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0089A -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 Google Patents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0089A
KR20230080089A KR1020210167508A KR20210167508A KR20230080089A KR 20230080089 A KR20230080089 A KR 20230080089A KR 1020210167508 A KR1020210167508 A KR 1020210167508A KR 20210167508 A KR20210167508 A KR 20210167508A KR 20230080089 A KR20230080089 A KR 2023008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board
fingering
stroke
chord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5826B1 (ko
Inventor
채광묵
채정윤
Original Assignee
채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정윤 filed Critical 채정윤
Priority to KR102021016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826B1/ko
Priority to PCT/KR2022/017698 priority patent/WO2023096226A1/ko
Publication of KR2023008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10D1/085Mechanical design of electric guit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or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26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or seven segments displays associated with a key or other user input device, e.g. key indicator lights
    • G10H2220/036Chord indicators, e.g. displaying note fingering when several notes are to be played simultaneously as a chor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10H2220/17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using electrified strings, e.g. strings carrying coded or AC signals for transducing, sustain, fret length or fingering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20) 브릿지에 설치된 피크 감지용 6개 현(110)과, 스트로크나 핑거링시 각 현마다 구분하여 인식하는 센서(131)로된 스트로크감지부(130)를 수용하는 스트로크본체부(100);
스트로크본체부(100)에 지판(210)이 부가되며, 지판(210)에 현이 없고, 지판 표면에 버튼식 코드 누름용 코드운지부(220)와, 12개 단음 누름용 단음운지부(230)와, 코드음원 선택과 음속 조절을 위한 콘트롤기능부(240)가 형성된 지판키패드부(200);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인식하고, 콘트롤 기능부(240)에 연동하여 코드음원을 스피커(310)로 출력하는 콘트롤러(300)를 포함하며,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이다.

Description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Auto Guitar that combines the components of a chord name to complete the chord}
본 발명은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는 18세기 무렵까지는 프랑스의 라코트가 설계한 모양이 일반적이었고, 토레스와 산토스 에르난데스가 연주회장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기타는 도 1 의 통기타 형태와 도 2 의 일렉기타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기타 연주법은 오른손으로는 본체의 사운드홀(울림 구멍) 부분에서 6현을 손가락으로 스트로크나 핑거링 하고, 동시에 왼손으로는 악보를 보거나 코드를 암기하여 6현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12플렛 운지점을 손가락으로 코드를 잡으면서 가사대로 노래를 부른다.
기타의 코드구성음의 원리는 도 3 과 같이 피아노 건반의 계이름(도, 레, 미, 파, 솔, 라, 시)과 음이름(C, D, E, F, G, A, B)과 해당음의 코드구성음(1, 2, 3, 4, 5, 6, 7)을 기본 구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피아노와 같이 한 온타브에는 하얀 건반인 C, D, E, F, G, A, B 의 7음과, 검은 건반인 C#, D#, F#, G#, A# 의 5음을 가지며, 이를 기타에서는 플렛 위치마다 구분하여 12음을 구현토록 함과 동시에 다양한 코드를 운지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코드를 일일이 암기하여야 하므로 숙달을 요하며, 손가락이 짧거나 느린 사람은 익숙해지는데 많은 시간의 연습이 필요하며, 이에 더하여 코드 운지 시 현의 장력으로 인한 통증으로 운지가 어려워 기타 대중화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코드구성음에 의한 코드공식은 다음표와 같이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렇게 코드를 잡으면서 스트로크를 하는 기타는 국내공개특허10-2009-85005호와 같이 본체에 스트로크를 위한 6개의 현이 있고, 터치스크린에는 코드 변조를 위한 5개의 플렛을 터치식으로 변조시켜 해당 코드가 출력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사용상의 편리함은 있으나 기존 기타와 전혀 다른 구성이어서 적응하는데 불편하고, 기타라기 보다는 터치식 장남감 악기에 가깝다. 또한 지판에 줄이 없고 해당 플렛마다 운지를 인식하는 스위치가 설치된 구성이 국내특허공고10-1989-3412호로 개발되었으나, 6개의 현이 없을 뿐 운지점을 누르는 것은 동일하여서 손가락이 아프지 않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이성이 없다.
또한 코드를 위한 운지점을 엘이디로 미리 점등하여 알려주는 기타가 국내특허등록10-1677050호로 개발되었으나, 코드를 몰라도 기타를 칠 수 있다는 편리함은 있지만 연주할 곡의 코드 진행에 따라 코드의 내용을 연주 전에 미리 기타에 입력해 주어야하고 그 입력 내용이 재생될 때의 속도, 즉 스트로크 피치에 맞추어 운지점을 찾아 운지하는 것이 번거롭고 오히려 사용에 불편한 점을 초래하여 실용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위한 스트로크본체부를 두고, 본체의 선단에는 지판에 코드표기법 상의 구성 요소 즉,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버튼이 나열된 지판키패드를 두고, 지판의 해당버튼을 조합하여 누르면 완성된 코드가 콘트롤러를 통하여 인식되고, 인식된 코드화음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위한 스트로크본체부를 두고, 본체의 선단에는 지판에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버튼이 나열된 지판키패드를 두고,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버튼은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동시에 누르도록 분산 배열되어 조합형으로 코드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위한 스트로크본체부를 두고, 본체의 선단에는 지판에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버튼이 나열된 지판키패드를 두고, 본체와 지판은 힌지부로 결합하고, 본체 후면에는 지판홈을 두어 지판을 접어 본체 후면의 지판홈에 수용되도록 하여 지판 길이를 줄여 보관 및 이동의 편리성을 갖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에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위한 스트로크본체부를 두고, 본체의 선단에는 지판에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버튼을 눌러 운지하는 지판키패드를 두고, 지판의 해당버튼을 조합하여 누르면 완성된 코드가 콘트롤러를 통하여 인식되고, 인식된 코드화음은 음원표의 선택이나 해당 음원 및 선택 피치로 모듈에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은 본체 브릿지에 설치된 피크 감지용 현과, 스트로크나 핑거링시 이를 인식하는 센서로된 스트로크감지부를 수용하는 스트로크본체부;
스트로크본체부에 지판이 부가되며, 지판에 현이 없고, 지판 표면에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여 연주토록 하는 지판키패드부;
스트로크감지부에서의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인식하고, 콘트롤 기능부에 연동하여 지판키패드부에서 운지한 해당 코드음원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은 본체에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위한 스트로크본체부를 두고, 본체의 선단에는 지판에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버튼이 나열된 지판키패드부를 두고, 지판의 해당버튼을 조합하여 누르면 완성된 코드가 콘트롤러를 통하여 인식되고, 인식된 코드화음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위한 스트로크본체부를 두고, 본체의 선단에는 지판에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버튼이 나열된 지판키패드부를 두고,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버튼은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동시에 누르도록 분산 배열되어 조합형으로 코드를 완성할 수 있어 초보자라도 쉽게 운지 가능한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위한 스트로크본체부를 두고, 본체의 선단에는 지판에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버튼을 눌러 운지하는 지판키패드부를 두고, 본체와 지판은 힌지부로 결합하고, 본체 후면에는 지판홈을 두어 지판을 접어 본체 후면의 지판홈에 수용되도록 하여 지판 길이를 줄여 보관 및 이동의 편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본체에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위한 스트로크본체부를 두고, 본체의 선단에는 지판에 주음버튼과 반음버튼이나 코드명이 나열된 지판키패드부를 두고, 지판의 해당버튼을 조합하여 누르면 완성된 코드가 콘트롤러를 통하여 인식되고, 인식된 코드화음은 음원표의 선택이나 해당 음원 및 선택 피치로 모듈에서 스피커로 출력가능한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를 제공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기타의 구성 명칭을 표기한 사시도,
도 2 는 전자기타의 명칭을 표기한 사시도,
도 3은 피아노 건반에 코드구성음을 표기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판키패드부를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힌지축을 보인 요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판을 접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지판을 접은 저면 사시도,
도 10은 탄현감지부를 보인 요부사시도,
도 11은 본체 덮개를 생략한 요부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코드키패드부와 대응 손가락을 보인 설명도,
도 13은 기타 코드표,
도 14는 본 발명의 운지 가능한 코드표,
도 15는 본 발명의 제어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에로는 도 4 , 도 6, 도 11과 같이, 본체(120) 브릿지에 설치된 피크 감지용 현(110)과, 스트로크나 핑거링시 이를 인식하는 센서(131)로된 스트로크감지부(130)를 수용하는 스트로크본체부(100);
스트로크본체부(100)에 지판(210)이 부가되며, 지판(210)에 현이 없고, 지판 표면에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여 연주토록 하는 지판키패드부(200);
스트로크감지부(130)에서의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인식하고, 콘트롤 기능부(240)에 연동하여 지판키패드부(200)에서 운지한 해당 코드음원을 스피커(310)로 출력하는 콘트롤러(3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지판키패드부(200)의 대응버튼은 버튼식 코드 누름용 코드운지부(220)와, 12개 단음 누름용 단음운지부(230)와, 코드음원 선택과 음속 조절을 위한 콘트롤기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코드운지부(220)는 C,D,E,F,G,A,B의 주음코드를 검지로 선택하는 주음버튼(222)으로 이루어진 주음부(221)와,
주음부(221)에 이어지는 반음코드(#,b)를 지정하며 반음버튼(224)을 중지로 선택하도록 주음부(221) 인근에 배치된 반음부(225)와,
주음부(221)나 반음부(225)의 하위에 이어지는 코드명버튼(226)을 약지로 선택하도록 반음부(225) 인근에 배치된 제1코드명부(227)와,
주음부(221)나 반음부(225)나 제1코드명부(227)의 하위에 이어지는 코드명버튼(228)을 소지로 선택하도록 제1코드명부(227) 인근에 배치된 제2코드명부(229)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 도 7, 도 8, 및 도 9와 같이, 스트로크본체부(100)와 지판키패드부(200)의 지판(210)은 힌지부(140)로 힌지 결합되며, 스트로크본체부(100) 후면에는 지판키패드부(200)를 힌지부(140)에서 접어 보관하는 지판홈(150)을 형성한다.
상기 힌지부(140)는 스트로크본체부(100)의 선단에 고정된 힌지축(141)과, 상기 힌지축(141)에 힌지결합 가능토록 형성된 힌지홀(143)을 포함하며, 힌지축(141)에는 지판키패드부(200)의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홀(142)을 형성하고;
스트로크본체부(100) 선단은 힌지축(141)을 양단에서 고정하는 고정벽(145)과, 고정벽(145) 사이에 지판연결부(212)가 힌지 기능을 가능토록 형성한 지판연결부홈(147)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지판키패드부(200)를 이루는 지판(210)은 고정식(도 4, 6, 10, 11의 실시예 1 )과 접이식(도 5, 7, 8, 9의 실시예 2 라 함)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스트로크본체부(100)와 지판키패드부(200)의 지판(210)이 도 7내지 도 9와 같이 힌지부(140)로 힌지 결합되며, 스트로크본체부(100) 후면에는 지판키패드부(200)를 힌지부(140)에서 접어 보관하는 지판홈(150)을 형성한다.
상기 힌지부(140)는 도 7에 보인 스트로크본체부(100)의 선단에 고정된 힌지축(141)과, 상기 힌지축(141)에 힌지결합 가능토록 도 8에 점선으로 표기한 힌지홀(143)을 포함하며, 힌지축(141)에는 지판키패드부(200)의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홀(142)을 형성하고;
스트로크본체부(100) 선단은 힌지축(141)을 양단에서 고정하도록 도 7에 보인 고정벽(145)과, 고정벽(145) 사이에 지판연결부(212)가 힌지 기능을 가능토록 형성한 지판연결부홈(147)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구성의 간편성을 위해 지판키패드부9200)와 힌지부(14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사상과 다르지 않다.
본 발명은 실시예 1 과 실시예 2 공히 코드운지부(220)를 포함하며, 코드운지부(220)는 도 6 과 같이 C,D,E,F,G,A,B의 코드의 대응버튼이고 주음을 검지로 선택하는 주음버튼(222)으로 이루어진 주음부(221)와,
주음부(221)에 이어지는 반음코드(#,b)의 대응버튼인 반음버튼(224)을 중지로 선택하도록 주음부(221) 인근에 배치된 반음부(225)와,
주음부(221)나 반음부(225)의 하위에 이어지는 대응버튼인 코드명버튼(226)을 약지로 선택하도록 반음부(225) 인근에 배치된 제1코드명부(227)와,
주음부(221)나 반음부(225)나 제1코드명부(227)의 하위에 이어지는 대응버튼인 코드명버튼(228)을 소지로 선택하도록 제1코드명부(227) 인근에 배치된 제2코드명부(229)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지판키패드부(200)를 이루는 단음운지부(230)는 도 6과 같이 12개의 단음(C, C#, D, D#, E, F, F#, G, G#, A, A#, B)을 선택하는 대응버튼인 단음버튼(232)을 각각 구비한다. 사용시 본 발명의 연주자가 해당 대응버튼인 단음버튼(232)을 누르면 단음운지부(230)에서 도 15에 보인 콘트롤러(300)의 통신제어부(303)를 통해 인식하여 음원부(340)에서 해당음을 선택하여 디지탈아날로그변환부 (30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오디오앰프(330)를 거쳐 스피커(310) 등으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스트로크감지부(130)에서 탄현된 현(110)의 작동은 센서(131)에서 인식하여 증폭한 것을 아날로그디지탈변환부(302)에서 변환되면 콘트롤러(300)는 해당 현마다 각각의 옥타브로 인식하고, 디지탈아날로그변환부(301)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 다음 오디오앰프(330)에서 증폭시켜 스피커(310)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통신제어부(303)에 의하여 작동하는 통신모듈(350)은 블루투스, Wifi 등 표준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로 작곡이나 레코딩시에 미디 입력장치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의 기능과 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능적 원리는 코드를 손가락으로 해당 플렛의 현을 눌러 코드를 구현하는 방식이 아니라, 운지하고자 하는 코드명과 일치하도록 코드를 이루는 주음부터 순서대로 해당 대응버튼을 눌러 조합형태로 코드를 선택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멜로디용 음 선택 대응버튼인 단음버튼(232)으로 이루어진 단음운지부(230)와; 코드용 대응버튼인 주음버튼(222)으로 이루어진 주음부(221)와, 대응버튼인 반음버튼(224)으로 이루어진 반음부(225)와, 대응버튼인 코드명버튼(226)으로 이루어진 제1코드명부(227)와, 대응버튼인 코드명버튼(228)으로 이루어진 제2코드명부(229)로 이루어진 코드키패드부(220)와; 음원선택과 속도선택을 위한 대응버튼인 콘트롤버튼(242)으로 이루어진 콘트롤기능부(240)가 분리되어 손가락으로 운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 지판키패드부(200)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분이 편리한 이유는 악보에는 화성이 변경되는 위치의 오선보 윗쪽에 코드명이 표기(Am, C#m7, Dsus4 등…) 되어 있는 것에 기인한다.
즉, 본 발명의 기타에는 코드폼 암기 없이 코드를 운지할 수 있도록 대응버튼형의 지판키패드부(200)를 완성하였다.
코드를 선택하는 대응버튼을 구비한 키패드는 지판키패드부(200)로 구현하며, 이는 코드의 네이밍 문자의 순서대로 왼손의 각 손가락 마다 의미를 두어 고정적으로 도 12와 같이 담당토록 한다.
도 12에 보인 검지로는 A, B, C, D, E, F, G 코드의 주음(root)을 표기하도록 도 6 에 보인 대응버튼인 주음버튼(222)을 운지하고, 중지의 운지 여부에 따라 최종 주음을 결정한다.
도 12에 보인 중지로는 #, b 코드의 반음을 선택하도록 표기한 대응버튼인 반음버튼(224)을 운지한다.
도 12에 보인 약지로는 m, M, sus4, dim, aug (m,M 동시 운지 가능) 코드명을 선택하는 대응버튼인 코드명버튼(226)을 눌러(운지하여) 소지 코드명 부분이 없으면 코드를 조합식으로 완성한다.
도 12에 보인 소지로는 7, 5, 9, 6 (7,5동시 운지 가능) 코드명을 선택하는 대응버튼인 코드명버튼(228)을 눌러(운지하여) 코드를 조합식으로 완성한다.
예를들어, C#m7 인 경우 손가락 1번(검지)으로 'C' 주음버튼(222)을, 2번(중지)으로 '#' 반음버튼(224)을, 3번(약지)으로 'm' 코드명버튼(226)을, 4번(소지)으로 '7' 코드명버튼(228)을 동시에 누르면 된다.
F7인 경우는 손가락 1번(검지)으로 'F' 주음버튼(222)을, 4번(소지)으로 '7' 코드명버튼(228)을 동시에 누르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론적으로 음악적으로 의미가 있는 12 key((C, C#, D, D#, E, F, F#, G, G#, A, A#, B)) x 16 코드명 (Major, Minor, m7, M7, mM7, 7, m7-5, 7+5, sus4, 7sus4, dim, aug, 6, m6, 9, M9) = 192 종의 코드를 제공하므로, 도 13에서의 일반적인 요구수준의 기타코드표 구현을 도 14와 같이 운지하여 구현 가능하고, '이명동음코드'를 각각 분리해 계산하면 코드명으로는 272종의 코드를 운지 가능하게 된다.
기타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도 13에 보인 일반적인 요구수준의 기타코드표와 같은 기타 코드 폼을 미리 암기하고 있어야 하고, 이는 기타를 배우는 사람에게 높은 장벽이 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가 된다. 워낙 많은 종류의 코드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같은 이름의 코드라 할지라도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 코드 폼이 존재하여 실제로 모든 코드를 다 알고 있는 연주자는 없다고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은 기타 연주에 절대적인 선결 조건인 코드 암기에 대한 스트레스 없이 누구나 쉽게 기타를 접근하고 배울 수 있도록 모든 코드를 암기 없이 왼손가락으로 구분하여 코드명을 주음부터 차례로 대응 버튼을 눌러 운지하는 것만으로 음악적으로 유효한 대부분의 코드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코드음은 콘트롤러(300)를 통하여 인식되어 스피커(310)나 이어폰 또는 다른 라인아웃단자로로 코드음을 출력하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코드명 표기상의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대응 버튼이 배열된 지판키패드(200)를 제공하여 코드 암기가 필요 없도록 하였다.
또한 코드명을 구성하는 각 요소를 분석하도록 대응버튼을 구분하여 해당 손가락에 효과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모든 코드들에 대하여 손가락마다 대응되는 대응 버튼을 눌러 통일된 운지가 가능함으로써 단 기간에 빠르게 자판의 위치와 짚는 방법을 습득할 수 있게된다. 1,3,5도로 구성된 3부화성을 기본으로 하는 고전음악 뿐만 아니라 1,3,5,7로 구성된 4부화성이 기본이 되는 가능한 현대음악의 대부분의 코드들도 모두 운지할 수 있도록 지판키패드(200)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코드 스트로크와 별도로 멜로디 연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한 옥타브를 구성하는 반음간격의 12 음을 모두 단음운지부(230)에 단음버튼(232)으로 제공하여, 콘트롤러(300)가 이를 인식하여 음원부(340)에서 해당 음원을 찾아 스피커(310)로 출력시켜 멜로디 음을 연주할 수 있고, 이 때 1번 줄 ~ 6번 줄이 각각의 옥타브를 감당하도록, 스트로크감지부(130)의 해당 현(110)의 탄현을 대응 센서(131)로 인식하고, 이를 콘트롤러(300)에서 해당 옥타브로 인식토록 함으로써 최대 6옥타브의 넓은 음역을 스피커(310)로 출력시켜 단음으로도 연주할 수 있게된다. 이는 일반 기타 뿐만 아니라 베이스 기타의 낮은 음역 및 우크렐레의 높은 음역도 포함하므로 베이스 기타 및 우크렐레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짐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악기의 샘플링 음 테이블을 음원부(340)에 저장하여 베이스기타, 나일론 기타, 스틸 기타, 일렉기타, 우크렐레 등 여러 종류의 악기 음을 전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타로 연주 가능한 음역, 즉 총 3옥타브에 해당하는 모든 음을 한 음 한 음 모두 구비한 기존의 전통적인 기타와는 달리, 한 옥타브의 구성음인 12 개의 음에 대한 대응버튼으로 된 단음운지부(230) 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같은 음을 내는 데에 여러 블록이 존재하는 기존 기타에 비하여 연주의 다양성은 제한되는 대신에 훨씬 습득하기 쉽고 일관되는 연주 방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기타와의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코드 스트로크 및 분산화음 등의 연주 시에는 연주 방법이 기존의 기타와 테크닉적으로 거의 유사하지만, 단음을 연주할 때는 기존의 기타와 연주 방식이 완전히 달라지므로 전통적인 기타와 모양은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새로운 악기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타 초보자가 어려워하는 분야 중 하나인 조율부분에 대해서도 현의 울림이 음의 높이를 직접 결정하지 않고 음의 시작 시점과 강도만 결정할 뿐, 이 후에 입력을 분석하여 미리 음원부(340)에 내장된 WaveTable 혹은 음원 모듈의 음을 재생해 주는 방식이므로 언제나 정확한 음정의 음을 내므로 조율이 틀어질 염려가 전혀 없어서 현악기 임에도 불구하고 조율이 불필요 하게된다.
본 발명의 효과로 기타의 6현이 넥과 바디 전반에 걸쳐서 길게 존재해야 하는 기존의 기타와 달리 본 발명의 기타는 탄현(혹은 피크를 사용한 스트로크)을 위한 부위의 짧은 영역만 현이 존재하면 되므로 몸통과 지판 부위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접는(폴딩) 기타 형태로 도 7내지 8과 같이 구현이 가능해짐으로써 기타의 수납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예시는 접는 기타를 구현하면 전제 사이즈가 A4사이즈 정도로 작아져서 일반 서류가방이나 백팩에 넣어가지고 다닐 수 있어서 이동성이 대폭 증대된다.
100;스트로크본체부 110;현 111;전방브릿지 112;뮤트스폰지 113;후방브릿지 120;본체 130;스트로크감지부 131;센서 140;힌지부 141;힌지축 142;전선통과홀 143;힌지홀 145;고정벽 147;연결부홈 150;지판홈 200;지판키패드부 210;지판 212;지판연결부 220;코드운지부 222;주음버튼 224;반음버튼 225;반음부 226;코드명버튼 227;제1코드명부 228;코드명버튼 229;제2코드명부 230;단음운지부 232;단음버튼 240;콘트롤기능부 242;콘트롤버튼 300;콘트롤러 310;스피커

Claims (6)

  1. 본체(120) 브릿지에 설치된 피크 감지용 현(110)과, 스트로크나 핑거링시 이를 인식하는 센서(131)로된 스트로크감지부(130)를 수용하는 스트로크본체부(100);
    스트로크본체부(100)에 지판(210)이 부가되며, 지판(210)에 현이 없고, 지판 표면에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여 연주토록 하는 지판키패드부(200);
    스트로크감지부(130)에서의 스트로크나 핑거링을 인식하고, 콘트롤 기능부(240)에 연동하여 지판키패드부(200)에서 운지한 해당 코드음원을 스피커(310)로 출력하는 콘트롤러(300)를 포함하며,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2. 제 1항에 있어서, 지판키패드부(200)의 대응버튼은 버튼식 코드 누름용 코드운지부(220)와, 12개 단음 누름용 단음운지부(230)와, 코드음원 선택과 음속 조절을 위한 콘트롤기능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3. 제 2 항에 있어서, 코드운지부(220)는 C,D,E,F,G,A,B의 주음코드를 검지로 선택하는 주음버튼(222)으로 이루어진 주음부(221)와,
    주음부(221)에 이어지는 반음코드(#,b)를 지정하며 반음버튼(224)을 중지로 선택하도록 주음부(221) 인근에 배치된 반음부(225)와,
    주음부(221)나 반음부(225)의 하위에 이어지는 코드명버튼(226)을 약지로 선택하도록 반음부(225) 인근에 배치된 제1코드명부(227)와,
    주음부(221)나 반음부(225)나 제1코드명부(227)의 하위에 이어지는 코드명버튼(228)을 소지로 선택하도록 제1코드명부(227) 인근에 배치된 제2코드명부(229)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4.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로크본체부(100)와 지판키패드부(200)의 지판(210)은 힌지부(140)로 힌지 결합되며, 스트로크본체부(100) 후면에는 지판키패드부(200)를 힌지부(140)에서 접어 보관하는 지판홈(15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5. 제 4 항에 있어서, 힌지부(140)는 스트로크본체부(100)의 선단에 고정된 힌지축(141)과, 상기 힌지축(141)에 힌지결합 가능토록 형성된 힌지홀(143)을 포함하며, 힌지축(141)에는 지판키패드부(200)의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통과홀(142)을 형성하고;
    스트로크본체부(100) 선단은 힌지축(141)을 양단에서 고정하는 고정벽(145)과, 고정벽(145) 사이에 지판연결부(212)가 힌지 기능을 가능토록 형성한 지판연결부홈(1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6.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20) 브릿지에 설치된 피크 감지용 현(110)은 6개 이며, 스트로크감지부(130) 는 스트로크나 핑거링시 인식하는 센서(132)는 각 현마다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KR1020210167508A 2021-11-29 2021-11-29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별로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조합하는 오토기타 KR102635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08A KR102635826B1 (ko) 2021-11-29 2021-11-29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별로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조합하는 오토기타
PCT/KR2022/017698 WO2023096226A1 (ko) 2021-11-29 2022-11-11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7508A KR102635826B1 (ko) 2021-11-29 2021-11-29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별로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조합하는 오토기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0089A true KR20230080089A (ko) 2023-06-07
KR102635826B1 KR102635826B1 (ko) 2024-02-08

Family

ID=8653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7508A KR102635826B1 (ko) 2021-11-29 2021-11-29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별로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조합하는 오토기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5826B1 (ko)
WO (1) WO202309622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046A (ja) * 2003-09-04 2005-03-24 Takara Co Ltd ギター玩具
JP2005099174A (ja) * 2003-09-22 2005-04-14 Yamaha Corp 和音演奏楽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5070B2 (en) * 2002-07-12 2006-12-05 Thurdis Developments Limited Digital musical instrument system
KR101817012B1 (ko) * 2016-08-25 2018-01-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동작감지 센서를 구비한 기타
EP3985659A4 (en) * 2019-06-12 2023-01-04 Instachord Corp. CHORD PLAY INPUT DEVIC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CHORD PLAY INPUT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046A (ja) * 2003-09-04 2005-03-24 Takara Co Ltd ギター玩具
JP2005099174A (ja) * 2003-09-22 2005-04-14 Yamaha Corp 和音演奏楽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226A1 (ko) 2023-06-01
KR102635826B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1350B1 (e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H04333887A (ja) 教育、伴奏および練習用の電子楽器
US8669458B2 (en) Stringed instrument with keyboard
MX2014000912A (es) Dispositivo, método y sistema para producir música.
US20150206521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music
US3943811A (en) Keyboard type musical instrument
US20080173163A1 (en) Musical instrument input device
MXPA01007422A (es) Entonaciones en escala musical bicameral y grabaciones hechas a partir de las mismas.
US3776089A (en) Musical instrument, similar to the accordion and the like, for easily producing rapid harmonic sequences
KR102635826B1 (ko)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별로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조합하는 오토기타
Kachian Composer's desk reference for the classic guitar
KR102341491B1 (ko) 교육용 현악기
Riddle Arranged by Nelson Riddle
JP3804500B2 (ja) 楽譜編集装置
Harnsberger Essential dictionary of music
JP4131220B2 (ja) 和音演奏楽器
JPS62264098A (ja) 電子楽器
KR100382079B1 (ko)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42282B1 (ko) 기타 연주시스템과 이를 위한 연주용 기타 및 기타 연주정보 표시방법
JP2000172253A (ja) 電子楽器
McGuire et al. The instruments
JPH0863166A (ja) キーボード式電子弦楽器
Bay Glossary of Guitar Terms
JP4144459B2 (ja) 楽器
JP3434403B2 (ja) 電子楽器の自動伴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