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381A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381A
KR20230072381A KR1020220059340A KR20220059340A KR20230072381A KR 20230072381 A KR20230072381 A KR 20230072381A KR 1020220059340 A KR1020220059340 A KR 1020220059340A KR 20220059340 A KR20220059340 A KR 20220059340A KR 20230072381 A KR20230072381 A KR 20230072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present
extract
mixed
crude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앤오바이오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앤오바이오시스(주) filed Critical 에이치앤오바이오시스(주)
Priority to KR102022005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381A/ko
Publication of KR20230072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6Prunella or Brunella (selfh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6Clematis (leather fl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8Oldenlandia or Hedyo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및 울금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 추출물은 다양한 암종에서 암 세포 증식 억제 및 전이 억제에 효과적이므로 항암용 약학조성물 또는 항암용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Pharmaceutical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Comprising Extracts of Herbal Medicine Mixture}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및 울금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암은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으며, 서구 사회에서 심혈관 질환 다음으로 가장 높은 사망 원인이다. 암의 조기 예방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인간 건강의 증진, 건강한 삶의 질 향상 및 인류 보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항암 요법의 개발은 현재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의약 및 중의약 등 전통의학에서, 암의 증상은 상세히 서술되어 있으나 암이라는 단어를 명확히 기술하고 있지는 않은데, 이는 암을 단일 질환보다는 여러 다른 종류의 질환으로 규정한 것에 기인한다. 이는, 한의약 지식을 활용한 항암 치료요법 개발이 상대적으로 느린 원인이 되며, 아직까지도 서양에서 한약 또는 생약을 활용한 항암 요법은 주류 의학이론보다 보완 또는 대체 의학으로 응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보완 또는 대체의학은 암을 포함한 모든 환자의 90% 정도에 응용되고 있으며, 특히 암환자에서의 응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한약이 암 환자에 대한 주요 치료제뿐 아니라 다른 항암제와 병용되어 항암 효능을 상승시키는 보조제, 또는 기존 항암 치료에 의한 부작용 감소 약물로 이용되기도 한다. 한약의 암에 대한 효능은 세포수준 또는 동물수준에서 실험을 통해 꾸준히 확인되고 있으며, 실험적 수준에서 한약의 항암 효능은 주로 암세포의 아폽토시스, 면역체계의 조절, 세포분화에 대한 영향, 신생혈관생성의 억제, 항암다제 내성(multidrug resistance, MDR), 텔로머라제 효소활성 저해 등의 측면에서 확인되고 있다(문헌[박영철 등, 대한본초학회지 27.3 (2012): 39-55.]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의 예방 및 치료의 효능을 갖는 한약 제제를 찾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울금의 복합 처방물에서 암 세포에 약효 검증 연구를 확대하던 중 명확한 Apoptosis가 발현됨을 알아내었으며, PLK1의 발현 저하로 인한 암 세포의 사멸과 증식 억제가 유도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울금의 복합처방을 통하여 환자들이 용이하게 복용할 수 있는 배합을 통해 안전하게 항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및 울금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혼합 생약 추출물에 사용되는 생약(한약재)의 특성은 대한민국 약전 또는 대한민국 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을 참고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1. 백화사설초(Hedyotidis Herba)
백화사설초는 두잎갈퀴 Hedyotis diffusa Willdenow (꼭두서니과 Rubiaceae)의 전초이다. 이 약재는 전초로 줄기는 가늘고 덩굴성같이 감겼으며, 바깥면은 회록색 또는 회갈색이다. 질은 취약하여 쉽게 꺾인다. 꺾인 면은 중앙에 흰색의 수가 있다. 잎은 대부분 부서졌고 심하게 쭈그러져 있으며 쉽게 떨어진다. 꽃은 작고 흰색이며 잎겨드랑이에 1 개가 달리나 때로 2개가 달린다. 뿌리는 가지가 갈라지지 않았고 지름 2~4 mm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이 약재는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담담하다.
백화사설초는 전통적으로 열을 꺼주고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효능[청열이습(淸熱利濕)], 해독(解毒)하여서 피부에 발생된 옹저(癰疽)를 없애는 효능[해독소옹(解毒消癰)] 등이 알려져있다.
2. 팔월찰(八月札; Akebiae Fructus)
팔월찰은 예지자(預知子), 임하부인(林下婦人)으로도 불리며, 으름덩굴(Akebia quinata Decaisne) 또는 기타 으름덩굴과 동속 근연식물의 거의 익은 열매이다. 이 약재는 잘 익은 열매로 타원형이며 약간 구부러졌고 길이 3~5 cm, 지름 25~35 mm이다. 바깥면은 회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으로 열매껍질은 쭈그러져 불규칙한 그물모양의 융기가 있고 끝에는 암술머리의 자국이, 아랫부분에는 열매껍질이 떨어진 둥근 자국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자른면은 연한 노란색으로 검은색의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이 약재는 향기가 약간 있고 맛은 떫으면서 담담하다.
팔월찰은 전통적으로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살충(殺蟲)], 번조(煩躁)를 제거하며 소변이 잘 통하게 하는 효능[제번이뇨(除煩利尿)], 혈(血)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통증을 없애주는 효능[활혈지통(活血止痛)] 등이 알려져있다.
3. 하고초(夏枯草, Prunella Spike)
하고초는 꿀풀과 Prunella vulgaris Linne var. lilacina Nakai 또는 Prunella vulgaris Linne의 꽃대이다(Prunellae Spica). 이 약재는 꽃대로 많은 포엽 및 꽃받침이 붙어있고 원기둥모양에 가깝고 길이 3~6 cm, 지름 10~15 mm이다. 바깥면은 회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질은 가볍다. 위쪽에는 꽃부리가 남아 있으며 아래쪽에는 줄기가 있고 꽃받침 속에 4 분과가 있다. 포엽은 심장형 또는 편심형이며 꽃받침과 맥상에는 흰색의 털이 있다. 이 약재는 냄새와 맛이 거의 없다.
하고초는 전통적으로 맺힌 것을 푸는 효능[산결(散結)],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소종(消腫)], 간(肝)의 열(熱)을 식혀주는 효능[청간(淸肝)] 등이 알려져 있다.
4. 봉출(蓬朮, Curcuma zedoaria Rosc.)
봉출은 생강과(Zingiberaceae) Curcuma zedoaria의 뿌리줄기이다. 이 약재는 거의 난형을 이루고 지름 25~40mm, 길이 4~6cm이다. 바깥면은 회황갈색 또는 회갈색을 띠고 마디는 환상으로 두드러졌고 마디 사이는 5~8mm이며 가느다란 세로주름과 뿌리를 없앤 자국 및 곁뿌리줄기의 작은 융기가 있다. 확대경으로 보면 바깥면에 거친 털이 있다. 각질로서 자르기 힘들며 그 횡절면은 회갈색이고 두께 2~5mm의 피층과 넓은 중심주와의 사이에는 엷은 회갈색의 줄이 보인다.
봉출은 전통적으로 기를 잘 돌게 하는 방법[행기(行氣)],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개위(開胃)], 어혈(瘀血)을 삭여 없애는 방법[소어(消瘀)], 적취(積聚)를 제거하는 효능[소적(消積)],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지통(止痛)], 혈액이 정체되지 않고 잘 흐르게 하는 효능[통혈(通血)],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祛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파혈(破血)],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해독(解毒)],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효능[화식(化食)] 등이 알려져 있다.
5. 울금(鬱金; Curcuma Root)
울금(Curcumae Radix)은 온울금 (溫鬱金) Curcuma wenyujin Y. H. Chen et C. Ling. 강황 (薑黃) Curcuma longa Linne, 광서아출 (廣西莪朮) Curcuma kwangsiensis S. G. Lee et C. F. Liang 또는 봉아출 (蓬莪朮) Curcuma phaeocaulis Val. (생강과 Zingiberaceae)의 덩이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이다.
이중, 온울금(溫鬱金)은 덩이뿌리로 긴 원형 또는 난원형이며 길이 35~70 mm, 지름 12~25 mm이다. 바깥면은 회갈색이고 고르지 않은 세로주름이 있으며 세로 주름이 돌출된 곳은 색이 비교적 연하다. 질은 단단하며 자른 면은 회갈색이고 각질이며 내피층의 고리무늬는 뚜렷하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쓰다.
강황(薑黃)은 덩이뿌리로 방추형이고 길이 25~45 mm, 지름 10~15 mm이며 한 쪽이 가늘고 긴 것도 있다. 바깥면은 회갈색 또는 회황색이며 세로주름이 있다. 횡단면은 주황색이고 바깥면은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매우 맵다.
광서아출(廣西莪朮)은 덩이뿌리로 긴 원뿔모양 또는 긴 원형이며 길이 20~65 mm, 지름 10~18 mm이다. 바깥면에는 얕은 세로주름 또는 거친 그물모양의 주름이 있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맵고 쓰다.
봉아출(蓬莪朮)은 덩이뿌리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5~35 mm, 지름 10~12 mm이며 비교적 굵고 크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담담하다.
울금은 전통적으로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생기(生肌)], 담(膽)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여 황달을 없애는 효능[이담퇴황(利膽退黃)], 통증을 그치게 하는 효능[정통(定痛)], 심열을 식히고 열기로 인해 기기(氣機)가 소통되지 않고 울체된 것을 풀어주는 효능[청심해울(淸心解鬱)], 어혈을 비교적 독하고 강한 거어약(祛瘀藥)을 사용하여 없애는 방법[파혈(破血)], 기(氣)를 소통시키고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효능[행기화어(行氣化瘀)]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에서, 추출물은 백화사설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고초 40~150 중량부, 팔월찰 30~120 중량부, 봉출 20~80 중량부 및 울금 20~80 중량부를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천연물 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의 추출방법으로는,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천연물 또는 한의약 분야의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혼합 생약 추출물은 추출용매로 추출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등일 수 있으며, 여기서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이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또는 디크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가 추출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1) 각각의 생약에 혼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계;
(2) 세척한 생약의 혼합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3)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4)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5) 농축액을 여과하는 단계; 및
(6) 여과한 농축액을 동결건조하는 단계.
단계 (1)의 세척은 1 ~ 5회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의 추출은 진탕 추출, Soxhlet 추출 또는 환류 추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추출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열수 추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준비된 생약 혼합물 전체 중량의 5 내지 20 배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 가압 추출시 온도는 60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80 ~ 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시간은 1 내지 24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의 추출물 여과는 여과매체(filtering medium)에 통과시켜서 세공보다 큰 입자가 막위에 퇴적되게 함으로써 유체로부터 고체입자를 분리하는 것이다. 예컨대, 단계 (2)에서 제조된 추출물은 통상적인 여과를 통해 여과될 수 있다.
단계 (4)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4)에서 추출액을 고형분 40 % 이상이 되도록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5)의 농축액 여과는 상술한 단계 (3)의 추출물 여과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중력 여과기, 진공 여과기, 가압 여과기, 압착 여과기, 원심 여과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6)의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자는 실험을 통해 백화사설초, 팔월찰, 하고초, 봉출 및 울금의 혼합 추출물에서 항암 효능이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백화사설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고초 40~150 중량부, 팔월찰 30~120 중량부, 봉출 20~80 중량부 및 울금 20~80 중량부의 비율로 약재를 혼합한 후 추출하여 제조된 혼합 추출물에서 간암, 폐암, 위암, 대장암, 유방암, 멜라노마, 췌장암 등 다양한 암종의 암 세포 증식 억제 내지 암세포 사멸 효과(실시예 1; 도 1a 내지 도 1b), 암의 발병 기전인 아폽토시스 억제 효과 또는 암 관련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실시예 2; 도 2a 내지 도 2c), 항암제인 소라페닙과 병용시 상승적 항암 효과(실시예 3; 도 3), 항암제 내성 암에 대한 항암 효과(실시예 4; 도 4a 내지 도 4c) 및 전이암에 대한 억제 효과(실시예 5; 도 5)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암 세포의 세포주기를 Sub-G1 주기로 유도하고(실시예 6; 도 6a 내지 도 6f), 활성 산소의 축적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실시예 7; 도 7a 내지 도 7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면역세포인 M1 대식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실시예 8; 도 8a 내지 도 8b), 암세포 및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유도함으로써(실시예 9; 도 9a 내지 도 9f) 면역체계 조절에 의한 항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암세포 증식에 필요한 신생혈관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0; 도 10). 따라서, 백화사설초, 팔월찰, 하고초, 봉출 및 울금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은 항암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암은 신체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자라난 덩어리를 의미하며,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양성종양이 비교적 성장 속도가 느리고 전이되지 않는 것에 반해 악성종양은 주위 조직에 침윤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신체 각 부위에 확산되거나 전이되어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따라서 악성종양을 암과 동일한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에 의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암은 특정 암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방암, 폐암, 위암, 간암, 혈액암, 뼈암, 췌장암, 흑색종, 피부암, 두경부암(head or neck cancer), 피부 또는 안구 흑색종, 자궁육종, 난소암, 직장암, 항문암, 대장암, 난관암, 자궁내막암, 자궁경부암, 소장암, 내분비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신장암, 연조직종양, 요도암, 전립선암, 기관지암 또는 골수암 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암은 간암, 폐암, 위암, 대장암, 췌장암, 흑색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암은 전이암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세포의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도 5).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 추출물은 전이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암은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암일 수 있다. 항암제 내성은 암세포를 사멸할 수 있는 혈중 농도에 도달할 수 있는 양의 항암제를 투여했음에도 불구하고 암세포가 사멸하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기존 항암화학요법을 이용한 암치료에 있어 장애가 되는 요소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소라페닙(sorafenib) 또는 레고라페닙(regorafenib)에 대한 약제 내성을 갖는 암으로 알려진 SNU475 세포주(도 4a)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 추출물 처리시 암세포 사멸과 암 전이 억제가 효과적으로 유도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도 4b 및 도 4c).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 추출물은 항암제 내성 암, 구체적으로 소라페닙 또는 레고라페닙과 같은 티로신 키나아제 (tyrosine kinase) 억제제 내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 추출물은 항암 요법의 개선을 위해 1종 이상의 항암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병용되는 항암제는 공지된 1종 이상의 항암제일 수 있고, 예컨대 표적 항암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준 항암제인 소라페닙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병용할 경우, 각각의 단일 요법 대비 항암 효과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실시예 3; 도 3).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 추출물은 단일 요법 뿐 아니라 종래 항암제와의 병용 요법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및 울금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은 본 발명에서 확인한 항암 효능을 발휘하면서, 한방원리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효능 극대화, 부작용 감소, 생체 이용률 개선, 복용 편의성 개선 등을 위해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에 가자, 하수오, 갈근, 치자, 우슬, 갈화, 택사, 감국, 호장근, 소계, 홍삼, 감송향, 감수, 황련, 감초, 파두, 강향, 천문동, 지구자, 강활, 녹두, 로얄젤리, 강황, 마치현, 대산, 개자, 낭독, 다엽가루, 갱미, 권삼, 마전자, 두시, 건강, 자소엽, 두충, 건율, 산조인, 건칠, 용안육, 검인, 겐티아나, 여정실, 견우자, 진교, 결명자, 도인, 독활, 백강잠, 복분자, 원지, 석창포, 경납, 토복령, 경천, 황백, 계관화, 지골피, 차전자, 계내금, 오가피, 계심, 산두근, 토목향, 계지, 현초, 계혈등, 대복피, 고량강, 자오가, 녹제초, 고목, 사프란, 오미자, 고본, 용규, 동충하초, 박하, 고삼, 사향, 고추, 백두옹, 곡기생, 곡아, 맥문동, 유백피, 반묘, 지각, 곡정초, 백지, 황기, 곤포, 백수오, 골쇄보, 자소자, 과체, 곽향, 우방자, 노봉방, 동과자, 노감석, 대황, 관동화, 마황근, 녹용, 마편초, 사간, 당약, 관중, 맥아, 괄루근, 광곽향, 신근초, 광금전초, 괴각, 삼백초, 내복자, 괴화, 동규자, 교이, 절패모, 구맥, 은시호, 지부자, 인삼, 녹각, 국화, 마황, 귀전우, 미시인, 사군자, 음양곽, 마인, 산약, 귀판, 비파엽, 애엽, 등심초, 숙지황, 구기자, 대자석, 상기생, 귤핵, 토사자, 방기, 석결명, 반지련, 위령선, 시호, 생지황, 부평, 금박, 의이인, 세신, 오령지, 백선피, 금앵자, 금은화, 산수유, 복령, 산사, 당귀, 금전초, 급성자, 우방근, 길초근, 나도근, 고련피, 행인, 익모초, 팔각회향, 육종용, 포공영, 낙석등, 노로통, 용담, 백두구, 노회, 산자고, 홍화, 녹반, 육계, 뇌환, 누고, 세네가, 현삼, 누로, 어성초, 청피, 오수유, 담죽엽, 자연동, 대계, 삼칠, 대극, 대두황권, 구자, 해인초, 석연, 대청엽, 삼릉, 대추, 동과피, 백합, 지룡, 동청, 지황, 등피, 어교, 와릉자, 등황, 마발, 만형자, 매괴화, 맹충, 면실자, 향부자, 죽력, 모과, 와송, 모려, 방풍, 사상자, 밀몽화, 목방기, 목별자, 목적, 권백, 아마인, 몰약, 무이, 문합, 송화분, 밀타승, 반대해, 속수자, 반변련, 반하, 은행엽, 차전초, 백과, 사인, 창이자, 백굴채, 저백피, 소두구, 연교, 조각자, 용아초, 백급, 여치핵, 익지, 미삼, 우황, 청호, 속단, 백렴, 지실, 백미, 한인진, 백반, 승마, 천남성, 요사, 칠피, 현호색, 석룡자, 백부근, 양파, 해방풍, 천궁, 상백피, 구척, 석송자, 진피, 대풍자, 석유황, 아교, 천마, 백자인, 정향, 하엽, 사삼, 수오등, 여로, 백전, 안식향, 백단향, 작약, 수질, 영양각, 옥죽, 초두구, 망초, 보골지, 황금, 보두, 자충, 토근, 복신, 부소맥, 용골, 비자, 오약, 다투라, 빈랑자, 연전초, 저담, 창출, 오공, 저령, 연자육, 자근, 사세, 아위, 회향, 신곡, 사원자, 연자심, 산내, 산초, 전갈, 용뇌, 상륙, 질려자, 저실자, 오매, 목근피, 해분, 해삼, 상산, 석예초, 접골목, 구절초, 적전, 별갑, 전호, 당삼, 영와, 상심자, 소합향, 후박, 석방풍, 길경, 죽여, 아선약, 사담, 정공등, 백편두, 천련자, 앵피, 선퇴, 시라자, 적석지, 형개, 상엽, 잠사, 오배자, 선복화, 자실, 단삼, 정공등, 영릉향, 상지, 황정, 지모, 모근, 장뇌, 생강, 열당, 선모, 육두구, 서장경, 초과, 해동피, 영실, 신이, 능소화, 백부자, 석고, 노근, 인동, 인진호, 석곡, 괄루인, 백초상, 석류, 석위, 천패모, 섬수, 목단피, 해송자, 석종유, 부자, 백출, 양제근, 적소두, 흑두, 섬서, 자완, 오약, 센나엽, 정력자, 소목, 합개, 천축황, 목향, 상표초, 영지, 쇄양, 택란, 시체, 청대, 해조 중 1종 이상의 생약을 더 포함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암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천연물 또는 한의약 분야의 공지 문헌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는 생약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의 항암 효과는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에 따른 상승 효과에 따른 것으로, 상기 열거된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 또는 공지된 1종 이상의 다른 생약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생약 추출물의 항암 용도 제공이라는 발명의 목적이 달성됨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암세포의 전이 억제, 세포 사멸 유도 또는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 등을 통해 항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투여로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치료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완치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 조성물은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1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 및/또는 항암제 또는 첨가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암종에서 암세포의 증식 및 전이를 억제함으로써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단순 희석제인 물, 액상 파라핀 및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시 피하주사, 정맥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1 내지 3,000 mpk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욱 상세하게는 1일 0.01 내지 1,000 mpk로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항암 치료를 위해 종래의 항암 요법과 병용하여 상용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암이 이미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1종 이상의 식품 성분 및/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정처에서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 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에서, 혼합 생약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식품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음료, 껌, 비타민 복합제, 드링크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으로는 복용하기 편한 건강기능성 음료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릴톨 등의 당알콜이 있다. 또한,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및 울금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항암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 세포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과 항암제인 소라페닙의 병용이 암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항암제인 소라페닙에 내성을 갖는 암 세포 사멸과 전이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 세포의 전이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고,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 세포 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 세포의 활성 산소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면역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혈관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에 포함되는 약재(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울금 등)을 어진8한의원에서 구입하여 열수 추출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백화사설초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고초 40~150 중량부, 팔월찰 30~120 중량부, 봉출 20~80 중량부 및 울금 20~80 중량부의 비율로 약재를 혼합한 후, 약재의 약 10배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하여 추출기에서 100 ℃의 온도로 2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된 혼합 생약 추출물을 표준 시험 시브(체)(150 ㎛, Retsch, Han, 독일)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동결 건조 조건으로는 -30 ℃의 온도로 6 시간 동안 건조 후 30 ℃ 온도 도달시 4시간 건조를 하여 건조 상태에 따라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상기 동결 건조된 혼합 생약 추출물 분말(50 ㎎)을 1 ㎖의 증류수에 녹이고, 0.22 ㎛의 디스크 필터를 통해 필터링한 다음, 사용하기 전까지 -20℃에 보관하였다.
혼합 생약 추출물과 단일 생약 추출물의 비교 실험을 위해, 단일 생약에 해당하는 백화사설초(비교예 1), 하고초(비교예 2), 팔월찰(비교예 3), 봉출(비교예 4) 및 울금(비교예 5) 추출물을 혼합 생약 추출물과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 1 내지 10의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대표하는 약재 조성인 제조예 1(백화사설초 123 g, 하고초 62 g, 팔월찰 92 g, 봉출 62 g 및 울금 62 g)을 기준으로 혼합 생약 추출물을 제조한 후 항암 효과 관련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제조예 1과 함량을 달리한 제조예 2 내지 5를 제조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여 항암 관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조성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단위: g).
[표 1]
Figure pat00001
<실시예 1> 혼합 생약 추출물의 암 세포 사멸 효과
기원 및 특징을 달리하는 암세포주 Huh7 (간암), H460 (폐암), A549 (폐암), AGS (위암), HT29 (대장암), MDA-MB231 (유방암), A375 (멜라노마), MiaPaCa-2 (췌장암), SNU213 (췌장암)을 이용하여 혼합 생약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및 세포 사멸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암 세포는 H460(ATCC, #HTB-177), A549(ATCC, #CRM-CCL-185), AGS(ATCC, #CRL-1739), HT29(ATCC, #HTB-38), MDA-MB231(ATCC, #CRM-HTB-26), MiaPaCa-2(ATCC, #CRM-CRL-1420), SNU213(KCLB, #00213), A375(ATCC, #CRL-1619)를 사용하였다.
모든 암 세포주는 10% FBS(GIBCO, #GIB-26140-079),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GIB-15140-12)이 포함된 배지에 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암세포주 중 A549, AGS, H529, MDA-MB231, MiaPaCa-2, A375에 대해서는 DMEM-high glucose (Welgene #LM001-05)를 사용하였고, H460, SNU213에 대해서는 RPMI-1640 (Welgene #LM011-03)를 사용하였다. 암 세포주는 2~3 일에 한 번씩 계대 배양하여 37 ℃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사멸능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간암(Huh7), 폐암(H460, A549), 위암(AGS), 대장암(HT29), 유방암(MDA-MB231), 췌장암(MiaPaCa-2, SNU213), 흑색종(A375) 암세포주를 384-웰 플레이트에 4,000 세포/40 μl/웰 또는 2,000 세포/40 μl/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그 다음, 24시간 동안 밤새 인큐베이션 후 10 μl/웰의 농도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뒤, 37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48 시간 후, 40 μl/웰의 배지를 걷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30 μl/웰을 넣은 뒤 10 분간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DPBS로 세척 후 3 μl/ml 농도의 Hoechst33342로 핵 염색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DPBS로 2번 세척 후 Operetta로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다양한 암세포주에 1~50 mg/ml 농도의 혼합 생약 추출물 처리시 항암 효과가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즉,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다양한 암종인 간암, 폐암, 위암, 대장암, 유방암, 췌장암, 흑색종에서 암 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a 및 도 1b).
본 발명의 제조예 2 내지 5의 조성물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암종에 대한 사멸 효과를 측정한 결과, 제조예 1과 마찬가지로 암 세포를 효과적으로 사멸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의 암 세포 사멸 효과는, 혼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일 약재 추출물과 비교하여서도 우수한 수치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암 관련 단백질 발현에 대한 혼합 생약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 관련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암 관련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먼저, 암 관련 유전자인 PARP/Cleaved PARP, Histone H3, UBE2C, PLK1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cleaved caspase-3(abcam, #ab2302) PARP & cleaved PARP(Cell signaling, #9532S), p-Histone H3 Ser10(Cell signaling #53348S), UBE2C(cell signaling #4234S), PLK1(Cell signaling #4513S), Apolipoprotein A1(abcam, #ab7613), Apolipoprotein B(Novusbio #NBP2-37598), Apolipoprotein E(abcam, #ab1906), β-actin(Sigma-Aldrich, #A5441)을 각각의 입수처로부터 준비하였다.
실험을 위해, Huh7, Hep3B, SNU475 세포를 100 mm² 디쉬에 70% confluence로 시딩하였다. 다음날 본 발명의 추출물 처리 후, 48 시간 동안 37 ℃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15번 농도 : 5번 희석). 그 다음, 세포를 수확한 후 e-튜브로 펠렛을 샘플링하고, 프로토콜에 따라 단백질 추출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표적 단백질 변화를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2a 및 도 2b)
그 다음, 암 관련 유전자인 SNAIL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N-Cadherin(abcam, #ab76057), snail(Cell signaling, #3879S), a-SMA(abcam, #ab5694), β-actin(Sigma-Aldrich, #A5441)을 각각의 입수처로부터 준비하였다.
실험을 위해, Huh7 간암 세포주를 100-mm 디쉬에 600,000 세포/6 ml/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그 다음, 37 ℃ 인큐베이터에서 16시간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0, 1, 5, 10mg/ml의 농도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그 후, 37 ℃ 인큐베이터에서 48 시간 배양 후 세포를 수확한 뒤 e-튜브로 펠렛을 샘플링하였다. 그 다음, 프로토콜에 따라 단백질 추출 후 타겟 단백질 수준의 변화를 웨스턴블롯팅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암 세포의 아폽토시스에 관여하는 단백질(cleaved Caspase-3 및 PARP) 발현을 증가시키고(도 2a), 암 세포 증식 관련 단백질(p-Histone H3, UBE2C, PLK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도 2b)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암의 전이 억제에 관여하는 단백질(N-cadherin, α-SMA, Snail)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점도 추가로 확인하였다(도 2c).
<실시예 3> 항암제와 병용된 혼합 생약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종래 항암제와 병용될 경우 암 세포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병용 항암제로는 간암 세포에 대한 표준 항암 치료제로 알려져 있는 소라페닙(sorafenib)을 사용하였다.
소라페닙 병용에 따른 세포 생존능 측정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Huh7 세포주를 384 웰 플레이트에 약 2,000 세포/40 μl/웰의 밀도로 시딩하고, 24 시간 밤새 인큐베이션 후 10μl/웰로 소라페닙 0, 1, 3 μM과 본 발명의 추출물 0, 1, 5 mg/ml을 조합하여 처리한 뒤, 37 ℃ 인큐베이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48시간 후, 40 μl/웰의 배지를 걷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30 μl/웰 넣은 뒤 10분간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DPBS로 세척 후, 3 μl/ml 농도의 Hoechst33342로 핵 염색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실시하였다. 그 다음, DPBS로 2 번 세척 후, Operetta로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Operett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계수하여 세포의 생존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소라페닙과 병용시 항암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4> 항암제 내성 암에 대한 혼합 생약 추출물의 효과
기존 항암제에 내성을 갖는 암에 대해,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 처리시 항암 효과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항암제인 소라페닙에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SNU475 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동일한 암종 세포주인 Huh7, Hep3B와 함께 비교하였다. 도 4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암세포 중 Huh7, Hep3B 세포주에 소라페닙을 처리할 경우, 0, 1, 3μM 구간에서 항암 효과가 나타나는 반면, SNU475 세포주에서는 항암 효과에 내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NU475 세포주는 소라페닙 외에도 항암제인 레고라페닙(regorafenib)에 대해서도 강한 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 생존능 측정을 위해, 3 가지 간암세포주(Huh-7, Hep3B, SNU475)를 384-웰 플레이트에 2,000 세포/40μl/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16 시간 인큐베이션 후 10 μl/웰의 농도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후, 48 시간 동안 37 ℃ 인큐베이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48 시간 후, 40 μl/웰의 배지를 걷고 4% 파라포름알데히드를 30 μl/웰 넣고 10 분간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DPBS로 세척 후, 3 μl/ml 농도의 Hoechst33342로 핵 염색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실시하였다. 그 후, DPBS로 2번 세척 후, Operetta로 이미지를 획득하고, Operett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계수하여 세포 생존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소라페닙 또는 레고라페닙과 같은 항암제 내성 암인 SNU475에서도 항암제에 내성을 갖지 않는 Huh-7 및 Hep3B와 마찬가지로 항암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였다(도 4b).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항암제 내성 암에서 전이 억제 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해, 후술되는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전이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항암제 내성 암인 SNU475에서 암 세포 사멸 효과 외에도 전이 억제 효과 역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도 4c).
<실시예 5> 혼합 생약 추출물의 암 전이 억제 효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암 전이 측정을 위한 이동 분석(migration assay)을 수행하였다.
이동 분석 실험을 위해, Huh7 세포주를 12-웰 플레이트에 300,000 세포/2 ml/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그 다음, 16 시간 동안 37 ℃ 인큐베이터에서 밤새 인큐베이션 후 200 μl 팁으로 웰 중앙에 스크래치를 내어 wound를 생성하였다. DPBS로 세척한 후 본 발명의 추출물을 0, 1, 5, 10mg/ml의 농도로 처리 한 뒤 wound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그 후, 37 ℃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인큐베이션 후 세포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고 wound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에 의한 암 전이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도 5).
<실시예 6> 암 세포 주기에 미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의 세포 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Sub-G1 분석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 Huh7, SNU475 세포주를 100 mm 디쉬에 약 70~80% 밀도로 시딩하였다. 그 다음, 37 ℃ 인큐베이터에서 밤새 인큐베이션 후 본 발명의 추출물을 0, 1, 5 mg/ml의 농도로 처리 후, 37 ℃ 인큐베이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 처리 6, 12, 24, 48시간 후 배지와 세포를 모두 수확하여 PBC로 세척 후, 70% 에탄올로 고정하여 -20 ℃에서 보관하였다. 각 샘플에 PI/RNase staining solution을 넣고, FACS 분석을 실시하였다. FACS를 통한 PI 염색 정도를 분석하여 세포분열의 패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암 세포의 Sub-G1 세포주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암세포 증식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6a 내지 도 6c). 추가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항암제(소라페닙) 내성 암에서도 Sub-G1 세포주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d 내지 도 6f).
<실시예 7> 암 세포의 활성산소 축적에 미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 세포에서 활성산소의 생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암 세포 사멸 효과에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ROS 측정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 Huh7, Hep3B 세포주를 384-웰 플레이트에 5,000 세포/40 μl/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그 다음, 37 ℃ 인큐베이터에서 밤새 인큐베이션 후 본 발명의 추출물을 0, 1, 5, 10 mg/ml의 농도로 처리 후 37 ℃ 인큐베이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 처리 1, 3, 6 시간 후 배지를 걷어내고 1,000x H2DCFDA (ROS detection reagent)를 배양액에 1x 농도로 희석 후 3μl/ml Hoechst와 함께 10 분간 37 ℃ 인큐베이터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배지를 다시 걷어내고 DPBS로 빠르게 세척 후, Operetta로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Operett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세포수 및 ROS 세기를 분석하여 ROS생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암 세포 내 활성산소의 축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암세포 증식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7a 내지 도 7d).
<실시예 8> 면역세포에 미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면역세포의 증식을 통해 항암 효과에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M1 대식세포를 이용한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 C57BL/6J 마우스에서 획득한 BMDM (Bone-marrow-derived macrophage) 세포를 페트리 디쉬에서 M-CSF 50 ng/ml을 처리하여 7 일간 배양 후, 5 ng/ml M-CSF (24h) 처리된 BMDM을 384-웰 플레이트에 2.5 x 10³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그 다음, BMDM가 시딩된 384-웰 플레이트에 PBS (M0 macrophage 배양조건), LPS 50 ng/ml, IFN-γ 20ng/ml (M1 macrophage 배양조건), IL-4, IL-13 50ng/ml (M2 macrophage 배양조건), 본 발명의 추출물 1, 5, 10 mg/ml을 처리한 후, 24 시간동안 인큐베이션. 그 후, 배지를 걷어내고 DPBS로 세척 후, WGA488 (세포 전체 형태 분석용) 및 Hoechst33342 (핵 형태 분석 및 세포 독성 분석) 염색을 실온에서 10 분 동안 실시하였다. DPBS로 빠르게 세척 후, Operetta로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Operett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세포수 및 세포 형태 분석을 통하여 Macrophage polarization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면역세포인 M1 대식세포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8a 내지 도 8b).
<실시예 9>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 세포 또는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면역 활성화를 통한 항암 효과에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Huh7 세포에 대한 proteome profiler human cytokine array 실험을 위해, Huh7 세포를 100mm 디쉬에 700,000 세포/디쉬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그 다음, 16시간 37 ℃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본 발명의 추출물을 0, 1, 5 mg/ml의 농도로 각 세포에 처리하여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48 시간 후 수확된 세포를 RIPA-buffer로 lysis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200 μg의 단백질을 얻어 Human cytokine array detection antibody cocktail과 섞은 혼합물을 멤브레인과 함께 rocking platform shaker에서 4℃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16시간 후, 멤브레인을 10분씩 두 번 세척한 후 Streptavidin-HRP이 희석된 array buffer에 멤브레인을 넣어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멤브레인을 10 분씩 두 번 세척한 후, Chemi Reagent mixture를 멤브레인에 처리하고 Luminograph Gel image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암세포에서 사이토카인 생성을 촉진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도 9a 내지 도 9c).
THP-1에 대한 proteome profiler human cytokine array 실험을 위해, 먼저 THP-1 세포주는 ATCC (cat no. TIB-202)에서 입수하였다. THP-1 세포를 100 mm 디쉬에 1,000,000 세포/디쉬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16 시간 동안 37 ℃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본 발명의 추출물을 0, 1, 5 mg/ml의 농도로 각 세포에 처리하여 37 ℃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48 시간 후 수확된 세포를 RIPA-buffer로 lysis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200 μg의 단백질을 얻어 Human cytokine array detection antibody cocktail과 섞은 혼합물을 멤브레인과 함께 rocking platform shaker에서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16시간 후, 멤브레인을 10분씩 두 번 세척한 후, Streptavidin-HRP이 희석된 array buffer에 멤브레인을 넣어 30 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멤브레인을 10 분씩 두 번 세척한 후, Chemi Reagent mixture를 멤브레인에 처리하고 Luminograph Gel image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면역세포에서 사이토카인 생성을 촉진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도 9d 내지 도 9f).
<실시예 10> 혈관 생성에 미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의 효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암 세포 또는 면역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면역 활성화를 통한 항암 효과에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HUVEC 세포주는 Promocell (cat no. C-12208)을 사용하였다. 먼저, 96-웰 플레이트에 growth factor-reduced Matrigel 100 μl를 분주한 후, 상온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다음, 70-80%의 confluency로 배양한 HUVEC 세포를 3시간 동안 serum starvation시켰다. HUVEC 세포를 플레이트에서 떼어낸 후, 무혈청 DMEM으로 재현탁한 뒤 200,000 개의 세포를 4,0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버린 후, 본 발명의 추출물 0, 1, 5mg/ml로 희석된 배양액 500 μl(FBS 최종 농도가 1%가 되도록)에 풀어준 뒤 Matrigel이 도포된 96-웰 플레이트에 40,000cells/웰을 시딩하였다. 그 후, 37 ℃ 인큐베이터에서 4-6 시간 배양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튜브 형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암세포 증식에 필요한 혈관생성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도 10).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다양한 암종에서 항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생약 추출물은 항암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1)

  1. 백화사설초, 하고초, 팔월찰, 봉출 및 울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0220059340A 2021-11-17 2022-05-16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230072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340A KR20230072381A (ko) 2021-11-17 2022-05-16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287A KR102400607B1 (ko) 2021-11-17 2021-11-17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0220059340A KR20230072381A (ko) 2021-11-17 2022-05-16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287A Division KR102400607B1 (ko) 2021-11-17 2021-11-17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381A true KR20230072381A (ko) 2023-05-24

Family

ID=817998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287A KR102400607B1 (ko) 2021-11-17 2021-11-17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0220059340A KR20230072381A (ko) 2021-11-17 2022-05-16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287A KR102400607B1 (ko) 2021-11-17 2021-11-17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434531A1 (ko)
KR (2) KR102400607B1 (ko)
CN (1) CN118265533A (ko)
AU (1) AU2022394196A1 (ko)
CA (1) CA3238917A1 (ko)
TW (1) TW202327636A (ko)
WO (1) WO20230908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607B1 (ko) * 2021-11-17 2022-05-30 에이치앤오바이오시스(주)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WO2023146250A1 (ko) 2022-01-28 2023-08-03 케이디바이오 주식회사 8-파라돌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90150B1 (ko) * 2022-11-15 2023-10-18 이재형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978B1 (ko) * 2001-09-13 2004-04-06 조정원 항암 및 암 전이 억제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526639B1 (ko) * 2002-09-23 2005-11-08 김우영 위암에 대한 항암 및 제암 효과를 갖는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22610A (ko) * 2004-09-07 2006-03-10 박동순 암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120122427A (ko) * 2011-04-29 2012-11-07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1900802B1 (ko) * 2016-09-22 2018-11-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치석웅황, 백화사설초 및 단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KR102400607B1 (ko) * 2021-11-17 2022-05-30 에이치앤오바이오시스(주)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607B1 (ko) 2022-05-30
TW202327636A (zh) 2023-07-16
CA3238917A1 (en) 2023-05-25
CN118265533A (zh) 2024-06-28
EP4434531A1 (en) 2024-09-25
AU2022394196A1 (en) 2024-06-06
WO2023090881A1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607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023780B1 (ko) 감송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20150037109A (ko)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85774B1 (ko) 대장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66910A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CN107951915A (zh) 用于改善心血管提高免疫力和抗肿瘤的平卧菊三七提取物
KR20120109785A (ko)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230160977A (ko) 항암 치료에 사용되는 5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
KR20120111125A (ko) 마자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101752484B1 (ko) 백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558650B1 (ko) 해마 및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7106A (ko)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환
JP2024540530A (ja) 混合生薬抽出物を含む癌の予防又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及び健康機能食品
KR102459271B1 (ko) 백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20120021283A (ko) 육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2432990B1 (ko) 청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암 예방 및 피부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500582B1 (ko) 감송향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 췌장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82338B1 (ko) 두충 추출물 및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22437A (ko)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230118417A (ko) 바이러스 원인, 사구체신염 및 신장염 치료
KR101385658B1 (ko) 익지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han et al. Medicinally Important Edible Fruits
KR20120122413A (ko)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