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757A -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 - Google Patents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757A
KR20230078757A KR1020237014453A KR20237014453A KR20230078757A KR 20230078757 A KR20230078757 A KR 20230078757A KR 1020237014453 A KR1020237014453 A KR 1020237014453A KR 20237014453 A KR20237014453 A KR 20237014453A KR 20230078757 A KR20230078757 A KR 2023007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inlet
recycle
feed
liquid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하마드 알-하지 알리
헨리 슬레이스터
무바샤르 사타르
누레딘 아제랄
샤를로타 웨버
Original Assignee
보레알리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레알리스 아게 filed Critical 보레알리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7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01J4/008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2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by direct contact between vapours or gases and the cooling me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55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provoking a loop type movement of the reactants
    • B01J19/246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provoking a loop type movement of the reactants internally, i.e. the mixture circulating inside the vessel such that the upward stream is separated physically from the downward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 B01J8/085Feeding reactive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1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 B01J8/2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with liquid as a fluidising medium
    • B01J8/2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with liquid as a fluidising medium gas being introduced into the liquid
    • B01J8/22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fluidised particles with liquid as a fluidising medium gas being introduced into the liquid the particles being subject to a circulatory mov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4Polymerisation in solution
    • C08F2/06Organic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08F6/003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from polymer solutions, suspensions, dispersions or emulsions without recovery of the polymer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4/00Aspects relating to feed or outlet devices; Regulating devices for feed or outlet devices
    • B01J2204/007Aspects relating to the heat-exchange of the feed or outle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781Aspects relating to microreactors
    • B01J2219/00905Separation
    • B01J2219/00921Separation by ab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공급 용기를 포함하는,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공급 장치로서, 공급 용기는 상단 구역 및 하단 구역; 공급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한 공급 유출구로서, 하단 구역에 위치된 공급 유출구; 폐기물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한 폐기물 유출구로서, 상단 구역에 위치된 폐기물 유출구; 상단 구역 아래에 위치된 제1 열 교환기; 제1 열 교환기에 위치된 흡수기; 신규의 액체 스트림을 흡수기 내로 또는 이 위에 도입하기 위한 제1 유입구로서, 흡수기에 위치된 제1 유입구; 재순환 액체 스트림을 도입하기 위한 제2 유입구로서, 제1 유입구 아래에 위치된 제2 유입구; 및 재순환 증기 스트림을 도입하기 위한 제3 유입구로서, 제2 유입구 아래에 그리고 공급 유출구 위에 위치된 제3 유입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
본 발명은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에 관한 것이다.
용액 중합 프로세스들에서, 모든 반응물들이 반응기의 용매 상류에서 완전히 흡수, 즉 용해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반응물(들) 및 용매(들)는 전형적으로 중합 반응기 내로 도입되기 전에 모여서, 혼합 및 용해된다. 그러한 프로세스는 일반적으로 용액 중합 반응기의 공급 스트림의 제조로서 이해된다.
용액 중합 반응기의 공급 스트림은 신규의(fresh) 용매뿐만 아니라 신규의(fresh) 반응물들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반응기를 떠나는 혼합물의 일부들은 통상적으로 재순환되고 공급 스트림의 제조에 다시 도입된다. 그러한 셋업은 재순환된 스트림들이 여전히 그 안에 포함되는 미반응된 반응물들 및 용매 외에 특정 온도들 및 압력들을 제공하므로, 재료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재순환하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 재순환 스트림들은 또한 특정 양의 구성요소들을 가지며, 그 농도가 제어되며, 즉 이상적으로 감소되어야 한다. 그러한 구성요소들의 하나의 카테고리는 휘발성 불순물들을 포함한다. 이들 불순물들을 제거하지 않는 것은 재순환 시 이들의 축적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한 축적은 반응기 제어의 프로세스 및 오프셋에서 방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목적은 공급 제조 단계에서 그러한 휘발성 불순물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다른 카테고리는 수소를 포함하며, 수소는 통상적으로 중합 프로세스들에서 사슬 전달제로서 사용된다. 특정 중합 생성물들에 대해, 원하는 성질 설정 및 최적 동작 윈도우/셋팅들에서 멀리 생성물의 시프팅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 스트림에서 수소의 양을 제어(즉,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이들 재순환 스트림들은 전형적으로 응축된 생성물들(액체) 및 비응축된 생성물들(증기)로 구성된다. 휘발성 불순물들 및 수소는 전형적으로 증기 상에 존재하지만, 또한 액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액체 상 또는 조합된 액체/기체 상으로부터 휘발성 구성요소들을 제거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휘발성 구성요소들을 단지 배출함으로써, 즉 휘발성 물질들이 갑작스러운 압력 감소 시 증발되게 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나, 용액 중합의 경우에, 또한 휘발성 반응물들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같은 재순환 스트림들에 존재한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휘발성 구성요소들을 단지 배출하는 것은 반응물들의 상당한 손실을 불가피하게 초래할 것이며, 이는 여전히 용액 중합 프로세스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휘발성 반응물 재순환으로 휘발성 구성요소들의 제어의 관점에서 최적화되는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 제조 장치들 및 이들의 프로세스들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
위에 제시된 바와 같은 문제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같은 휘발성 반응물들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수소, 불활성 가스들 및/또는 휘발성 불순물들과 같은 휘발성 구성요소들의 제거를 허용하는,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또한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문제들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같은 휘발성 반응물들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수소, 불활성 가스들 및/또는 휘발성 불순물들과 같은 휘발성 구성요소들의 제거를 허용하는,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요
위에 언급된 문제들은 놀랍게도 공급 용기를 포함하는,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공급 장치에 의해 해결되는 것으로 현재 밝혀졌으며, 공급 용기는 상단 구역 및 하단 구역; 공급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한 공급 유출구로서, 하단 구역에 위치된 공급 유출구; 폐기물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기 위한 폐기물 유출구로서, 상단 구역에 위치된 폐기물 유출구; 상단 구역 아래에 위치된 제1 열 교환기; 제1 열 교환기 아래에 위치된 흡수기; 신규의 액체 스트림을 흡수기 내로 또는 이 위에 도입하기 위한 제1 유입구로서, 흡수기에 위치된 제1 유입구; 재순환 액체 스트림을 도입하기 위한 제2 유입구로서, 제1 유입구 아래에 위치된 제2 유입구; 및 재순환 증기 스트림을 도입하기 위한 제3 유입구로서, 제2 유입구 아래에 그리고 공급 유출구 위에 위치된 제3 유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문제들은 더 놀랍게도 상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용액 중합 반응기 어셈블리에 의해 해결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문제들은 더 놀랍게도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의해 해결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공급 스트림은 적어도 하나의 용매,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 및 선택적으로 수소를 포함하고, 프로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규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용매 및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액체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 재순환 스트림을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증기 스트림을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액체 스트림과 접촉시켜 접촉된 재순환 액체 스트림 및 접촉된 재순환 증기 스트림을 산출하는 단계, 접촉된 재순환 증기 스트림을 적어도 하나의 신규의 액체 스트림과 접촉시켜 접촉된 신규의 액체 스트림 및 폐기물 증기 스트림을 산출하는 단계, 접촉된 신규의 액체 스트림을 접촉된 재순환 액체 스트림과 조합하여 공급 스트림을 산출하는 단계, 폐기물 증기 스트림을 인출하는 단계, 및 공급 스트림을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의(Definitions)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휘발성 구성요소(volatile components)'라는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 프로세스들의 재순환 섹션들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액체 및 증기 재순환 스트림들에서 발견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그러한 스트림들은 상기 스트림들의 압력의 해제 또는 온도의 증가 시 그러한 액체 스트림들로부터 증발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휘발성 구성요소들은 불활성 가스들 예컨대 질소, 미반응된 가벼운 모노머들 예컨대 에틸렌 및 프로필렌, 더 낮은 카르보하이드레이트들 예컨대 메탄, 에탄, 프로판 또는 부탄, 중합 프로세스에서의 부반응들에 의해 제공되는 일반적인 휘발성 불순물들뿐만 아니라 수소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신규의 액체(fresh liquid)'라는 용어는 주변 조건들, 즉 1 atm 압력 및 20 ℃에서 휘발성 구성요소들의 양을 갖지 않는 공급 스트림에 사용되는 액체를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재순환 액체(recycle liquid)'라는 용어는 주변 조건들, 즉 1 atm 압력 및 20 ℃에서 상당하는 양의 휘발성 구성요소들을 갖는 공급 스트림에 사용되는 액체를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재순환 증기(recycle vapour)'라는 용어는 상당하는 양의 휘발성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기체 조성물을 나타낸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반응물(reactants)'이라는 용어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같은 모노머들을 나타내지만, 추가로 또한 선택적인 코모노머(들)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흡수기(absorber)'라는 용어는 액체 상과 증기 상 사이의 접촉을 강화하는 데 적절한 장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흡수기는 패킹된 베드 칼럼 및/또는 트레이 칼럼이다. 그러나, 트레이 칼럼은 패킹된 칼럼보다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수기는 패킹된 베드 칼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흡수기는 하나 이상의 유닛(들)을 포함하며, 유닛은 패킹의 섹션이 뒤따르는 상단 상의 액체 분배기,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금속 패킹, 예컨대 인탈록스 금속 패킹 또는 라시히 링들, 및 하단에 있는 기체 분배기로 구성된다.
공급 장치의 구성의 설명을 위해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아래에' 및 '위에'라는 용어들은 중력 및 따라서 공급 장치의 높이와 관련하여 사용된다는 점이 더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분무(spraying)'라는 용어는 응축된 상이 기체 상 내로 도입되는 프로세스 단계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응축된 상은 다수의 액적으로 분할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노즐에 의해 수행된다. 분무는 2개의 상 시스템이 가능한 한 높게 상 분리 표면을 가지고 형성(기체 상태/응축)되는 프로세스 단계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분배기(distributor)'라는 용어는 액체 및/또는 기체가 분배기를 통과하는 경우에 액체 및/또는 기체를 분배하며, 즉 미세하게 분산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분배기는 액체들을 하방으로 그리고 증기들을 상방으로 분배하는 분배 플레이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개략도는 공급 장치의 실제 치수들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나머지 도면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는 공급 용기 내로 재순환 액체 스트림의 도입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분무에 적절한 유입구를 수반하는 일 실시예(2a), 기체 및 액체 분배기들을 수반하는 다른 실시예(2b) 및 제2 유입구가 흡수기에 위치되는 제3 실시예(2c)가 도시된다.
도 3은 실시예들(2a 및 2b)이 조합되는, 도 2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공급 용기 내로 재순환 증기 스트림의 도입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에 따라, 도우징 파이프를 수반하는 일 실시예(4a) 및 기체 분배기를 수반하는 다른 실시예(4b)가 도시된다.
도 5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특징들을 조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장치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전체 반응기 공급 시스템 내의 공급 용기의 위치 상의 표시를 위해 본 발명의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중합 반응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따른 공급 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프로세스의 가장 일반적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탤릭체 문자들로 주어지고 원형 괄호들로 요약되는 참조 부호들은 프로세스를 위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단계들을 지칭한다.
참조 부호들
1: 공급 용기
2: 상단 구역
3: 하단 구역
4: 공급 유출구
5: 폐기물 유출구
6: 제1 열 교환기
7: 흡수기
8: 제1 유입구
9: 제2 유입구
10: 제3 유입구
11: 제1 배기
12: 제2 분배기
13: 도우징(dosing) 파이프
14: 제3 배기
15: 펌프
16: 중합 반응기
17: 제4 유입구
18: 제2 열 교환기
19: 제5 유입구
20: 제6 유입구
a: 공급 스트림
b: 폐기물 증기 스트림
c: 신규의 액체 스트림
c1: 접촉된 신규의 액체 스트림
d: 재순환 액체 스트림
d1: 접촉된 재순환 액체 스트림
e: 재순환 증기 스트림
e1: 접촉된 재순환 증기 스트림
f: 코모노머 스트림
g: 모노머 스트림
h: 수소 스트림
공급 장치
본 발명은 공급 용기(1)를 포함하는,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a)을 제조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제공하며(도 1 참조), 공급 용기(1)는,
- 상단 구역(2) 및 하단 구역(3);
- 공급 스트림(a)을 인출하기 위한 공급 유출구(4)로서, 하단 구역(3)에 위치된 공급 유출구(4);
- 폐기물 증기 스트림(b)을 인출하기 위한 폐기물 유출구(5)로서, 상단 구역(2)에 위치된 폐기물 유출구(5);
- 상단 구역(2) 아래에 위치된 제1 열 교환기(6);
- 제1 열 교환기(6) 아래에 위치된 흡수기(7);
-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을 흡수기(7) 내로 또는 이 위에 도입하기 위한 제1 유입구(8)로서, 흡수기(7)에 위치된 제1 유입구(8);
-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을 도입하기 위한 제2 유입구(9)로서, 제1 유입구(8) 아래에 위치된 제2 유입구(9); 및
-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을 도입하기 위한 제3 유입구(10)로서, 제2 유입구(10) 아래에 그리고 공급 유출구(4) 위에 위치된 제3 유입구(1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급 장치의 제1 열 교환기(6)는 제1 열 교환기(6)를 통과하는 증기 폐기물 스트림(b)의 적어도 일부들이 응축되고 흡수기(7)로 반환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열 교환기(7)는 공급 용기(1) 내의 증기의 흐름 방향과 관련하여 제1 유입구(8)의 하류에, 흡수기(7)의 하류에 그리고 및 폐기물 유출구(4)의 상류에 위치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제1 열 교환기(6)는 휘발성 구성요소들만을 선택적으로 응축하고 반환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미반응된 반응물들과 같은 공급 스트림(a) 내로 재도입되어야 한다. 열 교환기가 공급 용기(1)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셋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안 실시예에서, 제1 열 교환기(6)는 공급 용기(1) 외부에 위치되고 용기에 각각 연결되어 폐기물 증기 스트림(b)을 수용하고 응축된 폐기물 증기 스트림을 공급 용기(1) 내로 반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제2 열 교환기(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열 교환기는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의 흐름 방향에 대해 제1 유입구(8)의 상류에서 신규의 액체 스트림(c)에 위치된다. 이러한 열 교환기는 더 적은 휘발성 반응물들이 폐기물 증기 스트림(b)과 함께 이동되고 배출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흡수기(7)에 진입하기 전에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을 냉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수기(3)는 충전층 흡수기(packed-bed absorber)이다.
더욱이, 도 2a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유입구(9)는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을 공급 용기(1) 내로 분무하도록 구성된 분무기 장치를 더 포함한다. 분무 장치에 의한 분무의 효과는 매우 높은 상 분리 표면을 갖는 기체/액체 상 시스템이 짧은 시간 기간 내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시스템의 액체 부분이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이라는 것이다. 상기 시스템의 형성의 후속 효과로서, 액체 재순환 스트림에 포함되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은 자유롭게 설정되고 공급 용기(1)의 상단 구역(2)을 향해 이동한다. 더욱이, 다른 후속 효과로서, 재순환 액체 스트림의 응축된 부분은 미세하게 분산되고 공급 용기(1)의 하단 구역(3)을 향해 아래로 이동한다. 미세 분산은 재순환 증기 스트림(e)에 포함되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이 공급 용기(1)의 제3 유입구(10)에서 상단 구역(2)까지 반대 방향으로 위로 이동하는 관점에서 액체를 더 흡수하게 한다.
또한, 도 2b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 용기(1)는 제2 유입구(9) 아래에 그리고 제3 유입구(10) 위에 위치된 제2 분배기(12)를 포함한다. 이것은 재순환 액체 스트림(d)에 포함되는 액체의 액체 샤워가 생성되어, 재순환 액체 스트림(b)의 액체가 분배가 크게 되는 방식으로 공급 용기(1)에서 떨어지는 것을 초래하는 점을 동일하게 보장한다. 그 결과, 액체 재순환 스트림 내의 휘발성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들이 자유롭게 설정되어, 스트림 방향을 따라 공급 용기(1)의 상단 구역(2)을 향해 이동한다. 이들 휘발성 구성요소들은 수소, 불활성 가스들, 휘발성 불순물들 및 또한 휘발성 반응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공급 장치는 재순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이 흡수기(3)를 통해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2b에 따른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 용기(1)는 또한 제2 유입구(9) 위에 그리고 흡수기(7) 아래에 위치된 제1 분배기(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셋업은 상단 구역(2) 상방으로 이동하는 재순환 증기 스트림의 기체들뿐만 아니라 상기 액체 샤워로부터 증발하는 기체들이 분배되어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액체들과 최대 접촉을 생성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것은 반응물들과 같은 특정 구성요소들만이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의 신규의 용매 및/또는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의 액체에서 흡수되며, 즉 용해되도록 조건들이 조정될 수 있다는 장점을 더 갖는다. 일반적으로, 압력 및 온도는 휘발성 화합물들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선택된다. 그러나, 신규의 및 재순환된 스트림들에 대한 공급 장소들의 위치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구성요소들의 흡수를 최대화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이들 2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들은 결합될 수 있으며, 즉 제2 유입구(9)의 분무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배기(11) 및 제2 분배기(12)를 갖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금속 패킹은 제1 및 제2 분배기 사이에 추가될 수 있다. 2개의 분배기 및 금속 패킹의 조합은 흡수기이다.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이 흡수기(7) 내로 또는 이 위에 직접 도입되는 것은 본 발명의 필수 특징이다. 따라서,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의 신규의 액체 및 재순환 액체 스트림(d)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재순환 증기 스트림(e)으로부터 증발하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은 흡수기(7)에서 접촉된다. 이것은 접촉이 흡수기(7)에서 최대화되고 반응물들과 같은 특정 구성요소들만이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의 신규의 액체에서 흡수되며, 즉 용해되도록 흡수기(7) 내의 조건들이 조정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휘발성 구성요소들과 신규의 액체 사이의 접촉을 최대화함으로써, 그러한 조정은 더 용이하게 밝혀질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들(2a 및 2b)에서, 제2 유입구(9)의 위치는 흡수기(7) 아래에 그리고 제3 유입구(10) 위에 있다. 그러나, 도 2c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대안 실시예에서, 제2 유입구(9)는 흡수기(7)에 그리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제1 유입구(8)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그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의 신규의 액체와의 접촉은 전적으로 흡수기 내에서 발생한다. 각각, 상단 및 하단에서 흡수기를 각각 떠나는 기체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은 흡수기(7)에 포함되는 바와 같은 기체 분배기 및 액체 분배기에 의해 다시 미세하게 분배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순환 액체 스트림은 중합 프로세스의 재순환 섹션, 보다 바람직하게는 공급 스트림이 공급되는 중합 프로세스의 재순환 섹션으로부터 인출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용액 중합 프로세스의 그러한 재순환 섹션은 전형적으로 미반응된 반응물들, 용매, 불활성 가스들 및 휘발성 불순물들을 통상적으로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 풍부 액체 스트림(들) 및 하나 이상의 폴리머 희박 증기 스트림(들)에서 반응기로부터 인출된 혼합물을 분리하는 하나 이상의 플래시 분리기로 구성된다. 증기 스트림들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스트림 및 적어도 하나의 증기 스트림으로 다시 분리된다. 따라서, 재순환 섹션은 위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급 장치 내로 도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액체 스트림, 및 재순환 증기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트림은 여전히 중합 프로세스 내로 재순환될 수 있는 미반응된 반응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제2 유입구(9) 아래에 그리고 공급 유출구(4) 위에 위치된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을 도입하기 위한 제3 유입구(10)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방식으로,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의 휘발성 구성요소들은 상단 구역(2)까지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신규의 액체 스트림(c) 및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의 액체 구성요소들을 통과하고 접촉한다. 이것은 재순환 증기 스트림(e)으로부터의 반응물들의 선택적인 용해 및 공급 스트림(a) 내로의 재도입을 허용한다.
도 4a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3 유입구(10)는 하단 구역(3)에 위치되고 공급 용기(1)의 하단 구역(3) 내로 연장되는 도우징 파이프(13)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도우징 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구멍들을 가지는, 공급 용기(1)의 직경의 길이를 갖는 분배 파이프일 수 있다. 하단 구역(3)은 공급 스트림(a)의 액체 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도면들에서 파형 라인에 의해 표시된다. 따라서, 도 4a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우징 파이프는 공급 스트림(a)의 액체 상 내에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우징 파이프를 통과하는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은 미세하게 분산되고 교란될 뿐만 아니라, 하단 구역 내의 액체를 통해 이동하도록 강제된다. 이것은 반응물들과 같은, 액체에서 가장 용이하게 용해 가능한 휘발성 구성요소들이 상당히 높아진 액체/기체 표면적으로 인해 제1 장소 내의 공급 스트림 액체에서 용해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예는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이 교란되고, 따라서, 재순환 액체 스트림(d)과의 접촉이 또한 개선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을 재순환 액체 스트림(d)과 접촉시키는 장점은 재순환 증기 스트림(e) 내의 반응물들이 이미 재순환 액체 스트림(d)에서 용해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의 증기가 재순환 액체 스트림(d)으로부터 증발하는 휘발성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통로를 뒤따르므로, 그들은 또한 흡수기(7) 내로 또는 이 위에 안내된다. 따라서,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을 공급 용기(1) 내로 안내하는 일반적인 장점들은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을 갖는 흡수기(7)를 통해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의 증발된 휘발성 구성요소들을 안내하는 장점과 유사하다: 재순환 증기 스트림(e)과 신규의 액체 스트림(c) 사이의 접촉이 흡수기(7) 내에서 최대화되므로, 흡수기(7) 내의 조건들은 반응물들과 같은 특정 구성요소들만이 신규의 용매 스트림(c)의 신규의 용매에서 흡수, 즉 용해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일반적인 장점은 그러한 셋업이 재순환 액체 스트림(d)으로부터의 반응물뿐만 아니라, 재순환 증기 스트림(e)으로부터의 반응물의 재순환을 둘 다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도 4b에 따른 본 발명의 공급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급 용기(1)는 제3 유입구(10) 위에 그리고 제2 유입구(9) 아래에 위치된 제3 분배기(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치는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이 교란되고 재순환 증기 스트림(e)과 신규의 액체 스트림(c) 및 재순환 액체 스트림(d)으로부터의 액체들의 접촉이 개선되는 것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공급 유출구(4)의 하류에 위치된 공급 스트림(a)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를 더 포함한다. 저장 용기는 공급 스트림(a)이 소진되지 않고 중합 반응기가 공급 스트림으로 일정하게 그리고 신뢰할 수 있게 보충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공급 스트림(a)을 제조하기 위한 추가 수단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재순환 양태와 별도로, 공급 스트림(a)은 필요한 경우, 특정 반응물들 및 또한 수소에 풍부하게 되어야 할 수 있다. 더욱이, 스트림의 조건들은 중합 반응기에 진입하기 전에 조정되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공급 스트림(a)의 흐름 방향과 관련하여 공급 용기(1)의 공급 유출구(4)의 하류에 위치된 펌프(15)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펌프는 공급 스트림의 압력이 중합 반응기(16; 공급 장치의 일부가 아님)가 동작되는 압력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 스트림(f)을 공급 스트림(a) 내로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4 유입구(17)를 더 포함하는 반면, 적어도 하나의 제4 유입구(17)는 공급 스트림(c)의 흐름 방향과 관련하여 공급 유출구(4)의 하류에, 바람직하게는 펌프(15)의 하류에 위치된다. 코모노머는 또한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의 일부로서 도우징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코모노머가 사용 시 용매 이상의 끓는점을 가지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공급 스트림(a)의 흐름 방향과 관련하여 공급 유출구(4)의 하류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열 교환기(18)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펌프(15)는 공급 스트림(a)의 흐름 방향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3 열 교환기(18)의 상류에 위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모노머,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을 공급 스트림(a)의 흐름 방향과 관련하여 공급 유출구(4)의 하류에 위치된 공급 스트림(a) 내로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5 유입구(19)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5 유입구(19)는 공급 스트림(a)의 흐름 방향과 관련하여 펌프(15)의 상류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3 열 교환기(18)의 하류에 위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공급 장치는 수소를 공급 스트림(a) 내로 도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6 유입구(20)를 더 포함하며, 제6 유입구(20)는 바람직하게는 공급 스트림(a)의 흐름 방향과 관련하여 적어도 제3 열 교환기(18)의 하류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프로세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공급 프로세스는 용액 중합 프로세스에 연결된다. 첫째로, 공급 프로세스는 용액 중합 프로세스를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공한다. 둘째로, 바람직하게는, 공급 프로세스는 용액 중합 프로세스로부터 인출된 스트림들(액체 및 또한 증기 스트림들)을 재순환하는 데 사용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이들 2개의 용액 중합 프로세스(즉, 공급 스트림이 공급되는 것 및 재순환 스트림들이 꺼내어지는 것)는 하나의 동일한 용액 중합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용액 중합 프로세스는 이하에 설명되어야 한다.
용액 중합 프로세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초임계, 용액 및 고급 용액 중합 프로세스들에 적용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연속 초임계, 용액 및 고급 용액 중합 프로세스들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조 공정은 연속 용액 중합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폴리머는 임의의 폴리머일 수 있으며 휘발성 화합물들이 그 제조를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폴리머는 올레핀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폴리머의 모노머는 2 내지 4의 탄소 원자 수를 갖는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코폴리머 또는 호모폴리머이다.
폴리머가 코폴리머인 경우, 코모노머는 바람직하게는 α-올레핀 모노머과 상이하고 선형 및 환형 올레핀들 및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α-올레핀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모노머는 올레핀 모노머와 상이한 α-올레핀이고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올레핀들 및 이들의 혼합물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가장 바람직하게는 1-부텐 및 1-옥텐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폴리머는 이하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액 중합 프로세스에서 제조된다.
중합은 전형적으로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에서 수행된다. 올레핀 중합 촉매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촉매일 수 있으며, 이는 모노머 및 선택적인 코모노머를 중합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합 촉매는 EP-A-280352, EP-A-280353 및 EP-A-286148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지글러 나타 촉매일 수 있거나, WO-A-1993025590, US-A-5001205, WO-A-1987003604 및 US-A-5001244에 개시된 바와 같은 메탈로센 촉매일 수 있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적절한 촉매들, 예컨대 후 전이 금속 촉매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용액 중합 프로세스에서, 용매가 또한 존재한다. 용매는 중합 조건들에서 액체 또는 초임계 상태에 있다. 용매는 전형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용매이다. 사용된 액체 탄화수소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C5-12-탄화수소이며, 이는 펜탄, 메틸 펜탄, 헥산, 헵탄, 옥산, 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헥산 및 수소화된 나프타와 같은 C1-4 알킬 그룹에 의해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6-10-탄화수소 용매들,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치환된 C5-7-탄화수소 용매들이 사용된다.
다른 구성요소들은 또한 반응기 내로 추가될 수 있다. 중합 동안 형성된 폴리머의 분자량을 제어하기 위해 수소를 반응기 내로 공급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이한 오염방지 화합물들의 사용은 또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게다가, 상이한 종류들의 활성 부스터들 또는 활성 리타더들은 촉매의 활성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용매, 폴리머 및 미반응된 모노머 및 선택적으로 코모노머를 포함하는 중합 반응기로부터 인출되는 스트림 내의 폴리머의 함량은 10 내지 35 wt%,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3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wt%이다.
또한 전형적으로, 반응기로부터 인출되는 스트림은 반응기로부터 인출되는 총 스트림의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40% 초과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초과의 양으로, 분리 섹션 하류에 더 재순환되며, 즉 공급된다.
상기 스트림은 분리 섹션으로 공급된다. 그러한 섹션에서, 스트림을 포함하는 폴리머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플래시 분리기의 도움으로 폴리머 풍부 응축된 상 및 폴리머 희박 증기 상으로 분할된다. 휘발성 반응물들, 불활성 가스들, 수소 및 휘발성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증기 상은 재순환 액체 스트림 및 재순환 증기 스트림으로 뒤이어 분리된다. 이러한 재순환 액체 스트림 및 또한 재순환 증기 스트림은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급 프로세스에 공급된다.
공급 프로세스
본 발명은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더 제공하며, 공급 스트림은 적어도 하나의 용매,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 및 선택적으로 수소, 불활성 가스들 및/또는 불순물들을 포함하고, 프로세스는,
(i) 적어도 하나의 용매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을 제공하는 단계;
(ii) 적어도 하나의 용매 및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을 제공하는 단계;
(iii)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을 제공하는 단계;
(iv)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을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액체 스트림(d)과 접촉시켜 접촉된 재순환 액체 스트림(d1) 및 접촉된 재순환 증기 스트림(e1)을 산출하는 단계;
(v) 접촉된 재순환 증기 스트림(e1)을 적어도 하나의 신규의 액체 스트림과 접촉시켜 접촉된 신규의 액체 스트림(c1) 및 폐기물 증기 스트림(b)을 산출하는 단계;
(vi) 접촉된 신규의 액체 스트림(c1)을 접촉된 재순환 액체 스트림(d1)과 조합하여 공급 스트림(a)을 산출하는 단계;
(vii) 폐기물 증기 스트림(b)을 인출하는 단계;
(viii) 공급 스트림(a)을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공급 장치에 대해 사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전 중합 프로세스의 분리 섹션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재순환 액체 스트림(d)으로부터 휘발성 구성요소들을 방출하고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을 그러한 증발된 구성요소들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불활성 가스들, 수소 또는 휘발성 불순물들과 같은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의 원하지 않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 제거되고 배출될 수 있는 한편, 반응물들과 같은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의 원하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이 프로세스에서 불활성 가스들, 수소 및/또는 휘발성 불순물들의 양을 제어할 수 없는 단점들을 갖지 않고 그러한 원하는 구성요소들을 중합 프로세스 내로 복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급 스트림(a)에서 다시 조합될 수 있다는 놀라운 효과를 갖는다.
재순환 액체 스트림으로부터 휘발성 구성요소들의 최상의 증발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재순환 액체 스트림(a)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공급 장치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분배기(12) 또는 분무기 장치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증기 재순환 스트림(e)을 제공하는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증기 재순환 스트림(e)은 신규의 액체 스트림(c) 및 재순환 액체 스트림(d)과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재순환 증기 스트림과 신규의 액체 스트림(c) 및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의 이러한 접촉은 불활성 가스들, 수소 또는 휘발성 불순물들과 같은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의 원하지 않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 추가적으로 제거되고 배출될 수 있는 한편, 반응물들과 같은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의 원하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이 프로세스에서 불활성 가스들, 수소 및/또는 휘발성 불순물들의 양을 제어할 수 없는 단점들을 갖지 않고 그러한 원하는 구성요소들을 중합 프로세스 내로 복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공급 스트림(a)에서 다시 조합될 수 있다는 놀라운 효과를 갖는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증기 재순환 스트림(e)은 바람직하게는 도우징 파이프 또는 기체 분배기를 사용하여 신규의 액체 스트림(c) 및/또는 재순환 액체 스트림(d)과의 접촉 전에 더 분배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은 하단 구역 내의 액체와 접촉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사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급 장치의 하단 구역 내의 액체로 연장되는 도우징 파이프(13)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공급 장치에 관한 섹션에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분배는 또한 미반응된 반응물들과 같은 재순환 증기 스트림(e)으로부터의 더 많은 원하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이 신규의 액체 스트림(c)과 접촉되어 미반응된 반응물들과 같은 원하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의 선택적인 흡수, 즉 용해 및 공급 스트림(a) 내로 이들의 재순환을 허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저장 용기에 공급 스트림(a)을 중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구성은 공급 스트림이 완충되고 중합 반응기가 공급 스트림으로 일정하게 그리고 신뢰할 수 있게 보충되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바람직하게는 제1 열 교환기(6)를 사용하여 증기 폐기물 스트림(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여 응축된 증기 스트림을 산출하고 상단 구역 내에 응축된 증기 스트림을 재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프로세스가 재순환 스트림들로부터 원하지 않는 휘발성 구성요소들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미반응된 반응물들을 중합 반응기로 선택적으로 재순환하는 능력을 더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유입구(8) 전에 제2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신규의 액체 스트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냉각은 공급 프로세스 및 공급 장치 내의 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은 몇 개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흡수의 구동력들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서, 공급 스트림(a)은 바람직하게는 중합 반응기에 공급되기 전에 더 처리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공급 스트림은 중합 반응기에 진입하기 전에 50 내지 300 바 범위의 압력으로 압축된다. 더욱이,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급 스트림은 중합 반응기에 진입하기 전에 -50 내지 +50 ℃ 범위의 온도로 냉각된다.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공급 스트림은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를 공급 스트림(a) 내로 도입하고/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코모노머를 공급 스트림(a) 내로 도입하고/하거나 수소를 공급 스트림(a) 내로 도입함으로써 더 수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스는 3 내지 8 바(barg) 압력의 범위에서 수행된다.

Claims (15)

  1. 공급 용기(1)를 포함하는,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a)을 제조하기 위한 공급 장치로서, 상기 공급 용기(1)는,
    - 상단 구역(2) 및 하단 구역(3);
    - 상기 공급 스트림(a)을 인출하기 위한 공급 유출구(4)로서, 상기 하단 구역(3)에 위치된 공급 유출구(4);
    - 폐기물 증기 스트림(b)을 인출하기 위한 폐기물 유출구(5)로서, 상기 상단 구역(2)에 위치된 폐기물 유출구(5);
    - 상기 상단 구역(2) 아래에 위치된 제1 열 교환기(6);
    - 상기 제1 열 교환기(6) 아래에 위치된 흡수기(7);
    -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을 상기 흡수기(3) 내로 또는 이 위에 도입하기 위한 제1 유입구(8)로서, 상기 흡수기(7)에 위치된 제1 유입구(8);
    -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을 도입하기 위한 제2 유입구(9)로서, 상기 제1 유입구(8) 아래에 위치된 제2 유입구(9); 및
    -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을 도입하기 위한 제3 유입구(10)로서, 상기 제2 유입구(9) 아래에 그리고 상기 공급 유출구(4) 위에 위치된 제3 유입구(10)를 포함하는,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출구(4)의 하류에 위치된 공급 스트림(a)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용기를 더 포함하는, 공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을 상기 공급 용기(1) 내로 분무하도록 구성된 분무기 장치를 더 포함하는, 공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용기(1)는 상기 제2 유입구(9) 위에 위치된 제1 분배기(11) 및 상기 제2 유입구(9) 아래에 위치된 제2 분배기(12)를 더 포함하는,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입구(9)는 상기 흡수기(7)에 위치되는, 공급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입구(10)는 상기 하단 구역(3)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3 유입구(10)는 상기 하단 구역(3) 내로 연장되는 도우징 파이프(13)를 더 포함하는, 공급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용기(1)는 상기 제3 유입구(10) 위에 위치된 제3 분배기(14)를 더 포함하는, 공급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용액 중합 반응기 어셈블리.
  9. 공급 용기(1)에서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a)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로서, 상기 공급 스트림(a)은 적어도 하나의 용매,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 및 선택적으로 수소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는,
    (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매 및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을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을 제공하는 단계;
    (i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 재순환 스트림(e)을 제공하는 단계;
    (iv)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액체 스트림(d)과 접촉시켜 접촉된 재순환 액체 스트림(d1) 및 접촉된 재순환 증기 스트림(e1)을 산출하는 단계;
    (v) 상기 접촉된 재순환 증기 스트림(e1)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규의 액체 스트림(c)과 접촉시켜 접촉된 신규의 액체 스트림(c1) 및 폐기물 증기 스트림(b)을 산출하는 단계;
    (vi) 상기 접촉된 신규의 액체 스트림(c1)을 상기 접촉된 재순환 액체 스트림(d1)과 조합하여 상기 공급 스트림(a)을 산출하는 단계;
    (vii) 상기 상기 폐기물 증기 스트림(b)을 상기 공급 용기(1)의 상단 구역(2)에 위치된 폐기물 유출구(5)에 의해 인출하는 단계;
    (viii) 상기 공급 스트림(a)을 상기 공급 용기(1)의 하단 구역(3)에 위치된 공급 유출구(4)에 의해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i)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은 제1 유입구(8)에 의해 흡수기(3) 내로 또는 이 위에 제공되며, 상기 제1 유입구(8)는 상기 흡수기(7)에 위치되고,
    단계 (ii)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은 제2 유입구(9)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2 유입구(9)는 상기 제1 유입구(8) 아래에 위치되고,
    단계 (iii)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기 재순환 스트림(e)은 제3 유입구(10)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3 유입구(10)는 상기 제2 유입구(9) 아래에 그리고 상기 공급 유출구(4) 위에 위치되는, 프로세스.
  10. 제9항에 있어서, 단계 (vi)는 상기 접촉된 신규의 액체 스트림(c1)이 또한 상기 재순환 증기 스트림(e)과 접촉되도록 단계 (v) 내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단계 (iv) 전에 상기 재순환 액체 스트림(d)을 분배하는 단계 (ix)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v) 전에 상기 재순환 증기 스트림(e)을 분배하는 단계 (x)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vii) 후에 저장 용기에 상기 공급 스트림(a)을 중간 저장하는 단계 (xi)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열 교환기(6)를 사용하여 상기 증기 폐기물 스트림(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응축하여 응축된 증기 폐기물 스트림(b1)을 산출하고 상기 응축된 증기 폐기물 스트림(b1)을 단계 (v)에서 재도입하는 단계 (xii)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 전에 제2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상기 신규의 액체 스트림(c)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냉각하는 단계 (xiii)를 더 포함하는, 프로세스.
KR1020237014453A 2020-11-20 2021-11-10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 KR20230078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8837.3A EP4000723A1 (en) 2020-11-20 2020-11-20 Device and process for preparing a feed stream for solution polymerization
EP20208837.3 2020-11-20
PCT/EP2021/081291 WO2022106284A1 (en) 2020-11-20 2021-11-10 Device and process for preparing a feed stream for solution polymeriz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757A true KR20230078757A (ko) 2023-06-02

Family

ID=7359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453A KR20230078757A (ko) 2020-11-20 2021-11-10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415113A1 (ko)
EP (1) EP4000723A1 (ko)
KR (1) KR20230078757A (ko)
CN (1) CN116472104A (ko)
CA (1) CA3202381A1 (ko)
TW (1) TW202231347A (ko)
WO (1) WO20221062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0888A (en) 1985-12-12 1991-12-12 Exxon Chemical Patents Inc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s,thei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NL8700321A (nl) 1987-02-11 1988-09-01 Stamicarbon Katalysatorsysteem voor hoge temperatuur (co)polymerisatie van etheen.
NL8700322A (nl) 1987-02-11 1988-09-01 Stamicarbon Katalysatorsysteem voor (co)polymerisatie van etheen in solutie.
NL8700558A (nl) 1987-03-09 1988-10-03 Stamicarbon Katalysatorsysteem voor hoge temperatuur (co)polymerisatie van etheen.
US5001205A (en) 1988-06-16 1991-03-19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production of a high molecular weight ethylene α-olefin elastomer with a metallocene alumoxane catalyst
US5001244A (en) 1988-06-22 1991-03-19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tallocene, hydrocarbylaluminum and hydrocarbylboroxine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WO1993025590A1 (en) 1992-06-15 1993-12-23 Exxon Chemical Patents Inc. High temperature polymerization process using ionic catalysts to produce polyolefins
US5681908A (en) * 1995-03-03 1997-10-28 Advanced Extraction Technologies, Inc. Absorption process for rejection of reactor byproducts and recovery of monomers from waste gas streams in olefin polymerization processes
DE10037774A1 (de) * 2000-08-03 2002-02-14 Bay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winnung organischer Substanzen aus einem diese Substanzen enthaltenden Gasgemisch
EP2219756B1 (en) * 2007-11-27 2017-03-15 Univation Technologies, LLC Method of using an integrated hydrocarbons feed stripper
WO2011011427A1 (en) * 2009-07-23 2011-01-27 Univation Technologies, Llc Polymerization reaction system
US8410329B2 (en) * 2010-10-15 2013-04-02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Ethylene separation
EP2848635A1 (en) * 2013-09-16 2015-03-18 Ineos Europe AG Polymerization process
EP3074433B1 (en) * 2013-11-29 2018-05-23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Process for continuous polymerization of olefin monomers in a reactor
WO2017025330A1 (en) * 2015-08-07 2017-02-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EP3390462B1 (en) * 2015-12-15 2022-11-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Olefin polymerization process
SG11202007631PA (en) * 2018-02-22 2020-09-29 Borealis A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6284A1 (en) 2022-05-27
EP4000723A1 (en) 2022-05-25
US20230415113A1 (en) 2023-12-28
CN116472104A (zh) 2023-07-21
TW202231347A (zh) 2022-08-16
CA3202381A1 (en)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243B1 (ko) 고분자의 인-라인 혼합을 위한 공정 및 기기
CN108473601B (zh) 在线共混方法
CN108602900A (zh) 一种用于在溶液聚合过程中回收烃的方法
CN111699202B (zh) 一种回收溶液聚合过程中的烯烃的方法
KR20230078757A (ko) 용액 중합을 위한 공급 스트림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
CN111295397B (zh) 一种在溶液聚合过程中回收烯烃的方法
US20240009590A1 (en) Screening Assembly and Process for Screening Polymer from an Effluent Stream at Reduced Levels of Polymer Entrainment
KR102638559B1 (ko) 중합 방법
US20240002552A1 (en) Polymerization Process and Arrangement
US20230272126A1 (en) Screening assembly and process for screening polymer from an effluent stream at reduced levels of polymer entrainment
TW202222845A (zh) 聚合製程及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