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3702A -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3702A
KR20230073702A KR1020210160374A KR20210160374A KR20230073702A KR 20230073702 A KR20230073702 A KR 20230073702A KR 1020210160374 A KR1020210160374 A KR 1020210160374A KR 20210160374 A KR20210160374 A KR 20210160374A KR 20230073702 A KR20230073702 A KR 20230073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intake hole
sealing
beverage contain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현
Original Assignee
장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현 filed Critical 장용현
Priority to KR102021016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3702A/ko
Publication of KR20230073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37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8Caps or cap-like cover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65D41/44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made of metallic foil or like thin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65D55/08Annular elements encircling container necks
    • B65D55/0818Destructible or permanently removable bands, e.g.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고 취음홀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취음홀을 밀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밀봉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어 상기 취음홀을 중심으로 양면에 소정의 접착성을 가지고 밀착되어 상기 취음홀을 밀폐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 HAVING SEALING MEMBER}
본 발명은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료용기는 종이,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캔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차가운 음료나 따뜻한 음료를 담아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음료 제조업체에서는 가공된 음료를 위생적이고 장기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진공 또는 방부처리를 하며 밀폐성이 뛰어난 금속성 용기를 사용한다.
최근에 소비자들은 가공음료 보다는 스타벅스, 커피빈 등 매장의 내부나 테이크 아웃 상태로 커피, 주스 등을 담아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전문 매장용 음료를 선호하고 있다. 이들 매장에서는 음료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금속성의 밀폐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음료를 제조하여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밀폐되지 않고 개방된 음료용기를 사용한다.
즉, 전문 매장에서 사용하는 음료용기는 판매자의 측면에서는 음료를 쉽게 제조하여 담을 수 있고 소비자 측면에서는 휴대하기 쉽고 사용 후에 버릴 수 있는 일회용 음료용기가 주를 이룬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11748호(1999.08.02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료수가 보관되는 음료용기의 배출 부위에만 접착식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음료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고 취음홀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취음홀을 밀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어 상기 취음홀을 중심으로 양면에 소정의 접착성을 가지고 밀착되어 상기 취음홀을 밀폐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는 열에 의해 밀봉되어 외력을 가하면 커버로부터 취음홀이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부재는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접착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부재는, 내부 음료의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온도 변색소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부재 중 상기 내용물이 직접 접촉되는 밀봉부재에는 항균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취음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밀착면; 상기 제1 밀착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취음홀을 밀폐하는 밀봉면; 및 상기 밀봉면의 일측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밀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면의 직경은 상기 취음홀의 직경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는, 음료수가 보관되는 음료용기의 배출 부위에만 접착식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음료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 가능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가 구비된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의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가 형성되는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가 형성되는 음료용기는 일회용 용기에서 음용을 위한 취음홀 부위만을 밀폐시키도록 접착식의 필름 형태의 밀봉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밀폐 효율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가 구비된 음료용기의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의 단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120)의 개구부를 개폐하고 취음홀(H)이 형성되는 커버(110) 및 취음홀(H)을 밀폐하는 밀봉부재(200)를 포함하되, 밀봉부재(200)는 한 쌍으로 제공되어 취음홀(H)을 중심으로 양면에 소정의 접착성을 가지고 밀착되어 취음홀(H)을 밀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20)는 상기 내용물, 예를 들어, 과일이나 커피 등이 수용되어 내부가 관찰 가능하도록 투명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는 상기 개구부를 덮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판상형 또는 돔(dom)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10)도 투명 플라스틱 재질 등의 투명하고 경량으로 제조되어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커버(110)의 중앙 부위에는 사용자가 직접 음용 또는 스트로우(Straw) 등을 이용하여 취음이 가능하도록 취음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커버(11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용기(120)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절곡되어 있으므로, 상호 소정의 외력에 의하여 상호 일정한 결합력으로 결합되어 밀봉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200)는 열에 의해 밀봉되어 외력을 가하면 커버로부터 취음홀이 분리될 수 있는 구조(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다. 취음홀의 라인을 따라 열을 가하여 밀봉될 수 있으며, 외력을 가하면 쉽게 취음홀의 라인을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밀봉부재(200)는 커버(110)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취음홀(H)을 밀폐 가능한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일면에 접착층(10)이 형성되는 필름(Film)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밀봉부재(200)는 한 쌍이 마련되어 취음홀(H)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에서 상소 접착층(10)이 대면한 상태로 밀착되면서 취음홀(H)을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밀봉부재(200)는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밀봉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선 등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로 절단 가능하게 형성된 상태로 권취된 롤(Roll)에서 리와인딩(rewinding) 되면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면에 부착된 이형지(미도시)를 제거하여 필름 형태의 밀봉부재(20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부재(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의 취음홀(H)의 상부면에 사용되는 밀봉부재(200)와 하부면에 사용되는 밀봉부재(200)에 따라 상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취음홀(H)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밀봉부재(2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층(210)의 하면에 접착층(10)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필름층(210)에는 온도 감응소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온도 감응소재(230)는 음료용기(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에 따라 변색이 가능한 소재로써, 예를 들어 상기 내용물이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상기 내용물이 차가운 음료인 경우에는 파란색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육안으로 상기 내용물인 음료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음용 시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취음홀(H)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밀봉부재(20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층(2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접착층(10)이 형성되어 있고 접착층(10)의 하면에는 항균층(2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취음홀(H)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밀봉부재(200)는 용기(120)의 내용물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항균층(220)을 배치하여 상기 내용물과의 접촉에 의한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밀봉부재(200)의 구조에 따라, 커버(110)의 취음홀(H)을 밀폐하는 상부면의 밀봉부재(200)와 하부면의 밀봉부재(200)는 서로 상이한 층상 구조로 형성되어 상호 상하 방향에서 접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용용기(100)를 파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밀봉부재(200)의 항균층(220)에 의해 안정성이 확보되고, 음용시에 온도 감응소재(230)에 의해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확인하여 안전하게 취음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밀봉부재가 결합되는 음료용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120)의 개구부를 개폐하고 취음홀(H)이 형성되는 커버(110) 및 취음홀(H)을 밀폐하는 밀봉부재(200)를 포함하되, 밀봉부재(200)는 한 쌍으로 제공되어 취음홀(H)을 중심으로 양면에 소정의 접착성을 가지고 밀착되어 취음홀(H)을 밀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밀봉부재(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취음홀(H)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밀착면(201), 제1 밀착면(201)의 일측에 형성되고 취음홀(H)을 밀폐하는 밀봉면(203) 및 밀봉면(203)의 일측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밀착면(2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커버(110)의 취음홀(H)에 밀봉부재(200)가 삽입되면서 밀봉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조를 위하여 밀봉부재(200)는 소정의 탄성력으로 형상 변형이 가능한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110)의 취음홀(H)에 밀봉부재(200)를 삽입하는 경우, 커버(110)의 취음홀(H)을 중심으로 취음홀(H)의 저면, 즉 상기 내용물과 직접 접촉되는 제2 밀착면(202) 위치되고, 상부에는 제1 밀착면(201)이 접촉되고, 취음홀(H)은 밀봉면(203)에 의해 밀폐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부재(200)의 제2 밀착면(202)의 두께(T2)는 제1 밀착면(202)의 두께(T1) 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제2 밀착면(202)의 폭(W)은 제1 밀착면(201)의 폭(W)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과 직접 접촉되는 제2 밀착면(202)에 의해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커버(110)의 취음홀(H)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접착층 100: 음료용기
110: 커버 120: 용기
200: 밀봉부재 201: 제1 밀착면
202: 제2 밀착면 203: 밀봉면
210: 베이스층 220: 항균층
230: 온도 감응소재 H: 취음홀

Claims (7)

  1.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의 개구부를 개폐하고 취음홀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취음홀을 밀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밀봉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어 상기 취음홀을 중심으로 양면에 소정의 접착성을 가지고 밀착되어 상기 취음홀을 밀폐하거나,
    열에 의해 밀봉되어 외력을 가하면 커버로부터 취음홀이 분리될 수 있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적어도 일면에 접착층이 형성되는 접착필름으로 제공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내부 음료의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온도 변색소재가 형성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 중 상기 내용물이 직접 접촉되는 밀봉부재에는 항균층이 형성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취음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밀착면;
    상기 제1 밀착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취음홀을 밀폐하는 밀봉면; 및
    상기 밀봉면의 일측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제2 밀착면;을 포함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면의 직경은 상기 취음홀의 직경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KR1020210160374A 2021-11-19 2021-11-19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KR20230073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374A KR20230073702A (ko) 2021-11-19 2021-11-19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374A KR20230073702A (ko) 2021-11-19 2021-11-19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3702A true KR20230073702A (ko) 2023-05-26

Family

ID=8653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374A KR20230073702A (ko) 2021-11-19 2021-11-19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37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748B1 (ko) 1996-03-22 1999-08-02 조양제 일회용 칵테일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748B1 (ko) 1996-03-22 1999-08-02 조양제 일회용 칵테일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0650C (en) Flexible laminate structure with integrated one-way valve
ES2927810T3 (es) Miembro de sellado de recipiente d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de alta frecuencia adherente a ambos lados, recipiente cosmético compacto que tiene una función de manipulación indebida aplicada al mismo y recipiente con tapa abatible que tiene una función de manipulación indebida aplicada al mismo
US5400915A (en) Container window seal
KR20230073702A (ko)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JP5344761B2 (ja) 飲料水用ダブルパック包装袋および飲料水・抽出素材共充填型包装構造体
KR101966537B1 (ko) 마스크팩용 포장재
WO2016124881A1 (en) Pouch for liquid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0159087A5 (ko)
JP2000217885A (ja) 医療用容器
JP5025937B2 (ja) 蓋材
JPH09110038A (ja) 複合容器
JP2881290B2 (ja) イージーオープン密閉容器のための蓋体
EP2055650A2 (en) A Single-use Container for Alcoholic Beverages
JP2015160631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
JP5002143B2 (ja) 蓋材
JP2556426Y2 (ja) 容 器
KR20230042608A (ko) 종이컵 조립체
JP2015151188A (ja) 包装容器
JP4574807B2 (ja) ボトム付き袋状容器
JP2001301740A (ja) 簡易容器
KR101734808B1 (ko) 캔의 음용구 개폐마개
JP2015131670A (ja) 包装容器
JP7139855B2 (ja) 包装材料
JPS6040419Y2 (ja) 液体用容器
JP7202848B2 (ja) シール部材および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