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412A - 부직포 및 그것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용의 방루 시트 - Google Patents

부직포 및 그것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용의 방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412A
KR20230080412A KR1020237011043A KR20237011043A KR20230080412A KR 20230080412 A KR20230080412 A KR 20230080412A KR 1020237011043 A KR1020237011043 A KR 1020237011043A KR 20237011043 A KR20237011043 A KR 20237011043A KR 20230080412 A KR20230080412 A KR 20230080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triglyceride
carbon atoms
nonwoven fabric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로 미즈코시
나루아키 마에다
마사카즈 사세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11269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3008041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4Oils, fats, waxes or natural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2Water-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32B5/26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 B32B5/26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 B32B5/26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melt-blown fabric
    • B32B5/269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characterised by one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being a non-woven fabric layer next to one or more non-woven fabric layer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melt-blown fabric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melt-blown fabric next to a non-woven fabric layer that is a spunbonded fabr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4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 A61F2013/51452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being nonwov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8Weight, e.g. weight per square 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Abstract

섬유 형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부직포.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직포 및 그것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용의 방루 시트
본 발명은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그 부직포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용의 방루 시트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나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 창상 피복재, 의료용 가운 등의 위생용품에 있어서는, 뇨나 혈액을 비롯한 체액의 배리어재로서 부직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부직포는, 그 섬유 직경이 가늘어질수록, 또 섬유간의 간극이 작아질수록, 배리어재로서의 특성이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수법은 표면 장력이 비교적 높은 액체에 대해서는 유효하기는 하지만, 연변 등의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에 대해서는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부직포의 배리어성을 더욱 높이려면, 섬유의 표면 장력을 내리는 것이 유효하다.
표면 장력을 내리는 수법으로서, 실리콘 등의 규소 화합물이나 불소 화합물로 섬유의 표면을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화합물의 사용은, 내열성, 보존 안정성, 인체에 대한 안전성 등의 관점에서 과제가 있다. 이들 화합물 대신에, 수지에 트리글리세리드를 첨가하는 수법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4 참조).
US2012/100772A1 US2014/272223A1 US2020/129345A1 US2019/070045A1
본 발명은 섬유 형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글리세리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가 다량으로 접했을 경우나, 장시간 접했을 경우에, 그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가 부직포로부터 삼출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종래보다 높은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넓게 포함한다.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는, 예를 들어 멜트 블론법, 스펀본드법, 에어 스루법, 에어 레이드법, 스펀레이스법, 니들 펀치법, 일렉트로스피닝법, 케미컬 본드법 및 서멀 본드법 등 여러 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는 바, 본 발명의 부직포는 이들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포함한다. 무엇보다도,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이외의 방법들로 제조된 부직포나, 이 방법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서 제조된 부직포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은 점에서, 그 성질을 발현하기 쉬운 부직포인 멜트 블론 부직포 또는 멜트 블론층을 갖는 복합 부직포인 것이 특히 유리하다. 멜트 블론층을 갖는 복합 부직포로는, 예를 들어 멜트 블론-스펀본드 복합 부직포나, 스펀본드-멜트 블론-스펀본드 복합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가, 적어도 스펀본드층과 멜트 블론층을 포함하는 복합 부직포인 경우,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스펀본드층의 질량 비율은 5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인 것이,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의 향상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이점을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스펀본드층의 질량 비율은 50 질량% 이상 9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 85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한편,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멜트 블론층의 질량 비율은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의 향상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이점을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멜트 블론층의 질량 비율은 1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그 구성 섬유에 하나의 특징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섬유 형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고 있다. 섬유 형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여러 가지의 것이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알려져 있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은 부직포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의 저급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으로는,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및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프로필렌으로서,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은, 입체 규칙성의 지표인, 13C-NMR 로 측정되는 메소펜타드 분율 (mmmm [%]) 이 90 % 이하인 호모폴리프로필렌이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및 1-헥센 등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공중합체의 양태로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랜덤 코폴리머 (이하「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라고도 한다.)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에 있어서의 에틸렌의 비율은,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2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6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올레핀 수지 중, 섬유 형성능의 높이나, 얻어지는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의 높이의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올레핀 수지는,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 이외의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물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 이외의 호모폴리프로필렌을 간단히「호모폴리프로필렌」이라고 한다.). 특히,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의 높이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는,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은,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본 발명의 부직포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멜트 블론 부직포를 갖는 경우에는, 그 멜트 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에 대해서 5 질량% 이상인 것이,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배리어성을 더욱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한층 바람직하게는 9 질량% 이상,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이다.
또 상기 비율은, 60 질량% 미만인 것이, 섬유의 방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방사성을 더욱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상기 서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1 종만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그 구성 수지로서, 상기 서술한 폴리올레핀 수지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폴리올레핀 수지에 더하여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섬유의 구성 수지로서, 상기 서술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5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인 트리글리세리드는,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 장력을 저하시켜, 액체에 대한 부직포의 배리어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트리글리세리드는, 섬유의 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 중에 이겨 넣어져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트리글리세리드로는, 포화 지방산 유래의 트리글리세리드,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트리글리세리드, 포화 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 유래의 트리글리세리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여도, 지방산의 탄소 원자수는 예를 들어 12 이상 24 이하로 할 수 있다. 액체에 대한 부직포의 배리어성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지방산의 탄소 원자수는 14 이상 2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이상 20 이하이다.
트리글리세리드는,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혹은 복수 종의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에는, 글리세리드로서 트리글리세리드만이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에 더하여 모노글리세리드 및/또는 디글리세리드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글리세리드로서 트리글리세리드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트리글리세리드는, 지방산 잔기의 탄소수가 조정된 것인 것이 특징이다. 그와 같은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함으로써, 액체에 대한 부직포의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트리글리세리드로서 아래의 (a) 또는 (b)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리드.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리드.
(a) 의 경우에는 2 종 이상의 복수 종의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한다. 복수 종의 트리글리세리드 중, 적어도 1 종은,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 (요컨대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 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1 개 함유하고 있다 (이 트리글리세리드를「트리글리세리드 16」이라고도 한다.). 트리글리세리드 16 은,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1 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글리세리드 16 은,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1 개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이 트리글리세리드를「트리글리세리드 P」라고도 한다.), 2 개 함유하고 있어도 되며 (이 트리글리세리드를「트리글리세리드 PP」라고도 한다.), 혹은 3 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트리글리세리드를「트리글리세리드 PPP」라고도 한다.).
또한, 트리글리세리드 P 및 트리글리세리드 PP 에 있어서의 나머지의 지방산 잔기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탄소수 12 이상 24 이하의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잔기일 수 있다.
트리글리세리드 16 은, 트리글리세리드 P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트리글리세리드 PP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혹은 트리글리세리드 PPP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트리글리세리드 16 은, 트리글리세리드 P, 트리글리세리드 PP 및 트리글리세리드 PPP 에서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트리글리세리드 16 은, 트리글리세리드 P 와 트리글리세리드 PP 의 조합, 트리글리세리드 P 와 트리글리세리드 PPP 의 조합, 트리글리세리드 PP 와 트리글리세리드 PPP 의 조합, 혹은 트리글리세리드 P 와, 트리글리세리드 PP 와 트리글리세리드 PPP 의 조합일 수 있다.
(a) 의 경우에 있어서의 복수 종의 트리글리세리드 중, 적어도 1 종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 (요컨대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 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1 개 함유하고 있다 (이 트리글리세리드를「트리글리세리드 18」이라고도 한다.). 트리글리세리드 18 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1 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글리세리드 18 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1 개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이 트리글리세리드를「트리글리세리드 S」라고도 한다.), 2 개 함유하고 있어도 되며 (이 트리글리세리드를「트리글리세리드 SS」라고도 한다.), 혹은 3 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트리글리세리드를「트리글리세리드 SSS」라고도 한다.).
또한, 트리글리세리드 S 및 트리글리세리드 SS 에 있어서의 나머지의 지방산 잔기의 종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탄소수 12 이상 24 이하의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잔기일 수 있다.
트리글리세리드 18 은, 트리글리세리드 S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트리글리세리드 SS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혹은 트리글리세리드 SSS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트리글리세리드 18 은, 트리글리세리드 S, 트리글리세리드 SS 및 트리글리세리드 SSS 에서 선택되는 2 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트리글리세리드 18 은, 트리글리세리드 S 와 트리글리세리드 SS 의 조합, 트리글리세리드 S 와 트리글리세리드 SSS 의 조합, 트리글리세리드 SS 와 트리글리세리드 SSS 의 조합, 혹은 트리글리세리드 S 와, 트리글리세리드 SS 와 트리글리세리드 SSS 의 조합일 수 있다.
(a) 의 경우에 있어서는, 트리글리세리드는, 트리글리세리드 16 및 트리글리세리드 18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트리글리세리드 16 및 트리글리세리드 18 에 더하여 다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트리글리세리드로는,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중 어느 것도 갖지 않는 트리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다.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P」라고 하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S」라고 하며, 그 이외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X」및「Y」라고 했을 경우,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조합은, PPX (즉 트리글리세리드 PP), SSX (즉 트리글리세리드 SS), PXY (즉 트리글리세리드 P) 및 SXY (즉 트리글리세리드 S) 중 어느 것이다. PPX, SSX, PXY 및 SXY 로 나타내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조는 아래의 (A) 내지 (J) 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화학식 2]
Figure pct00002
[화학식 3]
Figure pct00003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한층 높은 부직포를 얻는 관점에서는, 트리글리세리드 16 및 트리글리세리드 18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의 경우에는, 적어도 1 종류의 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트리글리세리드는 1 분자 내에,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 (요컨대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 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며 또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 (요컨대 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 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는 것이다. 특히, 트리글리세리드는, 1 분자 내에, 탄소 원자수 16 의 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며 또한 탄소 원자수 18 의 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는 것인 것이,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한층 높은 부직포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b) 의 경우에는,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P」라고 하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S」라고 하며, 그 이외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X」라고 했을 경우, 트리글리세리드를 구성하는 지방족기의 조합은, SSP, SPP, SPX 중 어느 것이다. 또한 SPX 로 나타내는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조는 아래의 (K) 내지 (M) 중 어느 것이다. SSP 및 SPP 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b) 의 경우에 있어서는, 트리글리세리드는, 1 분자 내에,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며 또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는 것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트리글리세리드는,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며 또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및 다른 글리세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트리글리세리드로는, 1 분자 내에,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중 어느 것도 갖지 않는 트리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다.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한층 높은 부직포를 얻는 관점에서는, 1 분자 내에,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며 또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적어도 1 개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a) 와 (b) 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글리세리드 PPP 와, 트리글리세리드 SSS 와, SPX 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트리글리세리드 PPP 와, 트리글리세리드 SSS 와, SSP 의 조합이나, 트리글리세리드 PPP 와, 트리글리세리드 SSS 와, SPP 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트리글리세리드 PPX 와, 트리글리세리드 SSX 와, 트리글리세리드 SPX 의 조합이나, 트리글리세리드 PPX 와, 트리글리세리드 SSX 와, 트리글리세리드 SSP 의 조합이나, 트리글리세리드 PPX 와, 트리글리세리드 SSX 와, 트리글리세리드 SPP 의 조합이나, 트리글리세리드 PXY 와, 트리글리세리드 SXY 와, 트리글리세리드 SPX 의 조합이나, 트리글리세리드 PXY 와, 트리글리세리드 SXY 와, 트리글리세리드 SSP 의 조합이나, 트리글리세리드 PXY 와, 트리글리세리드 SXY 와, 트리글리세리드 SPP 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서술한 (a) 및 (b) 중 어느 경우여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트리글리세리드는,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본 발명의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전혀 함유하지 않는 경우, 및 불가피적으로 소량의 불포화 지방산이 함유되는 경우의 쌍방을 포함한다. 불가피적으로 소량의 불포화 지방산이 함유되는 경우란, 예를 들어,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트리글리세리드에 포함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2 질량% 이하인 경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해서,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에 관해서는,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해서,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질량% 이상인 것이,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배리어성을 더욱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한층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상,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질량% 이상이다.
또 상기 비율은, 55 질량% 미만인 것이,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배리어성을 더욱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하이다.
상기 비율은, 1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5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고, 25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에 관해서는,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해서,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5 질량% 이상인 것이,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배리어성을 더욱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상, 한층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이다.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상이다.
또 상기 비율은, 90 질량% 미만인 것이,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배리어성을 더욱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65 질량% 이하이다.
상기 비율은, 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고, 55 질량% 이상 65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에 관해서는,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에 대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질량 비율 (C18/C16) 이 1.0 이상 15.0 이하인 것이, 액체에 대한 부직포의 배리어성을 한층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이점을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에 대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질량 비율 (C18/C16) 은, 1.2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3 이상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3 이상 2.7 이하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다.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한,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각각의 비율은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을 사용하여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존재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추출한다.
추출된 트리글리세리드에 있어서의 에스테르 결합을 알칼리로 가수분해시키고, 메틸에스테르화한 지방산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 분석한다.
또한, 트리글리세리드의 1 분자 중에 상이한 탄소수를 갖는 알킬 사슬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TOF-MS (비행 시간형 질량 분석법) 로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량 분포를 TOF-MS 에 의해서 측정하고, 1 분자의 분자량으로부터 분자 내에 상이한 탄소수를 갖는 알킬기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분자량이 동일한 화합물이고, 1 분자 중에 상이한 탄소수를 갖는 알킬 사슬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질량 분석계로서 탠덤 질량 분석계 (MS/MS) 로 판단할 수 있다. 1 개째의 질량 분리부에서 특정한 이온을 선택하고, 불활성 가스와 충돌시킴으로써 발생된 프래그먼트 이온을 2 개째의 질량 분리부에서 분리하고 검출함으로써 판별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a) 를 만족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및/또는 (b) 를 만족하는 트리글리세리드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1 질량% 이상 함유되는 것이,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배리어성을 더욱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한층 바람직하게는 9 질량% 이상이다.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율은, 30 질량% 이하인 것이, 방사성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 및 부직포의 바탕을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한층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며,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14 질량% 이하이다.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율은, 1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9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에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시키려면, 그 섬유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와 트리글리세리드를 용융 혼련하여, 그 열가소성 수지 중에 트리글리세리드를 이겨 넣는 방법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의하면, 열가소성 수지와 트리글리세리드를 용융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용융물을 방사하여 얻어진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가 제공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의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이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방법에 의해서 섬유에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시켜도 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이것을 대상으로 하여 측정된 펄스 NMR 의 완화 시간이 10 ㎲ (마이크로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완화 시간을 갖는 섬유는, 섬유의 내부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가 블리드 아웃되기 쉽기 때문에, 그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은 것이 된다. 블리드 아웃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정성을 바꾸는 수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한편으로 결정화도가 동등해도 블리드 아웃성에 차이가 발생되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블리드 아웃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 결정화도 외에, 완화 시간이 중요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이점을 한층 현저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 상기 완화 시간은 12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0 ㎲ 이상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다. 상기 완화 시간은 길면 길수록 트리글리세리드의 블리드 아웃이 촉진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완화 시간의 상한치에 제한은 없지만, 80 ㎲ 정도로 완화 시간이 길면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는 충분히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섬유에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시키는 비율이 적어도, 액체에 대한 부직포의 배리어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트리글리세리드가 블리드 아웃되는 것에 의한 폐해는 잘 일어나지 않는다.
펄스 NMR 의 완화 시간을 상기 서술한 범위로 설정하려면, 예를 들어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나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을 블렌드하여 사용하면 된다.
결정화도, 및 펄스 NMR 의 완화 시간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굵기는, 그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0 ㎛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섬유는 가늘수록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아지지만, 부직포의 제조가 곤란해지거나, 부직포의 제조 효율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현실적인 하한치는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5 ㎛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섬유의 굵기는, 부직포로부터 소편 샘플을 채취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무작위로 선출한 70 개의 섬유를 대상으로 하여 섬유 직경을 직접 측정한 평균치 (유효 숫자 2 자리수) 로 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은, 그 부직포의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0.2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1.0 g/㎡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겉보기 중량은 그 값이 클수록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아지지만, 질감이 저하되거나, 혹은 경제성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현실적인 상한치는 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0 g/㎡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은, 부직포의 중량을 부직포의 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적어도 1 ㎠ 이상의 면적을 갖는 샘플을 사용하여 겉보기 중량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의 바탕도 고려하여, 1 종류의 샘플을 3 개 이상 측정하고, 평균치를 그 샘플의 겉보기 중량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기 서술한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당해 섬유 및 그 이외의 섬유를 함유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본 발명의 부직포는, 당해 섬유 및 그 이외의 섬유의 혼면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혹은 당해 섬유만을 포함하는 층과, 그 이외의 섬유만을 포함하는 층의 적층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당해 섬유만을 포함하는 멜트 블론층과, 그 멜트 블론층의 각 면에 배치되며 또한 그 이외의 섬유만을 포함하는 스펀본드층의 적층체로 부직포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부직포는, 멜트 블론층과 스펀본드층을 갖고,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을 높이는 관점, 특히, 가압 상태에서의 액체의 삼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관점에서, 그 멜트 블론층이,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서술한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스펀본드층은 배리어성에 기여하는 정도가 낮은 점에서, 그 구성 섬유가 상기 서술한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스펀본드층은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지 않는 섬유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가 당해 섬유 및 그 이외의 섬유를 함유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부직포의 형태가 어떠한 것이어도, 액체에 대한 부직포의 배리어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특히 가압 상태에서의 액체의 삼출 방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부직포에서 차지하는 당해 섬유의 비율은 3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또 5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액체, 특히 물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은 점에서, 방수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용의 백 시트, 레그 커프 및 윙 등의 방루 시트, 우비 등의 방수 시트, 붕대, 창상 피복재, 의료용 격리 가운, 수술용 가운, 수술용 드레이프 및 커버, 수술모 등에 본 발명의 부직포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흡수성 물품용의 방루 시트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부직포 자체를 방루 시트로서 사용해도 되고, 혹은 그 부직포를 다른 시트 재료와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부직포를, 다양한 유체를 대상으로 한 여과 매체, 또는 그 일부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부직포를, 마스크등의 필터로서 사용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은, 특정한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를 갖는 부직포에 관한 것인 바,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한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도 제공된다. 이 발수제 조성물은 용융된 수지에 이겨 넣어지고, 그 수지로 성형되는 성형체에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발수제 조성물은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고, 그 트리글리세리드가 아래의 (a) 또는 (b) 를 함유하는 것이다.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본 발명의 발수제 조성물은 일 실시형태로서, 섬유 내에 함유되고, 그 섬유에 발수성을 부여하는 목적에서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이 내첨된 수지로 구성되는 섬유나 필름 등의 성형체에 있어서는, 찰과 등으로 그 성형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발수제 조성물이 탈락한 경우여도, 그 발수제 조성물이 성형체의 내부로부터 표면으로 블리드 아웃됨으로써, 원하는 발수성이 회복되는 점에서, 그 성형체 표면의 발수성을 장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 특히, 성형체를 구성하는 수지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특히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발수제 조성물의 블리드 아웃이 한층 확실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그 성형체의 발수성이 한층 확실하게 담보된다.
또, 본 발명의 발수제 조성물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우비, 붕대, 창상 피복재, 의료용 격리 가운, 수술용 가운, 수술용 드레이프 및 커버, 수술복, 수술모, 인공 피혁, 합성 피혁, 스웨이드, 우산, 텐트, 아웃도어 웨어 등을 구성하는 수지에 내첨되고, 이것들에 발수성을 부여하는 목적에서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발수제 조성물은, 섬유 형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용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섬유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올레핀 수지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것, 특히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것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 발수제 조성물의 블리드 아웃이 한층 확실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발수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부직포에 함유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동일하고, 그 부직포에 함유되는 트리글리세리드에 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추가로 아래의 부직포를 개시한다.
<1>
섬유 형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부직포.
<2>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1> 에 기재된 부직포.
<3>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것인,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부직포.
<4>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탄소 원자수 16 의 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것인, 상기 <3> 에 기재된 부직포.
<5>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6>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10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7>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2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5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8>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25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55 질량% 이상 65 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9>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만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0>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에 대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질량 비율이 1.0 이상 15.0 이하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1>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에 대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질량 비율이 1.3 이상 5.0 이하인,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2>
상기 섬유를 대상으로 하여 측정된 펄스 NMR 의 완화 시간이 10 ㎲ 이상인,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3>
상기 섬유의 섬유 직경이 0.1 ㎛ 이상 40 ㎛ 이하인,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4>
겉보기 중량이 0.2 g/㎡ 이상 50 g/㎡ 이하인,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5>
멜트 블론 부직포 또는 멜트 블론층을 갖는 복합 부직포인,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6>
상기 부직포가, 적어도 스펀본드층과 멜트 블론층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스펀본드층의 질량 비율이 5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이며,
상기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멜트 블론층의 질량 비율이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7>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인 상기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8>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함유되는, 상기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19>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9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함유되는, 상기 <18> 에 기재된 부직포.
<20>
상기 부직포에서 차지하는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의 비율이 3 질량% 이상인, 상기 <1>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1>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상기 <1>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2>
상기 섬유에 대한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5 질량% 이상 60 질량% 미만인, 상기 <21> 에 기재된 부직포.
<23>
상기 섬유에 대한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9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인, 상기 <22> 에 기재된 부직포.
<24>
멜트 블론층과 스펀본드층을 갖고,
상기 멜트 블론층이,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로 구성되는, 상기 <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
<25>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2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5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상기 <1> 에 기재된 부직포.
<26>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팜 극도 경화유인, 상기 <1> 에 기재된 부직포.
<27>
상기 섬유에 대한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5 질량% 이상 60 질량% 미만이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함유되는, 상기 <26> 에 기재된 부직포.
<28>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9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함유되는, 상기 <26> 또는 <27> 에 기재된 부직포.
<29>
상기 섬유에 대한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9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인, 상기 <26> 또는 <27> 에 기재된 부직포.
<30>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상기 섬유에 대한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의 비율이 5 질량% 이상 60 질량% 미만이며,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함유되는, 상기 <26> 에 기재된 부직포.
<31>
멜트 블론층과 스펀본드층을 갖고,
상기 멜트 블론층이,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로 구성되는, 상기 <28> 또는 <29> 에 기재된 부직포.
<32>
상기 멜트 블론층이,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로 구성되는, 상기 <31> 에 기재된 부직포.
<33>
열가소성 수지와 트리글리세리드를 용융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용융물을 방사 하여 얻어진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34>
상기 <1> 내지 <3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용의 방루 시트.
<35>
상기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직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
<36>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로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37>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36> 에 기재된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38>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것인, 상기 <36> 또는 <37> 에 기재된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39>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10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상기 <36> 내지 <3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40>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첨되는, 상기 <36> 내지 <3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41>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첨되는, 상기 <36> 내지 <4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42>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로서의 사용으로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
<43>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함유하지 않는, 상기 <42> 에 기재된 사용.
<44>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것인, 상기 <42> 또는 <43> 에 기재된 사용.
<45>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10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상기 <42> 내지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46>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첨되는, 상기 <42> 내지 <4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47>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첨되는, 상기 <42> 내지 <4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용.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는「질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1〕
본 실시예에서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발수제 조성물의 발수성을,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필름을 대상으로 하고, 아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 에 나타낸다.
(1) 수지의 제조
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Lyondellbasel 제조, HP461Y, 이하「호모 PP」라고 한다.) 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Exxo㎚obil 제조, Vistamaxx8880, 이하「랜덤 PP」라고 한다.) 와, 트리글리세리드의 질량비가 63/27/10 이 되도록 이것들을 계량하고, 라보 플라스토 밀 (토요 정기 제조) 에 투입하고, 180 ℃, 30 rpm 으로 10 분간 혼련하였다. 혼련 후, 수지 덩어리를 회수하였다. 또한, 랜덤 PP 에 있어서의 에틸렌의 비율은 8 % 였다.
사용된 트리글리세리드는, 팔미트산트리글리세리드와, 스테아르산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이었다. 혼합비는 아래의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2) 필름의 제조
라보 프레스 (토요 정기 제조) 에서, 수지 덩어리를 180 ℃, 100 kgf 로 1 분간 프레스한 후, 추가로 상온, 100 kgf 로 냉각 프레스를 1 분간 행하여, 필름을 제작하였다. 0.5 ㎜ 의 스페이서를 넣음으로써, 필름 두께를 0.5 ㎜ 로 조정하였다.
(3) 발수성의 평가
제작된 필름을 톨루엔 용액 50 mL 에 침지한 후, 필름 표면을 티슈 페이퍼로 닦아내고, 세정하였다. 세정 후의 필름을 전기 건조기에 넣고, 40 ℃ 에서 7 일간 보관하였다. 보관 후, 필름 표면의 접촉각을 접촉각계 (Drop Master500, 쿄와 계면 과학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법 : 액적법
·평가액 : 젖음 장력 시험액 (25 ℃ 의 표면 장력 : 35.0 mN/m 칸토 화학 제조)
·액적량 : 2 μL
·착적 10 초 후의 접촉각을, 시료편 1 장에 대해서 5 개 지점에서 측정하고, 5 방울의 평균치를 접촉각값으로 하였다.
〔실시예 1-2〕
팔미트산트리글리세리드와, 스테아르산트리글리세리드를, 표 1 에 나타내는 혼합비로 사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그 발수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3〕
트리글리세리드로서 팜 극도 경화유 (우에다 제유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그 발수성을 평가하였다. 이 트리글리세리드는 복수의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로서, 이 트리글리세리드에 있어서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탄소수 분포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실시예 1-4〕
트리글리세리드로서 트리스테아인산글리세릴 테크니컬 그레이드 (시그마 알드리치 제조) 를 사용하였다. 이 트리글리세리드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은,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그 발수성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5〕
트리글리세리드로서 하이에르신 유채종 경화액 (요코제키 유지 주식회사 제조) 을 사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그 발수성을 평가하였다. 이 트리글리세리드는 복수의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로서, 이 트리글리세리드에 있어서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탄소수 분포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 1-1〕
트리글리세리드로서 팔미트산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그 발수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1-2〕
트리글리세리드로서 스테아르산트리글리세리드를 사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그 발수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pct00006
표 1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필름은, 비교예의 필름에 비해서 평가액에 대한 접촉각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1〕
(1) 마스터 배치의 제조
호모 PP 와, 트리글리세리드의 질량비가 90/10 이 되도록 이것들을 계량하고, 2 축 압출기 (토요 정기 제조) 에 투입하여 혼련하고, 마스터 배치를 제작하였다.
사용된 트리글리세리드는, 실시예 1-3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하였다.
(2) 멜트 블론 부직포의 제조
얻어진 마스터 배치를 원료로, 멜트 블론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멜트 블론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 및 구성 섬유의 섬유 직경은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멜트 블론 부직포의 겉보기 중량은, 그 부직포로부터 무작위로 채취한 16 ㎝ × 16 ㎝ 의 측정편 10 장을 대상으로 하여 측정된 질량의 평균치를 0.0256 으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멜트 블론 부직포의 각 면에, 표 2 에 나타내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중첩하고, SMS 부직포를 얻었다.
〔실시예 2-2 내지 2-12〕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호모 PP 및 랜덤 PP 를 사용하였다. 호모 PP 와, 랜덤 PP 와, 트리글리세리드의 비율은 표 2 및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실시예 2-6 에 대해서는, 트리글리세리드로서 실시예 1-4 에서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7 에 대해서는, 트리글리세리드로서 실시예 1-5 에서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8 에 대해서는, 트리글리세리드로서 대두 극도 경화유를 사용하였다.
이것들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SMS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1〕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호모 PP 및 랜덤 PP 를 사용하였다. 트리글리세리드는 사용하지 않았다. 호모 PP 와 랜덤 PP 의 비율은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SMS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평가 1〕
실시예 2-1, 2-4, 2-6 및 2-7 그리고 비교예 2-1 에서 얻어진 SMS 부직포의 멜트 블론층에 대해서, 펄스 NMR 의 완화 시간을 아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 에 나타낸다.
·사용 장치 : Bruker 제조 the minispec mq20
·측정법 : Solid-echo 법
·90°펄스폭 : 2.1 마이크로초
·반복 시간 : 1 초
·적산 횟수 32 회
·측정 온도 : 30 ℃
·해석 방법 : 비선형 최소 이승법
시료를 시료관에 충전하고, 1H 의 T2 완화 시간을 측정하였다. 시료를 측정하여 얻어진 1 개의 완화 시간 피크로 대해서, 완화 시간이 상이한 성분을 파형 분리하여, 완화 시간이 짧은 성분 (S) 과 긴 성분 (L) 의 2 성분으로 나누어 검출하고, 각각의 성분의 프로톤 비율 H (S) [%], H (L) [%] 및, 완화 시간 T2 (S), T2 (L) 를 구하였다. 측정은 4 회 반복하고, 그것들의 평균치를 측정 결과로 하였다. 측정된 2 성분의 프로톤 비율 및 완화 시간을 사용하여, 아래의 식에 의해서 각 시료의 완화 시간으로 하였다.
완화 시간 [마이크로초] ={<H (S) ÷ 100> × T2 (S)}+{<H (L) ÷ 100> × T2 (L)}
〔평가 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SMS 부직포에 대해서, 액의 삼출 정도를 아래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 및 표 3 에 나타낸다.
여과지 (어드밴텍 토요 주식회사 제조, No.2, 직경 70 ㎜) 상에, SMS 부직포를 8 ㎝ × 8 ㎝ 로 재단한 것을 재치 (載置) 하였다. 재치된 부직포 상에, 건식 펄프 시트 (라이온 주식회사 제조, 리드 헬시 쿠킹 페이퍼 더블 (상품명), 겉보기 중량 40 g/㎡) 를 8 ㎝ × 8 ㎝ 로 재단한 것을 재치하였다.
건식 펄프 시트의 중앙부에, 1 g 의 젖음 장력 시험액 (25 ℃ 에 있어서의 표면 장력 : 35.0 mN/m) 을 스포이트에 의해서 주입하였다. 주입 후, 직경 60 ㎜ 의 아크릴 플레이트를 중첩하고, 그 위에 추를 재치하여 7 ㎪ 로 1 시간 가압하였다.
1 시간 경과 후, 추를 제거하고, 여과지에 삼출된 액의 면적을 화상 해석 장치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2 회 측정을 행하고, 여과지에 삼출된 액의 면적의 합계를 각 샘플의 삼출 면적으로 하였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표 2 및 표 3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SMS 부직포는, 소량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첨가로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2-1 과 실시예 2-2 ∼ 2-5 의 대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멜트 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 수지로서, 호모 PP 와 랜덤 PP 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호모 PP 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멜트 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에 대해서 랜덤 PP 의 질량비를 15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배합함으로써,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매우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9 ∼ 실시예 2-12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멜트 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에 트리글리세리드를 8 질량% 이상 18 질량% 이하 배합함으로써,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트리글리세리드를 9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배합함으로써,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매우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2-1 및 2-4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의 종류가 동일한 경우여도, 섬유의 완화 시간이 길어짐으로써 부직포의 배리어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실시예 2-4 와 실시예 2-6 ∼ 2-8 의 대비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2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5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의 트리글리세리드를 배합함으로써, 표면 장력이 낮은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매우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에 대한 배리어성이 종래보다 높은 부직포가 제공된다.

Claims (43)

  1. 섬유 형성능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를 포함하는,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함유하지 않는, 부직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것인, 부직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탄소 원자수 16 의 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것인, 부직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1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부직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10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부직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2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5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부직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25 질량% 이상 45 질량% 이하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55 질량% 이상 65 질량% 이하인, 부직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만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직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에 대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질량 비율이 1.0 이상 15.0 이하인, 부직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에 대한,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질량 비율이 1.3 이상 5.0 이하인, 부직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를 대상으로 하여 측정된 펄스 NMR 의 완화 시간이 10 ㎲ 이상인, 부직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섬유 직경이 0.1 ㎛ 이상 40 ㎛ 이하인, 부직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겉보기 중량이 0.2 g/㎡ 이상 50 g/㎡ 이하인, 부직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트 블론 부직포 또는 멜트 블론층을 갖는 복합 부직포인, 부직포.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적어도 스펀본드층과 멜트 블론층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스펀본드층의 질량 비율이 50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이며,
    상기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한 상기 멜트 블론층의 질량 비율이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부직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인 부직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함유되는, 부직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9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함유되는, 부직포.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에서 차지하는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의 비율이 3 질량% 이상인, 부직포.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부직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대한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5 질량% 이상 60 질량% 미만인, 부직포.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대한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9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인, 부직포.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트 블론층과 스펀본드층을 갖고,
    상기 멜트 블론층이,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상기 섬유에 함유되는 모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20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50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인, 부직포.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팜 극도 경화유인, 부직포.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대한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5 질량% 이상 60 질량% 미만이고,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함유되는, 부직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는, 그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에 대해서 9 질량% 이상 14 질량% 이하 함유되는, 부직포.
  29.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에 대한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9 질량% 이상 30 질량% 미만인, 부직포.
  30. 제 2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트 블론층과 스펀본드층을 갖고,
    상기 멜트 블론층이, 상기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상기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섬유로 구성되는, 부직포.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가,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부직포.
  32.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로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를 포함하는,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34. 제 32 항 또는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것인,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35. 제 32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10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36. 제 32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첨되는,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37. 제 32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첨되는,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
  38.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수지 내첨용 발수제 조성물로서의 사용으로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a)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와,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혼합물, 또는
    (b)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리드
    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불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함유하지 않는, 사용.
  40. 제 38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가,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 및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를 1 분자 내에 적어도 함유하는 것인, 사용.
  41. 제 38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리드에 함유되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탄소 원자수 16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10 질량% 이상 55 질량% 미만이고, 탄소 원자수 18 의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기의 비율이 45 질량% 이상 90 질량% 미만인, 사용.
  42. 제 38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 또는 저입체 규칙성 호모폴리프로필렌과,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첨되는, 사용.
  43. 제 38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랜덤 프로필렌 코폴리머와, 호모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내첨되는, 사용.
KR1020237011043A 2020-10-06 2021-10-05 부직포 및 그것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용의 방루 시트 KR202300804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69389 2020-10-06
JPJP-P-2020-169389 2020-10-06
JPJP-P-2021-046894 2021-03-22
JP2021046894 2021-03-22
PCT/JP2021/036872 WO2022075331A1 (ja) 2020-10-06 2021-10-05 不織布及びそ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用の防漏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412A true KR20230080412A (ko) 2023-06-07

Family

ID=81126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043A KR20230080412A (ko) 2020-10-06 2021-10-05 부직포 및 그것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용의 방루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227451A1 (ko)
JP (1) JP7058378B1 (ko)
KR (1) KR20230080412A (ko)
CN (1) CN116324058A (ko)
TW (1) TW202231948A (ko)
WO (1) WO202207533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0772A1 (en) 2009-06-25 2012-04-26 Fibertex A/S High barrier nonwoven
US20140272223A1 (en) 2013-03-15 2014-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s for articles of commerce
US20190070045A1 (en) 2016-03-09 2019-03-07 Fibertex Personal Care A/S High barrier nonwoven fabric
US20200129345A1 (en) 2014-09-10 2020-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Webs With Hydrophobic And Hydrophilic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8932B1 (ko) * 1967-11-04 1972-03-15
JP2004277467A (ja) * 2003-03-13 2004-10-07 Toray Ind Inc トレイ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トレイ
JP2009227931A (ja) * 2008-03-25 2009-10-08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成る成形品
US8026188B2 (en) * 2009-06-25 2011-09-27 Techmer Pm, Llc Hydrophobic additive for use with fabric, fiber, and film
JP6012190B2 (ja) * 2012-02-07 2016-10-25 旭化成株式会社 柔軟性に優れる長繊維不織布
JP6350222B2 (ja) * 2014-11-04 2018-07-04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透湿性フィルムおよび透湿性フィルム積層体
WO2016073724A1 (en) * 2014-11-06 2016-05-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rimped fiber spunbond nonwoven webs / laminat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0772A1 (en) 2009-06-25 2012-04-26 Fibertex A/S High barrier nonwoven
US20140272223A1 (en) 2013-03-15 2014-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s for articles of commerce
US20200129345A1 (en) 2014-09-10 2020-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Webs With Hydrophobic And Hydrophilic Layers
US20190070045A1 (en) 2016-03-09 2019-03-07 Fibertex Personal Care A/S High barrier nonwoven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75331A1 (ja) 2022-04-14
JP7058378B1 (ja) 2022-04-21
JPWO2022075331A1 (ko) 2022-04-14
TW202231948A (zh) 2022-08-16
CN116324058A (zh) 2023-06-23
EP4227451A1 (en)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9531B2 (en) Nonwoven webs with hydrophobic and hydrophilic layers
DE112018000618T5 (de) Geformtes Vlies
US9074303B2 (en) Fibers, nonwoven fabric and uses thereof
DE112018000607T5 (de) Geformtes Vlies
DE112017006311T5 (de) Geformtes Vlies
RU2719524C1 (ru) Фильерный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лист и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EP2902538A1 (en) Spun-bonded non-woven fabric
KR101852243B1 (ko)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용도
KR102106115B1 (ko) 폴리올레핀 섬유를 영구적으로 친수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36763B1 (ko)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CN104394816B (zh) 吸收性物品
DE112020001304T5 (de) Geformte vliese mit hoher visueller auflösung
DE112020001350T5 (de) Formgebungsbänder, die zur Herstellung von geformten Vliesstoffen verwendet werden, die eine visuelle Auflösung aufzeigen
EP0255701A2 (en) Surface materials for absorptive products
DE102006006396A1 (de) Verwendung von Triglyceriden als Weichmacher für Polyolefine
JP5127690B2 (ja) 繊維及び不織布
DE102014119334A1 (de) Zusammensetzung zur permanent-hydrophilen Ausrüstung von Textilfasern und Textilerzeugnissen
US10017898B2 (en) Use of a surfactant composition for the hydrophilic finishing of textile fibers and textile products manufactured therefrom
KR20230080412A (ko) 부직포 및 그것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용의 방루 시트
EP3237675A1 (de) Zusammensetzung zur permanent-hydrophilen ausrüstung von textilfasern und textilerzeugnissen
DE10034232A1 (de) Faser mit dauerhafter Hydrophilizität und diese enthaltende Textilien
EP0914512B1 (de) Verfahren zur hydrophilen ausrüstung von fasern oder vliesstoffen
KR102152392B1 (ko)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101427192B1 (ko) 내변색성이 뛰어난 내구 친수성 섬유 및 이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 성형체 및 흡수성 물품
JP2023129135A (ja) 吸収性物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