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487A -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487A
KR20230071487A KR1020210157742A KR20210157742A KR20230071487A KR 20230071487 A KR20230071487 A KR 20230071487A KR 1020210157742 A KR1020210157742 A KR 1020210157742A KR 20210157742 A KR20210157742 A KR 20210157742A KR 20230071487 A KR20230071487 A KR 2023007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arm
actuator
foreign matter
housing
matter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우
김대현
이동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487A/ko
Priority to US17/741,603 priority patent/US20230150456A1/en
Priority to CN202210606537.7A priority patent/CN116137400A/zh
Publication of KR2023007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62Other vehicle fittings for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B08B1/002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충전 플러그의 고정 또는 해체하기 위한 인렛 액추에이터의 고장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레버암을 통해 충전 플러그의 고정 또는 해체 동작이 수행된다. 특히, 레버암과 하우징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고착이 방지되어 인랫 엑추에이터의 작동 불가 상황이 방지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PREVENTING STICKING DEVICE OF INLET ACTUATOR}
본 발명은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인렛 액추에이터에 연동되는 레버가 고착됨에 따라 인렛 액추에이터의 작동 불가 상황이 방지되도록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 차량인 전기 모빌리티가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모빌리티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으며, 전기 모빌리티의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시스템이 탑재된다.
이를 통해, 전기 모빌리티는 외부 전원에 연결된 충전 플러그의 연결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플러그를 수용하고 이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전기 자동차의 리셉터클과 플러그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전류가 충전 유닛으로부터 모빌리티 및 배터리로 전송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표준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전기 모빌리티의 충전이 수행되는 중 승인되지 않은 사람이 플러그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 충전이 계속적으로 수행되지 못해 배터리의 완전한 충전이 실행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흐르는 전류 때문에 충전 동작 동안 리셉터클로부터 플러그를 강제 제거시, 전기 모빌리티 또는 플러그에 대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모빌리티는 리셉터클로부터의 제거에 대항하여 플러그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기구는 인렛 액추에이터라고 하며, 인렛 액추에이터는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연결된 경우 동작되어 플러그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반대로, 배터리의 충전이 종료되어 플러그를 탈거하는 경우, 인렛 액추에이터가 동작을 하며 플러그의 이탈을 허용하게 된다.
그러나 인렛 액추에이터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인렛 액추에이터를 이루는 각 부품이 이물질에 의해 고착된 경우, 플러그를 장착 또는 해체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20-061795 A (2020.04.1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충전 플러그의 고정 또는 해체하기 위한 인렛 액추에이터의 고장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레버암을 통해 충전 플러그의 고정 또는 해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특히, 레버암이 이물질에 의해 고착되지 않도록 하여 레버암이 고착됨에 따른 인랫 엑추에이터의 작동 불가 상황이 방지되도록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는 충전플러그의 연결 상태에 따라 동작되는 액추에이터가 내장된 하우징; 액추에이터의 동작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축; 하우징 외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레버암; 및 레버암에 안착되고, 하우징에 접촉되어 레버암의 회전시 하우징과 레버암 사이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브러쉬유닛;을 포함한다.
브러쉬유닛은 구동축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서 레버암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연장부에는 하우징에 접촉되는 이물질제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동축에는 구동축과 함께 축회전되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브러쉬유닛의 연결부는 구동축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기어부에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버암에는 브러쉬유닛이 삽입되도록 함몰된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브러쉬유닛의 연결부와 연장부는 둘레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안착홈부에 안착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러쉬유닛의 연결부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에 치합되도록 형성된 기어연결구간과 안착홈부에 삽입되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러쉬유닛은 구동축의 회전시 레버암과 함께 회전 이동됨과 동시에 틸팅 동작되어 이물질제거부가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은 이물질제거부가 접촉되는 부분이 이물질제거부의 회동 궤적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제거부는 단면이 하우징을 향해 폭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제거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고 연장부를 따라 나열된 다수의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러쉬유닛은 연결부와 연장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연장부에는 이물질제거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버암에는 연결부가 안착되는 제1슬롯과, 제1슬롯과 개통되며 이물질제거부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제2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장부는 이물질제거부를 중심으로 양측방에 고정단부가 연장되고, 레버암의 제2슬롯은 연장부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물질제거부의 끝단에는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연결부의 중심에는 연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제어기는 액추에이터가 동작됨에 따른 레버암의 회전 횟수를 저장하고, 레버암의 회전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할 경우 레버암이 회전 범위가 설정 범위 이상되도록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는 충전 플러그의 고정 또는 해체하기 위한 인렛 액추에이터의 고장시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레버암을 통해 충전 플러그의 고정 또는 해체 동작이 수행된다. 특히, 레버암과 하우징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고착이 방지되어 인랫 엑추에이터의 작동 불가 상황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렛 액추에이터 및 인렛바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의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의 실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암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브러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인렛 액추에이터의 고착 방지를 위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렛 액추에이터 및 인렛바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의 실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암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브러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인렛 액추에이터의 고착 방지를 위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플러그의 연결 상태에 따라 동작되는 액추에이터(110)가 내장된 하우징(100); 액추에이터(110)의 동작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축(200); 하우징(100) 외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구동축(200)에 연결되어 구동축(200)과 함께 회전되는 레버암(300); 및 레버암(300)에 안착되고, 하우징(100)에 접촉되어 레버암(300)의 회전시 하우징(100)과 레버암(300) 사이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브러쉬유닛(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차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에 내장된 액추에이터(110)가 충전플러그의 연결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연결된 충전플러그가 고정되거나 해체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액추에이터(110)에는 락킹핀(111)이 구비되며, 락킹핀(111)은 액추에이터(110) 동작 여부에 따라 인렛바디(L)에 형성된 잠금홀(h)로 진입하거나 후퇴하면서 충전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이탈이 허용되도록 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110)에는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200)이 구비되며, 구동축(200)에는 기어유닛을 매개로 락킹핀(111)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축(200)에는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레버암(300)이 연결된다. 이러한 레버암(300)은 액추에이터(110)의 고장 발생시, 수동으로 충전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이탈이 허용되는 것을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의 외부에 마련된다. 이를 위해, 레버암(300)에는 액추에이터(110)의 고장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수동 조작이 가능하도록 걸림부(300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레버암(300)의 경우 하우징(100)의 외부에 배치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한 고착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는, 레버암(300)의 거동을 제한시켜 액추에이터(110)가 정상 구동되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버암(300)에 브러쉬유닛(400)이 안착되고, 브러쉬유닛(400)이 하우징(100)에 접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액추에이터(110)의 동작에 의해 레버암(300)의 회전시 하우징(100)과 레버암(300) 사이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즉, 레버암(300)은 충전플러그의 고정 또는 해체를 위한 액추에이터(110)의 동작시 함께 회전되는데, 레버암(300)의 회전 이동시 브러쉬유닛(400)이 하우징(100)과 레버암(300)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레버암(300)이 정상적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이물질로부터 레버암(300)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커버가 불필요함에 따라, 전체 크기가 축소되고 커버의 탈착 공정이 삭제되어 정비 편의성도 향상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유닛(400)은 구동축(200)에 연결되는 연결부(410)와, 연결부(410)에서 레버암(300)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420)로 이루어지며, 연장부(420)에는 하우징(100)에 접촉되는 이물질제거부(430)가 구비된다.
또한, 레버암(300)에는 브러쉬유닛(400)이 삽입되도록 함몰된 안착홈부(310)가 형성되고, 브러쉬유닛(400)의 연결부(410)와 연장부(420)는 둘레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안착홈부(310)에 안착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이물질제거부(430)는 단면이 하우징(100)을 향해 폭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레버암(300)의 회전시 이물질제거부(430)가 하우징(100)에 발생된 이물질을 긁어내듯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제거부(43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고 연장부(420)를 따라 나열된 다수의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이물질제거부(430)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에 밀착될 수 있으며, 다수의 탄성체가 하우징(100)에 대해 마찰된 상태에서 탄성적으로 원복되는 힘에 의해 다수의 탄성체에 포집된 이물질이 튕겨지면서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브러쉬유닛(400)은 연결부(410)와 연장부(420)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420)에는 하우징(100)에 접촉되는 이물질제거부(430)가 형성된다. 이러한 브러쉬유닛(400)은 둘레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레버암(300)의 안착홈부(310)에 안착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레버암(300)의 안착홈부(310)는 브러쉬유닛(400)의 연결부(410) 및 연장부(420)가 일부만 삽입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안착홈부(310)에서 노출된 이물질제거부(430)가 하우징(100)에 접촉되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부(410)는 구동축(200)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110) 구동에 따른 구동축(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된다. 연결부(410)와 구동축(200)은 기어 연결 구조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420)는 연결부(410)에서 레버암(300)을 따라 연장되어 연장부(420)에 구비되는 이물질제거부(430)가 레버암(300)의 회전 궤적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구동축(200)에는 구동축(200)과 함께 축회전되는 기어부(210)가 형성되고, 브러쉬유닛(400)의 연결부(410)는 구동축(200)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기어부(210)에 치합된다.
이렇게, 구동축(200)에는 둘레면을 따라 기어돌기가 형성된 기어부(210)가 형성되고, 연결부(410)에는 둘레면을 따라 기어부(210)의 기어돌기에 치합되는 기어돌기가 형성됨으로써, 기어부(210)와 연결부(410)는 상호 치합된다.
여기서, 브러쉬유닛(400)의 연결부(410)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210)에 치합되도록 형성된 기어연결구간(411)과 안착홈부(310)에 삽입되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구간(412)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연결부(410)는 기어연결구간(411)을 통해 기어부(210)와 치합되어 구동축(200)의 회전시 구동축(200)과 연동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고, 원호 형상의 회전구간(412)이 레버암(300)의 안착홈부(310)에 접촉됨에 따라 원활한 회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러쉬유닛(400)은 기어연결구간(411)을 통해 구동축(200)과 연동됨과 더불어 회전구간(412)을 통해 레버암(300)의 안착홈부(310)에서 원활한 회전 동작이 허용된다.
한편, 구동축(200)과 연결부(410)는 직교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동축(200)이 측방향으로 회전시 연결부(41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구동축(200)은 레버암(300)과 결합됨에 따라 구동축(200)과 레버암(300)은 동일방향인 측방향으로 회전되는데, 브러쉬유닛(400)의 경우 레버암(300)에 안착되어 레버암(300)과 함께 회전 이동되되 상하방향으로 추가적인 회전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브러쉬유닛(400)은 구동축(200)의 회전시 레버암(300)과 함께 회전 이동됨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른 틸팅 동작되어 이물질제거부(430)가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된다. 이로 인해, 이물질제거부(430)는 하우징(100)에 발생된 이물질을 쓸어가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우징(100)은 이물질제거부(430)가 접촉되는 부분(a)이 이물질제거부(430)의 회동 궤적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어,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되는 이물질제거부(430)가 하우징(100)에 대해 균형있는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에서 이물질제거부(430)가 접촉되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될 경우 이물질제거부(430)가 하우징(10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 해당 지점에 과도한 힘이 작용되어 이물질제거부(430)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레버암(300)의 회전 궤적에 대응하는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레버암(300)과 함께 회전 이동되면서 하우징(100)에 접촉되는 이물질제거부(430)가 하우징(100)에 발생된 이물질을 균형있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정 구간에서 하중이 집중됨에 따른 문제가 해소된다.
이처럼, 브러쉬유닛(400)은 액추에이터(110)가 구동됨에 따른 구동축(200)의 회전시 레버암(300)과 함께 회전 이동됨과 더불어 구동축(200)에 연동되어 틸팅 동작됨으로써, 이물질제거부(430)가 하우징(100)에 발생된 이물질을 쓸어내듯이 동작되어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레버암(300)이 구동축(200)과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축(200)에 치합된 브러쉬유닛(400)이 시계방향으로 틸팅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유닛(400)의 이물질제거부(430)는 레버암(300)과 함께 이동됨과 더불어 틸팅되어 기울기가 발생됨에 따라 이물질을 쓸어내듯이 제거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유닛(400)은 연결부(410)와 연장부(420)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연장부(420)에는 이물질제거부(43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부(410)는 구동축(200)에 대해 직교하게 배치되고, 이물질제거부(430)가 연결부(410)의 중심에 연결된다.
이처럼, 브러쉬유닛(400)은 연결부(410)와 연장부(420)가 별도로 마련되고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이물질제거부(430)가 마련되는 연장부(420)를 교체할 수 있다.
즉, 이물질제거부(430)는 하우징(100)에 대해 마찰되는 것으로, 손상이 발생되거나 마모로 인한 교체가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제거부(430)가 마련되는 연장부(420)는 연결부(410)와 별도 구성함으로써, 연장부(420)를 교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물질제거부(430)는 연장부(420)에 힌지 연결 구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부(410)에 연결되어 연결부(410)와 함께 회전됨으로써, 액추에이터(110)의 동작시 이물질제거부(430)가 하우징(100)에 발생된 이물질을 쓸어가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상세하게, 레버암(300)에는 연결부(410)가 안착되는 제1슬롯(320)과, 제1슬롯(320)과 개통되며 이물질제거부(430)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제2슬롯(330)이 형성된다.
이렇게, 레버암(300)에는 제1슬롯(320)과 제2슬롯(330)이 형성됨으로써, 브러쉬유닛(400)을 이루는 연결부(410), 연장부(420), 이물질제거부(430)가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슬롯(320)의 경우 연결부(410)의 형태에 맞춰 원형홈으로 구성되어 연결부(410)가 제1슬롯(320)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슬롯(330)은 레버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연장부(420)가 제2슬롯(330)에 슬라이딩 조립되도록 한다. 또한, 제2슬롯(330)은 제1슬롯(320)과 개통됨으로써, 연장부(420)에 구비된 이물질제거부(430)가 제1슬롯(320)에 마련된 연결부(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슬롯(330)은 연장부(420)가 조립된 상태에서, 연장부(420)에 구비된 이물질제거부(430)가 노출되어야 함에 따라 하우징(100)과 마주하는 방향으로도 개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연장부(420)는 이물질제거부(430)를 중심으로 양측방에 고정단부(421)가 연장되고, 레버암(300)의 제2슬롯(330)은 연장부(42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420)는 이물질제거부(430)와 고정단부(421)에 의해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버암(300)의 제2슬롯(330)도 연장부(420)의 단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연장부(420)가 제2슬롯(330)에 조립시 조립방향을 제외한 상하방향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연장부(420)가 레버암(300)의 제2슬롯(330)에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단부(421)가 지지 구조를 이룸에 따라 흔들림이 방지되어 견고성이 확보된다.
한편, 이물질제거부(430)의 끝단에는 연결수단(431)이 구비되고, 연결부(410)의 중심에는 연결수단(431)이 체결되는 고정수단(413)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수단(431)은 이물질제거부(430)의 끝단부에서 돌출되며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수단(413)은 연결부(410)의 중심에 관통되며 연결수단(431)의 형상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수단(431)과 고정수단(413)은 삽입 연결 구조 외에 자성체를 이용한 연결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이물질제거부(430)와 연결부(410)는 연결수단(431) 및 고정수단(413)의 상호 체결을 통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추에이터(110)는 제어기(500)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기(500)는 액추에이터(110)가 동작됨에 따른 레버암(300)의 회전 횟수를 저장하고, 레버암(300)의 회전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할 경우 레버암(300)이 회전 범위가 설정 범위 이상되도록 액추에이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기(500)는 액추에이터(110)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른 레버암(300)의 회전 횟수를 누적시키며 저장한다. 특히, 제어기(500)에는 레버암(300)의 회전에 따른 액추에이터(110)의 제어를 위한 설정 횟수와 설정 범위가 기설정된다. 여기서, 설정 횟수는 레버암(300)이 회전됨에 따라 이물질제거부(430)가 하우징(100)에 발생되는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미리 실험을 통해 도출하여 설정될 수 있고, 설정 범위는 충전플러그의 이탈 방지 또는 이탈 허용에 따른 액추에이터(110)의 동작시 레버암(300)의 회전반경보다 더 큰 회전반경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0)는 레버암(300)의 회전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할 경우 레버암(300)의 회전 범위가 설정 범위 이상되도록 액추에이터(11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레버암(300)이 평상시보다 더 큰 회전반경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물질제거부(430)를 통해 하우징(100)의 넓은 범위에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100)에 발생되는 이물질을 미리 넓은 범위로 제거함으로써, 추후 이물질이 퇴적됨에 따른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인렛 액추에이터(110) 고착 방지 장치는 충전 플러그의 고정 또는 해체하기 위한 인렛 액추에이터(110)의 고장시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된 레버암(300)을 통해 충전 플러그의 고정 또는 해체 동작이 수행된다. 특히, 레버암(300)과 하우징(100)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해 고착이 방지되어 인랫 엑추에이터의 작동 불가 상황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하우징 110:액추에이터
111:락킹핀 200:구동축
210:기어부 300:레버암
310:안착홈부 320:제1슬롯
330:제2슬롯 300a:걸림부
400:브러쉬유닛 410:연결부
411:기어연결구간 412:회전구간
413:고정수단 420:연장부
421:고정단부 430:이물질제거부
431:연결수단 500:제어기

Claims (14)

  1. 충전플러그의 연결 상태에 따라 동작되는 액추에이터가 내장된 하우징;
    액추에이터의 동작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구동축;
    하우징 외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레버암; 및
    레버암에 안착되고, 하우징에 접촉되어 레버암의 회전시 하우징과 레버암 사이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는 브러쉬유닛;을 포함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러쉬유닛은 구동축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에서 레버암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연장부에는 하우징에 접촉되는 이물질제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구동축에는 구동축과 함께 축회전되는 기어부가 형성되고,
    브러쉬유닛의 연결부는 구동축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기어부에 치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레버암에는 브러쉬유닛이 삽입되도록 함몰된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브러쉬유닛의 연결부와 연장부는 둘레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안착홈부에 안착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브러쉬유닛의 연결부는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에 치합되도록 형성된 기어연결구간과 안착홈부에 삽입되며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브러쉬유닛은 구동축의 회전시 레버암과 함께 회전 이동됨과 동시에 틸팅 동작되어 이물질제거부가 원호를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하우징은 이물질제거부가 접촉되는 부분이 이물질제거부의 회동 궤적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이물질제거부는 단면이 하우징을 향해 폭이 점차 감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이물질제거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고 연장부를 따라 나열된 다수의 탄성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브러쉬유닛은 연결부와 연장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연장부에는 이물질제거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레버암에는 연결부가 안착되는 제1슬롯과, 제1슬롯과 개통되며 이물질제거부가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제2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연장부는 이물질제거부를 중심으로 양측방에 고정단부가 연장되고,
    레버암의 제2슬롯은 연장부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이물질제거부의 끝단에는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연결부의 중심에는 연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제어기는 액추에이터가 동작됨에 따른 레버암의 회전 횟수를 저장하고, 레버암의 회전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할 경우 레버암이 회전 범위가 설정 범위 이상되도록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KR1020210157742A 2021-11-16 2021-11-16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KR2023007148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742A KR20230071487A (ko) 2021-11-16 2021-11-16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US17/741,603 US20230150456A1 (en) 2021-11-16 2022-05-11 Anti-Sticking Device of Inlet Actuator
CN202210606537.7A CN116137400A (zh) 2021-11-16 2022-05-31 入口致动器的防附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742A KR20230071487A (ko) 2021-11-16 2021-11-16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487A true KR20230071487A (ko) 2023-05-23

Family

ID=86325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742A KR20230071487A (ko) 2021-11-16 2021-11-16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50456A1 (ko)
KR (1) KR20230071487A (ko)
CN (1) CN1161374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1795A (ja) 2018-10-04 2020-04-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1795A (ja) 2018-10-04 2020-04-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37400A (zh) 2023-05-19
US20230150456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9219B2 (en) Disconnect for a charging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KR20180129870A (ko) 위치 결정 조립체 및 처리 카트리지
US9178312B2 (en) Charging port locking device
JP4834909B2 (ja) 二次電池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9156363B2 (en) Charging port locking device
JP2011038399A (ja) 材料を変位させるための材料変位装置、並びに当該材料変位装置を構成するための摩耗部材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KR20230071487A (ko)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장치
EP3716354A1 (en) Power supply unit mounting structure and surveying instrument
JP2018518618A (ja) 摩耗部品システムおよび摩耗部品係止方法
US6760948B2 (en) Snap latch drum release for a drain cleaning machine
EP2353910B1 (en) Industrial vehicle comprising a battery locking system
CN101607397A (zh) 工具机,特别是手持式工具机
US9359895B2 (en) Cutting bit retaining assembly
JP2007223022A (ja) 回転子連結装置
US2019028515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pplying torque
AU2021366957A1 (en) Wear assembly
JP2007112373A (ja) 電動アシスト自転車の電力供給装置
KR102152336B1 (ko) 스핀들 록킹장치와 이를 적용한 전동공구 및 차량용 액츄에이터
CN211144084U (zh) 一种锁止结构及自行车
US20190321926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pplying torque
JPS62145258A (ja) 画像形成装置
TW202014095A (zh) 釣魚機
KR20230070790A (ko) 인렛 액추에이터 고착 방지 시스템
CN212069004U (zh) 用于棒磨机滚筒的开盖机构和棒磨机
CN213082958U (zh) 一种纯电动汽车电池箱的快速拆装机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