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7219A -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7219A
KR20230077219A KR1020210164250A KR20210164250A KR20230077219A KR 20230077219 A KR20230077219 A KR 20230077219A KR 1020210164250 A KR1020210164250 A KR 1020210164250A KR 20210164250 A KR20210164250 A KR 20210164250A KR 20230077219 A KR20230077219 A KR 20230077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ensity polyethylene
density
melt index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198B1 (ko
Inventor
이선재
이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메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메이트
Priority to KR1020210164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1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필름과 제2필름을 합지하여 제조된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필름은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외층;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중층; 및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필름은 나일론 필름으로, 상기 제1필름의 외층과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Multi-layer film for liquid food packag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liquid phase)의 물질을 포장하기 위한 금속, 유리, 경화플라스틱 등의 용기는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정형화되어 있어, 내용물이 비었을 경우에도 외부 압력 없이는 항상 일정 면적을 차지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깨지거나 훼손되어 보관 및 운반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비가요성 용기의 여러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합성수지 필름재를 이용한 가요성 용기가 각광 받고 있다.
특히, 액상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가요성 용기의 경우, 식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높은 투명도를 가져야하며, 식품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아야함에 따라, 이를 만족하는 액상 식품 포장용 필름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한편, 이에 대한 유사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62251호가 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62251호 (2020.06.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속포장 시 낮은 봉합 온도에서도 봉합 강도가 우수하며, 투명도가 높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상기 목적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제1필름과 제2필름을 합지하여 제조된 다층필름으로, 상기 제1필름은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외층;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중층; 및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필름은 나일론 필름으로, 상기 제1필름의 외층과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제1필름의 외층은 0.910~0.925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5~12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926~0.940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100~13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제1필름의 중층은 0.910~0.925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5~12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885~0.910 g/㎤의 밀도, 0.3~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70~10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양태에 있어, 상기 제1필름의 내층은 0.850 내지 0.879 g/㎤의 밀도, 0.3 내지 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50 내지 75℃의 융점을 만족하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또는 0.880 내지 0.900 g/㎤의 밀도, 0.3 내지 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65 내지 85℃의 융점을 만족하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a) 공압출 방식으로,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외층,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중층, 및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내층을 포함하는 제1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제1필름의 외층과 나일론 필름이 서로 맞닿도록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은 고속포장 시 낮은 봉합 온도에서도 봉합 강도가 우수하며, 가스투과도 및 수분투과도가 낮아 식품이 쉽게 변질되지 않을 수 있고, 투명도가 높아 포장된 식품의 변질 여부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제1필름과 제2필름을 합지하여 제조된 다층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상기 제1필름은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외층;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중층; 및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필름은 나일론 필름으로, 상기 제1필름의 외층과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은 고속포장 시 실링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가스투과도 및 수분투과도가 낮아 식품이 쉽게 변질되지 않을 수 있고, 투명도가 높아 포장된 식품의 변질 여부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1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층, 중층, 내층의 삼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외층의 두께는 5 내지 15 ㎛일 수 있으며, 중층의 두께는 15 내지 25 ㎛, 내층의 두께는 5 내지 15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낮은 가스투과도 및 수분투과도를 가져 식품이 쉽게 변질되지 않을 수 있으며, 투명도가 우수하여 포장된 식품의 변질 여부 또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의 외층은 0.910~0.925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5~12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926~0.940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100~13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0.915~0.925 g/㎤의 밀도, 0.5~3.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8~11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930~0.940 g/㎤의 밀도, 0.5~3.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115~125℃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만족함으로써 차후 제2필름과 효과적으로 합지되어 쉽게 층간박리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우수한 기체 및 수분차단성과 질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 : 중밀도 폴리에틸렌의 중량비는 90:10 내지 10:90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80:20 내지 50:5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율로 상기 물성 지수를 만족하는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목적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의 중층은 0.910~0.925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5~12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885~0.910 g/㎤의 밀도, 0.3~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70~10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1POP)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0.915~0.925 g/㎤의 밀도, 0.5~3.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8~11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895~0.905 g/㎤의 밀도, 0.3~3.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80~9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1PO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만족함으로써 외층, 중층 및 내층이 3중층으로 잘 공압출 가공될 수 있다.
이때,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 : 제1POP의 중량비는 80:20 내지 20:80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70:30 내지 30:70, 더욱 좋게는 60:40 내지 40:6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율로 상기 물성 지수를 만족하는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제1POP을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목적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1필름의 내층은 0.850 내지 0.879 g/㎤의 밀도, 0.3 내지 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50 내지 75℃의 융점을 만족하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2POP), 또는 0.880 내지 0.900 g/㎤의 밀도, 0.3 내지 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65 내지 85℃의 융점을 만족하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2POP)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0.860 내지 0.875 g/㎤의 밀도, 0.3 내지 3.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55 내지 65℃의 융점을 만족하는 제2POP, 또는 0.880 내지 0.890 g/㎤의 밀도, 0.3 내지 3.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70 내지 80℃의 융점을 만족하는 제2PO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만족함으로써 고속포장 시 우수한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분자 소재의 밀도는 ASTM D792에 의거하여 측정된 것이며, 용융지수(2.16 ㎏, 190℃)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측정된 것이고, 융점은 ASTM D3418에 의거하여 측정된 것이며, 비카트 연화점은 ASTM D1525에 의거하여 측정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기 제1필름의 내층은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다층필름에 항균 및 항곰팡이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 오일로 표면개질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자 간 뭉침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성분을 소량 첨가하여도 우수한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와 잘 혼합될 수 있다. 반면 실리콘 오일로 표면개질하지 않은 경우 상기 성분들을 2배 이상 첨가하여야 유사한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층필름의 가스투과도 및 질김성 등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어 좋지 않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HLB 3 내지 8인 실리콘 오일로 표면개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HLB 4 내지 7인 실리콘 오일로 표면개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자 간 뭉침 현상을 특히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와의 혼화성이 우수할 수 있다. 반면, HLB 3 미만 또는 HLB 8 초과인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시 표면개질 후 입자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수지 간 혼화성이 좋지 않아 오히려 입자 간 뭉침 현상이 심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 낮아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티콘, PEG-3 디메티콘, PEG-10 디메티콘, PEG/PPG-20/22 부틸 에테르 디메티콘,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 및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오일의 점도는 25℃에서의 점도가 100 내지 1000 cS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400 내지 800 cS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상기 산화아연 나노입자의 표면개질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아울러, 표면개질되기 전의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평균 입도 1 내지 100 ㎚, 보다 좋게는 5 내지 50 ㎚인 나노 크기의 산화아연 입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항균항곰팡이 성능이 우수하며,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수지에 잘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는 제1필름의 내층 수지(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1 내지 10 중량부, 더욱 좋게는 3 내지 8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항균항곰팡이성이 우수하다. 반면,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시 항균성이 미미할 수 있으며, 15 중량부 초과로 첨가될 시 헤이즈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층은 표면개질된 산화칼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된 산화칼슘은 실리콘 오일로 표면개질된 것일 수 있으며, 상세하게, HLB 3 내지 8인 실리콘 오일로 표면개질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HLB 4 내지 7인 실리콘 오일로 표면개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자 간 뭉침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와의 혼화성이 우수할 수 있다. 반면, HLB 3 미만 또는 HLB 8 초과인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시 표면개질 후 입자와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수지 간 혼화성이 좋지 않아 오히려 입자 간 뭉침 현상이 심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및 신장률이 낮아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티콘, PEG-3 디메티콘, PEG-10 디메티콘, PEG/PPG-20/22 부틸 에테르 디메티콘, 세틸 PEG/PPG-10/1 디메티콘,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 및 라우릴 PEG-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 디메티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표면개질한 실리콘 오일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 오일의 점도는 25℃에서의 점도가 100 내지 1000 cS일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400 내지 800 cS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상기 산화칼슘 입자의 표면개질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아울러, 표면개질되기 전의 산화칼슘은 평균 입도 10 내지 300 ㎚, 보다 좋게는 50 내지 200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범위에서 항균항곰팡이 성능이 우수하며,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수지에 잘 혼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화칼슘은 패각을 소성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패각을 900 내지 125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보다 좋게는 1000 내지 120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소성시킨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패각의 소성에 지나치게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으면서도, 패각에 잔류하는 유기물로 인한 부패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이후 여러 단계의 분쇄 과정을 거쳐 상기 입도 범위를 만족하는 산화칼슘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된 산화칼슘은 제1필름의 내층 수지(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8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좋게는 0.5 내지 5 중량부, 더욱 좋게는 1 내지 3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항균항곰팡이성이 우수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내층은 필요에 따라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슬립제, 안티블록킹제 및 대전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제는 내층 표면의 미끄러움성을 향상시켜 인접하는 내층 표면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에루카아미드(erucamide), 스테아르아미드(stearamide), 올리아미드(oliamide)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첨가량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도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비한정적인 일 예시로 제1필름의 내층 수지(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안티블록킹제는 내층 표면에 거칠기를 향상시켜 인접하는 내층 표면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마이카, 탈크,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및 실리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첨가량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도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비한정적인 일 예시로 제1필름의 내층 수지(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필름은 제1필름의 외층에 합지되는 것으로, 상기 제2필름은 나일론 필름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나일론66 공중합체 및 나일론6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층필름의 기계적 물성과 기체 및 수분차단성이 더욱 향상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포장된 액상 식품의 변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2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a) 공압출 방식으로,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외층,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중층, 및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내층을 포함하는 제1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제1필름의 외층과 나일론 필름이 서로 맞닿도록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공압출 방식으로,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외층,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중층, 및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내층을 포함하는 제1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각 층에 사용되는 고분자 소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함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하며, 이들의 공압출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필름의 외층과 나일론 필름이 서로 맞닿도록 합지하여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합지 공정은 용제형 접합 또는 무용제형 접합 등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제형 접합는 용제에 접착제를 녹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용제를 물 등일 수 있으며, 드라이 접합(dry lamination) 또는 Ÿ‡ 접합(wet lamination) 방식을 통해 제1필름과 제2필름을 합지할 수 있다. 드라이 접합 또는 Ÿ‡ 접합 시 접착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아크릴 에멀젼계 또는 수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무용제형 접합은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1액형 폴리우레탄계 또는 2액형 폴리우레탄계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제조예 1]
산화아연 나노입자(평균입도 50 ㎚) 100 중량부에 대하여, PEG-10 디메티콘(BRB 6341, 점도 600 cS at 25℃, HLB 4.5)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슈퍼믹서를 이용하여 800 rpm의 속도로 교반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가리비 패각을 110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소성한 다음, 다목적 분쇄기에 넣고 평균 입경이 100 ㎛가 되도록 1차분쇄하였다. 상기 1차분쇄된 가리비 패각을 1100℃의 온도에서 다시 2시간 동안 소성한 다음, 건식 볼밀 공정을 통해 평균 입경이 2 ㎛가 되도록 2차분쇄하고, 이를 다시 볼밀링하여 평균 입경이 100 ㎚인 산화칼슘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산화칼슘 100 중량부에 대하여, PEG-10 디메티콘(BRB 6341, 점도 600 cS at 25℃, HLB 4.5) 20 중량부를 첨가하고, 슈퍼믹서를 이용하여 800 rpm의 속도로 교반한 후, 여과 및 건조하여 표면개질된 산화칼슘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및 4]
실리콘 오일로 사이클로펜타실록산과 PEG/PPG-18/18 디메티콘(BRB 6373, 점도 30 cS at 25℃, HLB 2)을 사용한 것 외 모든 공정을 제조예 1 및 2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제조예 3)와 표면개질된 산화칼슘(제조예 4)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및 6]
실리콘 오일로 PEG-12 디메티콘(SM3220P, 점도 250~600 cS at 25℃, HLB 13)을 사용한 것 외 모든 공정을 제조예 1 및 2와 동일하게 진행하여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제조예 5)와 표면개질된 산화칼슘(제조예 6)을 제조하였다.
[비교제조예 1 및 2]
표면개질되지 않은 산화아연 나노입자(비교제조예 1) 및 산화칼슘(비교제조예 2)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제1필름의 외층 소재로 0.919 g/㎤의 밀도, 1.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102℃의 비카트 연화점을 가지는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제1LDPE) 80 중량부와, 0.935 g/㎤의 밀도, 1.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123℃의 비카트 연화점을 가지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중층 소재로는 0.919 g/㎤의 밀도, 0.9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102℃의 비카트 연화점을 가지는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제2LDPE) 50 중량부와, 0.902 g/㎤의 밀도, 1.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85℃의 비카트 연화점을 가지는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1POP)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내층 소재로는 0.868 g/㎤의 밀도, 1.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62℃의 융점을 가지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2POP) 100 중량부에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 2.5 중량부,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산화칼슘 1.0 중량부 및 에루카아미드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이들을 공압출하여 외층 10 ㎛, 중층 20 ㎛, 내층 10 ㎛인 제1필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1필름의 외층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2필름(나일론6, 두께 15 ㎛)을 합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층 소재로 0.885 g/㎤의 밀도, 1.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74℃의 융점을 가지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3POP) 10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1필름의 외층 소재로 실시예 1의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제1LDPE) 50 중량부와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제1필름의 외층 소재로 실시예 1의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제1LDPE) 20 중량부와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제1필름의 중층 소재로 실시예 1의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제2LDPE) 80 중량부와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1POP)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제1필름의 중층 소재로 실시예 1의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제2LDPE) 20 중량부와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1POP)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나일론 필름을 합지하지 않은 다층필름(=제1필름)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제1필름의 외층 소재로 실시예 1의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제1LDPE) 10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1필름의 외층 소재로 실시예 1의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10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제1필름의 중층 소재로 실시예 1의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제2LDPE) 10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제1필름의 중층 소재로 실시예 1의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1POP) 10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제1필름의 내층 소재로 0.902 g/㎤의 밀도, 1.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100℃의 융점을 가지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4POP) 100 중량부를 사용한 것 외 모든 과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다층필름을 제조하였다.
제1필름 제2필름
유무
외층 (중량부) 중층 (중량부) 내층
제1LDPE MPPE 제2LDPE 제1POP 종류 융점(℃) 중량부
실시예 1 80 20 50 50 제2POP 62 100
실시예 2 80 20 50 50 제3POP 74 100
실시예 3 50 50 50 50 제2POP 62 100
실시예 4 20 80 50 50 제2POP 62 100
실시예 5 80 20 80 20 제2POP 62 100
실시예 6 80 20 20 80 제2POP 62 100
비교예 1 80 20 50 50 제2POP 62 100 x
비교예 2 100 - 50 50 제2POP 62 100
비교예 3 - 100 50 50 제2POP 62 100
비교예 4 80 20 100 - 제2POP 62 100
비교예 5 80 20 - 100 제2POP 62 100
비교예 6 80 20 50 50 제3POP 100 100
[특성 평가]
1) 봉합 강도(N/15㎜): ASTM F 1921에 의거하여 80℃, 90℃, 100℃, 110℃에서의 열 봉합 강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2) 인장강도(㎫) 및 신장율(%): ASTM D638에 의거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열봉합강도 (N/15㎜) 인장강도
(㎫)
신장율
(%)
80℃ 90℃ 100℃ 110℃
실시예 1 37.2 54.3 56.1 58.4 19.2 241
실시예 2 12.5 28.7 52.9 57.9 20.4 235
실시예 3 36.4 53.1 54.6 57.6 18.9 240
실시예 4 37.0 53.9 55.5 57.2 18.2 230
실시예 5 36.5 53.4 54.6 55.3 18.6 217
실시예 6 36.1 54.2 56.3 57.8 18.0 223
비교예 1 37.0 54.2 56.0 58.1 16.5 211
비교예 2 36.2 53.8 55.4 57.2 17.4 222
비교예 3 36.4 54.5 56.0 57.8 18.1 219
비교예 4 37.1 54.1 56.3 58.2 17.2 213
비교예 5 36.6 53.8 55.9 58.0 18.0 211
비교예 6 < 1 < 1 2.9 50.9 18.7 237
상기 표 1 및 2를 참조하면, 본 청구범위를 만족하도록 제조된 다층필름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열 봉합강도가 50 N/15㎜ 이상으로 높았으며, 인장강도 및 신장율 또한 우수하였다.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7 내지 8]
하기 표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 2.5 중량부 및 제조예 2의 표면개질된 산화칼슘 1.0 중량부 대신 제조예 2 내지 6 또는 비교제조예 1 내지 2의 산화아연 나노입자 및 산화칼슘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함량으로 사용한 것 외 모든 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중량부) 내층 소재
제1POP 제2POP ZnO CaO 에루카아미드
실시예 1 10 35.5 제조예 1 2.5 제조예 2 1.0 1.0
실시예 7 10 35.5 제조예 3 2.5 제조예 4 1.0 1.0
실시예 8 10 35.5 제조예 5 2.5 제조예 6 1.0 1.0
실시예 9 10 35.5 제조예 1 0.1 제조예 2 0.05 1.0
실시예 10 10 35.5 제조예 1 0.5 제조예 2 0.3 1.0
실시예 11 10 35.5 제조예 1 5 제조예 2 2 1.0
실시예 12 10 35.5 제조예 1 10 제조예 2 5 1.0
비교예 7 10 35.5 제조예 1 - 제조예 2 - 1.0
비교예 8 10 35.5 비교제조예 1 2.5 비교제조예 2 1.0 1.0
[특성 평가]
1) 인장강도(㎫) 및 신장율(%): ASTM D638에 의거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2) 투명도(%): ASTM D1746에 의거하여 평가하였으며, 600 ㎚ 파장에서의 투과도를 취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3) 항균성: JIS Z 2801 : 2010에 의거하여 항균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세하게, 다층필름의 내층에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을 1.5 × 104 CFU/㎠로 접종한 후 (35±1)℃, 상대습도 9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최종 세균수 및 항균활성치 로그(log)를 확인하였다. 이때, 항균활성치 값은 log(B/A)로 계산하였으며, A는 24시간 후 다층필름 샘플의 균수이고, B는 24시간 후 대조군(blank, Stomacher 400 poly-bag)의 균수이다.
4) 항곰팡이성: ASTM G21-15에 의거하여 항곰팡이성을 평가하였다. 상세하게, 5종의 곰팡이(Aspergillus brasiliensis ATCC 9642, Chaetomium globosum ATCC 6205, Penicillium funiculosum ATCC 11797, Trichoderma virens ATCC 9645, Aureobasidium pullulans ATCC 15233)를 28~30℃, 상대습도 85% 이상에서 28일 동안 다층필름의 내층에 배양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등급을 평가하였다.
- 0등급: 자라지 못함
- 1등급: 시편 위 10 면적% 이하로 자라남.
- 2등급: 시편 위 10 면적% 초과~30 면적% 이하로 자라남.
- 3등급: 시편 위 30 면적% 초과~60 면적% 이하로 자라남.
- 4등급: 시편 위 60 면적% 초과로 자라남.
인장강도
(㎫)
신장율
(%)
투명도
(%)
항균성
(log)
항곰팡이성
(등급)
실시예 1 19.2 241 89 4.2 0
실시예 7 18.5 240 88 2.6 1
실시예 8 18.3 238 90 2.3 1
실시예 9 17.8 226 92 1.2 2
실시예 10 18.4 235 90 3.3 0
실시예 11 18.9 242 85 4.4 0
실시예 12 17.1 223 81 4.8 0
비교예 7 17.4 221 93 (균수증가) 3
비교예 8 17.9 225 90 2.1 2
상기 표 3 및 4를 참조하면, HLB 3 내지 8인 실리콘 오일로 표면개질된 산화아연 나노입자와 산화칼슘을 적정 함량으로 첨가한 실시예 1의 경우 다층필름의 투명도를 높에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항균항곰팡이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필름 200: 제2필름
110: 외층 120: 중층 130: 내층

Claims (8)

  1. 제1필름과 제2필름을 합지하여 제조된 다층필름으로,
    상기 제1필름은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외층;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중층; 및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필름은 나일론 필름으로, 상기 제1필름의 외층과 합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의 외층은 0.910~0.925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5~12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926~0.940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100~13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의 중층은 0.910~0.925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5~12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885~0.910 g/㎤의 밀도, 0.3~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70~10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의 내층은 0.850 내지 0.879 g/㎤의 밀도, 0.3 내지 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50 내지 75℃의 융점을 만족하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또는 0.880 내지 0.900 g/㎤의 밀도, 0.3 내지 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65 내지 85℃의 융점을 만족하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5. a) 공압출 방식으로,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외층,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중층, 및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내층을 포함하는 제1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제1필름의 외층과 나일론 필름이 서로 맞닿도록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의 외층은 0.910~0.925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5~12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926~0.940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100~13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중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의 중층은 0.910~0.925 g/㎤의 밀도, 0.5~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95~12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2저밀도 폴리에틸렌과, 0.885~0.910 g/㎤의 밀도, 0.3~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70~100℃의 연화점을 만족하는 제1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제1POP)를 포함하는 것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의 내층은 0.850 내지 0.879 g/㎤의 밀도, 0.3 내지 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50 내지 75℃의 융점을 만족하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또는 0.880 내지 0.900 g/㎤의 밀도, 0.3 내지 5.0 g/10분의 용융지수(2.16 ㎏, 190℃) 및 65 내지 85℃의 융점을 가지는 제2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인,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10164250A 2021-11-25 2021-11-25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3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250A KR102633198B1 (ko) 2021-11-25 2021-11-25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250A KR102633198B1 (ko) 2021-11-25 2021-11-25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219A true KR20230077219A (ko) 2023-06-01
KR102633198B1 KR102633198B1 (ko) 2024-02-22

Family

ID=8677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250A KR102633198B1 (ko) 2021-11-25 2021-11-25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1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14B1 (ko) * 2012-02-02 2013-11-2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디스플레이 제품 포장용 알루미늄 합지 폴리에틸렌 필름
KR20200062251A (ko) 2017-09-29 2020-06-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내용물 포장용의 실란트 필름과 그것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액체 내용물용 포장 재료, 액체 내용물용 포장체
KR102157101B1 (ko) * 2020-03-24 2020-09-17 (주)거성피엔피 다층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14B1 (ko) * 2012-02-02 2013-11-25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디스플레이 제품 포장용 알루미늄 합지 폴리에틸렌 필름
KR20200062251A (ko) 2017-09-29 2020-06-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내용물 포장용의 실란트 필름과 그것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액체 내용물용 포장 재료, 액체 내용물용 포장체
KR102157101B1 (ko) * 2020-03-24 2020-09-17 (주)거성피엔피 다층 폴리에틸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198B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081B1 (ko) 친환경 생분해성 다층 랩 필름
KR102190252B1 (ko) 나노산화아연을 적용한 항균필름, 그 제조방법 및 식품포장용 제품
KR20050094853A (ko) 항균 코팅 중합체 필름
EP3067198B1 (en) Non-polyvinylchloride (pvc) tile
KR101200241B1 (ko) 식품 포장재용 다층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7219A (ko)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7224A (ko) 재활용 가능한 액상 식품 포장용 다층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236703A (ja) 壁装材用抗菌防汚フィルム及びそれを積層して成る壁装材
KR20210137320A (ko) 항균성을 가진 선도유지 포장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231595A (zh) 一种透明阻隔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CN113306103B (zh) 一种抗菌防霉卫生包装袋的制备工艺
US20140302298A1 (en) Mineral-containing films
CN1639234A (zh) 适用于食品包装的膜
KR102453137B1 (ko) 교차오염 및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다층 항균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0149389A (ja) 積層体
JP2018502745A (ja) 多層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物品
KR102577827B1 (ko)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이 우수한 위생 밀폐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1016B1 (ko) 가스 배리어성이 우수한 나노복합수성코팅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코팅필름
KR102384922B1 (ko) 투명 항균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JP6395630B2 (ja) 鮮度保持ラミネートフィルム
KR102460950B1 (ko)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이 우수한 위생 도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8720B1 (ko) 플라스틱 함량 감소 탄소중립 대응 친환경 기체차단성 복합필름
KR102658352B1 (ko) 생분해성 다층 필름
CN112011076B (zh) 一种表面粗糙的包装袋及其制备方法
JP7115964B2 (ja) フィルム及び農園芸用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