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406A -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406A
KR20230072406A KR1020220135537A KR20220135537A KR20230072406A KR 20230072406 A KR20230072406 A KR 20230072406A KR 1020220135537 A KR1020220135537 A KR 1020220135537A KR 20220135537 A KR20220135537 A KR 20220135537A KR 20230072406 A KR20230072406 A KR 20230072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ic acid
liquid
waste liquid
polarizing plate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히라노
호 엔
요시히로 후지와라
야스카즈 마에다
야스타카 고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Publication of KR2023007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5/00Boron; Compounds thereof
    • C01B35/08Compounds containing boron and nitrogen, phosphorus,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1B35/10Compounds containing boron and oxygen
    • C01B35/1027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12Iod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8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6Flash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electro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8Bor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4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4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 C02F2103/34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industrial activ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2F2103/12 - C02F2103/32 from semiconductor processing, e.g. waste water from polishing of waf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Abstract

(과제) 편광판 제조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을 회수할 때에,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붕산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편광판 제조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 및 붕산을 회수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으로서, 편광판 제조폐액을 증발농축 함으로써 생성된 제1석출물을 고액분리해서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제1여과액을 회수하는 KI회수공정과, 제1석출물로부터 붕산을 회수하는 붕산회수공정을 구비하고, 붕산회수공정은, 제1석출물을 용해한 피처리액에 산을 첨가해서 pH조정한 후에 냉각함으로써 붕산결정을 석출시키는 냉각정석공정과, 석출한 붕산결정을 분리하는 결정분리공정과, 붕산결정이 분리된 피처리액에 알칼리를 첨가해서 중화한 후에 전기투석을 함으로써 산 및 알칼리를 회수하는 전기투석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TREATING METHOD AND TREATING DEVICE FOR POLARIZER MANUFACTURING WASTE LIQUID}
본 발명은, 편광판 제조폐액(偏光板 製造廢液)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편광판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 및 붕산을 회수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에는, 요오드나 붕소, 칼륨 등의 무기물 성분이나, 폴리비닐알코올(PVA) 등의 유기물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이 종래부터 검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1에는, 편광판 제조폐액을 증발농축(蒸發濃縮) 해서 붕산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제1석출물(第1析出物)을 생성하고, 제1석출물을 고액분리(固液分離)한 제1여과액(第1濾過液)을 생성한 후에, 제1여과액을 증발농축 해서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제2석출물을 생성하고, 제2석출물을 고액분리 함으로써 요오드화 칼륨을 회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18-89602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은, 편광판 제조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요오드화 칼륨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붕산 주체의 결정도 폐기하지 않고 회수하여 환경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는,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붕산 주체의 결정으로부터 고순도의 붕산을 회수하는 것이 어려웠다. 예를 들어, 붕산 주체의 결정을 가열수(加熱水)에 용해한 후에, 냉각정석을 함으로써 붕산을 회수하는 방법은, 냉각정석 전에 황산 등의 산을 첨가함으로써 고순도의 붕산이 얻어지는 한편 황산칼륨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염배수(鹽排水)가 폐기물로서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광판 제조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을 회수할 때에,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붕산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편광판 제조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 및 붕산을 회수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으로서, 편광판 제조폐액을 증발농축 함으로써 생성된 붕산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제1석출물을 고액분리 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제1여과액을 회수하는 KI회수공정과, 상기 제1석출물로부터 붕산을 회수하는 붕산회수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붕산회수공정은, 상기 제1석출물을 용해한 피처리액에 산을 첨가해서 pH조정한 후에 냉각함으로써 붕산결정을 석출시키는 냉각정석공정과, 석출한 상기 붕산결정을 분리하는 결정분리공정과, 상기 붕산결정이 분리된 피처리액에 알칼리를 첨가해서 중화한 후에 전기투석을 함으로써 산 및 알칼리를 회수하는 전기투석공정을 구비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은, 상기 전기투석공정에서 회수된 산을 사용하여 상기 냉각정석공정에 있어서의 피처리액의 pH조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투석공정에서 회수된 알칼리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투석공정에 있어서의 피처리액의 중화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투석공정은, 중화된 피처리액에 포함되는 2가 양이온을 제거하는 2가 양이온 제거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투석공정은, 중화된 피처리액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제거하는 PVA제거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투석공정에서 탈염된 피처리액을, 상기 제1석출물회수공정에서 증발농축 되기 전의 편광판 제조폐액에 합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편광판 제조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 및 붕산을 회수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로서, 편광판 제조폐액을 증발농축 함으로써 생성된 붕산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제1석출물을 고액분리 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제1여과액을 회수하는 KI회수장치와, 상기 제1석출물로부터 붕산을 회수하는 붕산회수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붕산회수장치는, 상기 제1석출물을 용해한 피처리액에 산을 첨가해서 pH조정한 후에 냉각함으로써 붕산결정을 석출시키는 냉각정석장치와, 석출한 상기 붕산결정을 분리하는 결정분리장치와, 상기 붕산결정이 분리된 피처리액에 알칼리를 첨가해서 중화한 후에 전기투석을 함으로써 산 및 알칼리를 회수하는 전기투석장치를 구비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광판 제조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을 회수할 때에,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붕산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 도1에 나타내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1)는, KI회수장치(2)와 붕산회수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1)를 사용한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은, 하기하는 바와 같다.
우선, 원액피트(原液pit)에 저장된 편광판 제조폐액을 KI회수장치(2)에 유입하고 증발농축 함으로써 생성된 제1석출물을 고액분리 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제1여과액을 회수하는 KI회수공정을 실시한다. KI회수장치(2)는, 제1여과액으로부터 분리된 제1석출물을 회수하는 제1석출물 회수장치(4)와, 제1여과액을 더 증발농축 해서 생성된 제2석출물을 고액분리해서 회수하는 제2석출물 회수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편광판 제조폐액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편광판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이다. 편광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PVA)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요오드화 칼륨(KI) 용액에 침지시키게 한 후에, 붕산(H3BO3) 수용액중에서 연신(延伸)시켜, 수세(水洗) 및 건조를 거쳐서 편광판이 제조된다. 이 때문에 편광판 제조폐액에는 PVA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KI나 H3BO3 등이 주로 이온의 상태로 포함되어 있다. 편광판 제조폐액의 pH는 3.5∼8.0의 범위에 있고, 붕산용액을 포함하기 때문에 보통은 산성이지만, 중성 부근의 편광판 제조폐액이더라도 좋다. 제조장치의 부식의 문제를 억제하기 위해서, 편광판 제조폐액에는 수산화칼륨 등의 중화제를 첨가하더라도 좋다.
편광판 제조폐액이 유입되는 제1석출물 회수장치(4)는, 편광판 제조폐액을 증발에 의하여 농축할 수 있는 증발농축장치를 구비한다. 증발농축장치는, 예를 들어 히트펌프형, 이젝터 구동형, 스팀형, 플래시형 등의 공지의 장치를 1종 또는 2종이상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증발농축장치에 의하여 편광판 제조폐액이 농축되면, 이 폐액에 포함되어 있는 H3BO3 및 PVA의 많은 부분이 슬러지가 되고, 이들을 포함하는 제1석출물이 편광판 제조폐액중에 생성된다. 제1석출물에는, H3BO3 및 PVA이외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제1석출물 회수장치(4)는, 제1석출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을 냉각정석(冷却晶析) 하는 냉각정석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냉각정석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재킷식이나 진공식 등 공지의 구성을 들 수 있다. 증발농축장치에 의하여 편광판 제조폐액중의 H3BO3 농도가 충분히 감소되는 경우에는, 냉각정석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제1석출물 회수장치(4)는, 증발농축후에 냉각정석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편광판 제조폐액중의 제1석출물을 제1여과액으로부터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다. 고액분리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가압여과(필터프레스), 진공여과, 원심여과 등의 각종 여과장치나, 디캔터형(decanter型)과 같은 원심분리장치 등 공지의 구성을 들 수 있다. 편광판 제조폐액이 고액분리장치를 통과함으로써 제1석출물이 제1여과액으로부터 고액분리되어서 회수된다. 제1여과액은, 제1석출물의 분리에 의하여 H3BO3이, 예를 들어 60∼90%정도 제거되고, PVA가, 예를 들어 40∼60%정도 제거된다. 분리된 제1석출물은, H3BO3을 주체로 하는 결정으로서 PVA가 포함되어 있다.
제1석출물 회수장치(4)에 의하여 생성된 제1여과액은, 제2석출물 회수장치(5)로 유입된다. 제2석출물 회수장치(5)는, 제1여과액을 증발농축 해서 KI결정을 포함하는 제2석출물을 생성하는 증발농축장치와, 생성된 제2석출물을 제2여과액으로부터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2석출물 회수장치(5)가 구비하는 증발농축장치 및 고액분리장치는, 제1석출물 회수장치(4)가 구비하는 증발농축장치 및 고액분리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여과액에 포함되는 H3BO3 및 PVA의 농도는 충분히 감소되어 있으므로, KI를 주체로 하는 결정을 제2석출물로서 회수할 수 있다.
제1석출물 회수장치(4)에 의하여 생성된 제1여과액에는, KI가 고농도로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도 편광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재이용이 가능하면, 제2석출물 회수장치(5)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즉, 상기한 KI회수공정은, 제1석출물 회수장치(4)만에 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은, 상기한 제1석출물회수 공정을 실시한 후에, 붕산회수장치(3)에 의하여 제1석출물로부터 붕산을 회수하는 붕산회수공정을 실시한다.
도2는, 붕산회수장치(3)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붕산회수장치(3)는, 결정용해조(11), 필터(12), 냉각정석장치(13), 결정분리장치(14), 붕산회수용기(15), 피처리액 탱크(16), 농축장치(17), PVA제거장치(18), 2가 양이온 제거장치(19) 및 바이폴러막 전기투석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붕산회수장치(3)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붕산회수공정은, 냉각정석공정 S1, 결정분리공정 S2 및 전기투석공정 S3을 구비하고 있다.
냉각정석공정 S1은, 제1석출물을 용해한 피처리액에 산을 첨가해서 pH조정한 후에, 냉각함으로써 붕산결정을 석출시킨다. 우선, 제1석출물을 결정용해조(11)에 유입하고, 물에 의하여 용해해서 피처리액을 생성한다. 결정용해조(11)에는, 순수(純水)와 함께 증기를 유입해서 제1석출물을 온수에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처리액의 붕산농도는 포화농도(飽和濃度) 부근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용해조(11)에서 생성된 피처리액은 필터(12)를 통과함으로써 불용해물(不溶解物)이 제거된 후에, pH조정제의 첨가에 의하여 산성측(예를 들어 pH4정도)으로 pH조정이 이루어지고, 냉각정석장치(13)에 유입된다. pH조정제는, 황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공정상 문제가 없으면 다른 산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냉각정석장치(13)는, KI회수장치(2)가 구비하는 냉각정석장치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pH조정후의 피처리액을 냉각수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각함으로써 순도가 높은 붕산결정을 석출시킬 수 있다. 냉각정석장치(13)에 의한 피처리액의 냉각온도는 20도(섭씨, 본 문서에서 동일) 이하가 바람직하고, 10도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냉각온도의 하한은 특히 존재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도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실용적으로는 0도 이상이다.
결정분리공정 S2은, 냉각정석공정 S1에 의하여 석출시킨 붕산결정을 결정분리장치(14)에 의하여 피처리액으로부터 분리한다. 결정분리장치(14)는, 피처리액의 온도를 상기한 냉각온도로 유지하면서 결정분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분리장치(1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심분리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여과(濾過)나 침강(沈降) 등 액체중에서 고체성분을 분리할 수 있는 다른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분리된 붕산결정은, 플렉서블 콘테이너(flexible container) 등의 붕산회수용기(15)로 회수된다. 회수된 붕산은, 건조기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건조된다.
결정분리장치(14)로 붕산결정이 분리된 피처리액은 피처리액 탱크(16)에 저장된다. 피처리액 탱크(16)로 공급되는 피처리액에는 석출되지 않은 붕산이 약간 포함되어 있으므로, 피처리액 탱크(16)의 피처리액을 농축장치(17)로 농축한 후에 냉각정석장치(13)로 되돌려 다시 냉각정석 함으로써 붕산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농축장치(17)는, 예를 들어 제1석출물 회수장치(4)가 구비하는 증발농축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결정분리된 피처리액의 농축 및 냉각정석을 배치처리(batch處理)에 의하여 반복함으로써, 붕산의 회수율 및 순도는 서서히 저하하므로, 이 반복횟수는, 예를 들어 3∼4회 정도가 바람직하다. 피처리액의 농축에 따라, 피처리액 탱크(16)에는 순수를 적절하게 보충하더라도 좋다. 또한, 붕산회수용기(15)로 회수된 붕산은, 순도에 따라여 피처리액 탱크(16)로 공급해서 피처리액에 용해하고 재결정시켜도 좋다.
전기투석공정 S3은, 결정분리공정 S2에 의하여 붕산결정이 분리된 후의 피처리액으로부터 산 및 알칼리를 회수한다. 피처리액 탱크(16)내의 피처리액은 중화제의 첨가에 의하여 중화된 후에, PVA제거장치(18) 및 2가 양이온 제거장치(19)를 통과하여 바이폴러막 전기투석장치(20)에 공급된다. 중화제는 수산화칼륨(KOH)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회수된 알칼리를 장치 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산화나트륨(NaOH) 등의 다른 알칼리성 수용액이더라도 좋다.
PVA제거장치(18)는, 피처리액에 포함되는 PVA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피처리액의 접촉에 의하여 PVA를 흡착제거(吸着除去) 하는 입상(粒狀)이나 벌집 모양 등의 활성탄(活性炭)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활성탄의 재질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목재 등의 천연물이나 합성수지 등을 소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2가 양이온 제거장치(19)는, 피처리액에 포함되는 마그네슘 이온이나 칼슘이온 등의 2가의 양이온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킬레이트 수지를 충전(充塡)한 수지탑(樹脂塔) 등 공지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피처리액이 2가 양이온 제거장치(19)를 통과함으로써 바이폴러막 전기투석장치(20)에 있어서, 마그네슘 이온이나 칼슘이온 등의 석출에 의한 막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산 및 알칼리의 회수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2가 양이온 제거장치(19)의 전단에 PVA제거장치(18)를 구비함으로써 2가 양이온 제거장치(19)의 킬레이트 수지 등의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이폴러막 전기투석장치(20)는, 예를 들어 2개의 바이폴러막의 사이에 음이온 교환막 및 양이온 교환막이 배치되어서, 각각의 사이에 산실(酸室), 염실(鹽室) 및 알칼리실이 형성된 3실형의 공지의 구성으로서, 염실에 피처리액을 공급하고, 산실 및 알칼리실에 순수를 공급함으로써 산실로부터 산(본 실시형태에서는 황산)을 배출하고, 알칼리실로부터 알칼리(본 실시형태에서는 KOH)를 배출하여 각각 산 탱크 및 알칼리 탱크로 회수할 수 있다.
바이폴러막 전기투석장치(20)의 염실을 통과해서 탈염(脫鹽)된 피처리액은, 도1에 나타내는 원액피트로 되돌려져서 편광판 제조폐액에 합류됨으로써, 약간 포함되어 있는 KI가 KI회수장치(2)로 회수된다. 원액피트에는, 피처리액 탱크(16)로부터 배출되어서 중화된 피처리액의 일부를 되돌려도 좋다. 피처리액을 원액피트로 되돌림으로써 축적되는 불순물은, 피처리액 탱크(16)로부터 원액피트로 되돌리는 피처리액의 일부를 분기되게 해서 폐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은, 붕산회수공정에 있어서, 붕산결정을 분리한 피처리액에 알칼리를 첨가해서 중화한 후에, 전기투석에 의하여 산 및 알칼리를 회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붕산의 회수에 수반하는 새로운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경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전기투석에 의하여 회수된 산 및 알칼리는, 장치 외에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1)의 내부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기투석에 의하여 회수된 산은 냉각정석공정 S1에 있어서의 피처리액의 pH조정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기투석에 의하여 회수된 알칼리는 전기투석공정 S3에 있어서의 피처리액의 중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광판 제조폐액으로부터의 생성물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유효하게 활용함으로써 폐액처리의 무배수화(無排水化)(ZLD: Zero Liquid Discharge) 및 폐기물의 재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1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
2 KI회수장치
3 붕산회수장치
13 냉각정석장치
14 결정분리장치
18 PVA제거장치
19 2가 양이온 제거장치
20 바이폴러막 전기투석장치

Claims (7)

  1. 편광판 제조폐액(偏光板 製造廢液)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 및 붕산을 회수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으로서,
    편광판 제조폐액을 증발농축(蒸發濃縮) 함으로써 생성된 붕산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제1석출물(第1析出物)을 고액분리(固液分離) 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제1여과액(第1濾過液)을 회수하는 KI회수공정과,
    상기 제1석출물로부터 붕산을 회수하는 붕산회수공정(硼酸回收工程)을
    구비하고,
    상기 붕산회수공정은,
    상기 제1석출물을 용해한 피처리액에 산을 첨가해서 pH조정한 후에 냉각함으로써 붕산결정(硼酸結晶)을 석출시키는 냉각정석공정(冷却晶析工程)과,
    석출한 상기 붕산결정을 분리하는 결정분리공정(結晶分離工程)과,
    상기 붕산결정이 분리된 피처리액에 알칼리를 첨가해서 중화(中和)한 후에 전기투석(電氣透析)을 함으로써 산 및 알칼리를 회수하는 전기투석공정을
    구비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공정으로 회수된 산을 사용하여 상기 냉각정석공정에 있어서의 피처리액의 pH조정을 실시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공정에서 회수된 알칼리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투석공정에 있어서의 피처리액의 중화를 실시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공정은, 중화된 피처리액에 포함되는 2가 양이온을 제거하는 2가 양이온 제거공정을 구비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공정은, 중화된 피처리액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제거하는 PVA제거공정을 구비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투석공정에서 탈염(脫鹽)된 피처리액을, 상기 제1석출물회수공정에서 증발농축 되기 전의 편광판 제조폐액에 합류시키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7. 편광판 제조폐액으로부터 요오드화 칼륨 및 붕산을 회수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로서,
    편광판 제조폐액을 증발농축 함으로써 생성된 붕산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제1석출물을 고액분리 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포함하는 제1여과액을 회수하는 KI회수장치와,
    상기 제1석출물로부터 붕산을 회수하는 붕산회수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붕산회수장치는,
    상기 제1석출물을 용해한 피처리액에 산을 첨가해서 pH조정한 후에 냉각함으로써 붕산결정을 석출시키는 냉각정석장치와,
    석출한 상기 붕산결정을 분리하는 결정분리장치와,
    상기 붕산결정이 분리된 피처리액에 알칼리를 첨가해서 중화한 후에 전기투석을 함으로써 산 및 알칼리를 회수하는 전기투석장치를
    구비하는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장치.
KR1020220135537A 2021-11-15 2022-10-20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202300724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85728 2021-11-15
JP2021185728A JP2023072964A (ja) 2021-11-15 2021-11-15 偏光板製造廃液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406A true KR20230072406A (ko) 2023-05-24

Family

ID=86310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5537A KR20230072406A (ko) 2021-11-15 2022-10-20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72964A (ko)
KR (1) KR20230072406A (ko)
CN (1) CN116119855A (ko)
TW (1) TW2023211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602A (ko) 2017-01-31 2018-08-09 전자부품연구원 복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602A (ko) 2017-01-31 2018-08-09 전자부품연구원 복수의 컨트롤러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72964A (ja) 2023-05-25
CN116119855A (zh) 2023-05-16
TW202321171A (zh)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481B1 (ko)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KR102221524B1 (ko)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BR112012010194B1 (pt) Processo para produção de xilose por hidrólise de biomassa de frutas tropicais com ácido sulfúrico
CN109824187B (zh) 一种多级多段纳滤分盐处理系统及工艺
JP2012213767A (ja) K及びMgの回収方法及び装置
CN101928084B (zh) 含无机盐废液的处理方法及装置
US5281318A (en) Process for processing a waste etching solution containing a fluorine component and an ammonia component to recover valuables therefrom
JP4781374B2 (ja) 無機塩含有廃液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230072406A (ko) 편광판 제조폐액의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TWI794188B (zh) 偏光板製造廢液之處理方法及處理裝置
CN109607582B (zh) 一种从脱硫废水中回收镁盐的方法及系统
JP7048950B2 (ja) 偏光板製造廃液の処理方法
KR101237829B1 (ko) 무기염 함유 폐액의 처리방법 및 장치
JP4866448B2 (ja) 無機塩含有廃液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TWI839597B (zh) 偏光板製造廢液之處理方法
CN108726604B (zh) 一种催化剂生产废水的处理方法
TWI398412B (zh) Process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liquid containing inorganic salt
CN215667568U (zh) 一种从高含盐废水回收结晶盐的系统
CN117923731A (zh) 一种含高浓度氯化钙和氯化钠混盐废水的资源化系统及方法
CN108726755B (zh) 一种催化剂生产废水的处理方法
JPS63282114A (ja) 精製塩の製造方法
CN116253335A (zh) 一种四元水盐体系分盐工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