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168A - 집진기 및 집진 방법 - Google Patents

집진기 및 집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168A
KR20230070168A KR1020227010569A KR20227010569A KR20230070168A KR 20230070168 A KR20230070168 A KR 20230070168A KR 1020227010569 A KR1020227010569 A KR 1020227010569A KR 20227010569 A KR20227010569 A KR 20227010569A KR 20230070168 A KR20230070168 A KR 20230070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ayer
layer
dust collector
insulating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아키 하세가와
히로유키 모리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러지
Publication of KR2023007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70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insulating in electric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과제] 작은 스페이스에도 설치 가능하며, 효율 좋게 집진할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집진기(1)는 도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전극층(12)과, 도체에 의해 형성되고, 평면시에 있어서 제1 전극층(12)을 덮는 크기를 가지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손부(관통구멍(14H), 슬릿(14S))를 가지고, 평면시에 있어서 제1 전극층(12)을 덮는 크기를 가지고, 제1 전극층(1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전극층(14)과, 절연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전극층(12) 및 제2 전극층(14)을 절연하고, 제1 전극층(12) 및 제2 전극층(14)과 함께 1장의 층 구조를 형성하는 절연층(제1 절연층(13), 제2 절연층(15))을 갖춘다.

Description

집진기 및 집진 방법
본 발명은 집진기 및 집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반도체 제조 장치와 같은 장치의 내부, 또는 장치의 근방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진애(파티클)는 이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가공물에 이물 불량 등의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장치의 내부나 근방 등, 가공물 근방의 파티클을 감소시켜 청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 관하여, 필터 집진 방식, 전기 집진 방식, 전계 커튼 방식 등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필터 집진 방식은 이미 비산해 있는 파티클을 공기 덕트에 의해 흡인하고 그 공기를 필터에 의해 여과한다. 따라서, 비산 전의 파티클은 집진할 수 없고, 또 압력 손실도 크기 때문에, 집진 효율이 나쁘다.
전기 집진식은 파티클을 이오나이저에 의해 코로나 방전하여 대전시키고, 대전된 파티클을 대항하는 전극쌍의 일방의 전극에 집진한다. 따라서, 집진기의 주위가 대전되어 버리고, 또 장치가 대형화되어 설치 장소를 선택할 수 없다.
이오나이저를 생략한 집진 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1.)도 제안되었지만, 전극쌍의 사이에 공기를 통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에는 한계가 있다.
전계 커튼 방식은 유전체 내에 묻어 넣은 다상의 선상 전극에 교류를 인가하여 한쪽 방향으로 진행하는 불균형 전계를 발생시켜, 대전된 파티클을 부상시키고 진행 방향으로 반송시켜, 집진한다. 이 장치에서도, 장치가 대형화되어, 설치 장소를 선택할 수 없다.
일본 특허 제6620994호 공보
따라서, 작은 스페이스에도 설치 가능하며, 효율 좋게 집진할 수 있는 집진기 및 집진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도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전극층과, 도체에 의해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손부를 가지고,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을 덮는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1 전극층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전극층과, 절연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절연하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함께 1장의 층 구조를 형성하는 절연층을 갖추는 집진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스페이스에도 설치 가능하며, 효율 좋게 집진할 수 있는 집진기 및 집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집진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집진기의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집진기의 각 층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집진기에 발생하는 전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집진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집진기(1)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집진기(1)의 도 1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집진기(1)의 각 층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기(1)는 지지 기반층(11)과, 제1 전극층(12)과, 제1 절연층(13)과, 제2 전극층(14)과, 제2 절연층(15)과, 흡착층(16)을 갖춘다.
제1 전극층(12) 및 제2 전극층(14)에는 전원 장치(2)가 접속된다.
지지 기반층(11)은 절연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층이다.
제1 전극층(12)은 도체에 의해 형성되는 층이다. 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금박, 도전성의 합성 수지,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전극층은 지지 기반층(11)의 일방의 면에 설치된다.
제1 절연층(13)은 절연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계를 방해하지 않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층이다. 전계를 방해하지 않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를 들 수 있다. 제1 절연층(13)은 지지 기반층(11)의 제1 전극층(12)이 설치되는 측에 설치되고, 지지 기반층(11)과 함께, 또는 제1 절연층(13) 단독에 의해, 제1 전극층(12)을 둘러싸, 절연한다.
제2 전극층(14)은 도체에 의해 형성되는 층이다. 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금박, 도전성의 합성 수지,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제2 전극층(14)은 제1 절연층(13)을 사이에 끼고, 제1 전극층(12)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2 전극층(14)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손부를 가지고, 평면시에 있어서 제1 전극층(12)을 덮는 크기를 가진다.
제2 절연층(15)은 절연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계를 방해하지 않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층이다. 전계를 방해하지 않는 절연성의 합성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를 들 수 있다. 제2 절연층(15)은 제2 전극층(14)을 사이에 끼고, 제1 절연층(1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1 절연층(13)과 함께, 또는 제2 절연층(15) 단독에 의해, 제2 전극층(14)을 둘러싸고, 절연한다.
흡착층(16)은, 제2 절연층(15)을 사이에 끼고, 제2 전극층(14)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흡착층(16)은 미세한 진애(파티클)를 흡착하여 붙잡아 두는데 적합한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흡착층(16)의 재질로서는 점착제, 분자간력이 높은 재질, 마찰력이 큰 재질을 적당하게 선택하여 채용할 수 있다.
집진기(1)는 지지 기반층(11), 제1 전극층(12), 제1 절연층(13), 제2 전극층(14), 제2 절연층(15), 흡착층(16)의 순으로 층 형상의 한 장의 시트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절연층(13) 및 제2 절연층(15)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지지 기반층(11)은 제1 절연층(13) 및 제2 절연층(15)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1 절연층(13) 및 제2 절연층(15)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집진기(1)는 평면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정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집진기(1)가 정방형으로 형성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집진기(1)는 다른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지지 기반층(11), 제1 절연층(13), 제2 절연층(15), 및 흡착층(16)은 1변이 길이(L1)의 평면시에 있어서 거의 동일한 정방형 및 크기로 형성된다.
제2 전극층(14)은 1변이 길이(L1)보다 짧은 길이(L2)의 정방형으로 형성된다.
제1 전극층(12)은 1변이 길이(L2)보다 짧은 길이(L3)의 정방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흡착층(16)측으로부터의 평면시에 있어서, 제1 전극층(12)은 제2 전극층(14)의 내부에 들어가고, 제2 전극층(14)은 지지 기반층(11), 제1 절연층(13), 제2 절연층(15), 및 흡착층(16)의 내부에 들어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극층(12)은 제1 전극층(12)의 가장자리가 제2 전극층(14)의 가장자리보다도 폭(W) 이상 내측이 되도록 형성된다. 폭(W)은 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층(12)의 두께(T1)는 제1 절연층(13)의 두께(T2)보다 얇다. 또, 제2 전극층(14)의 두께(T3)는 제2 절연층(15)의 두께(T4)보다 얇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지지 기반층(11), 제1 전극층(12), 제1 절연층(13), 제2 절연층(15), 및 흡착층(16)은 결손부를 갖지 않고, 각각 하나의 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 제2 전극층(14)은 결손부로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구멍(14H)을 가진다. 관통구멍(14H)은, 예를 들면 내경이 5mm∼15mm이며, 인접하는 관통구멍(14H)과의 간격은 10mm∼30mm이다.
제2 전극층(14)의 변형예의 제2 전극층(14A)은 결손부로서 슬릿(14S)을 가진다. 슬릿(14S)은 제2 전극층(14A)의 1변으로부터 이 1변에 대향하는 변을 향하여 번갈아 설치된다. 따라서, 흡착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결손부는 제2 전극층(14)으로의 통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도 4는 집진기(1)에 발생하는 전계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흰색 화살표(X) 및 화살표(Y)는 전계를 나타낸다.
제1 전극층(12) 및 제2 전극층(14)의 일방에 전원 장치(2)의 플러스극이, 타방에 마이너스극이 접속되어, 통전이 행해진다.
파티클이 절연물인 경우는, 그 절연물의 대전하기 쉬운 극과 반대인 극을 제2 전극층(14)에 접속하는 것이 집진 효율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2 전극층(14)으로부터의 전계는,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전극층(14)으로부터 제2 절연층(15) 및 흡착층(16)을 통과하여, 파티클이 존재하는 공간에 도달하고, 흡착층(16) 및 제2 절연층(15)을 다시 통과하고, 제2 전극층(14)의 결손부를 지나 제1 절연층(13)을 통과하고, 화살표(Y)로 나타내는 제1 전극층(12)으로부터의 전계와의 균형부에 이른다.
따라서, 집진기(1)의 흡착층(16)의 외측 방향에 불균형 전계가 생성되게 되고, 외측 방향의 전계에 의해 파티클이 가공물 등으로부터 튕겨져, 내측 방향의 전계에 의해 파티클은 전계를 따라 이동하여 흡착층(16)에 흡착된다. 여기에서, 불균형 전계란 전계의 상쇄에 의해 균형부가 되는 방향성을 갖지 않는 플러스-마이너스 O 지점을 제외한 범위를 가리키며, 방향성을 가진 쿨롱력이 발생해 있는 전계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전극층(12)은 도 4 정면시에 있어서 제2 전극층(14)과 같은 위치 높이가 아니고, 제1 절연층(13)을 사이에 끼고, 또한 제1 절연층(13)의 하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계의 균형부가 도 4 화살표(X)의 상단이 아니고, 화살표(X)와 화살표(Y)가 마주 향하는 위치, 즉 집진기(1)의 내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전계 내에 들어간 먼지를 항상 도 4의 화살표(X)로 나타내는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진기(1)의 상단면에 설치한 흡착층(16)에 집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2 전극층(14)은 평면시에 있어서 제1 전극층(12)의 전체면을 덮는다. 따라서, 제2 전극층(14)으로부터의 전계의 방향이 모두 결손부 방향, 즉 집진기(1)의 평면시 내측 방향으로 모이기 때문에, 파티클이 집진기(1)의 외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계의 내부에서는, 파티클이 도체나 일부의 절연물일 경우에는 정전 유도에 의한 대전이, 절연물이나 반도체일 경우에는 유전 분극에 의한 대전이 발생하고, 어느 경우에도 파티클은 대전된다.
대전된 파티클은 전계를 타고 반송되어, 흡착층(16)에 의해 흡착된다.
여기에서, 실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집진기(1)를 60mm×60mm로 형성하여 실험을 행했다.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운 집진기(1)의 제1 전극층(12)에 2kv, 제2 전극층(14)에 제1 전극층(12)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은 역전압인 -4kv의 전압을 인가 했다.
집진기(1)의 흡착층(16)측에 간격을 두고 샘플을 실로 매달았다.
샘플이 10mm×0.5mm의 알루미늄박은 간격이 대략 100mm 정도의 거리까지 끌어당김 효과가 확인되었다.
샘플이 10mm×0.5mm의 실리콘 웨이퍼는 간격이 대략 50mm의 거리까지 끌어당김 효과가 확인되었다.
샘플이 10mm×0.5mm의 수지(아크릴 수지)는 간격이 대충 60mm의 거리까지 끌 당김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집진기(1)는 도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전극층(12)과, 도체에 의해 형성되고, 평면시에 있어서 제1 전극층(12)을 덮는 크기를 가지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손부(관통구멍(14H), 슬릿(14S))를 가지고, 제1 전극층(1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전극층(14)과, 절연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제1 전극층(12) 및 제2 전극층(14)을 절연하고, 제1 전극층(12) 및 제2 전극층(14)과 함께 1장의 층 구조를 형성하는 절연층(제1 절연층(13), 제2 절연층(15))을 갖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집진 방법은 제1 전극층(12)에 절연층(제1 절연층(13))을 사이에 끼고 대향하여 층 형상으로 배치되고, 평면시에 있어서 제1 전극층(12)을 덮는 크기를 가지는 제2 전극층(14)에 전압을 인가하고, 제1 전극층(12)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제2 전극층(14)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하여 발생하는 전계를 제2 전극층(14)이 가지는 결손부(관통구멍(14H), 슬릿(14S))에 통과시켜 제1 전극층(12)에 도달하는 불균형 전계를 생성시키고, 이 불균형 전계를 따라 파티클을 반송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작은 스페이스에도 설치 가능하며, 효율 좋게 집진할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1 집진기
2 전원 장치
11 지지 기반층
12 제1 전극층
13 제1 절연층
14 제2 전극층
14A 제2 전극층
14H 관통구멍
14S 슬릿
15 제2 절연층
16 흡착층

Claims (9)

  1. 도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전극층과,
    도체에 의해 형성되고,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결손부를 가지고,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을 덮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1 전극층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전극층과,
    절연성의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을 절연하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상기 제2 전극층과 함께 1장의 층 구조를 형성하는 절연층을 갖추는 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제1 전극층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2 전극층의 가장자리보다도 5mm 이상 내측이 되도록 형성되는 집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사이에 끼고, 상기 제2 전극층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흡착층을 더 갖추는 집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을 사이에 끼고, 상기 제1 전극층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지지 기반층을 더 갖추는 집진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손부는 원형의 관통구멍인 집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손부는 내경이 5mm∼15mm이며, 인접하는 상기 결손부와의 간격이 10mm∼30mm인 집진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손부는 슬릿인 집진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폴리이미드에 의해 형성되는 집진기.
  9. 제1 전극층에 절연층을 사이에 끼고 대향하여 층 형상으로 배치되고,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을 덮는 크기를 가지는 제2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1 전극층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상기 제2 전극층으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하여 발생하는 전계를 상기 제2 전극층이 가지는 결손부에 통과시켜 상기 제1 전극층에 도달하는 불균형 전계를 생성시키고, 상기 불균형 전계를 따라 파티클을 반송시키는 집진 방법.
KR1020227010569A 2020-09-24 2021-08-31 집진기 및 집진 방법 KR20230070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59465 2020-09-24
JPJP-P-2020-159465 2020-09-24
PCT/JP2021/031967 WO2022064977A1 (ja) 2020-09-24 2021-08-31 集塵機及び集塵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168A true KR20230070168A (ko) 2023-05-22

Family

ID=80846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569A KR20230070168A (ko) 2020-09-24 2021-08-31 집진기 및 집진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81791A1 (ko)
EP (1) EP4219019A1 (ko)
JP (1) JPWO2022064977A1 (ko)
KR (1) KR20230070168A (ko)
CN (1) CN114555235A (ko)
TW (1) TW202211985A (ko)
WO (1) WO2022064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55411A (ja) * 2021-10-06 2023-04-18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ブテクノロジー プレス金型用電気集塵機及びそれを用いたプレス金型
KR20240066182A (ko) * 2021-10-06 2024-05-14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러지 전기 집진기 및 그것을 이용한 집진 방법
WO2024100948A1 (ja) * 2022-11-09 2024-05-16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ブテクノロジー 集塵機及び半導体製造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0994B2 (ja) 2014-08-18 2019-12-18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ブテクノロジー 集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0193A (ja) 1984-04-02 1985-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変周波数電源の運転装置
JPH09262500A (ja) * 1996-03-28 1997-10-07 Toto Ltd 電気集塵器
JP2001179128A (ja) * 1999-12-28 2001-07-03 Daikin Ind Ltd 誘電フィルター
JP3997941B2 (ja) * 2003-03-28 2007-10-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集塵装置
JP5156276B2 (ja) * 2007-06-20 2013-03-0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試料表面上の異物除去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荷電粒子線装置
KR101842101B1 (ko) * 2010-08-03 2018-03-26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이물질 부착 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자선 검사 장치 및 방법
JP6362017B2 (ja) * 2013-09-02 2018-07-25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ブテクノロジー パーティクルコレクタシステム及び集塵方法
KR102617773B1 (ko) * 2017-06-01 2023-12-22 에이에스엠엘 네델란즈 비.브이. 입자 제거 장치 및 관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20994B2 (ja) 2014-08-18 2019-12-18 株式会社クリエイティブテクノロジー 集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064977A1 (ko) 2022-03-31
EP4219019A1 (en) 2023-08-02
WO2022064977A1 (ja) 2022-03-31
TW202211985A (zh) 2022-04-01
CN114555235A (zh) 2022-05-27
US20230381791A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70168A (ko) 집진기 및 집진 방법
US2978066A (en) Gas cleaning apparatus
CN102814234A (zh) 静电除尘器
US9308537B2 (en) Electrostatic air conditioner
KR101622667B1 (ko) 전기집진 장치
CN101745462A (zh) 电力除尘器及其电极
JP5523436B2 (ja) 半導体清浄装置および半導体清浄方法
JP5768731B2 (ja) 異物除去装置、異物除去方法
JP2011009235A (ja) イオン発生方法、イオン発生電極及びイオナイザモジュール
WO2017212688A1 (ja) 荷電装置、電気集塵機、換気装置及び空気清浄機
KR20170120563A (ko) 전기 집진 장치
KR102466669B1 (ko) 전기 집진 장치
JP2018051507A (ja) 電気集塵装置
CN1264608C (zh) 颗粒分离器
KR102190076B1 (ko) 공기청정기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9978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466261B1 (ko) 정전 필터 및 정전 필터의 필터 판을 위한 랙
KR20220113718A (ko) 전기 집진기
WO2023190247A1 (ja) ワーク吸着装置
WO2019087997A1 (ja) 電気集塵装置
JP2013158762A (ja) 集塵装置
KR20200077722A (ko)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는 미세입자 분리장치
JP2009268979A (ja) 電気集塵装置用の平板電極
KR101136353B1 (ko) 회전식 집진판 타입의 1단 전기집진기
KR102190081B1 (ko) 전기집진장치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