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133A -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필터 유닛 - Google Patents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필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133A
KR20230069133A KR1020237010675A KR20237010675A KR20230069133A KR 20230069133 A KR20230069133 A KR 20230069133A KR 1020237010675 A KR1020237010675 A KR 1020237010675A KR 20237010675 A KR20237010675 A KR 20237010675A KR 20230069133 A KR20230069133 A KR 20230069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piral
tray
spiral conveyor
secondar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아키 마에다
요시오 와타누키
Original Assignee
도쿄 세이미츠 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세이미츠 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세이미츠 하츠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6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7Devices for removing chips outside the working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69Filtr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67Devices for removing chips chip containers located under a machine or under a chip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crew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컨베이어(10)의 트레이(2)와 배출 덕트(6) 사이에 연결된 필터 유닛(20)은, 반송 스파이럴(2)의 외주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되는 1차 필터(펀칭 메탈(37))와, 반송 스파이럴 및 1차 필터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2차 필터(메시 필터(43))와, 2차 필터에 세정액을 내뿜는 세정 노즐(50)을 가진다. 1차 필터에 포착된 절삭 부스러기는 회전하는 반송 스파이럴에 의해 긁어내어져 반송로로 되돌려지고, 1차 필터를 통과하여 2차 필터에 포착된 절삭 부스러기는 세정 노즐에 의해 제거되어 반송로로 되돌려진다. 세정 노즐로부터 소정 각도로 내뿜어진 세정액이 2차 필터의 외주에 설치한 날개판(46)에 충돌함으로써, 2차 필터에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필터 유닛
본 발명은 금속 절삭 가공에 의해 발생한 절삭 부스러기를 반송하기에 적합한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이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설치되는 필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의 일종으로서 공지인 스파이럴 컨베이어(1)는 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 트레이(2)에 수용한 코일 스프링 형상의 반송 스파이럴(3)을 감속기 부착 모터(4)로 소정 방향으로 저속 회전시킴으로써, 트레이(2)에 투입한 절삭 부스러기(5)를 트레이(2) 내에서 소정 방향으로 반송시키고, 트레이(2)의 출구에 접속된 배출 덕트(6)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절삭 부스러기(5)와 함께 트레이(2)에 들어가는 절삭액(7)은 트레이(2) 내의 반송 도중에 트레이(2)의 하방에 설치한 절삭액 탱크(8)로 회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스파이럴 컨베이어는, 크게 팽창한 장쇄 형상의 연속 절삭 부스러기로부터 침 형상의 미세 절삭 부스러기까지 다종다양한 형상·치수·재질이어도 비교적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는 점, 구조가 간단하며 저비용으로 제조·제공 가능한 점, 다종·다수의 공작 기계를 연결하는 가공 시스템에 있어서 절삭 부스러기의 장거리 반송이 가능한 점, 절삭 부스러기에 부착된 절삭액을 효율적으로 분리 회수할 수 있는 점 등으로부터, 많은 공작 기계에 채용되고 있다.
일본 특개 2018-001400호 공보
http://www.to-hatsu.co.jp/products/sc_built.html
종래의 스파이럴 컨베이어(1)에서는 트레이(2)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이 채용되어 있다. 즉, 트레이(2)는 반송 스파이럴(3)을 수용하는 만곡저면부(2a)를 가짐과 아울러, 그 양측을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게 하여 연장시켜 경사부(2b, 2b)를 형성하고 있다. 경사부(2b, 2b)는 그 위에 낙하한 절삭 부스러기(5)를 자중으로 반송 스파이럴(3)에 의한 반송부를 향하여 원활하게 이행시키는 안내판으로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것을 펀칭 메탈로 형성함으로써 필터의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절삭액(7)은 펀칭 메탈의 개구를 통과하여 낙하하여 절삭액 탱크(8)로 회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터는 눈막힘을 일으키기 쉬운 것이었다. 특히, 비교적 경량인 알루미늄 소재의 절삭 부스러기(5)가 경사부(2b, 2b)에 낙하하면, 자중으로 반송부를 향하여 낙하할 수 없고 그대로 퇴적되어버려, 눈막힘을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한 배경을 감안하여, 어떠한 소재나 형상의 절삭 부스러기라도 눈막힘을 일으키기 어려운 필터 기능을 갖춘 스파이럴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하나의 과제는, 기존의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용이하게 후부착 설치 가능한 필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절삭 기계로부터의 절삭 부스러기 및 절삭액이 투하되는 트레이와, 절삭 부스러기를 배출하는 배출 덕트와, 트레이와 배출 덕트 사이에 연결되는 필터 유닛과, 트레이 및 필터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절삭 부스러기를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스파이럴과, 트레이 및 필터 유닛으로부터 낙하하는 절삭액을 수용하는 절삭액 탱크를 갖춘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이 필터 유닛은, 반송 스파이럴의 외주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되는 1차 필터와, 반송 스파이럴 및 1차 필터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2차 필터와, 2차 필터에 세정제를 내뿜는 세정 노즐을 가지고, 1차 필터에 포착된 절삭 부스러기는 회전하는 반송 스파이럴에 의해 긁어내어져 반송로로 되돌려지고, 1차 필터를 통과하여 2차 필터에 포착된 절삭 부스러기는 세정 노즐에 의해 제거되어 반송로로 되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이다.
본원의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1차 필터는 2차 필터보다 눈이 거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1차 필터는 펀칭 메탈이며, 2차 필터는 100~200메시의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1차 필터는, 2매의 필터가 반송 스파이럴의 외주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을 둔 위치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2차 필터는, 복수매의 필터가 링 형상의 회전판에 고착되고, 이 회전판의 내주 가장자리에 맞닿는 복수개의 자유 회전 롤이 설치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세정 노즐로부터 내뿜어지는 세정제를 받아 2차 필터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날개판이 2차 필터의 외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세정 노즐은 2차 필터의 대략 바로 위에 배치되어, 대략 최상 위치의 2차 필터를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세정제를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에 기재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필터 유닛이 트레이의 출구에 연속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에 기재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트레이의 출구와 배출 덕트의 입구 사이에 별체로서 설치되는 필터 유닛이다.
본원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1차 필터와 2차 필터의 조합에 의한 필터 유닛이 트레이와 배출 덕트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트레이에 투입된 절삭 부스러기를 필터의 눈을 막게하는 일 없이 원활하게 반송 스파이럴에 의해 배출 덕트로 반송시킬 수 있다. 1차 필터에 포착된 절삭 부스러기는 회전하는 반송 스파이럴에 의해 긁어내어져 반송로로 되돌려지고, 1차 필터를 통과하여 2차 필터에 포착된 절삭 부스러기는 세정 노즐에 의해 제거되어 반송로로 되돌려지므로, 어느 것이나 눈막힘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본원의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에 투입된 절삭 부스러기 중, 1차 필터를 통과할 수 없는 비교적 큰 절삭 부스러기가 1차 필터에 포착되고, 1차 필터를 통과하는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가 2차 필터에 포착되므로, 절삭 부스러기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분(篩分)할 수 있다.
본원의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1차 필터 및 2차 필터에 대한 적합한 재료예가 제공된다. 펀칭 메탈도 메시 필터도 널리 시판되고 있어, 염가로 또한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본원의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1차 필터에 대한 적합한 설계예가 제공된다. 반송 스파이럴의 외주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을 둔 위치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2매의 필터는, 이 위치에 늘어뜨려져 세워지도록 설치된 것(도 3 참조)이어도, 또는 반송 스파이럴의 외주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설치된 것(도 4 참조)이어도 된다.
본원의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2차 필터를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적합한 설계예가 제공된다. 링 형상의 회전판은, 그 내주 가장자리가 자유 회전 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회전판에 고착된 2차 필터는 회전판과 일체로 회전한다.
본원의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2차 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적합한 설계예가 제공된다. 2차 필터는 그 외주에 설치된 날개판에 세정 노즐로부터의 세정제가 내뿜어져 충돌함으로써 얻어지는 회전 에너지로 자동적으로 회전하므로,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원의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2차 필터의 대략 바로 위에 배치된 세정 노즐로부터, 대략 최상 위치의 2차 필터를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세정제를 내뿜어 날개판에 충돌시키므로, 그 내뿜는 방향에 의해 2차 필터를 항상 소정의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 2차 필터에 포착된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를, 세정 노즐로부터 내뿜어지는 세정제에 의한 세정 작용과 함께, 그 자중도 이용하여 원활하게 제거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눈막힘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다.
본원의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필터 유닛이 트레이의 출구에 연속되어 일체로 형성되므로, 필터 유닛이 당초부터 일체로 편입된 스파이럴 컨베이어로서 신규로 제조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본원의 청구항 9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의 출구에 배출 덕트가 연결된 종래 구조의 기존 스파이럴 컨베이어(도 5)에 후부착으로 편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기존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대하여 부가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실시예 1)에 따른 스파이럴 컨베이어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이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트레이와 배출 덕트 사이에 설치되는 필터 유닛의 측면도(앞측의 2차 필터는 도시하지 않음)이다.
도 3은 이 필터 유닛의 도 2 A-A 절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실시예 2)에 따른 필터 유닛의 도 3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파이럴 컨베이어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 B-B 절단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필터 유닛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실시예 1)에 따른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스파이럴 컨베이어(10)는 도 5의 스파이럴 컨베이어(1)와 마찬가지의 기본 구조를 가지고, 그 기본적인 동작 내지 작용도 도 5에 대해 이미 서술한 것과 마찬가지로서, 도 5의 스파이럴 컨베이어(1)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재·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지만, 트레이(2)와 배출 덕트(6) 사이에 필터 유닛(20)이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크게 상위하다. 반송 스파이럴(3)은 트레이(2) 및 필터 유닛(20)을 통과하고, 또한 배출 덕트(6)의 도중(필터 유닛(20)에 인접하는 수평 부분)까지 들어가는 길이로 설치되어 있고, 필터 유닛(20) 내에 있어서, 트레이(2)와 실질적으로 연속되어 연장되도록 연장 트레이(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필터 유닛(20)은, 절삭액 탱크(8)의 개방면을 부분적으로 폐색하도록 폭 방향(도 1 지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색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있어서 트레이(2)의 출구단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트레이측 고정판(22)과, 동일하게 절삭액 탱크(8)의 폐색판 상에 있어서 배출 덕트(6)의 입구단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덕트측 고정판(23)에 의해, 트레이(2)와 배출 덕트(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트레이측 고정판(22)과 덕트측 고정판(23) 사이에 1차 필터 구조체(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1차 필터 구조체(30)는, 트레이측 고정판(22)의 내면에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고정되는 트레이측 수직판(31)(덕트측 수직판(32)보다 큰 높이를 가짐)과, 덕트측 고정판(23)의 내면에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고정되는 덕트측 수직판(32)과, 이들 수직판 사이에 걸쳐져 용접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필터 프레임(33)과, 필터 프레임(33)의 내측에 스페이서(34)를 통하여 볼트(35)(도 3에는 상단을 고정하는 볼트(35)만이 나타나 있고, 도 2에서는 볼트(35)는 도시하지 않지만 이 볼트(35)를 통과시키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36)이 나타나 있음)로 고정되는 펀칭 메탈(37)을 가진다.
필터 프레임(33)의 측면 중앙부는 크게 개구되어 있어, 펀칭 메탈(37)을 통과한 작은 절삭 부스러기(슬러지)가 원활하게 필터 프레임(33)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필터 프레임(33)의 측면에 2개의 개구(38)가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을 연속시켜 하나의 개구(38)로 해도 되고, 그 형상도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나 타원형 등이어도 된다.
펀칭 메탈(37)은 필터 프레임(33)의 측면과 대략 동일한 외형상 및 외치수를 가지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 프레임(33)의 외측 가장자리부에서 그 내면에 볼트(35)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 고정 상태에 있어서, 필터 유닛(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반송 스파이럴(3)의 반송 방향 양측에 약간의 틈을 남기고 늘어뜨려져 세워지도록 한 쌍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도 3). 일례로서, 펀칭 메탈(37)에는 스테인리스 스틸판에 5mm 피치로 3mm 직경의 원형 구멍이 대략 전체면에 걸쳐 다수 형성된 것이 사용되는데, 피치나 구멍의 직경, 형상 등은 반송하는 절삭 부스러기(5)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구멍의 형상은 원형의 둥근 구멍 이외에 긴 구멍이나 슬릿 등이어도 된다.
연장 트레이(21)에 의한 반송 영역 및 1차 필터 구조체(30)를 둘러싸도록 2차 필터 구조체(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2차 필터 구조체(40)는, 1차 필터 구조체(30)의 트레이측 수직판(31) 및 덕트측 수직판(32)의 각각에 대해 120도의 등간격 위치에 고착한 축(부호 없음)의 둘레를 자유 회전하는 3개의 프리 롤(41)과, 이 프리 롤(41)에 지지되는 내주 가장자리(42a)를 가지는 링 형상의 회전판(42)(전후 한 쌍)과, 전후의 회전판(42, 42) 사이에 고착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메시 필터(43)를 가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반둘레마다 4매의 메시 필터(43)를 인접간의 각도가 144도가 되도록 하여 비스(44)로 연결하여 2개의 반둘레 필터를 형성하고, 이들을 볼트(45)로 연결하여 단면 정팔각 형상의 메시 필터(43)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일 부재로 완전한 원통 형상의 메시 필터(43)를 형성해도 되고, 팔각형 이외의 다각형으로 해도 된다.
메시 필터(43)는 1차 필터 구조체(30)의 펀칭 메탈(37)보다 세세한 눈을 가지는 것이며, 일례로서 100~200메시(75~150μm)의 스테인리스 메시 필터가 사용된다. 메시 필터(43)의 외주에는 후술하는 세정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제를 받아 회전판(42)을 회전시키는 힘으로 변환하기 위한 날개판(46)이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2차 필터 구조체(40)의 대략 바로 위 위치에 세정 노즐(50)이 설치되어 있다. 세정 노즐(50)은 1차 필터 구조체(30)에 있어서 필터 프레임(33)을 넘어 연장되어 있는 트레이측 수직판(31)의 상단 가까이에 형성된 관통 구멍(39)을 통과하는 세정제 파이프(51)에 통하고 있어, 세정제 파이프(51)에 공급되는 세정제(52)를 2차 필터 구조체(40)의 최상방 위치에 위치하는 메시 필터(43)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내뿜도록 설치되어 있다. 세정제(52)로는 절삭액 탱크(8)에 회수된 절삭액(7)을 재이용할 수 있고, 이것을 위한 순환로를 형성하여 세정제 파이프(51)에 펌프 압송하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필터 유닛(20)의 동작 내지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절삭액(7)과 함께 트레이(2)에 투입된 절삭 부스러기(5)는 반송 스파이럴(3)에 의해 도 1 우방향으로 반송된다. 이 반송 도중에 분리된 절삭액(7)은 절삭액 탱크(8)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절삭 부스러기(5)가 트레이(2)의 출구로부터 필터 유닛(20) 내로 이송되면, 1차 필터 구조체(30)의 펀칭 메탈(37) 및 2차 필터 구조체(40)의 메시 필터(43)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즉, 반송 스파이럴(3)에 휘감긴 상태에서 필터 유닛(20) 내로 이송되어 온 절삭 부스러기는 반송 스파이럴(3)의 외주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을 두고 배치된 펀칭 메탈(37)에 접촉된다. 비교적 큰 절삭 부스러기(5A)는 펀칭 메탈(37)의 눈을 통과할 수 없어, 회전하는 반송 스파이럴(3)이 펀칭 메탈(37)에 접촉함으로써 강제적으로 긁어 떨어뜨려져 내부로 되돌려지고, 반송 스파이럴(3)에 의해 배출 덕트(6)를 향하여 더욱 반송된다.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슬러지 등)(5B)는 펀칭 메탈(37)을 통과하여, 1차 필터 구조체(30)의 외측으로 방출된다.
펀칭 메탈(37)을 통과하여 1차 필터 구조체(30)의 외측으로 방출된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5B)는, 이어서 1차 필터 구조체(30)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2차 필터 구조체(40)의 메시 필터(43)에 의한 처리를 받는다.
즉, 펀칭 메탈(37)을 통과한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5B)는 자중으로 낙하하여,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메시 필터(43)에 의해 고액(固液) 분리된다. 이 절삭 부스러기(5B)에 부착되어 있던 절삭액(7)은 여기서 분리되어,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절삭액 탱크(8)로 회수된다.
한편, 메시 필터(43)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절삭 부스러기(5B)는 이 하방의 메시 필터(43)에 포착되는데, 2차 필터 구조체(40)의 회전판(42) 및 메시 필터(43)는, 세정 노즐(50)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제(52)가 최상 위치의 메시 필터(43)의 외주에 설치된 날개판(46)에 충돌함으로써 항상 소정 방향(도 3에서는 세정 노즐(50)로부터 세정제(52)가 좌측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분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 도면에 화살표 47로 나타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이 회전에 따라, 하방 위치의 메시 필터(여기에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5B)가 포착되어 있음)가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해간다. 도 3에 화살표 5B로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메시 필터에 포착된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5B)의 일부는 이 동안에 자중으로 낙하하고, 자중으로 낙하하지 않은 절삭 부스러기(5B)도 이 메시 필터(43)가 최상 위치에 이르러서 세정 노즐(50)로부터 세정제(52)가 내뿜어짐으로써 이 메시 필터(43)로부터 이탈하여 자중으로 낙하하여, 반송 스파이럴(3)에 의해 배출 덕트(6)를 향하여 더욱 반송된다.
이상에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 스파이럴(3)에 휘감긴 절삭 부스러기(5)는, 비교적 큰 절삭 부스러기(5A)는 1차 필터 구조체(30)의 펀칭 메탈(37)을 통과할 수 없어 긁어내어져 반송 스파이럴(3)로부터 분리됨과 아울러 반송 스파이럴(3)에 의한 반송 경로로 되돌려지고, 1차 필터 구조체(30)의 펀칭 메탈(37)을 통과한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5B)는 2차 필터 구조체(40)의 메시 필터(43)에 포착된 후에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낙하하여 반송 스파이럴(3)에 의한 반송 경로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비교적 큰 절삭 부스러기(5A)도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5B)도 원활하게 배출 덕트(6)를 향하여 반송할 수 있다.
또한 1차 필터 구조체(30)의 펀칭 메탈(37)은 반송 스파이럴(3)의 외주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므로, 여기에 일시적으로 절삭 부스러기(5A)의 막힘이 발생했다고 해도, 금방 반송 스파이럴(3)의 외주에 접촉하여 긁어 떨어뜨려지게 되므로, 일시적으로 발생한 눈막힘도 단시간에 해소시킬 수 있다. 또 2차 필터 구조체(40)의 메시 필터(43)는 항상 회전하면서 그 최상 위치에 도달했을 때 세정 노즐(50)로부터의 세정제(52)로 세정되므로, 메시 필터(43)에 포착된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5B)도 최대 반회전마다 분리시켜 눈막힘을 해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펀칭 메탈(37) 및 메시 필터(43)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심각한 눈막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실시예 2)에 따른 필터 유닛(2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필터 유닛(20)은 1차 필터 구조체(30)의 구성이 실시예 1의 필터 유닛(20)과 일부 상위하며, 구체적으로는 펀칭 메탈(37)이 반송 스파이럴(3)의 외주를 따라 소정 길이에 걸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가지는 점, 및 필터 프레임(33)의 천판(33a)의 중앙부가 크게 개구되어 있어, 그 개구단에 경사 형상 내지 깔때기 형상의 안내판(39)이 형성되어 있는 점의 2점에 있어서 상위하다.
전자의 상위점은, 회전하는 반송 스파이럴(3)에 휘감긴 비교적 긴 절삭 부스러기(5A)가 펀칭 메탈(37)에 접촉하여 긁어내어지는 영역이 보다 길어짐과 아울러, 펀칭 메탈(37)의 눈막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소시키는 것에 기여한다. 또 후자의 상위점은, 2차 필터 구조체(40)의 메시 필터(43)에 포착된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5B)가 이 메시 필터(43)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낙하했을 때, 이것을 반송 스파이럴(3)에 의한 반송 경로로 보다 원활하게 되돌리는 것에 기여한다.
상기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필터 유닛(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을 할애한다. 도 4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필터 유닛(20)에 있어서의 각 부재 내지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재 내지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지만, 일부의 부재 내지 요소에 대해서는 부호가 생략되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도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서술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해석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다종다양하게 변형 내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 실시형태에 따른 스파이럴 컨베이어(10)는 중심축을 가지지 않는 중공의 반송 스파이럴(3)을 가지는 타입의 것이지만, 본 발명은 중심축을 가진 반송 스파이럴을 가지는 타입의 스파이럴 컨베이어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도시 실시형태에 따른 스파이럴 컨베이어(10)는 필터 유닛(20)의 출구에 반출 덕트(6)를 접속하여 절삭 부스러기(5)를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이송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반출 덕트(리프트 업 덕트)를 가지지 않는 스파이럴 컨베이어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 도시 실시형태에 따른 스파이럴 컨베이어(10)(및 종래 기술인 도 6의 스파이럴 컨베이어(1))에서는, 트레이(2) 및 연장 트레이(21)의 각 만곡저면부 내면의 대향 위치에 한 쌍의 긴 레일(9, 9)을 전체 길이에 걸쳐 따라서 돌출설치한 레일 사양이 채용되어 있지만, 이 대신에 레일(9, 9)을 생략하고, 반송 스파이럴(3)이 트레이(2, 21)의 최하점을 중심으로 하는 약간의 폭 방향 영역에 접지하는 레일리스 사양을 채용해도 된다. 레일 사양을 채용하는 경우, 반송 스파이럴(3)은 레일(9, 9) 상에 재치 지지되어, 트레이(2, 21)의 최하점과의 사이에 약간의 틈(예를 들면 1mm정도)을 남기고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도 6 참조. 도 3 및 도 4에는 이 틈은 도시하지 않음) 일이 많지만, 반대로, 트레이 최하점 부근에 접지시켜, 트레이(2, 21)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예를 들면 1mm 미만)을 남긴 상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반송 스파이럴(3)에 대한 지지 구조는 본 발명의 주제에 직접 관련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의의 지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 트레이(2)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트레이와 이너 트레이 사이에 제진재를 삽입한 것을 사용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에 의해 제진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 도시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노즐(50)로부터 세정제로서 절삭액(7)을 2차 필터(메시 필터(43))에 내뿜어 눈막힘을 해소시키고 있지만, 세정 노즐(50)로부터 공기를 내뿜어도 된다.
또 도시 실시형태에서는 세정 노즐(50)로부터의 세정제를 2차 필터(메시 필터(43))에 대하여 비스듬히 하향으로 분사하여 날개판(46)에 충돌시킴으로써 2차 필터에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모터 등의 회전 구동원을 설치하지 않고 2차 필터를 회전시킬 수 있어, 장치 구성의 간소화·소형화 및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세정 노즐(50)로부터 똑바로 하향으로 세정제를 분사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2차 필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만, 날개판(46)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2차 필터에 포착된 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5B)를 이탈·낙하시키는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파이럴 컨베이어(10)의 트레이(2)와 배출 덕트(6) 사이에 필터 유닛(20)이 연결되어 있는 점에 큰 특징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스파이럴 컨베이어(10)는 미리 필터 유닛(20)이 편입된 것으로서 전체를 신규로 제조할 수 있는 것 외에, 트레이(2)의 출구에 배출 덕트(6)가 연결된 종래 구조의 기존 스파이럴 컨베이어(1)(도 5)에 후부착으로 편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관련하여 이미 서술한 문제(트레이(2)의 경사부(2b, 2b)에 절삭 부스러기(5)가 눈막힘을 일으키기 쉽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경사부(2b, 2b)를 형성하는 펀칭 메탈의 구멍을 막거나, 펀칭 메탈 대신에 무구멍판을 사용하여 경사를 강하게 하는 등의 약간의 개변을 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스파이럴 컨베이어
2…트레이
3…반송 스파이럴
4…감속기 부착 모터
5…절삭 부스러기
5A…비교적 큰 절삭 부스러기
5B…비교적 작은 절삭 부스러기
6…배출 덕트
7…절삭액
8…절삭액 탱크
9…레일
10…스파이럴 컨베이어
20…필터 유닛
21…연장 트레이
22…트레이측 고정판
23…덕트측 고정판
30…1차 필터 구조체
31…트레이측 수직판
32…덕트측 수직판
33…필터 프레임
34…스페이서
35…볼트
36…볼트 삽입 통과 구멍
37…펀칭 메탈(1차 필터)
38…개구
39…안내판
40…2차 필터 구조체
41…프리 롤(자유 회전 롤)
42…회전판
43…메시 필터(2차 필터)
44…비스
45…볼트
46…날개판
47…회전판 및 메시 필터의 회전 방향
50…세정 노즐
51…세정제 파이프
52…세정제(절삭액)

Claims (9)

  1. 절삭 기계로부터의 절삭 부스러기 및 절삭액이 투하되는 트레이와, 절삭 부스러기를 배출하는 배출 덕트와, 트레이와 배출 덕트 사이에 연결되는 필터 유닛과, 트레이 및 필터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절삭 부스러기를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스파이럴과, 트레이 및 필터 유닛으로부터 낙하하는 절삭액을 수용하는 절삭액 탱크를 갖춘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이 필터 유닛은, 반송 스파이럴의 외주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되는 1차 필터와, 반송 스파이럴 및 1차 필터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2차 필터와, 2차 필터에 세정제를 내뿜는 세정 노즐을 가지고, 1차 필터에 포착된 절삭 부스러기는 회전하는 반송 스파이럴에 의해 긁어내어져 반송로로 되돌려지고, 1차 필터를 통과하여 2차 필터에 포착된 절삭 부스러기는 세정 노즐에 의해 제거되어 반송로로 되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1차 필터는 2차 필터보다 눈이 거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1차 필터는 펀칭 메탈이며, 2차 필터는 100~200메시의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차 필터는, 2매의 필터가 반송 스파이럴의 외주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을 둔 위치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차 필터는, 복수매의 필터가 링 형상의 회전판에 고착되고, 이 회전판의 내주 가장자리에 맞닿는 복수개의 자유 회전 롤이 설치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정 노즐로부터 내뿜어지는 세정제를 받아 2차 필터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날개판이 2차 필터의 외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세정 노즐은 2차 필터의 대략 바로 위에 배치되어, 대략 최상 위치의 2차 필터를 향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세정제를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필터 유닛이 트레이의 출구에 연속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컨베이어.
  9. 제1항 내지 제7항에 기재된 스파이럴 컨베이어에 있어서, 트레이의 출구와 배출 덕트의 입구 사이에 별체로서 설치되는 필터 유닛.
KR1020237010675A 2020-09-17 2021-05-24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필터 유닛 KR202300691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56313A JP2022049983A (ja) 2020-09-17 2020-09-17 スパイラルコンベアおよび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JP-P-2020-156313 2020-09-17
PCT/JP2021/019573 WO2022059258A1 (ja) 2020-09-17 2021-05-24 スパイラルコンベアおよびフィルター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133A true KR20230069133A (ko) 2023-05-18

Family

ID=8077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675A KR20230069133A (ko) 2020-09-17 2021-05-24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필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56343A1 (ko)
EP (1) EP4215310A1 (ko)
JP (1) JP2022049983A (ko)
KR (1) KR20230069133A (ko)
TW (1) TWI824264B (ko)
WO (1) WO2022059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9095B (zh) * 2022-07-21 2024-04-09 苏州华昌带箔有限公司 一种可便于进行碎屑排放功能的数控车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1400A (ja) 2016-06-22 2018-01-11 東京精密発條株式会社 静音スパイラルコンベア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8709U (ko) * 1980-02-14 1981-09-10
JP3228029B2 (ja) * 1993-12-17 2001-11-12 スズキ株式会社 切削屑搬送装置
JPH09201739A (ja) * 1996-01-26 1997-08-05 Suzuki Motor Corp 切削屑搬送装置
TW515439U (en) * 2001-10-19 2002-12-21 Shin-Chi Pan Convey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metal bits and pieces
TWM276034U (en) * 2005-03-25 2005-09-21 Shin-Chi Pan Improved structure of conveying device for discharging metal chips
JP5433823B2 (ja) * 2008-03-17 2014-03-05 株式会社Lnsヨシダ チップ搬送コンベヤ装置
JP5250160B1 (ja) * 2013-02-28 2013-07-31 モスニック株式会社 濾過装置
JP2020171988A (ja) * 2019-04-10 2020-10-22 株式会社ヨシダ鉄工 チップ搬送コンベ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1400A (ja) 2016-06-22 2018-01-11 東京精密発條株式会社 静音スパイラルコンベア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to-hatsu.co.jp/products/sc_built.htm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6564A (zh) 2022-05-01
TWI824264B (zh) 2023-12-01
EP4215310A1 (en) 2023-07-26
US20230356343A1 (en) 2023-11-09
WO2022059258A1 (ja) 2022-03-24
JP2022049983A (ja)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330078B4 (de) Zentrifugaltrockner für Pellets
EP2835182B1 (en) Paint booth equipped with purification device
US5765767A (en) Apparatus for grinding and uniformizing grains and screen with annular working space for use in the apparatus
US42344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cleaning drilling mud separation system
US9511311B2 (en) Filtration tank with serially connected horizontal screens
KR20230069133A (ko) 스파이럴 컨베이어 및 필터 유닛
US10464004B2 (en) Bag filter filtration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preventing dust accumulation
KR102160569B1 (ko) 메쉬망을 포함한 블레이드
US41522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lf-cleaning drilling mud separation system
JP2000507876A (ja) 空気から微粒子を除去する分離器
US20160214801A1 (en) Rotary hopper feeder for conveying and separating connection elements that have at least one shaft
JP2009090167A (ja) 粉粒体篩機
KR100684393B1 (ko) 탈수 시스템
US11325158B2 (en) Sieve device for fine cleaning of grainy material
US3337273A (en) Re-entrainment apparatus for conveying pipe-lines
JP2019093386A (ja) 破砕装置
US10960413B2 (en) Separator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a liquid by use of a rotating cylindrical chamber comprising at least three zones of drive surfaces, each driven by fluid flowing through the separator
FI75746B (fi) Anordning foer avskiljning av till sin partikelform varierande torrsubstanser.
WO2017081365A1 (en) Disc screen, and material entanglement prevention means to be installed in disc screen
DE2655335C2 (de) Schlagmühle für Getreide mit Ringsieb und Gebläse
GB20730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 cleaning drilling mud separator system
US6296124B1 (en) Screening device for bulk materials
NL1010423C2 (nl) Scheidingsinrichting.
JP2012196747A (ja) ドラムフィルタ式浄化装置
JP4473596B2 (ja) 破砕処理装置付きコンベア装置、および、コンベア装置取り付け用破砕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