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412A -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412A
KR20230077412A KR1020210164636A KR20210164636A KR20230077412A KR 20230077412 A KR20230077412 A KR 20230077412A KR 1020210164636 A KR1020210164636 A KR 1020210164636A KR 20210164636 A KR20210164636 A KR 20210164636A KR 20230077412 A KR20230077412 A KR 20230077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t dissipation
heat
uni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당준상
이관권
양진호
정혜윤
안중화
Original Assignee
(주)더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존시스템 filed Critical (주)더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16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7412A/ko
Publication of KR2023007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한다.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는, 피투영체에 영상을 투사하는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렌즈 케이스; 상기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상기 렌즈 케이스와 나란히 배치되는 팬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을 방열하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팬 유닛은, 상기 방열 유닛과 마주하는 방열판, 그리고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가지는 방열핀 어셈블리; 및 상기 방열핀들의 사이 공간으로 기류를 유입시키며,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상기 방열핀 어셈블리와 나란히 배치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IMAGE PRO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이미지를 바닥이나 벽면에 투영시키기 위한 프로젝터는, 케이스를 분리한 후 그 케이스 내에 탑재된 필름을 다른 필름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영상 이미지를 교체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이미지 교체 작업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프로젝터는 영상 투영을 위해 전력 소비가 많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여 부품 수명을 떨어뜨리고 동작 성능을 저해하여 왔다. 따라서, 영상 프로젝팅을 위한 제품 개발시 방열 성능 개선을 위한 설계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프로젝터를 방열하기 위해서, 송풍 팬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려 할 수 있다. 송풍 팬은 기류를 발생시켜, 프로젝터를 방열시킨다. 그러나, 송풍 팬이 발생시키는 기류는 경우에 따라 프로젝터에 미세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미세 진동은 사용자가 영상 이미지를 시청시 시각적인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미지를 필름 교체 방식이 아닌 파일 전송 방식으로 영상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 성능이 개선된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팬이 발생시키는 기류에 의해 렌즈 유닛이 투사하는 영상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한다.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는, 피투영체에 영상을 투사하는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렌즈 케이스; 상기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상기 렌즈 케이스와 나란히 배치되는 팬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을 방열하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팬 유닛은, 상기 방열 유닛과 마주하는 방열판, 그리고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가지는 방열핀 어셈블리; 및 상기 방열핀들의 사이 공간으로 기류를 유입시키며,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상기 방열핀 어셈블리와 나란히 배치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과 접촉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판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는, 상기 플레이트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렌즈 유닛은, 상기 영상을 투사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 어셈블리 중,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판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판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제2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제3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판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제3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방열판과 마주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3플레이트는, 로 마주하도록 제공되되, 상기 지지 어셈블리의 일측 및 타측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는 방열 링 - 상기 방열 링은 상기 파이프와 접촉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방열 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방열판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방열하는 지지 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지지, 상기 기판을 방열하는 기판 방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기판 방열부는,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상기 렌즈 유닛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 유닛은, 동,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핀 어셈블리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렌즈 케이스는, 일면, 그리고 타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서로 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 유닛이 투사하는 상기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렌즈 유닛이 투사하는 상기 영상이 통과하는 투사 홀;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영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이미지를 필름 교체 방식이 아닌 파일 전송 방식으로 영상 이미지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 성능이 개선된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팬이 발생시키는 기류에 의해 렌즈 유닛이 투사하는 영상에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에서, 렌즈 케이스 및 기판을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미지 프로젝선 장치에서, 렌즈 유닛을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열 유닛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열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에서, 렌즈 케이스 및 기판을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이미지 프로젝선 장치에서, 렌즈 유닛을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열 유닛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방열 유닛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10)는 피투영체에 영상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10)는 바닥, 벽면, 또는 스크린 등과 같은 피투영체에 영상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10)는 광고를 위한 이미지를 필름 교체 방식이 아닌 파일 전송 바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10)는 렌즈 케이스(100), 렌즈 유닛(200), 방열 유닛(300), 방수 유닛(400), 팬 유닛(500), 기판(600), 그리고 카메라(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렌즈 유닛(200)이 영상을 투사하는 방향을 제1방향(X)이라 하고, 상부에서 바라볼 때, 제1방향(X)에 수직한 방향을 제2방향(Y)이라 하고, 제1방향(X) 및 제2방향(Y)에 수직한 방향을 제3방향(Z)이라 할 수 있다. 제3방향(Z)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렌즈 케이스(100)는 렌즈 유닛(20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렌즈 케이스(100)는 렌즈 유닛(20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 케이스(100)는 하우징(110), 고정 플레이트(120), 그리고 투명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면, 그리고 일면과 마주하는 타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10)은 실질적으로 일면 및 타면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렌즈 유닛(20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금속 소재, 예컨대, 알루미늄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0)는 하우징(110)과 서로 조합되어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면, 그리고 타면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면, 그리고 타면 중 후술하는 팬 유닛(500)과 멀리 떨어진 일면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0)는 금속 소재, 예컨대, 알루미늄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0)에는 투사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투사 홀(122)은 렌즈 유닛(200)이 투사하는 영상 이미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120)에는 카메라(700)가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700)는 렌즈 유닛(200)이 투사하는 영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700)는 후술하는 기판(600)과 유/무선 통신 방법으로 데이터 및 신호를 서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700)는 고정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되, 모니터링 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120)에는 카메라(700)가 렌즈 유닛(200)이 피투영체에 투사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홀(12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투사 홀(122)은 제1방향(X)에서 바라볼 때, 고정 플레이트(120)의 중앙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모니터링 홀(124)은 투사 홀(122)보다 고정 플레이트(120)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투명 플레이트(130)는 고정 플레이트(12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30)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투명 플레이트(130)는 투명한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투명 플레이트(130)는 투명한 강화 유리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투명 플레이트(130)는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 제공될 수도 있다. 투명 플레이트(130)는 렌즈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하여, 먼지와 같은 파티클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렌즈 케이스(10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고정 플레이트(120), 그리고 투명 플레이트(130)로 구성되는 이중 플레이트 구조를 가진다. 고정 플레이트(120)는 불투명한 소재로 제공된다. 고정 플레이트(120)에 의해, 외부에서 바라볼 때 렌즈 유닛(200)의 복잡한 구조가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120)는 카메라(700)가 설치될 수 있는 몸체가 될 수 있어, 렌즈 유닛(200)이 투사하는 영상 이미지를 카메라(700)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은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은 스크린, 바닥, 벽면 등과 같은 피투영체에 영상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은 렌즈 케이스(100)가 정의하는 내부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은 렌즈 케이스(100), 개스킷(410), 그리고 방열판(532)이 정의하는 내부 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은 렌즈 어셈블리(210), 지지 어셈블리(230), 그리고 케이블(25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프로젝터, 그리고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어셈블리(210)는 영상 이미지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포커스 모터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는 영상을 투사하는 공지의 장치이고, 렌즈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된 영상을 확대사여 스크린이나 바닥과 같은 피투영체에 투영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230)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브라켓들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250)은 후술하는 기판(600)과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250)은 기판(600)과 유선 연결되어 렌즈 어셈블리(210)의 구동, 렌즈 어셈블리(210)가 투사하는 영상 이미지를 필름 교체 방식이 아닌 파일 전송 방식으로 교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 유닛(300)은 렌즈 유닛(200)을 방열할 수 있다. 방열 유닛(300)은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방열 유닛(300)은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여 렌즈 유닛(20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방열 유닛(300)은 지지 부(310), 렌즈 방열 부(330), 그리고 기판 방열 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310)는 렌즈 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310)는 렌즈 유닛(200)의 지지 어셈블리(23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310)는 후술하는 방열판(532)에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310)는 렌즈 케이스(100)의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도 있다.
지지 부(310)는 지지 판(312) 및 지지 핀(31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판(312)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가지되, 제1방향(X)을 따른 지지 판(312)의 가상의 중앙 라인을 기준으로, 일단 및 타단이 아래 방향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판(312)의 상면에는 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예컨대, 복수의) 지지 핀(314)이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핀(314)은 상술한 지지 어셈블리(230)와 볼트 또는 나사와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지지 부(310)는 금속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310)는 알루미늄 소재 또는 동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310)는 지지 어셈블리(230)를 지지하며, 지지 어셈블리(230)를 방열할 수 있으며, 이에 렌즈 유닛(200)을 방열할 수 있다.
렌즈 방열 부(330)는 렌즈 유닛(200)을 방열할 수 있다. 렌즈 방열 부(330)는 플레이트(331, 332, 333), 파이프(334, 335, 336, 337), 방열 링(338), 그리고 방열 플레이트(339)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31, 332, 333), 파이프(334, 335, 336, 337), 방열 링(338), 그리고 방열 플레이트(339)는 금속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레이트(331, 332, 333), 파이프(334, 335, 336, 337), 방열 링(338), 그리고 방열 플레이트(339)는 알루미늄 또는 동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레이트(331, 332, 333), 파이프(334, 335, 336, 337), 방열 링(338), 그리고 방열 플레이트(339)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동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플레이트(331, 332, 333)는 렌즈 어셈블리(210)와 지지 어셈블리(230) 중 지지 어셈블리(230)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파이프(334, 335, 336, 337)는 플레이트(331, 332, 333)와 방열판(532)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31, 332, 333)는 제1플레이트(331), 제2플레이트(332), 그리고 제3플레이트(333)를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334, 335, 336, 337)는 제1파이프(334), 제2파이프(335), 제3파이프(336), 그리고 제4파이프(3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331)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플레이트(331)의 넓은 면적을 가지는 일 면은 방열판(532)의 넓은 면적을 가지는 일 면과 서로 마주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331)는 렌즈 유닛(200)과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플레이트(331)는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 어셈블리(230)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의 열은 제1플레이트(331)에 전달될 수 있다.
제1파이프(334)는 제1플레이트(33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파이프(334)는 방열판(532)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파이프(334)는 제1방향(X)에 반대되는 -제1방향(-X)을 따라 연장하되, 방열판(532)과 가까워져서는 구부러져 제3방향(Z)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1파이프(334)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제1파이프(334)의 단면적은 제1플레이트(331)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1플레이트(331)는 보다 넓은 면적으로 지지 어셈블리(230)와 접촉되어,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을 최대한 많이 흡수한다.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이 방열판(532)을 향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단위 시간당 열의 방사양이 많아지면 렌즈 유닛(200)의 온도를 다시금 높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1파이프(334)의 단면적을 작게하여, 열이 방열판(532)을 향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단위 시간당 열의 방사양을 적게한다. 열이 방열판(532)에 전달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팬 유닛(500)이 발생시키는 기류에 의해 열은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제1파이프(334)가 전달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판(53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제1파이프(334)는 제3방향(Z)을 따라 연장하면서 방열판(532)에 직/간접적으로 접촉된다.
제2플레이트(332)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플레이트(332)는 렌즈 유닛(200)과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플레이트(332)는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 어셈블리(23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332)는 제1플레이트(331)와 상이한 위치에서 지지 어셈블리(230)에 접촉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332)의 넓은 면적을 가지는 일 면은 후술하는 제3플레이트(333)의 넓은 면적을 가지는 일 면과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즉, 제2플레이트(332) 및 제3플레이트(333)는 서로 마주하도록 제공되되, 지지 어셈블리(230)의 일측 및 타측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영상이 투사하는 방향인 제1방향(X)을 기준으로 지지 어셈블리(230)의 왼편 및 오른편에 접촉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의 열은 제2플레이트(332)에 전달될 수 있다.
제2파이프(335)는 제2플레이트(332)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파이프(335)는 방열판(532)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파이프(335)는 제1방향(X)에 반대되는 -제1방향(-X)에 약간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방열판(532)과 가까워져서는 구부러져 제3방향(Z)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2파이프(335)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제2파이프(335)의 단면적은 제2플레이트(33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2플레이트(332)는 보다 넓은 면적으로 지지 어셈블리(230)와 접촉되어,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을 최대한 많이 흡수한다.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이 방열판(532)을 향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단위 시간당 열의 방사양이 많아지면 렌즈 유닛(200)의 온도를 다시금 높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2파이프(335)의 단면적을 작게하여, 열이 방열판(532)을 향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단위 시간당 열의 방사양을 적게한다. 열이 방열판(532)에 전달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팬 유닛(500)이 발생시키는 기류에 의해 열은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제2파이프(335)가 전달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판(53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제2파이프(335)는 제3방향(Z)을 따라 연장하면서 방열판(532)에 직/간접적으로 접촉된다.
제3플레이트(333)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플레이트(333)는 렌즈 유닛(200)과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제3플레이트(333)는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지지 어셈블리(23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333)는 제1플레이트(331) 및 제2플레이트(332)와 상이한 위치에서 지지 어셈블리(230)에 접촉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의 열은 제3플레이트(333)에 전달될 수 있다.
제3파이프(336)는 제3플레이트(333)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파이프(336)는 방열판(532)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파이프(336)는 제1방향(X)에 반대되는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되되, 방열판(532)과 가까워져서는 구부러져 제3방향(Z)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제3파이프(336)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바라본 제3파이프(336)의 단면적은 제3플레이트(333)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3플레이트(333)는 보다 넓은 면적으로 지지 어셈블리(230)와 접촉되어,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을 최대한 많이 흡수한다.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이 방열판(532)을 향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단위 시간당 열의 방사양이 많아지면 렌즈 유닛(200)의 온도를 다시금 높일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3파이프(336)의 단면적을 작게하여, 열이 방열판(532)을 향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단위 시간당 열의 방사양을 적게한다. 열이 방열판(532)에 전달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팬 유닛(500)이 발생시키는 기류에 의해 열은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제3파이프(336)가 전달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열판(532)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제3파이프(336)는 제3방향(Z)을 따라 연장하면서 방열판(532)에 직/간접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렌즈 유닛(200)의 구성에 따라, 렌즈 유닛(200)이 가지는 부분들 중 일 부분은 발열량이 크고, 다른 부분은 발열량이 작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제1플레이트(331), 제2플레이트(332) 및 제3플레이트(333)의 단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렌즈 유닛(200)이 가지는 부분들 중 발열량이 큰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단면적이 가장 큰 제3플레이트(333)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플레이트(333)가 흡수하는 열은 다른 플레이트들보다 적을 수 있다. 이에, 제3플레이트(333)가 흡수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제3플레이트(333)에는 제4파이프(337)가 연결될 수 있다. 제4파이프(337)는 제3플레이트(333)와 방열판(532) 사이에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방열 링(338)은 파이프(334, 335, 336, 337)들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파이프(334, 335, 336, 337)들 중 방열판(53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어려운 구성들이 있을 수 있는데, 방열 링(338)은 파이프(334, 335, 336, 337)들 중 방열판(53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을 수 있는 파이프(334, 335, 336, 337)와 방열판(532) 사이에 배치되어 열 전달 게이트로써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339)는 렌즈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339)는 방열판(532)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컨대, 방열 플레이트(339)는 방열판(532) 및 고정 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되되, 렌즈 유닛(200)보다 영사 투사 방향을 기준으로 더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 방열 부(350)는 기판(600)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600)은 렌즈 유닛(200)의 프로젝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회로부품들이 실장되는 부분으로, 예컨대, 영상 데이터를 입력 받는 입력 장치, 입력받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로젝터에 송출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인가하는 제어 장치 등이 실장되어 종래의 필름 교체 방식이 아닌 파일 전송 방식에 의한 영상 이미지를 교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기판(600)은 렌즈 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 방열 부(350)는 방열판(532)에 접촉될 수 있다. 기판 방열 부(350)는 방열판(532)에 볼트, 나사 등과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기판 방열 부(350)는 상술한 렌즈 유닛(200)의 케이블(250)이 삽입(통과)할 수 있는 개구(352)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 방열 부(350)는 기판(6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열을 방열판(53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할 수 있다.
방수 유닛(400)은 렌즈 유닛(200)이 배치되는 렌즈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수분, 외부의 분위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 유닛(400)은 개스킷(4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수 그랜드(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스킷(410)은 고무 개스킷일 수 있다. 개스킷(410)은 렌즈 케이스(100) 및 방열판(532) 사이에 배치되며,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스킷(410)은 내부 공간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방수 그랜드(420)는 방열판(532)에 설치될 수 있다. 방수 그랜드(420)는 복수 개가 방열판(532)에 설치될 수 있다. 방수 그랜드(420)는 렌즈 유닛(200)에 전력을 인가하거나, 렌즈 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케이블들의 일 부분이 외부 공간으로부터 렌즈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게 하되, 내부 공간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팬 유닛(500)은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을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10)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팬 유닛(500)은 렌즈 유닛(200)을 방열할 수 있다. 팬 유닛(500)은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킬 수 있는 열을 방열할 수 있다. 팬 유닛(500)은 영상 이미지가 투사되는 방향인 제1방향(X)을 따라 렌즈 케이스(10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팬 유닛(500)은 팬(510), 그리고 방열핀 어셈블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팬(510)은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팬(510)은 방열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팬(510)은 후술하는 방열핀(534)들 사이 공간으로 기류를 유입시킬 수 있다.
방열핀 어셈블리(530)는 방열판(532) 및 복수의 방열핀(534)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532)은 상술한 렌즈 케이스(100), 개스킷(410)과 서로 조합되어 렌즈 유닛(200)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방열판(532)에는 상술한 방열 링(338)이 설치될 수 있다.
방열판(532)은 금속을 포함하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방열핀(534)은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방열핀(534)은 방열판(532)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방열핀(534)은 넙적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열핀(534)은 방열판(532)에 복수 개가 설치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방열핀(534)은 넓은 면적을 가지는 면이 위 또는 아래를 향하도록 방열판(532)에 설치될 수 있다.
팬(510)은 제2방향(Y)을 따라 방열핀 어셈블리(53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팬(510)이 발생시키는 기류는 방열핀(534)들 사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방열핀(534)들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기류는 열을 배출할 수 있다. 렌즈 유닛(200)이 발생시키는 열은, 방열 유닛(300), 방열판(532), 그리고 방열핀(534)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데 팬(510)이 "M생시키는 기류는 방열핀(53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어, 방열핀(534)에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즉, 팬(510)은 렌즈 유닛(200)을 간접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팬(510)이 발생시키는 기류는 제2방향(Y)에 반대되는 -제2방향(-Y)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다시 말해, 팬(510)이 발생시키는 기류가 흐르는 방향은, 대부분이 -제2방향(-Y)이고, 제1방향(X)으로는 거의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즉, 팬(510)이 발생시키는 기류가 방열판(532)과 직접적으로 마주하게 흐르지 않기 때문에,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10)에 미세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인 편안함을 보다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 10
렌즈 케이스 : 100
하우징 : 110
고정 플레이트 : 120
투사 홀 : 122
모니터링 홀 : 124
투명 플레이트 : 130
렌즈 유닛 : 200
렌즈 어셈블리 : 210
지지 어셈블리 : 230
케이블 : 250
방열 유닛 : 300
지지 부 : 310
지지 판 : 312
지지 핀 : 314
렌즈 방열 부 : 330
제1플레이트 : 331
제2플레이트 : 332
제3플레이트 : 333
제1파이프 : 334
제2파이프 : 335
제3파이프 : 336
제4파이프 : 337
방열 링 : 338
방열 플레이트 : 339
기판 방열 부 : 350
개구 : 352
방수 유닛 : 400
개스킷 : 410
방수 그랜드 : 420
팬 유닛 : 500
팬 : 510
방열핀 어셈블리 : 530
방열판 : 532
방열핀 : 534
기판 : 600
카메라 : 700

Claims (15)

  1.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피투영체에 영상을 투사하는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렌즈 케이스;
    상기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상기 렌즈 케이스와 나란히 배치되는 팬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을 방열하는 방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팬 유닛은,
    상기 방열 유닛과 마주하는 방열판, 그리고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가지는 방열핀 어셈블리; 및
    상기 방열핀들의 사이 공간으로 기류를 유입시키며,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상기 방열핀 어셈블리와 나란히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과 접촉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판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플레이트보다 더 작은 단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유닛은,
    상기 영상을 투사하는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와 상기 지지 어셈블리 중,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판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제1파이프; 및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판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제2파이프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에 접촉되는 제3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3플레이트 및 상기 방열판 사이에서 열을 전달하는 제3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방열판과 마주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3플레이트는,
    서로 마주하도록 제공되되, 상기 지지 어셈블리의 일측 및 타측과 접촉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는 방열 링 - 상기 방열 링은 상기 파이프와 접촉되도록 구성됨 - ; 및
    상기 방열 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방열판과 상기 렌즈 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방열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방열하는 지지 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을 지지, 상기 기판을 방열하는 기판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방열부는,
    상기 방열판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과 연결되는 상기 렌즈 유닛의 케이블이 삽입되는 개구가 형성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유닛은,
    동, 또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공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 어셈블리는,
    알루미늄 소재로 제공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케이스는,
    일면, 그리고 타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서로 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투명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 유닛이 투사하는 상기 영상을 모니터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는,
    상기 렌즈 유닛이 투사하는 상기 영상이 통과하는 투사 홀; 및
    상기 카메라가 상기 영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홀이 형성되는,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KR1020210164636A 2021-11-25 2021-11-25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KR20230077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636A KR20230077412A (ko) 2021-11-25 2021-11-25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636A KR20230077412A (ko) 2021-11-25 2021-11-25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412A true KR20230077412A (ko) 2023-06-01

Family

ID=8677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636A KR20230077412A (ko) 2021-11-25 2021-11-25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74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1435B2 (en) Display apparatus
JP5150987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5927539B2 (ja) 電子機器
US8052282B2 (en) Heat dissipation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US8491126B2 (en) Projector and projection lens having associated thermal transfer structure
WO2020006877A1 (zh) 散热组件及遥控器
CN114019754A (zh) 一种投影设备
JP5649369B2 (ja) 電子機器
US1078538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cooling mechanism
WO2020006871A1 (zh) 散热组件及遥控器
JP200801544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CN110750027B (zh) 投影仪
EP2296036B1 (en) Cooling structure for optical part an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8028597A (ja) 監視カメラ
JP4944420B2 (ja) 筐体内発熱源の冷却構造およびプロジェクタ
KR20230077412A (ko)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JP2005085908A (ja) 集積回路の冷却装置及び筐体装置
JP4319174B2 (ja) 電子機器の冷却構造及び複写機
JP7111910B2 (ja) 撮像装置
JP2006003928A (ja) パソコンの冷却装置
JP2019062487A (ja) 撮像装置
CN113917771B (zh) 一种投影机
KR102237369B1 (ko) 이미지 프로젝션 장치
JP2003218569A (ja) 電子機器の冷却装置
US20230418135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