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474A - 신규 항당쇄 항체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 항당쇄 항체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474A
KR20230080474A KR1020237015254A KR20237015254A KR20230080474A KR 20230080474 A KR20230080474 A KR 20230080474A KR 1020237015254 A KR1020237015254 A KR 1020237015254A KR 20237015254 A KR20237015254 A KR 20237015254A KR 20230080474 A KR20230080474 A KR 20230080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syndrome
amino acid
antibody
acid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토 가와시마
류지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지바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지바 다이가쿠 filed Critical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우징 지바 다이가쿠
Publication of KR2023008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96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51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lectin superfamily, e.g. CD23, CD72
    • C07K16/285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lectin superfamily, e.g. CD23, CD72 against selectins, e.g. CD6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haptens, metals, DNA, RNA,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6Hybrid immunoglobul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 C12N15/81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for ye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10Cell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from primates, e.g. ma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5Fab or Fab'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yc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 항당쇄 항체 및 그 용도
본 발명은 넓게는, 당쇄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체, 특히,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및 그 용도 등에 관한 것이다.
면역 관련 질환의 대부분은 아직도 병태 메커니즘이 명확하지 않고, 그 중에서도, 자가면역 질환은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질환의 하나이다. 자가면역 질환 중,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에 관해서는, 염증세포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침윤을 담당하는 접착 분자인 VLA-4 인테그린에 대한 항체 나탈리주맙은 병태 개선 효과를 나타냈지만, JC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진행성 다소성 백질뇌증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저분자 의약인 핀골리모드(FTY720)는 다발성 경화증 치료약으로서의 유효성이 확인되었지만, 감염증이나 서맥성 부정맥 등의 부작용도 알려져 있어, 작용 기서가 상이한 신규 치료약의 개발이 요구된다. FTY720은 항원 감작을 받은 림프구를 림프절 내에 머무르게 하는 것을 작용 기서로 하지만, 림프구가 림프절 내로 이행하는 과정(림프구 호밍)을 억제할 수 있다면, 림프절 내에서의 항원 감작을 억제하여, 다발성 경화증을 비롯한 여러가지 면역 관련 질환의 근본 치료로 이어질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림프절에 대한 림프구 호밍의 저해에 의해, 자가면역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가 가능한지 명확하지는 않다.
면역계에서는 수많은 면역세포가 혈액·림프액을 통해 생체 내를 순환하고, 외래 항원에 대한 감시를 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말초혈을 순환하는 림프구가 2차 림프 조직으로 유주(遊走)하는 현상은 림프구 호밍이라고 불리며, 다단계의 접착 분자 캐스케이드에 의해 엄밀하게 제어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접착 분자 캐스케이드를 이해하는 것은, 림프구의 체내 동태와 조직 지향성을 이해하기 위해 중요하다.
림프구 호밍은 효율적으로 면역 응답을 유도하기 위해 갖춰진 생체 방어 기구이며, 림프구가 말초 림프절, 장간막 림프절, 파이엘판 등의 2차 림프 조직으로 이행할 때에는, 주사위형의 특수한 형태의 내피세포로 이루어진 고내피 세정맥(high endothelial venule : HEV)에 접착한 후에 조직 내로 침윤한다.
림프구 호밍을 저해하는 것에 의해, 이 림프구와 HEV의 특이적인 접착을 억제할 수 있다면, 예컨대 생체의 알레르기 응답을 제어할 수 있어, 여러가지 질환의 치료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자가면역 질환이나 알레르기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의 발증에는 여러가지 요인이 관여하기 때문에, 림프구 호밍을 저해하는 것에 의해, 이들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가 가능한지 어떤지는 분명하지 않다.
접착 분자 캐스케이드에 있어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는, 림프구의 침윤을 매개하는 고내피 세정맥에 대한 초기 접착을 담당하기 때문에, 림프구 호밍에 필수적인 당쇄 구조이다. 본 발명자들은, 당쇄에 황산기를 전이하는 황산기 전이효소의 유전자 결손 마우스를 제작하여, HEV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황산화 당쇄인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가 림프구의 2차 림프 조직으로의 호밍 및 접촉성 피부염의 발증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 : Kawashima et al., Nat. Immunol., 11:1096-1104, 2005).
HEV를 인식하는 항체도 알려져 있지만, 생체 내에 발현하는 당쇄는 미량이며 다양한 결합 양식을 갖기 때문에, 항체에 의해 인식하는 당쇄 구조는 상이하다. 예컨대, 말초 림프절의 HEV를 특이적으로 염색하는 MECA-79(비특허문헌 2 : Streeter et al., J.Cell Biol., 107:1853-1862, 1988)는, 신장형 코어 1 구조라고 불리는 특수한 O-형 당쇄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만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를 인식한다. 또한, 그 인식에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중의 황산기가 필요하지만,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를 구성하는 당쇄 중, 림프구 호밍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푸코오스나 시알산은 필요하지 않다. 또한, S1 항체 및 S2 항체(비특허문헌 3 : Hirakawa et al., J.Biol.Chem., 285:40864-40878, 2010)도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를 인식하지만, 그 인식에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중의 황산기 및 시알산이 필요하고, 푸코오스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들 항체는, HEV만이 아니라 푸코오스가 결여된 6-술포 시알릴 LacNAc 당쇄를 발현하는 조직과도 결합하여, 생체에 림프구 호밍의 저해 이외의 생각하지 못한 부작용을 미칠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다. 또한, 항시알릴 루이스 X 모노클로날 항체인 F1 항체 및 F2 항체(비특허문헌 4 : Matsumura et al., J.Biol.Chem., 290:15313-15326, 2015)도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를 인식하지만, 그 인식에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중의 황산기의 필요없이, 황산화되지 않은 시알릴 루이스 X를 인식한다. 따라서 이들 항체는, HEV에 결합하여 림프구 호밍을 저해하는 것에 더해, 시알릴 루이스 X를 발현하는 백혈구와도 결합하고, P-셀렉틴이나 E-셀렉틴 의존적인 백혈구의 롤링도 저해한다.
S1 항체, S2 항체는 모두 IgM 클래스의 항체이기 때문에, 고순도로 대량 조제하는 것은 어렵다는 점에서, 다회 투여가 필요한 자가면역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어렵고, 자가면역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는 불명확하다.
또한, S1 항체, S2 항체 이외에도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에 결합성을 갖는 항체는 알려져 있지만(비특허문헌 2, 4, 5, 6), 이들 항체의 자가면역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도 불명확하다.
비특허문헌 1 : Kawashima et al., Nat. Immunol., 11:1096-1104, 2005 비특허문헌 2 : Streeter et al., J.Cell Biol., 107:1853-1862, 1988 비특허문헌 3 : Hirakawa et al., J.Biol.Chem., 285:40864-40878, 2010 비특허문헌 4 : Matsumura et al., J.Biol.Chem., 290:15313-15326, 2015 비특허문헌 5 : Mitsuoka et al., J.Biol.Chem., 273:11225-11233, 1998 비특허문헌 6 : 마츠우라 히로아키 등, 일본약학회 제135년회 요지집(CD-ROM), 페이지 : ROMBUNNO. 27X-PM05S, 2015
본 발명은, 다발성 경화증 등의 면역 관련 질환의 유효한 치료 표적이 되는 당쇄를 발견함과 더불어, 그 당쇄를 표적으로 하는 신규 항체, 특히,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및 그 용도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당쇄 합성효소 결손 마우스에게 당쇄 합성효소를 과잉 발현시킨 세포를 면역한다고 하는 본 발명자들이 고안한 수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항체를 제작했다. 그 중에서, 면역 조직 화학적 검토에 의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하는 HEV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1 클래스의 항당쇄 모노클로날 항체(SF1 항체)를 선별하여, 그 결합 특이성과 서열 해석을 행했다. 그 결과, 얻어진 항당쇄 항체는 서열이 신규이며,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를 인식하고, 그 인식에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의 3개를 동시에 요구하여, 엄격하게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를 다른 당쇄 구조로부터 식별하는 것이 밝혀졌다. 바이오 레이어 간섭법에 의한 해석의 결과, SF1 항체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결합의 KD값은 6.09×10-9(M)인 것이 나타났다.
본 발명자는, SF1 항체가 림프구 호밍 리셉터인 L-셀렉틴과 HEV의 결합을 저해함과 더불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발현세포 상에서의 림프구의 L-셀렉틴 의존적인 롤링을 저해하는 활성을 가져, 림프구 호밍을 저해하는 데 유효한 것을 밝혔다.
다음으로 본 발명자는, 림프구 호밍에 관여하는 당쇄가 다발성 경화증 등의 면역 관련 질환의 유효한 치료 표적이 될 수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여, 림프구 호밍에 관여하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의 합성 부전에 의해 림프구 호밍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황산기 전이효소 GlcNAc6ST-1/2 이중 결손 마우스를 이용하여, 실험적 자가면역성 뇌척수염의 해석을 행했다. 그 결과, GlcNAc6ST-1/2에 의해 합성되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가, 다발성 경화증 등의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 표적이 되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동물 모델을 이용한 비임상 시험에 의해, SF1 항체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다면적으로 검토했다. 그 결과, 실험적 자가면역성 뇌척수염의 현저한 예방 효과 및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모델 및 알레르기성 비염 모델에 있어서도 질환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밝혔다. 이상으로부터, SF1 항체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림프절에 대한 림프구 호밍을 특이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자가면역 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현저한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밝혔다.
본 발명자는, SF1 항체를 이용하여 인간 정상 조직의 면역 조직 염색을 행하여, SF1 항체가 인간의 말초 림프절 및 편도 HEV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밝혔다.
SF1 항체는 마우스 항체이기 때문에, 인간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항체의 인간화가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또한 SF1 항체의 초가변부의 서열을 인간 항체 가변부의 프레임 서열에 이식한 인간화한 단일쇄 SF1 항체를 제작한 결과, HEV와의 특이적인 결합성을 유지하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그 가변부 서열을 인간 IgG1 중쇄 및 인간 κ 경쇄로 치환한 완전형의 인간화 SF1 항체를 제작한 결과, HEV와 황산기, 푸코오스 의존적으로 특이적인 결합성을 나타내고,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대한 특이적인 결합 특이성을 유지하는 것을 밝혔다.
다음으로 본 발명자는, 인간화 SF1 항체가, 마우스 SF1 항체와 마찬가지로, 림프구 호밍의 저해와 실험적 자가면역성 뇌척수염의 발증 억제에 유효한 것을 밝혔다.
또한 본 발명자는, Fc 부분의 서열을, 항체의 Fc 부분을 통한 이펙터 활성을 저하시켜, 부작용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는 서열로 개변한 인간화 SF1 항체를 제작하여, 특이적인 조직 결합성을 유지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Fc 부분의 서열을 개변한 인간화 SF1 항체는, 자가면역 질환이나 알레르기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 항체로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즉, 본원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이며,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DR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2]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 및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
를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1]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3]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9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2]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4]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 또는 [3]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5] 중쇄가, 서열번호 25, 27 또는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5, 27 또는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25, 27 또는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6] 이하의: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
를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7] 경쇄 가변 영역이,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8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6]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8] 경쇄 가변 영역이,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6] 또는 [7]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9] 경쇄가,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6]∼[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0]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
로 이루어진 CDR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 및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 및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1]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하는 고내피 세정맥과 L-셀렉틴의 결합을 저해하는, [1]∼[1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2] 정상 영역이 인간 유래인, [1]∼[11]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3] 인간화되어 있는, [1]∼[1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4] Fab, F(ab')2, Fab', Fv 및 단일쇄 항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1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5] 단일쇄 항체가, 서열번호 21∼2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1∼117번째 및 133∼23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1∼2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1∼117번째 및 133∼23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21∼2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1∼117번째 및 133∼23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14]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6] 항체 또는 그 단편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대하여 1×10-6 M 이하의 해리상수(KD값)를 나타내는, [1]∼[1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7]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8] [1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19] [18]에 기재된 발현 벡터에 의해 트랜스펙트된, 숙주세포.
[20] 진핵세포인, [19]에 기재된 숙주세포.
[21]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22]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18]에 기재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림프구 호밍 저해제.
[23]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17]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18]에 기재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24]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23]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25]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24]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26]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25]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27]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26]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28]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가면역 질환인, [26]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29]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28]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30]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28] 또는 [29]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31]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더 포함하는, [24]∼[3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32]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19] 또는 [20]에 기재된 숙주세포, 또는 [21]에 기재된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33]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상기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34]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33]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35]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34]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36]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35]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37]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자가면역 질환인, [35]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38]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37]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39]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38]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40] 항체 또는 그 단편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하는 고내피 세정맥과 L-셀렉틴의 결합을 저해하는, [33]∼[3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41] 항체 또는 그 단편이,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인, [33]∼[4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
[42] 대상에서의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상기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유효량 상기 대상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43]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42]에 기재된 방법.
[44]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43]에 기재된 방법.
[45]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44]에 기재된 방법.
[46]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자가면역 질환인, [44]에 기재된 방법.
[47]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46]에 기재된 방법.
[48]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46] 또는 [47]에 기재된 방법.
[49] 항체 또는 그 단편이,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인, [42]∼[4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0]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투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42]∼[4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51]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1]∼[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52]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51]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53]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52]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54]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53]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55]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가면역 질환인, [53]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56]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55]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57]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55] 또는 [56]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58]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1]∼[16]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용도.
[59]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58]에 기재된 용도.
[60]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59]에 기재된 용도.
[61]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59]에 기재된 용도.
[62]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가면역 질환인, [59]에 기재된 용도.
[63]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62]에 기재된 용도.
[64]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62] 또는 [63]에 기재된 용도.
본 발명의 항당쇄 항체에 의하면, 림프구 상에 발현하는 L-셀렉틴과 고내피 세정맥(HEV) 상의 당쇄의 결합을 저해하여, 림프구 호밍의 저해에 의한 면역 관련 질환(예컨대, 다발성 경화증 등의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가 가능해진다.
도 1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의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형광 면역 염색에 의한 SF1 항체 및 MECA-79 항체의 마우스 림프절 고내피 세정맥(HEV)에 대한 반응성을 해석한 면역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형광 면역 염색에 의한 SF1 항체, F2 항체 및 S2 항체의 마우스 림프절 고내피 세정맥(HEV)에 대한 반응성을 해석한 면역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시알리다아제 처리가 SF1 항체의 마우스 림프절 HEV에 대한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한 면역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Glycan Array에 의해, SF1 항체의 각종 당쇄에 대한 반응성을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SF1 항체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결합의 해리상수를 바이오 레이어 간섭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SF1 항체의 중쇄 및 경쇄 가변부의 초가변부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8은, SF1 항체의 중쇄 가변부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9는, SF1 항체의 경쇄 가변부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10은, L-셀렉틴-Fc의 마우스 림프절 HEV에 대한 결합에 미치는 SF1 항체의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L-셀렉틴 의존적 림프구 롤링에 미치는 SF1 항체의 저해 효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SF1 항체에 의한 림프구 호밍의 저해 효과를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GlcNAc6ST-1/2 이중 결손 마우스와 야생형 마우스의 EAE 크리니컬 스코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항원 감작시의 SF1 항체 투여가 EAE 크리니컬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EAE 발증 후의 SF1 항체 투여(초회 항원 감작 후 8일째부터 SF1 항체 투여)가 EAE 크리니컬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EAE 발증 후의 SF1 항체 투여(초회 항원 감작 후 21일째부터 SF1 항체 투여)가 EAE 크리니컬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SF1 항체 투여가 콜라겐 유도 관절염(CIA) 발증율(좌측) 및 크리니컬 스코어(우측)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마우스 알레르기성 비염 모델에서의 SF1 항체에 의한 재채기(좌측 도면) 및 코긁기 행동(우측 도면)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SF1 항체에 의한 정상 인간 조직의 면역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9의 면역 염색 사진 중, 림프절 및 편도의 결과를 확대한 것이다.
도 21은,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가변부 및 경쇄 가변부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22는, 인간화 SF1 단일쇄 항체(scFv)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23은, 인간화 SF1 단일쇄 항체(scFv)에 의한 마우스 림프절의 형광 면역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도 24는,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25는, 인간화 SF1 항체의 경쇄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26은, 도 24, 도 25에 도시되는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및 경쇄로 구성되는 인간화 SF1 항체에 의한 마우스 림프절의 형광 면역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도 27은, 인간화 SF1 항체(HSF1 항체)에 의한 림프구 호밍의 저해 효과를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8은, 항원 감작시의 인간화 SF1 항체(HSF1 항체) 투여가 EAE 크리니컬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9는,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IgG1-LALA체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30은,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IgG4-SPLE체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도 31은, 도 29, 도 30에 도시되는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개변체 및 도 25에 도시되는 경쇄로 구성되는, 인간화 SF1 항체-IgG1-LALA체(HSF1-LALA) 및 인간화 SF1 항체-IgG4-SPLE체(HSF1-G4PE)에 의한 마우스 림프절의 형광 면역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항당쇄 항체)
제1 양태에 있어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후, 이 항체를 단순히 항당쇄 항체라고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와의 결합 또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인식에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한다는 것은, 항체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와의 결합에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의 3개를 필요로 하고,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로부터 푸코오스, 황산기 또는 시알산의 어느 하나라도 결손한 당쇄에 대한 결합 활성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에 대한 결합 활성과 비교하여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와 항체의 반응성은 통상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고, 예컨대, 당쇄가 기판 상에 고정된 당쇄 어레이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당쇄 어레이는, 예컨대 미국 Consortium for Functional Glycomics의 Glycan Array를 이용하여 실시 가능하다.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와 항체의 반응성은, 표면 플라즈몬 공명이나 등온 적정형 칼로리메트리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도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원 항체 반응에서의, 본 발명의 항체 또는 그 단편의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대한 결합 친화성에 관한 해리상수(KD값)는, 통상 1×10-6 M 이하(예컨대, 1×10-7 M 이하, 1×10-8 M 이하, 1×10-9 M 이하, 1×10-10 M 이하, 1×10-11 M 이하)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로부터, 푸코오스, 황산기 또는 시알산의 적어도 하나를 결손하여 얻어지는 당쇄(예, 6-술포 루이스 X, 6-술포 시알릴 LacNAc, 시알릴 루이스 X)에 대한 본 발명의 항체 또는 그 단편의 결합 친화성에 관한 KD값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대한 KD값과 비교하여, 통상 10배 이상(예컨대, 102배 이상, 103배 이상, 104배 이상, 105배 이상) 큰 값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6-술포 루이스 X, 6-술포 시알릴 LacNAc, 및 시알릴 루이스 X에 대한 본 발명의 항체 또는 그 단편의 결합 친화성에 관한 KD값은, 모두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대한 KD값과 비교하여, 통상 10배 이상(예컨대, 102배 이상, 103배 이상, 104배 이상, 105배 이상) 큰 값이다.
항체 또는 그 단편의 당쇄 항원에 대한 결합 친화성에 관한 KD값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준하여, 스트렙토아비딘 바이오센서에 결합한 비오틴화한 당쇄에 대한 항체 또는 그 단편의 결합 특성을, Octet RED96(Pall-Fortebio사 제조)을 이용한 바이오 레이어 간섭법으로 해석하는 것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는, 갈락토오스, N-아세틸글루코사민(GlcNAc)으로 구성되는 N-아세틸락토사민(LacNAc) 구조에 시알산, 푸코오스 및 황산기가 부가한 당쇄이다(도 1).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생합성에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의 6위의 황산화가 필요하고, 황산화를 촉매하는 황산기 전이효소(ST)로서 마우스에서는 N-아세틸글루코사민-6-O-술포트랜스퍼라아제(GlcNAc6ST)-1∼GlcNAc6ST-4가 클로닝되어 있다.
림프구 호밍에 있어서, 림프구는, 림프구 상에 발현하는 L-셀렉틴과 고내피 세정맥(HEV) 내강에 발현하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특이적 결합을 통한 HEV 상에서의 롤링(림프구 롤링)을 경유하여 림프절 내에 침윤한다. 이와 같이, 황산화 당쇄인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는 림프구의 침윤을 매개하는 HEV에 대한 초기 접착을 담당하기 때문에 림프구 호밍에 필수적인 당쇄 구조이다.
L-셀렉틴과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의 결합에는, 푸코오스, 황산기, 시알산이 관여한다. 푸코오스, 황산기, 시알산은 림프구의 호밍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의 3개를 동시에 인식하는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은 림프구 호밍, 특히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하는 세포, 예컨대 말초 림프절이나 장관막 림프절 등의 림프절, 또는 편도의 고내피 세정맥으로부터의 림프구 호밍을 고효율로 저해하고, 나아가서는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은, 호밍의 과정 중, L-셀렉틴 의존적인 림프구의 롤링을 저해한다.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는, 예컨대, HEV에 발현하는 시알릴 루이스 X의 황산화를 담당하는 황산기 전이효소, GlcNAc6ST-1 및 GlcNAc6ST-2를 결손한 마우스(이하, 황산기 전이효소 이중 결손 마우스 또는 DKO 마우스라고도 한다.)를, 푸코오스 전이효소 및 황산기 전이효소의 유전자 도입에 의해 황산화 당쇄를 발현시킨 세포로 면역하고, 항체 생산 세포를 미엘로마와 융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하이브리도마를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다. 황산기 전이효소 이중 결손 마우스는 당업자에 공지의 수법, 예컨대 Kawashima et al.,(상기 게재)에 기재된 수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생산한 항체는 회수 전에 정제 공정 등의 추가 공정을 더 행해도 좋고, 예컨대 순도를 높이기 위해, 염석, 필터 여과, 원심 분리를 이용한 청징화, 어피니티에 의한 회수, 이온 교환에 의한 중간 정제, 겔 여과에 의한 최종 정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항당쇄 항체의 예로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를 인식하는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갖는 항체, 예컨대,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GFSLTSYA)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IWGGGST)로 이루어진 CDRH2;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AKHEKLGRFPY)로 이루어진 CDRH3;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SSVSY)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EIS)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QQWNYPLAT)로 이루어진 CDRL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DR, 바람직하게는 6개 전부의 CDR을 포함하는 항체가 예시된다. 항체는 통상 2개의 중쇄와 2개의 경쇄가 디술피드 결합에 의해 공유 결합한 구조를 가지며, 각 중쇄는 중쇄 가변 영역과 중쇄정상 영역으로, 그리고 각 경쇄는 경쇄 가변 영역과 경쇄 정상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CDR은 각 가변 영역에 3개씩 포함된다. 여기서, CDRH1, CDRH2, CDRH3은 중쇄의 상보성 결정 영역을 중쇄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 말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표기한 것이며, CDRL1, CDRL2, CDRL3은 경쇄의 상보성 결정 영역을 경쇄 아미노산 서열의 아미노 말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표기한 것이다.
따라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은, 바람직하게는,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GFSLTSYA)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IWGGGST)로 이루어진 CDRH2, 및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AKHEKLGRFPY)로 이루어진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그리고/혹은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SSVSY)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EIS)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QQWNYPLAT)로 이루어진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은,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여러개」란, 서열의 길이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2∼10개, 바람직하게는 2∼5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개를 가리킨다.
치환 후의 아미노산은, 이하의 분류와 같은 원래의 아미노산 측쇄의 성질이 보존되어 있는 아미노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아미노산 치환은 보존적 치환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수성 아미노산(A, I, L, M, F, P, W, Y, V);
친수성 아미노산(R, D, N, C, E, Q, G, H, K, S, T);
지방족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G, A, V, L, I, P);
수산기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S, T, Y);
황원자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C, M);
카르복실산 및 아미드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D, N, E, Q);
염기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R, K, H);
방향족 함유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H, F, Y, W)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아미노산 치환은, 천연의 인간 항체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아미노산이어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아미노산 치환은, 상보성 결정 영역(CDR)의 외측에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아미노산 치환은, 중쇄 가변 영역 또는 경쇄 가변 영역에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한, 각 서열번호에 나타난 서열과 80% 이상의 상동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서열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은, 바람직하게는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는,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이 결합하는 에피토프와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에피토프」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이 결합하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의 부분 구조를 의미한다. 에피토프가 입체 구조 에피토프인 경우, X선 결정 구조 해석 등에 의해 항체에 결합하고 있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의 구조를 해석하는 것에 의해 에피토프를 특정할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는,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 및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
를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이어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에서의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9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을 포함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9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이란,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또는 117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연속된 아미노산은, 순서대로, 26∼33번째의 아미노산, 51∼57번째의 아미노산, 96∼106번째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H1, CDRH2 및 CDRH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에서의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해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에서의 중쇄는, 서열번호 25, 27 또는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5, 27 또는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2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해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는, 이하의: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
를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이어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는,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
를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 및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 및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이어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에서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8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을 포함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8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이란,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또는 106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연속된 아미노산은 순서대로, 27∼31번째의 아미노산, 49∼51번째의 아미노산, 88∼96번째의 아미노산으로 표시되는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에서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해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에서의 경쇄는,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해도 좋다.
항당쇄 항체는 상기 CDR을 갖는 한, 그 밖의 구조, 예컨대 CDR 이외의 가변 영역이나 정상 영역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CDRH1, CDRH2 및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과,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각각 코드하는 아미노산 서열의 예로서, 각각, 서열번호 13, 15, 16, 17의 아미노산 서열 및 서열번호 14, 18, 19, 20의 아미노산 서열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은, 서열번호 13, 15, 16 또는 17의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과, 서열번호 14, 18, 19 또는 20의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해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간화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은, 서열번호 15, 16 또는 17의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과, 서열번호 18, 19 또는 20의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해도 좋다.
(조합의 예 : 서열번호 15와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15와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15와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16과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16과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16과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17과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17과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17과 서열번호 20)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은, 이하에 나타내는 중쇄 가변 영역과 경쇄 가변 영역의 조합의 어느 것을 포함해도 좋다: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과 서열번호 14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서열번호 4)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SF1);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1)과 서열번호 1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1);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1)과 서열번호 1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2);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2)과 서열번호 1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1);
·서열번호 1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3)과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3).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항체」는, 천연의 것이거나, 혹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합성에 의해 제조된 인공의 면역글로불린 또는 그 단편을 의미한다. 항체는 IgG, IgM, IgA, IgE, IgD의 어느 아이소타입이어도 좋다. 인간의 면역글로불린으로서, IgG1, IgG2, IgG3, IgG4, IgA1, IgA2, IgD, IgE, IgM의 9종류의 클래스(아이소타입)가 알려져 있다.
항체의 유래는 막론하고, 임의의 포유류, 예컨대 인간이나, 마우스, 래트, 몰모트, 햄스터, 토끼, 염소, 양, 낙타 등의 비인간동물이어도 좋다. 인간 항체뿐만 아니라, 인간화 항체, 키메라 항체 등의 재조합 항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인간화 항체」란, 인간 항체의 CDR을, 비인간동물 항체 유래의 CDR로 치환한 것이다. CDR 이외에 일부의 프레임워크의 아미노산 잔기를 인간 항체에 이식해도 좋다. 비인간동물 항체 유래의 CDR을 인간에게 사용하는 경우, 인간 항체의 정상 영역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체는 폴리클로날 항체이어도 좋고, 모노클로날 항체이어도 좋지만, 모노클로날 항체, 특히 포유동물 유래의 모노클로날 항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당쇄 항체에는, 원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인 수식이 되어 있어도 좋다. 화학적인 수식체에는, 아미노산 골격에 대한 화학 부분의 결합, N-결합 또는 O-결합 탄수화물쇄의 화학 수식체 등이 포함된다. 생물학적인 수식체에는, 번역 후 수식(예컨대, N-결합 또는 O-결합에 대한 당쇄 부가, N 말단 또는 C 말단의 프로세싱, 탈아미드화, 아스파라긴산의 이성화, 메티오닌의 산화)된 것, 원핵생물 숙주세포를 이용하여 발현시키는 것에 의해 N 말단에 메티오닌 잔기가 부가된 것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수식체는 또한, 그 중쇄 카르복실 말단에 있어서 1 또는 2개의 아미노산이 결실된 결실체, 및 아미드화된 상기 결실체(예컨대, 카르복실 말단 부위의 프롤린 잔기가 아미드화된 중쇄) 등이어도 좋다.
Eu 번호(Kabat의 Eu 넘버링)에서, IgG1의 Leu234-Leu235의 아미노산은, 항체와 Fc 수용체 및 보체와의 결합에 의한 이펙터 활성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부위인 것이 알려져 있다. IgG1의 이 영역에 포함되는 Leu를 Ala로 치환(얻어지는 변이체를 「IgG1-LALA체」라고 함)함으로써 항체의 Fc 부분을 통한 이펙터 활성을 저하시켜, 부작용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고(미국특허공보 US5885573), 필요에 따라서 항체의 Fc 부분에 이러한 개변을 해도 좋다. 이러한 변이에 더해, Pro329를 Gly로 치환(얻어지는 변이체를 「IgG1-P329G LALA체」라고 함)함으로써 항체의 Fc 부분을 통한 이펙터 활성을 저하시켜, 부작용 리스크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고(미국특허공보 US8969526, Protein Eng. Des Sel., 29:457-466, 2016), 필요에 따라서 항체의 Fc 부분에 이러한 개변을 해도 좋다. IgG1-LALA체의 중쇄의 예로서, 서열번호 27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를 들 수 있다.
Eu 번호에서, IgG4의 Ser228을 Pro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IgG4가 half antibody가 되는 것을 저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IgG4의 Leu235를 Glu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항체와 Fc 수용체의 결합에 의한 이펙터 활성 발현을 저감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IgG4의 이 영역에 포함되는 Ser228을 Pro로, Leu235를 Glu로 치환(얻어지는 변이체를 「IgG4-SPLE체」라고 함)함으로써 항체의 Fc 부분을 통한 이펙터 활성을 저하시켜, 부작용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고(Newman et al., Clin. Immunol., 98:164-174, 2001), 필요에 따라서 항체의 Fc 부분에 이러한 개변을 해도 좋다. IgG4-SPLE체의 중쇄의 예로서, 서열번호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를 들 수 있다.
별도의 양태에서는, 항체의 Fc 부분을 통한 이펙터 활성 발현을 저감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는 그 밖의 아미노산 치환 또는 결실(예컨대, Eu 번호에서, Asp265의 Ala로의 치환, Glu294의 결실, Asn297의 Ala로의 치환, Lys322의 Ala로의 치환, Ala330의 Leu로의 치환, Pro331의 Ser로의 치환)을, 항체의 Fc 부분에 행해도 좋다.
항당쇄 항체를 구성하는 2개의 중쇄는, 완전 길이 및 상기 결실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중쇄의 어느 1종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어도 좋고, 어느 2종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어도 좋다. 각 결실체의 양비는 항당쇄 항체를 생산하는 포유류 배양세포의 종류 및 배양 조건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항당쇄 항체의 주성분으로는 2개의 중쇄의 쌍방에서 카르복실 말단의 하나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된 경우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항체의 「단편」이란, 단편화되기 전의 항체가 발휘하는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발휘하는 기능적인 단편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Fab, F(ab')2, scFv, Fab', 단일쇄 항체(scFv) 등을 들 수 있다. 단편은 이들 분자에 한정되지 않고,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고 있다면 어떠한 단편이어도 좋다. 예컨대, 항당쇄 항체는, 단일 도메인 항체나 나노바디와 같이, 단일한 중쇄 가변 영역을 가지며, 경쇄 서열을 갖지 않는 항체이어도 좋다.
상정되는 항당쇄 항체의 기능의 예로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의 인식, 림프구 호밍 저해 등을 들 수 있다. 항체 또는 그 단편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 이외의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항원에 대하여 특이성을 갖는 다특이성 항체이어도 좋다. 복수의 특이성의 부여에 더해, 원하는 용도에 따라서 항암제 등에 의한 수식, 결합 친화성의 향상을 목표로 한 다가화를 항당쇄 항체에 대하여 행할 수도 있다.
항당쇄 항체는 목적에 따라서 Gly-Gly-Gly-Gly-Ser(서열번호 29)의 3회 반복 서열 등의 링커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예컨대 단일쇄 항체 등과 같이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구성하는 복수의 가변 영역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사이에 링커를 개재할 수 있다. 예컨대, 중쇄 가변부와 경쇄 가변부를 링커를 통해 연결하는 것에 의해 단일쇄 항체를 얻는다. 링커의 서열은 당업자가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상기 CDRH1, CDRH2 및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과,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코드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일쇄 항체의 예로서, 서열번호 21, 22, 23 또는 2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1∼117번째 및 133∼23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단일쇄 항체는, 예컨대, 서열번호 21, 22, 23 또는 2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항당쇄 항체의 단편은, 항체 단백질의 전장 분자를 파파인, 펩신 등의 효소로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혹은, 원하는 단편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적당한 숙주세포에 있어서 발현함으로써 생산해도 좋다. 숙주세포를 형질전환할 때에는, 중쇄 서열 유전자와 경쇄 서열 유전자는, 동일한 발현 벡터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별개의 발현 벡터에 삽입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숙주세포는 원핵세포 또는 진핵세포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원핵세포의 예로는, 대장균이나 고초균 등의 세균세포를 들 수 있다. 진핵세포를 숙주로서 사용하는 경우, 동물세포, 식물세포, 진핵미생물을 이용할 수 있다. 동물세포, 식물세포 혹은 진균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 동물세포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세포를 예시할 수 있다.
(1) 포유류세포 : CHO, COS, 미엘로마, BHK(baby hamster kidney), Hela, Vero, HEK293, Ba/F3, HL-60, Jurkat, SK-HEP1 등.
(2) 양서류세포 : 아프리카 발톱개구리 난모세포 등.
(3) 곤충세포 : sf9, sf21, Tn5 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는, 이하에 나타내는 중쇄와 경쇄의 조합의 어느 것을 포함해도 좋다 :
·서열번호 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서열번호 2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및
·서열번호 2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와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폴리뉴클레오티드)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아미노산 서열을 코드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및/또는 그 상보쇄를 포함하는 단일쇄 또는 이중쇄의 폴리뉴클레오티드(DNA(cDNA 등), RNA(mRNA, cRNA 등))이어도 좋다.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중쇄 가변 영역(또는 중쇄)과 경쇄 가변 영역(또는 경쇄)은, 동일한 폴리뉴클레오티드 상에 코드되어 있어도 좋고, 별개의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코드되어, 그 조합으로서 제공되어도 좋다. 중쇄 가변 영역(또는 중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경쇄 가변 영역(또는 경쇄)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조합도,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 포함된다.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예로서,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를 코드하는 염기서열;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를 코드하는 염기서열;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DR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바람직하게는 6개 전부의 CDR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을 갖는 것이 예시된다.
(a)∼(f)의 염기서열의 예는, 순서대로 서열번호 7∼12로 표시된다.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유전자를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7∼12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염기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염기서열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서열번호 7∼12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염기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염기서열이란, 서열번호 7∼12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염기서열과 80% 이상의 상동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동일성, 예컨대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이상,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서열번호 7∼12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상보적인 서열로 이루어진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엄격한 조건 하에 하이브리다이즈할 수 있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이며, 그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드되는 단백질이, 원하는 기능을 갖는 것, 예컨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엄격한 조건이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되는 하이브리다이제이션의 조건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핵산의 염기 길이, 세정 온도, 및 염 농도에 의존하는 경험적인 실험 조건이다. 일반적으로, 염기가 길어지면 적절한 어닐링을 위한 온도가 높아지고, 염기가 짧아지면 온도는 낮아진다. 하이브리드 형성은, 일반적으로, 상보쇄가 그 융점보다 약간 낮은 환경에서의 재어닐 능력에 의존한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를 코드하는 염기서열; 및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을 갖거나,
각 CDR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염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을 갖거나, 혹은
각 CDR을 코드하는 염기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을 가져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이하의: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를 코드하는 염기서열;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을 갖거나,
각 CDR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염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CDRL1, CDRL2 및 CDRL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을 갖거나, 혹은
각 CDR을 코드하는 염기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CDRL1, CDRL2 및 CDRL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을 가져도 좋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유전자를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를 코드하는 염기서열;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를 코드하는 염기서열;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
을 포함하거나,
각 CDR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염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 및 CDRL1, CDRL2 및 CDRL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을 갖거나, 혹은
각 CDR을 코드하는 염기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 및 CDRL1, CDRL2 및 CDRL3을 코드하는 염기서열을 가져도 좋다.
(벡터 및 숙주세포)
제3 양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및 상기 발현 벡터로 트랜스펙트된 숙주세포가 제공된다. 상기 발현 벡터로 트랜스펙트된 숙주세포는,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생산할 수 있다.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중쇄 가변 영역(또는 중쇄)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경쇄 가변 영역(또는 경쇄)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동일한 발현 벡터 중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별개의 발현 벡터 중에 삽입되어, 그 조합으로서 제공되어도 좋다. 중쇄 가변 영역(또는 중쇄)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중쇄 가변 영역(또는 중쇄)의 발현 벡터)와, 경쇄 가변 영역(또는 경쇄)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경쇄 가변 영역(또는 경쇄)의 발현 벡터)의 조합도,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에 포함된다.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및 상기 발현 벡터로 트랜스펙트된 숙주세포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단일쇄의 항당쇄 항체를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등을, 그 발현에 적합한 벡터에 삽입하고, 이것을 숙주에게 도입함으로써,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이 발현한다. 발현 벡터는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숙주세포에서의 발현에 적합한 프로모터나 터미네이터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현 벡터는 인헨서 등의 그 밖의 적당한 제어 서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벡터는 숙주세포의 종류,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발현 효율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주지의 발현 벡터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그 종류는 플라스미드 벡터이어도 좋고, 레트로바이러스나 아데노바이러스에서 유래하는 바이러스 벡터이어도 좋다.
숙주세포로는, 발현 벡터로부터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발현할 수 있는 세포라면 제한되지 않고, 대장균과 같은 원핵세포나, CHO, COS, NIH3T3, HEK293, HEK293T, COS-7 등의 포유동물 유래의 세포, F9 등의 곤충 유래의 세포, 효모세포 등의 진핵세포이어도 좋다. 포유동물로는, 인간, 침팬지 등의 영장류, 마우스, 래트, 햄스터 등의 설치류를 들 수 있다.
발현 벡터의 숙주세포에 대한 트랜스펙션은, 예컨대, 일렉트로포레이션법, 인산칼슘법, 리포펙션법, DEAE 덱스트란법 등의 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이나 시판하는 시약을 이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트랜스펙트한 숙주세포(트랜스펙턴트)에는,
·상기 발현 벡터를 포함하고,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발현하는 트랜스펙턴트; 및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발현 가능한 양태로 숙주세포의 염색체 상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발현하는 트랜스펙턴트(스테이블 트랜스펙턴트)
가 포함된다. 상기 스테이블 트랜스펙턴트에는,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상기 트랜스펙턴트는, 바람직하게는, CHO, COS, NIH3T3, HEK293, HEK293T, COS-7 등의 포유동물 유래의 세포이다.
(하이브리도마)
제4 양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가 제공된다.
항당쇄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의 부가한 당단백질을 주사하거나, 혹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코드하는 벡터이며, 면역동물 내에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벡터를 투여하는 것에 의해 면역동물을 면역하고, 면역동물로부터 얻어지는 면역세포를 통상의 세포 융합법에 의해 공지의 미엘로마세포와 융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도마 중에서, 항당쇄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가 스크리닝된다. 면역동물의 예로는, 마우스, 래트, 햄스터, 토끼 등의 설치류나, 원숭이 등의 포유류를 들 수 있다.
일실시형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는, HEV에 발현하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황산화를 담당하는 황산기 전이효소, GlcNAc6ST-1 및 GlcNAc6ST-2를 결손한 마우스를, 푸코오스 전이효소 및 황산기 전이효소의 유전자 도입에 의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시킨 세포로 면역한 마우스로부터 비장세포를 조제하고, 미엘로마와 세포 융합하여 얻는 복수의 하이브리도마 중에서, 그 배양 상청을 이용하여 마우스 말초 림프절의 면역 형광 염색을 행하여, 야생형 마우스의 HEV와 특이적으로 결합성을 나타내는 IgG 클래스의 항체를 분비하는 하이브리도마의 선별을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항당쇄 항체의 제조 방법)
제5 양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제조는, 상기 숙주세포, 트랜스펙턴트나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함으로써 행해도 좋고,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행해도 좋다.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재조합 단백질로서 제조되는 항체로서, 예컨대,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인간 항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항체는, 예컨대, 항체나, 그 중쇄 또는 경쇄를 코드하는 재조합 벡터에 의해 형질전환된 숙주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재조합 항체는, 원하는 항체를 코드하는 유전자를 도입한 트랜스제닉 동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숙주세포, 트랜스펙턴트나 하이브리도마의 배양 조건은 원하는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이나 숙주세포의 종류에 따라서 당업자가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은, 배양 공정에서 얻어진 배양물로부터,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을 회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해도 좋다.
제조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은 회수의 전에 정제 공정 등의 추가의 공정을 더 거쳐도 좋고, 예컨대 순도를 높이기 위해, 염석, 필터 여과, 원심 분리를 이용한 청징화, 어피니티에 의한 회수, 이온 교환에 의한 중간 정제, 겔 여과에 의한 최종 정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림프구 호밍 저해제)
제6 양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포함하는, 림프구 호밍 저해제가 제공된다.
림프구 호밍은 효율적으로 면역 응답을 유도하기 위해 갖춰진 생체 방어 기구이며, 림프절에 대한 림프구 호밍은 이하의 3가지 단계로 제어되고 있다. 즉, 단계 1 : 림프구 상에 발현하는 L-셀렉틴과 HEV 내강에 발현하는 황산화 당쇄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결합을 통한 림프구 롤링, 단계 2 : HEV 내강의 헤파란황산에 제시된 케모카인과 케모카인 수용체의 결합을 통한 시그널 전달에 의한 접착 분자 인테그린의 활성화, 단계 3 : 활성화 인테그린과 면역글로불린 수퍼패밀리의 접착 분자 ICAM-1(세포간 접착 분자-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VCAM-1(혈관 세포 접착 분자-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의 견고한 접착과 림프 조직에 대한 침윤이며, 이들 3개의 단계를 거쳐서 림프구는 림프 조직 실질로 이행한다.
이 중 단계 1에서는, HEV 내강에 발현하는 황산화 당쇄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가, 단계 2에서는 헤파란황산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 때문에,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림프구 호밍 저해제가 조제된다. 림프구 호밍 저해제는, 특히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하는 림프절, 예컨대 말초 림프절, 장간막 림프절 또는 편도의 고내피 세정맥으로부터의 림프구 호밍을 저해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L-셀렉틴 의존적인 림프구의 롤링을 저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약 조성물)
제7 양태에 있어서,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의약 용도, 예컨대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의약 용도로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질환의 발증 전에 투여하는 것에 의한 질환 예방 효과, 질환 발증 후에 투여하는 것에 의한 질환 치료 효과, 재발-관해를 반복하는 만성적인 질환의 재발 방지 효과를 들 수 있다.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과잉의 면역 응답 중, 항당쇄 항체의 투여가 특히 유효하다고 생각되는 면역 응답이 생기는 조직으로서, 말초 림프절, 장간막 림프절, 편도를 들 수 있다. 림프구 호밍, 특히 림프구와 HEV의 특이적인 접착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통상의 레벨을 넘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예에는, 자가면역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이 있다. 면역 관련 질환은, 예컨대,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자가면역 질환은,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이어도 좋다. 교원병은, 예컨대,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SAPHO 증후군 등이어도 좋다. 자가면역 질환은, 상기 질환 이외에도, 그 밖의 과잉의 면역 응답이 자기를 상해하는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이어도 좋다.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그 밖의 질환의 예에는 알레르기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이 있다. 면역 관련 질환은,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이어도 좋다.
의약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에 더해, 투여 경로나 적용 질환 등에 따라서 추가 성분, 예컨대 약학상 허용되는 희석제, 담체, 가용화제, 유화제, 보존제, 보조제 등을 더 포함해도 좋다. 항당쇄 항체의 투여량은 질환의 종류나,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질환 및 치료의 정도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의약 조성물은, 항당쇄 항체 이외의,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는 약제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의약 조성물의 제형은, 액제, 동결 건조 제제 등이 있고, 의약 조성물의 투여 경로의 예로서, 예컨대 점적 정맥 주사, 피하 주사 또는 근육 주사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별도의 양태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 특히 림프구와 HEV의 특이적인 접착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에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을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항당쇄 항체 또는 그 단편은, 그것 이외의,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대해 효과가 알려져 있는 약제와 병용해도 좋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당쇄 항체의 제작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제작했다. 처음에, 푸코오스 전이효소 FucT-VII 및 황산기 전이효소 GlcNAc6ST-2를 코드하는 유전자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세포에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시켰다. 이 CHO 세포로 황산기 전이효소 GlcNAc6ST-1 및 GlcNAc6ST-2를 결손한 황산기 전이효소 이중 결손 마우스(Kawashima et al.(상기 게재))를 면역했다. 그 비장세포를 P3X63Ag8.653 미엘로마세포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세포 융합하고, 면역 조직 염색에 의한 스크리닝에 의해, 야생형(WT) 마우스의 고내피 세정맥(HEV)에 반응성을 갖는 항황산화 당쇄 모노클로날 항체 SF1(마우스 IgG1, 카파)을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수립했다. 얻어진 항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황산화 및 푸코실화된 당쇄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기 때문에, SF1 항체라고 명명되었다(S는 황산기, F는 푸코오스를 인식하는 클론인 것을 의미한다.).
2. SF1 항체의 HEV에 대한 반응성의 해석
SF1 항체를 정제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비오틴 표지를 행하여, WT 마우스, 푸코오스 전이효소(FucT)-IV 및 FucT-VII 유전자 이중 결손 마우스(FucT DKO), 황산기 전이효소(GlcNAc6ST)-1 및 GlcNAc6ST-2 이중 결손 마우스(G6ST DKO)의 림프절 동결 절편을 4℃에서 밤새 인큐베이트하고, 절편을 PBS로 세정 후, 형광 물질인 AlexaFluor 594 표지 스트렙토아비딘을 실온에서 1시간 더 인큐베이트하고, 형광 면역 염색을 행했다(도 2).
그 결과, SF1 항체는 WT 마우스의 림프절 HEV와 강하게 반응했지만, FucT DKO 및 G6ST DKO의 HEV와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이것으로부터, SF1 항체의 마우스 림프절에 대한 반응에 푸코오스 및 황산기의 쌍방이 관여하는 것을 알았다. 한편, 기지의 항체인 MECA-79(Streeter et al.,(상기 게재))는 마우스 림프절 HEV에 반응하지만, FucT DKO에서 반응성이 소실되지 않았기 때문에, 림프구 호밍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푸코오스는 반응성에 관여하지 않는다.
또한 그 밖의 HEV 상의 당쇄를 인식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형광 면역 염색을 행했다. 상기와 동일하게, SF1 항체는 WT 마우스의 림프절 HEV와 강하게 반응했지만, FucT DKO 및 G6ST DKO의 HEV와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 한편, 기지의 항체인 F2 항체(Matsumura et al.,(상기 게재))는, WT 마우스 림프절 HEV에 반응하고, FucT DKO와는 반응하지 않지만, G6ST DKO에서 반응성이 소실되지 않았기 때문에, 림프구 호밍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황산기는 반응성에 관여하지 않는다. 이것과는 대조적으로, 기지의 항체인 S2 항체(Hirakawa et al.,(상기 게재))는, WT 마우스 림프절 HEV에 반응하고, G6ST DKO와는 반응하지 않지만, FucT DKO에서 반응성이 소실되지 않았기 때문에, 림프구 호밍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푸코오스는 반응성에 관여하지 않는다.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계속해서, WT 마우스의 림프절 동결 절편을 시알리다아제 처리함으로써, HEV에 대한 반응성에서의 시알산의 관여를 검토했다.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시알리다아제 처리에 의해, SF1 항체의 반응성이 소실되었기 때문에, SF1 항체의 마우스 림프절에 대한 반응성에, 푸코오스 및 황산기에 더해, 림프구 호밍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시알산도 관여하는 것을 알았다. 한편, 기지의 항당쇄 모노클로날 항체 MECA-79의 반응성에는 시알산은 관여하지 않는다. 이상의 면역 형광 염색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얻은 SF1 항체는, 마우스 림프절 HEV 상의 푸코오스, 황산기, 시알산을 포함하는 당쇄 구조를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당쇄 모노클로날 항체인 것을 알았다.
3. SF1 항체의 합성 당쇄에 대한 반응성의 해석
다음으로, 미국 Consortium for Functional Glycomics의 Glycan Array를 이용하여, SF1 항체의 각종 당쇄에 대한 반응성을 해석했다. 그 결과, SF1 항체는, Glycan Array 상의 611 종류의 당쇄 중,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만 특이적으로 결합했다. 도 5에 Glycan Array 상에 존재하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 및 그 당쇄와 부분적으로 구조가 유사한 9 종류의 당쇄의 결과를 발췌하여 나타낸다. 도면 중의 괄호 내의 숫자는, Glycan Array에서의 각 당쇄의 ID 번호를 나타낸다. 도 5로부터, SF1 항체는, LacNAc(ID 번호 170), 시알릴 LacNAc(ID 번호 261)와 전혀 결합하지 않는 것을 알았다. 또한, SF1 항체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로부터 푸코오스가 빠진 6-술포 시알릴 LacNAc(ID 번호 252),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로부터 황산기가 빠진 시알릴 루이스 X(ID 번호 255), 및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로부터 시알산이 빠진 6-술포 루이스 X(ID 번호 291)의 어느 것과도 결합하지 않고,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ID 번호 253)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알았다. 또한, SF1 항체는, 황산기가 GlcNAc가 아니라 갈락토오스에 부가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ID 번호 231),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말단의 α2-3 결합한 시알산(Neu5Ac) 대신에 황산기가 갈락토오스의 3위에 부가한 당쇄(ID 번호 220), α2-3 결합한 Neu5Ac 대신에 푸코오스가 α1-2 결합으로 갈락토오스에 부가한 당쇄(ID 번호 222), 및 갈락토오스의 6위와 GlcNAc의 6위가 모두 황산화된 6,6'-디술포 LacNAc(ID 번호 445)의 어느 것과도 결합하지 않았다. 이상으로부터, SF1 항체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알았다.
4. SF1 항체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결합의 해리상수의 결정
다음으로, Octet RED96(Pall-Fortebio사 제조)을 이용한 바이오 레이어 간섭법에 의해, SF1 항체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결합의 해리상수(KD)를 측정했다. 스트렙토아비딘 바이오센서에 비오틴 표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를 결합시킨 후에, SF1 항체와의 결합 및 해리를 실시간으로 해석했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그 결과, SF1 항체와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결합의 KD값은, 6.09×10-9(M)인 것을 알았다. 네거티브 컨트롤로서 비오틴 표지 시알릴 LacNAc를 사용한 경우에는, 전혀 결합이 확인되지 않았다.
5. 항당쇄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의 결정
다음으로, SF1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로부터 항체 유전자를 취득하고, 그 염기서열을 해석하여, SF1 항체의 중쇄 및 경쇄 가변부의 초가변부의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했다. SF1 항체의 중쇄 CDR1, CDR2, CDR3을 각각, 서열번호 1(CDRH1), 서열번호 2(CDRH2), 서열번호 3(CDRH3)으로 하고, SF1 항체의 경쇄 CDR1, CDR2, CDR3을 각각, 서열번호 4(CDRL1), 서열번호 5(CDRL2), 서열번호 6(CDRL3)으로 하여 도 7에 도시했다. 이러한 초가변부를 갖는 항체는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규의 서열을 갖는 항체인 것을 알았다.
SF1 항체의 중쇄 가변부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번호 13으로 하여, 도 8에 나타낸다. CDRH1, CDRH2, CDRH3의 서열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SF1 항체의 경쇄 가변부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번호 14로 하여, 도 9에 나타낸다. CDRL1, CDRL2, CDRL3의 서열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6. L-셀렉틴과 HEV의 결합에 미치는 SF1 항체의 저해 작용의 해석
마우스 림프절 동결 절편을 실온에서 2시간, 완충액 A(0.1% BSA, 20 mM HEPES-NaOH, 0.15 M NaCl, 1 mM CaCl2, 1 mM MgCl2, pH 7.4)만 혹은 완충액 A에 용해한 SF1 항체와 실온에서 2시간 인큐베이트한 후에, 완충액 A에 용해한 L-셀렉틴과 인간 IgG의 융합 단백질(L-셀렉틴-Fc)과 4℃에서 밤새 인큐베이트하고, 절편을 완충액 A로 세정 후, 비오틴 표지 항인간 IgG 항체와 실온에서 2시간 인큐베이트했다. 절편을 완충액 A로 세정 후, 형광 물질인 AlexaFluor 594 표지 스트렙토아비딘을 실온에서 1시간 더 인큐베이트하고, 형광 면역 염색을 행했다(도 10).
그 결과, SF1 항체는 L-셀렉틴-Fc와 HEV의 결합을 강하게 저해했다. 이것으로부터, SF1 항체는, 림프구 호밍 리셉터인 L-셀렉틴과 HEV 상에 발현하는 리간드의 상호 작용을 저해하는 것을 알았다.
7. L-셀렉틴 의존적인 림프구의 롤링에 미치는 SF1 항체의 저해 작용의 해석
코어 단백질 CD34 및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안정 발현하는, HEV 상에 발현하는 L-셀렉틴의 리간드를 재구성한 CHO 세포를 샬레에서 배양하여, 이것을 플로우 챔버에 셋트했다. 그 다음, 마우스 비장으로부터 조제한 림프구를 다양한 전단 응력(0.5, 1.0, 1.5, 2.0 dynes/㎠)으로 흘리고, L-셀렉틴의 리간드를 재구성한 세포 상에서의 롤링 세포수를 측정했다. 그 때, 미처리(도면 중 None), L-셀렉틴의 리간드를 재구성한 세포를 미리 SF1 항체와 인큐베이션한 군(도면 중 SF1) 및 림프구를 미리 항 L-셀렉틴 항체와 인큐베이션한 군(도면 중 MEL-14)의 3군으로 나눠 측정했다.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그 결과, 관찰된 롤링은 항 L-셀렉틴 항체로 저해되었기 때문에 L-셀렉틴 의존적인 것이 확인되어, SF1 항체는 L-셀렉틴 의존적인 롤링을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 것을 알았다.
8. SF1 항체의 림프구 호밍 저해 효과의 해석
WT 마우스에게 SF1 항체 또는 PBS를 꼬리정맥내 주사한 후에 형광 물질 CFSE로 표지한 림프구(장간막 림프절 및 비장 유래)를 꼬리정맥내 주사하고, 2시간 후에 각 림프 조직을 채취하여, 각각의 조직에 침윤(호밍)한 CFSE 표지 림프구수를 조사했다(도 12).
그 결과, SF1 항체는 마우스 말초 림프절에 대한 림프구의 호밍을 90% 이상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항체인 것을 알았다. 또한, 장간막 림프절에 대한 호밍도 약 60% 억제했다. 한편, SF1 항체에 의해 인식되는 당쇄를 5% 이하의 HEV에서만 발현하는 파이엘판 및 그 당쇄를 전혀 발현하지 않는 비장에 대한 호밍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특이성이 높은 항체인 것을 알았다. 파이엘판에서는 장관 내의 미생물이나 음식물 유래 항원에 대한 장관 면역 응답이 발생하고, 비장에서는 혈액 중에 침입한 외래 이물에 대한 면역 응답이 발생하기 때문에, SF1 항체는, 파이엘판 및 비장에서의 이들의 정상적인 면역 응답을 억제함으로써 생기는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아, 말초 림프절 및 장간막 림프절에서의 과잉의 면역 응답에 의해 생기는 면역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고 예상되었다.
9. EAE 모델에서의 SF1 항체의 효과의 해석
난치성 자가면역 관련 질환의 일종인 다발성 경화증의 동물 모델로서 알려져 있는 실험적 자가면역성 뇌척수염(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EAE) 모델을 이용하여, SF1 항체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효과를 해석했다. 이 모델에서는, 마우스를 미엘린 올리고덴드로사이트 당단백질(MOG) 펩티드로 면역하는 것에 의해, 림프절에 대한 림프구 호밍을 통해 면역 응답이 유도되고, 자가면역성의 뇌척수염이 발증한다. 처음에, WT 마우스 및 G6ST DKO 마우스에서의 EAE의 증상을 비교 검토했다(도 13).
그 결과, G6ST DKO 마우스에 있어서 발증의 지연, 피크시의 증상의 저하, 및 재발시의 증상의 저하가 확인되었기 때문에, HEV에 있어서 GlcNAc6ST-1 및 GlcNAc6ST-2에 의해 합성되는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가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 표적이 되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그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SF1 항체에 의한 EAE의 발증의 억제 실험을 행했다. MOG 펩티드에 의한 감작을 행한 0일째 및 2일째에 2회 SF1 항체를 EAE 모델 마우스에게 투여한 결과, 상기 DKO 마우스와 동일하게, 발증의 지연, 피크시의 증상의 저하, 및 재발시의 증상의 저하가 확인되었다(도 14).
이것으로부터, SF1 항체에 의해 EAE의 발증이 억제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SF1 항체를 EAE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초회 항원 감작 후 8일째의 시점으로부터 3일마다 12회 투여하는 것에 의해, 30일째 이후에 보이는 재발이 현저하게 억제되고, 항체 투여를 중단한 42일째 이후에도 재발이 억제된 상태가 유지되었다(도 15). 마찬가지로, SF1 항체를 EAE의 시초 피크가 지나간 초회 항원 감작 후 21일째의 시점으로부터 3일마다 12회 투여하는 것에 의해, 30일째 이후에 보이는 재발이 현저하게 억제되고, 항체 투여를 중단한 54일째 이후에도 재발이 억제된 상태가 유지되었다(도 16).
다발성 경화증은 재발과 관해를 반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SF1 항체는 재발의 억제 효과를 갖기 때문에,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항체라고 생각된다.
10. 마우스 류마티스성 관절염 모델에서의 SF1 항체의 효과의 해석
다음으로, EAE 이외의 자가면역 관련 질환 모델에서의 SF1 항체의 효과를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마우스 류마티스성 관절염 모델인 콜라겐 유도 관절염 모델에 있어서, 1회째의 항원 피하 투여를 행하는 0일째 및 2회째의 항원 피하 투여를 행하는 21일째, 및 24일째, 27일째, 30일째, 33일째에 PBS 또는 SF1을 투여하여 검토를 행했다(도 17).
그 결과, 관절염 증상의 발증율 및 크리니컬 스코어 모두, SF1 항체 투여군에서 저해되는 것이 나타났다.
11. 마우스 알레르기성 비염 모델에서의 SF1 항체의 효과의 해석
다음으로, 마우스 알레르기성 비염 모델에서의 SF1 항체의 효과를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항원인 난백 알부민(ovalbumin, OVA)과 애주번트 작용을 갖는 콜레라 독소(CT)를 1주일 간격으로 4회 마우스에게 경비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모델에 있어서, PBS 또는 SF1 항체를 1주일에 2회 복강내 투여하여 검토했다(도 18).
그 결과, OVA와 CT의 4회째의 경비 투여 직후부터 12분간 확인되는 마우스의 재채기의 횟수, 및 코긁기 행동의 횟수가, SF1 항체 투여군에서 유의미하게 저해되었다.
12. SF1 항체에 의한 정상 인간 조직의 면역 염색
SF1 항체에 의한 정상 인간 조직의 면역 조직 염색을 행한 결과, 대동맥, 유선, 소뇌, 대뇌, 심장, 폐, 소장, 대장, 피부, 비장에는 염색이 보이지 않았지만, 림프절 및 편도에 염색이 확인되었다(도 19, 20).
도 20의 확대 사진으로부터, SF1 항체는, 림프구가 이들의 림프 조직으로 이행할 때에 빠져 나가는 혈관인 고내피 세정맥 HEV(도면 중 화살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알았다.
13. 인간화 단일쇄 SF1 항체의 조제 및 그것을 이용한 면역 염색
도 8에 도시하는 마우스 SF1 항체의 중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과 상동성이 높은 인간 항체 중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 중에서, 시행 착오의 결과 IGHV4-59를 이용했을 때에 활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SF1 항체의 중쇄 초가변부 서열을, IGHV4-59에 이식한 인간화 서열 SF1 중쇄 가변부 서열 H1, H2를 설계하여, 활성 평가에 이용했다. H1의 서열은, H2의 서열 중의 인간 중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 부분의 2곳의 아미노산을 마우스 SF1 항체의 것에 백 뮤테이션시킨 서열이다. 더 시행 착오한 결과, 이것과는 별도의 서열의 예로서, 도 8에 도시하는 SF1 항체의 중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과 상동성이 높은 인간 항체 중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 중에서, IGHV3-43을 이용하고, 그 2곳의 아미노산을 마우스 SF1 항체의 것에 백 뮤테이션시켰을 때에도 활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중쇄 초가변부 서열을 그와 같은 중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을 갖는 IGHV3-43에 이식한 인간화 서열 SF1 중쇄 가변부 서열 H3을 설계하여, 활성 평가에 이용했다.
동일하게 하여, 도 9에 도시하는 마우스 SF1 항체의 경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과 상동성이 높은 인간 항체 경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 중에서, 시행 착오의 결과 IGKV1-39를 이용했을 때에 활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SF1 항체의 경쇄 초가변부 서열을 IGKV1-39에 이식한 인간화 서열 SF1 경쇄 가변부 서열 L1, L2를 설계하여, 활성 평가에 이용했다. L1의 서열은, L2의 서열 중의 인간 경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 부분의 1곳의 아미노산을 마우스 SF1 항체의 것에 백 뮤테이션시킨 서열이다. 더 시행 착오한 결과, 이것과는 별도의 서열의 예로서, 도 9에 도시하는 SF1 항체의 경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과 상동성이 높은 인간 항체 경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 중에서, IGKV6-21을 이용하고, 그 1곳의 아미노산을 마우스 SF1 항체의 것에 백 뮤테이션시켰을 때에도 활성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경쇄 초가변부 서열을 그와 같은 경쇄 가변부 프레임 서열을 갖는 IGKV6-21에 이식한 인간화 서열 SF1 경쇄 가변부 서열 L3을 설계하여, 활성 평가에 이용했다.
이상의 인간화 SF1 중쇄 가변부 H1, H2, H3 및 인간화 SF1 경쇄 가변부 L1, L2, L3의 아미노산 서열을 도 21에 나타낸다. CDRH1, CDRH2, CDRH3, CDRL1, CDRL2, CDRL3의 서열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다음으로, 밀배아 추출액을 이용한 무세포 단백질 합성계를 이용하여, 도 21에 도시하는 인간화 SF1 중쇄 가변부 H1∼H3 및 인간화 SF1 경쇄 가변부 L1∼L3을, 다양한 조합으로 포함하는 인간화 SF1 단일쇄 항체(scFv)를 제작했다. 제작한 각종 인간화 SF1 scFv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을 도 22에 나타낸다. 밑줄부의 Gly-Gly-Gly-Gly-Ser(GGGGS)의 3회 반복 서열(G4S 링커)은 중쇄와 경쇄의 링커 서열이며, C 말단측의 이중밑줄부의 Gly-Leu-Gln-Gln-Gly-Gly-Thr-His-His-His-His-His-His(GLQQGGTHHHHHH) 서열은, 비오틴화 항(His)6 항체와 결합시키기 위한 태그 서열이다. 굵은 글씨의 서열은 N 말단측으로부터 각각, CDRH1, CDRH2, CDRH3, CDRL1, CDRL2, CDRL3의 서열을 나타낸다. 인간화 SF1-scFv-H1L1은 인간화 SF1 중쇄 가변부 H1 및 인간화 SF1 경쇄 가변부 L1을, 인간화 SF1-scFv-H1L2는 인간화 SF1 중쇄 가변부 H1 및 인간화 SF1 경쇄 가변부 L2를, 인간화 SF1-scFv-H2L1은 인간화 SF1 중쇄 가변부 H2 및 인간화 SF1 경쇄 가변부 L1을, 인간화 SF1-scFv-H3L3은 인간화 SF1 중쇄 가변부 H3 및 인간화 SF1 경쇄 가변부 L3을 포함하는 서열이다.
미리 비오틴화 항(His)6 항체와 인큐베이션하여 복합체를 만들게 한 인간화 SF1-scFv를, 마우스 림프절 동결 절편과 4℃에서 밤새 인큐베이트하고, 절편을 PBS로 세정 후, 형광 물질인 AlexaFluor 594 표지 스트렙토아비딘을 실온에서 1시간 더 인큐베이트하여 형광 면역 염색한 결과, 어느 조합으로 제작한 인간화 SF1-scFv에서도, HEV에 대하여 특이적인 염색성을 나타냈다(도 23). 이상으로부터, 도 7에 도시한 SF1 항체의 초가변부의 서열은, 인간 항체 및 마우스 항체의 여러가지 가변부 프레임 서열과 연결한 때에도 활성을 갖는, 범용성이 있는 서열인 것을 알았다.
14. 인간화 SF1 항체의 조제 및 그것을 이용한 면역 염색
도 21에 도시한 인간화 SF1 중쇄 가변부 서열 H1을 인간 항체 중쇄 IgG1 정상부와 연결하여, 인간화 SF1 중쇄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설계했다(도 24). 동일하게 하여, 도 21에 도시한 인간화 SF1 경쇄 가변부 서열 L1을 인간 항체 경쇄인 κ쇄 정상부와 연결하여, 인간화 SF1 경쇄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설계했다(도 25). 이들 인간화 SF1 중쇄 전장 아미노산 서열 및 인간화 SF1 경쇄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인간 유래 세포주인 HEK293T 세포에 도입하여, 인간화 SF1 항체를 제작했다.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전체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번호 25로 하여, 도 24에 나타낸다. CDRH1, CDRH2, CDRH3의 서열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인간화 SF1 항체의 경쇄 가변부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번호 26으로 하여, 도 25에 나타낸다. CDRL1, CDRL2, CDRL3의 서열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인간화 SF1 항체를 이용하여 마우스 림프절의 형광 면역 염색을 행한 결과, 인간화 SF1 항체는, 야생형(WT) 마우스의 고내피 세정맥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의 황산기를 결손하는 G6ST DKO 마우스 및 푸코오스를 결손하는 FucT DKO와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다(도 26). 이것은, 인간화 SF1 항체의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에 대한 특이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로부터, SF1 항체의 중쇄 및 경쇄 가변부의 초가변부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인간화 항체는, 마우스 SF1 항체와 마찬가지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에 대한 특이적인 당결합 특이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15. 인간화 SF1 항체의 림프구 호밍 저해 효과의 해석
다음으로, WT 마우스에게 인간화 SF1 항체 또는 PBS를 꼬리정맥내 주사한 후에 형광 물질 CFSE로 표지한 림프구(장간막 림프절 및 비장 유래)를 꼬리정맥내 주사했다. 2시간 후에 각 림프 조직을 채취하여, 각각의 조직에 호밍한 CFSE 표지 림프구수를 조사했다(도 27).
그 결과, 인간화 SF1 항체는, 마우스 SF1 항체와 마찬가지로, 마우스 말초 림프절에 대한 림프구의 호밍을 약 90% 이상 억제했다. 또한, 장간막 림프절에 대한 호밍도 약 70% 억제했다. 한편, 파이엘판 및 비장에 대한 호밍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16. EAE 모델에서의 인간화 SF1 항체의 효과의 해석
인간화 SF1 항체에 의한 EAE의 발증의 억제 실험을 행했다. MOG 펩티드에 의한 감작을 행한 0일째 및 2일째에 2회 인간화 SF1 항체를 EAE 모델 마우스에게 투여한 결과, 마우스 SF1 항체와 마찬가지로, 발증의 지연, 피크시의 증상의 저하, 및 재발시의 증상의 저하가 확인되었다(도 28).
이것으로부터, 인간화 SF1 항체에 의해 EAE의 발증이 억제되는 것을 알았다.
17. Fc 부분의 서열을 개변한 인간화 SF1 항체의 조제
또한, Fc 부분의 서열을 개변한 인간화 SF1 항체의 조제를 행했다. 즉, 도 24에 도시한 인간화 SF1 중쇄 IgG1 정상부에 관해, Eu 번호에서 Leu234-Leu235를 Ala234-Ala235로 치환한 인간화 SF1 중쇄 IgG1-LALA체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설계했다(도 29). 또한 마찬가지로, 도 24에 도시한 인간화 SF1 중쇄 IgG1 정상부를 IgG4 정상부로 치환한 후, Eu 번호에서 Ser228을 Pro로, Leu235를 Glu로 치환한 인간화 SF1 중쇄 IgG4-SPLE체의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설계했다(도 30). 이들 Fc 부분의 서열을 개변한 인간화 SF1 중쇄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코드하는 유전자를 각각, 도 25에 도시한 인간화 SF1 경쇄 전장 아미노산 서열을 코드하는 유전자와 함께 HEK293T 세포에 도입하여, 인간화 SF1 항체-IgG1-LALA체(HSF1-LALA) 및 인간화 SF1 항체-IgG4-SPLE체(HSF1-G4PE)를 제작했다.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IgG1-LALA체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번호 27로 하여, 도 29에 나타낸다. CDRH1, CDRH2, CDRH3의 서열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IgG4-SPLE체의 전체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번호 28로 하여, 도 30에 나타낸다. CDRH1, CDRH2, CDRH3의 서열을 굵은 글씨로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29, 도 30에 도시되는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개변체 및 도 25에 도시되는 경쇄로 구성되는, 인간화 SF1 항체-IgG1-LALA체(HSF1-LALA) 및 인간화 SF1 항체-IgG4-SPLE체(HSF1-G4PE)를 함유하는 293T 세포의 배양 상청을 이용하여, 마우스 림프절의 형광 면역 염색을 행했다. 그 결과, 유전자 도입을 행하지 않은 293T 세포의 배양 상청만으로서는 전혀 염색은 보이지 않았지만, HSF1-LALA 함유 배양 상청 및 HSF1-G4PE 함유 배양 상청에 의해 마우스 림프절 고내피 세정맥에 특이적인 결합이 확인되었다(도 31).
상기 결과로부터, Fc 부분의 서열을 개변한 인간화 SF1 항체도, 특이적인 조직 결합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들과 같은 Fc 부분의 서열을 개변한 인간화 항체는, 항체의 Fc 부분을 통한 이펙터 활성을 저하시켜, 부작용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상으로부터, 인간화 SF1 항체 및 Fc 부분의 서열을 개변한 인간화 SF1 항체는, 마우스 SF1 항체와 마찬가지로 특이적인 조직 결합성에 의해 고효율의 림프구 호밍 저해 작용을 갖고, 자가면역 질환이나 알레르기 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발휘하는 치료용 항체로서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본원은, 일본특허출원 2020-169966을 기초로 하고 있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전부 포함되는 것이다.
서열표 프리텍스트
서열번호 1 : SF1 항체의 CDRH1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 : SF1 항체의 CDRH2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3 : SF1 항체의 CDRH3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4 : SF1 항체의 CDRL1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5 : SF1 항체의 CDRL2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6 : SF1 항체의 CDRL3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7 : SF1 항체 CDRH1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8 : SF1 항체 CDRH2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9 : SF1 항체 CDRH3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0 : SF1 항체 CDRL1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1 : SF1 항체 CDRL2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2 : SF1 항체 CDRL3의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3 : SF1 항체의 중쇄 가변부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4 : SF1 항체의 경쇄 가변부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5 :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가변부 H1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6 :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가변부 H2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7 :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가변부 H3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8 : 인간화 SF1 항체의 경쇄 가변부 L1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19 : 인간화 SF1 항체의 경쇄 가변부 L2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0 : 인간화 SF1 항체의 경쇄 가변부 L3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1 : 인간화 SF1-scFv-H1L1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2 : 인간화 SF1-scFv-H1L2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3 : 인간화 SF1-scFv-H2L1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4 : 인간화 SF1-scFv-H3L3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5 :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전장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6 : 인간화 SF1 항체의 경쇄 전장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7 :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IgG1-LALA체 전장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8 : 인간화 SF1 항체의 중쇄 IgG4-SPLE체 전장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서열번호 29 : G4S 링커의 아미노산 서열을 나타낸다.
SEQUENCE LISTING <110>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CHIBA UNIVERSITY <120> NOVEL ANTI-SUGAR CHAIN ANTIBODIES AND THEIR USES <130> C0951MP003 <150> JP2020-169966 <151> 2020-10-07 <160> 29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8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 Gly Phe Ser Leu Thr Ser Tyr Ala 1 5 <210> 2 <211> 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2 Ile Trp Gly Gly Gly Ser Thr 1 5 <210> 3 <211> 11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3 Ala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1 5 10 <210> 4 <211> 5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4 Ser Ser Val Ser Tyr 1 5 <210> 5 <211> 3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5 Glu Ile Ser 1 <210> 6 <211> 9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6 Gln Gln Trp Asn Tyr Pro Leu Ala Thr 1 5 <210> 7 <211> 24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7 gggttttcat taaccagcta tgct 24 <210> 8 <211> 21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8 atatggggtg gtggaagcac a 21 <210> 9 <211> 33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9 gccaaacatg aaaaactggg acgttttcct tac 33 <210> 10 <211> 15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0 tcgagtgtaa gttac 15 <210> 11 <211> 9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1 gaaatatcc 9 <210> 12 <211> 27 <212> DNA <213> Mus musculus <400> 12 cagcagtgga attatcctct ggccacg 27 <210> 13 <211> 117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3 Gln Val Gln Leu Lys Glu Ser Gly Pro Gly Leu Val Ala Pro Ser Gln 1 5 10 15 Ser Leu Ser Ile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Leu Met 50 55 60 Ser Arg Leu Se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Phe Leu 65 70 75 80 Lys Met Asn Ser Leu Gln Thr Asp Asp Thr Ala Met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Ala 115 <210> 14 <211> 106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4 Glu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la Ile Thr Ala Ala Ser Leu Gly 1 5 10 15 Gln Lys Val Thr Ile Thr Cys Ser Ala Ser Ser Ser Val Ser Tyr Met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Ser Gly Thr Ser Pro Lys Pro Trp Ile Tyr 35 40 45 Glu Ile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Ala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Gly Thr Ser Tyr Ser Leu Thr Ile Ser Ser Met Glu Ala Glu 65 70 75 80 Asp Ala Ala Ile Tyr Tyr Cys Gln Gln Trp Asn Tyr Pro Leu Ala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15 <211> 1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1 <400> 15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6 <211> 1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2 <400> 16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7 <211> 1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3 <400> 17 Gln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Val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Val Lys 50 55 60 Gly Arg Phe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Ser Val Tyr Leu 65 70 75 80 Gln Met Asn Ser Leu Arg Thr Glu Asp Thr Ala Leu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115 <210> 18 <211> 10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 Heavy Chain Variable Region L1 <400> 18 Glu Ile Gln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Tyr Met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Pro Leu Ile Tyr 35 40 45 Glu Ile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Glu 65 70 75 80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Asn Tyr Pro Leu Ala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19 <211> 10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 Heavy Chain Variable Region L2 <400> 19 Asp Ile Gln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Tyr Met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Pro Leu Ile Tyr 35 40 45 Glu Ile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Glu 65 70 75 80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Asn Tyr Pro Leu Ala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20 <211> 10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 Heavy Chain Variable Region L3 <400> 20 Glu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sp Phe Gln Ser Val Thr Pro Lys 1 5 10 15 Glu Lys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Tyr Met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Pro Asp Gln Ser Pro Lys Pro Leu Ile Tyr 35 40 45 Glu Ile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Asn Ser Leu Glu Ala Glu 65 70 75 80 Asp Ala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Asn Tyr Pro Leu Ala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21 <211> 25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scFv-H1L1 <400> 21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115 120 125 Gly Gly Gly Ser Glu Ile Gln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130 135 140 Ala Ser Val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145 150 155 160 Val Ser Tyr Met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165 170 175 Pro Leu Ile Tyr Glu Ile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180 185 19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Ser Ser 195 200 205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Asn Tyr 210 215 220 Pro Leu Ala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Gly Leu 225 230 235 240 Gln Gln Gly Gly Thr His His His His His His 245 250 <210> 22 <211> 25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scFv-H1L2 <400> 22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115 120 125 Gly Gly Gly Ser Asp Ile Gln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130 135 140 Ala Ser Val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145 150 155 160 Val Ser Tyr Met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165 170 175 Pro Leu Ile Tyr Glu Ile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180 185 19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Ser Ser 195 200 205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Asn Tyr 210 215 220 Pro Leu Ala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Gly Leu 225 230 235 240 Gln Gln Gly Gly Thr His His His His His His 245 250 <210> 23 <211> 25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scFv-H2L1 <400> 23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115 120 125 Gly Gly Gly Ser Glu Ile Gln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130 135 140 Ala Ser Val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145 150 155 160 Val Ser Tyr Met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165 170 175 Pro Leu Ile Tyr Glu Ile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180 185 19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Ser Ser 195 200 205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Asn Tyr 210 215 220 Pro Leu Ala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Gly Leu 225 230 235 240 Gln Gln Gly Gly Thr His His His His His His 245 250 <210> 24 <211> 25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umanized SF1-scFv-H3L3 <400> 24 Gln Val Gln Leu Val Glu Ser Gly Gly Gly Val Val Gln Pro Gly Gly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Val Lys 50 55 60 Gly Arg Phe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Ser Val Tyr Leu 65 70 75 80 Gln Met Asn Ser Leu Arg Thr Glu Asp Thr Ala Leu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115 120 125 Gly Gly Gly Ser Glu Ile Val Leu Thr Gln Ser Pro Asp Phe Gln Ser 130 135 140 Val Thr Pro Lys Glu Lys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145 150 155 160 Val Ser Tyr Met His Trp Tyr Gln Gln Lys Pro Asp Gln Ser Pro Lys 165 170 175 Pro Leu Ile Tyr Glu Ile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180 185 190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Asn Ser 195 200 205 Leu Glu Ala Glu Asp Ala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Asn Tyr 210 215 220 Pro Leu Ala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Gly Leu 225 230 235 240 Gln Gln Gly Gly Thr His His His His His His 245 250 <210> 25 <211> 4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ll Length Humanized SF1 Heavy Chain <400> 25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115 120 125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130 135 140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145 150 155 160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165 170 175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180 185 190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195 200 205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210 215 220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225 230 235 240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245 250 255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260 265 270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275 280 285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290 295 300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305 310 315 320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325 330 335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340 345 350 Pro Ser Arg Asp Glu Leu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355 360 365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370 375 380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385 390 395 400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405 410 415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420 425 430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35 440 445 <210> 26 <211> 2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ll Length Humanized SF1 Light Chain <400> 26 Glu Ile Gln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Ser Ser Val Ser Tyr Met 20 25 30 His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Pro Leu Ile Tyr 35 40 45 Glu Ile Ser Lys Leu Ala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Ser 50 55 60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Glu 65 70 75 80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Trp Asn Tyr Pro Leu Ala Thr 85 90 95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Lys Arg Thr Val Ala Ala Pro 100 105 110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Gln Leu Lys Ser Gly Thr 115 120 125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Tyr Pro Arg Glu Ala Lys 130 135 140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Ser Gly Asn Ser Gln Glu 145 150 155 160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Thr Tyr Ser Leu Ser Ser 165 170 175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Lys His Lys Val Tyr Ala 180 185 190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Pro Val Thr Lys Ser Phe 195 200 205 Asn Arg Gly Glu Cys 210 <210> 27 <211> 44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ll Length Humanized SF1 Heavy Chain IgG1-LALA <400> 27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115 120 125 Ala Pro Ser Ser Lys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130 135 140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145 150 155 160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165 170 175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180 185 190 Leu Gly Thr Gln Thr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195 200 205 Thr Lys Val Asp Lys Lys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210 215 220 Thr Cys Pro Pro Cys Pro Ala Pro Glu Ala Ala Gly Gly Pro Ser Val 225 230 235 240 Phe Leu Phe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245 250 255 Pro Glu Val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260 265 270 Val Lys Phe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275 280 285 Thr Lys Pro Arg Glu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290 295 300 Val Leu Thr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305 310 315 320 Cys Lys Val Ser Asn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325 330 335 Ser Lys Ala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340 345 350 Pro Ser Arg Asp Glu Leu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355 360 365 Val Lys Gly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370 375 380 Gly Gln Pro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385 390 395 400 Asp Gly Ser Phe Phe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405 410 415 Trp Gln Gln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420 425 430 His Asn His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435 440 445 <210> 28 <211> 44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ll Length Humanized SF1 Heavy Chain IgG4-SPLE <400> 28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Phe Ser Leu Thr Ser Tyr 20 25 30 Ala Val His Trp Val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Leu 35 40 45 Gly Ile Ile Trp Gly Gly Gly Ser Thr Asn Tyr Asn Ser Ala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Ser Leu 65 70 75 80 Lys Leu Se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Lys His Glu Lys Leu Gly Arg Phe Pro Tyr Trp Gly Gln Gly Thr Leu 100 105 110 Val Thr Val Ser Ser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115 120 125 Ala Pro Cys Ser Arg Ser Thr Ser Glu Ser Thr Ala Ala Leu Gly Cys 130 135 140 Leu Val Lys Asp Tyr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145 150 155 160 Gly Ala Leu Thr Ser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165 170 175 Ser Gly Leu Tyr Ser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180 185 190 Leu Gly Thr Lys Thr Tyr Thr Cys Asn Val Asp His Lys Pro Ser Asn 195 200 205 Thr Lys Val Asp Lys Arg Val Glu Ser Lys Tyr Gly Pro Pro Cys Pro 210 215 220 Pro Cys Pro Ala Pro Glu Phe Gl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225 230 235 240 Pro Pro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245 250 255 Thr Cys Val Val Val Asp Val Ser Gln Glu Asp Pro Glu Val Gln Phe 260 265 270 Asn Trp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275 280 285 Arg Glu Glu Gln Phe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290 295 300 Val Leu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305 310 315 320 Ser Asn Lys Gly Leu Pro Ser Ser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325 330 335 Lys Gly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Gln 340 345 350 Glu Glu Met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355 360 365 Phe Tyr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370 375 380 Glu Asn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385 390 395 400 Phe Phe Leu Tyr Ser Arg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u 405 410 415 Gly Asn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420 425 430 Tyr Thr Gln Lys Ser Leu Ser Leu Ser Leu Gly Lys 435 440 <210> 29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4S Linker <400> 29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1 5 10 15

Claims (64)

  1.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으로서,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CDR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2. 제1항에 있어서,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 및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
    를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3. 제2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9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그 단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13, 15∼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그 단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쇄가, 서열번호 25, 27 또는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5, 27 또는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25, 27 또는 28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그 단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하의: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
    를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7. 제6항에 있어서, 경쇄 가변 영역이,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의 적어도 80개의 연속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그 단편.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경쇄 가변 영역이,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14, 18∼20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그 단편.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쇄가,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2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그 단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하의:
    (a) 서열번호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b) 서열번호 2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2;
    (c) 서열번호 3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3;
    (d) 서열번호 4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1;
    (e) 서열번호 5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2; 및
    (f) 서열번호 6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L3
    를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 및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거나, 혹은
    각 CDR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CDRH1, CDRH2 및 CDRH3 및 CDRL1, CDRL2 및 CDRL3을 포함하는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하는 고내피 세정맥과 L-셀렉틴의 결합을 저해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상 영역이 인간 유래인 항체 또는 그 단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간화되어 있는 항체 또는 그 단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Fab, F(ab')2, Fab', Fv 및 단일쇄 항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15. 제14항에 있어서, 단일쇄 항체가, 서열번호 21∼2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1∼117번째 및 133∼23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21∼2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1∼117번째 및 133∼23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아미노산의 결실, 치환 또는 부가를 갖는 아미노산 서열, 혹은 서열번호 21∼2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1∼117번째 및 133∼238번째의 아미노산 서열과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그 단편.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그 단편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대하여 1×10-6 M 이하의 해리상수(KD값)를 나타내는 것인 항체 또는 그 단편.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18. 제17항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19. 제18항에 기재된 발현 벡터에 의해 트랜스펙트된 숙주세포.
  20. 제19항에 있어서, 진핵세포인 숙주세포.
  21.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22.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제17항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제18항에 기재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림프구 호밍 저해제.
  23.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 제17항에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제18항에 기재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24. 제23항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의약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의약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의약 조성물.
  28. 제26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가면역 질환인 의약 조성물.
  29. 제28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의약 조성물.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의약 조성물.
  31. 제24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더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32.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9항 또는 제20항에 기재된 숙주세포, 또는 제21항에 기재된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33.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상기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의약 조성물.
  35. 제34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의약 조성물.
  36. 제35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의약 조성물.
  37. 제35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자가면역 질환인 의약 조성물.
  38. 제37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의약 조성물.
  39. 제38항에 있어서,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의약 조성물.
  40. 제33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그 단편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발현하는 고내피 세정맥과 L-셀렉틴의 결합을 저해하는 것인 의약 조성물.
  41. 제33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그 단편이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인 의약 조성물.
  42. 대상에서의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그 결합이 6-술포 시알릴 루이스 X 당쇄를 구성하는 푸코오스, 황산기 및 시알산을 요구하는, 항체 또는 그 단편, 상기 항체 또는 그 단편을 코드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혹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유효량 상기 대상에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자가면역 질환인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방법.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방법.
  49. 제42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 또는 그 단편이,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인 방법.
  50. 제42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투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1.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한 항체 또는 그 단편.
  52. 제51항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항체 또는 그 단편.
  53. 제52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항체 또는 그 단편.
  54. 제53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항체 또는 그 단편.
  55. 제53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가면역 질환인 항체 또는 그 단편.
  56. 제55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항체 또는 그 단편.
  57.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항체 또는 그 단편.
  58.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용도.
  59. 제58항에 있어서, 림프구 호밍에 의해 초래되는 면역 응답이 과잉으로 작용함으로써 생기는 질환이 면역 관련 질환인 용도.
  60. 제59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인 용도.
  61. 제60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음식물 알레르기,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약제 알레르기, 화분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호산구성 폐렴, 알레르기성 위장염, 담마진, 광선 과민증, 금속 알레르기, 고양이 알레르기, 진드기 알레르기, 및 천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알레르기 질환인 용도.
  62. 제60항에 있어서, 면역 관련 질환이, 재발 관해형 다발성 경화증, 1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 및 2차 진행형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다발성 경화증; 건선; 관절 류마티스; 건선성 관절염;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SLE); 궤양성 대장염; 클론병; 양성 림프구성 혈관염;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돌발성 혈소판 감소증; 특발성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적아구로; 셰그렌 증후군; 류마티스성 질환; 결합 조직 질환; 염증성 류마티스; 변형성 류마티스; 비관절성 류마티스; 연소성 관절 류마티스; 근육 류마티스; 만성 다발성 관절염; 크리오글로불린 혈관염; ANCA 관련 혈관염; 항인지질 증후군; 중증 근무력증;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길랭-바레 증후군; 만성 면역성 다발신경병증;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1형 당뇨병; 애디슨병; 만성 사구체 신증; 굿패스쳐병; 자가면역성 위염; 자가면역성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천포창; 심상성 천포창; 간경변;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섬유근염; 근경증; 실리악병; 면역글로불린 A 신증; 헤노흐-쇤라인 자반병; 에반스 증후군; 건선; 관절증성 건선; 그레이브스병; 그레이브스 안증; 강피증; 전신성 강피증; 진행성 전신성 강피증;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하시모토 갑상선염; 원발성 점액수종; 교감성 안염; 자가면역성 포도막염; 간염; 만성 활동성 간염; 교원병; 강직성 척추염; 견관절 주위염; 결절성 범동맥염; 연골 석회화증; 베게너 육아종증;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만성 두드러기; 수포성 피부질환; 유사천포창; 데빅병; 소아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난치성 또는 만성 자가면역성 혈구 감소증; 후천성 혈우병 A; 한랭응집소병; 시신경척수염; 전신 경직 증후군; 췌염; 심근염; 혈관염; 위염; 통풍; 통풍성 관절염; 건선; 정상보체혈증성 담마진성 혈관염; 심막염; 근염; 항합성효소 증후군; 강막염; 마크로파지 활성화 증후군; 베체트 증후군; PAPA 증후군; Blau 증후군; 성인 및 연소성 스틸병; 크리오피린 관련 주기성 증후군; 머클-웰스 증후군; 가족성 한랭 자가염증성 증후군; 신생아기 발증 다장기성 염증성 질환; 가족성 지중해열; 만성 유아기 발증 신경피부관절 증후군; 전신형 연소성 특발성 관절염; 고 IgD 증후군; 슈니츨러 증후군; 자가면역성 망막증;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만성 전립선염; 및 TNF 수용체 관련 주기성 증후군(TRA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자가면역 질환인 용도.
  63. 제62항에 있어서, 자가면역 질환이 다발성 경화증 또는 교원병인 용도.
  64. 제62항 또는 제63항에 있어서, 교원병이, 관절 류마티스, 전신성 에리테마토데스, 강피증, 피부근염, 결절성 다발동맥염, 혼합성 결합 조직병, 셰그렌 증후군,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과민성 혈관염, 베체트병, 코건 증후군, RS3PE, 거세포성 동맥염, 성인 스틸병,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증, 섬유근통증 및 SAPHO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질환인 용도.
KR1020237015254A 2020-10-07 2021-10-06 신규 항당쇄 항체 및 그 용도 KR202300804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9966 2020-10-07
JP2020169966 2020-10-07
PCT/JP2021/036893 WO2022075337A1 (ja) 2020-10-07 2021-10-06 新規抗糖鎖抗体及びその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474A true KR20230080474A (ko) 2023-06-07

Family

ID=8112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254A KR20230080474A (ko) 2020-10-07 2021-10-06 신규 항당쇄 항체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365706A1 (ko)
EP (1) EP4227413A1 (ko)
JP (1) JPWO2022075337A1 (ko)
KR (1) KR20230080474A (ko)
CN (1) CN116568810A (ko)
AU (1) AU2021355793A1 (ko)
CA (1) CA3198409A1 (ko)
IL (1) IL301952A (ko)
MX (1) MX2023004053A (ko)
WO (1) WO20220753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5573A (en) 1993-06-01 1999-03-23 Arch Development Corporation Methods and materials for modulation of the immunosuppressive activity and toxicity of monoclonal antibodies
RU2607014C2 (ru) 2011-03-29 2017-01-10 Рош Гликарт Аг Fc варианты антитела
JP7445275B2 (ja) 2019-04-05 2024-03-07 有限会社テン・ワーク 負荷試験装置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 Kawashima et al., Nat. Immunol., 11:1096-1104, 2005
비특허문헌 2 : Streeter et al., J.Cell Biol., 107:1853-1862, 1988
비특허문헌 3 : Hirakawa et al., J.Biol.Chem., 285:40864-40878, 2010
비특허문헌 4 : Matsumura et al., J.Biol.Chem., 290:15313-15326, 2015
비특허문헌 5 : Mitsuoka et al., J.Biol.Chem., 273:11225-11233, 1998
비특허문헌 6 : 마츠우라 히로아키 등, 일본약학회 제135년회 요지집(CD-ROM), 페이지 : ROMBUNNO. 27X-PM05S, 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3004053A (es) 2023-05-03
CN116568810A (zh) 2023-08-08
US20230365706A1 (en) 2023-11-16
JPWO2022075337A1 (ko) 2022-04-14
WO2022075337A1 (ja) 2022-04-14
CA3198409A1 (en) 2022-04-14
IL301952A (en) 2023-06-01
AU2021355793A1 (en) 2023-05-25
EP4227413A1 (en)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272B2 (ja) 高い遮断活性を有する抗C5a結合部分
EP3095862B9 (en) Anti-nr10 antibody and use thereof
WO2019062832A1 (zh) Tigit抗体、其抗原结合片段及医药用途
US20230192890A1 (en) Novel anti-pad4 antibody
CN103429261A (zh) 半寿期改进的修饰抗体
EP4296286A1 (en) Anti-gprc5d×bcma×cd3 trispecific antibody and use thereof
US20210388084A1 (en) Anti-human cd89 antibodies and uses thereof
WO2018153366A1 (zh) Tim-3抗体、其抗原结合片段及医药用途
KR20230080474A (ko) 신규 항당쇄 항체 및 그 용도
RU2822496C1 (ru) АНТИТЕЛО К SIRPα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15947855B (zh) 抗cd24抗体的制备及其用途
US20230242646A1 (en) Humanized Anti-Human CD89 Antibodies and Uses Thereof
WO2024096022A1 (ja) 抗アディポネクチン受容体抗体及びその利用
WO2024183637A1 (en) Muc1 antibodies and methods of use
WO2015129858A1 (ja) 新規ヒトtlr2及びヒトtlr4に結合する二重特異的抗体
US20220049003A1 (en) Methods of treating inflammation
KR20240022546A (ko) 항il-36r 항체 및 그의 사용
CN116888150A (zh) 抗疟原虫抗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