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485A -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485A
KR20230081485A KR1020210169560A KR20210169560A KR20230081485A KR 20230081485 A KR20230081485 A KR 20230081485A KR 1020210169560 A KR1020210169560 A KR 1020210169560A KR 20210169560 A KR20210169560 A KR 20210169560A KR 20230081485 A KR20230081485 A KR 20230081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ed ginseng
active ingredient
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일
조병옥
강은서
박지현
신재영
임이택
Original Assignee
진안당 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안당 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진안당 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10169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1485A/ko
Publication of KR20230081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한방을 이용한 가금류 체질 개선 물질인,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홍삼박 추출물, 비쑥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백작약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되, 각 추출물을 5 : 2 : 1 : 2의 비율로 혼합하여 획득된,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Inflammation composition containing red ginseng gour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홍삼 한방을 이용한 가금류 체질 개선 물질인,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홍삼박 추출물, 비쑥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백작약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되, 각 추출물을 5 : 2 : 1 : 2의 비율로 혼합하여 획득된,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생체 조직이 손상을 입었을 때에 체내에서 일어나는 방어적 반응을 의미한다.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다양한 염증성 매개 물질들 중의 하나로서, 다량 생산된 상기 매개 물질들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생산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들이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 etal , Biochem Biophys Res Commun ., 282: 1075-1079., 2001; Needleman et al , J Rheumatol ., 24 Suppl 49: 6-8, 1997; Clancy et al , Arthritis Rheumatology ., 41: 1141-51, 1998).
산화질소는 필요 이상으로 생성될 경우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염증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조직 손상, 및 신경조직의 손상 등을 일으키며, 염증질환을 심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산화질소는 염증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국내 사망원인 1위인 암은, 2013년 보건복지부의 조사에 따르면 81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 발생률이 36.3%로 3명 중 1명이 암에 걸리 정도로 암의 발생률이 높다. 또한, 2000년 대비 2011년 암 발생자수는 114.2% 나 증가하는 등 매년 그 수가 증가하여 암의 심각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염증과 암의 예방을 위해 다양항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공보 제10-1768806호에는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홍삼(Panax ginseng),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음나무(Kalopanax pictus), 및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두릅나무과(Araliaceae)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이 없음과 동시에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며,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여 항염 또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기술은 본 출원인이 제안하고자 하는 항염조성물과 차이가 있다.
일부 유사한 조성물을 가지는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773450호에는 효소 처리 홍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항염에 효과있는 진세노사이드 조성을 갖도록 인삼 및 홍삼에 효소를 처리한 추추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상기 기술은, 홍삼에 펙타나아제 중 노보자임 효소를 처리하여 진세노사이드 조성을 변화시켜 항산화 및 항염효과를 증가시켰으며, 여기에 덱스판테놀, 니아신아마이드, 살리실산을 추가하여 항염효과를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68806호(2017.08.18.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1773450호(2017.08.3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한방을 이용한 가금류 체질 개선 물질인,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홍삼박 추출물, 비쑥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백작약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되, 각 추출물을 5 : 2 : 1 : 2의 비율로 혼합하여 획득된,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홍삼박 추출물, 비쑥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백작약 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추출물은, 홍삼박 추출물 5 : 비쑥 추출물 2 : 당귀 추출물 1 : 백작약 추출물 2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 각각 또는 추출물들을 혼합한 항염증용 조성물의 농도는 250 내지 1,000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의하면, 홍삼박 추출물, 비쑥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백작약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각 조성물이 함유하는 유효성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홍삼 한방을 이용한 가금류 체질 개선 물질인,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부연하면, 홍삼박 추출물, 비쑥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백작약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되, 각 추출물을 5 : 2 : 1 : 2의 비율로 혼합하여 획득된,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은, 홍삼박, 비쑥, 당귀, 백작약을 고온고압에 의한 열수 추출을 2시간 수행한 후 필터를 통해 여과하고 농축시켜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추출물로 각각 획득한다.
그리고, 각 추출물을 약 10g 내외로 혼합하여 제조하도록 한다.
이때, 10g은 추출물이 혼합된 총량을 의미하며, 각 비율은 홍삼박 추출물 5 : 비쑥 추출물 2 : 당귀 추출물 1 : 백작약 추출물 2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홍삼박은 홍상을 제조하는 남은 부산물이다.
이러한 홍삼박은 홍삼의 유용성분인 사포닌이 남아 있어서, 홍삼의 유효효능을 유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홍삼박을 이용함에 따라, 홍삼 제조 후 남은 부산물을 이용할 수 있어서, 남은 잔여물인 홍삼박을 버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비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뿌리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고 뿌리 윗부분은 자줏빛이다.
이러한 비쑥은, 전초에 0.08~1.1%, 뿌리에 0.14%의 정유가 있고, 전초에는 알칼로이드 0.4%, 수지 4.35~5.57%, 유기산인 레몬산, 사과산, 싱아산, 초산 프로피온산, 카페산, 클로로겐산, 피로갈롤 계통의 탄닌질(3.6~4.7%), 콜린, 옥시쿠마린인 디메틸에스쿨레틴, 0.92%의 스코파론이 있고, 비쑥 정유로 만든 약은 신석증에 대한 치료 효과를 가짐에 따라, 오줌내기, 진통, 진경, 억균작용이 있으며, 어줌과 같이 결석이 제거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정유성분이 산화되어 생신 페놀성 물질이 오줌과 같이 배설되면서, 항염증 작용을 수행하기도 한다.
당귀는, 대표적인 약용 식물이다. 예전에는 산에서 채취했으나 최근에는 많이 재배한다. 당귀 뿌리와 잎에서 퍼지는 은은한 한약냄새를 즐기고 건강 쌈 채소로 잎을 많이 이용한다.
이러한 당귀는, 천연 보혈제라고 불릴만큼, 여성질환 개선에 도움을 주고, 당귀 잎의 엽록소와 데커신 성분은 혈액에 부족한 산소를 공급하고 혈액순환과 혈액을 깨끗하게 하여 생리불순, 생리통, 부인병 등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당귀에 함유된 칼슘, 인, 철분 등의 미네랄 성분은 뼈와 치아를 튼튼하게 해주고, 골밀도를 강화하여 뼈 건강에 도움을 준다.
또한, 당귀에 함유된 식이섬유는 장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장내 유해물질과 숙변의 배출을 도와 변비예방과 함께 증상개선에도 도움을 준다.
아울러, 당귀의 비타민 C 성분은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하고 피부를 검게 만드는 멜라닌의 피부 침작을 예방하여 피부 미용에 도움을 준다.
또한, 당귀에는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널이 발암의 원인,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암의 발생과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각종 암 예방에 도움을 준다.
또한, 당귀의 데커신은 당뇨에 도움을 주고, 신장보호와 당뇨성 혈압상승을 차단한다. 따라서, 당뇨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좋다.
백작약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약리 실험에서 페오니플로린 성분은 진정(鎭靜) 작용 · 진통 작용 · 진경(鎭驚) 작용 · 해열 작용 · 소염 작용 · 항궤양 작용 · 혈압 강하 작용 · 관상 혈관 확장 작용을 나타내고, 페오놀 성분은 진정 작용 · 해열 작용 · 진통 작용 · 진경 작용 · 소염 작용 · 지혈 작용을 가진다.
실시예 1. 생쥐 유래 대식세포
상술된 혼합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쥐 유래의 대식세포를 획득하였다.
이 과정에서 RAW264.7 세포는 ATCC (Manassas, VA, 미국)에서 구입하였으며, 10% FBS(Gibco BRL사, Grand Island, NY, USA)와 1% penicillin & streptomycin (Sigma-Aldrich사, St. Louis, MO, USA))가 함유된 DMEM(Gibco BRL사)배지를 사용하여 습도가 충분하고 37℃가 유지되는 CO2 배양기(5% CO2와 95% 대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이러한 실시예 1의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 DPPH 라디컬 소거 활성은 Blois의 방법에 따라 각 시료의 단일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의 최종 농도가 250-1,000μg/mL이 되도록 정량하여 96 well plate에 각 시료를 100mL 주입하고, 동시에 0.3 mM DPPH 100μL 넣어 총량이 200μL가 되도록 하였다.
(나) 각 반응액은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ELISA reader(Molecular Devies, USA)로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시료 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 사이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백분율 산출 :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 {1-(시료 첨가군 흡광도/시료 무첨가군 흡광도)} × 100
이러한 실험결과는 [표 1]에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실험결과,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농도 별로 평가하였을 때, 비쑥, 백작약이 농도에 의존적으로 높았다.
실험예 2.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의하여 ABTS 7.4 mM과 potassium persulphate 2.6mM을 혼합한 다음 실온ㆍ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측정하였다.
(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Re 등의 방법에 radical을 형성한 다음 ABTS 용액을 실험직전에 732 nm에서 흡광도가 0.70±0.03 (mean ± SD)이 되도록 메탄올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나) 각 추출물의 최종농도가 250-1,000 μg/mL이 되도록 정량하여 50μL에 준비된 ABTS 용액 950 μL를 첨가하여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7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 ABTS의 소거활성은 시료 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 사이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백분율 산출 :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 {1-(시료 첨가군 흡광도/시료 무첨가군 흡광도)} × 100
실험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실험결과,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농도 별로 평가하였을 때에도, 비쑥, 백작약이 농도에 의존적으로 높았다.
실험예 3. 세포 독성 평가
RAW264.7 세포(macrophage, 단핵구/대식세포)를 96well plate에 최종농도 2*105개/mL가 되도록 분주하여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추출물 100~2000 μg/mL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후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 ((주)대일바이오텍, 경기도, 대한민국)를 사용 하여 세포독성을 측정 하였다.
실험결과,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Figure pat00005
홍삼박
Figure pat00006
비쑥
Figure pat00007
백작약
Figure pat00008
칠면초
Figure pat00009
천궁
Figure pat00010
당귀
Figure pat00011
숙지황
실험결과, RAW264.7 세포에서 홍삼박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1000ug/Ml까지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264.7 세포에서 비쑥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2000ug/Ml까지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264.7 세포에서 백작약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2000ug/Ml까지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264.7 세포에서 칠면초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2000ug/Ml까지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고, RAW264.7 세포에서 천궁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2000ug/Ml까지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264.7 세포에서 당귀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2000ug/Ml까지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RAW264.7 세포에서 숙지황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2000ug/Ml까지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NO 생성 억제 효과 측정
(가) RAW264.7 세포는 2×105로 계수하여 96well plate에 접종하고 24시간 후에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LPS (1 μg/mL)로 자극하여 16시간 배양하였다.
(나) 세포배양액을 수거하여 96well plate에 100μL 주입 후 동일한 양의 griess reagent와 10분 반응시켰다.
(다)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후, 농도별로 정량한 NaNO2를 사용하여 만든 표준곡선을 통하여 NO생성량을 계산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4]에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실험결과에 따르면, 추출물에 따른 NO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LPS로 자극받은 RAW264.7세포에서 NO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250μg/mL에서는 홍삼박은 45% 감소하였고, 비쑥은 50% 감소하였다. 또한, 500μg/mL에서는 홍삼박은 77% 감소하였고, 비쑥은 78% 감소하였다.
실험예 5. 조성물의 배합비 평가
이하에서는, 위에서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홍삼박(Red ginseng marc), 비쑥(A.scoparia), 당귀(A.gigas) 및 백작약(P.japonica)의 비율을 아래 [표 5]와 같이 하여 소정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Figure pat00014
[표 5]에 따른 배합비율 별로 소정의 평가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5
※ DPPH 복합추출물 평가
[표 6]에 따르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농도 별로 평가 하였을 때 복합 추출물 실험군 2번(M2), 3번(M3)이 농도에 의존적으로 높았다.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 ABTS 복합추출물 평가
[표 7]에 따르면,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농도 별로 평가 하였을 때 복합추출물 2번, 3번이 농도에 의존적으로 높았다.
또한, 복합추출물 배합비율에 따른 NO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LPS로 자극 받은 RAW264.7세포에서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8]과 같이 복합추출물 1번 비율이 가장 높은 50% NO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참조하였을 때, 복합추출물 2번 및 3번이 DPPH 및 ABTS 평가에서는 높았으나, 유의한 수준이었고, [표 8]에서 1번의 실험결과가 확연히 차이 났으므로, 실험군 1에 따른 복합추출물 1번이 최적의 배합비임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8
이러한 실험결과에 따른 복합추출물 1번(M1)에 대한 독성평가와 NO 생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표 9]와 같이 (A) RAW264.7 세포에서 RAPA의 독성을 평가하였으며, 400ug/Ml까지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고, (B) 추출물에 따른 NO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LPS로 자극 받은 RAW264.7세포에서 NO 생성량을 측정하였으며, NO생성 억제 효과 감소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9
독성
Figure pat00020
NO 생성 억제 효과
실험예 6. EliSA 평가
RAW264.7 세포에서 ELISA assay를 수행하였다.
(가) RAW264.7세포를 6 well plate에 2×105 cells/ml의 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각각의 추출물을 100㎍/㎖의 농도로 주입 후 1시간뒤 (1μg/mL)조사 후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 배양액을 수거 하였다.
(나) 수거한 배양액을 R&D system사 (MA, USA) 의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서 IL-6, TNF-α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10]과 같이,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IL-6 및 TNF-α에 대한 RAPA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실험예 7. Western Blot
(가) RAW264.7 세포는 2×105 로 계수하여 60 mm dish 에 접종하고 24시간 후에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1시간 뒤 LPS (1μg/mL)로 자극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나) 배양된 세포는 1 mL의 PBS를 주입하고 scraper로 수거하고 PBS를 사용하여 2회 원심 세척한 후 RAPA 버퍼(100μL)를 주입 후 12,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다) 단백질 함량은 Bradford method로 정량하였고, 세포용해액의 단백질은 10%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을 활용하여 전기영동하여 전개하였으며, PVDF membrane을 활용하여 전개 단백질을 옮기고 5% BSA와 1% Tween 20이 함유된 0.01 M Tris-HCL 완충액(TBST)으로 실온에서 60 분간 blocking하였다.
(라) 그 후 PVDF membrane은 TBST로 3회 세척한 후 TBST 에 iNOS, COX-2, JNK, p-JNK, ERK, p-ERK, NF-κB, p-NF-κB, p-IκB 및 β-actin 항체는 Santa Cruz Biotechnology사(Santa Cruz, CA, USA)로부터 구입하여 각 항체는 1:200으로 희석 또는 β-actin (1:1000) 항체 용액을 주입하였다.
(마) 그 후 4℃, 12시간 방치한 다음 0.1% TBST로 3회 세척하고 TBST에 horseradish peroxidase가 부착된 2차 항체(1:5000)를 주입하고 60분간 방치한 후 TBST와 TBS로 3회씩 세척한 후 UVItec Chemiluminescence Imaging System(Cambridge, UK)을 활용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11]에서 나타냈으며,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의한 COX-2 및 iNOS에 대한 RAPA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실험예 8. 세포 내 ROS 소거능 측정
(가) RAW264.7 세포를 2×105 cells/ml로 계수 하여 60mm dish에 접종하고 24시간 후에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1시간 뒤 H2O2 (200μM)로 자극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나) Carboxy-H2DCFDA (5μM) 를 주입 후 30분 뒤 flow cytometer에서 FITC(488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12]와 같이 복합물 추출물 비율 별로 세포내 ROS소거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과산화수소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한 RAW264.7세포에서 유세포분석을 통해 세포내 ROS를 측정한 결과, ROS수준이 음성 대조군 대비 약 17%로 증가한 양성대조군에 비해 복합추출물 1번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Figure pat00032
또한, [표 13]과 같이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의한 NF-ΚB에 대한 RAPA의 억제 효과를 면역 형광에 의해 결정되었다.
Figure pat00033
마지막으로, 유세포 분석 Flow cytometry를 수행하였다.
유세포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CD4와 CD8세포의 비율변화를 관찰한 결과, 통RP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Figure pat00034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3)

  1. 홍삼박 추출물, 비쑥 추출물, 당귀 추출물 및 백작약 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홍삼박 추출물 5 : 비쑥 추출물 2 : 당귀 추출물 1 : 백작약 추출물 2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각각 또는 추출물들을 혼합한 항염증용 조성물의 농도는 250 내지 1,000μ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210169560A 2021-11-30 2021-11-30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30081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560A KR20230081485A (ko) 2021-11-30 2021-11-30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560A KR20230081485A (ko) 2021-11-30 2021-11-30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85A true KR20230081485A (ko) 2023-06-07

Family

ID=8676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560A KR20230081485A (ko) 2021-11-30 2021-11-30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48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806B1 (ko) 2016-04-04 2017-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
KR101773450B1 (ko) 2015-03-23 2017-08-31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효소 처리 홍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450B1 (ko) 2015-03-23 2017-08-31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효소 처리 홍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조성물
KR101768806B1 (ko) 2016-04-04 2017-08-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054B1 (ko) 단삼, 백출, 저령, 백복령, 반하, 황련 및 대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부전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evi et al. Study of antioxdant, antiinflammatory and woundhealing activity of extracts of Litsea glutinosa
Hashemipour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hree plant species (Myrtus Communis L., Camellia Sinensis L., Zataria Multiflora Boiss.) on the healing process of intraoral ulcers in rats
Harun et al. The potential of Centella asiatica (Linn.) Urban as an anti-microbial and immunomodulator agent: A Review
Calabrese et al. Hormesis: Wound healing and fibroblasts
Adeyi et al. Ameliorative potentials of medicinal plants on the pathophysiological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A review
Egbuna et al. Aloe species as valuable sources of functional bioactives
KR102037927B1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Lee et al. Protective effect of Corchorus capsularis L. leaves on ethanol-induced acute gastric mucosal lesion in rats
KR20230081485A (ko) 홍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087338B1 (ko) 참당귀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성 식품
Amang et al. Gastro-protective activity of the leaves aqueous extract of Diospyros mespiliformis on gastric ulcers in Swiss mice
KR20110103517A (ko)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형 당뇨병 치료제 조성물
FERNANDEZ et al. The potential role of genus Tinospora in wound healing: A review
Luanda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Equisetum arvense L. for management of medical conditions
KR101132110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용 조성물
Galal et al. Therapeutic efficacy of herbal formulations for recurrent aphthous ulcer. correlation with salivary epidermal growth factor
KR20190119020A (ko)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00064204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Saxena et al. Antiulce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ydro alcoholic extract of the root of Cichorium intybus L. in experimentally induced ulcer in Rats
Mas' ulun et al. The effect of Dandang Gendis extract (Clinacanthus nutans) on kidney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diabetic rats model
KHODAIE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d and dry nature of herbs and their tannin content: Bridging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day science.
KR102478898B1 (ko) 오리엔탈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삼백초 추출물 및 이의 피부 외용제 용도
Angelia et al. Aloe vera Protective Effec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RAW 264.7 Inflamed Cells
KR101707107B1 (ko) 리퀴리티제닌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약학적, 화장품적으로 우수하며 다양한 기능성을 보이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