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8206A -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8206A
KR20230078206A KR1020210165741A KR20210165741A KR20230078206A KR 20230078206 A KR20230078206 A KR 20230078206A KR 1020210165741 A KR1020210165741 A KR 1020210165741A KR 20210165741 A KR20210165741 A KR 20210165741A KR 20230078206 A KR20230078206 A KR 20230078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motor
gear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석
엄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8206A/ko
Priority to PCT/KR2022/014936 priority patent/WO2023096142A1/ko
Publication of KR2023007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8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각도 조절 장치 및 각도 조절 방법이 개시된다. 각도 조절 장치는 전자장치,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장치와 결합하는 브래킷,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이 상기 브래킷에 전달되어 상기 브래킷이 회전하게 하고, 상기 브래킷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제1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과 상기 제1 모터를 연결하는 제1 일방향 전달부재,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이 상기 하부 하우징에 전달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이 회전하게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제2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모터를 연결하는 제2 일방향 전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APPARATUS FOR ANGLE CONTROLLING AND ANGLE CONTROL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각도 조절 장치 및 각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 전달부재를 통하여 액츄에이터에 의하여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지만, 외력에 의하여는 액츄에이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개시이다.
전자장치의 경우에는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는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출력값을 나타낼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전자장치가 프로젝터라면 원하는 위치에 빔을 쏘아 영상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영상 표시장치의 하나로서, 영상 정보를 외부의 스크린까지 투사하는 장치이다.
초기의 프로젝터는 조명계와 투사계를 구비하며, 별도의 영상자료를 필름 등의 형태로 제공하여 원하는 자료를 교체하면서 볼 수 있게 제공되었지만,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한 화상계를 구비함으로써, 컴퓨터나 영상 재생기 등을 연결하여 원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이 때, 컴퓨터나 영상 재생기 등의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정보에 의해 화상계 즉, 디스플레이 모듈에 영상이 구현되고, 영상을 구현하기는 하지만 스스로 빛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조명계가 적절한 광선을 제공하게 되며, 광선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투과하면서 투영 화상을 형성하며, 형성된 투영 화상은 투사계를 지나면서 확대되어 적절한 거리에 배치된 스크린에 투사되는 것이다.
현재는 투과형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DMD(Digital Micro Device) 등과 같은 소형 디스플레이 소자가 이용됨에 따라 프로젝터는 점차 소형화, 경량화 되고, 휴대가 가능한 크기의 프로젝터가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휴대용 프로젝터는 잦은 외근과 회의가 반복되는 직장인들에게 유용하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원하는 위치로 각도가 조절이 되었다면, 해당 각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경제적인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수명이 길어진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각도 조절 장치는 전자장치,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전자장치와 결합하는 브래킷,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이 상기 브래킷에 전달되어 상기 브래킷이 회전하게 하고, 상기 브래킷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제1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과 상기 제1 모터를 연결하는 제1 일방향 전달부재,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이 상기 하부 하우징에 전달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이 회전하게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제2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모터를 연결하는 제2 일방향 전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일방향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웜 및상기 웜에 치합되는 웜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일방향 전달부재는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웜휠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브래킷으로 전달하여 상기 브래킷이 회전하도록 하는 브래킷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 기어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있다.
상기 브래킷 기어와 치합되는 연결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웜휠의 회전축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기어는 상기 브래킷 기어를 감속하도록, 상기 웜휠보다 반경이 작을 수 있다.
상기 웜의 회전축은 전후방향이고, 상기 웜휠의 회전축은 좌우방향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브래킷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 기어는 상기 브래킷 외면과 인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브래킷의 외면에 인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브래킷 기어 외주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웜은 제1 웜, 상기 웜휠은 제1 웜휠, 상기 연결기어는 제1 연결기어라하고, 상기 제2 모터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일방향 전달부재는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 웜, 상기 제2 웜에 치합되는 제2 웜휠,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웜휠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 전달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이 회전하도록 하는 하우징 기어 및 상기 하우징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2 웜휠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는 제2 연결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기어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측으로 돌출 되는 실린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가이드의 하우징 기어를 마주하는 면은 상기 결합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돌기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어와 상기 하부 하우징을 결합시키도록, 상기 결합 홀과 상기 돌기 홀 내에 수용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기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브래킷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어의 외주가 상기 지지 돌기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웜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이고, 상기 제2 웜휠의 회전축은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하부 하우징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 실린더,상기 지지 실린더의 외측과 상기 하우징 기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베어링 및 상기 제1 베어링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지지 실린더 외측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자장치가 결합하도록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된 브래킷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브래킷 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상기 브래킷 돌기가 회전하는 각도 이상 형성되는 회전 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홀을 통하여 이물질이 상기 상부 하우징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홀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각도 조절 장치는 프로젝터, 상기 프로젝터와 결합하는 브래킷,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이 상기 브래킷에 전달되어 상기 브래킷이 회전하게 하고, 상기 브래킷의 회전은 상기 모터에 전달하지 않게 하도록, 상기 브래킷과 상기 모터를 연결하는 일방향 전달부재 및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여 상기 브래킷이 회전하는 구동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구동 행정의 결과를 감지하는 구동 감지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구동 감지 행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에서의 동력 발생을 제한하는 대기 행정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공간을 감지하여, 상기 각도 조절 장치가 미리 설정된 공간에 위치할 때, 미리 설정된 빔을 방사하도록 상기 브래킷을 회전시키는 공간 감지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젝터가 일정한 공간에 위치할 때, 설정된 위치에 빔을 방사하도록 상기 브래킷을 회전시키는 위치 감지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을 바탕으로 모터를 통해 틸팅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을 바탕으로 상기 모터를 통해 패닝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위치로 상기 틸팅 및 상기 패닝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틸팅 및 상기 패닝이 입력된 위치로 수행되었다면, 상기 모터에 별도의 전력을 소모함 없이 외력에 의하여 모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대기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일방향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웜 및 상기 웜에 치합되는 웜휠을 포함하고, 상기 대기 단계는 상기 웜과 상기 웜휠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일방향 전달부재를 통해 액츄에이터에 의하여만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외력에 의하여는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로 각도가 조절되었다면 별도의 제어없이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일방향 전달부재가 사용됨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각도가 조절이 되었다면, 액츄에이터를 별도로 제어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일방향 전달부재가 사용됨에 따라, 원하는 위치로 각도가 조절이 되었다면, 액츄에이터에 별도의 전력을 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액츄에이터의 수명이 길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자장치가 프로젝터일 때, 프로젝터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각도 조절 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각도 조절부의 하우징을 제거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각도 조절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각도 조절부에서 제1 일방향 전달부재와 관련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각도 조절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각도 조절부에서 제2 일방향 전달부재와 관련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각도 조절부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각도 조절부를 XX`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각도 조절 장치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어 순서에 따른 전력 소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위치 감지 행정과 공간 감지 행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각도 조절 장치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각도 조절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조절 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 장치(1)는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각도에 위치하고자 하는 전자장치(10)와 전자장치(10)의 각도를 움직이기 위한 각도 조절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20)가 조절할 수 있는 각도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각도 조절부(20)는 전자장치(10)의 상하 방향 이동을 지칭하는 틸팅(T)과 전자장치(10)의 좌우 방향 이동을 지칭하는 패닝(P)을 통하여 원하는 각도로 전자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스피커, 프로젝터(100) 등이 될 수 있다. 전자장치(10)가 무언가를 방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로 무언가를 방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프로젝터(100)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100)의 구성을 이하 설명한다. 프로젝터(100)는 스크린에 화상을 투사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프로젝터(100)는 외관을 구성하는 프로젝터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프로젝터(100)가 투사하려는 화상이 투사되는 투사 렌즈(131)가 위치할 수 있다.
프로젝터 하우징(110) 외측에는 프로젝터(100)의 전원을 켤 수 있는 전원키(18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100)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는 표시등(181)이 프로젝터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키(182)가 프로젝터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프로젝터(100)가 가질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전자장치(10)가 프로젝터(100)일 때, 프로젝터(100)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프로젝터(100)는 광을 발생시키는 조명계(120)와 투사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계(120)는 광원(121)으로부터 표시소자(162)에 이르기까지 배치되는 광부품들로 이루어지는 광학계를 의미한다. 조명계(120)는 광원(121)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21)은 R(Red), G(Green), B(Blue)광을 조사하는 발광기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기는 LED(Light Emitted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21)은 백색광을 방출하는 구성을 취할 수 있고, 이 경우 백색광을 R, G, B로 분리하는 컬러분리수단(미도시)이 추가로 구성된다.
조명계(120)는 콜리메이터 렌즈(122), 필터(123), 플라이아이렌즈(141), 집광 렌즈(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121)의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는 콜리메이터 렌즈(122)가 위치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122)는 광원(121)에서 방출되는 광을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콜리메이터 렌즈(122)를 통과한 광은 필터(123)를 거쳐 플라이아이렌즈(141)를 통과하고, 이어 집광 렌즈(140)를 통과할 수 있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광은 균일해지고, 집광될 수 있다.
프로젝터(100)는 굴절계(150)와 화상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굴절계(150)는 조명계(120)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하여 화상계(160)로 진행시킬 수 있다. 이 때, 굴절계(150)는 볼륨 홀로그래픽 미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굴절계(150)는 평판 형상의 미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굴절계(150)를 통하여 반사된 광은 화상계(160)로 진행할 수 있다. 화상계(160)는 투과형 액정 표시 장치,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MD: Digital Micromirror device)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광학적 영상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이러한 화상계(160)는 자체적으로 빛을 발생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조명계(120)로부터 조사된 광선을 제공받아 투영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화상계(16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소자(162)와 빛을 모아주는 릴레이렌즈(161)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계(160)를 통한 광은 투사계(130)를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될 수 있다. 투사계(130)는 화상계(160)로부터 출사된 투영 화상을 확대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는 투사 렌즈(161)로 구성되며, 투영 화상의 진행 방향으로 진퇴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크린과의 거리에 따라 초점 조절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된 영상을 선명하게 조절할 수 있다.
조명계(120)는 화상계(160)와 투사계(130) 사이 측면부에서 투영 화상의 진행 경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굴절계(150)로 입사되는 광선은 투영 화상의 진행 방향에 수직하게 진행할 수 있다. 조명계(120)에서 조사된 광선은 굴절계(150)로 수직하게 입사되지만, 굴절계(150)는 화상계(160)를 향하여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화상계(160)는 굴절계(150)를 통해 제공되는 광을 이용하여 투영 화상을 형성하여 투사계(130)로 진행시키게 되며, 투영 화상은 조명계(120)로부터 조사된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하게 진행하게 될 수 있다.
프로젝터(100)은 방열팬(170)과 방열핀(171)을 포함하여, 프로젝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프로젝터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프로젝터(100)는 투영 화상을 투사하여 원하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각도 조절 장치(1)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 장치(1)는 전자장치(10)와 전자장치(1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미리 설정된 경로로 움직이거나 기능할 수 있게 신호할 수 있는 입력부(610)와 외부의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센서(6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20)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은 상부에 위치한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에 위치한 하부 하우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10)은 반구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상부 하우징(210)의 표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상부 하우징(210)이 구의 형상을 갖는다면, 전자장치(10)가 그 표면을 따라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0)의 외면은 상부 하우징(210)의 외면에서 연장되어 원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0)의 하측은 평평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0)의 하측이 평평하기 때문에 각도 조절 장치(1)가 넘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0)은 상부 하우징(210)과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220)의 회전을 통하여, 상부 하우징(210)이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다른 구성이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은 내측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은 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각도 조절 모듈(30)이 위치할 수 있다. 각도 조절 모듈(30)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30)는 모터(도 4, 331, 332)가 될 수 있다.
모터(331, 332)에 모터(331, 332)를 구동시키는 모터 드라이버(630)가 연결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630)는 컨트롤러(620)에 의하여 제어 될 수 있다. 컨트롤러(620)는 프로세서(621)와 메모리(622)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조절 모듈(30)은 액츄에이터(330)에서 발생한 동력으로 움직이는 브래킷(31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310)의 상측에는 브래킷 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돌기(311)를 통하여 브래킷(310)과 전자장치(10)는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310)의 움직임을 통해 전자장치(10)가 움직일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상부 하우징(210)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하우징(200) 외측에 위치하고, 각도 조절 모듈(30)은 하우징(200)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각도 조절 모듈(30)과 브래킷 돌기(311)를 통해 결합이 될 수 있므로, 브래킷 돌기(311)는 상부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하우징(210)은 브래킷 돌기(311)가 이동하기에 방해되지 않도록, 브래킷 돌기(311)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형성되는 회전 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돌기(311)가 이동하면서, 회전 홀(211)을 모두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커버하기 위하여 각도 조절부(20)는 회전 홀(21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 홀(211)을 통하여 이물질이 상부 하우징(210)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브래킷 돌기(311)에 결합되어 회전 홀(211)을 커버하는 커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30)는 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홀(231)을 관통하여 브래킷 돌기(311)가 전자장치(10)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0)은 각도 조절 모듈(30)이 결합하기 위한 실린더 가이드(222)와 이를 통하여 형성되는 실린더 홀(2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0)은 각도 조절 모듈(30)이 하부 하우징(220)에 결합되기 위하여 돌기 홀(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각도 조절부(20)의 하우징(200)을 제거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20)에서 하우징(200), 커버부(230)를 제거하면, 각도 조절 모듈(30)이 나타난다.
각도 조절 모듈(30)은 베이스 플레이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표현되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크기는 하우징(200)의 내측 크기에 의하여 제한 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모터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모터는 베이스 플레이트(320)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모터에서 전달되는 동력은 브래킷(310)을 움직이거나, 하부 하우징(도 3, 220)을 움직일 수 있다. 모터와 브래킷(310) 또는 모터와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는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부재는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가 될 수 있다.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는 모터에서 발생하는 동력은 동력이 필요한 곳에 전달할 수 있으나, 반대로 외력이 있는 경우 모터에 해당 외력을 전달하지 않는 부재를 말한다. 외력이 있는 경우 모터에 해당 외력을 전달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는 일렉트로 마그네틱 브레이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브레이크부를 마련하기 위하여 이를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은 재료비의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과 제어를 위한 별도의 추가적인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는 웜(410, 510)과 웜휠(420, 520)을 포함할 수 있다. 웜(410, 510)과 웜휠(420, 520)을 구조적으로, 웜(410, 510)이 회전하면 웜휠(420, 520)이 회전하고, 웜휠(420, 520)이 회전하려고 하면 웜(410, 510)이 회전하지 않는 구조이다.
모터(331, 332)의 회전축에 웜(410, 510)이 결합될 수 있다. 웜(410, 510)과 치합되도록 웜휠(420, 520)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331, 332)의 동력은 웜(410, 510)에 전달되어 웜휠(420, 520)을 회전시킬 수 있지만, 웜휠(420, 520)을 통하여 전달되는 외력은 웜(410, 510)을 회전시킬 수 없다. 따라서 힘이 일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웜(410, 510)과 웜휠(420, 520)의 회전축은 수직하게 위치할 수 있다. 웜(410, 510)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웜휠(420, 520)의 회전축은 좌우 방향일 수 있다.
각도 조절 장치(1)는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감속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만약 모터(331, 332)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 기어인 경우에는 기어 간의 기어비가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 필요하다. 스퍼 기어를 통해 기어비의 차이를 크게 하려면, 반경의 차이가 많이 나는 기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반경의 차이가 크게 나기 위하여는 크기가 큰 기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크기가 큰 기어를 사용하게 되면 제품 전체의 크기 증가로 이어진다. 제품의 크기가 증가하면 휴대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 웜(410, 510)과 웜휠(420, 520)인 경우에는 크기가 큰 기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원하는 감속비를 얻을 수 있어, 작은 크기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휴대성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전자제품이 프로젝터(100)이고, 제품 전체가 미니 프로젝터(100)인 경우에 휴대성이 증가한다는 것은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웜휠(420, 520)에서 곧바로 브래킷(310)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지만, 하우징(200)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하우징(200) 내부 구성 간 위치관계를 변경하고, 변경된 위치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는 브래킷 기어(460) 또는 하우징 기어(560)와 치합되는 연결 기어(430, 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기어(430, 530)의 회전축과 웜휠(420, 520)의 회전축은 동일할 수 있다. 연결 기어(430, 530)와 웜휠(420, 520)은 연결 샤프트(450, 55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사프트는 웜휠(420, 520)과 연결 기어(430, 530)의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 샤프트(450, 550)는 웜휠(420, 520)로부터 연결 기어(430, 530)로 연장되기 때문에, 연결 사프트(450, 550)는 다른 부재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20)에 결합되는 축 지지대(440, 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기어(430, 530)와 브래킷 기어(460) 또는 연결 기어(430, 530)와 하우징 기어(560)의 기어비 차이가 크게 나야 감속비가 커질 수 있다. 기어의 크기 차이가 크게 나야 기어비 차이가 크게 날 수 있기 때문에, 연결 기어(430, 530)와 브래킷 기어(460) 또는 연결 기어(430, 530)와 하우징 기어(560)의 크기 차이가 크게 날 수록 감속비가 커진다.
즉, 브래킷 기어(460) 또는 하우징 기어(500)보다 연결 기어(430, 530)가 작아야 브래킷 기어(460) 또는 하우징 기어(500)의 감속에 도움이 되고, 연결 기어(430, 530)가 작으면 작을 수록, 브래킷 기어(460) 또는 하우징 기어(500)는 감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웜휠(420, 520) 기어와 동일한 회전 수를 갖지만 반경이 작은 기어가 브래킷 기어(460) 또는 하우징 기어(560)와 치합될 수 있다.
전자장치(10)의 출력을 원하는 각도로 방사하기 위하여는 전자장치(10)의 상하방향의 각도와 좌우 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하 방향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틸팅(T)이라고 할 수 있다. 좌우 방향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패닝(P)이라고 할 수 있다.
틸팅(T)과 패닝(P) 각각을 하기 위한 동력이 필요할 수 있다. 이 때 틸팅(T)을 하기 위한 모터(331, 332)를 제1 모터(331)라 할 수 있다. 패닝(P)을 하기 위한 모터(331, 332)를 제2 모터(332)라 할 수 있다.
틸팅(T)을 위하여 마련되는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를 제1 일방향 전달 부재(400)라고 할 수 있다. 패닝(P)을 위하여 마련되는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를 제2 일방향 전달 부재(500)라고 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는 도 5와 함께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각도 조절부(20)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브래킷(310)은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310)은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양 측단에서 브래킷 지지대(48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 지지대(48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브래킷(310)을 관통하여 결합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20)에서 브래킷(31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브래킷(310)은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결합한 일 측에서 연장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타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결합하는 타 측을 향하여 다시 절곡되어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브래킷(310)과 베이스 플레이트(320) 사이에는 공간이 생길 수 있다.
브래킷(310)과 베이스 플레이트(320) 사이에 모터(331, 332)가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모터(331, 332)를 지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320) 상측에 모터(331, 332)가 위치할 수 있다.
각도 조절 모듈(30)은 틸팅(T)을 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1 일방향 전달 부재(400) 및 패닝(P)을 위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 일방향 전달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틸팅(T)을 위한 제1 일방향 전달 부재(400)와 패닝(P)을 위한 제2 일방향 전달 부재(500)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을 통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3의 각도 조절부(20)에서 제1 일방향 전달부재와 관련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각도 조절부(20)를 측면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일방향 전달 부재(400)는 동력을 브래킷(310)에 전달하여 브래킷(310)이 상하로 회전하며 움직임에 따라, 브래킷(310)에 결합된 전자장치(10)가 상하로 회전하며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제1 일방향 전달 부재(400)는 제1 모터(3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331)의 회전축은 각도 조절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모터(331)의 회전축에는 제1 웜(41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웜(410)과 치합되는 제1 웜휠(4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웜휠(420)의 회전축과 제1 모터(331)의 회전축은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웜휠(420)의 회전축은 브래킷 기어(46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브래킷 기어(460)를 향해 좌우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브래킷 기어(460)의 회전축과 수평하게 제1 모터(331)의 회전축이 위치할 필요가 없게 될 수 있다.
하우징(110) 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310)은 베이스 플레이트(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모터(331)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브래킷(310)의 사이에 위치하고, 브래킷 기어(460)는 브래킷(310) 외면과 인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웜휠(42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는 제1 연결 기어(43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기어(430)는 브래킷(310)과 결합한 브래킷 기어(460)와 치합 될 수 있다. 제1 웜휠(420)과 브래킷 기어(460)가 치합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 기어(430)를 필요로 하지 않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연결 기어(430)가 없다면, 브래킷 기어(460)와 제1 웜휠(420)이 치합되도록 제1 모터(331)가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1 모터(331)를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는 하우징(200)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제1 웜휠(420)은 제1 연결 기어(430)과 제1 연결 샤프트(45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샤프트(450)는 제1 웜휠(420)과 제1 연결 기어(430)의 회전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 샤프트(450)는 제1 웜휠(420)의 회전 중심에서 제1 연결 기어(430)의 회전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 기어(460)는 브래킷(3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브래킷(310)은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양 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외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브래킷 기어(46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외측에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 기어(460)와 치합될 수 있는 제1 연결 기어(43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웜휠(420)의 회전 중심에서 제1 연결 기어(430)의 회전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 샤프트(450)는 브래킷(310)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브래킷(310)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브래킷 기어(460)의 회전축과 브래킷(310) 및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브래킷 지지대(480)에 의하여 브래킷(310)과 브래킷 기어(46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310)에는 홀(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지지 돌기(도 8, 321)는 지지대 홀(도 8, 32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 지지대(480)는 브래킷(310)의 홀과 베이스 플레이트(320) 지지대 홀(도 8, 322)을 관통하여 브래킷(310)과 브래킷 기어(460) 및 베이스 플레이트(320)를 결합할 수 있다.
브래킷 기어(460)가 움직임에 따라 브래킷(310)이 움직여 그와 결합한 전자장치(10)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브래킷 기어(460)는 브래킷(310)과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310)과 브래킷 기어(460)는 브래킷 스크류(47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브래킷 스크류(470)는 2개 일 수 있다. 브래킷 스크류(470)는 상하 방향으로 2개로 정렬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브래킷(310)과 브래킷 기어(46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 샤프트(45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 상측에 위치한 제1 축 지지대(44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1 축 지지대(440)는 중심에 홀이 형성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브래킷 기어(460)는 제1 연결 기어(430)와 치합될 수 있다. 브래킷 기어(460)와 제1 연결 기어(430)의 기어비가 크게 차이 나야 감속비가 커지기 때문에, 브래킷 기어(460)와 제1 연결 기어(430)의 크기 차이가 큰 것이 감속비가 커지는 측면에서 좋다. 브래킷 기어(460)의 감속비가 커지면, 이에 따라서 더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브래킷 기어(460)의 외주는 하우징(200)의 내면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하우징(210)은 전자장치(10)가 움직이는 각도만큼의 회전 홀(211)이 형성될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하우징(200)의 크기를 작게 하여 휴대성을 높이고자 한다면, 상부 하우징(210) 보다 하부 하우징(220)의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래킷 기어(460)는 하부 하우징(220)의 내면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각도 조절 장치(1)가 안정적으로 서 있으려면, 일정한 넓이로 하우징(200)의 하면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부 하우징(220)의 폭은 높이보다 넓을 수 있다. 따라서 브래킷 기어(460)는 하부 하우징(220)의 하측 내면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부 하우징(210)은 브래킷(310)의 외면에 인접하도록 마련되고, 하부 하우징(220)은 브래킷 기어(460) 외주에 인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1 모터(331)에서 발생하는 동력에 의하여 제1 웜(410)이 움직일 수 있고, 제1 웜(410)에 의하여 그에 치합된 제1 웜휠(420)이 움직일 수 있다. 제1 웜휠(420)은 회전축을 공유하는 제1 연결 기어(430)를 움직일 수 있고, 제1 연결 기어(430)는 그에 치합된 브래킷 기어(460)를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 기어(460)는 그와 결합된 브래킷(310)을 움직일 수 있다. 전자장치(10)는 브래킷(310)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브래킷(310)의 움직임에 의하여 전자장치(10)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각도 조절부(20)에서 제2 일방향 전달 부재(500)와 관련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각도 조절부(20)를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각도 조절부(20)를 XX`을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일방향 전달 부재(500)는 제2 모터(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332)의 회전축은 각도 조절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모터(332)의 회전축은 제1 모터(331)의 회전축과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모터(332)의 회전축에는 제2 웜(51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웜(510)과 치합되는 제1 웜휠(4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웜휠(420)의 회전축과 제2 모터(332)의 회전축은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웜휠(420)의 회전축은 하우징 기어(56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하우징 기어(560)를 향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하우징 기어(560)의 회전축과 수평하게 제2 모터(332)의 회전축이 위치할 필요가 없게 될 수 있다.
제1 웜휠(420)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는 제2 연결 기어(53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 기어(530)는 하부 하우징(220)과 결합한 하우징 기어(560)와 치합될 수 있다. 제1 웜휠(420)과 하우징 기어(560)가 치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연결 기어(530)를 필요로 하지 않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연결 기어(530)가 없다면, 하우징 기어(560)와 제1 웜휠(420)이 치합되도록 제2 모터(332)가 위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2 모터(332)를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는 하우징(200)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제1 웜휠(420)은 제2 연결 기어(530)와 제2 연결 샤프트(55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 샤프트(550)는 제1 웜휠(420)과 제2 연결 기어(530)의 회전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연결 샤프트(550)는 제1 웜휠(420)의 회전 중심에서 제2 연결 기어(530)의 회전 중심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샤프트(55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 상측에 위치한 제2 축 지지대(54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제2 축 지지대(540)는 중심에 홀이 형성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제2 모터(332)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320) 상측에 제2 모터(332), 제2 웜(510), 제1 웜휠(420)이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기어(56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 하측에 위치할 수 있기에, 이와 치합되는 제2 연결 기어(53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 기어(530)와 제1 웜휠(420)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샤프트(55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기어(56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 T이 기어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기어(560)의 회전축의 중심에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기어(560)의 회전축 중심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지지 실린더(590)가 위치할 수 있다. 지지 실린더(590)는 하우징 기어(560)의 회전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 실린더(590)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지지 실린더(590)와 하우징 기어(560)는 제1 베어링(591)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제1 베어링(591)을 통하여 지지 실린더(590)와 하우징 기어(560)의 상대 운동 시 마찰이 줄어들 수 있다.
지지 실린더(59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 하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지지 실린더(590)는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지지 실린더(590)는 하우징 스크류(57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스크류(570)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중앙 측과 지지 실린더(590)의 상면을 관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320)와 지지 실린더(590)를 결합 시킬 수 있다.
하우징 기어(560)는 기어의 일측을 관통하는 결합 홀(56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홀(561)을 관통하여 결합 홀(561)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진 결합 돌기(580)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 돌기(580)는 하부 하우징(220)에 위치한 돌기 홀(도 3, 223)을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돌기(580)에 의하여 하우징 기어(560)와 하부 하우징(220)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 기어(560)와 하부 하우징(220)이 결합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접착제나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에 의하여도 하우징 기어(560)와 하부 하우징(22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하우징(220)의 회전축에는 실린더 홀(221)이 마련될 수 있다. 실린더 홀(221)의 내주에는 상부 하우징(210)을 향해 돌출되고 실린더 홀(221)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실린더 가이드(222)가 마련될 수 있다. 실린더 가이드(222)의 일측에는 실린더 가이드(222)를 관통하는 돌기 홀(223)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돌기(580)는 이상과 같이 위치한 돌기 홀(223)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기어(560)와 하부 하우징(220)이 결합함에 따라서, 하우징 기어(560)의 회전이 하부 하우징(220)의 회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0)은 다른 구성과는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하우징(220)이 회전 한다는 것은 다른 구성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0)이 바닥 등에 의하여 고정되었을 때, 하부 하우징(220)과 분리되어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210)이 회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하우징(220)과 분리된 전자장치(10)의 회전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자장치(10)의 패닝(P)을 조절할 수 있다.
지지 실린더(590)는 하우징 기어(560)에서 하부 하우징(220)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 기어(560)의 회전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하부 하우징(220)의 실린더 홀(221)에 수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20)의 실린더 홀(221)과 지지 실린더(590) 사이에는 제2 베어링(59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베어링(592)은 하부 하우징(220)이 지지 실린더(59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그 사이에 마찰을 줄여 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하우징(220)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베이스 플레이트(320)에 결합되는 지지 실린더(590), 지지 실린더(590)의 외측과 하우징 기어(56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베어링(591) 및 제1 베어링(591)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지지 실린더 외측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베어링(5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기어(560)는 제2 연결 기어(530)와 치합될 수 있다. 하우징 기어(560)와 제2 연결 기어(530)의 기어비가 크게 차이 나야 감속비가 커지기 ‹š문에, 하우징 기어(560)와 제2 연결 기어(530)의 크기 차이가 큰 것이 감속비가 커지는 측면에서 좋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 기어(560)의 외주는 지지 돌기(321)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돌기(321)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일측에 위치하고,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 기어(560)의 크기가 이와 같이 마련되는 것이 하우징 기어(560)의 크기를 키울 수 있는 방법이 된다.
결론적으로, 제2 모터(332)에서 발생하는 동력에 의하여 제2 웜(510)이 움직일 수 있고, 제2 웜(510)에 의하여 그에 치합된 제1 웜휠(420)이 움직일 수 있다. 제1 웜휠(420)은 회전축을 공유하는 제2 연결 기어(530)를 움직일 수 있고, 제2 연결 기어(530)는 그에 치합된 하우징 기어(560)를 움직일 수 있다. 하우징 기어(560)는 그와 결합된 하부 하우징(220)을 움직일 수 있고, 하부 하우징(220)은 바닥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전자장치(10)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는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프로젝터(100)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전자장치(10)는 프로젝터(10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의 프로젝터(100)는 소형화 되는 추세이고, 기술의 발달으로 소형화 된 프로젝터(100)도 일정 수준 이상의 화질을 가진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프로젝터(100)와 전자동 모션 기능을 융합하고, 이에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프로젝터(100)의 장점을 극대화 하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활용 기능들, 새로운 시나리오들을 발굴해 나갈 수 있다. 즉, 확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전자동 모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젝터(100)라고 하더라도, 영상 시청 중에는 흔들림 없는 안정적인 스크린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프로젝터(100)의 본질 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원하는 각도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휴대성이 높은 프로젝터(100)의 경우에는 프로젝터(100) 내의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스템의 소비 전력이 높으면 프로젝터(100)의 사용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시적으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는 휴대용 프로젝터(100)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제어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의 각도 조절 장치(1)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 장치(1)는 입력부(610)(도 13, 610)에 의하여 구동 행정(710)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 행정(710)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구동 행정(710)에서는 앞서 살펴 본 모터(331, 332)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전자장치(10)로 전달하여 틸팅(T)과 패닝(P)을 시켜 원하는 각도로 전자장치(10)를 이동시킨다.
그 후 각도 조절 장치(1)는 센서(600)(도 13, 600)에 의하여 구동 감지 행정(720)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 감지 행정(720)은 원하는 각도로 전자장치(10)가 이동하였는지 판단하는 절차이다. 구동 감지 행정(720)에 의하여 원하는 각도로 전자장치(10)가 이동하였다는 판단이 되었다면, 각도 조절 장치(1)는 대기 행정(70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대기 행정(700)은 각도 제어에 소모되는 전력이 없는 행정이다. 전자장치(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의 경우, 전자장치(10)의 무게에 의하여 전자장치(10)가 조절된 각도에서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을 보정하기 위하여 각도 조절 장치(1)는 각도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를 보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경우, 모터(331, 332)를 이용하여 전자장치(10)의 각도 제어를 수시로 하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전력이 소모된다. 또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보호 회로가 없다면 하드웨어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력이 계속하여 모터(331, 332)에 소모되면, 각도 조절 장치(1) 전체에 사용되어야 하는 전력의 일부를 계속하여 모터(331, 332)에 소모하게 된다. 이 때, 각도 조절 장치(1)가 휴대용인 경우,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미리 충전된 배터리를 포함하여 전원을 공급한다면, 배터리의 전력이 모터(331, 332)를 제어하는데 계속하여 쓰이기 때문에, 각도 조절 장치(1)의 사용 가능한 시간이 단축된다. 나아가, 모터(331, 332)를 계속 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모터(331, 332) 자체의 수명도 단축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에 의하여 전자장치(10)의 자중이나, 외력으로 인해 모터(331, 332)가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한 제어부를 포함하지 않거나, 전력을 계속 공급하지 않아도, 각도 조절 장치(1)의 원하는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331, 332)에 사용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각도 조절 장치(1)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모터(331, 332)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제어 순서에 따른 전력 소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인가하기 전에는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전원 인가"하면 기본 소비 전력이 생긴다. 기본 소비 전력은 각도 조절 장치(1)가 외부의 서버 등과 통신하는 경우, 정보 전달 등을 하는 경우에 지속적으로 필요한 전력일 수 있다.
각도 조절 장치(1)의 각도 조절 모듈(30)에 의하여 전자장치(10)의 각도를 변경하는 시작할 때가 "제어 시작"이다. 제어를 시작하면 모터(331, 332)에 의하여 전력이 소모되므로, 전력 소모값이 증가한다. 일정량의 전력을 소모하면 전자장치(10)가 원하는 각도에 도달하게 된다. 원하는 각도에 도달한 때를 "목표 도달"이라고 그래프에 표현되어있다.
목표 도달 후 본 발명 같은 경우에는 모터(331, 332) 제어를 위해 별도의 전력을 소모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그래프에서는 이를 실선으로 표현하였다. 다만, 본 발명과 같은 일방향 전달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자세 유지를 위해 모터(331, 332)를 구동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이를 그래프에서는 일점쇄선으로 표현하였다.
도 13은 도 1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20)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622)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6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610)에 의하여 전송된 신호에 의하여, 컨트롤러(620)는 미리 저장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620)는 모터 드라이버(630)를 통하여 제1 모터(331) 및 제2 모터(332)를 동작시켜 미리 저장된 위치로 각도 조절 장치(1)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동작이 끝난 후 센서(600)에 의하여 구동 감지 행정(720)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600)에 의하여 입력된 정보에 의하여 원하는 만큼 각도 조절 장치(1)의 각도가 움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된다면, 컨트롤러(620)는 모터 드라이버(630)를 통해 제1 모터(331) 및 제2 모터(332)를 동작시켜 다시 원하는 위치로 각도 조절 장치(1)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에 위치 감지 행정(730)과 공간 감지 행정(740)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는 입력부(610)를 통하여 컨트롤러(620)(도 13, 620)에 입력을 송신하고, 송신 받은 정보를 기초로 컨트롤러(620)가 저장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전자장치(10)가 프로젝터(100)이고 각도 조절 장치(1)가 휴대성이 있다면, 센서(600)를 통하여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도 조절 장치(1)가 다양한 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장치(10)가 프로젝터(100)인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프로젝터(100)는 휴대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되는 공간을 옮겨 가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 의하여, 영상을 투사하려는 위치가 매번 달라지므로, 위치마다 최적화 된 영상을 투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는 사용하려는 공간을 인식하여 최적화 된 영상을 투사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간을 감지하는 공간 감지 행정(740)이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행정(730)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도 13, 622)에는 빔을 방사하려는 위치를 감지하여 프로젝터(100)에서 방사되는 투사 영상의 크기나 방사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감지 행정(730)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600)부를 통하여 빔을 방사하려는 위치를 인식하였을 때, 컨트롤러(620)는 투사 영상이 잘 보이도록 투사 영상의 크기나 위치를 조정하도록 프로젝터(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사하려는 벽면 전체의 사이즈에 맞게 투사 영상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다. 또는 경사가 져 있는 스크린을 인식하여, 경사를 보정하여 투사 영상을 보정하도록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도 13, 622)에는 일정한 공간에 각도 조절 장치(1)가 위치하면 전자장치(10)가 프로젝터(100)인 경우, 미리 설정된 위치로 빔을 방사하도록 하는 행동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공간에 각도 조절 장치(1)가 위치하면, 컨트롤러(도 13, 620)는 미리 설정된 위치로 빔을 방사하도록 모터 드라이버(도 13, 630)를 통해, 제1 모터(331) 및 제2 모터(332)를 동작시키고 이에 의하여 브래킷(310) 및 하부 하우징(220)의 회전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면이 목적인 침실에 각도 조절 장치(1)를 위치시키게 되면, 수면을 위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는 거실에 각도 조절 장치(1)를 위치시키게 되면, 그 날의 일정에 관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위치가 자유로운 경우, 사람 또는 사물의 모션을 감지하여 이와 상호 작용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1의 각도 조절 장치(1)의 제어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 장치(1)의 각도 조절 방법은 정지 상태(800)에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8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입력은 입력부(도 13, 6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일 수도 있고, 센서(도 13, 600)를 통해서 수신되는 입력일 수도 있다.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은 수신된 입력을 바탕으로 모터(331, 332)를 통해 틸팅(T)하는 단계(830)와 수신된 입력을 바탕으로 모터(331, 332)를 통해 패닝(P)하는 단계(82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331, 332)에 의하여 발생한 동력은 브래킷(310) 또는 하부 하우징(220)을 전달 되어, 원하는 위치로의 각도 조절을 유발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은 입력된 위치로 틸팅(T) 및 패닝(P)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8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도 13, 600)를 통해서 입력된 위치로 틸팅(T)과 패닝(P)이 수행 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은 틸팅(T) 및 패닝(P)이 입력된 위치로 수행되었다면, 모터(331, 332)에 별도의 전력을 소모함 없이 외력에 의하여 모터(331, 332)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8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를 각도 조절 장치(1)가 포함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 없이 제어부에 의하여 끊임없이 조정하는 단계가 수행되어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방향 전달 부재(400, 500)에 의하여 원하는 각도로 설정된 후에는 별도의 제어를 하지 않아도 각도가 유지 될 수 있으므로,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은 대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1의 각도 조절 장치(1)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앞서 언급한 방법에 의하여 각도 조절 장치(1)는 그림과 같은 틸팅(T)과 패닝(P)을 하여 원하는 위치로 투사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각도 조절 장치: 1
전자 장치: 10
프로젝터: 100
틸팅: T
패닝: P
하우징: 200
상부 하우징: 210
회전 홀: 211
하부 하우징: 220
실린더 홀: 221
실린더 가이드: 222
돌기 홀: 223
커버부: 230
브래킷: 310
베이스 플레이트: 320
지지 돌기: 321
액츄에이터: 330
제1 모터: 331
제2 모터: 332
일방향 전달부재: 400, 500
제1 일방향 전달 부재: 400
제2 일방향 전달 부재: 500
웜: 410, 510
제1 웜: 410
제2 웜: 510
웜휠: 420, 520
제1 웜휠: 420
제2 웜휠: 520
연결 기어: 430, 530
제1 연결 기어: 430
제2 연결 기어: 530
축 지지대: 440, 540
제1 축 지지대: 440
제2 축 지지대: 540
연결 샤프트: 450, 550
제1 연결 샤프트: 450
제2 연결 샤프트: 550
브래킷 기어: 460
하우징 기어: 560
결합 홀: 561
하우징 스크류: 570
결합 돌기: 580
지지 실린더: 590
제1 베어링: 591
제2 베어링: 592
센서: 600
입력부: 610
컨트롤러: 620
프로세서: 621
메모리: 622
모터 드라이버: 630
대기 행정: 700
구동 행정: 710
구동 감지 행정: 720
위치 감지 행정: 730
공간 감지 행정: 740
정지 상태: 800
압력을 수신하는 단계: 810
수신된 입력을 바탕으로 패닝하는 단계: 820
수신된 입력을 바탕으로 틸팅하는 단계: 830
원하는 위치로 틸팅과 패닝이 되었는가: 840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850

Claims (20)

  1.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전자장치와 결합하는 브래킷;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이 상기 브래킷에 전달되어 상기 브래킷이 회전하게 하고, 상기 브래킷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제1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과 상기 제1 모터를 연결하는 제1 일방향 전달부재;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는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이 상기 하부 하우징에 전달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이 회전하게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제2 모터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제2 모터를 연결하는 제2 일방향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방향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웜; 및
    상기 웜에 치합되는 웜휠;을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방향 전달부재는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상기 웜휠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브래킷으로 전달하여 상기 브래킷이 회전하도록 하는 브래킷 기어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기어의 외주가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는 각도 조절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기어와 치합되는 연결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웜휠의 회전축은 동일한 각도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어는 상기 브래킷 기어를 감속하도록, 상기 브래킷 기어보다 반경이 작은 각도 조절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웜의 회전축은 전후방향이고,
    상기 웜휠의 회전축은 좌우방향인 각도 조절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브래킷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브래킷 기어는 상기 브래킷 외면과 인접하여 결합되는 각도 조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브래킷의 외면에 인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브래킷 기어 외주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는 각도 조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웜은 제1 웜, 상기 웜휠은 제1 웜휠, 상기 연결기어는 제1 연결기어이고,
    상기 제2 모터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일방향 전달부재는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 웜;
    상기 제2 웜에 치합되는 제2 웜휠;
    상기 하부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웜휠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하부 하우징으로 전달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이 회전하도록 하는 하우징 기어; 및
    상기 하우징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2 웜휠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는 제2 연결 기어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기어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결합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측으로 돌출 되는 실린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가이드의 하우징 기어를 마주하는 면은 상기 결합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돌기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어와 상기 하부 하우징을 결합시키도록, 상기 결합 홀과 상기 돌기 홀 내에 수용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기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브래킷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하측으로 돌출된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기어의 외주가 상기 지지 돌기에 인접하도록 마련되는 각도 조절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웜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이고,
    상기 제2 웜휠의 회전축은 상하 방향인 각도 조절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 실린더;
    상기 지지 실린더의 외측과 상기 하우징 기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베어링; 및
    상기 제1 베어링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지지 실린더 외측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전자장치가 결합하도록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결합 돌기가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상기 브래킷 돌기가 회전하는 각도 이상 형성되는 회전 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홀을 통하여 이물질이 상기 상부 하우징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브래킷 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홀을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16. 프로젝터와 결합하는 브래킷;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모터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동력이 상기 브래킷에 전달되어 상기 브래킷이 회전하게 하고, 상기 브래킷의 회전은 상기 모터에 전달하지 않게 하도록, 상기 브래킷과 상기 모터를 연결하는 일방향 전달부재; 및
    상기 모터 드라이버를 제어하여 상기 브래킷이 회전하는 구동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구동 행정의 결과를 감지하는 구동 감지 행정을 수행하고, 상기 구동 감지 행정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에서의 동력 발생을 제한하는 대기 행정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각도 조절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공간을 감지하여, 상기 각도 조절 장치가 미리 설정된 공간에 위치할 때, 미리 설정된 빔을 방사하도록 상기 브래킷을 회전시키는 공간 감지 행정을 수행하는 각도 조절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젝터가 일정한 공간에 위치할 때, 설정된 위치에 빔을 방사하도록 상기 브래킷을 회전시키는 위치 감지 행정을 수행하는 각도 조절 장치.
  19.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을 바탕으로 모터를 통해 전자장치를 전자장치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틸팅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을 바탕으로 상기 모터를 통해 전자장치를 전자장치의 하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패닝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위치로 상기 틸팅 및 상기 패닝이 수행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틸팅 및 상기 패닝이 입력된 위치로 수행되었다면, 상기 모터에 별도의 전력을 소모함 없이 외력에 의하여 모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일방향 전달부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대기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전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웜 및 상기 웜에 치합되는 웜휠을 포함하고,
    상기 대기 단계는 상기 웜과 상기 웜휠에 의하여 수행되는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KR1020210165741A 2021-11-26 2021-11-26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KR20230078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741A KR20230078206A (ko) 2021-11-26 2021-11-26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PCT/KR2022/014936 WO2023096142A1 (ko) 2021-11-26 2022-10-05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741A KR20230078206A (ko) 2021-11-26 2021-11-26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8206A true KR20230078206A (ko) 2023-06-02

Family

ID=8653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741A KR20230078206A (ko) 2021-11-26 2021-11-26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8206A (ko)
WO (1) WO202309614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0143B1 (ko) * 1996-07-31 1999-06-15 전주범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절장치
KR20070114458A (ko) * 2006-05-29 2007-12-04 윤정식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KR20100005933U (ko) * 2008-12-03 2010-06-11 김승호 전동식 후방 감시 카메라
JP2011232474A (ja) * 2010-04-27 2011-11-17 Fujifilm Corp プロジェクタ
CN111550701A (zh) * 2020-05-13 2020-08-18 安徽艳阳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led投光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6142A1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0975B2 (ja) プロジェクタ
US10578954B2 (en) Projector configured to be integrated with a surface
US8439508B2 (en) Projector and projector system
US77940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directional positioning of projected images
US11871160B2 (en) Projection apparatus
US11429017B2 (en) Projection apparatus
KR100629505B1 (ko) 포커스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 장치
US11632528B2 (en) Projection apparatus
US10225531B2 (en) Image display unit, image projection unit, and image projection apparatus
US11539930B2 (en) Projection apparatus
WO2020078187A1 (zh) 投影机
JP2007218945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JP4900408B2 (ja) プロジェクター
KR20230078206A (ko)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US2013015511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obile device
KR20050089510A (ko) 팬/틸트 돔형 카메라
JP2011203286A (ja) プロジェクター
US10645241B2 (en) Sound emitt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352613Y1 (ko) 팬/틸트 돔형 카메라
JP2006106078A (ja) 投射装置
JP5451879B2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9192606A (ja) 撮像装置
JP2009171179A (ja) 電子機器
JP2005012721A (ja) 背面投射型表示装置
KR20130084449A (ko)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