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887B1 -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 Google Patents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887B1
KR101443887B1 KR1020130013531A KR20130013531A KR101443887B1 KR 101443887 B1 KR101443887 B1 KR 101443887B1 KR 1020130013531 A KR1020130013531 A KR 1020130013531A KR 20130013531 A KR20130013531 A KR 20130013531A KR 101443887 B1 KR101443887 B1 KR 10144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ontrol unit
state
dru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344A (ko
Inventor
배병우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피아
Priority to KR102013001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88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한 종류의 정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를 배출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로 구성된 카트리지들이 장착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가 개시된다. 이 컨테이너는 컨테이너의 패널 전면에 구비된 표시부, 상기 약제 포장 장치용 메인 제어 유닛 및 카트리지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카트리지들 또는 상기 메인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카트리지별 약품 고유 번호와 약품명이 포함된 약품 정보와 재고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품 정보와 재고 정보 및 카트리지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며, 카트리지별 절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Container panel for medicine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약제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제가 수용된 카트리지들이 장착되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약제 포장 장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트리지 사시도이다.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정제 형태의 약제들을 1회 복용 분량씩 자동으로 분배하여 포장해주는 도 1과 같은 약제 포장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포장 장치는 상부 구조체(10)와 하부 구조체(20)로 구성된다. 상부 구조체(10)에는 다수의 컨테이너(30)들이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며, 각 컨테이너(30)에는 카트리지(40)들이 장착된다. 그리고 카트리지(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41)와 카트리지 베이스(42)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케이스(41)는 여러 종류의 정제들 중 어느 한 종류의 정제를 수용하며, 카트리지 베이스(42)에 장착된다. 카트리지 베이스(42)는 카트리지 케이스(41)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카트리지(40)들로부터 배출된 정제는 하부 구조체(20)에 위치한 포장 유닛에 의해 포장된다.
한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87809호에는 카트리지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는 정제의 보충이 필요한 카트리지에서 정제보충신호가 발생하면, 그 카트리지의 위치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며 또한 카트리지의 고유식별번호를 표시 장치에 표시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정제 보충이 필요한 카트리지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정제 보충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표시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카트리지 베이스들은 전원을 항시 공급받아 동작한다. 그런데 약제 포장 장치에 구비된 카트리지들 중 상당수가 사용되지 않거나 가끔 사용되는바,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08406호에는 전원 공급 제어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카트리지 케이스가 카트리지 베이스에 장착되면, 카트리지 베이스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구비된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고 메모리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들인 후에 메모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케이스에서 소모하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실 카트리지 케이스의 메모리에서 소모하는 에너지량은 많지 않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이에 반해, 카트리지 베이스들에는 기본적으로 마이크로 제어 유닛, 통신 유닛, 모터 구동 유닛이 포함되며, 부가적으로 표시 장치와 LED와 같은 발광 유닛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 베이스들이 소모하는 에너지량이 상당히 많음을 의미하며, 이는 결국 불필요하게 많은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단지 정제의 보충이 필요할 시에 이를 화면 표시를 통해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것뿐만 아니라, 컨테이너별로 장착된 카트리지들에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카트리지별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카트리지별로 업그레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한 종류의 정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를 배출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로 구성된 카트리지들이 장착되는 컨테이너의 패널은 상기 컨테이너 패널의 전면에 구비된 표시부, 카트리지 베이스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카트리지별 수용된 정제의 수량을 포함하는 약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카트리지별 정제 배출에 따른 잔여 수량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품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에는 카트리지별 정제의 수량이 충분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와 보충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카트리지별 수용된 잔여 수량에 따라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에는 정제 배출시 관련된 그래픽 데이터들이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카트리지별 정제 배출시 해당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에는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이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카트리지별 상태 데이터에 따라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컨테이너 패널은 상기 약제 포장 장치의 통합 제어 유닛과 카트리지 베이스들 간에 통신을 중계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베이스를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정해진 조건에 부합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를 슬립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의 통합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카트리지 베이스별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카트리지 베이스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패널은 컨테이너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들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에 대한 구체적인 약품 정보를 관리하며, 이들 정보를 컨테이너의 패널에 마련된 표시부에 표시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컨테이너별로 그리고 카트리지별로 구체적인 약품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패널은 카트리지들 각각이 직접적으로 메인 제어 유닛과 통신함에 의해 발생할 수밖에 없는 통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패널은 미사용되고 있는 카트리지들에 대해서는 슬립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전원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패널은 통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카트리지들을 개별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도 1은 종래 약제 포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제 캐비닛 사시도.
도 3은 종래 도트 매트릭스가 전면에 설치된 약제 포장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패널을 구체화한 약제 포장 장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와 관련된 그래픽 데이터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패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제1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패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제2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패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제3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패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제4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 천이도.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시스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포장 장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약제 포장 시스템은 서버(100)와 약제 포장 장치(200)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컴퓨터일 수 있으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처방전에 따른 조제 명령 데이터를 생성하여 약제 포장 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약제 포장 장치(200)는 통합 제어 유닛(300)과 컨테이너(400)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 유닛(300)은 약제 포장 장치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서버(100) 및 카트리지(500)들과 통신한다. 서버(100) 및 카트리지(500)들과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조제 명령 데이터를 카트리지들로 전달한다. 또한 통합 제어 유닛(300)은 컨테이너(400)들 및 컨테이너(400)별로 장착되는 카트리지(500)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카트리지(500)에 대해서는 카트리지 케이스(Cartridge Case, CC)와 카트리지 베이스(Cartridge Base, CB)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별로 수용되어 있는 정제에 대한 구체적인 약품 정보들을 관리한다. 이 약품 정보에는 약품별로 고유하게 부여된 약품 코드가 포함되며, 추가로 약품명, 약품 바코드, 약품 이미지, 용량, 유효기간, 유통기간, 효능, 용법, 주의사항, 수량, 색, 무게, 크기, 제조사, 성분명, 약품분류, 제형, 저장법, 보험코드 중 적어도 일부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유효기간은 정제들이 최초로 포장된 시점에 정해진 약품의 정상적 사용 가능기간을 의미하며, 유통기간은 포장 제품이 포장 해제 후 다시 재포장되어 새로 정해진 약품의 정상적 사용 가능기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약품분류는 213(이뇨제), 800(마약류), 141(항히스타민제), 114(해열진통소염제) 등의 분류를 의미하고, 저장법은 특수하게 보관이 요구되는 경우 그 보관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며, 보험코드는 보험적용코드를 의미한다.
컨테이너(400)들은 카트리지 수납부(410)와 패널(420)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수납부(410)에는 카트리지(500)들이 수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 수납부(410)는 2열로 카트리지(500)들이 수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한 열에는 총 12개가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카트리지(500)는 카트리지 케이스(CC)와 카트리지 베이스(CB)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베이스(CB)는 고유의 식별정보(Cartridge Case ID, CCID)를 가진다. 그리고 카트리지 케이스(CC)도 고유의 식별정보(Cartridge Base ID, CBID)를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CC)는 카트리지 베이스(CB)에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카트리지 베이스(CB)는 컨테이너(400)에 고정 장착된다. 물론 특별한 경우, 예를 들어 고장으로 인해 수리가 필요하거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카트리지 베이스(CB)도 컨테이너(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CC)에는 한 종류의 정제가 수납된다. 그리고 수납된 정제에 대한 약품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데, 메모리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일 수 있다. 이 메모리에는 약품 정보가 저장되며, 카트리지 케이스(CC)가 CCID를 갖는 타입의 경우는 CCID도 저장된다.
카트리지 베이스(CB)는 장착된 카트리지 케이스(CC)의 메모리로부터 약품 정보를 읽어들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일 예로, 카트리지 케이스(CC)로부터 읽어들인 약품 정보는 약품 코드만일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베이스(CB)는 통합 제어 유닛(300)으로 약품 코드를 전달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약품 정보를 요청하며, 요청에 따라 전달된 구체적인 약품 정보를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카트리지 베이스(CB)는 통합 제어 유닛(300)으로부터 조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조제 명령 데이터에 따라 카트리지 케이스(CC)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카트리지 베이스(CB)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약품 정보를 컨테이너 패널(42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 베이스(CB)의 상태 정보, 예를 들어 카트리지 케이스(CC)의 장착/미장착, 동작 중, 전원 이상, 동작 이상(시스템 에러) 등의 상태 정보를 컨테이너 패널(4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컨테이너 패널(420)에서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와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정제의 배출시마다 카트리지 케이스(CC)에 수용된 정제의 수량은 감소하게 되므로, 카트리지 베이스(CB)는 배출 수량을 카운트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약품 정보 중 수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며, 그 갱신 정보를 컨테이너 패널(420)로도 전달한다. 이때 컨테이너 패널(420)로 전달되는 갱신 정보는 잔여 수량(재고 수량)과 배출 수량(조제 수량)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패널(420)은 카트리지 수납부(4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카트리지 수납부(410)와 함께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패널(420)은 카트리지 베이스(CB)와 통합 제어 유닛(300) 간에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같은 컨테이너 패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421)와 입력부(422)와 통신부(423)와 저장부(424) 및 제어부(425)를 포함한다. 표시부(421)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식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FT-LCD(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aply)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입력부(422)는 터치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422)는 표시부(421)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423)는 메인 통신부(423a)와 카트리지 통신부(423b)를 포함한다. 메인 통신부(423a)는 통합 제어 유닛(300)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카트리지 통신부(423b)는 카트리지 베이스(CB)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통신부(423a)와 카트리지 통신부(423b) 모두 통신의 신뢰성 보장을 위해 유선 통신 규격에 맞게 구성될 수 있으며, 시리얼 통신으로서 반이중 통신(half-duplex communication)을 예로 들 수 있다.
저장부(424)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이 저장부(424)에는 카트리지 패널(4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424)에는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가 저장된다. 일 예로, 약품 정보는 CBID별로 구분되어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424)에 저장되는 약품 정보에는 약품 코드가 포함되며, 추가로 약품명, 약품 바코드, 약품 이미지, 용량, 유효기간, 효능, 용법, 주의사항, 색, 무게, 크기, 제조사, 성분명, 약품분류, 제형, 저장법, 보험코드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더 포함된다.
추가로 저장부(424)에는 다양한 그래픽 데이터들이 더 저장될 수 있다. 예로서, 카트리지 케이스(CC)에 수용된 정제의 수량이 충분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와 보충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부(424)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베이스(CB)가 정제를 배출할 시에 표시될 수 있는 그래픽 데이터들도 저장부(424)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정제 배출, 정제 과다 배출, 정제 부족 배출, 배출 정제 부족, 정제 없음 등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정제 배출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는 정제가 정상적으로 배출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정제 과다 배출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는 조제 명령 데이터에 따라 배출되어야 할 정제의 수량보다 많이 배출되었음을 의미하며, 정제 부족 배출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는 조제 명령 데이터에 따라 배출되어야 할 정제의 수량보다 적게 배출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배출 정제 부족은 카트리지 케이스(CC)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의 잔여 수량이 조제 명령 데이터에 따라 배출되어야 할 정제의 수량보다 적음을 의미하며, 정제 없음은 카트리지 케이스(CC)에 정제가 하나도 수용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저장부(424)에는 카트리지 베이스(CB)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카트리지 케이스(CC)의 장착/미장착, 동작 중, 통신 이상, 전원 이상, 동작 이상(시스템 에러) 등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그래픽 데이터들의 일부 예를 도시하였다. 첫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케이스(CC)에 수용된 정제의 양이 충분함을 나타낸 것이고, 두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정제의 양이 부족하여 보충이 필요함을 나타낸 것이며, 세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케이스(CC)가 카트리지 베이스(CB)에 장착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네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베이스(CB)가 동작 이상 상태임을 나타낸 것이고, 다섯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케이스(CC)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에 대한 약품 정보(약품명, 용량)를 나타낸 것이며, 여섯 번째 그래픽 데이터는 카트리지 케이스(CC)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의 잔여 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425)는 컨테이너 패널(420)의 전반적인 동작을 담당하는 제어 유닛이다. 이 제어부(425)는 카트리지 베이스(CB)에 전원을 공급하고, 통합 제어 유닛(300) 및 카트리지 베이스(CB)들과의 통신을 처리하며, 통합 제어 유닛(300)과 카트리지 베이스(CB)들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제어부(425)는 통신부(423)를 통해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를 수신한다.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는 각 카트리지 베이스(CB)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아니면 통합 제어 유닛(300)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즉, 카트리지 베이스(CB)들이 컨테이너 패널(420)에 약품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아니면 통합 제어 유닛(300)이 컨테이너 패널(420)에 약품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어부(425)는 통신부(423)를 통해 수신된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를 저장부(424)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제어부(425)는 카트리지 베이스(CB)로부터 갱신 수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424)에 저장된 약품 정보 중 수량에 대한 정보를 갱신한다.
제어부(425)는 저장부(424)에 저장된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를 표시부(421)로 출력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부호 5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421)에는 컨테이너(400)에 수납되어 있는 모든 카트리지(500)들에 수용된 정제에 대한 약품 고유 번호와 약품명이 표시되며, 추가로 용량 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재고가 부족하거나 아예 없을 경우에는 도면부호 5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재고 정보(약품 고유 번호 109, 약품명 USRA, 용량 10mg)가 표시된다. 재고 정보는 색상으로도 그 의미가 구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초록색으로 표시되면 재고가 기준 수량 미만으로 부족한 경우를 의미하며, 붉은색으로 표시되면 재고가 아예 없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컨테이너(400) 및 카트리지(500)별로 약품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고 정보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5)는 저장부(424)에 저장된 약품 바코드를 읽어들여 표시부(421)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스캐너로 약품 바코드를 읽어들여 해당 약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5)는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의 수량이 기준 수량 이상일 경우에는 수량이 충분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424)에서 읽어들여 표시부(421)로 출력할 수 있으며, 기준 수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량이 부족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424)에서 읽어들여 표시부(42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5)는 정제의 배출시 정제 배출, 정제 과다 배출, 정제 부족 배출, 배출 정제 부족, 정제 없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 중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424)에서 읽어들여 표시부(421)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425)는 메인 통신부(423a)를 통해 수신된 조제 명령 데이터에 따라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며, 동시에 정제 배출, 정제 과다 배출, 정제 부족 배출, 배출 정제 부족, 정제 없음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 중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424)에서 읽어들여 표시부(421)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425)는 카트리지 베이스(CB)의 상태에 따라 동작 중, 통신 이상, 전원 이상, 동작 이상, 카트리지 케이스(CC)의 장착/미장착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 중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424)에서 읽어들여 표시부(421)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제어부(425)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부(421)로 출력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425)는 아래와 같은 컨테이너 패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421)로 출력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 컨테이너 패널의 220V AC 전원 공급 상태: Normal / Abnormal
- 컨테이너 패널의 AC 전원 주파수 상태: 50Hz / 60Hz
- 컨테이너 패널의 24V DC 전원 공급 상태: Normal / Abnormal
- 컨테이너 패널의 통신 상태: On Line / Off Line
- 컨테이너 패널의 잠금 상태: Locked /Release
- 컨테이너 패널의 위치 상태: Opened / Close
또한 제어부(425)는 아래와 같은 컨테이너 좌/우 열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421)로 출력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별로 동작 모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 컨테이너 좌측 열의 상태를 표시: Wake-up / Sleep / Power fail
- 컨테이너 우측 열의 상태를 표시: Wake-up / Sleep / Power fail
또한 제어부(425)는 카트리지 베이스(CB)들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421)로 출력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 각 카트리지 베이스의 번호를 표시: 번호는 000~00F, 010~01F, ..., FF0~FFF
- 각 카트리지 베이스의 약품명을 표시(option): 예) Loxen LP 50mg
- 각 카트리지 베이스의 약품 재고를 표시: Sufficient(충분) / Shortage(부족) / Empty(없음)
- 각 카트리지 베이스의 동작 상태를 표시: Overmuch(과투입) / Short-fail(부족투입) / Failure(미배출) / Debris(부스러기)
- 각 카트리지 베이스의 통신, 전원 상태를 표시: Normal / System Fail(시스템 고장) / Communication Error(통신 에러) / Sleep(꺼짐)
- 각 카트리지의 장착 상태를 표시: Plugged(장착) / Unplugged(미장착) / Wrong Cartridge(잘못된 카트리지 장착)
위의 정보들 중 동작 상태와 장착 상태에 대해서는 카트리지 베이스(CB)들이 동작 및 장착 상태를 인식하여 컨테이너 패널(420)로 제공해준다. 이 경우, 컨테이너 패널(420)의 제어부(425)는 제공된 상태 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텍스트 혹은 이미지 형식의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부(424)에서 읽어들여 표시부(421)로 출력한다. 참고로, 도 7 내지 도 10에 표시부(421)의 표시 화면 예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관리자는 도 7 내지 도 10과 같은 표시 화면을 통해 약품 정보는 물론, 컨테이너 패널의 상태 및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베이스의 동작 모드 상태 천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컨테이너 패널(420)은 카트리지 베이스(CB)별로 수동 절전 기능 및/또는 스마트 절전 기능을 제공한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패널(420)은 카트리지 베이스(CB)의 동작 상태가 일반(Normal) 상태에서 절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절전 상태는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립(Sleep) 상태 혹은 전원 오프(Power off) 상태이다. 또한 컨테이너 패널(420)은 카트리지 베이스(CB)의 정제 배출을 위해 절전 상태에서 일반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절전 기능에 대해 수동 절전과 스마트 절전으로 나누어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수동 절전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수동 절전을 위해, 제어부(425)는 컨테이너(400)에 장착된 카트리지 베이스 목록을 표시부(421)로 출력한다. 이에 사용자는 표시부(421)에 표시된 목록을 통해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425)는 카트리지 베이스(CB)별 정제 배출이 얼마 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는지에 대한 시간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 같이 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미사용되고 있는 카트리지 베이스(CB)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선택은 복수 가능하다. 다른 예로, 제어부(425)는 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서버(100)를 통해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를 선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가 선택되면, 제어부(425)는 선택된 카트리지 베이스(CB)를 일반 상태에서 슬립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여기서 슬립 상태로 전환될지 아니면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될지에 대해서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슬립 상태로 전환 제어할 경우, 제어부(425)는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로 슬립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는 슬립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 제어할 경우, 제어부(425)는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에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는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스마트 절전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스마트 절전 기능은 컨테이너 패널(420)에서 자동으로 미사용중인 카트리지 베이스(CB)들에 대해 절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425)는 기설정된 절전 대상 조건에 부합하는 카트리지 베이스(CB)들을 파악한다. 여기서 절전 대상 조건은 일정 시간 이상 정제 미배출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른 예로, 절전 대상 조건은 정제 배출 이력에 기반하여 소정 시간 이내에 정제를 배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425)는 이 같은 절전 대상 조건에 부합하는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들을 일반 상태에서 슬립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슬립 상태로 전환 제어할 경우, 제어부(425)는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로 슬립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는 슬립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 제어할 경우, 제어부(425)는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에 절전 대상 카트리지 베이스(CB)는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의 수동 절전 기능과 스마트 절전 기능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방지된다. 그런데 절전 상태로 전환된 카트리지 베이스(CB)들에 대해서도 조제 명령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절전 상태의 카트리지 베이스(CB)가 일반 상태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컨테이너 패널(420)은 조제 명령 발생시 그 대상이 되는 절전 상태의 카트리지 베이스(CB)를 웨이크업 시킨 후 조제가 수행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425)는 통합 제어 유닛(300)으로부터 절전 상태의 카트리지 베이스(CB)에 대한 조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에 제어부(425)는 우선 카트리지 베이스(CB)가 웨이크업 되도록 제어하는데, 카트리지 베이스(CB)의 절전 상태가 슬립 상태일 경우에는 웨이크업 제어 신호를 카트리지 베이스(CB)로 전송한다. 이에 슬립 상태의 카트리지 베이스(CB)는 웨이크업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일반 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카트리지 베이스(CB)의 절전 상태가 전원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카트리지 베이스(CB)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 이에 카트리지 베이스(CB)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일반 상태로 전환된다. 제어부(425)는 이 같이 카트리지 베이스(CB)를 절전 상태에서 일반 상태로 전환 제어한 후에 조제 명령 데이터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어부(425)는 카트리지 베이스(CB)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공한다. 서버(100)가 업그레이드할 카트리지를 지정한 후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전송하면, 약제 포장 장치(200)의 통합 제어 유닛(300)은 이를 수신하고 컨테이너 패널(420)로 전달한다. 이에 컨테이너 패널(420)의 제어부(425)는 통신부(423)를 통해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포함된 CBID를 확인하며, 확인된 CBID를 갖는 카트리지 베이스(CB)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전달한다. 아니면 제어부(425)는 수신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모든 카트리지 베이스(CB)들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에 카트리지 베이스(CB)는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전달받아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는데, 업그레이드 데이터 내에 CBID가 지정된 경우에는 자신의 CBID와 일치할 경우에만 업그레이드를 진행한다.
또한 컨테이너 단위로 업그레이드가 진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 유닛(300)은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업그레이드 데이터에 지정된 패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식별정보를 갖는 컨테이너 패널(420)로만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아니면, 통합 제어 유닛(300)은 수신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모든 컨테이너 패널(420)들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컨테이너 패널(420)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내에 지정된 패널의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할 경우에만 카트리지 수납부(410)에 수납되어 있는 모든 카트리지 베이스(CB)들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서버 200 : 약제 포장 장치
300 : 통합 제어 유닛 400 : 컨테이너
410 : 카트리지 수납부 420 : 패널
421 : 표시부 422 : 입력부
423 : 통신부 423a : 메인 통신부
423b : 카트리지 통신부 424 : 저장부
425 : 제어부 500 : 카트리지

Claims (15)

  1. 한 종류의 정제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수용된 정제를 배출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로 구성된 카트리지들이 장착되는 컨테이너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패널의 전면에 구비된 표시부;
    카트리지 베이스들과 통신하는 통신부;
    카트리지별 수용된 정제의 수량을 포함하는 약품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카트리지별 정제 배출에 따른 잔여 수량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약품 정보를 갱신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카트리지별 약품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카트리지별 정제의 수량이 충분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와 보충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가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카트리지별 수용된 잔여 수량에 따라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정보에는 약품명, 약품 바코드, 약품 이미지, 용량, 유효기간, 효능, 용법, 주의사항, 색, 무게, 크기, 제조사, 성분명, 약품분류, 제형, 저장법, 보험코드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정제 배출시 관련된 그래픽 데이터들이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카트리지별 정제 배출시 해당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배출시 관련된 그래픽 데이터들에는 정제 배출, 정제 과다 배출, 정제 부족 배출, 배출 정제 부족, 정제 없음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들이 더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는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베이스의 상태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들에는 카트리지 케이스의 장착, 미장착, 동작 중, 통신 이상, 전원 이상, 동작 이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패널은 약제 포장 장치의 통합 제어 유닛과 카트리지 베이스들 간에 통신을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베이스를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전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절전 대상 조건에 부합하는 카트리지 베이스를 슬립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대상 조건은 일정 시간 이상 정제를 배출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전 대상 조건은 정제 배출 이력에 기반하여 소정 시간 이내에 정제를 배출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슬립 상태로 전환 제어 후 슬립 상태가 정해진 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전원 오프 상태로 전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약제 포장 장치의 통합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조제 명령 데이터 수신시 그 수신된 조제 명령 데이터를 전달받을 카트리지 베이스가 슬립 상태이거나 전원 오프 상태일 경우 그 카트리지 베이스를 웨이크업 시킨 후 그 수신된 조제 명령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약제 포장 장치의 통합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카트리지 베이스별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카트리지 베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KR1020130013531A 2013-02-06 2013-02-06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KR10144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31A KR101443887B1 (ko) 2013-02-06 2013-02-06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31A KR101443887B1 (ko) 2013-02-06 2013-02-06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44A KR20140100344A (ko) 2014-08-14
KR101443887B1 true KR101443887B1 (ko) 2014-09-23

Family

ID=5174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531A KR101443887B1 (ko) 2013-02-06 2013-02-06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919A1 (ko) * 2021-11-19 2023-05-25 알고케어 주식회사 제형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344B1 (ko) * 2014-12-31 2022-06-09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06368B1 (ko) 2015-06-01 2022-06-09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9743A1 (fr) 2002-01-11 2003-07-24 Yuyama Mfg. Co., Ltd. Distributeur de comprimes
JP2006006693A (ja) * 2004-06-28 2006-01-1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空間機能提示装置、空間機能提示システム
KR100787809B1 (ko) * 2007-01-05 2007-12-2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카세트 위치 표시방법
JP2010046511A (ja) * 2009-10-27 2010-03-04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9743A1 (fr) 2002-01-11 2003-07-24 Yuyama Mfg. Co., Ltd. Distributeur de comprimes
JP2006006693A (ja) * 2004-06-28 2006-01-1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空間機能提示装置、空間機能提示システム
KR100787809B1 (ko) * 2007-01-05 2007-12-21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카세트 위치 표시방법
JP2010046511A (ja) * 2009-10-27 2010-03-04 Sanyo Electric Co Ltd 薬剤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919A1 (ko) * 2021-11-19 2023-05-25 알고케어 주식회사 제형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44A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5843B2 (ja) 薬品払出装置、薬品払出プログラム
KR100243851B1 (ko) 정제포장기계
KR101443887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컨테이너 패널
US20080071648A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edicine packaging apparatuses
CN108778226A (zh) 药品配给装置、药品配给程序
KR100744427B1 (ko) 약제자동포장장치용 카세트 인식장치 및 그 방법
CN102821736A (zh) 药剂供给装置
CN107430754B (zh) 药品分发系统
CN110621284B (zh) 药品配发装置、控制方法、控制程序
KR101462873B1 (ko) 약제 포장 장치용 카트리지
KR101480712B1 (ko) 절전 기능을 갖는 약제 포장 장치
JP4357366B2 (ja) 自動調剤装置
TWM568136U (zh) Electronic labeling device for drug control
DE602007008586D1 (de) Tränkebehältern
JP4642973B2 (ja) 薬品検索棚のシステム
JP2002224197A (ja) 薬剤分包装置
KR100800293B1 (ko) 비트맵 이미지 인쇄 기능이 구비된 약제 자동 포장 장치 및그 방법
JP2005342122A (ja) 薬剤フィーダ及び自動調剤装置
JP2006006693A (ja) 空間機能提示装置、空間機能提示システム
CN207191490U (zh) 具有节电功能的药剂包装装置
JP2857587B2 (ja) 錠剤分包装置
KR20160057179A (ko) 약제 포장 장치 및 약제 관리 방법
JP2018187053A (ja) 薬剤分包機
JP2004182404A (ja) 容器の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