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140A - 크린룸용 배기판넬 - Google Patents

크린룸용 배기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140A
KR20130020140A KR1020110082566A KR20110082566A KR20130020140A KR 20130020140 A KR20130020140 A KR 20130020140A KR 1020110082566 A KR1020110082566 A KR 1020110082566A KR 20110082566 A KR20110082566 A KR 20110082566A KR 20130020140 A KR20130020140 A KR 2013002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anel
clean room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인
Priority to KR1020110082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0140A/ko
Publication of KR2013002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insertion in flat panels, e.g. in door or window-p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린룸용 배기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넬의 내부에 크린룸 하부의 미세먼지, 분진,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풍도를 구비한 배기판넬로 크린룸을 시공함으로써, 상기 크린룸의 내부에 풍도를 별도로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풍도 시공에 따른 시공작업 및 경비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린품의 내부로 풍도가 돌출되지 않게 되어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또한 크린룸의 내부공간을 미려하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크린룸용 배기판넬{EXHAUST PANEL FOR A CLEAN ROOM}
본 발명은 크린룸용 배기판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크린룸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구를 판넬의 내부에 구비하여 크린룸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크게 향상함과 아울러 내부공간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 크린룸용 배기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전자부품, LCD, 제약, 바이오, 식품, 나노 및 IT 산업 등의 첨단작업장이나 미생물연구실, 전염병연구실, 무균수술실, 신생아실 등의 병원시설 및 식품가공, 의약품 제조와 포장실 등은 공기 중에 미세먼지, 분진 또는 이물질 등을 공기와 함께 배출하는 크린룸 배기 시설을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최첨단 반도체를 생산하는 작업장 또는 병원의 무균수술실, 식품가공 작업장에서는 아무리 미세 먼지나 분진, 이물질이라도 제품, 환자, 식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크린룸에는 미세먼지,분진,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공기와 함께 배출하는 배기시설을 갖추게 되는데, 이때 배기시설로는 상기 크린룸과 별개로 축조된 기계실에 구비된 공기 송풍장치로부터 크린룸의 각 룸마다 설치된 송풍닥트를 통해서 송풍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크린룸의 내부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상기 공기송풍장치로 순환하는 배기덕트와 연결하여 송풍과 별도로 크린룸 내부 환경을 쾌적하고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크린룸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린룸(1)의 내부 환경이 쾌적하고 청결하게 항상 유지되도록 크린룸(1)의 벽면(2) 또는 벽 모서리 하부에 바닥의 미세먼지, 분진,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3)가 구비된 풍도(4)를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시공되는 풍도(4)는 크린룸(1)의 벽면(2) 또는 벽 모서리의 시공과 별도로 내부 또는 외부로 돌출시켜 시공하게 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풍도(4) 시공에 따른 번거로움 및 비용이 발생하는가 하면, 상기 풍도(4) 시공시, 시공 자재의 잔여물이 풍도(4)의 내부에 끼여 쉽게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잔존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시공되는 풍도(4)는 룸(1)의 내측에 돌출 시공되게 되므로 돌출 시공 면적에 의하여 크린룸(1)의 내부 공간 면적이 좁아지거나 또는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여 상기 크린룸(1)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또한 크린룸(1)의 내부 공간 환경을 미려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발명은 크린룸 내부에 배기구를 간편 용이하게 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구를 구비한 배기판넬로 크린룸을 시공함으로써, 룸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린룸에 배기구가 내부로 돌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크린룸의 내부 환경을 미려하게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면판재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전,후면판재의 상하단에 마감단과 좌우단에 요철결합단이 결합되는 판넬; 및 상기 판넬의 전,후면판재와 단열재사이에는 사방이 밀폐되는 배기통로; 상기 배기통로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 상기 배기통로의 전방 하부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으로 구비되는 풍도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면판재는 하부에 흡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후면판재는 상부에 배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통로는 유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상부와 하부의 통로 폭을 좁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관은 천정에 구비된 배기닥트의 배출관과 직결되도록 상기 단열재와 후면판재의 배기구를 관통하여 돌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기관은 크린룸의 내부공기가 유입하는 그릴과 직결되도록 상기 단열재와 전면판재의 흡기구를 관통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판넬의 내부에 크린룸 하부의 미세먼지, 분진,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풍도를 구비한 배기판넬로 크린룸을 시공함으로써, 상기 크린룸의 내부에 풍도를 별도로 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의 풍도 시공에 따른 시공작업 및 경비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린품의 내부로 풍도가 돌출되지 않게 되어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고, 또한 크린룸의 내부공간을 미려하게 해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크린 룸의 시공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크린룸 배기판넬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크린룸 배기판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크린 룸 배기판넬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크린 룸 배기판넬이 시공된 상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기판넬(100)은 판넬(10), 풍도(20), 그릴(30)을 포함한다.
상기 판넬(10)은 실내 벽면으로 사용되는 샌드위치 판넬로서, 상기 판넬(10)은 전,후면판재(11)(12), 상기 전,후면판재(11)(12)사이에 단열을 위한 단열재(13)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전,후면판재(11)(12)는 실내 벽면의 표면을 매끄럽고 미려하게 하는 금속재질로 구성하되, 바람직하게는 아연도금 강판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전,후면판재(11)(12)의 상,하단에는 상기 전,후면판재(11)(12)를 결합하고 마감하는 마감단(14)을 구비하고, 좌,우단에는 상기 판넬(10)과 결합하여 시공하는 요철결합단(15)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재(11)의 하부에는 사각의 흡입구(16)가 구비되고, 상기 후면판재(13)의 상부에는 원형의 배기구(17)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단열재(13)는 다공질 섬유재로 구비하되, 바람직하게는 하니콤, 우레탄폼, 그라스울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풍도(20)는 실내의 미세먼지,분진,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여 천정에 구비된 배기덕트로 배출하는 통로로서, 상기 풍도(20)는 상기 내장판넬(10)의 전,후면판재(11)(12)와 단열재(13) 사이에 구비하게 된다.
상기 풍도(20)는 사방이 밀폐되는 배기통로(21), 상기 배기통로(21)의 상부에 후방으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22); 상기 배기통로(21)의 하부 전방에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23)으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배기통로(21)는 상부와 하부의 통로폭을 좁게 형성하여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배기통로(21)는 상기 전,후면 판재(11)(12)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13)로 고정하게 된다.
상기 배기관(22)은 상기 배기통로(21)내에 흡입된 미세먼지, 분진, 이물질 및 공기를 천정에 구비된 배기덕트의 배출관(50)으로 배출하게 되고, 상기 배기관(22)은 배출관(50)과 직결되게 상기 단열재(13)와 후면판재(12)의 배기구(17)를 관통하여 구비하게 되며, 상기 배기관(22)은 원통형으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흡기관(23)은 실내 내부의 미세먼지, 분진, 이물질 및 공기를 상기 배기통로(21)로 흡기하게 되고, 상기 흡기관(23)은 상기 전면판넬(11)의 흡기구(16)에 닿도록 구비하게 되며, 상기 흡기관(23)은 후술할 그릴과 동일 형상으로 구비하게 된다.
상기 그릴(30)은 상기 풍도(20)의 흡기관(23)과 동일 위치의 전면판넬(11)의 흡기구(16)에 결합되게 되며, 상기 그릴(30)은 사각의 빗살 형상으로 구비하여 실내 내부의 미세먼지, 분진, 이물질 및 공기를 상기 배기통로(21)로 유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구(16)가 구비된 전면판재(11)와 배기구(17)가 구비된 후면판재(12)사이에 방음을 위한 단열재(13)로 구비되는 판넬(10)의 내부에, 상부 후방으로 배기관(22)이 구비되고 하부 전방으로 흡기관(23)이 구비되며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부와 하부의 폭을 좁게 형성된 배기통로(21)로 구비된 풍도(20)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풍도(20)의 배기관(22)은 상기 후면판재(12)의 배기구(17)에 삽입 도고, 상기 풍도(20)의 흡기관(23)은 상기 전면판재(11)의 흡기구(16)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전,후면판재(11)(12)와 풍도(20)사이에는 다공질 섬유재 인 단열재(13)를 삽입하여 상기 풍도(20)를 전,후면판재(11)(12)사이에서 고정한다.
이어서 전,후면판재(11)(12)의 상,하단에는 마감단(14)을 결합하여 마감하고상기 전,후면판재(11)(12)의 좌우단에는 요철결합단(15)을 결합하여 마감하여 줌으로써, 상기 판넬(10)의 내부에 풍도(20)를 구비한 배기판넬(100)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기판넬(1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린룸 시공시 또는 이미 시공된 크린룸에는 실내 청정을 위해 서로 결합하여 시공되는 판넬(10)과 판넬(10)사이, 즉 배기가 필요한 위치의 판넬(1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배기판넬(100)을 삽입 결합하여 시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배기판넬(100)은 좌우단에 구비된 요철결합단(15)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하는 것으로 크린룸의 내부벽면을 시공하고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크린룸의 내부 벽면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판넬(10)의 후면판넬(12)의 배기구(17)에 돌출되게 결합된 풍도(20)의 배기관(22)에 천정의 배기닥트에 결합되는 배출관(50)을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전면판넬(11)의 흡기구(16)에는 그릴(30)을 삽입 결합하되, 상기 그릴(30)은 상기 전면판넬(11)의 흡기구(16)에 닿도록 구비된 풍도(20)의 흡기관(16)에 삽입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크린룸의 미세먼지, 분진, 이물질과 함께 공기는 배기판넬(100)의 전면판넬(11)의 그릴(30)을 통해서 흡입되면서 풍도(20)의 흡기관(23)을 거쳐 배기통로(21)로 유입되고, 상기 배기통로(21)로 유입된 공기와 함께 미세먼지, 분진, 이물질은 배기통로(21)의 배기관(22)을 거쳐 배출관(50)을 통해 천정의 배기덕트로 배기시켜 주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크린룸의 실내 미세먼지, 분진, 이물질과 함께 공를 외부로 배기시킴에 있어, 크린룸의 내부에 별도의 풍도(20)를 시공하지 않고도 간편 용이하게 배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로 풍도(20)를 시공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풍도(20)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 낭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풍도(20)를 크린룸의 내부로 돌출 시공이 되지 않게 되므로, 크린룸의 내부 환경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내부 공간을 크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10; 판넬 11; 전면판재
12; 후면판재 13; 단열재
14; 마감단 15; 요철결합단
16; 흡입구 17; 배기구
20; 풍도 21; 배기통로
22; 배기관 23; 흡기관
30; 그릴 50; 배출관
100; 배기판넬

Claims (5)

  1. 전,후면판재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고 상기 전,후면판재의 상하단에 마감단과 좌우단에 요철결합단이 결합되는 판넬;
    상기 판넬의 전,후면판재와 단열재사이에는 사방이 밀폐되는 배기통로; 상기 배기통로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관; 상기 배기통로의 하부 전방에는 내부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관을 구비한 풍도를 포함하는 크린룸용 배기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의 전면판재는 하부에 흡기구를 구비하고, 후면판재는 상부에 흡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린룸용 배기판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는 유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배기되도록 상부와 하부의 통로 폭을 좁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린룸용 배기판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천정에 구비된 배기닥트의 배출관과 직결되도록 상기 단열재와 후면판재의 배기구에 관통하여 돌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린룸용 배기판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도의 흡기관은 룸의 내부공기가 유입하는 그릴과 직결되도록 상기 단열재와 전면판재의 흡기구에 관통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하는 크린룸용 배기판넬.
KR1020110082566A 2011-08-19 2011-08-19 크린룸용 배기판넬 KR20130020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566A KR20130020140A (ko) 2011-08-19 2011-08-19 크린룸용 배기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566A KR20130020140A (ko) 2011-08-19 2011-08-19 크린룸용 배기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140A true KR20130020140A (ko) 2013-02-27

Family

ID=4789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566A KR20130020140A (ko) 2011-08-19 2011-08-19 크린룸용 배기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01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12U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코어 클린룸용 풍도패널
KR20230074972A (ko) 2021-11-22 2023-05-31 주식회사 코어 클린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12U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코어 클린룸용 풍도패널
KR20230074972A (ko) 2021-11-22 2023-05-31 주식회사 코어 클린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8923B (zh) Unit type clean room and its combination method
KR200460703Y1 (ko) 크린 룸 내장판넬
TW201031826A (en) Simultaneously supplying/discharging ventilation fan and air conditioner
KR20130020140A (ko) 크린룸용 배기판넬
KR101074229B1 (ko) 복합형 전열교환 환기장치
JPWO2021111550A5 (ko)
JP2019056515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0205644A (ja) 空気調和機
JP2009276059A5 (ko)
KR200464822Y1 (ko) 크린 룸
JP2013253761A (ja) 無菌病室及び中継ユニット
JP5814840B2 (ja) 換気装置
JP2019184176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TWI373598B (ko)
JP2011069613A5 (ko)
JP2008267805A5 (ko)
JP5488187B2 (ja) 熱交換装置
WO2014115297A1 (ja) 換気装置
WO2012140861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14142077A (ja) 換気装置
JP7249485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WO2012042593A1 (ja) 熱交換換気装置
JP2014219159A (ja) 住宅吸気システム
JP2014145570A (ja) 換気装置
JP2012122203A (ja) 屋内用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