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427A -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427A
KR20230071427A KR1020210157624A KR20210157624A KR20230071427A KR 20230071427 A KR20230071427 A KR 20230071427A KR 1020210157624 A KR1020210157624 A KR 1020210157624A KR 20210157624 A KR20210157624 A KR 20210157624A KR 20230071427 A KR20230071427 A KR 20230071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rame
vehicle
vertical frame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427A/ko
Priority to US17/884,741 priority patent/US20230150589A1/en
Priority to DE102022123820.2A priority patent/DE102022123820A1/de
Priority to CN202211213184.0A priority patent/CN116135552A/zh
Publication of KR2023007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60D5/006Passages between articulated vehicles, e.g. bridges or rotating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2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trailer type, i.e. a frame specifically constructed for use in a non-powere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5/00Gangways for coupled vehicles, e.g. of concertina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62D31/025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having modular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7/00Motor vehicles or trailers predominantly for carrying passengers
    • B62D47/02Motor vehicles or trailers predominantly for carrying passengers for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62D47/025Motor vehicles or trailers predominantly for carrying passengers for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articulated buses with interconnecting passageway, e.g. be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견인되는 차체에서 견인되는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여 차체강도가 향상되도록 한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프레임(22)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프레임(23)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차량의 바디(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강도를 보강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22)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가로프레임(22F)(22R); 및 상기 세로프레임(23)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은 그 전단과 후단이 각각 상기 가로프레임(22)과 상기 보강가로프레임(22F)(22R)에 접합되거나, 서로 이격된 상기 보강가로프레임(22F)(22R)에 각각 접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22)에 상기 바디(20)가 또 다른 바디와 연결을 위한 굴절판(32)에 체결되는 연결프레임(21)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에서 상기 가로프레임(22)과 체결되는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은 그 단부가 상기 가로프레임(22)에서 상기 연결프레임(21)에 체결되는 부위에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STRUCTURE FOR IMPROVING STIFFNESS FOR VEHICLE}
본 발명은 피견인되는 차체에서 견인되는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여 차체강도가 향상되도록 한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굴절버스는 복수의 차체를 서로 연결하여 주행함으로써, 수송용량을 증가시킨 운송수단이다.
이러한 굴절버스는 각각의 차체를 연결하기 위한 굴절유닛이 각각의 차체 사이에 설치된다.
도 1에는 프런트바디(110)와 리어바디(120)가 굴절유닛(130)으로 연결된 굴절버스(10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굴절유닛(130)은 상기 프런트바디(110)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1굴절판(131)과 상기 리어바디(120)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2굴절판(132)이 서로 힌지연결된다. 상기 굴절유닛(130)에 의해 곡선구간에서도 상기 굴절버스가 용이하게 휘어져 차선을 이탈하지 않고 주행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 구동장치의 전동화로 상기 굴절버스도 내연기관 대신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굴절전기버스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상기 굴절전기버스는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B)의 장착공간으로서, 상기 리어바디(120)의 루프를 활용하는데, 상기 배터리(B)의 하중이 상기 리어바디(120)의 전단에 가해져, 상기 제2굴절판(132)과 상기 리어바디(120)가 연결되는 부위가 판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2굴절판(132)과 상기 리어바디(120)는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되는데(도 2의 A부분 참조), 주행중 상기 굴절유닛(130)로 하중이 작용하고, 이는 상기 리어바디(120)의 프레임을 따라 상기 리어바디(120)의 후방으로 전달된다(도 2의 화살표 B 참조). 상기 리어바디(120)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튜브(120)(121)를 상기 리어바디(12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배열하고 서로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리어바디(120)에서는 하중이 일부 튜브를 통해서만 전달되고, 서로 다른 튜브끼리 접합되는 부위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가 없었다.
이에 따라, 일부 튜브로 응력이 집중되어 상기 리어바디(120)를 구성하는 튜브가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제2굴절판(132)과 상기 리어바디(120)의 연결부위가 파단되거나, 상기 리어바디(120)를 구성하는 튜브의 연결부위가 파단되는 문제점을 굴절전기버스뿐만 아니라, 내연기관이 장착된 굴절버스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KR 10-2012-0020923 A ((2012.03.08, 명칭 : 초저상 전기버스의 차체 프레임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굴절버스의 리어바디와 같이, 피견인되는 차체에서 주행시 작용하는 하중 분산되어 전달되면서, 튜브의 연결부위의 강도를 높여 리어바디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차량의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강도를 보강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세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강세로프레임은 그 전단과 후단이 각각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거나, 서로 이격된 상기 보강가로프레임에 각각 접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에 상기 바디가 또 다른 바디와 연결을 위한 굴절판에 체결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세로프레임에서 상기 가로프레임과 체결되는 보강세로프레임은 그 단부가 상기 가로프레임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에 체결되는 부위에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바디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가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보강가로프레임; 및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보강가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과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은 양단이 상기 세로프레임에 접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 사이와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과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 사이에 상기 보강세로프레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세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의 폭방향의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내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상기 내측보강세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외측보강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보강세로프레임은, 전단이 상기 가로프레임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는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는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은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이 접합되는 부위에 접합강도를 보강하는 패치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치멤버의 폭은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의 50% 내지 1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 및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과 접합되는 부위에 접합강도를 보강하는 패치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치멤버의 폭은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의 50% 내지 1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보강세로프레임은, 전단이 상기 가로프레임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는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는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단부보다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외측에서 상기 가로프레임에 전단이 접합되며,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은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이 접합되는 부위에, 응력이 분산되도록하는 보강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멤버는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멤버의 폭은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이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에 상기 접합되는 부위에 각각 접합강도를 보강하는 패치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치멤버의 폭은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의 50% 내지 1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보다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과 함께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하는 리어센터프레임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어센터프레임멤버는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은 굴절유닛으로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가 연결되는 굴절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은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하는 굴절전기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따르면, 리어바디를 구성하는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접합부위에 보강멤버가 추가되어, 리어바디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주행시 굴절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의 전달경로를 분산시킴으로써, 응력이 일부 부위로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리어바디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굴절버스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굴절버스에서 굴절유닛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어프레임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가 적용된 리어바디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가 적용된 리어바디에서 하중전달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따라 보강멤버와 패치멤버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따라 보강멤버가 적용되는 부위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따라 패치멤버가 적용되는 부위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따라 리어바디에서 리어센터바디로 하중이 전달되는 경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프레임(22)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프레임(23)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차량의 바디(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강도를 보강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22)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가로프레임(22F)(22R); 및 상기 세로프레임(23)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은 그 전단과 후단이 각각 상기 가로프레임(22)과 상기 보강가로프레임(22F)(22R)에 접합되거나, 서로 이격된 상기 보강가로프레임(22F)(22R)에 각각 접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22)에 상기 바디(20)가 또 다른 바디와 연결을 위한 굴절판(32)에 체결되는 연결프레임(21)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에서 상기 가로프레임(22)과 체결되는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은 그 단부가 상기 가로프레임(22)에서 상기 연결프레임(21)에 체결되는 부위에서 접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는,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20)가 굴절유닛(30)으로 연결되는 굴절버스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굴절전기버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는 굴절전기버스의 리어바디(20)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바디(20)의 전단은 프런트바디와 상기 굴절유닛(30)을 통하여 연결되면, 상기 프런트바디의 견인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고, 특히 리어바디(20)의 상부에는 중량(重量)의 배터리가 탑재되는 바, 강도보강이 필요하다.
상기 리어바디(20)는 가로프레임(22)과 세로프레임(23)이 각각 상기 차량의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접합되어 상기 리어바디(20)의 기본 골격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는 상기 리어바디(20)의 내부에 적용되어, 상기 리어바디(20), 특히 상기 프런트바디와 연결되면서 배터리가 탑재되는 상기 리어바디(20)의 앞쪽의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리어바디(20)에서 전단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22)의 중간부부분에 굴절유닛(30)의 굴절판(32)과 체결을 위한 연결프레임(21)이 상기 가로프레임(22) 중 전단의 가로프레임(22)에 체결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1)은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프레임(22)의 중앙에서 상기 가로프레임(22)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프레임(21)에 상기 굴절판(32)이 체결된다.
보강가로프레임(22F)(22R)은 상기 가로프레임(22)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보강가로프레임(22F)(22R)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은 상기 세로프레임(23)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보강가로프레임(22F)(22R)은 상기 가로프레임(22)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보강가로프레임(22F)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보강가로프레임(22R)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과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은 상기 리어바디(20)의 전단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22)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쪽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리어바디(20)의 전단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22)으로 입력되는 하중을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과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과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는 각각 그 양단이 상기 세로프레임(23)가 용접으로 접합된다.
상기 리어바디(20)의 전단에 위치하는 가로프레임(22)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 사이, 그리고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과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 사이에 상기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이 배치됨으로써, 상기 리어바디(20)의 전단에 입력되는 하중은 상기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을 통하여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과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을 거쳐, 상기 리어바디(20)의 후단쪽으로 전달된다.
상기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은, 상기 가로프레임(22)의 폭방향의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23RI)과, 상기 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23RI)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23RO)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23RI)은, 전단이 상기 가로프레임(22)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에 접합되는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과, 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에 접합되는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을 포함한다.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과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은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23RO)은, 전단이 상기 가로프레임(22)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에 접합되는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과, 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에 접합되는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23RO)을 포함한다.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과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23RO)은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과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 그리고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과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23RO)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하여, 상기 가로프레임(22)을 통하여 입력된 하중을 상기 리어바디(20)에 상기 차량의 후방쪽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과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은 상기 연결프레임(21)이 배치된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지만,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과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23RO)은 상기 연결프레임(21)이 배치된 영역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23RO)은 상기 가로프레임(22),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 및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과 용접을 통하여 접합된다.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 상기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23RO)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튜브로 형성되고, 각각의 단부가 용접을 접합된다.
한편, 상기 굴절유닛(30)으로부터 상기 리어바디(20)로 입력되는 하중을 넓은 면적을 통하여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23RO)과 상기 가로프레임(22)이 접합되는 부위에, 상기 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23RO)과 상기 가로프레임(22)의 접합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멤버(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멤버(24)는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과 상기 가로프레임(22)이 접합되는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과 상기 가로프레임(22)의 접합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보강멤버(24)는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의 일측과 상기 가로프레임(22)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강멤버(24)는 평면도에서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데, 그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강멤버(24)의 폭(W2)은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의 폭(W1)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과 상기 가로프레임(22)이 상기 보강멤버(24)없이 접합되는 경우, 접합부(도 7에서 C로 표시된 부위)로 응력이 집중되어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23FO)과 상기 가로프레임(22) 사이에 보강멤버(24)를 구비하여 응력을 분산되도록 한다.
아울러, 용접길이를 늘여 접합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패치멤버(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이 접합되는 부위,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과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23RO)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 또는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22R)에 접합되는 부위에 상기 패치멤버(25)가 구비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치멤버(25)에 의해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22F)의 용접부(W)의 용접길이가 늘어나 접합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패치멤버(25)의 폭(W3)은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 및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W1)보다 좁게 형성된다. 상기 패치멤버(25)의 폭(W3)은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 및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W2)의 절반 이상, 예를 들면 50% 내지 10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가로프레임(22F)(22R)과 상기 보강세로프레임(23FI)(23FO)(23RI)(23RO)을 통하여 상기 리어바디(20)로 입력된 하중을 상기 리어바디(20)의 후방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리어센터프레임멤버(26)를 포함한다.
리어센터프레임멤버(26)는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보다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 및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과 함께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리어센터프레임멤버(26)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어센터프레임멤버(26)는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 및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23FI)과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23R)을 통하여 입력된 하중이 상기 리어센터프레임멤버(26)를 통하여 상기 리어바디(20)의 후방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20 : 리어바디 21 : 연결프레임
22 : 가로프레임 22F : 제1보강가로프레임
22R : 제2보강가로프레임 23 : 세로프레임
23FI :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 23FO :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
23RI :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 23RO :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
24 : 보강멤버 25 : 패치멤버
26 : 리어센터프레임멤버 30 : 굴절유닛
32 : 굴절판 100 : 굴절버스
110 : 프런트바디 120 : 튜브
121 : 튜브 130 : 굴절유닛
131 : 제1굴절판 132 : 제2굴절판

Claims (19)

  1. 차량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차량의 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강도를 보강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가로프레임; 및
    상기 세로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세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강세로프레임은 그 전단과 후단이 각각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거나, 서로 이격된 상기 보강가로프레임에 각각 접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에 상기 바디가 또 다른 바디와 연결을 위한 굴절판에 체결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세로프레임에서 상기 가로프레임과 체결되는 보강세로프레임은 그 단부가 상기 가로프레임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에 체결되는 부위에서 접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바디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기 가로프레임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가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보강가로프레임; 및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보강가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과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은 양단이 상기 세로프레임에 접합되며,
    상기 가로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 사이와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과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 사이에 상기 보강세로프레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세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의 폭방향의 중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내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상기 내측보강세로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배치되는 외측보강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보강세로프레임은,
    전단이 상기 가로프레임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는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는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은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이 접합되는 부위에 접합강도를 보강하는 패치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멤버의 폭은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의 50% 내지 1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 및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과 접합되는 부위에 접합강도를 보강하는 패치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멤버의 폭은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의 50% 내지 1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보강세로프레임은,
    전단이 상기 가로프레임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는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전단이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고, 후단이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에 접합되는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은 상기 가로프레임에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단부보다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외측에서 상기 가로프레임에 전단이 접합되며,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은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제1보강가로프레임이 접합되는 부위에, 응력이 분산되도록하는 보강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멤버는 폭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멤버의 폭은 상기 제1외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이 상기 제2보강가로프레임에 상기 접합되는 부위에 각각 접합강도를 보강하는 패치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멤버의 폭은 상기 제2외측보강세로프레임의 폭의 50% 내지 1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보다 상기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과 함께 하중전달경로를 형성하는
    리어센터프레임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센터프레임멤버는 상기 제1내측보강세로프레임 및 상기 제2내측보강세로프레임과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굴절유닛으로 프런트바디와 리어바디가 연결되는 굴절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하는 굴절전기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KR1020210157624A 2021-11-16 2021-11-16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KR20230071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624A KR20230071427A (ko) 2021-11-16 2021-11-16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US17/884,741 US20230150589A1 (en) 2021-11-16 2022-08-10 Stiffness improvement structure of vehicle
DE102022123820.2A DE102022123820A1 (de) 2021-11-16 2022-09-16 Steifigkeitsverbesserungsstruktur eines fahrzeugs
CN202211213184.0A CN116135552A (zh) 2021-11-16 2022-09-29 车辆的刚度改进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624A KR20230071427A (ko) 2021-11-16 2021-11-16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427A true KR20230071427A (ko) 2023-05-23

Family

ID=8614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624A KR20230071427A (ko) 2021-11-16 2021-11-16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50589A1 (ko)
KR (1) KR20230071427A (ko)
CN (1) CN116135552A (ko)
DE (1) DE1020221238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923A (ko) 2010-08-31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초저상 전기버스의 차체 프레임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0923A (ko) 2010-08-31 2012-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초저상 전기버스의 차체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23820A1 (de) 2023-05-17
CN116135552A (zh) 2023-05-19
US20230150589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8168B2 (en) Vehicle lower section structure
JP6222122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101888945B (zh) 车身下部结构
US11904674B2 (en) Battery pack support structure
JP2013212757A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KR20080089229A (ko) 차체 구조
JP2019006311A (ja) 車体前部構造
US11912344B2 (en) Vehicle lower part structure
JP2019108113A (ja) 側方車体補強構造
CN112109811B (zh) 车身结构和包括该车身结构的车辆
JP5433270B2 (ja) 車両の牽引装置
JP5082791B2 (ja) 自動車後部の車体下部構造
CN1328104C (zh) 汽车后侧部分的结构
KR20230071427A (ko) 차량의 강도 향상 구조
JP2023039627A (ja) 車両
US10414444B2 (en) Vehicle rear end structure
US20230312018A1 (en)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KR102621565B1 (ko) 배터리 장착용 차량 하부 구조
JP3954272B2 (ja) 低床バスのフレーム構造
CN218662039U (zh) 一种前纵梁结构及车辆
KR102209407B1 (ko) 차량 프레임
CN217893025U (zh) 车身后部结构及车辆
JP7227573B2 (ja) 電動車両の車体構造
US20230312002A1 (en) Side sill structure of vehicle
KR100885219B1 (ko) 차량용 크로스멤버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