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079B1 -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079B1
KR100382079B1 KR10-2000-0038862A KR20000038862A KR100382079B1 KR 100382079 B1 KR100382079 B1 KR 100382079B1 KR 20000038862 A KR20000038862 A KR 20000038862A KR 100382079 B1 KR100382079 B1 KR 10038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screen
pen
keyboard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707A (ko
Inventor
이홍재
Original Assignee
이홍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재 filed Critical 이홍재
Priority to KR10-2000-003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0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0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3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 G10H2220/015Musical staff, tablature or score displays, e.g. for score reading during a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10H2220/24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on touchscreens, i.e. keys, frets, strings, tablature or staff displayed on a touchscreen display for note input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입력펜을 통해 정보를 입력받고, 화면상의 음악 부분을 터치하여 음악이 입력되도록 하는 펜입력부와; 상기 펜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처리된 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향이 재생되도록 하는 음향재생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함으로써, 펜 PC 기술을 응용하여 소형 포켓 수첩 형태의 휴대 정보단말 장치에서 악보 작성과 악보음 재생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ing music}
본 발명은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펜 PC 기술을 응용하여 소형 포켓 수첩 형태의 휴대 정보단말 장치에서 악보 작성과 악보음 재생 기능을 구현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정보단말 장치는 함께 제공되는 입력펜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정보를 검색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사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정보단말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기능이 부가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펜을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 펜입력부(1)와; 상기 펜입력부(1)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에서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3)와; 상기 제어부(2)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표시부(4)와; 상기 제어부(2)와 연결되어 휴대 정보단말 장치를 PC와 연결시키는 PC 연결부(5)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 정보단말 장치는 통상 한 손으로 몸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각종 버튼을 입력펜을 이용하여 조작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정보단말 장치는 전화번호나 메모 내용 등과 같은 텍스트 정보를 주로 입력할 뿐 음악을 입력하고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펜 PC 기술을 응용하여 소형 포켓 수첩 형태의 휴대 정보단말 장치에서 악보 작성과 악보음 재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화면표시부의 상세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연주방식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악기음색연주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며,
도 7은 도 4에서 메트로놈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고,
도 8은 도 4에서 음량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며,
도 9는 도 4에서 악보표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4에서 가사입력을 보인 상세흐름도이며,
도 11은 도 4에서 화음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출력예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펜입력부 20 : 제어부
30 : 데이터저장부 40 ; 음향재생부
50 : 출력부 51 : 화면표시부
52 : 프린터출력부 53 : 스피커출력부
54 : 이어폰출력부 60 : PC연결부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펜을 통해 정보를 입력받고, 화면상의 음악 부분을 터치하여 음악이 입력되도록 하는 펜입력부(10)와; 상기 펜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30)와;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처리된 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향이 재생되도록 하는 음향재생부(40)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참조번호 60은 상기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를 PC와 연결시키는 PC 연결부이다.
상기에서 데이터저장부(20)는, 노래가 수록된 탈착식 하드웨어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출력부(50)는, 상기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화면표시부(51)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린터출력부(52)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처리되어 상기 음향재생부(40)에서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스피커출력부(53)와; 상기 제어부(20)에서 처리되어 상기 음향재생부(40)에서 재생된 음악 데이터를 이어폰으로 출력시키는 이어폰출력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서 화면표시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따라서 상기 화면표시부(50)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음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부(71)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악보를 표시하는 악보표시부(72)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건반 또는 자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건반/자판표시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음악 기능이 선택되었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ST1)와; 상기 음악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일반 정보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단계(ST2)와; 상기 음악 기능이 선택되면, 음악 기능의 선택에 의한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제 3 단계(ST3)와; 상기 제 3 단계 수행 후 펜으로 화면상의 건반/자판을 선택하여 음악을 입력하게 하는 제 4 단계(ST4)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입력된 음악 또는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제 5 단계(ST5)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5는 도 4에서 연주방식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연주방식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어떤 연주방식을 선택하였는지 판별하는 단계(ST11)와; 상기 연주방식이 건반악기이면, 건반악기 음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12)와; 상기 연주방식이 현악기이면, 현악기 음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13)와; 상기 연주방식이 관악기이면, 관악기 음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14)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6은 도 5에서 악기음색연주를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따라서 상기 악기음색으로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12 ~ ST14)는, 기능의 악기가 선택되면, 건반/자판표시부(73)에서 미리 설정한 첫 번째 악기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별하는 단계(ST21 ~ ST23)와; 상기 일정시간이경과하기 이전에 기능의 악기가 다시 선택되면, 기능표시부(71)에서 선택가능한 악기종류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T24)(ST25)와;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악기를 펜으로 선택하면, 상기 건반/자판표시부(73)에서 선택된 악기를 화면상에 출력하게 하는 단계(ST26)(ST27)와; 상기 화면상에 출력된 악기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28)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7은 도 4에서 메트로놈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메트로놈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메트로놈이 한번 선택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T31)(ST32)와; 상기 메트로놈이 한번 선택되었으면, 화면표시부(51)에서 연주속도의 눈금을 화면상에 출력하게 한 다음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속도의 눈금이 선택되는지 판별하는 단계(ST33)(ST34)와;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속도 눈금이 펜으로 선택되면, 선택된 연주속도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35)와;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속도 눈금이 펜으로 선택되지 않으면, 일정시간 경과 후 미리 설정한 연주속도로 음악이 자동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3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8은 도 4에서 음량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음량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음량이 선택되었는지 판별하여 기능표시부(71)에서 화면상에 연주음량의 눈금을 출력하고,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음량의 눈금이 선택되는지 판별하는 단계(ST41 ~ ST44)와;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음량의 눈금이 선택되면, 선택된 연주음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45)와;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음량의 눈금이 선택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한 연주음량으로 자동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4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9는 도 4에서 악보표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악보표가 펜에 의해 선택되면, 기능표시부(71)에서 화면상에 악보표들을 출력하는 단계(ST51)(ST52)와; 상기 출력된 악보표들 중에서 하나를 펜으로 선택하면, 악보표시부(72)에서 선택된 악보표를 화면상의 악보에 표시하여 표시된 악보표에 따라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54)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10은 도 4에서 가사입력을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가사가 펜에 의해 선택되면, 건반/자판표시부(73)에서 자판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ST61)(ST62)와; 상기 화면상에 출력된 자판이 펜으로 선택되면, 악보표시부(72)에서 선택된 자판의 키 값을 화면의 악보상에 출력하는 단계(ST63)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도 11은 도 4에서 화음선택을 보인 상세흐름도이다.
따라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화음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화음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별하여 기능표시부(71)에서 화면상에 화음종류를 출력하는 단계(ST71 ~ ST73)와; 상기 출력된 화음종류 중 하나가 펜에 의해 선택되면 악보표시부(72)에서 선택된 화음을 화면상의 악보에 표시하게 하여 선택된 화음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ST74 ~ ST7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는 펜입력부(10), 제어부(20), 데이터저장부(30), 음향재생부(40), 출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부가적으로 PC 연결부(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펜입력부(10)에서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에 부착된 입력용 펜을 통해 일반적인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게 한다. 그래서 음악 데이터를 입력할 경우에는 화면상에 표시된 음악 기능, 악보, 건반/자판 등을 펜으로 터치하면 된다.
펜으로 입력할 경우에는 마우스의 동작과 같은 상대좌표 모드와 터치패널과 같은 절대위치값을 표시하는 절대좌표 모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대좌표 모드에서는 이전의 펜의 위치와 현재의 펜의 위치 간의 차이 값과 그의 방향 및 상태 값을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화면표시부(51)에서 그 값을 입력받아 제어부(12)로 전송함으로써 화면상의 어떤 항목이 선택되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절대좌표 모드에서는 새로운 절대좌표계를 설정한 이후 사용자가 펜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포인터의 원하는 영역에 펜을 터치하면, 그 때의 펜 위치를 얻고, 해당하는 지점의 항목이 어떤 것인지를 제어부(20)에서 판별하여 펜으로 입력된 값을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CPU로 구성하여, 정보 데이터 및 음악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반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데이터저장부(30)는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인데, 노래가 수록된 탈착식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미리 노래를 하드웨어에 데이터로 저장한 다음 데이터저장부(30)에 장착하여 저장된 노래를 편집하고, 출력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음향재생부(40)는 제어부(20)를 통해 처리된 음악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향이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음악이 재생될 때 원활하게 재생될 수 있도록 동작한다.
나아가 출력부(50)는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는 화면표시부(51), 프린터출력부(52), 스피커출력부(53), 이어폰출력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화면출력부(51)는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블록으로, 기능표시부(71), 악보표시부(72), 건반/자판표시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래서 기능표시부(71)에서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음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표시하게 된다. 이에는 연주방식 기능, 메트로놈 기능, 음량 기능, 악보표 기능, 가사 기능, 화음 기능, 저장 기능, 출력 기능 뿐만 아니라 박자표, 빠르기표, 나타냄말과 나타냄표 등의 음악 작곡과 연주에 필요한 기능을 포함하여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악보표시부(72)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악보를 표시하게 되는데, 조표와 악보와 가사를 포함하여 편집 중이거나 저장된 음악을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더불어 건반/자판표시부(73)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건반 또는 자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래서 음악의 가사를 입력하거나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화면상에 한/영 자판을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펜으로 출력된 화면상의 자판을 눌러 한글 또는 영문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글자판에는 한글과 영어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어, 일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 등의 언어도 사용할 수 있게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음악의 연주방식을 선택하거나 악기음색 연주 등의 경우에는 화면상에 자판 대신 건반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악기를 표시해준다. 즉, 피아노 등의 건반악기로 편집하거나 연주하고자 할 경우에는 화면상에 건반악기를 표현해주고, 현악기이면 현악기로 입력, 수정할 수 있는 화면을 표현해주며, 관악기이면 관악기로 악보를 수정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현해주게 된다.
그리고 건반/자판표시부(73)에서 악기의 건반 등을 화면상에 표시해놓을 경우 사용자는 펜으로 건반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20)에서 눌려진 건반값을 처리하여 악보표시부(72)에서 화면상의 악보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펜이 화면상의 자판을 누르고 있는 시간을 체크하여 2분 음표, 4분 음표, 8분 음표 등이 악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내부의 타이머를 체크하여 일정 시간이하이면 4분음표를 1박으로 설정할 경우 1/8 박자인 32분 음표가 출력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1/4 박자인 16분 음표, 1/2 박자인 8분 음표, 1 박자인 4분 음표, 2 박자인 2분 음표, 4 박자인 온 음표 등이 악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표의 표시는 화면상에 별도의 음표 길이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기능표시부(71)에서 출력하고, 기능표시부(71)에서 출력된 음표를 펜으로 선택하여 적절한 음표의 길이를 설정한다. 그 이후 건반/자판표시부(73)에서 표시된 건반을 펜으로 눌러 해당 건반의 음과 음의 길이를 결합시킨 값이 제어부(2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한다. 그러면 악보표시부(72)는 음과 음의 길이가 결합되어 처리된 값을 화면상의 악보에 출력할 수도 있게 되어 악보의 작성과 편집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프린터출력부(52)는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정보와 음악 데이터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되고, 스피커출력부(53)는 제어부(20)에서 처리되어 음향재생부(40)에서 재생된 음악 데이터가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증폭 및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어폰출력부(54)는 제어부(20)에서 처리되어 음향재생부(40)에서 재생된 음악 데이터가 이어폰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증폭 및 아날로그 신호로의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음악 기능이 선택되었는지 판별하여 음악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일반 정보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음악 기능이 선택되면 음악 기능을 선택하게 된다.
그래서 음악 기능이 선택되어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펜으로 화면상의 건반/자판을 선택하여 음악을 입력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된 음악 또는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여 화면,프린터, 스피커, 이어폰 등으로 장치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음악 기능을 선택할 때, 연주방식선택에 대한 처리 흐름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능 중 연주방식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어떤 연주방식을 선택하였는지 판별하게 된다. 이러한 연주방식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로 구분할 수 있다. 그래서 연주방식이 건반악기이면 건반악기 음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고, 연주방식이 현악기이면 현악기 음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며, 연주방식이 관악기이면 관악기 음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사용될 수 있는 건반악기에는 건반을 통해 줄을 해머로 때려서 음을 내는 그랜드 피아노와 업라이트 피아노, 쇠 또는 나무로 된 파이프의 공기를 진동시켜서 음을 내고 건반 수도 많고 음색 변화도 많이 낼 수 있어 음악적 효과가 큰 파이프 오르간, 전기 장치로 음을 내게 하는 전자 오르간, 바람을 불어넣어 리드를 진동시켜 음을 내는 것으로 39개 또는 49개의 건반을 가진 리드 오르간 등이 있다.
또한 이에 사용될 수 있는 현악기에는 높은음자리표를 쓰며 네 개의 줄을 가진 바이올린, 가온음자리표를 쓰며 주로 가운데 음역을 담당하는 비올라, 낮은음자리표를 쓰고 주로 낮은 음역을 담당하는 첼로, 낮음음자리표를 쓰며 네 개의 줄은 서로 4도로 조율되는 더블 베이스, 46 또는 47개의 줄을 갖고 2중 페달이 달려있는 하프, 여섯 개의 줄이 있고 높은음자리표를 쓰는 기타, 여덟 개의 금속성 중을 갖고 두 줄씩 한 쌍으로 되어 있는 만돌린 등이 있다.
또한 이에 사용될 수 있는 관악기에는 음색이 날카롭고 투명한 피콜로, 높은음자리표를 사용하며 고상한 음색을 가진 플루트, 겹으로 된 리드를 갖고 중간 음역에서는 가련하고 애처로운 음색이 나는 오보, 리드가 홑리드로 되어 있고 오보보다 약간 길며 높은음자리표를 쓰는 클라리넷, 리드가 홑리드로 되어 음색도 음역에 따라 다양한 색소폰, 오보보다 두 옥타브 낮은 음을 내는 버순, 긴 공기주의 길이를 늘였다 줄였다하면서 음을 내는 혼, 높은음자리표를 사용하는 트럼펫, 밸브와 슬라이드의 두 가지가 있고 낮은음자리표를 쓰며 여러 가지 조로 사용되는 트롬본, 저음을 주로 맡으며 음색에 포용력이 많고 부드러운 튜바 등이 있다.
또한 이 이외에도 팀파니, 실로폰, 북, 캐스터네츠, 트라이앵글, 탬버린, 탐참, 심벌즈 등의 타악기 등도 연주방식의 선택항목에 포함시킬 수 있다. 나아가 거문고, 가야금, 해금, 아쟁, 피리, 태평소 등의 국악기도 선택항목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여러 악기의 음색으로 연주를 하고자 할 경우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즉, 화면상 음악 기능 중에서 펜에 의해 악기가 선택되면, 건반/자판표시부(73)에서 미리 설정한 첫 번째 악기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별한다. 그래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기능의 악기가 다시 선택되면, 기능표시부(71)에서 선택가능한 악기종류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화면상에 표시된 악기를 펜으로 선택하면, 건반/자판표시부(73)에서 선택된 악기를 화면상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화면상에 출력된 악기로 음악이 연주되도록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건반악기의 기본 기능을 그랜드 피아노로 설정하고, 두 번째 선택할 악기를 리드 오르간으로 한다면, 그랜드 피아노를 선택했을 때 화면상에는 그랜드 피아노가 출력된다. 그리고 다시 사용자가 펜을 이용하여 건반악기 중에서 리드 오르간을 선택하였으면, 화면상의 건반/자판표시부(73)에 의해 출력되는 부분은 리드 오르간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상에 출력된 악기를 펜으로 눌러 악보를 입력할 수도 있고, 화면상에 출력된 악보를 해당 악기로 연주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악보 입력방식은 화면상에 출력된 악기를 직접 누르면서 입력할 수도 있고, 기능표시부(71)에 의해 출력된 음표를 직접 선택하여 악보표시부(72)에서 출력시키는 악보에 직접 입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연주가 끝나면 반복 여부를 확인하는 질문을 사용자에게 하여 사용자가 예 또는 아니오의 선택여부에 따라 재반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펜으로 연주할 부분을 부분적으로 선택하면 해당하는 부분만 선택하여 음악이 연주되도록 한다.
한편 음악 기능을 선택할 때, 메트로놈선택에 대한 처리 흐름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화면상의 음악 기능 중 메트로놈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메트로놈이 한번 선택되었는지 판별한다. 그래서 메트로놈이 한번 선택되었으면, 화면표시부(51)에서 연주속도의 눈금을 화면상에 출력하게 한 다음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속도의 눈금이 선택되는지 판별한다. 만약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속도 눈금이 펜으로 선택되면, 선택된 연주속도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한다. 만약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속도 눈금이 펜으로 선택되지 않으면, 일정시간 경과 후 미리 설정한 연주속도로 음악이 자동 연주되도록 한다.
여기서 메트로놈은 템포를 표시하는 것으로, 곡의 기본 비트로 되어 있는 음표가 1분간 몇 개 들어가는 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래서 메트로놈의 설정시 사용되는 이탈리아 말의 빠르기말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Largo(아주 느리게) = 40~72
Larghetto(느리게) = 72~100
Adagio(보통으로 느리게) = 100~126
Andante(약간 느리게) = 126~152
Allegro(보통으로 빠르게) = 152~184
Presto(극히 빠르게) = 184~208
그래서 사용자는 기능표시부(71)에 의해 표시된 메트로놈의 연주속도 눈금을 펜으로 선택하여, 해당 음악에 적절한 속도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면 연주시 선택된 해당 메트로놈의 속도로 음악이 연주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악 기능을 선택할 때, 음량선택에 대한 처리 흐름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화면상의 음악 기능 중 음량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음량이 선택되었는지 판별하여 기능표시부(71)에서 화면상에 연주음량의 눈금을 출력하고, 일정시간이내에 연주음량의 눈금이 선택되는지 판별하게 된다. 그래서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음량의 눈금이 선택되면, 선택된 연주음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음량의 눈금이 선택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한 연주음량으로 자동 연주되도록 한다.
그리고 음악 기능을 선택할 때, 악보표선택에 대한 처리 흐름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능 중 악보표가 펜에 의해 선택되면, 기능표시부(71)에서 화면상에 악보표들을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된 악보표들 중에서 하나를 펜으로 선택하면, 악보표시부(72)에서 선택된 악보표를 화면상의 악보에 표시하여 표시된 악보표에 따라 음악이 연주되도록 한다.
그래서 이러한 악보표에는 높이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음표의 위 또는 아래에 붙인 활표로 그 음을 끊지 말고 원활하게 연주하도록 하는 이음줄과 붙임줄, 악곡 도중에 박자의 순서에 상관없이 박자의 운동의 흐름을 잠시 조용히 멎게 하도록 음표 또는 쉼표의 위 또는 아래에 붙이는 늘임표, 끝까지 연주한 후 또 처음으로 와서 다시 끝까지 연주하게 하는 도돌이표, 처음부터 끝까지 연주하고 D.C.라고 적은 부분에서 처음으로 돌아가서 마침표가 있는 곳에서 끝마치게 하는 다 카포(Da capo), 일정 부분을 반복한 다음 끝내는 달 세뇨(Dal Segno) 등의 표가 있다.
또한 음악 기능을 선택할 때, 가사입력에 대한 처리 흐름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능 중 가사가 펜에 의해 선택되면, 건반/자판표시부(73)에서 자판을화면상에 출력한다. 그리고 화면상에 출력된 자판이 펜으로 선택되면, 악보표시부(72)에서 선택된 자판의 키 값을 화면의 악보상에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음악 기능을 선택할 때, 화음선택에 대한 처리 흐름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능 중 화음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화음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별하여 기능표시부(71)에서 화면상에 화음종류를 출력하게 된다. 그래서 출력된 화음종류 중 하나가 펜에 의해 선택되면 악보표시부(72)에서 선택된 화음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여기서 선택될 수 있는 화음에는 주요 3화음, 부3화음, 속7화음, 부7화음, 의 악보에 표시하게 하여 선택된 화음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한다. 또한 이에는 변화화음 등과 기타 코드에 사용되는 C, F, G 코드 등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출력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 상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홑박자와 겹박자에서 겹박자를 표시하기 위한 2분적, 3분적, 4분적 등의 박자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빠르기를 표시하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이 넓고 느리게 연주하는 것을 의미하는 라르고(Largo), 느리게인 아다지오(Adagio), 느릿느릿한 걸음걸이의 빠르기인 안단테(Andante), 보통 빠르기인 모데라토(Moderato), 쾌활하고 빠르게 하는 알레그로(Allegro), 발랄하게 빨리 하는 비바체(Vivace), 점점 빠르게 하는 앗첼레란도(Accelerando), 점점 느리게 하는 리타르단도(Ritardando), 본래의 빠르기로 하는 아 피아체레(A piacere) 등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곡의 어떤 특정한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나타냄말과 나타냄표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펜 PC 기술을 응용하여 소형 포켓 수첩 형태의 휴대 정보단말 장치에서 악보 작성과 악보음 재생 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펜 PC 기술을 응용하여 소형 포켓 수첩 형태의 휴대 정보단말 장치에서 악보 작성과 악보음 재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건반 형태의 버튼을 펜으로 누르기 때문에 악보를 올바르게 연주하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고, 음감과 박자도 직접 들으면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더불어 악기를 연주할 수 없는 누구라도 휴대하면서 악보를 편집하거나 연주할 수 있기 때문에 건전한 오락문화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미리 입력된 음을 출력하는 기존 악기방식에서 벗어나 직접 여러 악기음을 가지고 창의적으로 작곡을 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낄수 있어 음악적 소질을향상시킬 수 있을뿐 아니라 어린이 감성개발과 창의성을 키울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음악적 영감이 떠오르는 자연 숲 등 어느 장소에서라도 포켓에 넣고 다니면서 떠오르는 영감을 직접 저장하고 추후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펜입력부, 제어부, 데이터저장부, 음향재생부 및 화면표시부를 구비한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표시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연주방식, 메트로놈, 음량, 악보표, 가사, 화음 등을 수행하기 위한 음악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악보를 표시하는 악보표시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화면상에 건반 또는 자판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건반/자판표시부를 나타내도록 하고,
    음악 기능이 선택되었는지 판별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음악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일반 정보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음악 기능이 선택되면, 음악 기능의 선택에 의한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수행 후 펜으로 화면상의 건반/자판을 선택하여 음악을 입력하게 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에서 입력된 음악 또는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연주방식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어떤 연주방식을 선택하였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연주방식이 건반악기이면, 건반악기 음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연주방식이 현악기이면, 현악기 음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연주방식이 관악기이면, 관악기 음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음색으로 연주되도록 하는 각각의 단계는,
    기능의 악기가 선택되면, 건반/자판표시부에서 미리 설정한 첫 번째 악기를 화면상에 출력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기능의 악기가 다시 선택되면, 기능표시부에서 선택가능한 악기종류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상에 표시된 악기를 펜으로 선택하면, 상기 건반/자판표시부에서 선택된 악기를 화면상에 출력하게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화면상에 출력된 악기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메트로놈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메트로놈이 한번 선택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메트로놈이 한번 선택되었으면, 화면표시부에서 연주속도의 눈금을 화면상에 출력하게 한 다음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속도의 눈금이 선택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속도 눈금이 펜으로 선택되면, 선택된 연주속도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속도 눈금이 펜으로 선택되지 않으면, 일정시간 경과 후 미리 설정한 연주속도로 음악이 자동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음량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음량이 선택되었는지 판별하여 기능표시부에서 화면상에 연주음량의 눈금을 출력하고,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음량의 눈금이 선택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음량의 눈금이 선택되면, 선택된 연주음량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 이내에 연주음량의 눈금이 선택되지 않으면, 미리 설정한 연주음량으로 자동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악보표가 펜에 의해 선택되면, 기능표시부에서 화면상에 악보표들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악보표들 중에서 하나를 펜으로 선택하면, 악보표시부에서 선택된 악보표를 화면상의 악보에 표시하여 표시된 악보표에 따라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가사가 펜에 의해 선택되면, 건반/자판표시부에서 자판을 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상에 출력된 자판이 펜으로 선택되면, 악보표시부에서 선택된 자판의 키 값을 화면의 악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기능 중 화음이 펜에 의해 선택되면, 화음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별하여 기능표시부에서 화면상에 화음종류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화음종류 중 하나가 펜에 의해 선택되면 악보표시부에서 선택된 화음을 화면상의 악보에 표시하게 하여 선택된 화음으로 음악이 연주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0-0038862A 2000-07-07 2000-07-07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8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62A KR100382079B1 (ko) 2000-07-07 2000-07-07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62A KR100382079B1 (ko) 2000-07-07 2000-07-07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707A KR20020004707A (ko) 2002-01-16
KR100382079B1 true KR100382079B1 (ko) 2003-05-01

Family

ID=1967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862A KR100382079B1 (ko) 2000-07-07 2000-07-07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021B1 (ko) * 2005-08-11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연주 장치 및 방법
KR101134115B1 (ko) * 2010-06-17 2012-04-09 주식회사 잉카인터넷 피싱사이트 접속 방지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707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besky The contemporary arranger
Jones Understanding basic music theory
Sussman et al. Jazz composition and arranging in the digital age
Thomsett Musical terms, symbols and theory: An illustrated dictionary
KR100382079B1 (ko) 음악용 휴대 정보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2993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simplified musical instrument
JP2003288077A (ja) 曲データ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Riddle Arranged by Nelson Riddle
JP3804500B2 (ja) 楽譜編集装置
JP6617441B2 (ja) 歌唱音声出力制御装置
JP2014191331A (ja) 楽器音出力装置及び楽器音出力プログラム
David Jazz Arranging
Vorderman Help Your Kids with Music, Ages 10-16 (Grades 1-5): A Unique Step-by-Step Visual Guide & Free Audio App
McGuire et al. The instruments
JP4967170B2 (ja) 伴奏作成システム及び伴奏作成方法,プログラム
JP3674469B2 (ja) 演奏ガイド方法と装置及び記録媒体
JP3933070B2 (ja) アルペジオ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0172253A (ja) 電子楽器
Landrus The Evolution of the Baritone Saxophone Concerto
Allen Arranging in the digital world: techniques for arranging popular music using today's electronic and digital instruments
Han Performing Beethoven’s Piano Sonata in C Minor, Op. 111 on the 1816 English Broadwood Pianoforte
Brinberg Eight sounds, two continents: A conductor's analysis of Ba Yin by Chen Yi
Johnston Notating Across Cultures: A Composer’s Dilemma
Beatty The Evolution of the Orchestral Brass Section From Bach to Beethoven to Berlioz: A Narrative Essay
De Cinque Study Guide for Andrew Staniland's Four Horse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