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6294A - 운반 보조기 - Google Patents

운반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6294A
KR20230076294A KR1020210163096A KR20210163096A KR20230076294A KR 20230076294 A KR20230076294 A KR 20230076294A KR 1020210163096 A KR1020210163096 A KR 1020210163096A KR 20210163096 A KR20210163096 A KR 20210163096A KR 20230076294 A KR20230076294 A KR 20230076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support part
transport
arm suppor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다은
허지원
김도훈
Original Assignee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6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6294A/ko
Publication of KR2023007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2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25J1/02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articulated or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25J1/04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rigid, e.g. shelf-reac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25J1/12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having means for attachment to a support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B25J19/0016Balancing devices usin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박지지부(110), 하박지지부(120), 상하박연결부(130), 운반용지지부(140)로 구성되는 운반 보조기로서, 상기 운반용지지부(140)는 상기하박지지부(120)의 일측면에 고정이 되며, 탄성체고정부(141), 탄성체 1 및 2(142, 143), 조작부(144)가 포함되고, 상기 상박지지부(110)는 상박고정용연결부(112)에 의해 상박고정부(111)와 연결이 되며, 상기 상박지지부(110)와 상기 하박지지부(120)는 상하박연결부(130)에 의하여 연결이 되고, 상기 상하박연결부(130)에 상하박연결고정부(131)가 포함되어, 상기 하박지지부(120)가 상하박연결고정부(13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용지지부(140)에서 상기 탄성체 1은 상기 운반용지지부(140)를 상기 상하박연결부(13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작부(144)를 상하박연결부(130)의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조작부(144)에 연결된 탄성체 1 및 2(142, 143)로 힘이 전달되고, 이에 연결된 상기 운반용지지부(140)는 상하박연결부(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운반용지지부가 상기 상하박연결부(130)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박연결부(130)에 일정 위치에 홈이 있고, 이러한 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반 보조기{Transport aid device}
본 발명은 운반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팔에 고정이 되어 하박지지부가 결합된 구성으로 팔 및 손목 관절 과부하를 감소시키고, 무거운 짐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물건을 운반할 경우에는 호이스트나 지게차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택배 종사자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인력으로 물품을 들어올리고 물품을 운반 및 이동할 때 경량물은 작업자의 반복 작업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택배서비스나 퀵서비스 종사자는 대부분의 주된 업무가 운반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 등으로 택배 및 퀵서비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택배서비스나 퀵서비스 종사자가 처리해야 하는 물품의 양이나 중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다 보니 택배서비스나 퀵서비스 종사자가 운반해야하는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림 또는 운반하는 작업 중 중량물은 반복적인 운반 작업으로 인해 택배서비스나 퀵서비스 종사자들의 피로도가 증가할 뿐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고, 또한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이 되어 산업재해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6588호에서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 몸의 어깨 위에 착용하는 스트레스 완화 장치가 제안되었는데, 그 구성은 사용 도중 어깨 영역의 스트레스를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어깨 영역의 양측으로 상기 하중을 전달하는 요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사용자의 상기 어깨 영역을 연결하는(bridging)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 몸의 전방 측에 인접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전방 단부;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사용자 몸의 후방 측에 인접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후방 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해당 특허의 경우 중량물의 하중을 어깨 전체로 분산시키는 방식을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방식이어서 물건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만 유용할 뿐 물건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은 제시되지 않아, 활용성이 극히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택배서비스나 퀵서비스 종사자가 물품의 양이나 중량이 증가하는 추세여서 택배서비스나 퀵서비스 종사자가 운반해야하는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림 또는 운반하는 작업 중 중량물은 반복적인 운반 작업으로 인해 택배서비스나 퀵서비스 종사자들의 피로도가 증가할 뿐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작업자가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내림 또는 운반하는 과정에서 물품의 무게감을 감소시켜 팔 및 손목 관절의 과부하를 줄여 손목과 팔꿈치를 보호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팔 및 손목 관절 과부하 감소를 위한 운반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반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박지지부(110), 하박지지부(120), 상하박연결부(130), 운반용지지부(140)로 구성되는 운반 보조기로서, 상기 운반용지지부(140)는 상기하박지지부(120)의 일측면에 고정이 되며, 탄성체고정부(141), 탄성체 1 및 2(142, 143), 조작부(14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 중 상기 상박지지부(110)는 상박고정용연결부(112)에 의해 상박고정부(111)와 연결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박지지부(110)와 상기 하박지지부(120)는 상하박연결부(130)에 의하여 연결이 되고, 상기 상하박연결부(130)에 상하박연결고정부(131)가 포함되어, 상기 하박지지부(120)가 상하박연결고정부(13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용지지부(140)에서 상기 탄성체 1은 상기 운반용지지부(140)를 상기 상하박연결부(13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작부(144)를 상하박연결부(130)의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조작부(144)에 연결된 탄성체 1 및 2(142, 143)로 힘이 전달되고, 이에 연결된 상기 운반용지지부(140)는 상하박연결부(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용지지부가 상기 상하박연결부(130)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박연결부(130)에 일정 위치에 홈이 있고, 이러한 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기에 의해 작업자가 물건을 용이하게 들어올려서, 특정지점으로 운반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의 무게감을 감소시키고, 운반시 하박지지부가 팔의 하박에 고정이 되므로 고중량의 중량물도 용이하게 먼거리를 운반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운반 보조기에 따르면, 하박지지부가 팔의 하박에 고정이 되므로 손목 꺾임과 팔꿈치 뒤틀림을 방지 보호할 수 있고, 팔꿈치나 손목 관절의 과부하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팔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통해 산업재해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개인과 회사 및 국익에 이바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의 기술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 보조기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운반 보조기의 사용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팔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운반 보조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재점착가능' 이라는 용어는 물품, 예를 들어 종이 시트가 부착되었을 때, 물품의 손상 없이 물품이 그로부터 다시 제거 될 수 있고, 물품이 재점착가능 처리된 부분이 있는 물품에 다시 부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운반 보조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반 보조기(100)에 관한 것으로 크게 상박지지부(110), 하박지지부(120), 상하박연결부(130), 운반용지지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박지지부(110)은 팔의 상박에 본 발명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박고정용연결부(112)에 의해 상박고정부(111)와 연결이 될 수 있다. 상박지지부(110), 상박고정부(111)는 합성수지재, 목재,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박고정용연결부는 탄성체 재질로 이루어져 상박지지부(110)와 상박고정부(111)를 팔에 고정되도록 팔에 둘러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박지지부(110)는 하박지지부(120)와 상하박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구성이 되어 상하박연결부(130)를 축으로 하여 특히 하박지지부(120)가 잘 회전이 될 수 있도록 상하박연결고정부(131)가 포함될 수 있다.
상박지지부(110)와 함께 상하박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된 하박지지부(120)의 일측면에 운반용지지부(140), 탄성체고정부(141), 탄성체 1 및 2(142, 143), 조작부(144)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 는 일실시예에 의한 운반 보조기(100)에 관한 것이다.
하박지지부(120)는 팔에 고정되는 상박지지부(110)에 상하박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운반 보조기(100)의 구성상 상하박연결부(130)는 일부분에 홈이 있으며, 홈의 위치는 처음 구성시 조절을 할 수 있다. 하박지지부(120)은 상하박연결부(130)를 축으로 하여 회전이 될 수 있다. 조작부(144)에 특별한 조작이 없는 한 하박지지부(120)는 회전을 하지 않는다. 조작부(144)에는 탄성체 1 및 2(142, 143)이 연결되어 있다. 탄성체 1은 운반용지지부(140)를 상하박연결부(13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므로, 조작부(144)를 상하박연결부(130)의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조작부(144)에 연결된 탄성체 1 및 2(142, 143)로 힘이 전달되고, 이에 연결된 운반용지지부(140)은 상하박연결부(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된다. 이때 하박지지부(120)의 회전이 가능하고 이때 동시에 중량이 있는 물건을 손으로 들어 올리면서 조작부(144)의 힘이 전달된 상태가 하박지지부(120)가 상향으로 회전하여 상하박연결부(130)의 홈의 위치까지 회전을 하고 조작부(144)의 연결된 탄성체에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 하박지지부(120)에 연결된 운반용지지부(140)가 상하박연결부(130)의 홈의 위치로 밀려 들어가게 되어 고정이 된다. 이떼 하박지지부(120)는 상박지지부(110)와 예각(이러한 각도는 처음 구성시 조절이 가능하다)을 이루게 되고, 고정된 상태로 있으므로 물건을 손으로 든 상태에서도 하박지지부(120)가 팔의 하박에 고정이 되므로 중량물의 무게가 감소된 상태로 인식이 되고, 중량물에 의한 팔 또는 손목에 전달되는 과부하가 감소하게 될 수 있다. 조작부(144)는 고리형태로 바람직하게 엄지손가락에 걸고 손을 앞으로 당길 때 탄성체 1 및 2(142, 143)에 힘을 전달 할 수 있게 한다. 조작부는 탄성체 1 및 2(142, 143)에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구성이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1 내지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운반 보조기(100)를 팔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운반 보조기
110. 상박지지부
111. 상박고정부
112. 상박고정용연결부
120. 하박지지부
130. 상하박연결부
131. 상하박연결고정부
140. 운반용지지부
141. 탄성체고정부
142. 탄성체 1
143. 탄성체 2
144. 조작부

Claims (5)

  1. 상박지지부(110), 하박지지부(120), 상하박연결부(130), 운반용지지부(140)로 구성되는 운반 보조기로서,
    상기 운반용지지부(140)는 상기하박지지부(120)의 일측면에 고정이 되며, 탄성체고정부(141), 탄성체 1 및 2(142, 143), 조작부(144)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박지지부(110)는 상박고정용연결부(112)에 의해 상박고정부(111)와 연결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보조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박지지부(110)와 상기 하박지지부(120)는 상하박연결부(130)에 의하여 연결이 되고,
    상기 상하박연결부(130)에 상하박연결고정부(131)가 포함되어, 상기 하박지지부(120)가 상하박연결고정부(13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용지지부(140)에서 상기 탄성체 1은 상기 운반용지지부(140)를 상기 상하박연결부(130)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조작부(144)를 상하박연결부(130)의 위치와 반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조작부(144)에 연결된 탄성체 1 및 2(142, 143)로 힘이 전달되고, 이에 연결된 상기 운반용지지부(140)는 상하박연결부(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보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박연결부(130)의 일정 위치에 홈이 있고, 이러한 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보조기.
KR1020210163096A 2021-11-24 2021-11-24 운반 보조기 KR20230076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096A KR20230076294A (ko) 2021-11-24 2021-11-24 운반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096A KR20230076294A (ko) 2021-11-24 2021-11-24 운반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294A true KR20230076294A (ko) 2023-05-31

Family

ID=8654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096A KR20230076294A (ko) 2021-11-24 2021-11-24 운반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62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0222B2 (en) Collaborative robotic equipment
KR102034988B1 (ko) 팔 관절 과부하 감소를 위한 운반 보조기
KR20230076294A (ko) 운반 보조기
AU3428199A (en) Compensating system for hexapod
EP0870727A3 (en) Two directional industrial sidelift truck with rotatable cab
KR102539033B1 (ko) 운반 보조장치
US20020145294A1 (en) Hand tool for lifting and carrying objects
KR20170001851U (ko)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KR102470381B1 (ko) 운반용 웨어러블 장치
JP2519048Y2 (ja) 建設用挟持運搬具
CN204873416U (zh) 一种非金属平板吊运装置
KR100349869B1 (ko) 리프팅 러그 용접 로봇 시스템
KR102560395B1 (ko) 양중지원장치용 원기둥형 중량물 그리퍼
EP3584210A1 (en) Lifting tool
US20110223002A1 (en) Method for handling welding gas bottles
CN118062716A (zh) 一种结构件翻身吊具及方法
CN215287686U (zh) 一种小型工件吊具
JPH0439217Y2 (ko)
CN203359780U (zh) 一种精加工轴类工件吊装夹具
KR101214477B1 (ko) 마그넷 스위치를 이용한 착용로봇 작업유닛용 그립
CN209850843U (zh) 一种机械设备的可调节式操作平台
KR20160001090U (ko) Ctod 시험편 형상각도에 따른 변형 클램프
JP3006249U (ja) 足場構造
TR201619997A2 (tr) Montaj parçasi kaldirma ve taşima aparati
JPH053345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