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999A -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 Google Patents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999A
KR20230075999A KR1020210162775A KR20210162775A KR20230075999A KR 20230075999 A KR20230075999 A KR 20230075999A KR 1020210162775 A KR1020210162775 A KR 1020210162775A KR 20210162775 A KR20210162775 A KR 20210162775A KR 20230075999 A KR20230075999 A KR 20230075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unner
steel plate
corrugated steel
nut
pla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현
박영일
김병언
Original Assignee
청암이앤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암이앤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암이앤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2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5999A/ko
Publication of KR2023007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 시 소음 발생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회전 지지대 회전에 의한 손 끼임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파형강판 구조물의 조립 속도를 향상시켜 파형강판 구조물 설치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가 개시된다. 상기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는 너트러너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너트러너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되는 너트러너 결합부 및, 상기 너트러너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와 이웃하는 기 체결된 파형강판 구조물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의 너트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에 연결되어 너트러너를 작동시켜 볼트 체결부의 너트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너트러너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NUT-RUNNER ROTATING SUPPORT FOR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SSEMBLY}
본 발명은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형강판 조립에 사용되는 공구인 너트러너를 파형강판 구조물에 기 체결되어 있는 이웃하는 볼트 체결부에 연결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의 조립 시 서로 이웃하는 파형강판을 체결하기 위하여 M20이나 M22 규격의 볼트 조립을 하여야 하며 파형강판의 내측에는 볼트머리가 위치하고 외측에는 너트로 체결을 하게 되고, 통상적으로 전기 임팩트나 공기압 임팩트를 사용하여 토크 값 200 내지 400Nm의 볼트 체결 강도로 파형강판을 체결하게 되며, 위와 같은 체결강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볼트 한 개당 평균 12 내지 13초의 체결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임팩트 방식의 파형강판 체결방식은 순간적인 ‘때림’을 발생시켜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이며, 이때 너트와 파형강판과의 접촉부분에서 높은 소음이 발생함으로써 도심지나 공사현장 인근에 민가, 농가 또는 축산가축이 있는 경우에는 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너트 조임 이후에 규정된 체결강도를 확보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토크케이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볼트 체결 강도 값을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며, 볼트 조임 검수 시 국내외 기준에는 전체 볼트의 3%에 대하여 볼트 조임 검수를 수행하며, 규정 미달 시에는 재조임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볼트 체결 시에 과도한 조임은 연성구조체인 파형강판의 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조임도 허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순간적인 ‘때림’을 발생시키는 볼트체결 방식은 주변 볼트에 충격이 전달되어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체결이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재조임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너트러너’라고 하는 공구를 사용하여 파형강판 볼트체결 부위의 너트를 순간적인 ‘때림’없이 오로지 회전력만으로 체결하고 있으나, 상기 너트러너의 경우에는 회전력만으로 너트를 체결하는 공구의 특성 상 너트 조임 시 회전 지지대가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 너트러너와 같이 공급되는 일반적인 회전 지지대는 파형강판의 조립 시 390mm 내지 415mm의 간격으로 체결되는 파형강판의 원주방향으로의 볼트 간격을 고려하면 회전 지지대가 볼트 간격보다 훨씬 짧아서 사용이 불가능하며, 서로 이웃하는 파형강판의 3열 볼트 배열 겹침부의 경우 회전 지지대의 빠른 회전에 의한 작업자 손끼임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5-0051886호(공개일자 2015.5.13.) 국내공개특허 제10-2021-0046815호(공개일자 2021.4.28.) 일본특허공보 제5802157호(발행일 2015.10.28.)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 시 소음 발생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회전 지지대 회전에 의한 손 끼임 안전사고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형강판 구조물의 조립 속도를 향상시켜 파형강판 구조물 설치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너트러너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너트러너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되는 너트러너 결합부 및, 상기 너트러너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의 너트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에 연결되어 너트러너를 작동시켜 볼트 체결부의 너트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너트러너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는 상기 너트러너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홀이 마련되는 결합부 본체와, 상기 결합부 본체 양측면에 상기 관통 홀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 및, 상기 고정 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너트러너의 선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결합부 본체를 상기 너트러너 선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회전방지 지지부는 상기 너트러너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에 연결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너트러너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의 너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블록에 형성되는 결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너트러너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와 회전방지 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와 회전방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는 듀랄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어 경량이면서도 필요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는 너트러너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 볼트 체결부의 너트를 조일 시 상기 너트러너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너트 체결소켓이 회전되어 너트를 조일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너트러너의 회전이 방지되어 너트러너의 급작스런 회전에 의한 작업자 손 끼임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순간적인 ‘때림’없이 안전한 상태에서 회전력만으로 볼트 체결부의 조임이 가능하므로 작업현장의 소음 발생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사현장의 소음피해와 민원 발생비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와 너트러너를 사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의 볼트 체결부의 체결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볼트 체결부의 조임 완료 후 조임 검수작업과, 기준미달이나 충격에 의해 풀린 주변 볼트부의 재조임 작업이 전혀 필요 없으므로 파형강판 구조물의 조립 속도를 향상시켜 파형강판 구조물 설치기간을 대폭 단축시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와 너트러너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의 볼트 체결부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와 너트러너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의 볼트 체결부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와 너트러너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의 볼트 체결부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3열 볼트 배열 겹침부(410)의 볼트 체결부(420)를 체결할 시 너트러너(300)에 체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너트러너 결합부(110) 및, 회전방지 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110)는 너트러너(300)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310)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너트러너(300)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110)는 결합부 본체(111), 고정 홀(112) 및, 고정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본체(111)는 상기 너트러너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310)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홀(111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본체(111)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 홀(111a)은 상기 너트러너(300)의 선단부에 체결 후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도록 육각형 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홀(112)은 상기 결합부 본체(111) 양측면에 상기 관통 홀(111a)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홀(112)의 내주면에는 고정부재(113)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13)는 상기 고정 홀(112)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너트러너(300)의 선단부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결합부 본체(111)를 상기 너트러너(300) 선단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방지 지지부(120)는 상기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420)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425)의 너트(421)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110)에 연결되어 너트러너(300)를 작동시켜 볼트 체결부(420)의 너트(422)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너트러너(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방지 지지부(120)는 지지블록(121) 및, 결합 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121)은 상기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420)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42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블록(121)은 강한 지지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홀(122)은 상기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420)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425)의 너트(421)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록(12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 간격이 76mm라면, 너트러너 결합부(110)의 관통 홀(111a) 중심으로부터 지지블록(121)의 결합 홀(122) 중심까지의 거리를 76mm로 하고, 결합홀(122)의 직경을 너트의 외경보다 크게 55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의 구성요소는 너트러너 결합부(110), 회전방지 지지부(120)는 작업자의 반복적인 작업 피로도를 고려하여 강재보다 비중이 50%이며, 강도가 확보되는 듀랄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중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와 너트러너(300)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3열 볼트 배열 겹침부(410)의 볼트 체결부(420)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와 너트러너(300)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3열 볼트 배열 겹침부(410)의 볼트 체결부(420)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너트러너 결합부(110)의 관통 홀(111a)에 너트러너(300)의 선단부를 관통시킨 후, 결합부 본체(111) 양측면에 관통 홀(111a)과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112)에 고정부재(113)를 나사 체결하여 상기 너트러너(300)의 선단부가 고정부재(113)에 의해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너트러너(300) 선단부에 너트러너 결합부(110)를 고정시킴으로써 너트러너(300)에 본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를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너트러너(300)에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를 결합시킨 다음, 너트러너(300)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310)을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42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의 회전방지 지지부(120)는 너트러너(300)의 너트 체결소켓(310)에 결합된 볼트 체결부(420)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425)의 너트(421)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너트(421)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방지 지지부(120)가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420)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425)의 너트(421)에 거치됨으로써 너트(4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러너(3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너트러너(300)가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너트 체결소켓(310)이 회전되어 손 끼임 안전사고 발생 위험 없이 안전한 상태에서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볼트 체결부(420)의 너트(422)를 원하는 체결 강도로 체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와 너트러너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의 볼트 체결부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200)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원주방향 볼트 체결부(520)를 체결할 시 너트러너(300)에 체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너트러너 결합부(210), 연결부(230) 및, 회전방지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210)는 너트러너(300)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310)에 의한 관통되도록 상기 너트러너(300)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210)는 결합부 본체(211), 고정 홀(212) 및, 고정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본체(211)는 상기 너트러너(300)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310)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홀(211a)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본체(211)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 홀(211a)은 상기 너트러너(300)의 선단부에 체결 후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도록 육각형 형태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홀(212)은 상기 결합부 본체(211) 양측면에 상기 관통 홀(211a)과 연통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홀(212)의 내주면에는 고정부재(213)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13)는 상기 고정 홀(212)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너트러너(300)의 선단부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결합부 본체(211)를 상기 너트러너(300) 선단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420)와 이웃하는 기 체결된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520)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21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420)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525)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게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210)와 회전방지 지지부(22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210)와 회전방지 지지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 지지부(220)는 상기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420)와 이웃하는 기 체결된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525)의 너트(521)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30)에 의해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210)와 연결되어 너트러너(300)를 작동시켜 볼트 체결부(520)의 너트(522)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너트러너(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방지 지지부(220)는 지지블록(221) 및, 결합 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221)은 상기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520)와 이웃하는 기 체결된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52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부(230)에 의해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홀(222)은 상기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520)와 이웃하는 기 체결된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525)의 너트(521)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블록(22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주방향 볼트 간격이 415mm라면, 너트러너 결합부(210)의 관통 홀(211a) 중심으로부터 지지블록(221)의 결합 홀(222) 중심까지의 거리가 415mm가 되게 연결부(230)에 의해 너트러너 결합부(210)와 지지블록(221)을 결합하고, 결합 홀(222)의 직경을 너트의 외경보다 크게 55mm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200)의 구성요소인 너트러너 결합부(210), 연결부(230) 및, 회전방지 지지부(220)는 작업자의 반복적인 작업 피로도를 고려하여 강재보다 비중이 50%이며, 강도가 확보되는 듀랄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중량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200)와 너트러너(300)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원주방향 볼트 체결부(520)를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200)와 너트러너(300)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원주방향 볼트 체결부(520)를 체결하기 위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먼저 너트러너 결합부(210)의 관통 홀(211a)에 너트러너(300)의 선단부를 관통시킨 후, 결합부 본체(211) 양측면에 관통 홀(211a)과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212)에 고정부재(213)를 나사 체결하여 상기 너트러너(300)의 선단부가 고정부재(213)에 의해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너트러너(300) 선단부에 너트러너 결합부(210)를 고정시킴으로써 너트러너(300)에 본 실시예에 의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200)를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너트러너(300)에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200)를 결합시킨 다음, 너트러너(300)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310)을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520)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200)의 회전방지 지지부(220)는 너트러너(300)의 너트 체결소켓(310)에 결합된 볼트 체결부(520)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525)의 너트(521)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너트(521)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방지 지지부(220)가 너트러너(300)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520)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525)의 너트(521)에 거치됨으로써 너트(5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러너(30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너트러너(300)가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너트 체결소켓(310)이 회전됨으로써 손 끼임 안전사고 발생 위험 없이 안전한 상태에서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볼트 체결부(520)의 너트(522)를 원하는 체결 강도로 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20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200)는 너트러너(300)를 사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볼트 체결부(420)(520)를 체결할 시, 너트러너 결합부(110)(210)는 너트러너(300) 선단에 결합되고 회전방지 지지부(120)(220)는 너트러너(300)의 너트 체결소켓(310)과 결합된 볼트 체결부(420)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400)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425)(525)의 너트(421)(521)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너트(421)(52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200)는 너트러너(300)를 이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400) 볼트 체결부(420)(520)의 너트(422)(522)를 조일 시 상기 너트러너(300)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너트 체결소켓(310)이 회전되어 너트(422)(522)를 조일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너트러너(300)의 회전이 방지되어 너트러너(300)의 급작스런 회전에 의한 작업자 손 끼임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200)와 너트러너(300)를 사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볼트 체결부의 체결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순간적인 ‘때림’없이 안전한 상태에서 회전력만으로 볼트 체결부의 조임이 가능하므로 작업현장의 소음 발생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공사현장의 소음피해와 민원 발생비율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200)와 너트러너(300)를 사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체결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너트러너(300)의 경우 조임 값 조절이 가능하므로 조임 완료 후 별도의 토크게이지를 통한 조임 검수를 수행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기준미달 조임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재조임 작업이 불필요하며, 과도한 조임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고, 순간적인 ‘때림’ 방식이 아니라 오로지 회전력만을 이용한 조임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주변 볼트 체결부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풀린 너트의 추가 조임 작업 또한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200)와 너트러너(300)를 사용하여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체결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파형강판 구조물(400)의 조립 속도를 향상시켜 파형강판 구조물(400) 설치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100)(200)는 매우 가벼운 듀랄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됨으로써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반복적인 작업 피로도를 최소화시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까지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210) : 너트러너 결합부 (111)(211) : 결합부 본체
(112)(212) : 고정 홀 (113)(213) : 고정부재
(120)(220) : 회전방지 지지부 (121)(221) : 지지블록
(122)(222) : 결합 홀 (230) : 연결부

Claims (5)

  1. 너트러너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에 의해 관통되도록 상기 너트러너의 선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되는 너트러너 결합부; 및
    상기 너트러너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의 너트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에 연결되어 너트러너를 작동시켜 볼트 체결부의 너트를 회전시킨다 하더라도 너트러너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회전방지 지지부를 포함하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는,
    상기 너트러너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 체결소켓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 홀이 마련되는 결합부 본체;
    상기 결합부 본체 양측면에 상기 관통 홀과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 및
    상기 고정 홀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너트러너의 선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결합부 본체를 상기 너트러너 선단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지지부는,
    상기 너트러너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에 연결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너트러너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의 너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블록에 형성되는 결합 홀을 포함하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러너에 의해 체결하고자 하는 볼트 체결부와 이웃하는 파형강판 구조물에 기 체결되어 있는 볼트 체결부 사이의 이격된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와 회전방지 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러너 결합부와 회전방지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는 듀랄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KR1020210162775A 2021-11-23 2021-11-23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KR20230075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775A KR20230075999A (ko) 2021-11-23 2021-11-23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775A KR20230075999A (ko) 2021-11-23 2021-11-23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999A true KR20230075999A (ko) 2023-05-31

Family

ID=8654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775A KR20230075999A (ko) 2021-11-23 2021-11-23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599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57B2 (ja) 1977-02-14 1983-01-14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運搬容器の自動フツク掛け外し装置
KR20150051886A (ko) 2013-11-05 2015-05-13 토네 가부시키가이샤 체결 장치 및 체결 방법
KR20210046815A (ko) 2018-10-25 2021-04-28 토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공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57B2 (ja) 1977-02-14 1983-01-14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運搬容器の自動フツク掛け外し装置
KR20150051886A (ko) 2013-11-05 2015-05-13 토네 가부시키가이샤 체결 장치 및 체결 방법
KR20210046815A (ko) 2018-10-25 2021-04-28 토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621B2 (en) Impact mechanism for an impact wrench
CN1248830C (zh) 电动工具
US20080187409A1 (en) Fastening Element
TWI357469B (en) Ribbed fastener
DE60202740T3 (de) Vakuumpumpe
KR20100085856A (ko) 풀림방지 파스너
KR20070083517A (ko) 다엽성 잠금 볼트
WO2007144946A1 (ja) 固定具
US9939092B2 (en) Clamp with a mounting element content
KR20230075999A (ko)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KR20230076001A (ko)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KR20100038303A (ko) 겹쳐진 플레이트 및/또는 부품의 작업편 조립용 마운팅/조립 요소
WO2007110455A1 (es) Perno a cortadura y tracción de diámetro variable
CN107598813A (zh) 万能扳手
KR102389887B1 (ko) 파형강판 구조물 조립을 위한 너트러너 회전 지지대
JP2010196355A (ja) 木造住宅用部材
JP2024516276A (ja) コンパクトな空間で小さい締付トルクで押上げられるフック緩衝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2001248623A (ja) ボルト締結構造
JP2007225026A (ja) 変位吸収機能を備えた継手
JP2004132518A (ja) 固定具
US20030008124A1 (en) Fibre-reinforced plastic part
JP2005307465A (ja) 鋼管構造物の補強部材集合体
JP7422368B2 (ja) 深孔ソケット駆動杆
CN108081185A (zh) 一种扳手以及圆螺母装配方法
JP3825795B2 (ja) 杭の頭部接合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