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918A - 철근 자립기구 - Google Patents

철근 자립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918A
KR20230072918A KR1020210159620A KR20210159620A KR20230072918A KR 20230072918 A KR20230072918 A KR 20230072918A KR 1020210159620 A KR1020210159620 A KR 1020210159620A KR 20210159620 A KR20210159620 A KR 20210159620A KR 20230072918 A KR20230072918 A KR 20230072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pace
self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995B1 (ko
Inventor
임상훈
채남희
임병균
Original Assignee
임상훈
채남희
임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훈, 채남희, 임병균 filed Critical 임상훈
Priority to KR102021015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9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자립기구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연결 수직철근에 겹침이음하도록 연결철근의 간격과 폭이 동일한 철근4개를 4각기둥으로 묶어 자립시킴으로써, 종래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수직철근들을 기립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보조철근 및 수직철근들 간의 폭을 유지하기 위한 폭 고정철근을 생략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기간,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는, 슬래브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철근들을 일정 개수별로 다발로 결속하여 자립시키는 자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철근 자립기구{APPARATUS FOR SELF-SUPPORTING REBAR}
본 발명은 철근 자립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브의 상측으로 일정길이가 돌출된 수직 연결철근에 겹침 이음을 하도록 연결철근 간의 간격과 폭을 맞춘 수직철근 4개를 자립토록 4각 기둥으로 묶어 연결철근에 결속함으로써, 종래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수직철근들을 기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철근 및 수직철근들 간의 폭을 유지하기 위한 폭 고정철근을 생략할 수 있는 철근 자립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벽식구조에서 벽철근의 조립은 바닥(슬래브)에 시공되어 돌출된 수직 연결철근에 내벽이나 외벽을 구성하게 되는 수직철근을 연결한 다음 수직철근에 수평철근을 결속한다.
종래에는 수직철근이 자체 길이나 하중에 의해 자립할 수 없는 관계로 수직철근에 보조철근을 대각선 방향으로 기대어 조립에 활용하고 그대로 벽체에 매설하는 관계로 철근의 낭비 및 매설되는 보조 철근의 간섭으로 콘크리트 충전에 지장을 초래하기도 하며, 규격화 된 시공을 기대할 수 없는 부적합한 시공이 되었다.
아울러, 보조철근은 수직철근 및 수평철근과 달리 벽체에서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는 불필요한 구성으로써, 건축물의 시공비용을 불필요하게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건축물의 크기나 기타 요인에 따라 수직철근들 간의 간격은 다양하고 벽체 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추세에 있다. 이 경우 보조철근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보다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철근에 보조철근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2인의 작업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인건비 및 시공시간이 불필요하게 많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종래에는 수직철근들 간의 폭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폭 고정철근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직철근을 자립하여 벽철근을 쉽게 조립하면서, 벽철근 간의 폭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569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슬래브의 상측으로 일정길이가 돌출된 수직 연결철근에 겹침이음이 용이하도록 연결철근의 간격과 폭을 맞춘 수직철근 4개를 4각 기둥으로 묶은 철근 자립기구를 연결철근에 결속함으로써, 종래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수직철근들을 기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철근 및 수직철근들 간의 폭을 유지하기 위한 폭 고정철근을 생략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기간,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철근 자립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벽체는 실내벽과 실외벽의 철근 피복두께에 차이가 있어 철근의 위치가 상이하나, 하나의 철근 자립기구로 실내 측과 실외 측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작업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규격화가 가능하여 수직철근 간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철근 자립기구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는, 슬래브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연결철근들에 각각 이음되는 철근들을 일정 개수별로 다발로 결속하여 자립시키는 자립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일 예로 상기 자립부는, 상기 철근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은 상기 공간형성부 중 선택되는 어느 2개의 공간형성부의 사이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된다.
또한, 다른 일 예로, 상기 자립부는, 상기 철근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 및 삽입공간이 형성된 복수개의 철근삽입클립;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삽입클립의 개구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철근삽입클립의 삽입공간에 삽입된 철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걸림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철근삽입클립으로 삽입되는 철근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철근삽입클립의 내부 양측벽면에는 상기 걸림단보다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철근삽입클립에 삽입된 철근을 가압하는 구속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철근삽입클립들의 사이에는 다른 철근이 통과하는 통과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통과공간을 통과한 철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포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는 상기 철근삽입클립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철근삽입클립의 삽입공간과 상기 포켓부의 수용공간을 통해 서로 다른 거리에 배치된 철근을 각각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근삽입클립들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외벽면에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다른 철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부가 걸림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부가 걸림단은, 상기 부가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철근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형성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걸림단보다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철근을 구속시키는 구속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부의 끝단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철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공간형성부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는 철근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철근들의 배열 간격에 대응되게 연쇄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에는 포켓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며, 그 끝단이 상기 포켓부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키홈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삽입키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형성부 및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철근삽입클립의 상면과 저면에는 걸침턱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공간형성부 또는 철근삽입클립이 상기 철근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수평철근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걸침턱은 상기 수평철근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는, 슬래브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수직 연결철근들에 각각 겹침이음되는 수직철근들을 일정 개수별로 다발로 결속하여 연결 및 자립시킴으로써, 종래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수직철근들을 기립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보조철근 및 수직철근들 간의 폭을 유지하기 위한 폭 고정철근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을 시공할 때 수직철근을 기립시키기 위한 보조철근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고, 보조철근을 생략함에 따라 건축물의 시공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수직철근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벽체의 실내 측과 실외 측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작업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규격화가 가능하여 수직철근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도 혼자서 슬래브 바닥에 돌출된 수직 연결철근에 철근 자립기구를 연결하여 자립시킨 후, 수평철근을 설치하고, 설치한 수평철근에 수직철근을 차례로 연결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고, 철근의 폭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벽의 길이가 긴 경우, 이에 대응되게 철근 자립기구를 추가 설치하므로 벽 길이 확대에 따른 작업의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는, 원가 및 인건비를 절감하고, 품질을 향상할 수 있어 시공VE(VALUE ENGINEERING)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가 연결 수직철근에 장착되고 수평철근을 결속하여 수직과 수평 철근들을 차례로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가 수직철근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에 적용된 자립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가 실내벽 수직철근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가 실내벽과 실외벽 수직철근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에 걸침턱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가 연결 수직철근에 장착되고 수평철근을 결속하여 수직과 수평 철근들을 차례로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가 수직철근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건축물을 시공할 때, 슬래브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수직철근(2a,2b)들을 일정개수 별로 다발로 묶어 자립시킴으로써, 종래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수직철근(2a,2b)들을 기립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보조철근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건축물을 시공할 때 수직철근(2a,2b)을 기립시키기 위한 보조철근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고, 보조철근을 생략함에 따라 건축물의 시공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벽철근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수직철근(2a,2b)의 결속방법이 매우 간단하여 시공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자립부(1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립부(10)는 본체부(11) 및 공간형성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직철근(2a,2b)은 2열을 이루어 슬래브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은 다수개로 적용되며 서로 동일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체부(11)는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즉, 본체부(11)는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 간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도 1에는 본체부(11)가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에서 본체부(11)의 형상은 사각틀 형상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즉, 본체부(11)는 다각틀 형상, 링 형상, 타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에 길이방향으로 큰 압축력이 인가되면 본체부(11)가 휘어질 우려가 있다.
특히, 본체부(11)의 공간형성부(12)에 삽입된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본체부(11)가 휘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체부(11)는 본체부(11)는 중량 대비 길이방향 압축강도가 매우 높도록 보강립(15)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립(15)은 본체부(11)의 내부에 일정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립은 본체부(11)의 대비 길이방향 압축강도가 매우 높도록 해주어, 본체부(11)가 수직철근(2a,2b)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간형성부(12)는 대략 판 형상이나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12)는 본체부(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본체부(11)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는 공간형성부(12)는 서로 동일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12)들의 사이 공간에는 수직철근(2a,2b)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12a)이 형성된다.
이때, 수직철근(2a,2b)은 공간형성부(12)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2개의 공간형성부(12)의 사이 삽입공간(12a)에 삽입된다.
공간형성부(12)의 끝단에는 삽입공간(12a)에 삽입된 수직철근(2a,2b)이 쉽게 빠지지 아니하도록 걸림단(12b)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단(12b)은 수직철근(2a,2b)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장되어, 삽입공간(12a)이 수직철근(2a,2b)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걸림단(12b)의 끝단은 수직철근(2a,2b)의 외면에 접촉된다.
공간형성부(12)에 걸림단(12b)이 형성되면, 삽입공간(12a)에 삽입된 수직철근(2a,2b)은 걸림단(12b)에 걸려 쉽게 인출되지 못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걸림단(12b)이 경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되면 수직철근(2a,2b)을 삽입공간(12a)에 삽입시킬 때, 걸림단(12b)이 저항 및 간섭되어 수직철근(2a,2b)이 삽입공간(12a)에 용이하게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바, 걸림단(12b)은 삽입공간(12a)으로 삽입되는 수직철근(2a,2b)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이나 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걸림단(12b)은 공간형성부(12)의 위치에 따라, 공간형성부(12)의 일측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공간형성부(12)의 일측과 타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6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는 바, 종점과 시점에 위치된 공간형성부(12)에는 걸림단(12b)이 1개만 형성되고, 종점과 시점에 사이에 위치된 공간형성부(12)에는 2개의 걸림단(12b)이 형성되어도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에서 걸림단(12b)은 모든 공간형성부(12)의 끝단 양측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부가적으로, 공간형성부(12)에는 걸림단(12b)보다 안쪽에 배치되며, 삽입공간(12a)에 삽입된 철근을 가압하여 구속하는 구속돌기(122)가 더 형성된다.
구속돌기(122)는 대략 수평면 및 수평면의 끝단에서 공간형성부(12)를 향해 연장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형성부(12)의 삽입공간(12a)에 수직철근(2a,2b)이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부(11)가 유동될 경우 어느 하나의 걸림단(12b) 및 어느 하나의 구속돌기가 수직철근(2a,2b)을 가압하여 구속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직철근(2a,2b)이 공간형성부(12)와 걸림단(12b)의 사이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벽거푸집(4a,4b) 사이에서 1열과 2열의 수직철근(2a,2b)이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배열되었을 때,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을 공간형성부(12)의 사이 삽입공간(12a)에 각각 삽입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간(12a)에 삽입된 수직철근(2a,2b)들이 자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본체부(11)가 삽입공간(12a)에 삽입된 1열과 2열의 수직철근(2a,2b) 간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종래에는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 간의 폭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폭 고정철근을 추가로 설치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 간의 간격, 폭을 자동으로 유지해주기 때문에 폭 고정철근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폭 고정철근을 생략할 수 있음에 따라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하면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별도의 결속선에 의해 수직철근(2a,2b)에 묶여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삽입공간(12a)에 수직철근(2a,2b)이 삽입되도록 본체부(11)를 손으로 쥐고 가압하는 조작만으로 수직철근(2a,2b)에 결합됨으로, 시공이 매우 간단해진다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종래에는 수직철근(2a,2b)을 자립시키기 위한 보조철근을 결합하기 위해 2인 이상의 작업자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작업자 혼자서도 수직철근(2a,2b)을 자립시킬 수 있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를 사용하면 시공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도 쉽게 수직철근(2a,2b)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불량률이 매우 낮아진다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형성부(12) 간의 간격을 1열의 수직철근(2a) 간의 간격과 2열의 수직철근(2b) 간의 간격에 대응되게 정형화 함으로써, 정밀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건축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원가 및 인건비를 절감하고, 품질을 향상할 수 있어 시공VE(VALUE ENGINEERING)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걸림단(12b) 뿐만 아니라 공간형성부(12)는 수직철근(2a,2b)이 삽입공간(12a)으로 삽입될 때 벌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이나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으로, 한 번의 합성수지 사출공정에 의해 제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한 번의 사출을 통해 모든 제작이 완료됨으로 생산성이 매우 높고, 규격화로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 간의 간격을 매우 정확하게 유지시키면서 자립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1열에 배치된 수직철근(2a) 간의 간격 및 2열에 배치된 수직철근(2b) 간의 간격은 건축물의 크기나 기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1)의 길이가 1열에 배치된 수직철근(2a) 간의 및 2열에 배치된 수직철근(2b) 간의 간격보다 짧을 경우, 본체부(11)에 수직철근(2a,2b)을 결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11)는 수직철근(2a,2b) 간의 배열 간격에 대응되게 연쇄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체부(11)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부(13)를 포함한다.
착탈부(13)는 본체부(11)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에는 포켓부(131)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포켓부(131)에 고정되는 후크(132)를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포켓부(131) 및 후크(132)는 본체부(11)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포켓부(131)가 본체부(11)의 좌측에 형성되고, 후크(132)가 본체부(11)의 우측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되는 구조 즉, 포켓부(131)가 본체부(11)의 우측에 형성되고, 후크(132)가 본체부(11)의 좌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포켓부(13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영역이 본체부(11)의 좌측에 매립된다.
후크(132)는 복수개의 탄성바(1321) 및 탄성바(1321)의 끝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돌기(13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322)는 포켓부(131)의 내부공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포켓부(131)의 내벽면과 마주하는 외측면에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322)는 일정영역이 탄성바(1321)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후크(132)를 포켓부(131)의 일측에서 내부공간을 향해 밀어 넣게 되면 걸림돌기(1322)가 포켓부(131)의 내벽면에 가압되어 탄성바(1321)가 오므려지고, 걸림돌기(1322)가 포켓부(131)의 외부로 인출되면 걸림돌기(1322)가 포켓부(131)의 끝단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착탈부(13)를 통해 2개의 본체부(11)를 결합하였을 때, 본체부(11)가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착탈부(13)는 본체부(11)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키홈(133)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키홈(133)에 삽입되는 삽입키(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키홈(133)이 본체부(11)의 좌측에 형성되고, 삽입키(134)가 본체부(11)의 우측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반대되는 구조 즉, 키홈(133)이 본체부(11)의 우측에 형성되고, 삽입키(134)가 본체부(11)의 좌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키(134)는 후크(132)의 사이에 배치되고, 키홈(133)은 포켓부(13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132)를 포켓부(131)에 삽입하면 삽입키(134)가 키홈(133)에 자연스럽게 삽입된다.
이때, 삽입키(134)는 키홈(133)보다 조금 더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삽입키(134)가 키홈(133)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본체부(11)들 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가 수직철근(2a,2b)에 결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슬래브의 상측으로 다수개의 연결철근(5a,5b)이 일정간격으로 배근되고, 연결철근(5a,5b)의 상측에 수직철근(2a,2b)이 철사나 끈으로 형성되는 결속수단(미도시)에 의해 결속된다.
이때, 수직철근(2a,2b)은 결속수단에 의해 연결철근(5a,5b)에 결속되더라도 자체 하중에 의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철근 자립기구(1)는 1열에 배열된 2개의 수직철근(2a)과 2열에 배열된 2개의 수직철근(2b)에 공동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총 4개의 수직철근(2a,2b)이 철근 자립기구(1)를 매개로 결속되면서 마치 하나의 기둥처럼 자립하게 된다.
수직철근(2a,2b)은 콘크리트와 함께 벽체를 형성하는 일부 구성품으로써, 벽체의 높이가 약 4M 이상으로 길면 수직철근(2a,2b)의 길이도 비례적으로 길어져야 한다.
수직철근(2a,2b)의 길이가 길 경우 하나의 철근 자립기구(1)로 철근을 자립시킬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직철근(2a,2b)의 길이에 대응되게 추가로 다른 철근 자립기구(1)를 적용하면 된다.
이때, 철근 자립기구(1)는 수직철근(2a,2b)이 안정적인 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직철근(2a,2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1열의 수직철근(2a) 간의 간격과 2열의 수직철근(2b) 간의 간격이 길어, 하나의 철근 자립기구(1)로 4개의 수직철근(2a,2b)을 결속할 수 없을 경우, 수직철근(2a,2b) 간의 간격에 대응되게 철근 자립기구(1)를 추가로 결합하면 된다.
즉, 1열의 수직철근(2a) 간의 간격과 2열의 수직철근(2b) 간의 간격이 2개의 철근 자립기구(1)로 가능하다면, 2개의 철근 자립기구(1)로 4개의 수직철근(2a,2b)을 결속할 수 있다.
이때, 철근 자립기구(1)의 결합은 전술한 착탈부(13)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수직철근(2a,2b)을 자립시키면서, 수직철근(2a,2b)에 결속되는 수평철근(3a,3b)을 지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도 11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는바, 공간형성부(12) 또는 후술되는 철근삽입클립(14)이 수평철근(3a,3b)의 저면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한다.
특히,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형성부(12) 및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철근삽입클립(14)에는 수평철근(3a,3b)의 일측면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걸침턱(121,145)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침턱(121,145)로 인해 수직철근(2a,2b)과 수평철근(3a,3b)의 결합 안정성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
걸침턱(121,145)은 공간형성부(12) 및 철근삽입클립(14)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걸침턱(121,145)을 공간형성부(12) 및 철근삽입클립(14)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하는 경우, 본체부(11)를 상,하 구분 없이 수직철근(2a,2b)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에 적용된 자립부(10b)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에 적용된 자립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가 실내벽 수직철근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가 실내벽과 실외벽 수직철근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에 걸침턱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의 자립부(10b)는 도 1 내지 도 6의 자립부(10a)가 가지고 있는 전술한 장점들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실내벽과 실외벽 모두에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자립부(10b)는 본체부(11)와, 공간형성부(12) 및 철근삽입클립(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는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전술한 본체부(11)와 동일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공간형성부(12)는 전술한 공간형성부(12)와 동일하되, 본체부(11)의 일측에만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철근삽입클립(14)은 복수개로 적용되어 본체부(11)의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철근삽입클립(14)에는 수직철근(2a,2b)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141) 및 개구부(141)를 통과한 수직철근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4a)이 형성된다.
철근삽입클립(14)은 수직철근(2a,2b)이 내측으로 삽입될 때 개구부(141) 양측이 벌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1)는 철근삽입클립(14) 내부로 삽입된 수직철근(2a,2b)이 쉽게 빠지지 아니하도록, 개구부(141)의 폭방향 양측에 걸림단((14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단((142)은 수직철근(2a,2b)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장되어, 철근삽입클립(14)에 수직철근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걸림단((142)의 끝단은 수직철근(2a,2b)의 외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철근삽입클립(14)에 걸림단((142)이 형성되면, 철근삽입클립(14)에 삽입된 철근은 걸림단((142)에 걸려 쉽게 인출되지 못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걸림단((142)이 경도가 높은 재료로 제작되면 철근을 철근삽입클립(14)에 삽입시킬때, 걸림단((142)이 간섭되어 철근이 철근삽입클립(14)에 용이하게 삽입되지 못하게 되는바, 걸림단((142)은 철근삽입클립(14)으로 삽입되는 철근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철근삽입클립(14)의 내부에도 전술한 구속돌기(122)와 동일한 구속돌기(143)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철근삽입클립(14)들의 사이에는 다른 수직철근(2a,2b)이 통과하는 통과공간(14b)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11)에는 철근삽입클립(14)들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통과공간(14b)을 통과한 수직철근(2a,2b)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1a)을 갖는 포켓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철근삽입클립(14)들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외벽면에는 수직철근(2a,2b)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수용공간(111a)에 삽입된 다른 수직철근(2a,2b)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부가 걸림단(144)이 각각 형성된다.
부가 걸림단(144)은 수직철근(2a,2b)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장되어, 철근삽입클립(14)에 철근이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부가 걸림단(144)의 끝단은 수직철근(2a,2b)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전술한 걸림단(12b,142)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부가 걸림단(144)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계속해서, 포켓부(111)는 철근삽입클립(14)보다 안쪽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포켓부(111)의 수용공간(111a)은 철근삽입클립(14)의 삽입공간(14a)보다 안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철근삽입클립(14)의 삽입공간(14a)과 포켓부(111)의 수용공간(111a)을 통해 서로 다른 거리에 배치된 수직철근(2a,2b)을 각각 고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자립부(10b)를 통해 내부벽과 외부벽을 모두 시공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피복 두께가 3cm인 실내벽을 시공할 때에는 1열의 수직철근(2a)과 2열의 수직철근(2b)을 각각 어느 2개의 공간형성부(12)의 사이 및 이 공간형성부(12)와 본체부(11)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철근삽입클립(14)에 고정하면 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피복 두께가 4cm인 실외벽을 시공할 때에는 1열과 2열의 수직철근(2a-1,2b)을 각각 어느 2개의 공간형성부(12)의 사이 및 이 공간형성부(12)와 본체부(11)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포켓부(111)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자립기구는 실내벽과 실외벽에 따라 공간형성부(12)와 철근삽입클립(14) 또는 공간형성부(12)와 포켓부(111)를 적용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철근 자립기구로 실내와 실외벽 모두에 구별하여 사용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철근 자립기구 10a,10b : 자립부
11 : 본체부 111,131 : 포켓부
111a : 수용공간 12 : 공간형성부
12a,14a : 삽입공간 12b,142 : 걸림단
121 : 걸침턱 13 : 착탈부
132 : 후크 1321 : 탄성바
1322 : 걸림돌기 133 : 키홈
134 : 삽입키 122,143 : 구속돌기
14 : 철근삽입클립 14b : 통과공간
141 : 개구부 142 : 부가 걸림단
2a 2b : 실내벽 수직철근 2a-1 실외벽 수직철근
3a 3b : 수평철근
4a 4b : 벽 거푸집
5a 5b : 연결철근

Claims (13)

  1. 슬래브의 상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연결철근들에 각각 이음되는 철근들을 일정 개수별로 다발로 결속하여 자립시키는 자립부를 포함하는 철근 자립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립부는,
    상기 철근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은 상기 공간형성부 중 선택되는 어느 2개의 공간형성부의 사이 삽입공간에 각각 삽입되는 철근 자립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립부는,
    상기 철근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철근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 및 삽입공간이 형성된 복수개의 철근삽입클립;을 포함하는 철근 자립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삽입클립의 개구부 폭방향 양측에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철근삽입클립의 삽입공간에 삽입된 철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걸림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철근삽입클립으로 삽입되는 철근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철근 자립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삽입클립의 내부 양측벽면에는 상기 걸림단보다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철근삽입클립에 삽입된 철근을 가압하는 구속돌기가 각각 형성된 철근 자립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삽입클립들의 사이에는 다른 철근이 통과하는 통과공간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통과공간을 통과한 철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포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켓부는 상기 철근삽입클립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있어, 상기 철근삽입클립의 삽입공간과 상기 포켓부의 수용공간을 통해 서로 다른 거리에 배치된 철근을 각각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철근 자립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삽입클립들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외벽면에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다른 철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부가 걸림단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부가 걸림단은, 상기 부가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는 철근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철근 자립기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걸림단보다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철근을 구속시키는 구속돌기가 형성된 철근 자립기구.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의 끝단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철근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공간형성부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는 철근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철근 자립기구.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철근들의 배열 간격에 대응되게 연쇄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철근 자립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에는 포켓부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포켓부에 수용되며, 그 끝단이 상기 포켓부에 걸려 고정되는 후크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철근 자립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타측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키홈 및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삽입키를 더 포함하는 철근 자립기구.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공간형성부 및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철근삽입클립의 상면과 저면에는 걸침턱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공간형성부 또는 철근삽입클립이 상기 철근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수평철근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걸침턱은 상기 수평철근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철근 자립기구.
KR1020210159620A 2021-11-18 2021-11-18 철근 자립기구 KR102598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620A KR102598995B1 (ko) 2021-11-18 2021-11-18 철근 자립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620A KR102598995B1 (ko) 2021-11-18 2021-11-18 철근 자립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918A true KR20230072918A (ko) 2023-05-25
KR102598995B1 KR102598995B1 (ko) 2023-11-06

Family

ID=8654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620A KR102598995B1 (ko) 2021-11-18 2021-11-18 철근 자립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9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646A2 (en) * 1992-06-26 1994-01-06 Kane Kevin John O Carrier and spacer
JPH0972028A (ja) * 1995-09-05 1997-03-18 Mitsui Home Co Ltd 型枠パネルの連結具
JP2003314151A (ja) * 2002-04-25 2003-11-06 Tachikawa Blind Mfg Co Ltd 間仕切りパネル
KR200395694Y1 (ko) 2005-06-13 2005-09-14 송동회 철근간격유지구
KR20110066271A (ko) * 2009-12-11 2011-06-17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철근파지부를 개량하여서 된 철근받침대
KR20190106435A (ko) * 2018-03-09 2019-09-18 황보호 철근 구조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0646A2 (en) * 1992-06-26 1994-01-06 Kane Kevin John O Carrier and spacer
JPH0972028A (ja) * 1995-09-05 1997-03-18 Mitsui Home Co Ltd 型枠パネルの連結具
JP2003314151A (ja) * 2002-04-25 2003-11-06 Tachikawa Blind Mfg Co Ltd 間仕切りパネル
KR200395694Y1 (ko) 2005-06-13 2005-09-14 송동회 철근간격유지구
KR20110066271A (ko) * 2009-12-11 2011-06-17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철근파지부를 개량하여서 된 철근받침대
KR20190106435A (ko) * 2018-03-09 2019-09-18 황보호 철근 구조물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995B1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2580A (en) Modular reinforcement cages for ductile concrete frame members and method of fabricating and erecting the same
AU2018241240B2 (en) Apparatus for arranging steel reinforcement prior to a concrete pour
US10202765B2 (en) Deck panel for construction
KR20230072918A (ko) 철근 자립기구
KR20210033352A (ko) 나선형 띠철근 시공용 고정지그
EP0107460A2 (en)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structure
JP200027394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組立て方法
KR20220027411A (ko) U바 선조립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벽체의 시공방법
KR102654294B1 (ko) 대칭형 보강리브가 구비된 무용접 유닛 강판 거푸집
AU2019100221A6 (en) Apparatus for arranging steel reinforcement prior to a concrete pour
JPH0738389Y2 (ja) コンクリート埋込型枠
JP2003184097A (ja) 法枠の型枠形成用の型枠筋
JP6035836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KR102551807B1 (ko) 포스트텐션이 도입된 pc 보 시스템의 시공 방법
US2989794A (en) Shuttering system for cast concrete walls
KR20220169258A (ko)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용 철근 선조립체의 제작방법
JPH0643237Y2 (ja) 法枠用型枠
NZ755735B2 (en) Apparatus for arranging steel reinforcement prior to a concrete pour
JPH1060910A (ja) 布基礎および簡易基礎構築用の非脱型形型枠の組立て装置
JPH0528248Y2 (ko)
JP2004019373A (ja) 溶接鉄筋網
JP2023008193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部材用の鉄筋ユニット構築方法
KR20090079548A (ko) 루프바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용 피씨보의 추락방지 구조
KR20190107509A (ko) 리브형 슬래브와 와플형 드랍을 이용한 포스트텐션 플랫 슬래브 구조물 시공방법
JPH0366868A (ja) 梁筋の配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