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972A - 클린룸 - Google Patents

클린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972A
KR20230074972A KR1020210161100A KR20210161100A KR20230074972A KR 20230074972 A KR20230074972 A KR 20230074972A KR 1020210161100 A KR1020210161100 A KR 1020210161100A KR 20210161100 A KR20210161100 A KR 20210161100A KR 20230074972 A KR20230074972 A KR 20230074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 room
indoor space
air
air conditioning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어
Priority to KR1020210161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4972A/ko
Publication of KR20230074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7Clean rooms, i.e. enclosed spaces in which a uniform flow of filtered air is distribu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72Modules for easy installation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8Partitions for clean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배열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마련하는 벽체와; 상기 바닥판과 대응되는 넓이로 상기 벽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을 마감하는 천장으로 이루어지는 클린룸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풍도패널 및 측면패널이 번갈아 배열 설치되며, 상기 천장에는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공간 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풍도패널의 배기구에 연결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천장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배관이 연결되는 입구 및 상기 실내공간 측을 향한 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공조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냉난방코일, 응축수펌프, 순환팬 및 필터를 포함하는 공조기구를 구성하여 실내공간에 잔존하는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간에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풍도패널의 간편한 시공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풍도를 통해 클린룸의 공간 활용도 및 미려함이 향상되며, 기존 클린룸에 비해 통풍 성능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하는 클린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린룸{Wind panel for clean room}
본 발명은 클린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공간에 잔존하는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간에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풍도패널의 간편한 시공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풍도를 통해 클린룸의 공간 활용도 및 미려함이 향상되며, 기존 클린룸에 비해 통풍 성능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하는 클린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전자부품, 제약, 바이오, 식품, 나노산업, IT산업 등의 첨단작업장이나 미생물연구실, 전염병연구실, 무균실, 신생아실 등의 병원시설 및 식품가공, 의약품 제조와 포장실 등의 클린룸에는 공기중에 미세먼지, 분진 또는 부유물 등을 공기순환 및 배출하는 공조설비가 필요하다.
특히, 최첨단 반도체를 생산하는 작업장 또는 병원의 무균실, 식품가공 작업장에서는 아무리 미세 먼지나 분진, 부유물이라도 제품, 환자, 식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클린룸에는 미세먼지, 분진, 의류섬유 등 부유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공기와 함께 배출하는 공조설비를 갖추게 되는데, 이때 공조설비로는 클린룸과 별개로 축조된 기계실에 구비된 공기 송풍장치로부터 클린룸의 각 시설마다 설치된 덕트를 통해서 통풍 가능하였다.
한편, 클린룸의 내부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구와 배기구에서 통풍되는 공기를 공기송풍장치로 순환하는 덕트와 연결하여 송풍과 별도로 클린룸 내부 환경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였다.
이러한, 클린룸에는 클린룸의 내부 환경이 쾌적하고 청결하게 항상 유지되도록 클린룸의 벽면 또는 바닥의 모서리 부분에 미세먼지, 분진, 의류섬유 등 부유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가 구비된 풍도를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시공되는 풍도는 클린룸의 벽면 또는 벽 모서리의 시공과 별도로 내부 또는 외부로 돌출시켜 시공하였다.
따라서, 별도의 풍도 시공에 따른 번거로움 및 비용이 발생하는가 하면, 풍도 시공시, 시공 자재의 잔여물이 풍도의 내부에 끼여 쉽게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시공의 풍도는 클린룸의 내측에 돌출 시공되게 되므로 돌출 시공 면적에 의하여 클린룸의 내부 공간 면적이 좁아지거나 또는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여 클린룸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또한 클린룸의 내부 공간 환경을 미려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 및 2는 전/후면판재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고 전/후면판재의 상하단에 마감단과 좌우단에 요철결합단이 결합되는 판넬; 및 판넬의 전/후면판재와 단열재사이에는 사방이 밀폐되는 배기통로; 배기통로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 배기통로의 전방 하부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으로 구비되는 풍도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그리고, 특허문헌 3은 클린룸 시공시 실내를 구획하고 바닥면의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시공하는 걸레받이의 일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기구와 상면에 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걸레받이의 상면에 결합 시공되고, 전/후면판재 사이에 상기 걸레받이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풍도를 구비한 내장판넬을 시공함으로써, 실내 공기 중의 부유물은 물론 바닥면에 잔존하는 부유물 또는 미세 먼지를 보다 낮은 위치에서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 가능한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내부에 형성되 배기통로에 비해 배기관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어 통풍 성능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단일의 배기관이 차단되는 경우 통풍의 유지보수를 위해 클린룸의 이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3-0020140 A KR 10-2014-0011437 A KR 20-0464822 Y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풍도패널이 적용되는 클린룸에 공조기구를 구성하여 실내공간에 잔존하는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간에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풍도패널의 간편한 시공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풍도를 통해 클린룸의 공간 활용도 및 미려함이 향상되며, 기존 클린룸에 비해 통풍 성능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하는 클린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배열 설치되어 실내공간을 마련하는 벽체와; 상기 바닥판과 대응되는 넓이로 상기 벽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을 마감하는 천장으로 이루어지는 클린룸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풍도패널 및 측면패널이 번갈아 배열 설치되며, 상기 천장에는 상기 배기구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공간 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기구는 상기 풍도패널의 배기구에 연결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천장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배관이 연결되는 입구 및 상기 실내공간 측을 향한 출구를 갖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공조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냉난방코일, 응축수펌프, 순환팬 및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은 연질 성능을 갖는 플랙시블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풍도패널은 소정의 넓이를 갖는 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전면에 소정의 설치공간을 갖도록 테두리를 감싸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후면판과 동일한 넓이로 상기 외곽프레임의 전면에 대응 구비되며, 하측 및 상측에 각각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전면판과; 상기 흡기구에서 배기구까지 상기 설치공간에 제1풍도 및 제2풍도분할 형성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풍도패널의 일측에는 클린룸의 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전패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실내공간에 잔존하는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간에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풍도패널의 간편한 시공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풍도를 통해 클린룸의 공간 활용도 및 미려함이 향상되며, 기존 클린룸에 비해 통풍 성능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공조기구를 나타내는 평면 칭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1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1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1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설치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2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2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2실시예 구성을 나타내는 설치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1실시예 구성이 적용되는 제1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1실시예 구성이 적용되는 제2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1실시예 구성이 적용되는 제3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2실시예 구성이 적용되는 제1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2실시예 구성이 적용되는 제2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에 적용되는 풍도패널의 제2실시예 구성이 적용되는 제3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클린룸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 설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배열 설치되어 실내공간(1a)을 마련하는 벽체(20)와; 상기 바닥판(10)과 대응되는 넓이로 상기 벽체(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1a)을 마감하는 천장(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20)는 흡기구(131) 및 배기구(133)를 갖는 풍도패널(100) 및 측면패널(300)이 번갈아 배열 설치되며, 상기 천장(30)에는 상기 배기구(133)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공간(1a) 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기구(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의하면, 풍도패널은 소정의 넓이를 갖는 후면판(110)과; 후면판(110)의 전면에 소정의 설치공간(121)을 갖도록 테두리를 감싸는 외곽프레임(120)과; 후면판(110)과 동일한 넓이로 외곽프레임(120)의 전면에 대응 구비되며, 하측 및 상측에 각각 흡기구(131) 및 배기구(133)가 형성되는 전면판(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풍도패널(100)의 설치공간(121)에는 흡기구(131)에서 배기구(133)까지 설치공간(121)에 풍도를 형성하는 격벽(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격벽(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으로 구분되도록 분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구(133)는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에 대응하여 제1배관(134) 및 제2배관(135)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기구(131)에는 자력에 의해 전면판(130)에 부착하는 자석(151)을 포함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그릴(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후면판(110), 외곽프레임(120) 및 전면판(130)의 상호 결합을 통해 풍도패널(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 설치공간(121)에 구비되는 격벽을 통해 공간을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로 분할하여 전면판(130)의 상측에 형성된 두 개의 배기구(133)를 각각 통풍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린룸의 측면패널(300) 사이에 본 발명의 풍도패널(100)을 배치하여 클린룸의 공조설비에 따른 통풍 과정을 풍도패널(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풍도를 통해 미려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9에 의하면, 제1실시예의 제1예시 구성에 경우 격벽(140)이 외곽프레임(12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다가 배기구(133)의 접선으로 만나 설치공간(121)의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흡기구(1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각각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에 분할로 통풍할 수 있다.
즉, 제1예시에 적용되는 격벽(140)에 경우 부채꼴형으로 외곽프레임(12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감싸는 형상으로 마감하고, 제1배관(134) 및 제2배관(135)을 각각 접선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만나는 접선이 아래 흡기구(131)까지 연장하여 접선 방식으로 양쪽에 각각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를 분할 형성함으로 기존에 비해 공기의 흐름이 최대한 원활하게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제1실시예 구성의 제2예시 구성에 경우 격벽(140)이 외곽프레임(12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다가 배기구(133)를 끼고 만곡으로 변형되고, 그 중앙에 수직을 따라 격벽(140)을 설치하여 흡기구(1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각각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로 분할되어 통풍할 수 있다.
즉, 제2예시에 적용되는 격벽(140)에 경우 만곡형으로 외곽프레임(12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감싸는 형상으로 마감하고, 제1배관(134) 및 제2배관(135)을 포함하여 만곡으로 감싸듯 둘레를 감싸고, 중앙에서 수직으로 흡기구(131)까지 연장하여 양쪽에 각각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를 분할 형성함으로 난류 상승으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체류하지 않고 배출할 수 있다.
도 11에 의하면, 제1실시예 구성의 제3예시 구성에 경우 설치공간(121)에 격벽(140)을 설치하지 않아 흡기구(1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1배관(134) 및 제2배관(135)에 상관 없이 통풍 될 수 있다.
즉, 제3예시에 적용되는 격벽(140)에 경우 직각형으로 외곽프레임(120)의 내측 테두리를 모두 감싸는 형상으로 마감하여 풍도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여 공기를 최대 용량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격벽(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으로 구분되도록 분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구(133)는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에 대응하여 제1배관(134) 및 제2배관(135)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기구(131)에는 자력에 의해 전면판(130)에 부착하는 자석(151)을 포함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그릴(150)을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후면판(110), 외곽프레임(120) 및 전면판(130)의 상호 결합을 통해 풍도패널(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 설치공간(121)에 구비되는 격벽을 통해 공간을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로 분할하여 전면판(130)의 상측에 형성된 두 개의 배기구(133)를 각각 통풍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린룸의 측면패널(300) 사이에 본 발명의 풍도패널(100)을 배치하여 클린룸의 공조설비에 따른 통풍 과정을 풍도패널(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풍도를 통해 미려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상기 공조기구(40)는 상기 풍도패널(100)의 배기구(133)에 연결되는 연결배관(41)과; 상기 천장(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배관(41)이 연결되는 입구(43) 및 상기 실내공간(1a) 측을 향한 출구(44)를 갖는 공조케이스(42)와; 상기 공조케이스(42)의 내부에 공조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냉난방코일(45), 응축수펌프(46), 순환팬(47) 및 필터(48)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48)는 헤파필터를 포함하여 시중에 사용되는 모든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41)은 연질 성능을 갖는 플랙시블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풍도패널(100)의 외부 일측에는 클린룸의 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전패널(2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전패널(200)은 풍도패널(10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패널부재(210)와; 패널부재(210)의 공간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240) 연결 및 분배하는 분배함(220)과; 분배함(220)을 통해 배선(240) 연결되며, 클린룸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2실시예 구성의 제1예시 구성에 경우 격벽(140)이 외곽프레임(12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다가 배기구(133)의 접선으로 만나 설치공간(121)의 중앙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흡기구(1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각각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에 분할로 통풍할 수 있다.
즉, 제1예시에 적용되는 격벽(140)에 경우 부채꼴형으로 외곽프레임(12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감싸는 형상으로 마감하고, 제1배관(134) 및 제2배관(135)을 각각 접선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만나는 접선이 아래 흡기구(131)까지 연장하여 접선 방식으로 양쪽에 각각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를 분할 형성함으로 기존에 비해 공기의 흐름이 최대한 원활하게 신속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제2실시예 구성의 제2예시 구성에 경우 격벽(140)이 외곽프레임(120)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다가 배기구(133)를 끼고 만곡으로 변형되고, 그 중앙에 수직을 따라 격벽(140)을 설치하여 흡기구(1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각각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로 분할되어 통풍할 수 있다.
즉, 제2예시에 적용되는 격벽(140)에 경우 만곡형으로 외곽프레임(12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감싸는 형상으로 마감하고, 제1배관(134) 및 제2배관(135)을 포함하여 만곡으로 감싸듯 둘레를 감싸고, 중앙에서 수직으로 흡기구(131)까지 연장하여 양쪽에 각각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를 분할 형성함으로 난류 상승으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체류하지 않고 배출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제2실시예 구성의 제3예시 구성에 경우 설치공간(121)에 격벽(140)을 설치하지 않아 흡기구(1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1배관(134) 및 제2배관(135)에 상관 없이 통풍 될 수 있다.
즉, 제3예시에 적용되는 격벽(140)에 경우 직각형으로 외곽프레임(120)의 내측 테두리를 모두 감싸는 형상으로 마감하여 풍도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여 공기를 최대 용량으로 배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풍도패널(100)의 내부에 풍도에 대하여 제1예시, 제2예시 및 제3예시에 적용되는 부채꼴형, 만곡형, 직각형을 모두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실내공간에 잔존하는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실내공간에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풍도패널의 간편한 시공 및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풍도를 통해 클린룸의 공간 활용도 및 미려함이 향상되며, 기존 클린룸에 비해 통풍 성능 향상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클린룸 1a: 실내공간
10: 바닥판 20: 벽체
30: 천장 40: 공조기구
41: 연결배관 42: 공조케이스
43: 입구 44: 출구
45: 냉난방코일 46: 응축수펌프
47: 순환팬 48: 필터
100: 풍도패널 110: 후면판
120: 외곽프레임 121: 설치공간
130: 전면판 131: 흡기구
133: 배기구 134: 제1배관
135: 제2배관 140: 격벽
141: 제1풍도 143: 제2풍도
150: 그릴 151: 자석
200: 배전패널 210: 패널부재
220: 분배함 230: 콘센트
240: 배선

Claims (5)

  1.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 설치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배열 설치되어 실내공간(1a)을 마련하는 벽체(20)와;
    상기 바닥판(10)과 대응되는 넓이로 상기 벽체(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간(1a)을 마감하는 천장(30)로 이루어지는 클린룸(1)에 있어서,
    상기 벽체(20)는 흡기구(131) 및 배기구(133)를 갖는 풍도패널(100) 및 측면패널(300)이 번갈아 배열 설치되며,
    상기 천장(30)에는 상기 배기구(133)에 연결되어 상기 실내공간(1a) 측으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기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조기구(40)는,
    상기 풍도패널(100)의 배기구(133)에 연결되는 연결배관(41)과;
    상기 천장(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배관(41)이 연결되는 입구(43) 및 상기 실내공간(1a) 측을 향한 출구(44)를 갖는 공조케이스(42)와;
    상기 공조케이스(42)의 내부에 공조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냉난방코일(45), 응축수펌프(46), 순환팬(47) 및 필터(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41)은 연질 성능을 갖는 플랙시블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도패널(100)은,
    소정의 넓이를 갖는 후면판(110)과;
    상기 후면판(110)의 전면에 소정의 설치공간(121)을 갖도록 테두리를 감싸는 외곽프레임(120)과;
    상기 후면판(110)과 동일한 넓이로 상기 외곽프레임(120)의 전면에 대응 구비되며, 하측 및 상측에 각각 흡기구(131) 및 배기구(133)를 갖는 전면판(130)과;
    상기 흡기구(131)에서 배기구(133)까지 상기 설치공간(121)에 제1풍도(141) 및 제2풍도(143)분할 형성되는 격벽(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풍도패널(100)의 일측에는,
    클린룸의 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전패널(2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패널.
KR1020210161100A 2021-11-22 2021-11-22 클린룸 KR20230074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100A KR20230074972A (ko) 2021-11-22 2021-11-22 클린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100A KR20230074972A (ko) 2021-11-22 2021-11-22 클린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972A true KR20230074972A (ko) 2023-05-31

Family

ID=8654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100A KR20230074972A (ko) 2021-11-22 2021-11-22 클린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497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822Y1 (ko) 2010-08-02 2013-02-05 주식회사 문인 크린 룸
KR20130020140A (ko)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용 배기판넬
KR20140011437A (ko) 2012-07-12 2014-01-28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용 환기장치가 구비된 내장판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822Y1 (ko) 2010-08-02 2013-02-05 주식회사 문인 크린 룸
KR20130020140A (ko) 2011-08-19 2013-02-27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용 배기판넬
KR20140011437A (ko) 2012-07-12 2014-01-28 주식회사 문인 크린룸용 환기장치가 구비된 내장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6588B2 (ja) 空調システム
KR101976193B1 (ko) 스탠드형 에어컨
KR20110041846A (ko) 공기조화기
KR20230074972A (ko) 클린룸
KR20110011967U (ko) 크린 룸 내장판넬
KR102055435B1 (ko) 에어컨 송풍 방법
JP7065298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230000712U (ko) 클린룸용 풍도패널
JPH0611064Y2 (ja) クリーンルーム用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
JP2001182977A (ja) クリーンブース
JPH0514105Y2 (ko)
KR101801193B1 (ko) 천장부착형 공기 순환기
JPH065541Y2 (ja) 空気調和設備
JP5788478B2 (ja) 多床室用空調システム
JPH05288378A (ja) クリーンルーム
KR102548326B1 (ko) 전열교환기
KR20130020140A (ko) 크린룸용 배기판넬
JPH033871Y2 (ko)
KR102541476B1 (ko) 전열교환기
JPS6038819Y2 (ja) 温度調節装置付清浄作業室
CN215175787U (zh) 一种空气消毒机及其机壳
JP2001074273A (ja) 空気調和装置
CN209623029U (zh) 新风机
JPH0410504Y2 (ko)
JP2005195280A (ja) 空調機および多床室空調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