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068A -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068A
KR20230074068A KR1020230007542A KR20230007542A KR20230074068A KR 20230074068 A KR20230074068 A KR 20230074068A KR 1020230007542 A KR1020230007542 A KR 1020230007542A KR 20230007542 A KR20230007542 A KR 20230007542A KR 20230074068 A KR20230074068 A KR 20230074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tridge
formulation
discharge
dosage 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원
윤필립
Original Assignee
알고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6075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073952A/ko
Application filed by 알고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고케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74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0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4Coo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6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magnetic or electronic identifications, e.g. chips, RFID, electronic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디스펜서는 내부에 제형이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토출 유닛을 구비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함몰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 카트리지 수납구 하부에 위치하고, 각각의 카트리지 수납구에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제형이 토출되도록 토출 유닛을 구동하는 복수의 토출 구동부 및 토출 구동부와 연결되어 토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토출 유닛은 일단이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제형을 토출하는 로터부, 로터부에 의해 이동되는 제형이 토출되는 토출구 및 카트리지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카트리지 식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FORMULATION DISPENSER AND FORMULATION CARTRIDGE ASSEMBLY}
본 발명은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미량원소(trace element)(아연, 철분, 마그네슘 등)이나 비타민 등을 포함하는 영양제는 인체에 보충하는 건강 보조식품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영양제는 필요에 따라서는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치료제로 사용되는 경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복용량이 엄격히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골연화증(osteomalacia) 환자는 비타민 D를 처방받아 복용하여야 하며, 혈액 중 칼슘 농도에 따라 복용량이 정해진다. 이때, 골연화증 환자가 비타민 D를 과량 복용할 경우, 칼슘 결석(calcium stone)이나 고혈압(hypertensive disease)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아이소나이아지드(Isonizid)는 결핵 치료 중 환자의 혈액에 포함되는 나이아신(nicotinic acid)을 급속히 소모시킬 수 있으므로, 나이아신 결핍이 발생되는 경우, 의사는 환자의 혈액 중 나이아신의 농도에 맞추어 환자에게 적합한 아이소나이아지드의 복용량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건강을 위해 복용하는 영양제도 사용자 각각의 기저질환 여부 등의 몸 상태에 따라서 잘못 복용하면 건강을 해치는 약물로 작용할 위험이 있으므로, 몸에 필요한 종류를 필요한 만큼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건강 보조식품이나 치료 목적으로 복용하는 영양제나 알약과 같은 제형(劑形)은 복용자의 몸 상태에 맞게 적정 용량을 지정된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정확하게 복용자 자신에게 맞는 종류의 제형을 정확하게 챙겨 먹는 것이 어렵다.
특히, 양양제와 같이 건강 보조식품으로 제형을 복용하는 경우는, 질병의 경우와 달리, 현재 몸 건강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으므로 약사나 의사와 같은 전문자의 처방 대신에 복용자가 임의로 제품을 선택하여 복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해당 제형을 정확한 방식으로 꾸준하게 복용하기는 더욱 어렵다.
미국 공개특허 US2015/0090733 A1 (Device for Dispensing Pharmaceutical Doses) 한국 공개특허 제10-2015-0014269호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미국 공개특허 US2006/0213921 A1 (PILL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디스펜서는 내부에 제형이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타단으로 상기 제형을 토출하는 토출 유닛을 구비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함몰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토출 유닛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을 외부로 토출하는 개구부가 위치함-, 상기 각 카트리지 수납구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 수납구에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형이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 유닛을 구동하는 복수의 토출 구동부, 및 상기 토출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출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형을 토출하기 위해 회전하되, 배면에 상기 토출 구동부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구동홈을 구비하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에 의해 이동되는 제형이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카트리지 식별부를 구비하되,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형성하는 토출면에 상기 구동홈과 상기 토출구가 함께 노출되고,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는 상기 토출 유닛의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를 인식하는 장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토출 유닛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을 외부로 토출하는 개구부와 상기 구동축이 위치하고,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면 상기 토출구와 상기 함몰홈의 개구부가 서로 맞닿고, 상기 토출 구동부의 구동축과 상기 토출 유닛의 구동홈은 서로 맞닿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를 식별한다.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함몰홈의 측벽의 길이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위치한 구동축의 돌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함몰홈의 측벽 상단의 위치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위치한 구동축의 돌출 끝단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함몰홈의 측벽 상단의 위치는 상기 구동홈과 구동축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로터부의 상단의 위치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함몰홈의 측벽의 연장 길이는 상기 토출 유닛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는 상기 토출구가 위치하는 상기 토출면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토출 유닛의 외측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에 장착될 때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장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는 상기 함몰홈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수납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토출 유닛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함몰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의 토출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관이 상기 함몸홀의 개구부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토출되는 제형을 감지하는 제형 토출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는 내부에 제형이 수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함몰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토출 유닛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을 외부로 토출하는 개구부가 위치함-, 상기 각 카트리지 수납구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 수납구에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형이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 유닛을 구동하는 복수의 토출 구동부,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 구비된 카트리지 식별부를 인식하는 장착 감지부 및 상기 토출 구동부 및 상기 장착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장착 감지부를 식별하고 상기 토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토출 유닛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을 외부로 토출하는 개구부와 상기 구동축이 위치하고,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제형이 토출되는 토출구와 상기 제형을 토출하기 위해 내부에 구비된 로터부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함몰홈에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토출구와 상기 함몰홈의 개구부가 서로 맞닿고, 상기 구동홈과 상기 구동축이 서로 맞닿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를 식별한다.
상기 함몰홈의 측벽의 길이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위치한 구동축의 돌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함몰홈의 측벽 상단의 위치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위치한 구동축의 돌출 끝단보다 높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할 수 있다.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는 상기 함몰홈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수납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토출되는 제형을 감지하는 제형 토출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에 이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일례는 상기 제형이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타단으로 상기 제형을 토출하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출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형을 토출하기 위해 회전하는 로터부-상기 로터부는 배면에 상기 로터부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축과 결합되는 구동홈을 구비함-, 상기 로터부에 의해 이동되는 제형이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카트리지 식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다른 일례는 내부에 제형이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타단으로 상기 제형을 토출하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출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형을 토출하기 위해 회전하는 로터부-상기 로터부는 배면에 상기 로터부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축과 결합되는 구동홈을 구비함-, 상기 로터부에 의해 이동되는 제형이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카트리지 식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형성하는 토출면에 상기 구동홈과 상기 토출구가 함께 노출되고,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는 상기 토출 유닛의 일부에 구비된다.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 상기 하우징의 연장 길이는 상기 로터부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는 상기 토출구가 위치하는 상기 토출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토출 유닛의 외측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에 장착될 때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장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토출 유닛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제형 디스펜서와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사사도로서, (a)는 상부 덮개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상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c)는 카트리지 수납구에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획득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a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의 제형 보틀 유닛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에서 수납구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장착되기 전과 장착된 후의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에서 카트리지 수납구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장착 상태를 감지하는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a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합체의 토출 제어 단계에 대한 동작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정보 출력부에 표시되는 동작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0은 새로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장착될 때 터치 패널에 출력되는 팝업 영상의 한 예이고, 도 11은 제형 카트리지 장착 표시 화면의 한 예이고, 도 12a는 사용자 식별 화면의 한 예이고, 도 12b는 신체 상태 선택 화면의 일 예이며, 도 12c는 제형 조합 시작 요청 화면의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형(T10)은 영양제와 같은 건강 보조 식품이나 의약품을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맞게 고형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제형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원기둥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는 통신부(11), 사용자 입력부(12),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13), 온도 감지부(14), 복수 개의 제형 토출 감지부(15), 통신부(11), 사용자 입력부(12),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13), 온도 감지부(14) 및 복수 개의 제형 토출 감지부(15)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20),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 출력부(31),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방열팬 구동부(32)와 냉각부(33),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밀폐부 구동부(34),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토출 구동부(35),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장착 상태 표시부(36) 및 제어부(20)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37)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형(T10)을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한 종류의 제형(T10)을 자동으로 토출하는 제형 디스펜서(1)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 도 2a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1)의 일 예를 설명한다.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는 해당 종류의 제형(T10)이 수납되어 저장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형 디스펜서(1)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수납될 수 있다.
제형 디스펜서(1)의 한 예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한 것처럼, 수납 유닛(50), 본체(60) 및 받침대(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형 디스펜서(1)를 기준으로 제형 디스펜서(1)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x), 제1 방향(x)과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제2 방향(y),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수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제3 방향(z)이라 한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한 제형 디스펜서(1)을 기준으로 하면, 제1 방향(x)은 제형 디스펜서(1)의 전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y)은 제형 디스펜서(1)의 좌우 방향일 수 있으면, 제3 방향(z)은 제형 디스펜서(1)의 높이 방향일 수 있다.
수납 유닛(50)은 제형(T10)이 각 수납되는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부분으로서, 제형 디스펜서(1)의 제1 방향(x)을 따라 제형 디스펜서(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수납 유닛(50)은 일 예로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제3 방향(z)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닛(50)의 측면은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유닛(50)은,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51), 하우징(51)에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52) 및 수납부(52)의 중심부(53)에 위치하여 수납부(52) 내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장착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장착 상태 표시부(36)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51)은 케이스(511)와 케이스(511)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단열부(512)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511)는 수납 유닛(5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물질이나 금속 등의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511)의 형상은 수납 유닛(50)의 형상에 따라 정해지므로, 일 예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열부(512)는 제형 디스펜서(1)의 내부 온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납 유닛(50)의 내부 온도를 정해진 온도(예, 5℃ 내지 15℃)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 효과를 갖는 단열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수납부(52)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복수 개의 카트리지 수납구(H5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수납부(52)는 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수납부(52)는 단열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수납부(52)에 의해, 수납 유닛(50)의 단열 효과는 좀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카트리지 수납구(H52) 각각에는 하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삽입되어 수납되고, 수납부(52)의 중심부(53)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H52)는 중심부(53)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여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인접한 두 카트리지 수납구(H52) 사이의 간격은 역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H52) 각각에 삽입된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제형(T10)이 토출될 때,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제형 디스펜서(1)의 외부인 받침대(80)쪽으로 해당 제형(T10)이 토출될 때까지의 시간은 동일할 수 있다.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형상 및 크기는 모두 동일하며, 삽입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평면 형상에 따라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형상 및 크기가 정해질 수 있으며,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는 제3 방향(z)으로 길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한 것처럼,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일측에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수납 가이드구(H5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납 가이드구(H521)는 카트리지 수납부(52)의 중심부(53)를 향해, 즉, 장착 상태 표시부(36) 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한 것처럼, 카트리지 수납구(H52)와 수납 가이드구(H521)는 서로 연결되어 통해 있을 수 있어 하나의 삽입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 가이드구(H521)를 이용하여 삽입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삽입 방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원활한 삽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b 및 도 2c에서,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개수는 일 예로 8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 가능하여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개수는 8개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의해 에워싸여진 중심부(53)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장착 상태 표시부(36)가 위치하는 제1 회로기판(PCB1)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하부 쪽에는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13)가 위치하고 있는 제2 회로기판(PCB2)가 위치하며, 제2 회로기판(PCB2)의 하부에는 제어부(20), 복수 개의 제형 토출 감지부(15) 및 밀폐부 구동부(34)가 위치하고 있는 제3 회로기판(PCB3)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 하부, 즉, 수납부(52)의하부에는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토출되는 제형(T10)을 모아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hopper)(91)가 위치하여, 배출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제형(T10)이 받침대(80) 위에 위치할 수 있는 수거용 컵(92) 속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배출부(91)는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로부터 토출되는 제형(T10)이 안정적으로 하부 방향인 수거용 컵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3 회로기판(PCB3)은 배출부(91)에 위치할 수 있다.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접하고 있는 수납부(52)의 측면에는 해당하는 카트리지 수납구(H52)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댐퍼부(93)가 위치할 수 있다.
댐퍼부(93)는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삽입되어 수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외부 측면과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부(93)는 토출 구동부(35) 등의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카트리지 수납구(H52)로 삽입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흔들리고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카트리지 수납구(H52)와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 사이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댐퍼부(93)는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고 흡수하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4a 및 도 5를 참고하여,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삽입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일 예를 설명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수납 유닛(50)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일 예는, 도 4a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제형(T10)이 수용되는 카트리지(401) 및 카트리지(401)와 결합되는 토출 유닛(402)을 구비할 수 있다.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속하는 복수의 카트리지(401)는 각각 서로 다른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제형(예, 비타민 A, 비타민 C, 루테인, 오메가 3 등)(T10)을 보관할 수 있다.
이들 제형(T10)의 경도는 기준치(예, 2.4kp) 이상의 일 수 있고, 본 예의 제형 디스펜서(1)에 의한 토출 동작 시 충돌이나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거나 부서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제형(T10)은 적절한 최대 폭과 최대 높이를 가지고 있고, 최대 폭과 최대 높이의 비율이 적절한 범위로 형성되어, 본 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1)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카트리지(401)는 하나의 토출 유닛(402)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각 토출 유닛(402)의 동작은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행해질 수 있고, 각 카트리지(401)에 보관된 제형(T10)의 토출 여부 및 토출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카트리지(401)는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제형(T10)이 수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나사 결합 등을 통해 하부에 위치한 토출 유닛(402)과 결합될 수 있다.
토출 유닛(402)은 카트리지(401)와 결합되는 하우징(421), 하우징(421)의 하부에서 하우징(421)과 결합되는 토출캡(422), 그리고 토출캡(422)과 하우징(421) 사이에 위치하여 토출캡(422)과 결합되는 로터부(423)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421)은 본체(4211)와 본체(4211)의 외측 일부에서 돌출된 수납 가이드 돌기(4212)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4211)는 가운데 부분에 빈 공간을 갖고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고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4211)는 하우징(421)의 외벽을 구성할 수 있고, 상부에 위치한 카트리지(401)와의 결합을 위해 내부면에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4211)는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마련하여, 카트리지(401)에 수납된 복수의 제형이 로터부(423) 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수납 가이드 돌기(4212)는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삽입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수납 가이드구(H521)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수납 가이드 돌기(4212)가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수납 가이드구(H521)에 삽입되도록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삽입 방향을 정한 후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를 삽입시킬 수 있다.
토출캡(422)은 하우징(421)과 결합되어 개방된 본체(4211)의 개방된 하부 일부를 막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토출캡(422)은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로터 삽입구(H421), 로터 삽입구(H421)를 에워싸게 위치하고 있는 다단 구조를 갖는 가장자리부의 일부에 위치하고 있는 토출구(H422), 가장자리부의 일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식별부 장착구(H423)를 구비하는 수납 가이드 돌기(4223) 및 토출구(H422)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토출관(424)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출구(H422)와 토출관(424)은 로터부(423)에 의해 토출캡(422)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된 제형(T10)을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외부로 토출시키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식별부 장착구(H423)에는 해당 카트리지 식별부(131)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도 4b와 같이, 토출캡(422)의 식별부 장착구(H423)에 장착되었을 때, 카트리지 식별부(131)의 단자가 토출캡(422)의 하부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 식별부(131)의 단자(P131)는 해당 카트리지 식별부(131)에 대한 식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토출 유닛(402)의 토출캡(422)에 장착되므로,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한 구성요소를 이룰 수 있다.
식별부 장착구(H8821)에 장착된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이 단자(P131)를 통해 제2 회로기판(PCB2)에 위치하고 있는 대응되는 장착 감지부(13)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식별부(131)의 단자(P131)는 해당 장착 감지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러한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단자(P131)를 통해 해당 신호를 장착 감지부(13)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감지부(13)는 접촉 상태의 단자를 통해 카트리지 식별부(13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식별부(131)와 장착 감지부(13)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동일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위치하고 있는 카트리지 식별부(131)와 장착 감지부(13)는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토출관(424)의 근처에는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토출되는 제형의 토출 개수를 판정하기 위한 제형 토출 감지부(15)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제형 토출 감지부(15)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3 회로기판(PCB3)에 실장될 수 있다.
로터부(423)는 로터 삽입부(H421)에 삽입되어 토출캡(422)의 가장자리 위에서 해당 제형의 토출을 위해 가장자리부를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터부(423)의 하부에는 도 4b와 같이 토출 구동부(35)의 구동축(A35)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구동홈(G423)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로터부(423)의 구동홈(G423)은 해당 토출 구동부(35)의 구동축(A35)과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부(423)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는 토출 구동부(35)의 동작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러한 로터부(423)의 회전 동작에 의해 제형(T10)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로터부(423)의 회전 동작에 의해, 하우징(421) 내에 위치하는 제형(T10)은 대략 삼각뿔 형상을 갖는 로터부(423)를 따라 하강하고 회전하면서 토출캡(422)의 토출구(H422)를 통해 하나씩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출 유닛(402)은 카트리지(401) 내에 충전되어 있는 제형(T10)을 하나씩 외부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4a 내지 도 5을 참고하여 설명한 토출 유닛(402)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토출 유닛(402)의 구조가 도시된 바와 다르더라도, 제형(T10)을 하나씩 토출시키만 하면 얼마든지 다른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토출 유닛(402)에서, 로터부(423)의 구동홈(G423)과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동일한 일면에 위치하거나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부(423)의 구동홈(G423)과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삽입되는 방향(일례로, 하부 방향)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로터부(423)의 구동홈(G423)은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 유닛(402)과 카트리지 식별부(131)를 구비한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수납부(52)의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삽입되면,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를 식별하기 위한 하나의 장착 감지부(13),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토출 유닛을 구동하는 하나의 토출 구동부(35) 및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로부터 토출되는 제형(T10)의 개수를 감지하는 하나의 제형 토출 감지부(15)와 결합되어, 하나의 제형 보틀 유닛(BT1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a에서, 카트리지 수납구(H52) 내에서 장착 감지부(13)는 카트리지 식별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하여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토출 구동부(35)는 구동축(A35)을 통해 토출 유닛(402)의 구동홈(G423)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형 토출 감지부(15)는 토출 유닛(402)의 토출관(424)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토출 구동부(35)의 구동축(A35)과 장착 감지부(13)의 연결 단자는 카트리지 수납구(H52) 내에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를 마주보는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구동부(35)의 구동축(A35)과 장착 감지부(13)의 연결 단자(P13)는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상부 방향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제형 토출 감지부(15)는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도 6a와 같이 카트리지 수납구(H52) 내로 삽입되어, 도 6b 같이, 토출 구동부(35)의 구동축(A35)이 토출 유닛(402)의 구동홈(G425)에 내에 삽입됨에 따라, 장착 감지부(13)의 연결 단자(P13)에 카트리지 식별부(131)의 단자(P131)가 자연스럽게 맞닿아, 장착 감지부(13)와 카트리지 식별부(1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토출 구동부(35)의 구동축(A35)이 토출 유닛(402)의 구동홈(G423)에 내에 삽입됨에 따라,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토출관(424)이 제형 토출 감지부(15) 사이를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은 토출관(424)을 통하여 제형(T10)이 토출되는 경우 제형 토출 감지부(15)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토출되는 제형(T10)의 개수를 계수할 수 있다.
도 6b에서는 토출 구동부(35)의 구동축(A35)과 장착 감지부(13)의 연결 단자(P13)는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하부에 로터부(423)의 구동홈(G423)이 위치하고 측면에 카트리지 식별부(131)가 위치하는 경우,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바닥면에 토출 구동부(35)의 구동축(A35)이 위치하고 측면에 장착 감지부(13)가 위치할 수도 있다.
본체(60)는 제형 디스펜서(1)의 후방에 부착되게 위치할 수 있고, 장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위치하는 수납부(52)를 냉장시키는 냉각부(33)와 냉각팬을 구비할 수 있다.
냉각부(33)와 냉각팬은 수납 유닛(5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것으로서, 펠티어 소자(Peltier device)를 이용한 펠티어 냉각기일 수 있고, 냉각팬은 모터 등에 의해 회전하여 바람을 발생시켜 수납 유닛(50)의 내부의 온도를 감소시키고 수납 유닛(50)의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받침대(80)는 수납 유닛(5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형 디스펜서(1)가 정해진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하부가 개방된 배출부(91)의 하부와 대면하게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되돌아가, 제형 디스펜서(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통신부(11)는 외부에 위치한 관리 서버(2) 등과 같이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통신 모듈(111)과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구비할 수 있다.
인터넷 통신 모듈(111)은 무선 또는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일 예로, 인터넷 통신 모듈(111)을 이용하여 제형 디스펜서(1)는 외부에 위치한 관리 서버(2)와 통신하여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네트워크),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NFC,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자기 유도방식 또는 공진 유도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는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어 등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터치 패널이나 조작 스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제어부(20)로 입력되는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예, 육체적 및 정신적 상태에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 기본 정보(예, 나이, 성별, 병력, 복용약, 직업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기본 정보는 제형 디스펜서(1)의 사용자 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될 수 있고, 제형 디스펜서(1)의 제어부(20)에 의해 관리 서버(2)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 등에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는 NFC나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통해 제어부(20)로 입력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태그(tag)를 제형 디스펜서(1)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 모듈(112)의 리더기(RD10)에 위치시켜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리더기(RD10)를 통해 제어부(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13)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장착 감지부(13)는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식별부 장착구(H423)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식별부(131)와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1)의 경우,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자신이 장착되어 있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정보, 즉 카트리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칩과 같은 저장매체일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 식별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카트리지 정보는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식별 정보인 카트리지 식별 정보와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담겨있는 제형에 대한 정보 즉, 제형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형 정보는 제형의 종류(예, 비타민 C), 제형의 제조 일시 및 제형의 유통 기간, 최초 제형 수량, 그리고 해당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현재 제형 잔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제형 잔량 정보는 최초 제형 수량 대비 현재 남아있는 제형의 비율일 수 있다.
이처럼, 카트리지 식별부(131)가 저장 매체인 경우, 카트리지 식별부(131)의 하부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단자(GND, VCC),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데이터 단자(DATA) 및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클럭 단자(CLK)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회로기판(PCB2)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있는 장착 감지부(13)와의 연결을 위해,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도 4b 및 도 6b와 같이,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하부에서 단자(GND, VCC, DATA, CLK)가 장착 감지부(13) 쪽을 향하여 노출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수납된 후 카트리지 수납구(H52)를 통해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하여 정상적으로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장착되면, 서로 대응하는 카트리지 식별부(131)와 장착 감지부(13)는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감지부(13)는 연결되어 있는 카트리지 식별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20)는 해당 장착 감지부(13)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장착 감지부(13)는, 도 3 및 도 6b에 도시한 것처럼, 노출된 카트리지 식별부(131)의 단자(VCC, GND, DATA, CLK)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연결 단자는 장착 감지부(13)의 상부면에서 상부 쪽으로 노출되게 위치할 수 있고,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카트리지 식별부(131)의 하부면에 노출된 단자(GND, VCC, DATA, CLK)와 접촉될 수 있다.
연결 단자(P13)는 카트리지 식별부(131)와 맞닿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된 방향으로 소정의 폭만큼 완충될 수 있는 탄성을 가지고 있어, 제형 디스펜서(1)가 제형을 토출시키는 동안, 토출 구동부(35)의 동작에 의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미세하게 움직이더라도 장착 감지부(13)와 카트리지 식별부(131)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예와 달리,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저항과 같은 수동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런 경우,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수동 소자에서 출력되는 값을 이용하여 단순히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카트리지 식별 정보만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카트리지 식별부(131)는 QR 코드와 같은 식별 마크, RFID 태그나 NFT 태그와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장착 감지부(13)는 식별 마크의 리더기(예, 촬영장치)나 태그 리드기(예, RFID 리더기나 NFC 리더기)일 수 있어, 카트리지 식별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카트리지 정보를 판독하여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 감지부(13)가 리더기인 경우, 장착 감지부(13)는 카트리지 식별부(131)로부터 판독된 정보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정보를 생성한 후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4)는 방열팬(32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수납부(52) 내부나 하우징(5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온도 감지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방열팬 구동부(32)의 동작과 냉각부(33)의 동작을 제어하여 방열팬(321)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하며, 냉각부(33)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제형 토출 감지부(15)는 토출관(424)을 통해 배출되는 제형(T10)을 감지한 후 제형 토출 여부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하여, 제어부(20)가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토출되는 제형의 개수를 계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 제형 토출 감지부(15)는,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처럼, 각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하부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 토출 감지부(15)의 일 예는 빛을 이용하여 토출되는 제형(T10)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형 토출 감지부(15)는 광센서로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를 구비할 수 있고, 이때, 토출관(424)은 투명 플라스틱과 같이 빛이 투과되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발광부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일 수 있고, 수광부는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일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와 수광부는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토출관(424)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광부는 토출관(424)으로 제형(T10)이 토출되는 경우, 토출되는 제형(T10)에 막혀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빛을 수광하지 못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광부는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빛의 수광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20)는 수광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형(T10)의 토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0)는 제형 디스펜서(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0)는 각 장착 감지부(1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각 제형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판정하여 정보 출력부(3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각 제형 토출 감지부(15)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토출되는 제형의 개수를 계수하여,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 내에 존재하는 제형의 개수를 판정하여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20)는 사용자 입력부(12) 등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 등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현재 신체 상태를 통신부(11)를 통해 관리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 서버(2)는 제형 디스펜서(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읽어와, 현재 신체 상태와 사용자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제형 조합을 수행한 후, 제형 조합 결과를 제형 디스펜서(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형 조합 결과는 현재 복용해야 하는 제형의 종류, 해당 제형의 복용량 등과 같은 현재 사용자의 몸 상태에 맞는 맞춤형 제형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관리 서버(2)로부터 제형 조합 결과가 전송되면, 해당 제형(T10)을 정해진 복용량만큼 배출하기 위해, 해당 토출 구동부(35)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전송된 제형 조합 결과를 정보 출력부(3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현재 상태, 예를 들어,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수납 여부, 수납된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저장되어 있는 제형의 종류,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현재 현재 제형 잔량 정보(%) 등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정보 출력부(31)로 표시되는 표시 데이터에 관련된 영상에 관한 영상 데이터는 이미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0)의 동작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정보 출력부(31)는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인 정보와 청각적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모듈(311)과 음향 출력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11)은 제어부(20)의 동작에 따라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모듈(311)은,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 및 현재 상태, 그리고 제형 조합 결과 등에 관련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31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11)이 터치 패널로 이루어질 경우, 본 예의 디스플레이 모듈(311)은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2)와 같은 입력 장치로도 기능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311)과 사용자 입력부(12)의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PL10)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형 디스펜서(1)의 상부, 예를 들어 상부 덮개(55)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PL10)에는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예, 사용자 기본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입력을 위한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PL10)에는 RFID 태그나 NFC 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리더기(RD10)가 위치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제어부(20)의 동작에 의해 제어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때, 음성으로 출력되는 정보는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 및 현재 상태, 그리고 제형 조합 결과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311)로 출력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을 통해서도 제형 디스펜서(1)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은 스피커(speaker)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방열팬 구동부(32)는 제형 디스펜서(1)에 장착되어 있는 방열팬(321)을 구동하여 제형 디스펜서(1) 내부가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냉각부(33) 역시 제형 디스펜서(1) 내부에 장착되어 제형 디스펜서(1)의 내부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방열팬 구동부(32)는 방열팬(3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 및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밀폐부(341)가 외부로 연결된(즉, 연통된) 배출부(91)의 배출 통로(P91)를 막고 있는 상태에서 온도 감지부(14)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증가하면 방열팬 구동부(32)와 냉각부(33)를 구동시켜 제형 디스펜서(1)의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 아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밀폐된 공간인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제형(T10)이 온도로 인해 손상되거나 효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밀폐부 구동부(34)는 밀폐부(341)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모터와 해당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형 조합 결과에 따라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 중 적어도 하나에서 해당 제형의 토출하기 전에, 밀폐부(341)는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여 막고 있던 배출부(91)의 배출 통로(P91)를 개방한다. 이로 인해,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토출되는 제형(T10)은 배출부(9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수거용 컵 속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0)는 제형 조합 결과에 해당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의 제형 토출 동작을 제어하기 전에 먼저 밀폐 구동부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모터를 정해진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밀폐부(341)는 정해진 위치까지 상승하여 배출부(91)의 배출 통로(P91)를 열수 있게 된다.
제형 조합 결과에 해당하는 모든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의 제형 토출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부(20)는 다시 밀폐 구동부로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해당 모터를 반대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밀폐부(341)를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부(341)의 하강 동작에 의해, 개방 상태를 유지하던 배출부(91)의 배출 통로(P91)는 밀폐부(341)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토출 구동부(35)는 해당 로터부(423)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모터 및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로터부(423)에 연결된 해당 토출 구동부(35)에 의해 로터부(423)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고, 이러한 로터부(423)의 회전 동작에 의해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 내에 수납되어 있는 제형(T10)은 정해진 개수만큼 배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장착 상태 표시부(36)는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정상적으로 수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각 장착 감지부(1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 속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수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판정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장착 상태 표시부의 점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장착 상태 표시부는 제어부(2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에 따라 점등 상태를 유지하거나 소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납부(52)의 카트리지 수납구(H52) 속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어 있으면, 삽입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응하는 장착 상태 표시부는 점등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복수 개의 장착 상태 표시부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납부(52)의 부분에는 각 대응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즉, 대응하는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번호에 대응하는 숫자(예, 1~8)가 인쇄되어 있고, 숫자가 인쇄된 부분은 빛의 투과가 이루어지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인쇄된 숫자 하부에 위치하는 장착 상태 표시부가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투명한 숫자 부분을 통해 빛이 통과되므로,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응되는 숫자(예, 2)는 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나 관리자는 점등된 숫자를 이용하여 수납부(52)에 수납되어 있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정상적인 수납 여부에 따라 해당 장착 상태 표시부의 점등 색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정상적으로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장착되어 있으면, 해당 장착 상태 표시부는 제1 색상(예, 녹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반대로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거나 비어 있으면,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대응하는 장착 상태 표시부는 제1 색상과 다른 정해진 제2 색상(예, 적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장착 상태 표시부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미 기술한 것처럼, 장착 상태 표시부의 개수는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13) 각각과 복수 개의 장착 상태 표시부 각각은 바로 제어부(20)에 연결된다.
하지만, 이와 달리, 대인적인 예에서,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13)와 제어부(20) 사이 그리고 제어부(20)와 복수 개의 장착 상태 표시부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멀티플렉서(multiplexer) 등과 같은 데이터 선택 회로가 추가적으로 위치하여, 복수 개의 장착 감지부(13)와 제어부(20) 사이 그리고 제어부(20)와 복수 개의 장착 상태 표시부 사이의 연결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배선의 개수가 크게 감소하므로, 제조 비용이 감소하며 회로 설계가 좀 더 용이하고 간소화될 수 있다.
저장부(37)는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및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memory) 등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형 디스펜서(1)와 통신하는 관리 서버(2)는 제형 디스펜서(1)를 이용하고 있는 각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기본 정보,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을 위한 구동 프로그램, 제형 조합을 위한 프로그램 등이 실장되어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서버(2) 역시 제형 디스펜서(1)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인 제어부 및 저장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7 내지 도 11c를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형 디스펜서(1)의 정보 출력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고하여, 제형 디스펜서(1)의 수납부(5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장착되었을 때, 제어부(20)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형 디스펜서(1)의 상부 덮개(55)를 열고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를 삽입하여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를 정상적으로 장착하면, 제어부(20)는 각 장착 감지부(13)를 이용하여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수납되어 있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각 장착 감지부(1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S11), 판독된 신호의 상태에 이용해 복수 개의 카트리지 수납구(H52) 중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 수납구(H52)와 그렇지 않은 카트리지 수납구(H52)를 판정할 수 있다(S12).
이때, 해당 장착 감지부(13)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카트리지 식별부(131)가 메모리 칩과 같은 저장매체, QR 코드와 같은 식별 마크 또는 RFID나 NFC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해당 장착 감지부(13)나 정보 리더기(예, 카메라나 RIFD 리더기)를 통해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수납되어 있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카트리지 식별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카트리지 정보(예, 카트리지 식별 정보 및 제형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부(37)에 저장할 수 있다(S13).
그런 다음, 제어부(20)는 복수 개의 장착 상태 표시부 중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응하는 해당 장착 상태 표시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제형 디스펜서(1)의 상부 덮개(55)를 닫으면,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보 출력부(31)의 디스플레이 모듈(311) 및 음성 출력 모듈(312) 중 적어도 하나에 현재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장착 상태에 대응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장착 상황 및 판정된 카트리지 정보를 표시하는 제형 카트리지 장착 현황을 출력할 수 있다(S14).
이때, 제형 카트리지 장착 현황에 관련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는 이미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어부(20)는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수납부(52)의 상태에 맞는 제형 카트리지 장착 현황을 영상과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0)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카트리지 식별부(131)로부터 전달되는 카트리지 정보(예, 카트리지 식별 정보 및 제형 정보)를 이용하여, 제형 디스펜서(1)의 상부 덮개(55)가 닫히면, 상부 덮개(55)의 닫힘을 감지하여 상부 덮개(55)에 위치한 터치 패널(PL10)에는 도 10과 같이, 새로 삽입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충전된 제형의 종류(예, 비타민 C)와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위치 번호(예, 2번)에 대한 정보가 팝업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또한, 팝업 영상이 사라지면, 제형 디스펜서(1)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형 카트리지 장착 현황을 나타내는 제형 카트리지 장착 표시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의 (a)를 참고하면, 제형 카트리지 장착 표시 화면에는 현재 수납부(52)에 배열된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배열과 동일하게 카트리지 수납구 형상 이미지(예, 원형 형상)(IM11)가 표시되고, 각 카트리지 수납구(H52) 형상 이미지(IM11)에는 현재 제형 카트리지 장착 여부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한 것처럼,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장착되지 않은 수납구(52)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수납구(H52) 형상 이미지(IM11)에는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번호(예, 1, 2, 5~8)만이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장착되어 있는 수납구(52)에 대응하는 카트리지 수납구(H52) 형상 이미지(IM11)에는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번호(예, 3, 4)뿐만 아니라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제형 정보, 예를 들어, 제형의 종류(예, 비타민 C, 밀크씨슬) 및 현재 제형 잔량 정보(예, 90%, 35%)가 표시될 수 있다. 추가된 10b는 ??(최종 도 11의 (b) 도면)또한, 제형 카트리지 장착 표시 화면의 하단에는 현재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관련된 제형의 종류의 현재 제형 잔량 정보가 그래프 이미지(IM12)로도 표시되어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카트리지 식별부(131)가 저항과 같은 수동 소자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20)는 해당 장착 감지부(1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장착 여부 및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식별 정보(즉, 카트리지 식별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20)는 각 장착 감지부(13)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이용하여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카트리지 식별 정보를 판정하고,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정된 카트리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예, 카트리지 정보)를 읽어와 정보 출력부(3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인 예에서, 제어부(20)는 카트리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부(37)에서 읽어오는 대신, 관리 서버(2)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0)는 판정된 카트리지 식별 정보를 통신부(11)를 통해 관리 서버(2)로 전송할 수 있고, 관리 서버(2)의 제어부는 전송된 카트리지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예, 제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나 저장부 등으로부터 읽어와 제형 디스펜서(1)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형 디스펜서(1)의 제어부(20)는 통신부(11)를 통해 관리 서버(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예, 제형 정보)를 정보 출력부(31)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 도 8a 및 도 8b을 참고하여,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20)는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식별 화면(SC21)을 정보 출력부(31)로 출력할 수 있다(S21).
도 12a에 사용자 식별 화면(SC21)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a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 식별 화면(SC21)에는 게스트(guest)를 포함한 사용자의 이름과 사진을 표시하는 사용자 이미지(IM211)와 사용자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WD21)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거나 통신부(11)의 근거리 통신 모듈(112)(예, NFC나 RFID)를 이용하여 자신의 식별 정보(예,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나 통신부(11)를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판정한 후, 통신부(11)를 통해 관리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S22).
관리 서버(2)는 제형 디스펜서(1)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저장부(37)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판정되면(S22),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정된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신체 상태 선택 화면(SC22)을 출력할 수 있다(S23). 이러한 신체 상태 선택 화면(SC22)의 일 예는 도 12b에 도시한다.
이때, 신체 상태 선택 화면은 현재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 이름)(IM221)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한 다양한 항목(IM222)의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이들 항목(IM222)은 크게 컨디션, 증상, 여성 건강 및 기분 중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신체 상태 선택 화면(SC22)에 출력되는 다양한 항목 중에서 현재 자신의 신체 상태에 맞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어부(20)는 사용자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항목을 판정한 후 저장부(37)에 저장할 수 있고, 신체 상태 현재 선택 항목을 이미지로서 정보 출력부(31)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항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4).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현재 신체 상태에 맞는 항목의 선택이 완료되면, 제어부(20)는, 도 12c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적합한 제형의 조합을 위한 제형 조합 시작 요청 화면(SC23)을 출력할 수 있다(S25).
도 12c에 도시한 것처럼, 제형 조합 시작 요청 화면(SC23)에는 현재 사용자에 대한 정보(IM231), 현재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 상태에 따라 선택한 항목(IM232), 제형 조합의 시작을 요청하는 '조합 시작'버튼(BT321)과 신체 상태에 해당하는 항목을 다시 선택할 수 있는 '다시 선택하기'버튼(BT23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형 조합 시작 요청 화면에는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주 선택한 몸 상태의 항목(IM233)도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자주 선택한 몸 상태의 항목(IM233)는 관리 서버(2)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서버(2)는 제형 디스펜서(1)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가 전송되면,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부터 정해진 기간 전(예, 1달 전)까지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을 자주 선택한 몸 상태에 대한 데이터로 추출한 후 제형 디스펜서(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출력부(31)에 제형 조합 시작 화면(SC23)이 출력되면, 사용자 입력부(1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조합 시작'버튼(BT231)을 선택하여 현재 선택된 몸 상태에 맞는 제형의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다시 선택하기'버튼(BT232)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몸 상태를 다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부(12)로부터 '다시 선택하기' 버튼(BT232)에 대한 신호가 입력된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20)는 단계(S23)로 넘어가 정보 출력부(31)로 신체 상태 선택 화면(SC22)을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입력부(12)로부터 '조합 시작' 버튼(BT231)에 대한 신호가 입력된 상태로 판단되면(S26), 제어부(20)는 통신부(11)를 통해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체 상태 현재 선택 항목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S27). 이때, 제어부(20)는 사용자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2)의 제어부는 전송된 신체 상태 현재 선택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본 정보와 전송된 신체 상태 현재 선택 항목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의 몸 상태에 적합한 제형의 조합을 도출하기 위한 제형 조합 동작을 수행하여, 제형 조합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제형 조합 결과는 현재 복용해야 하는 제형의 종류 및 토출량(예, 토출 개수), 복용 방법 및 1회 복용량일 수 있다. 이때, 복용 방법은 아침, 점심, 저녁, 또는 취침 전, 공복 시, 식후 전, 식사 후 또는 식간 등일 있다.
그런 다음, 관리 서버(2)의 제어부는 통신부(11)를 통해 선택된 제형 조합 결과를 제형 디스펜서(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형 디스펜서(1)의 제어부(20)는 관리 서버(2)로부터 전송된 제형 조합 결과를 수신하여(S28), 제형 조합 결과에 속해 있는 제형(T10)을 수납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토출량에 맞는 개수의 제형(T10)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토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S29).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제형(T10)을 토출하기 위한 제어부(20)의 제형 토출 제어 동작은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다음에 자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 정해진 토출량 만큼의 제형 토출 동작이 완료되면(S29), 제어부(20)는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현재 제형 잔량 정보를 갱신할 수 있고, 또한 추가적으로 통신부(11)를 통해 관리 서버(2)로 전송할 수 있다(S210).
또한, 카트리지 식별부(131)가 읽기뿐만 아니라 쓰기 가능한 메모리 칩과 같은 저장 매체인 경우, 제어부(20)는 새롭게 산출된 현재 제형 잔량 정보를 카트리지 식별부(131)에 쓰기 동작을 수행하고, 카트리지 식별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제형 정보 역시 현재 상태에 맞게 올바르게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210)에서, 제형 디스펜서(1)로부터 현재 제형 잔량 정보가 전송되면, 관리 서버(2)의 제어부(20)는 함께 전송된 카트리지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판정된 해당 제형 디스펜서(1) 조립체에 대한 현재 제형 잔량 정보를 전송된 현재 제형 잔량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20)는 갱신된 현재 제형 잔량 정보를 정보 출력부(31)(예, 디스플레이 모듈(311))로 출력하여(S211), 관리자 등이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현재 제형 잔량 정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제어부(20)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각 현재 제형 잔량 정보 중에서 설정값보다 적은 현재 제형 잔량 정보를 갖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12).
현재 제형 잔량 정보가 설정값보다 낮은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존재하면, 제어부(20)는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카트리지 식별 정보와 제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정보 출력부(31)로 출력할 수 있다(S213).
일례로, 카트리지 수납구(H52)에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 중 어느 하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제형 개수가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잔량이 부족함을 알리는 표식이 제형 카트리지 장착 표시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의 (b)와 같이, 8번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오메가 3 제형의 잔량 정보가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20)는 8번 카트리지 수납구(H52)를 나타내는 이미지(IM11)를 잔량이 충분한 다른 카트리지 수납구(H52)의 이미지(IM11)와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8번 카트리지 수납구(H52)를 나타내는 원형 이미지 영역의 색상이 다르게 표시하거나, 잔량 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의 크기나 색상이 다르게 표시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 수납구(H52)를 나타내는 원형 이미지에 잔량 부족을 나타내는 별도의 표식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정보 출력부(31)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형(T10)을 보충하거나 새로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로의 교체 동작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제형 조합 결과에 관련된 모든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제형 토출 동작이 완료되면(S214), 제어부(20)는 현재 사용자를 위한 제형 배출 동작이 모두 완료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밀폐부 구동부(34)로 해당 상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밀폐부(341)가 배출부(91)의 배출 통로(P91)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S215).
이와 같이, 제형 조합 결과에 관련된 모든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서의 제형 배출 동작이 완료되면, 배출부(91)의 배출 통로(P91)는 폐쇄되므로 배출부(91)를 통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 내부로 먼지와 습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밀폐부(341)에 의해 배출부(91)의 배출 통로(P91)를 막히게 되면, 제어부(20)는 온도 감지부(14)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제형 디스펜서(1)의 내부 온도를 판정할 수 있다(S216).
따라서, 판정된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예, 제1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S217), 제어부(20)는 냉각팬 구동부와 냉각부(33)로 각각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S218) 냉각팬과 냉각부(33)를 동작시켜, 제형 디스펜서(1)에 대한 냉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냉각팬과 냉각부(33)의 동작에 의해 온도 감지부(14)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예, 제2 설정 온도) 이하로 하강하면(S219), 제어부(20)는 냉각팬 구동부와 냉각부(33)로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S220). 이때, 제2 설정 온도는 제1 설정 온도보다 낮은 온도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제어부(20)는 밀폐부(341)의 상태, 즉 배출부(91)의 배출 통로(P91)의 폐쇄 여부, 측정된 제형 디스펜서(1)의 내부 온도 및 냉각팬 및 냉각부(33)의 구동 여부 역시 정보 출력부(3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형 디스펜서(1)의 관리자 등은 정보 출력부(31)의 출력 내용을 이용하여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 따르면,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 상태, 수납부(52)의 상태, 수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현재 상태 등이 실시간으로 정보 출력부(31)로 출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와 관리부는 현재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 상태와 제형 카트리지 조리체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수납되어 있는 제형의 양이 설정량 이하로 남아있는 경우, 해당 제형(T10)을 보충할 수 있고, 또한 토출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신체 상태에 맞는 제형의 조합을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신체 상태에 맞지 않은 제형의 복용과 잘못된 복용량으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제형 조합 결과에 따라 해당 제형(T10)을 토출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20)는 전송된 제형 조합을 이용하여 동작될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와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구동 정보(예, 즉, 로터부 정회전 수)를 판정할 수 있다(S31).
이때, 제어부(20)는 토출된 제형의 종류에 따라 동작될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를 판정할 수 있고, 토출되는 해당 제형의 토출량에 따라 로터부(423)의 구동 정보를 판정할 수 있다.
이미 제어부(20)는 1회 회전 수 배출되는 제형의 개수를 알 수 있으므로, 해당 제형의 토출량에 따라 정해진 개수의 제형 토출을 위한 로터부(423)의 회전수(예를 들어, 정방향으로의 회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제형(T10)을 토출할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정해지고, 정해진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에 대한 로터부(423)의 구동 정보가 정해지면, 제어부(20)는 정해진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로터부(423)의 토출 동작(예, 정회전 동작)을 위해, 판정된 정회전 수에 대응하는 정회전 시간(예, 제1 정회전 시간) 동안 정회전 구동 신호를 해당 토출 구동부(35)로 출력할 수 있다(S32). 따라서,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로터부(423)는 토출 구동부(35)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정회전하여 해당 제형(T10)을 배출부(91) 쪽으로 토출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로터부(423)의 회전 속도는 이미 고정되어 있으므로, 정회전 수나 역회전 수가 정해지면 그에 대응하는 역회전 시간과 정회전 시간 역시 용이하게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터부(423)의 정회전이 시작되면, 제어부(20)(1023)는 제형 토출 감지부(15)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종류의 제형(T10)의 현재 토출 개수를 산출한 후 저장부(37)에 저장할 수 있다(S33).
이러한 현재 토출 개수의 산출 동작은 로터부(423)의 정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계속될 수 있다.
다음, 판정된 정회전 수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정회전 구동 신호의 출력이 완료되면(S34), 제어부(20)는 저장부(37)(1024)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토출 개수, 즉 대응 시간 동안 토출된 해당 종류의 제형(T10)의 총 개수가 설정 개수와 동일한 지 판단할 수 있다(S35). 이때, 설정 개수는 해당 종류의 제형(T10)에 대한 복용량에 따라 정해져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현재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와 동일한 경우(S35), 제어부(20)는 해당 종류의 제형(T10)이 정상적으로 정해진 복용량만큼 토출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현재 토출 개수를 '0'으로 리셋시킨 후(S36), 리턴 단계(S300)로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S35), 즉, 정해진 복용량만큼 해당 종류의 제형(T10)이 토출되지 못한 경우, 제어부(20)는 토출구(H422)의 막힘 현상이나 서로 중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형(T10)에 의해 원활한 제형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로터부(423)를 정해진 시간동안 역회전시킨 후 다시 정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부족한 개수만큼의 제형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0)는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터부(423)의 역회전 수를 판독하여, 로터부(423)의 역회전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37). 본 예의 경우, 1회의 역회전 제어를 위한 역회전 수는 이미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본 예에서, 1회 역회전 제어를 위한 역회전 시간을 역회전 수를 이용하여 산출되지만, 이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바로 1회의 역회전 제어를 위한 역회전 시간이 바로 저장부(37)(1024)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20)는, 해당 번째의 역회전 제어를 위한 역회전 시간 동안 로터부(423)의 역회전을 실시하기 위해, 해당 토출 구동부(35)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역회전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S38). 이때, 제어부(20)는 역회전 제어 횟수(초기값=0)를 '1' 증가시켜 저장부(37)에 저장할 수 있다(S38).
따라서, 로터부(423)는 토출 구동부(35)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역회전 시간 동안 역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로터부(423)의 역회전시에는 토출 유닛(402) 속에 존재하는 제형(T10)의 토출은 이루어지지 않고 오로지 정회전 시에만 정상적으로 제형(T10)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해진 역회전 시간 동안 역회전 구동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진 후, 제어부(20)는 다시 로터부(423)의 정회전 수를 판정하여 정회전 시간(예, 제2 정회전 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된 제2 정회전 시간 동안 정회전 구동 신호를 토출 구동부(35)(1025)로 출력할 수 있다(S39).
이때, 로터부(423)의 정회전 수는 설정 개수에서 현재 토출 개수를 차감하여 산출된 개수, 즉 추가로 토출되어야 할 제형 개수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정회전 시간은 제1 정회전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단계(S39)에서, 부족한 제형의 추가적인 토출을 위한 정회전 구동 신호를 토출 구동부(35)로 출력한 후, 제어부(20)는 제형 토출 감지부(15)로부터 인가되는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추가적으로 제형(T10)의 토출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현재 총 토출 개수를 산출하여 저장부(37)에 저장할 수 있다(S310). 이때, 현재 총 토출 개수는 제형의 토출 동작이 시작된 후 총 정회전 시간(예, 제1 정회전 시간+제2 정회전 시간)동안 토출된 해당 제형(T10)의 총 개수일 수 있다.
다음, 단계(S39)에서 정해진 정회전 시간 동안 로터부(423)의 정회전이 이루어진 후(S311), 구동 제어부(20)(1023)는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총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12).
현재 총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와 동일한 경우(S312), 제어부(20)는 해당 종류의 제형(T10)이 정상적으로 정해진 복용량만큼 토출된 상태로 판단하여 현재 총 토출 개수를 '0'으로 리셋시킨 후(S313), 리턴 단계(S300)로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총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S312), 즉, 부족한 개수만큼의 제형 토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역회전 제어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14).
본 예에서, 현재 역회전 제어 회수는 제형 조합 결과에 의해 해당 제형(T10)을 토출하기 위한 최초 정회전 구동 신호가 출력된 후 역회전 구동 신호가 출력된 총 횟수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20)는 역회전 제어가 끝날 때마다 현재 역회전 제어 횟수를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역회전 제어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S314), 제어부(20)는 단계(S37)로 넘어가 다음 번째(예, 2번째) 역회전 제어 횟수를 위한 로터부(423)의 역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역회전 제어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한 경우(S314), 제어부(20)는 현재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막힘 현상 등으로 정상적인 제형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저장부(37)에 저장되어 있는 에러 메시지를 읽어와 정보 출력부(31)로 출력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통신부(11)를 통해 관리 서버(2) 등으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S315).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출력부(31)로 출력된 에러 메시지를 이용하여 현재 어떤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가 정상적인 제형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40)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어부(20)는 해당 제형(T10)이 정해진 복용량만큼의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정해진 횟수만큼 로터부(423)의 역회전 동작과 정회전 동작을 반복하여 해당 제형(T10)의 추가적인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형 조합 결과에 해당하는 양의 제형(T10)이 정상적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제형 디스펜서 11: 통신부
12: 사용자 입력부 13: 장착 감지부
131: 카트리지 식별부 14: 온도 감지부
15: 제형 토출 감지부 20: 제어부
31: 정보 출력부 311: 디스플레이 모듈
32: 방열팬 구동부 321: 방열팬
33: 냉각부 34: 밀폐부 구동부
341: 밀폐부 35: 토출 구동부
36: 장착 상태 감지부 37: 저장부
40: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401: 카트리지
402: 토출 유닛 421: 하우징
422: 토출캡 423: 로터부
52: 수납부 H52: 카트리지 수납구
91: 배출부 93: 댐퍼부

Claims (22)

  1. 내부에 제형이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타단으로 상기 제형을 토출하는 토출 유닛을 구비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함몰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토출 유닛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을 외부로 토출하는 개구부가 위치함-;
    상기 각 카트리지 수납구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 수납구에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형이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 유닛을 구동하는 복수의 토출 구동부; 및
    상기 토출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토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출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형을 토출하기 위해 회전하되, 배면에 상기 토출 구동부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구동홈을 구비하는 로터부;
    상기 로터부에 의해 이동되는 제형이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카트리지 식별부;를 구비하되,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형성하는 토출면에 상기 구동홈과 상기 토출구가 함께 노출되고,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는 상기 토출 유닛의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를 인식하는 장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토출 유닛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을 외부로 토출하는 개구부와 상기 구동축이 위치하고,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면 상기 토출구와 상기 함몰홈의 개구부가 서로 맞닿고, 상기 토출 구동부의 구동축과 상기 토출 유닛의 구동홈은 서로 맞닿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를 식별하는 제형 디스펜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함몰홈의 측벽의 길이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위치한 구동축의 돌출 길이보다 긴 제형 디스펜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측벽 상단의 위치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위치한 구동축의 돌출 끝단보다 높이 위치하는 제형 디스펜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측벽 상단의 위치는 상기 구동홈과 구동축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로터부의 상단의 위치보다 높이 위치하는 제형 디스펜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측벽의 연장 길이는 상기 토출 유닛의 길이보다 긴 제형 디스펜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는 상기 토출구가 위치하는 상기 토출면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형 디스펜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토출 유닛의 외측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에 장착될 때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장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는 상기 함몰홈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 가이드부와 결합되는 수납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제형 디스펜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토출 유닛은 나사 결합되는 제형 디스펜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함몰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의 토출구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출관이 상기 함몸홀의 개구부를 관통하는 제형 디스펜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토출되는 제형을 감지하는 제형 토출 감지부를 구비하는 제형 디스펜서.
  11. 내부에 제형이 수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탈장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함몰홈을 구비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토출 유닛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을 외부로 토출하는 개구부가 위치함-;
    상기 각 카트리지 수납구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각각의 카트리지 수납구에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상기 제형이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 유닛을 구동하는 복수의 토출 구동부;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 구비된 카트리지 식별부를 인식하는 장착 감지부; 및
    상기 토출 구동부 및 상기 장착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장착 감지부를 식별하고 상기 토출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토출 유닛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을 외부로 토출하는 개구부와 상기 구동축이 위치하고,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제형이 토출되는 토출구와 상기 제형을 토출하기 위해 내부에 구비된 로터부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홈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함몰홈에 하부 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토출구와 상기 함몰홈의 개구부가 서로 맞닿고, 상기 구동홈과 상기 구동축이 서로 맞닿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착 감지부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를 식별하는 제형 디스펜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측벽의 길이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위치한 구동축의 돌출 길이보다 긴 제형 디스펜서.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의 측벽 상단의 위치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위치한 구동축의 돌출 끝단보다 높이 위치하는 제형 디스펜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감지부는 상기 함몰홈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형 디스펜서.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는 상기 함몰홈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수납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제형 디스펜서.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의 하부에는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토출되는 제형을 감지하는 제형 토출 감지부를 구비하는 제형 디스펜서.
  17. 제11항의 제형 디스펜서에 이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서,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제형이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타단으로 상기 제형을 토출하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출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형을 토출하기 위해 회전하는 로터부-상기 로터부는 배면에 상기 로터부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축과 결합되는 구동홈을 구비함-;
    상기 로터부에 의해 이동되는 제형이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카트리지 식별부;를 구비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18. 내부에 제형이 수용되는 카트리지; 및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타단으로 상기 제형을 토출하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일단이 상기 카트리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출 유닛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여 상기 제형을 토출하기 위해 회전하는 로터부-상기 로터부는 배면에 상기 로터부를 회전하기 위한 구동축과 결합되는 구동홈을 구비함-;
    상기 로터부에 의해 이동되는 제형이 토출되는 토출구; 및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카트리지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카트리지 식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 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형성하는 토출면에 상기 구동홈과 상기 토출구가 함께 노출되고,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는 상기 토출 유닛의 일부에 구비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까지 상기 하우징의 연장 길이는 상기 로터부의 중심축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큰 제형 디스펜서.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식별부는 상기 토출구가 위치하는 상기 토출면에 위치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상기 토출 유닛의 외측 일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에 장착될 때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하는 장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22.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토출 유닛은 나사 결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KR1020230007542A 2021-11-19 2023-01-18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KR20230074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228 2021-11-19
KR20210160228 2021-11-19
KR20220041736 2022-04-04
KR1020220041736 2022-04-04
KR1020220060755A KR20230073952A (ko) 2021-11-19 2022-05-18 제형 디스펜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755A Division KR20230073952A (ko) 2021-11-19 2022-05-18 제형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068A true KR20230074068A (ko) 2023-05-26

Family

ID=8639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542A KR20230074068A (ko) 2021-11-19 2023-01-18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4068A (ko)
WO (1) WO202309091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269A (ko) 2013-07-29 2015-02-06 임명식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873B1 (ko) * 2013-01-31 2014-11-18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KR101443887B1 (ko) * 2013-02-06 2014-09-23 주식회사 인포피아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KR101573512B1 (ko) * 2013-06-20 2015-12-01 주식회사 인포피아 그룹 구성원들을 위한 약물 복용 관리 장치
KR102406368B1 (ko) * 2015-06-01 2022-06-09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장치
KR20190138546A (ko) * 2018-06-05 2019-12-13 희엽 정 화장품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269A (ko) 2013-07-29 2015-02-06 임명식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 공개특허 US2006/0213921 A1 (PILL DISPENSING APPARATUS)
미국 공개특허 US2015/0090733 A1 (Device for Dispensing Pharmaceutical Do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919A1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883B2 (ja) 使い捨てのペン針の再使用を監視するためのデバイス
TWI657968B (zh) 分配器
KR102489461B1 (ko) 약품 불출 장치, 약품 불출 프로그램
CN107411970B (zh) 药丸分配器
US20120035760A1 (en) Digital dispenser system
CN108602610B (zh) 通过装置、阀、具备其的容纳器具、内容物移动器具及内容物器具
KR100744427B1 (ko) 약제자동포장장치용 카세트 인식장치 및 그 방법
CN106999351B (zh) 辅助药物填充和管理
CN105307619A (zh) 药物容器、用于药物容器的壳体以及显示器
CN112638203A (zh) 化妆品分送器
KR20210125154A (ko) 복약 관리 시스템
KR20230074068A (ko)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KR20230073952A (ko) 제형 디스펜서
US20230120304A1 (en) Dispenser, pod,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tracking usage of supplements and/or pharmaceuticals
KR20230143552A (ko)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KR102561070B1 (ko)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
EP3473977A1 (e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removal of accommodated object from blister pack, detecting method for same, an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KR102261611B1 (ko) 화장품 디스펜서
KR20230113512A (ko)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EP2502852A1 (en) Dispensing device
JP7469514B2 (ja) 薬剤カートリッジ、カセット、薬剤注入装置および薬剤注入システム
CN212548237U (zh) 一种发牌机
KR20140011726A (ko) 약품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약품 관리 방법
KR102537862B1 (ko) 복약 시점 알림용 전자 장치
TWI675785B (zh) 分配裝置及內容物移動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