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938A - 커피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커피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938A
KR20230077938A KR1020210165188A KR20210165188A KR20230077938A KR 20230077938 A KR20230077938 A KR 20230077938A KR 1020210165188 A KR1020210165188 A KR 1020210165188A KR 20210165188 A KR20210165188 A KR 20210165188A KR 20230077938 A KR20230077938 A KR 20230077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plastic
composition according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주
이현태
Original Assignee
(주)자연에버리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연에버리다 filed Critical (주)자연에버리다
Priority to KR1020210165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938A/ko
Publication of KR2023007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2Agar or agar-agar, i.e. mixture of agarose and agaropecti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박(coffee ground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된 액상 음료용 일회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피 제조공정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부산물인 커피박을 생분해성 고분자 및 당알코올과 일정비로 혼합함으로써 산업 전반에 걸쳐 방대한 용도를 가지는 플라스틱에 대한 효율적인 친환경 천연 대체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성형성, 경도, 인장강도 등 플라스틱의 성상과 물성에 대한 높은 재연성을 보여 특히 용기, 스틱, 빨대 등의 음료용 일회용품의 원료를 대체함으로써 막대한 플라스틱 폐기물 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제 조성물{A Composition for Replacing Plastic Comprising Coffee Grounds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커피박과 생분해성 고분자 및 당알코올을 일정한 조성비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된 액상 음료용 일회용품에 관한 것이다.
석유에서 추출되는 단량체를 결합하여 합성되는 고분자 화합물인 플라스틱은 가볍고 관리 및 성형이 용이하며 방수성, 방부성, 내구성을 지니고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국내 플라스틱 생산량은 2016년 기준 15,488,000톤으로, 11년간 연평균 3.2% 추세로 증가하고 있고, 그 소비량은 7,718,000톤으로 이 역시 연평균 3.7% 추세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으며 자연 분해에 대략 200~1,000년 정도 소요되어, 이러한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 및 소비의 증가는 폐 플라스틱 누적량의 현저한 증가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폐 플라스틱은 그 자체로도 문제이지만 환경 호르몬의 주요 노출원이기도 한데, 플라스틱에 포함된 프탈레이트, 비스페놀 A 등의 환경 호르몬은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의 생식 및 면역기능을 저하시키고, 여성들의 난임을 유발하거나, 암 발생률을 높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미 일상생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플라스틱은 다른 친환경 재료보다 단가가 2-3배 이상 낮아 경제성 측면에서 이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는 재료의 발굴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세계 각국에서는 플라스틱의 생산 및 사용량을 줄이려는 노력이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럽연합(EU)은 2021년부터 플라스틱 빨대, 면봉, 일회용 나이프와 포크, 접시 등의 사용을 전면 금지, 2025년부터는 페트병의 최소 25%를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 예정이다.
이에 따라 생분해성 소재 시장은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어 2019년 약 4조 2,000억원인 시장규모가 2025년에는 약 9조 7,000억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플라스틱 일회용품을 주로 사용하는 카페나 패스트푸드 음식점에 대량으로 배출되는 폐 플라스틱 제품들은 심각한 환경 오염 문제로 이어지고 있어, 현 시점에서 커피 한잔이 판매되면 1량의 일회용 플라스틱 컵 및 빨대의 소비가 수반된다.
아울러, 플라스틱은 제품에 따라 원료와 재질이 다양하고,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합성 원료가 혼합된다. 또한 사용시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묻거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화학 접착제로 부착된 표지(label)의 완전한 제거가 어려워 재활용률이 14%에 그치고 있다.
한편, 커피 제조 시 원두의 소량만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찌꺼기인 커피박으로 배출되고 있다. 2000년대 초반부터 다국적 커피 브랜드가 한국 음료 시장에 성공을 거두면서 커피 소비가 급격히 증가 되었으며, 원두커피 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부산물인 커피박의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 커피박 발생량은 2019년 기준 149,038 톤으로 2012년 대비 약 37% 증가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매년 1,000만 톤이 넘는 커피박이 커피 산업의 부산물로 발생하고 있다. 현재 커피박은 일부가 사료나 비료로 사용될 뿐 대부분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종량제 봉투에 담겨 생활폐기물로 주로 매립 또는 소각되면서 이를 처리하기 위해 분류, 소각 및 운반 비용 등의 사회적 비용이 소요된다. 매립되는 커피박은 잔존 카페인으로 인해 토양 오염이 되고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메탄(CH)가스와 이산화탄소(CO)가 발생이 배출되어 공기오염도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자는 커피박을 주성분으로 하는 플라스틱 대체재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기존 플라스틱 제품에 비해 재질, 물성 및 가격 면에서 효율적인 친환경 소재의 빨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2817호
본 발명자들은 용이한 성형성, 방수성 및 내구성을 갖추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친환경적 대체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원두커피 제조과정의 부산물로서 막대한 양이 발생하는 커피박 분말을 생분해성 고분자 및 당알코올과 일정한 조성비로 혼합할 경우, 주형(성형틀)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되면서도 우수한 경도 및 인장강도를 유지하여 합성 플라스틱과 유사한 성형성 및 물성을 효율적으로 재연함으로써 우수하고 경제성 높은 친환경 플라스틱 대체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대체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플라스틱 대체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액상 음료용 일회용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15 내지 20 w/w%의 커피박; 45 내지 70 w/w%의 생분해성 고분자; 및 1 내지 11 w/w%의 당알코올 분말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용이한 성형성, 방수성 및 내구성을 갖추어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친환경적 대체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원두커피 제조과정의 부산물로서 막대한 양이 발생하는 커피박 분말을 생분해성 고분자 및 당알코올과 일정한 조성비로 혼합할 경우, 주형(성형틀)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되면서도 우수한 경도 및 인장강도를 유지하여 합성 플라스틱과 유사한 성형성 및 물성을 효율적으로 재연함으로써 우수하고 경제성 높은 친환경 플라스틱 대체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커피박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16 내지 18 w/w%로 포함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16 내지 17%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고분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종류의 단량체가 연속적으로 결합된 합성 또는 천연 중합체(polymer) 화합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고분자에는 단독 중합체(한 종류의 단량체가 중합화된 중합체)와 적어도 2종의 상이한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혼성중합체를 포함되며, 혼성중합체에는 공중합체(2종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와 2종 초과의 상이한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생분해성(biodegradable)”은 pH 6-8의 생리적 용액(physiological solution)에 노출되었을 때 자연적으로 분해되거나 또는 박테리아, 곰팡이, 조류와 같은 천연 미생물의 작용으로 분해가 일어나는 성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생체 내 또는 생체 외에서 체액, 분해 효소 또는 미생물 등에 의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적으로 양적 소실이 유발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는 상술한 생분해성을 가지는 중합체라면 어떠한 합성 및 천연 고분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LA(Poly Lactic Acid),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조류 유래 한천(agar), 젤라틴,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PLA, PBAT 및 조류 유래 한천(agar)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PLA 및 PBAT의 혼합물 또는 조류 유래 한천(agar)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전체 조성물에 대해 47 내지 68 w/w%로 포함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49 내지 67%로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는 PLA 및 PBAT를 1:1.2 내지 1: 0.8의 함량비로 포함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PLA 및 PBAT를 1:1.1 내지 1: 0.9의 함량비로 포함하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약 1:1의 함량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류는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 코토니니(Cottonii), 개도박(Grateloupia lanceolanta), 개우무(Pterocladia tenuis) 및 풀가사리(Gloiopeltis tenax)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홍조류(Rhodophyta)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류는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당알코올(sugar alcohol)”은 당의 카르보닐기가 알코올로 환원되어 형성된, 각 탄소마다 하이드록시기가 결합된 폴리올(polyol) 화합물을 의미한다. 당알코올은 식품 산업에서 증점제 및 감미료로 널리 사용된다. 상업용 식품에서 당알코올은 설탕(수크로스) 대신에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는 플라스틱 대체재의 물리적 강도를 보완하기 위해 첨가되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당알코올의 첨가로 인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경도와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당알코올은 에리스리톨(erythritol), 솔비톨(sorbitol)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당알코올은 에리스리톨(erythritol), 솔비톨(sorbitol)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당알코올은 에리스리톨과 솔비톨을 0.7:1 내지 1.4:1의 함량비로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8:1 내지 1.3:1의 함량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4 내지 30 w/w%의 옥수수 전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21 w/w%의 옥수수 전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2 내지 3 w/w%의 염화나트륨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플라스틱 대체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용기, 스틱, 수저 및 빨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상 음료용 일회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의 성형성과 물성을 높은 재연성으로 모사하면서도 수급이 용이하고 경제적,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대체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프랜차이즈 커피 매장 등을 비롯한 방대한 음료 산업에서 막대한 량이 소비되는 1회용 플라스틱 용기, 스틱, 수저 및 빨대를 대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자연적인 분해에 수백년 이상이 소요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켜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의 상당 부분을 경감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성형되는 액상 음료용 일회용품은 빨대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대체재는 우수한 경도 및 인장강도를 가져 음료를 마시는 시간 동안에 빨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음료에 의해 빨대가 쉽게 용해되지 않아 통상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빨대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재연하면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생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전체 조성물에 대해 15 내지 20 w/w%의 커피박; 45 내지 70 w/w%의 생분해성 고분자; 및 1 내지 11 w/w%의 당알코올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70-9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고 30 내지 90분 동안 3 내지 6℃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수득한 냉각된 혼합물을 50 내지 6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건조된 혼합물을 성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커피박, 생분해성 고분자, 당알코올 및 이들의 함량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과도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a)는 상기 커피박, 생분해성 고분자 및 당알코올의 혼합물을 75 내지 85℃로 가열함으로써 수행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80℃로 가열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성형틀(mold)”은 목적하는 최종 생성물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내부 공간(cavity)이 형성된 틀로서, 원료 물질을 압력 없이 붓거나 혹은 압력을 가하면서 주입하여 내부 공간에 충진시킴으로써 원하는 외형의 생성물을 수득하는 모든 장치를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성형틀은 본 발명의 플라스텍 대체재 조성물로 성형하고자 하는 용품, 예를 들어 액상 음료용 용기, 스틱, 수저 또는 빨대의 외형을 형성시키며, 구체적으로는 내강을 가진 관(tube) 형태의 빨대 형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b)는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고 45 내지 75분 동안 냉각시킴으로서 수행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50 내지 70분 동안 냉각시키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약 60분 동안 냉각시킨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c)는 상기 냉각된 혼합물을 7 내지 11시간 동안 건조시킴으로서 수행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가장 구체적으로는 약 9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커피박(coffee ground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된 액상 음료용 일회용품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은 커피 제조공정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부산물인 커피박을 생분해성 고분자 및 당알코올과 일정비로 혼합함으로써 산업 전반에 걸쳐 방대한 용도를 가지는 플라스틱에 대한 효율적인 친환경 천연 대체제로 이용될 수 있다.
(c)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성형성, 경도, 인장강도 등 플라스틱의 성상과 물성에 대한 높은 재연성을 보여 특히 용기, 스틱, 빨대 등의 음료용 일회용품의 원료를 대체함으로써 막대한 플라스틱 폐기물 양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제조예에 따른 커피박 빨대의 경도(도 1a) 및 인장강도(도 1b)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경도가 가장 높은 제조예 2(커피박+PLA+PBAT) 및 인장강도가 가장 높은 제조예 5(커피박+우뭇가사리)의 외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박 빨대에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vulgaris),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CM 11764)을 각각 접종하여 균집락(colony)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재료
커피박은 인천연수지역자활센터로부터 건조된 상태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커피박 외에 본 발명에 사용된 재료로 친환경 빨대 소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PLA(Poly Lactic Acid, NatureWorks),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BASF)와 식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뭇가사리를 이용함으로써 플라스텍 대체재에 탄성력과 질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우뭇가사리를 수확한 후 세척-자숙-여과-응고-동결-융해-탈수-건조의 과정을 반복하여 만들어지는 한천(분말한천, 화인통상)을 사용하였다. 한천은 다량의 물을 흡수하여 팽윤하고 뜨거운 물에 서서히 용해되며 뜨거운 한천 수용액을 냉각시키면 젤리상으로 응고되는 성질이 있어 빨대 소재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빨대의 물리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당 성분인 에리스리톨 스테비아(에리스리톨 90%, 스테비아 추출물 10%, STEVIVA BRANDS INC)와 솔비톨((주)엘지생활건강)을 추가하였고 소금((주)한주소금), 전분(옥수수 전분, 배대감), 젤라틴(루프사)을 사용하였다.
커피박 빨대 제조
커피박 빨대 제조는 크게 배합, 가열, 성형, 건조의 과정을 통해 수행하였다. 하기 표 1의 원료 물질을 분말 형태로 만들어 최적의 배율에 맞게 혼합하고 물과 함께 잘 섞이도록 저어주었다. 혼합물을 가열(70-90℃)하면서 뭉쳐지지 않도록 저어주고, 가열된 혼합물을 성형 틀에 넣어 1시간 동안 4-5℃ 냉장고(Lassele)에서 식혀준 뒤 건조기(Venticell 222, Revodix)에 넣어 50-60℃에서 6-12시간 동안 건조를 진행하였다. 이후 성형틀을 제거하여 빨대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커피박 20 20 20 20 20 20 20 20 20
PLA+PBAT
(1:1)
60 70 80 - - - - - -
우뭇가사리 - - - 60 70 80 - - -
젤라틴 - - - - - - 60 70 80
옥수수 전분 35 25 15 25 15 5 25 15 5
솔비톨 1 1 1 5 5 5 5 5 5
소금 3 3 3 3 3 3 3 3 3
스테비아 1 1 1 7 7 7 7 7 7
물성 시험
제조 빨대의 경도(Hardness, Automatic Hardness Test System, Matsuzawa)와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X500-25, Testometric)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제조예 2의 경도가 가장 높았고 제조예 5의 인장강도가 가장 높아 액상 음료을 음압을 통해 빨아마시는 데에 적합한 물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생물 실험
그람 음성균인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vulgaris, KCTC 2579)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KCCM 12119)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았으며, 그람 양성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CM 11764)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받았다. 배양에 사용된 배지로서 NB(Nutrient broth)를 100 mL씩 제조하여 121℃ 1.5기압에서 각각의 균을 접종하여 인큐베이터에서 37℃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제조된 빨대를 멸균된 생리 식염수로 십진 희석하여 면봉으로 각각의 배지에 도말하였다. 도말한 배지는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꺼내어 균집락(colony)수를 계산하였다. 제조된 빨대 모두 프로테우스 불가리스(Proteus vulgaris), 대장균(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전체 조성물에 대해 15 내지 20 w/w%의 커피박; 45 내지 70 w/w%의 생분해성 고분자; 및 1 내지 11 w/w%의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PLA(Poly Lactic Acid),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및 조류 유래 한천(agar)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PLA 및 PBAT를 1:1.2 내지 1: 0.8의 함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는 우뭇가사리(Gelidium amansi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은 에리스리톨(erythritol), 솔비톨(sorbitol)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당알코올은 에리스리톨과 솔비톨을 0.7:1 내지 1.4:1의 함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4 내지 30 w/w%의 옥수수 전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2 내지 3 w/w%의 염화나트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된 용기, 스틱, 수저 및 빨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액상 음료용 일회용품.
  10.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재 조성물의 제조 방법:
    (a) 전체 조성물에 대해 15 내지 20 w/w%의 커피박; 45 내지 70 w/w%의 생분해성 고분자; 및 1 내지 11 w/w%의 당알코올 분말을 물과 혼합하여 70-9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고 30 내지 90분 동안 3 내지 6℃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수득한 냉각된 혼합물을 50 내지 60℃에서 6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건조된 혼합물을 성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
KR1020210165188A 2021-11-26 2021-11-26 커피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제 조성물 KR20230077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188A KR20230077938A (ko) 2021-11-26 2021-11-26 커피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188A KR20230077938A (ko) 2021-11-26 2021-11-26 커피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938A true KR20230077938A (ko) 2023-06-02

Family

ID=8675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188A KR20230077938A (ko) 2021-11-26 2021-11-26 커피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9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17B1 (ko) 2019-08-28 2021-01-14 (주)젠텍 커피박을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817B1 (ko) 2019-08-28 2021-01-14 (주)젠텍 커피박을 재활용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6649A1 (zh) 培育北虫草的方法
CN101248852A (zh) 乳酸菌发酵米粉的加工方法
CN101503716B (zh) 玉米原料枯草芽孢杆菌发酵制取聚γ-谷氨酸的方法
KR101786386B1 (ko) 대두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대두박의 제조방법
CN101273783A (zh) 一种发酵生姜及其制作方法和应用
CN1389517A (zh) 可完全生物降解的植物纤维材料制品及其制造方法
WO2013141687A1 (en) Pulp composition, pulp article(s) and preparation process thereof
Katiyar Bio-based plastics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Venkatachalam et al. Bioplastic world: A review
CN101974213A (zh) 一种可降解抑菌食物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577753A (zh) 采用茉莉花制作可降解一次性餐具的方法
KR102150046B1 (ko) 갑각류의 껍질을 이용한 키토산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키토산수
CN106189142A (zh) 一种全降解秸秆淀粉塑料及其制备方法及应用
CN104719811A (zh) 一种浅发酵生产泡菜的方法
Abang et al. Bioplastic classifications and innovations in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oxidant applications
KR20230077938A (ko) 커피박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플라스틱 대체제 조성물
Sukumar et al. Polylactic Acid (PLA)‐Based Composites in Food Packaging
KR101889399B1 (ko) 클로렐라 생균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442491B1 (ko) 항균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시트 및 이를 이용하여 항균성 및 생분해성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CN109984189A (zh) 一种由地衣芽孢杆菌、萎缩芽孢杆菌和解淀粉芽孢杆菌所产抑菌物复配的鲜切果蔬保鲜剂
Mikus et al. Biopolymers from agriculture waste and by-products
CN108485282A (zh) 一种环保型肉类食品用包装材料的制备方法
Morais et al. Biodegradable Bio-based Plastics Toward Climate Change Mitigation
AU2022217879A1 (en) Bioplastic composition, bioplastic product including the same and relative production process
KR20150004088A (ko) 대두박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대두박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