙여져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축전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축전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I-I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이 축전 모듈(1)은,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축전 모듈(1)은, 복수의 축전 셀(10)과 밀봉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축전 셀(10)은, 일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모듈(1)은, 상기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30개의 축전 셀(10)을 포함하고 있다. 각 축전 셀(10)의 내압은, 대기압 이하의 적정값으로 보지(保持)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축전 셀(10)은 바이폴라형 셀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각 축전 셀(10)은 집전 부재(11), 정극 활물질층(12), 부극 활물질층(13), 세퍼레이터(14), 고정 부재(15), 주액 부재(16), 전해액(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일 방향으로 30개의 축전 셀(10)이 늘어서 있다.
집전 부재(11)는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정극의 경우, 집전 부재(1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箔)으로 구성되고, 부극의 경우, 집전 부재(11)는, 예를 들면 동박으로 구성된다. 단, 집전 부재(11)는, 니켈박이나, 스테인리스박이나, 알루미늄박과 동박을 조합한 클래드박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정극 활물질층(12)은 집전 부재(11)의 일방(一方)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부극 활물질층(13)은 집전 부재(11)의 타방(他方)의 면에 마련되어 있다.
세퍼레이터(14)는, 하나의 집전 부재(11)에 마련된 정극 활물질층(12)과, 상기 하나의 집전 부재(11)에 인접하는 집전 부재(11)에 마련된 부극 활물질층(13)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일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축전 셀(10) 중 집전 부재(11)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단부(端部)에 배치된 집전 부재(11)에는, 정극 탭(도시 생략)이 접속되어 있다. 일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축전 셀(10) 중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타방측의 단부에 배치된 집전 부재(11)에는, 부극 탭(도시 생략)이 접속되어 있다.
고정 부재(15)는 각 집전 부재(11)의 주연부끼리를 고정하고 있다. 고정 부재(15)는, 예를 들면 수지로 이루어진다. 고정 부재(15)에는, 축전 셀(10) 내와 외부를 연통(連通)시키는 연통구(15h)가 마련되어 있다.
주액 부재(16)는 고정 부재(15)에 고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액 부재(16)는 연통구(15h)를 포위하도록 고정 부재(15)에 고정되어 있다. 주액 부재(16)는, 예를 들면 수지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액 부재(16)는, 축전 셀(10) 밖으로부터 축전 셀(10) 내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액구(16h)를 갖고 있다. 주액구(16h)는 연통구(15h)와 연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액 부재(16)는, 주액구(16h)를 규정하는 통상(筒狀),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 주액 부재(16)는, 사각통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상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3에서는,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1개의 축전 셀(10)을 둘러싸는 고정 부재(15)의 부분에 대하여 1개의 주액 부재(16)가 장착된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적층된 복수의 축전 셀(10)을 둘러싸는 고정 부재(15)의 부분에 대하여 1개의 주액 부재(16)가 장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액 부재(16)는, 밀봉 부재(20)를 받는 받이면(16a)을 갖고 있다. 받이면(16a)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20)는, 가요성을 갖고, 또한, 주액구(16h)를 밀봉 가능하다. 밀봉 부재(20)는 시트상으로 형성된 수지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밀봉 부재(20)는 루프상의 주연 접촉부(21)와 내측부(22)를 갖고 있다.
주연 접촉부(21)는, 주액 부재(16)의 받이면(16a)에 접해 있다. 주연 접촉부(21)는 받이면(16a)에 용착(溶着)되어 있다.
내측부(22)는 주연 접촉부(21)의 내측에 위치해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측부(22)는 주연 접촉부(21)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도 1∼3과는 다른 실시 형태의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조 방법은 준비 공정, 고정 공정, 측정 공정, 감압 공정, 밀봉 공정, 재측정 공정, 판정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준비 공정에서는, 4개의 축전 셀(10)을 구비하는 축전 모듈(1)이 준비된다. 도 4는 4개의 축전 셀(10)이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한 쌍의 누름판(50)에 의해 협지(挾持)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한 쌍의 누름판(50)의 일방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또, 도 4는 4개의 축전 셀(10)이 일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각 축전 셀(10)에 있어서의 주액 부재(16)의 수는 도 1의 것과는 다르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각 주액구(16h) 및 연통구(15h)를 통하여 축전 셀(10) 내에 전해액이 주입된다.
고정 공정에서는 주액 부재(16)에 밀봉 부재(20)가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밀봉 부재(20)가 주액 부재(16)의 받이면(16a)에 탑재되어 고정된다. 예를 들면, 밀봉 부재(20)는, 주액 부재(16)의 받이면(16a)에 용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 때, 받이면(16a)의 일부와 밀봉 부재(20)의 일부는 용착되지 않고 간극이 형성된다.
측정 공정에서는, 축전 셀(10) 내를 감압하기 전에 있어서의, 주액구(16h)를 덮도록 주액 부재(16)에 장착된 상태의 밀봉 부재(20)의 형상이 측정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측정 공정에서는, 측정 장치(100)가 이용되고, 광절단법이나 패턴 프로젝션법 등에 의해 밀봉 부재(20)의 삼차원 형상이 측정된다.
감압 공정에서는, 측정 공정 후의 축전 모듈(1)에 있어서, 축전 셀(10) 내가 감압된다. 이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주액 부재(16)에 밀봉 부재(20)가 고정된 상태의 축전 모듈(1)이 챔버 내에 배치되고, 챔버 내를 진공빼기함으로써 축전 셀(10) 내가 대기압 이하로 될 때까지 감압된다. 이 때, 축전 셀(10) 내의 가스는, 주액 부재(16)의 받이면(16a)과 밀봉 부재(20)와의 간극을 통하여 축전 셀(10)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밀봉 부재(20)나 주액 부재(16)에 가스 빼기 구멍이 마련되고, 그 가스 빼기 구멍을 통하여 축전 셀(10) 내의 가스가 축전 셀(10) 밖으로 배출되어도 된다.
밀봉 공정은, 감압 공정 후, 또는, 챔버 내의 진공빼기를 계속한 상태에 있어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밀봉 부재(20)의 주연 접촉부(21)와 주액 부재(16)의 받이면(16a)과의 사이의 간극이 용착됨으로써, 주액구(16h)가 폐색된다. 이에 의해, 축전 셀(10) 내가 감압된 상태에서 축전 셀(10)이 밀봉된다.
재측정 공정에서는, 밀봉 공정에서 축전 셀(10)이 밀봉된 상태의 축전 모듈(1)에 있어서의 감압 공정 후의 밀봉 부재(20)의 형상이 다시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챔버 내로부터 예를 들면 대기압 하에 축전 모듈(1)이 취출(取出)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밀봉 부재(20)는, 그 내측부(22)가 주연 접촉부(21)에 대하여 축전 셀(10) 내를 향하여 움푹 들어가도록 변형된다. 그 후, 상기 측정 공정과 마찬가지로, 측정 장치(100)에 의해서 밀봉 부재(20)의 삼차원 형상이 측정된다. 또한, 도 7에는, 변형 전의 밀봉 부재(20)가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판정 공정에서는, 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와 재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밀봉 부재(20)의 변위량 D(도 7을 참조)가 산출됨과 함께, 그 변위량 D가 기준값 D1 이상일 때에 축전 셀(10)의 내압 P가 적정하다고 판정된다. 또한, 변위량 D는, 예를 들면, 감압 공정의 전후에 있어서의 내측부(22)의 중앙부의 변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밀봉 부재(20)의 변위량 D와 축전 셀(10)의 내압 P의 대기압으로부터의 감압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축전 셀(10)의 감압도가 높아질수록, 변위량 D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시뮬레이션 및 예비실험에 의해, 변위량 D가 D1 이상이 되면, 축전 셀(10)의 내압 P가 대기압 이하의 적정값 P1 이하로 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판정 공정에서는, 변위량 D가 기준값 D1 이상일 때에 축전 셀(10)의 내압 P가 적정하다고 판정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축전 셀(10)의 내압이 적정값 P1보다 큰 범위에는, 사선이 그려져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에서는, 판정 공정에 있어서, 감압 공정의 전후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20)의 형상에 기초하여 밀봉 부재(20)의 변위량 D가 산출되고, 그 변위량 D가 기준값 D1 이상일 때에 축전 셀(10)의 내압 P가 적정하다고 판정된다. 따라서, 각 축전 셀(10)의 내압 P가 적정한 축전 모듈(1)이 제조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모듈(1)로서, 바이폴라형 축전 모듈이 예시되었지만, 축전 모듈(1)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바이폴라형 모듈은, 1매의 집전 부재(11)의 일방의 면에 정극 활물질층(12)이 마련됨과 함께, 타방의 면에 부극 활물질층(13)이 마련된 구조가, 세퍼레이터(14)를 사이에 두고 복수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또,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일 방향(집전 부재(11), 정극 활물질층(12) 및 부극 활물질층(13)의 적층 방향)으로 늘어선 3개의 주액 부재(16)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3개의 주액 부재(16)에 있어서의 각각의 주액구(16h)가 1개의 밀봉 부재(20)에 의해서 함께 폐색되어도 된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선 10개의 주액 부재(16)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든 주액 부재(16)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는, 이하의 태양의 구체예인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은, 각각이 전해액을 축전 셀에 주입하기 위한 주액구를 갖는 주액 부재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축전 셀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가요성을 갖고 또한 상기 주액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에 의해 상기 주액구가 덮이도록 상기 주액 부재에 상기 밀봉 부재를 장착 고정하는 고정 공정과, 상기 주액 부재에 고정된 상기 밀봉 부재의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 후에 상기 축전 셀 내를 감압하는 감압 공정과, 상기 감압 공정 후에 상기 축전 셀을 밀봉하는 밀봉 공정과, 상기 밀봉 공정 후에 상기 밀봉 부재의 형상을 다시 측정하는 재측정 공정과, 상기 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와 상기 재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밀봉 부재의 변위량을 산출함과 함께, 그 변위량이 기준값 이상일 때에 상기 축전 셀의 내압이 적정하다고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구비한다.
이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에서는, 판정 공정에 있어서, 감압 공정의 전후에 있어서의 밀봉 부재의 형상에 기초하여 밀봉 부재의 변위량이 산출되고, 그 변위량이 기준값 이상일 때에 축전 셀의 내압이 적정하다고 판정된다. 따라서, 각 축전 셀의 내압이 적정한 축전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 공정에서는, 상기 주액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주액 부재에 고정해도 된다. 상기 감압 공정에서는, 상기 간극을 통하여 상기 축전 셀 내의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축전 셀 내를 감압해도 된다. 상기 밀봉 공정에서는, 상기 간극이 폐색되도록 상기 밀봉 부재를 상기 주액 부재에 용착함으로써 상기 축전 셀 내를 밀봉해도 된다.
이 태양에서는, 주액구가 감압용으로도 이용되기 때문에, 축전 셀에 감압 전용의 개구가 마련되는 경우에 비하여 구조가 간소화된다.
또, 상기 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전 셀은, 복수의 축전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축전 셀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기 주액 부재 중 2 이상의 주액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고정 공정에서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상기 주액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주액구가 1개의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서 함께 덮여도 된다.
이 태양에서는, 각 주액구에 대응하는 밀봉 부재가 준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밀봉 부재의 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밀봉 부재의 관리나 취급이 간소화된다. 또, 서로 이웃하는 주액 부재끼리에 있어서의 경계의 프레임 부분이 공통이 됨으로써 밀봉 부재의 주액 부재에 대한 용착 개소가 감소하기 때문에, 생산이 용이해진다.
또, 상기 준비 공정에서는, 상기 축전 셀로서, 바이폴라형의 축전 셀을 준비해도 된다.
축전 셀로서 바이폴라형 셀을 포함하는 축전 모듈에서는, 복수의 축전 셀 중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의 가장 외측에 배치된 축전 셀 이외의 축전 셀에 대해서는, 외관에 기초하여 축전 셀의 내압을 판단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상기 효과가 특히 현저하게 된다.
또, 본 개시의 다른 국면에 따른 축전 모듈은, 각각이 전해액을 축전 셀에 주입하기 위한 주액구를 갖는 적어도 1개의 축전 셀과, 가요성을 갖고, 또한,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전 셀의 상기 주액구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전 셀은 각각, 상기 주액구를 갖는 주액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주액 부재는, 상기 주액구를 둘러싸고 상기 밀봉 부재를 받는 받이면을 갖는다.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받이면에 접하는 주연 접촉부와, 상기 주연 접촉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주연 접촉부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다. 상기 축전 셀의 내압은 대기압 이하이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고,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Claims (7)

  1.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으로서,
    당해 방법은:
    각각이 전해액을 축전 셀에 주입하기 위한 주액구(16h)를 갖는 주액 부재(16)를 포함하는 적어도 1개의 축전 셀(10)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
    가요성을 갖고 또한 상기 주액구를 밀봉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에 의해 상기 주액구가 덮이도록 상기 주액 부재(16)에 상기 밀봉 부재(20)를 장착 고정하는 고정 공정;
    상기 주액 부재(16)에 고정된 상기 밀봉 부재(20)의 형상을 측정하는 측정 공정;
    상기 측정 공정 후에 상기 축전 셀(10) 내를 감압하는 감압 공정;
    상기 감압 공정 후에 상기 축전 셀(10)을 밀봉하는 밀봉 공정;
    상기 밀봉 공정 후에 상기 밀봉 부재(20)의 형상을 다시 측정하는 재측정 공정; 및
    상기 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와 상기 재측정 공정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밀봉 부재(20)의 변위량을 산출함과 함께, 그 변위량이 기준값 이상일 때에 상기 축전 셀(10)의 내압이 적정하다고 판정하는 판정 공정을 포함하는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공정에서는, 상기 주액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밀봉 부재(20)를 상기 주액 부재(16)에 고정하고;
    상기 감압 공정에서는, 상기 간극을 통하여 상기 축전 셀 내의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상기 축전 셀(10) 내를 감압하고;
    상기 밀봉 공정에서는, 상기 간극이 폐색되도록 상기 밀봉 부재(20)를 상기 주액 부재(16)에 용착함으로써 상기 축전 셀(10) 내를 밀봉하는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전 셀(10)은, 복수의 축전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축전 셀에 있어서의 각각의 상기 주액 부재(16) 중 2 이상의 주액 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고정 공정에서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2 이상의 상기 주액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주액구(16h)가 1개의 상기 밀봉 부재(20)에 의해서 함께 덮이는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에서는, 상기 축전 셀(10)로서, 바이폴라형의 축전 셀을 준비하는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량은, 상기 밀봉 부재(20)의 중앙부가 상기 축전 셀의 내부 방향으로 변위한 양인,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공정과 상기 재측정 공정에 있어서, 측정 장치(100)에 의해서 상기 밀봉 부재(20)의 삼차원 형상이 측정되는,
    축전 모듈(1)의 제조 방법.
  7. 축전 모듈(1)로서,
    각각이 전해액을 축전 셀에 주입하기 위한 주액구(16h)를 갖는 적어도 1개의 축전 셀(10); 및
    가요성을 갖고, 또한,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전 셀의 상기 주액구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1개의 축전 셀은 각각, 상기 주액구를 갖는 주액 부재(16)를 포함하고;
    상기 주액 부재(16)는, 상기 주액구를 둘러싸고 상기 밀봉 부재를 받는 받이면(16a)을 갖고;
    상기 밀봉 부재(20)는, 상기 받이면에 접하는 주연 접촉부(21)와, 상기 주연 접촉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주연 접촉부로부터 움푹 들어가 있고;
    상기 축전 셀(10)의 내압은 대기압 이하인 축전 모듈(1).
KR1020220118779A 2021-11-30 2022-09-20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모듈 KR202300815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94447 2021-11-30
JP2021194447A JP2023080893A (ja) 2021-11-30 2021-11-30 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蓄電モジュ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595A true KR20230081595A (ko) 2023-06-07

Family

ID=8343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779A KR20230081595A (ko) 2021-11-30 2022-09-20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70595A1 (ko)
EP (1) EP4187709A1 (ko)
JP (1) JP2023080893A (ko)
KR (1) KR20230081595A (ko)
CN (1) CN116207324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4480A (ja) * 2011-10-11 2013-05-09 Toyota Motor Corp 電池の製造方法
JP5742644B2 (ja) * 2011-10-11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及び電池
KR20180120243A (ko) * 2016-03-10 2018-11-05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팩
JP2021064489A (ja) 2019-10-11 2021-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ケースの内部のガスの発生の判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7709A1 (en) 2023-05-31
JP2023080893A (ja) 2023-06-09
CN116207324A (zh) 2023-06-02
US20230170595A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388B1 (ko) 비정형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US20130230761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KR20130113301A (ko)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101034057B1 (ko) 전지 케이스 및 밀봉판을 구비하는 전지
KR20190042800A (ko) 균열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35743B2 (en)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production method
KR20190042801A (ko)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용 실링 블록,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 및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의 실링 방법
EP3279990B1 (en) Separator for fuel cell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503273B1 (en) Production method for separator integrated gasket for fuel cells
KR20240001222A (ko) 배터리 및 전자제품
CN110770956A (zh) 电化学电池单元的堆叠式棱柱形架构
KR20130115594A (ko) 이차 전지
US20210151722A1 (en) Battery pack
KR20230081595A (ko) 축전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축전 모듈
EP2309571A1 (en) Secondary battery
JP7448499B2 (ja) 蓄電装置
JP7234908B2 (ja) 圧力調整弁構造及び蓄電モジュール
CN114976200A (zh) 二次电池以及二次电池的制造方法
JP7107067B2 (ja) 蓄電モジュール
CN219419283U (zh) 电芯
JP2019200962A (ja) 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蓄電モジュール
CN217983499U (zh) 电池
CN215771294U (zh) 锂电池和具有其的移动通信设备
WO2024089970A1 (ja) 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及び蓄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EP36144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