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851U -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 Google Patents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851U
KR20170001851U KR2020150007501U KR20150007501U KR20170001851U KR 20170001851 U KR20170001851 U KR 20170001851U KR 2020150007501 U KR2020150007501 U KR 2020150007501U KR 20150007501 U KR20150007501 U KR 20150007501U KR 20170001851 U KR20170001851 U KR 201700018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s
vest
heavy
shoulder straps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업
Original Assignee
정용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업 filed Critical 정용업
Priority to KR2020150007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851U/ko
Publication of KR20170001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4Carrying-straps; Pack-carrying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등판(10)과 상기 등판 양측에 좌우 어깨를 삽입하는 좌우 어깨끈(20)(20') 및 암수 고정구로 착탈 연결하는 보조 몸통끈(30)으로 구성하되, 상기 좌우 어깨끈(20)(20')에는 좌우 묶음끈(40)(40')의 단부를 연결 형성하여 상기 좌우 묶음끈(40)(40')에 의해 중량물 운반시 중량물을 묶음 지지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므로 중량물 운반 작업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Working vest for transport of weightcargo}
본 고안은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 조끼의 좌우 어깨끈에 결합된 좌우 묶음끈에 의해 각종 중량물을 묶음 지지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므로 중량물 운반 작업이 효과적으로 개선되는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수확, 짐 운반, 벽돌 운반, 조명석 운반, 대리석 운반, 건설 현장 자재 운반, 나무 운반, 시멘트 운반, 유리, 창호 운반, 예초기, 벌목기, 콘크리트 타설용 바이브레타 작업 등 광범위한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중량물은 운반하거나 중량물을 이동 작업하고 있다.
즉, 작업자가 각종 중량물을 양팔로 들어 운반하거나 중량물을 들어 이동하면서 작업하기 때문에 중량물의 하중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로도가 크고 작업성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작업자가 지게 등과 같은 운반 도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운반하거나 중량물을 이동 작업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운반 도구를 이용하는 경우에 중량물을 운반 또는 이동 작업할 수 있는 분야가 제한적임은 물론 중량물을 지게와 같은 운반 도구에 싣고 다시 내리는 작업 등이 불편하여 실제 현장에서 적용하기 곤란한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작업자가 각종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면서 간편하게 운반하거나 이동 작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연구노력하였다.
실용신안등록 제20-445273호 실용신안등록 제20-55447호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착용한 작업 조끼의 좌우 어깨끈에 결합된 좌우 묶음끈에 의해 각종 중량물을 묶음 지지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므로 중량물 운반 작업이 효과적으로 개선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좌우 묶음끈이 좌우 어깨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하므로 묶음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등판을 좌우로 분할하여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길이 조절끈에 의해 좌우 폭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등판에 고정 설치된 지지 파이프와 상기 지지 파이프에 연결된 연결 파이프에 지지 로프를 마련하고, 상기 지지 로프 단부에 걸고리 또는 지지링 등을 연결하여 각종 중량물을 걸어 지지하거나 삽입 지지하는 등에 의해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면서 이동 작업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등판과 상기 등판 양측에 좌우 어깨를 삽입하는 좌우 어깨끈 및 상기 좌우 어깨끈의 벗겨짐을 방지하도록 암수 고정구로 착탈 연결하는 보조 몸통끈으로 구성하되, 상기 좌우 어깨끈에는 좌우 묶음의 단부를 연결 형성하여 상기 좌우 묶음끈에 의해 중량물 운반시 중량물을 묶음 지지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 상기 좌우 묶음끈의 단부는 고리 형태의 끼움공을 형성하여 좌우 어깨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하도록 삽입 장착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좌우 묶음끈은 중량물을 묶음 지지할 때 중량물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 밴드로 형성하되, 외 표면에 고무 코팅을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등판은 좌우 등판으로 분할 형성하되, 중앙에 암수 고정구를 갖는 길이 조절끈에 의해 착용자의 사이즈에 맞추어 폭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등판에는 상부에 연결공을 갖는 지지 파이프를 고정 또는 착탈 분리 가능하게 지지 설치하고, 상기 지지파이프 상부의 연결공에는 착용자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각종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하는 연결 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조립하되,
상기 연결 파이프의 선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 로프를 마련하고, 상기 지지 로프 하단에 걸고리나 지지링 중에 어느 하나를 연결 사용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착용한 작업 조끼의 좌우 어깨끈에 결합된 좌우 묶음끈에 의해 각종 중량물을 묶음 지지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므로 중량물 운반 작업이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작업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묶음끈이 좌우 어깨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하므로 묶음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하므로 중량물의 묶음 지지가 더욱 우수하게 제공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판을 좌우로 분할하며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길이 조절끈에 의해 좌우 폭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하므로 착용 편리성을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 박에 상기 등판에 고정 설치된 지지 파이프와 상기 지지 파이프에 연결된 연결 파이프에 지지 로프를 마련하고, 상기 지지 로프 단부에 걸고리 또는 지지링 등을 연결하여 각종 중량물을 걸어 지지하거나 삽입 지지하는 등에 의해 다양한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면서 이동 작동하므로 광범위한 범위에서 작업성 개선의 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과일 수확, 짐 운반, 벽돌 운반, 조명석 운반, 대리석 운반, 건설 현장 자재 운반, 나무 운반, 시멘트 운반, 유리, 창호 운반, 예초기, 벌목기, 콘크리트 타설용 바이브레타 작업 등의 광범위한 작업 범위에서 사용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작업 조끼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2는 도 1의 착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의한 중량물 운반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작업 조끼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착용 상태에서 중량물 운반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다기능 작업 조끼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10)과 상기 등판 양측에 좌우 어깨를 삽입하는 좌우 어깨끈(20)(20') 및 상기 좌우 어깨끈의 벗겨짐을 방지하도록 암수 고정구(31)(31')로 착탈 연결하는 보조 몸통끈(3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좌우 어깨끈(20)(20')에는 좌우 묶음끈(40)(40')의 단부를 연결 형성하여 상기 좌우 묶음끈(40)(40')에 의해 중량물 운반시 중량물을 묶음 지지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 묶음끈(40)(40')의 단부는 고리 형태의 끼움공(41)을 형성하여 좌우 어깨끈(20)(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하도록 삽입 장착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 묶음끈(40)(40')은 중량물을 묶음 지지할 때 중량물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 밴드로 형성하되, 외 표면에 고무 코팅을 형성하여 미끄럼을 더욱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묶음끈(40)(40')은 좌우 어깨끈 대신에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10)에 별도 연결된 보조 멜방(25)(25')에 연결하되, 상기 좌우 묶음끈(40)(40') 단부의 고리 형태로 형성된 끼움공(41)을 보조 멜빵(25)(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하도록 삽입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등판(10)은 좌우 등판(11)(11')으로 분할 형성하되, 중앙에 암수 고정구(13)(13')를 갖는 길이 조절끈(12)에 의해 착용자의 사이즈에 맞추어 폭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등판(10)에는 상부에 연결공(51)을 갖는 지지 파이프(50)를 고정 또는 착탈 분리 가능하게 지지 설치하고, 상기 지지파이프 상부의 연결공(51)에는 착용자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각종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하는 연결 파이프(52)를 선택적으로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 파이프(52)의 선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 로프(53)를 마련하고, 상기 지지 로프 하단에 중량물을 간편하게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걸고리(54) 또는 봉 형태의 중량물(예를 들면 예초기 등)을 간편하게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링(55) 등 각종 도구를 연결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파이프(50), 연결 파이프(52) 중에 어느 한 위치로 우천시 우산을 곶아 둘 수 있는 우산 꽂이부(58)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 상세 도시되지 않았지만 좌우 어깨끈의 끝단에는 벙어리 장갑을 일체로 마련하여 중량물을 벙어리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잡아 손의 부상을 방지함은 물론 겨울철 장갑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로서, 2는 중량물, 5는 우산, 15는 지지파이프(50)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을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작업 조끼는 등판(10)이 등 뒤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좌우 어깨끈(20)(20')으로 어깨에 착용하고 보조 몸통끈(30)으로 몸통을 감아 벗겨짐을 방지하도록 착용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각종 중량물을 운반하는 경우에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좌우 어깨끈(20)(20')에 연결된 좌우 묶음끈(40)(40')으로 중량물의 상부, 측부 또는 하부를 감싸도록 묶어 지지한 상태로 중량물을 들어 운반하기 때문에 중량물의 하중이 좌우 묶음끈(40)(40')에 의해 좌우 어깨 등으로 분산 지지되고 작업자가 중량물을 간편하게 들어 올릴 수 있어 운반이 간편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좌우 묶음끈(40)(40')은 단부가 고리 형태의 끼움공(41)으로 형성되어 좌우 어깨끈(20)(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하므로 중량물의 지지 위치에 따라 간편하게 이동 조절하여 중량물의 묶음 지지를 다양하고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묶음끈(40)(4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 밴드로 형성하고, 외 표면에 고무 코팅을 형성하여 중량물을 묶음 지지할 때 좌우 묶음끈(40)(40')이 중량물에 밀착 지지되어 중량물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묶음끈(40)(40')은 도 3의 실시 예와 같이 좌우 어깨끈이 아닌 등판 양측에 별도 마련되는 보조 멜빵(25)(25')에 장착하여도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 경우에 좌우 묶음끈(40)(40')에 의해 지지되는 중량물의 하중이 좌우 어깨 보다 등판의 좌우 위치로 분산되게 하는 것으로 중량물의 하중 분산 위치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그 밖에 본 고안의 작업 조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10)을 좌우 등판(11)(11')으로 분할하여 길이 조절끈(12)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길이 조절끈(12)의 길이 조절에 의해 좌우 등판(11)(11')의 사이즈를 조절하므로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고안의 작업 조끼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판(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 파이프(50) 상부의 연결공(51)에 연결 파이프(52)를 연결 조립하고, 상기 연결 파이프(52)의 선단에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 로프(53)에 각종 도구를 연결하여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지지 로프(53)에 걸고리(54)를 연결하여 상기 걸고리에 의해 중량물을 걸어 지지하도록 하므로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지지 로프(53)에 지지링(55)을 연결하여 상기 지지링(55)에 예초기 등을 삽입하여 지지하는 형태로 파지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예초기 등의 하중을 분산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파이프(50), 연결 파이프(52) 중에 어느 한 위치로 우산 꽂이부(58)를 형성하여 우천시 우산을 곶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자가 착용한 작업조끼에 좌우 묶음끈, 걸고리, 지지링 등의 다양한 운반 또는 이동 작업용 보조 도구를 연결하여 중량물의 운반, 이동 작업시 중량물을 하중을 분산지지하여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키고 작업의 편리성, 간편성, 효율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 등판 11,11': 좌우 등판
12: 길이 조절끈 13,13': 암수 고정구
20,20': 좌우 어깨끈 25,25': 보조 멜빵
30: 보조 몸통끈 31,31': 암수 고정구
40,40': 좌우 묶음끈 41: 끼움공
50: 지지 파이프 51: 연결공
52: 연결 파이프 53: 지지 로프
54: 걸고리 55: 지지링

Claims (6)

  1. 등판(10)과 상기 등판 양측에 좌우 어깨를 삽입하는 좌우 어깨끈(20)(20') 및 암수 고정구로 착탈 연결하는 보조 몸통끈(30)으로 구성하되,
    상기 좌우 어깨끈(20)(20')에는 좌우 묶음끈(40)(40')의 단부를 연결 형성하여 상기 좌우 묶음끈(40)(40')에 의해 중량물 운반시 중량물을 묶음 지지하여 중량물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묶음끈(40)(40')의 단부는 고리 형태의 끼움공(41)을 형성하여 좌우 어깨끈(20)(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하도록 삽입 장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3. 등판(10)과 상기 등판 양측에 좌우 어깨를 삽입하는 좌우 어깨끈(20)(20') 및 암수 고정구로 착탈 연결하는 보조 몸통끈(30)으로 구성하되,
    상기 등판(10) 양측에 별도의 보조 멜방(25)(25')을 연결하고,
    상기 보조 멜방(25)(25')에 좌우 묶음끈(40)(40')을 단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한 끼움공(41)에 의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절하도록 삽입 장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묶음끈(40)(40')은 중량물을 묶음 지지할 때 중량물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 밴드로 형성하되, 외 표면에 고무 코팅을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10)은 좌우 등판(11)(11')으로 분할 형성하되, 중앙에 암수 고정구(13)(13')를 갖는 길이 조절끈(12)에 의해 착용자의 사이즈에 맞추어 폭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10)에는 상부에 연결공(51)을 갖는 지지 파이프(50)를 고정 또는 착탈 분리 가능하게 지지 설치하고, 상기 지지파이프 상부의 연결공(51)에는 착용자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각종 중량물을 지지하도록 하는 연결 파이프(52)를 선택적으로 조립하되,
    상기 연결 파이프(52)의 선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지지 로프(53)를 마련하고, 상기 지지 로프 하단에 걸고리(54)나 지지링(55) 중에 어느 하나를 연결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KR2020150007501U 2015-11-19 2015-11-19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KR201700018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01U KR20170001851U (ko) 2015-11-19 2015-11-19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01U KR20170001851U (ko) 2015-11-19 2015-11-19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51U true KR20170001851U (ko) 2017-05-29

Family

ID=5902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01U KR20170001851U (ko) 2015-11-19 2015-11-19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85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234A (ko) * 2018-07-26 2020-02-05 황윤환 물건을 들어 운반하기에 편리한 조끼
KR20220121580A (ko) 2021-02-25 2022-09-01 이석신 중량물 운반을 위한 착용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73Y1 (ko) 2007-04-03 2009-07-14 손병수 운반용 배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73Y1 (ko) 2007-04-03 2009-07-14 손병수 운반용 배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234A (ko) * 2018-07-26 2020-02-05 황윤환 물건을 들어 운반하기에 편리한 조끼
KR20220121580A (ko) 2021-02-25 2022-09-01 이석신 중량물 운반을 위한 착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28565C (en) Ergonomic training harness for dogs
RU2506736C2 (ru) Обрезная пила
US7971914B1 (en) Auxiliary handle attachment for a tool
US6247624B1 (en) Carrier device for a power-driven work tool
US20080314372A1 (en) Cable Slinge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204707B2 (en) Shoulder harness for portable work machine
US20070084893A1 (en) Straps for carrying buckets and ladders
KR20170001851U (ko) 중량물 운반용 다기능 작업 조끼
US20130139764A1 (en) Leash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multiple dogs
US10500714B2 (en) Truss-supported tool transport apparatus
SE1550368A1 (en) Harness for garden and / or forest tools
WO2015012873A1 (en) Wheelbarrow support strap
US9676598B1 (en) Gravity activated lifting claw
US20070074379A1 (en) Hose bridle system
CN103648884A (zh) 可牵拉且可搬运的运输工具
SE543661C2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levelling a load
KR102069110B1 (ko) 리프팅벨트를 포함하는 지게
US10638673B2 (en) User strap for tarp
WO2011126380A1 (en) Guide device for a strap and method of using same
JP3148461U (ja) 荷台用仕切りバー
EP2240046B1 (en) Supporting device for portable agricultural machinery, particularly for blowers, tree shakers and similar machinery
CN206225902U (zh) 用于保持部件的工具
WO2016114952A1 (en) Lift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220007825A1 (en) Apparatus to facilitate lifting and carrying wire handled buckets
CN213743510U (zh) 一种用于综采工作面的辅助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