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228A -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 Google Patents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228A
KR20230072228A KR1020210158750A KR20210158750A KR20230072228A KR 20230072228 A KR20230072228 A KR 20230072228A KR 1020210158750 A KR1020210158750 A KR 1020210158750A KR 20210158750 A KR20210158750 A KR 20210158750A KR 20230072228 A KR20230072228 A KR 20230072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pressure air
water suppl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석
Original Assignee
강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석 filed Critical 강형석
Priority to KR102021015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228A/ko
Publication of KR20230072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3Arrangements specially designed for simultaneous and parallel cleaning of a plurality of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5Control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3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내부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동시에 투입하여 부식과 이물질의 점착에 의한 상수도관 내벽의 스케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은 상수도관의 세척범위를 설정하는 준비 단계,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상수도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 단계,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주배관의 말단부를 천공하여 배출공을 형성하고, 각 분배관의 말단부를 천공하여 투입공을 형성하는 천공 단계, 배출공에 배출 밸브를 설치하고 투입공에 투입 밸브를 설치하는 설치 단계,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동시에 투입하여 상수도관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 단계 및, 배출 밸브와 투입 밸브를 제거하고 배출공과 투입공의 원상복구를 실시하는 복구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Water pipe cleaning method using washing water and high pressure air}
본 발명은 상수도관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관의 내부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동시에 투입하여 부식과 이물질의 점착에 의한 상수도관 내벽의 스케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 건물이나 상가용 건물 등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을 상수도관이라고 하며, 이러한 상수도관에는 다양한 관종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내구성이 가장 뛰어난 금속관의 사용량이 가장 높은 실정이다.
그러나 금속관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빠르게 부식이 진행되게 되는데, 부식에 의해 표면에 생성되는 녹과 이물질의 점착에 의한 스케일은 상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수돗물의 수질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관경을 점차 좁게함으로써 수돗물의 공급 효율에도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금속관을 대신하여 보다 저렴하고 안정성이 높은 플라스틱관의 사용이 권장되고 있고, 노후화에 따라 교체가 필요한 상수도관에 대해서는 금속관에서 플라스틱관으로의 교체가 실시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상수도관의 전체 구간에 비해 극히 일부일 뿐이므로 현재로서는 노후화된 상수도관의 세척을 통한 관리가 최선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수도관의 내부 세척을 위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3739호의 “수도관 세척 방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0301호의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3739호의 “수도관 세척 방법”에는 수도관의 내부로 진입하여 추진하는 세척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그 수도관의 내부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0301호의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에는 상수도관을 절단하지 않고 분출구를 설치한 상태에서 그 상수도관에 연결된 소화전으로 질소를 투입하여 녹물이 분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상수도관의 세척에 필요한 여러 작업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하는 바, 결과적으로는 상수도관의 세척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그리고 비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도록 하는 공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 중 하나에 포함된 추진형 세척 장치는 직선의 구간에서만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두 개의 상수도관이 교차하는 형태로 연결되는 구간에서는 추진 방향의 전환이 불가능한 한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막다른 곳에 이르러서는 상수도관의 내벽에 충돌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 중 다른 하나인 고압의 질소를 이용하는 방식은 질소의 유출이나 폭발사고 등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여 작업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안전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상수도관의 내부로 진입하여 추진하는 추진형 세척 장치나 상수도관의 내부로 고압의 질소를 투입하는 질소투입 장치의 구비를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세척 장치나 질소투입 장치의 구비와 운용에 따른 비용의 현저한 증가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여, 기본적으로는 신속하고 뛰어난 세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세척하고자 하는 상수도관 구간의 형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아니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나 방법 등에 관한 새로운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3739호(2019. 10. 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0301호(2020. 08. 26.)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상수도관의 내부로 진입하여 추진하는 추진형 세척 장치를 이용하는 종래의 발명은 그 세척 장치를 직선의 구간에서만 이용이 가능한 한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고,
상수도관의 내부 세척에 고압의 질소를 이용하는 종래의 발명은 질소의 유출이나 폭발사고 등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여 작업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안전성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종래의 발명들은 모두 추진형 세척 장치나 질소투입 장치의 구비와 운용에 따른 비용의 현저한 증가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나의 주배관과 다수의 분배관을 포함하도록 상수도관의 세척범위를 설정하고, 그 세척범위에 포함된 각 분배관의 말단부로부터 주배관의 말단부까지 이어지는 다수의 세척구간을 구분하여 설정하며, 각 세척구간의 세척순서를 결정하는 준비 단계;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상수도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 단계;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주배관의 말단부를 천공하여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배출되는 하나의 배출공을 형성하고, 배출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각 분배관의 말단부를 세척순서에 따라 천공해가며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투입되는 투입공을 하나씩 형성하는 천공 단계;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배출을 위한 배출 밸브를 배출공에 설치하고, 배출 밸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투입을 위한 투입 밸브를 세척순서에 따라 투입공에 설치하는 설치 단계;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여 세척순서에 따른 세척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 밸브를 통해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세척구간을 순차적으로 세척하는 세척 단계; 및, 세척이 완료된 분배관에 설치된 투입 밸브를 제거하고, 기설정된 세척범위가 모두 세척되면 주배관에 설치된 배출 밸브를 제거하며, 투입 밸브 또는 배출 밸브가 제거된 상태인 투입공과 배출공의 원상복구를 실시하는 복구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은,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동시에 이용하여 상수도관의 내벽에 대한 세척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므로, 세척하고자 하는 상수도관 구간의 형태에 관계없이 신속하고 효율적인 세척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의 발명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의 각 단계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준비 단계에 의하여 상수도관의 세척범위와 세척구간이 설정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천공 단계의 실시를 위한 지지부와 천공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척 단계의 실시를 위하여 지지부에 투입 밸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점검 단계가 부가된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척 단계에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상수도관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주배관과 다수의 분배관을 포함하도록 상수도관의 세척범위를 설정하고, 그 세척범위에 포함된 각 분배관의 말단부로부터 주배관의 말단부까지 이어지는 다수의 세척구간을 구분하여 설정하며, 각 세척구간의 세척순서를 결정하는 준비 단계(S100);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상수도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 단계(S110);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주배관의 말단부를 천공하여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배출되는 하나의 배출공을 형성하고, 배출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각 분배관의 말단부를 세척순서에 따라 천공해가며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투입되는 투입공을 하나씩 형성하는 천공 단계(S120);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배출을 위한 배출 밸브를 배출공에 설치하고, 배출 밸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투입을 위한 투입 밸브를 세척순서에 따라 투입공에 설치하는 설치 단계(S130);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여 세척순서에 따른 세척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 밸브를 통해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세척구간을 순차적으로 세척하는 세척 단계(S140); 및, 세척이 완료된 분배관에 설치된 투입 밸브를 제거하고, 기설정된 세척범위가 모두 세척되면 주배관에 설치된 배출 밸브를 제거하며, 투입 밸브 또는 배출 밸브가 제거된 상태인 투입공과 배출공의 원상복구를 실시하는 복구 단계(S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준비 단계(S100)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세척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가장 선순위로 실시하여야 하는 단계이며, 신속하고 효율적인 세척작업의 실시를 위한 사전 준비의 목적으로 실시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자는 주로 지하에 매설된 상태인 상수도관이 표시된 지도와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하나의 주배관과 다수의 분배관을 포함하도록 상수도관의 세척범위를 설정할 수 있고, 그 세척범위에 포함된 각 분배관의 말단부로부터 주배관의 말단부까지 이어지는 다수의 세척구간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각 세척구간의 세척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설정하는 세척범위에 하나의 주배관과 다수이 분배관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구간만을 대상으로 세척을 실시하도록 구성되는 종래의 발명들에 비해 넓은 범위의 상수도관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은 작업자가 설정하는 세척범위에 하나의 주배관에 하나의 분배관만이 포함될 수도 있으나, 다수의 주배관을 포함하는 것은 일정한 세척효과의 보장을 위해 지양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준비 단계(S100)에 의하여 설정되는 다수의 세척구간은 대부분이 세척범위에 포함된 다수의 분배관 중 어느 하나의 분배관으로부터 시작하되 최종적으로는 주배관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주배관에서 서로 중복되는 구간을 가지게 된다.
이때, 각 세척구간의 세척순서를 결정하는 순서에는 정해진 바는 없으나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세척범위에 포함된 주배관의 말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한 분배관의 말단부를 포함하는 세척구간을 1순위로 하고, 그 분배관과 가장 인접한 다른 분배관을 포함하는 세척구간을 2순위로 하는 방식으로 세척순서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상기한 방식과 반대되는 방식으로 세척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배수 단계(S110)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세척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상기 준비 단계(S100)의 후순위로 실시하여야 하는 단계이며, 준비 단계(S100)에서 작업자가 설정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상수도관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즉, 세척범위에 포함된 상수도관의 내부에 잔류하는 물의 양이 많을수록 이후의 과정에 의하여 그 상수도관의 내부로 투입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에 의한 세척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에 앞서 상기 배수 단계(S110)의 실시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와 같은 배수 단계(S110)에 의한 배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투입이 실시되기 전까지 충분하게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자는 상기 준비 단계(S100)에서 작업자가 설정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폐쇄함으로써 그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상수도관 내부로의 물의 유입은 차단될 수 있도록 하되 그 내부의 물은 세척범위를 벗어난 상수도관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수 단계(S110)에 의하여 차단 또는 폐쇄되는 차단밸브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상수도관의 전체가 세척될 때까지 차단 또는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가 종료된 후에는 다시 개방되어야 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천공 단계(S120)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세척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상기 배수 단계(S110)의 후순위로 실시하거나 배수 단계(S110)와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단계이며, 상기 준비 단계(S100)에서 설정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상수도관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투입하고, 세척에 이용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사전 준비의 목적으로 실시된다.
즉, 본 발명의 작업자는 상기 준비 단계(S100)에서 본인이나 다른 작업자가 설정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주배관의 말단부의 상부측을 천공하여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배출되는 하나의 배출공을 형성할 수 있고, 배출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각 분배관의 말단부의 상부측을 세척순서에 따라 천공해가며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투입되는 투입공을 하나씩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공은 원통형인 주배관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입공이 형성되는 위치 또한 원통형인 분배관의 최상단인 것이 바람직하나 배출공과 투입공 모두 어느 정도의 오차는 허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자는 주배관의 말단부를 천공하여 배출공을 형성한 상태에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분배관에 천공하는 방식으로 상기 천공 단계(S120)를 실시한 후 다음의 단계를 실시할 수 있으나, 각 분배관의 말단부를 세척순서에 따라 천공해가며 세척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실시 방식의 선택은 본 발명의 실시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 단계(S120)에는 양측 말단부에 나사 결합을 위한 수평의 플렌지가 형성되는 반원형의 하부 프레임(101)과, 양측 말단부에 나사 결합을 위한 수평의 플렌지가 형성되고 편평하게 형성된 상단과 반원형의 하단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01)과 결합하는 상부 프레임(1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배관 또는 분배관에 설치될 수 있는 지지부(100)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 단계(S120)에는 상기 상부 프레임(102)의 상단에 결합되는 본체(111)와 본체(111)의 하단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승강하는 드릴(112) 그리고 드릴(112)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11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주배관에 배출공을 형성하거나 분배관에 투입공을 형성할 수 있는 천공부(110)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자는 원통형인 주배관 또는 분배관의 상부측에 상기 상부 프레임(102)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01)을 볼트 체결에 의해 상부 프레임(102)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1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주배관 또는 분배관에 설치된 지지부(100)의 상단에 상기 천공부(110)를 결합시킨 후 구동 모터(113)를 구동시킴으로써 회전하며 하강하는 드릴(112)에 의해 배출공 또는 투입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설치 단계(S130)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세척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상기 천공 단계(S120)의 후순위로 실시하여야 하는 단계이며, 천공 단계(S120)의 목적과 동일하게 상기 준비 단계(S100)에서 설정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상수도관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투입하고, 세척에 이용된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사전 준비의 목적으로 실시된다.
즉, 본 발명의 작업자는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출 밸브를 배출공에 설치하고, 배출 밸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투입을 위한 투입 밸브를 기설정된 세척순서에 따라 투입공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 밸브를 배출공에 설치한다는 것은 배출공의 상방에 배출 밸브를 위치시킴으로써 그 배출공을 통해 상수도관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배출 밸브를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나의 배출 라인을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투입 밸브를 투입공에 설치한다는 것은 투입공의 상방에 투입 밸브를 위치시킴으로써 그 투입 밸브를 통해 투입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투입공을 통해 상수도관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나의 투입 라인을 형성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자는 배출 밸브를 배출공에 설치한 상태에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분배관의 투입공에 투입 밸브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설치 단계(S130)를 실시한 후 다음의 단계를 실시할 수 있으나, 기설정된 세척순서에 따라 각 분배관의 투입공에 투입 밸브를 설치해가며 세척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실시 방식의 선택은 본 발명의 실시에 참여하는 작업자의 수나 작업자의 숙련도 그리고 구비된 투입 밸브의 개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업자는 주배관 또는 분배관에 설치된 상태인 지지부(100)에 결합된 천공부(110)를 그 지지부(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관통홀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의 상단에 미리 구비된 배출 밸브 또는 투입 밸브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 밸브와 상기 투입 밸브는 기본적으로는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투입 밸브에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별개로 형성되되 배출 밸브에는 배출구가 하나로 형성되는 점에서 형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측의 내부에 압력의 측정을 위한 압력 센서가 구비되는 점에서 구성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작업자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공급을 위한 세척수 공급 라인과 고압 에어 공급 라인을 각각 상기 투입 밸브에 연결하여야 하며, 상기 배출 밸브에는 그 배출 밸브의 형상과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동시에 배출되는 배출 라인이 연결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설치 단계(S130)에 의하여 설치된 투입 밸브로 고압 에어를 투입하여 상수도관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시키고,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다시 고압 에어를 투입하여 상수도관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점검하는 점검 단계(S131)를 더 포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점검 단계(S131)에서는 상기 배수 단계(S110)의 실시 후에도 상수도관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강제로 배수시킴으로써 이후의 단계에서 실시되는 세척의 효과가 충분히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점검 단계(S131)에서는 세척의 실시전 상수도관의 내부가 에어로 가득채워질 때까지 고압 에어를 투입한 상태에서 그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일정시간의 경과 후 다시 내부의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상수도관의 손상을 점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상수도관에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에는 세척 단계(S140)의 실시에 앞서 상수도관의 손상부위를 발견하고 보수하는 보수 단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세척 단계(S140)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세척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상기 설치 단계(S130)의 후순위로 실시하여야 하는 단계이며, 상기 준비 단계(S100)에서 설정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상수도관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척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즉, 본 발명의 작업자는 상기 준비 단계(S100)에 의하여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여 세척순서에 따른 세척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 밸브를 통해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세척구간을 순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업자는 제1 순위로 설정된 세척구간에 설치된 투입 밸브와 배출 밸브 사이의 모든 차단 밸브를 개방하되, 그 외의 다른 모든 차단 밸브는 차단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투입 밸브를 통해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제1 순위로 설정된 세척구간을 세척할 수 있고, 이와 동일한 방식을 반복하여 후순위로 설정된 모든 세척구간을 순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배출 밸브와 상기 투입 밸브를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상수도관의 세척을 실시할 수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밸브가 차단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세척을 시작하되 세척이 실시되는 세척구간의 내부에 일정수준 이상의 압력이 형성되면 배출 밸브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수도관 내부에서의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유속이 증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수도관 내부에서의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부식과 이물질의 점착에 의한 상수도관 내벽의 스케일은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한 방식에 의하여 상수도관 내부에 일정수준 이상의 압력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작업자에 의한 배출 밸브의 수동 개방에 위험성이 뒤따르게 되므로 본 발명은 배출 밸브를 내부에 압력 센서가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함으로써 상수도관 내부에 일정수준 이상의 압력이 형성될 때 배출 밸브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복구 단계(S150)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상수도관을 세척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상기 세척 단계(S140)의 후순위로 실시하여야 하는 단계이며, 상기 천공 단계(S120)에 의하여 투입공과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 단계(S130)에 의하여 투입 밸브와 배출 밸브가 설치된 상태인 상수도관의 일부분을 원래의 상태로 원상복구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즉, 본 발명의 작업자는 상기 세척 단계(S140)의 실시에 의하여 세척이 완료된 분배관에 설치된 투입 밸브를 제거할 수 있고, 기설정된 세척범위가 모두 세척되는 경우에는 주배관에 설치된 배출 밸브를 제거할 수 있으며, 투입 밸브 또는 배출 밸브가 제거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된 상태인 투입공과 배출공이 제거되도록 용접이나 덧댐 등의 방식으로 원상복구를 실시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S100 : 준비 단계
S110 : 배수 단계
S120 : 천공 단계
S130 : 설치 단계
S131 : 점검 단계
S140 : 세척 단계
S150 : 복구 단계
100 : 지지부
→ 101 : 하부 프레임
→ 102 : 상부 프레임
110 : 천공부
→ 111 : 본체
→ 112 : 드릴
→ 113 : 구동 모터

Claims (4)

  1. 하나의 주배관과 다수의 분배관을 포함하도록 상수도관의 세척범위를 설정하고, 그 세척범위에 포함된 각 분배관의 말단부로부터 주배관의 말단부까지 이어지는 다수의 세척구간을 구분하여 설정하며, 각 세척구간의 세척순서를 결정하는 준비 단계(S100);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상수도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 단계(S110);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주배관의 말단부를 천공하여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배출되는 하나의 배출공을 형성하고, 배출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각 분배관의 말단부를 세척순서에 따라 천공해가며 세척수와 고압 에어가 투입되는 투입공을 하나씩 형성하는 천공 단계(S120);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배출을 위한 배출 밸브를 배출공에 설치하고, 배출 밸브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척수와 고압 에어의 투입을 위한 투입 밸브를 세척순서에 따라 투입공에 설치하는 설치 단계(S130);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여 세척순서에 따른 세척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 밸브를 통해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세척구간을 순차적으로 세척하는 세척 단계(S140); 및,
    세척이 완료된 분배관에 설치된 투입 밸브를 제거하고, 기설정된 세척범위가 모두 세척되면 주배관에 설치된 배출 밸브를 제거하며, 투입 밸브 또는 배출 밸브가 제거된 상태인 투입공과 배출공의 원상복구를 실시하는 복구 단계(S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단계(S120)에서는,
    양측 말단부에 나사 결합을 위한 수평의 플렌지가 형성되는 반원형의 하부 프레임(101)과, 양측 말단부에 나사 결합을 위한 수평의 플렌지가 형성되고 편평하게 형성된 상단과 반원형의 하단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01)과 결합하는 상부 프레임(10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주배관 또는 분배관에 설치되는 지지부(100); 및,
    상기 상부 프레임(102)의 상단에 결합되는 본체(111)와 본체(111)의 하단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승강하는 드릴(112) 그리고 드릴(112)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113)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을 통해 주배관에 배출공을 형성하거나 분배관에 투입공을 형성하는 천공부(110); 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설치 단계(S130)에서는,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된 상태인 상기 천공부(110)를 분리하고, 지지부(100)의 상단에 배출 밸브 또는 투입 밸브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단계(S140)는,
    상기 배출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세척을 시작하되,
    세척이 실시되는 세척구간의 내부에 일정수준 이상의 압력이 형성되면,
    내부에 압력 센서가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배출 밸브가 자동으로 개방되며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단계(S130)에 의하여 설치된 투입 밸브로 고압 에어를 투입하여 상수도관 내부에 잔류하는 물을 배수시키고,
    기설정된 세척범위에 포함되는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다시 고압 에어를 투입하여 상수도관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을 점검하는 점검 단계(S13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KR1020210158750A 2021-11-17 2021-11-17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KR20230072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750A KR20230072228A (ko) 2021-11-17 2021-11-17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750A KR20230072228A (ko) 2021-11-17 2021-11-17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228A true KR20230072228A (ko) 2023-05-24

Family

ID=8654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750A KR20230072228A (ko) 2021-11-17 2021-11-17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22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39B1 (ko) 2019-08-07 2019-10-17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 방법
KR102150301B1 (ko) 2020-02-18 2020-09-01 (주)이젠리버텍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739B1 (ko) 2019-08-07 2019-10-17 주식회사 파워킹 수도관 세척 방법
KR102150301B1 (ko) 2020-02-18 2020-09-01 (주)이젠리버텍 고압질소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공법 및 그에 사용되는 상수도관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761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rain jetting
KR101026625B1 (ko) 부단수차단식 바이패스수단에 의한 관개량공사 시공공법
US20110023395A1 (en) Floor slab penetration structure and floor slab penetration hole repair method
KR20230072228A (ko) 세척수와 고압 에어를 이용하는 상수도관 세척 방법
US20140251379A1 (en) Fire mai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104443A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관정 보호장치
KR100895342B1 (ko) 차수로봇을 이용한 하수관거의 물 돌리기 방식 건식 보수 보강 공법
KR102322434B1 (ko) 지중 매립관 세척 공법
KR20110017209A (ko) 상하수도 관로의 임시 차수 시스템
KR102340883B1 (ko) 수도 배관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도 배관 세척 방법
CN111779537A (zh) 瓦斯抽采放水装置
RU2330210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2531294B1 (ko) 관로의 세척방법
CN211713995U (zh) 一种真空桶基坑抽水装置
KR200435698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JPH08135032A (ja) コンクリート打継部止水ホースの施工法
KR100550830B1 (ko) 난방배관세척용 플로우믹스유닛
CN204842394U (zh) 一种水箱清洗装置
JP6715407B2 (ja) 沈砂池における集砂装置
JP3176728U (ja) 下水管の止水栓装置及び下水管施設の作業用補助システム
KR102665672B1 (ko) 적수 저감 관로 세척공법 및 이를 위한 관로 세척시스템
KR200295837Y1 (ko) 관로세척장치
JP7385506B2 (ja) ますの補修方法
KR102251385B1 (ko) 공기압축기를 이용한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주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입 성능을 개선한 공법
KR100788395B1 (ko) 건물의 옥내 배관 청소용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