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416A -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 Google Patents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416A
KR20230076416A KR1020210163318A KR20210163318A KR20230076416A KR 20230076416 A KR20230076416 A KR 20230076416A KR 1020210163318 A KR1020210163318 A KR 1020210163318A KR 20210163318 A KR20210163318 A KR 20210163318A KR 20230076416 A KR20230076416 A KR 20230076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tery
ceramics
polished
openwork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792B1 (ko
Inventor
이승화
Original Assignee
이승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화 filed Critical 이승화
Priority to KR102021016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7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76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1Applying decorations on shaped articles, e.g. by pa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urning or jiggering in moulds or moulding surfaces on rotat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2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attaching appendages, e.g. handles,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45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2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moving parts of the articl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7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for decorative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디자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자인된 도자기를 투각하는 단계와, 상기 투각된 도자기의 표면을 1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연마된 도자기를 초벌하는 단계와, 상기 초벌된 도자기를 2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연마된 도자기를 재벌하는 단계와, 상기 재벌된 도자기를 3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을 삽입한 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인드 글라스를 적용하여 도자기의 심미감을 높이고, 독창성 있는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도자기를 고급화하고, 그 예술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Manufacturing method of ceramics using stained glass and ceramics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하여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도자기의 미려함을 높이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는 인간이 문화생활을 시작하면서 가장 초기에 발명된 인공물 중의 하나로서 유구한 세월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특히, 세라믹 도자기는 세라믹 소재의 특성상 맑고 깨끗한 이미지를 창출하고 두들겼을 때의 청아한 소리로 인해 실용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장식적 측면으로도 많은 사랑을 받아 오고 있다.
따라서, 세라믹 도자기의 소재, 제조공정 및 디자인 개발을 통하여 실용적인 면을 향상시키려는 노력 외에도, 장식적인 면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형태 및 표면 모양의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특히, 장식 목적의 기술 개발에 있어서는 세라믹의 독특한 물성으로 인해 다른 소재로서는 이룰 수 없는 고귀한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시도가 있어왔고, 현재도 다양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 의하여 초벌구이한 세라믹 도자기의 표면에 각종 문양을 직접 그려 넣거나 음각하고 또는 음각된 곳을 다른 색상의 소재로 메워 넣은 방식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대량 생산을 위해 문양이 코팅되어 있는 전사지를 사용하여 초벌구이한 세라믹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넣는 기술도 개발되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자기는 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그릇이나 다양한 가재도구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때로는 희귀성 및 작품성에 따라 장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한편, 스테인드 글라스(Stained Glass)는, 안료를 넣어 만든 색유리나 겉면에 색을 칠한 유리를 기하학적이거나 장식적인 형태 또는 회화적 도안으로 자르거나 분쇄한 후 이를 납으로 된 리본으로 용접하거나 또는 다양한 접착물로 접합하여 만든 창유리를 일컫는 것으로, 주로 성당이나 교회와 같은 종교 건축물의 창호나 중세 고딕 건축의 넓고 큰 창의 장식을 비롯하여 실내의 각종 소품이나 실내조명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스테인드 글라스는 금속산화물이 포함된 색유리를 조각조각 붙이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통적인 납틀(Leaded glass) 기법을 기초로 발전하여, 실내장식이나 공예품 등과 같이 인공조명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동(銅) 테이프(Copper foiled glass) 기법, 현대 건축의 재질적 변화에 따라 발전한 평판유리(Faceted glass)나 유리벽돌기법, 보석이나 두께가 두꺼운 유리를 콘크리트에 파묻혀 있게 하는 유리벽돌기법 등이 있다.
이러한 스테인드 글라스는 종래 창유리, 액자형 장식물 등에 이용되고 있으나, 도자기류에 적용된 바 없다.
KR 10-1845389 B1 KR 10-1204686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자기에 스테인드 글라스를 적용함으로써, 도자기의 미려함을 극대화하고, 고귀한 이미지를 창출하여 도자기를 고급화할 수 있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도자기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디자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자인된 도자기를 투각하는 단계와, 상기 투각된 도자기의 표면을 1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연마된 도자기를 초벌하는 단계와, 상기 초벌된 도자기를 2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연마된 도자기를 재벌하는 단계와, 상기 재벌된 도자기를 3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을 삽입한 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을 삽입한 후 접합하는 단계는, 색유리 편을 준비하고, 상기 색유리 편의 테두리면에 동테이프를 테이핑하는 과정과,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동테이프를 테이핑하는 과정과, 상기 테이핑된 색유리 편을 상기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색유리 편이 삽입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플럭스가 도포된 도자기와 상기 색유리 편을 무연납을 이용하여 납땜하여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벌된 도자기를 2차 연마하는 단계 후, 상기 2차 연마된 도자기의 내면에 투명유를 시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자기를 성형하는 단계는, 백자토를 이용하여 물레 성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에 의하면, 스테인드 글라스를 적용하여 도자기의 심미감을 높이고, 독창성 있는 도자기를 제조함으로써, 도자기를 고급화하고, 그 예술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을 삽입, 접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성형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문양이 디자인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투각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초벌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재벌 후 3차 연마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테이프의 테이핑 과정을 나타낸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도포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남땜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도자기의 시유 과정을 나타낸 사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의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도자기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디자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자인된 도자기를 투각하는 단계와, 상기 투각된 도자기의 표면을 1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연마된 도자기를 초벌하는 단계와, 상기 초벌된 도자기를 2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연마된 도자기를 재벌하는 단계와, 상기 재벌된 도자기를 3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을 삽입한 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순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자기를 성형하는 단계
먼저, 도자기를 성형한다.
소지로는 색유리와의 조화를 위하여 백색도를 가지며 투명도가 높은 백자토를 이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투각에 용이하도록 대원도재의 D1 백자토와 클레이어의 슈퍼대작토를 1:0.1~2 중량비 정도로 혼합하여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백색토 중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도자기의 성형은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바, 예시적으로 물레 성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성형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성형된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디자인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성형된 도자기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디자인한다. 이때, 그 문양은 스테인드 글라스의 가장 기본이 되는 모자이크 도안은 물론, 조각보 패턴 등 다양한 문양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디자인이란 상기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바로 스케치하거나, 문양이 인쇄된 전사지를 이용하여 문양을 전사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함은 당연하다. 다만, 상기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디자인할 시, 스프레이와 비닐을 이용하여 성형된 도자기의 건조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후공정인 투각을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문양이 디자인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디자인된 도자기를 투각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디자인된 도자기를 투각한다.
상기 투각이란 재료를 완전히 뚫거나 도려내어 표현하는 조각 기법으로, 상기 다자인된 도자기에 투각칼을 이용하여 문양을 투각한다.
투각시 도자기의 건조 상태와 기물의 두께가 중요한데, 건조가 지나치게 덜 된 상태이거나 관통공과 관통공 사이가 지나치게 가깝게 되면 도자기의 벽이 틀어지며 소성시 하중을 받아 변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형 후 1~3일 이내에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디자인한 후, 투각하고, 투각 부위, 즉 관통공과 관통공 사이의 너비가 0.5cm 이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투각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투각된 도자기의 표면을 1차 연마하는 단계
투각이 완료되면, 투각 부위를 송곳 등을 이용하여 다듬어준다. 이는 투각 부위의 모서리 부분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를 4~15일간 건조한 후, 투각 부위는 물론, 도자기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사포 등을 이용하여 1차 연마한다.
상기 1차 연마된 도자기를 초벌하는 단계
다음으로, 이를 가마에 넣고 초벌 소성한다. 상기 초벌 소성 온도 및 시간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조건, 예시적으로 800~1250℃의 온도에서 10분~48시간 정도이면 족한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초벌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초벌된 도자기를 2차 연마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초벌된 도자기를 2차 연마한다. 본 발명은 도자기를 무유로 할 것이기 때문에 초벌된 도자기의 표면을 사로 등을 이용하여 잡티 없이 매끈하게 연마한다.
상기 2차 연마된 도자기를 재벌하는 단계
2차 연마가 완료되면, 상기 연마된 도자기를 재벌 소성한다. 이때, 재벌 소성의 조건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조건, 예시적으로 1100~1400℃의 온도에서 10분~48시간 정도이면 족한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재벌된 도자기를 3차 연마하는 단계
그리고 이를 다이아몬드 사포 등으로 3차 연마한다. 이는 무유의 특성상 연마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작품의 완성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인바, 3차 연마를 통해 표면을 부드럽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3차 연마된 도자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을 삽입한 후 접합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을 삽입한 후 접합함으로써, 도자기의 제조를 완료한다.
상기 색유리 편을 삽입 후, 접합하는 방법은 도 2와 같이, 색유리 편을 준비하고, 상기 색유리 편의 테두리면에 동테이프를 테이핑하는 과정과,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동테이프를 테이핑하는 과정과, 상기 테이핑된 색유리 편을 상기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색유리 편이 삽입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플럭스가 도포된 도자기와 상기 색유리 편을 무연납을 이용하여 납땜하여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투각 부위의 패턴과 맞는 색 조합을 탐구하여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적용할 색유리를 선별한 후, 투각 부위에 대응되도록 세밀하게 자르고, 다듬어서 색유리 편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색유리로는 투명도가 가장 뛰어난 스펙트럼 글라스(Spectrum Glass)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색유리 편의 테두리면, 즉 투각 부위와 맞닿는 면에 동테이프를 테이핑한다. 상기 동테이프는 시판되는 상품을 이용하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 즉 색유리 편과 맞닿는 면에도 동테이프를 테이핑한다.
본 발명에서 동테이프를 테이핑하는 이유는, 도자기와 색유리는 직접적으로 남땜이 불가능하므로, 동테이프를 통해 땜납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테이핑된 색유리 편을 상기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삽입하고, 상기 색유리 편이 삽입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한다. 상기 플럭스는 땜 작업에서 접합부를 깨끗이 하고, 접합시에 산화물(酸化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접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조성제로, 염화아연과 염산이 주원료이다. 상기 플럭스는 시판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플럭스의 도포방법은 붓을 이용하면 족하며, 그 사용량은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플럭스가 도포된 도자기와 상기 색유리 편을 무연납과 인두기를 이용하여 납땜함으로써, 접합한다. 무연납은 융점이 낮아 일반 실납보다 다루기 까다롭지만 상대적으로 인체에 덜 해롭고 빠르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완성된 도자기의 표면을 세척하여 납땜 후 남은 화학 잔여물을 제거해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동테이프의 테이핑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플럭스 도포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남땜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도자기는 표면은 무유 상태이고,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이 삽입된 상태이므로, 색유리 편의 색감이 돋보이며, 색유리 편을 통한 빛의 투과 및 반사가 우수하여 도자기의 미려함을 한층 높일 수 있고, 도자기의 예술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색유리 편의 색감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상기 초벌된 도자기를 2차 연마하는 단계 후, 상기 2차 연마된 도자기의 내면에 투명유를 시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에 투명유를 시유할 경우, 빛이 도자기의 내부 유면을 통해 반사되어 색유리 편의 색감을 돋보이게 함으로써, 미려함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도자기의 외면은 무유로 할 것이므로, 랩을 이용하여 상기 2차 연마된 도자기의 외면을 감싸 투명유가 새어나가지 못하게 한 후, 내부에 투명유를 부어 내부면 및 투각 부위에 안착된 투명유를 붓을 이용하여 매끄럽게 다듬어주는 것이다. 이때, 외부로 새어나온 소량의 투명유는 스펀지를 이용하여 제거한다.
상기 투명유로는 시판되는 상품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한바, 예시적으로 대원도재의 D투명유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시유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의 단계를 거쳐 제조된 도자기는, 도 12 내지 도 16과 같이, 색유리 편과 백자토로 성형된 도자기의 조화, 그리고 빛의 투과 및 반사 현상의 조화로 인해 도자기의 예술적 가치가 현저히 높아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도자기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도자기의 표면에 문양을 디자인하는 단계와,
    상기 디자인된 도자기를 투각하는 단계와,
    상기 투각된 도자기의 표면을 1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1차 연마된 도자기를 초벌하는 단계와,
    상기 초벌된 도자기를 2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2차 연마된 도자기를 재벌하는 단계와,
    상기 재벌된 도자기를 3차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을 삽입한 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색유리 편을 삽입한 후 접합하는 단계는,
    색유리 편을 준비하고, 상기 색유리 편의 테두리면에 동테이프를 테이핑하는 과정과,
    상기 3차 연마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동테이프를 테이핑하는 과정과,
    상기 테이핑된 색유리 편을 상기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색유리 편이 삽입된 도자기의 투각 부위에 플럭스(Flux)를 도포하는 과정과,
    상기 플럭스가 도포된 도자기와 상기 색유리 편을 무연납을 이용하여 납땜하여 접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된 도자기를 2차 연마하는 단계 후,
    상기 2차 연마된 도자기의 내면에 투명유를 시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를 성형하는 단계는,
    백자토를 이용하여 물레 성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
KR1020210163318A 2021-11-24 2021-11-24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KR102634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318A KR102634792B1 (ko) 2021-11-24 2021-11-24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318A KR102634792B1 (ko) 2021-11-24 2021-11-24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416A true KR20230076416A (ko) 2023-05-31
KR102634792B1 KR102634792B1 (ko) 2024-02-08

Family

ID=8654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318A KR102634792B1 (ko) 2021-11-24 2021-11-24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7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7201A1 (en) * 2002-11-22 2004-07-15 Hannan Phyllis A Method for creating a colored, engraved mark on a brick
KR101204686B1 (ko) 2009-06-24 2012-11-26 한국도자기주식회사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KR101845389B1 (ko) 2017-11-28 2018-04-04 김선숙 스테인드 글라스와 광섬유를 이용한 조형물 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KR20200003637A (ko) * 2018-07-02 2020-01-10 김진방 일체형 스테인드 글라스
KR20210126182A (ko) * 2020-04-09 2021-10-20 이성호 옻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옻칠 도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7201A1 (en) * 2002-11-22 2004-07-15 Hannan Phyllis A Method for creating a colored, engraved mark on a brick
KR101204686B1 (ko) 2009-06-24 2012-11-26 한국도자기주식회사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KR101845389B1 (ko) 2017-11-28 2018-04-04 김선숙 스테인드 글라스와 광섬유를 이용한 조형물 액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
KR20200003637A (ko) * 2018-07-02 2020-01-10 김진방 일체형 스테인드 글라스
KR20210126182A (ko) * 2020-04-09 2021-10-20 이성호 옻칠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옻칠 도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792B1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35632B (zh) 一种陶瓷器修补方法
KR101893606B1 (ko) 적색과 함께 푸른색을 발현하는 진사유약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도자기 소성방법
KR100360624B1 (ko)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TW201800823A (zh) 玻璃蓋板及其製造方法
CN105541407A (zh) 一种陶泥与瓷泥相结合的青瓷釉呈色制作工艺
KR102247440B1 (ko) 석재의 몽돌 상감 방법
CN102211494B (zh) 宝螺甸镶嵌漆器加工工艺
KR102634792B1 (ko) 스테인드 글라스를 이용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도자기
KR102247441B1 (ko) 동을 이용한 석재의 상감 방법
CN112493640A (zh) 一种利用漆和蛋壳结合金属首饰的工艺
KR20100138750A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CN111976359A (zh) 一种在建水紫陶器上镶嵌金银装饰的方法
CN108081850B (zh) 铜雕珐琅玻璃器及制作方法
JP2011019897A (ja) 象嵌品
Lepinski Roman Interior Design
CN111084474A (zh) 一种银胎珐琅首饰制作方法
CN109624580A (zh) 陶瓷材料制品镭射加工工艺及陶瓷材料制品和电子设备
CN109263392A (zh) 一种龙耳瓶造型的钧瓷工艺品的制作方法
CN110962499A (zh) 玉石板错金加工工艺
CN107521278A (zh) 立体瓷雕与大漆结合的工艺品及其制备工艺
CN209025343U (zh) 一种具有立体层次感的聚晶微粉抛光砖
CN110962498A (zh) 玉石错金加工工艺
KR20180082744A (ko) 칠보 공예품을 제조하는 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칠보 공예품
KR20170101068A (ko)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도금 도자기 제조방법
EA025467B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визуальной глубины внутри камн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