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838A -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 Google Patents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838A
KR20230068838A KR1020210155024A KR20210155024A KR20230068838A KR 20230068838 A KR20230068838 A KR 20230068838A KR 1020210155024 A KR1020210155024 A KR 1020210155024A KR 20210155024 A KR20210155024 A KR 20210155024A KR 20230068838 A KR20230068838 A KR 20230068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llar
frames
prefabricated building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심
Original Assignee
원종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심 filed Critical 원종심
Priority to KR102021015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838A/ko
Publication of KR2023006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9Details of roofs, floors or walls supported by the frame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등의 전문적인 시공 기술이 필요 없어 건축물이 필요한 수요자가 시공 기술자를 거치지 않고도 건축물을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지면이나 초석을 받침 삼아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 골조부; 상기 지지 골조부를 받침 삼아 지지 골조부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 골조부; 상기 바닥 골조부를 받침 삼아 바닥 골조부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 골조부; 상기 기둥 골조부 상단에서 기둥 골조부 사이를 연결하는 기둥 연결 골조부 및 상기 기둥 골조부를 받침 삼아 기둥 골조부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 골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건축물을 조립할 수 있는 DIY 세트로서,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지지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지면이나 초석을 지지 삼아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바닥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바닥 골조부의 양측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부분 이상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을 따라 수평으로 뉘여 각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기초 바닥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바닥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양방향 기초 바닥 프레임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제1 연결 브라켓에 의해 두 개의 기초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 바닥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기둥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2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기초 바닥 프레임 또는 연결 바닥 프레임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기둥 연결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2개의 기둥 프레임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제3 연결 브라켓에 의해 기둥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기둥 연결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기둥 연결 프레임의 상단에서 두 개의 기둥 연결 프레임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상기 기둥 연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4 연결 브라켓 또는 제5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기둥 연결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붕 기초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지붕 기초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6 연결 브라켓 또는 제7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붕 프레임; 상기 바닥 골조부, 기둥 골조부 및 기둥 연결 골조부를 기초로 조립식 건축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판 및 상기 지붕 골조부를 기초로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면을 형성하는 지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Prefab Building DIY Set}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을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요자가 용접 등의 전문적인 시공 기술 없이 건축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은 사전적 의미로 토지에 붙어서 지붕, 기둥, 벽, 창 및 바닥으로 구성하여 일정한 형상을 갖추고, 주거나 업무, 영업 등의 용도에 쓸 수 있도록 만든 건조물로 상당한 수명이 있어서 독립된 부동산으로 등기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말한다.
이러한 건축물은 벽돌을 쌓아 축조하는 조적식이나 뼈대를 세운 후 벽을 붙이는 골조식 등이 있는데, 일부 골조식의 경우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갖는 철근을 수치에 맞춰 자르고, 자른 철근을 뼈대를 세우면서 철근 간 용접하여 골조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철근을 자르거나 용접을 하는 등의 기술은 전문 기술로서, 숙련된 시공 기술자가 아니면 하기 어려워 실질상 건축물을 제공받는 수요자는 건축물의 축조를 시공 기술자에게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시공 기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시공 기술자와의 마찰이 있을 경우 수요자가 대부분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에 있고, 수요자가 의뢰자의 입장이나 실질 상 시공 기술자의 편의에 맞추어 건축물이 제조되는 문제점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용접 등의 전문적인 시공 기술이 필요 없어 건축물이 필요한 수요자가 시공 기술자를 거치지 않고도 건축물을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DIY형 조립식 건축물은, 지면이나 초석을 받침 삼아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 골조부; 상기 지지 골조부를 받침 삼아 지지 골조부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 골조부; 상기 바닥 골조부를 받침 삼아 바닥 골조부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 골조부; 상기 기둥 골조부 상단에서 기둥 골조부 사이를 연결하는 기둥 연결 골조부 및 상기 기둥 골조부를 받침 삼아 기둥 골조부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 골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건축물을 조립할 수 있는 DIY 세트로서,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지지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지면이나 초석을 지지 삼아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바닥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바닥 골조부의 양측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부분 이상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을 따라 수평으로 뉘여 각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기초 바닥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바닥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양방향 기초 바닥 프레임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제1 연결 브라켓에 의해 두 개의 기초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 바닥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기둥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2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기초 바닥 프레임 또는 연결 바닥 프레임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기둥 연결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2개의 기둥 프레임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제3 연결 브라켓에 의해 기둥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기둥 연결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기둥 연결 프레임의 상단에서 두 개의 기둥 연결 프레임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상기 기둥 연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4 연결 브라켓 또는 제5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기둥 연결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붕 기초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지붕 기초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6 연결 브라켓 또는 제7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붕 프레임; 상기 바닥 골조부, 기둥 골조부 및 기둥 연결 골조부를 기초로 조립식 건축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판 및 상기 지붕 골조부를 기초로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면을 형성하는 지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기둥 프레임은, 제1 높이를 갖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1 기둥 프레임 군 및 상기 제1 높이보다는 더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2 기둥 프레임 군을 포함하여, 상기 조립식 건축물이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높이를 형성하는 복층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둥 프레임 군에 또는 제2 기둥 프레임 군에 속한 복수의 기둥 프레임 중 일부 복수의 기둥 프레임은 다른 높이의 기둥 프레임을 제공하여, 상기 조립식 건축물이 각기 다른 지붕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 브라켓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6개의 면 중 연속된 2개의 면이 개방된 형태의 브라켓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연결 브라켓은, 상기 기둥 프레임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에서 경사각을 갖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의 일면 또는 양면을 지지 고정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5 연결 브라켓은, 상기 기둥 연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서 직립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의 일면을 지지 고정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연결 브라켓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6개의 면 중 연속된 2개의 면이 개방된 형태의 브라켓이며, 상기 제7 연결 브라켓은,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3 고정 플레이트에서 직립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붕 프레임의 일면을 지지 고정하는 제3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프레임과,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연결 브라켓 중, 하나에는 돌기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마련하여 각 프레임과 연결 브라켓간을 고정돌기로 결속시키되, 상기 돌기홈과 고정돌기는,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조립 위치마다 다르게 개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판은, 상기 기둥 프레임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에 걸 수 있는 걸쇠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와 벽판 사이에는 힌지가 구성되어 걸쇠에 대해 벽판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상기 기둥 프레임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에 삽입 고정시키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ㄴ'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벽판을 끼울 수 있는 벽판 끼움부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벽판을 설정된 위치에 반듯이 정렬 시킬 수 있는 벽판 위치 정렬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판은, 일측에 삽입홈이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양단이 상기 삽입홈과 삽입돌기에 각각 삽입되어 삽입홈과 삽입돌기를 결속시키며, 외주면에는 마찰 향상을 위한 마찰링이 복수로 마련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용접 등의 전문적인 시공 기술이 필요 없어 건축물이 필요한 수요자가 시공 기술자를 거치지 않고도 건축물을 조립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위에서 언급된 효과에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로 조립한 조립식 건축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면을 반대편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도면에서 벽판과 지붕판을 제거하여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도면에서 기둥 연결 골조부 및 지붕 골조부 인근을 확대하여 바라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b)는 도 5의 (a)의 분해도이다.
도 6의 (a)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b)는 도 6의 (a)의 분해도이다.
도 7의 (a)는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b)는 도 7의 (a)의 분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돌기홈과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일 위치에서 조립되는 연결 바닥 프레임과 제1 연결 브라켓의 분해도 및 조립도이고, (c) 및 (d)는 돌기홈과 고정돌기가 타 위치에서 조립되는 연결 바닥 프레임과 제1 연결 브라켓의 분해도 및 조립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걸쇠를 이용하여 벽판을 설치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벽판 위치 정렬 부재를 이용하여 벽판을 설치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삽입홈, 삽입돌기 및 결속부재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의 (a)는 도 11 및 도 12의 삽입홈, 삽입돌기 및 결속부재를 이용한 벽판의 조립 전 개략도이며, (b)는 도 11 및 도 12의 삽입홈, 삽입돌기 및 결속부재를 이용한 벽판의 조립 후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로 조립한 조립식 건축물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도면을 반대편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도면에서 벽판과 지붕판을 제거하여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도면에서 기둥 연결 골조부 및 지붕 골조부 인근을 확대하여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5의 (a)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b)는 도 5의 (a)의 분해도이며, 도 6의 (a)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b)는 도 6의 (a)의 분해도이고, 도 7의 (a)는 도 3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b)는 도 7의 (a)의 분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지면이나 초석을 받침 삼아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 골조부(11), 상기 지지 골조부(11)를 받침 삼아 지지 골조부(11)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 골조부(12), 상기 바닥 골조부를 받침 삼아 바닥 골조부(12)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 골조부(13), 상기 기둥 골조부(13) 상단에서 기둥 골조부(13) 사이를 연결하는 기둥 연결 골조부(14) 및 상기 기둥 골조부(13)를 받침 삼아 기둥 골조부(13)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 골조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건축물(10)을 조립할 수 있는 DIY 세트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조립식 건축물의 뼈대를 이루는 각종 후술할 프레임들과 프레임들을 연결할 연결 브라켓들 및 외장판들로 구성되며, 이들의 프레임들과 연결 브라켓들 및 외장판은 판매자로부터 설정된 수치에 맞춰 제작되어 제공되고, 조립식 건축물이 필요한 수요자는 조립도와 함께 DIY 세트를 판매자로부터 제공 받아, 조립식 건축물을 설치할 위치에서 조립도를 보며 조립식 건축물을 조립할 수 있다.
이 때, 조립식 건축물의 조립에 필요한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의 구성들인 프레임들, 연결 브라켓들 및 외장판들은 판매자로부터 수치에 맞춰 일률적으로 제작되고, 수요자는 단순히 재료들만 제공 받아 조립도 위치에 맞춰 조립하여 뼈대를 형성 후, 개인 취향에 맞게 내장재를 사용하면 되므로, 특별한 기술이나 어려움 없이도 조립식 건축물을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조립식 건축물을 만들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110), 두 개 이상의 기초 바닥 프레임(120), 복수의 연결 바닥 프레임(125), 복수의 기둥 프레임(130), 복수의 기둥 연결 프레임(140), 복수의 지붕 기초 프레임(150), 복수의 지붕 프레임(155), 제1 내지 제7 연결 브라켓(210 내지 270), 벽판(160) 및 지붕판(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지지 프레임(110)은 조립식 건축물(10)의 지지 골조부(11)를 구성하는 것으로, 지면이나 초석을 지지 삼아 기립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써, 조립식 건축물(10)의 가장 밑에 구성되는 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각 지지 프레임(110)은 하부에 지지 프레임(110)보다 확장된 면적을 갖는 플랜지(115)를 구성할 수 있고, 플랜지(115)에는 복수의 체결공(115a)이 형성되어 지면이나 초석에 플랜지(115)를 체결하여 기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 프레임(110)은 설정된 면적 내에서 각 꼭짓점에 설치되고 꼭짓점 사이로 변을 이루는 모서리를 따라 일정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꼭짓점과 모서리를 이루는 면적 사이 임의의 위치에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기초 바닥 프레임(120)은 조립식 건축물(10)의 바닥 골조부(12)를 구성하는 것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이 마련되어 바닥 골조부(12)의 양측 부분을 구성하되, 필요에 따라 양측 부분에 구성된 기초 바닥 프레임 사이로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기초 바닥 프레임(120)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을 따라 수평으로 뉘어 각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모두 같은 방향을 바라보고 설치될 수 있다. 즉, 기초 바닥 프레임(120)은 지지 프레임(110)을 기초로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일정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수평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바닥 프레임(125)은 기초 바닥 프레임(120)과 같이 조립식 건축물(10)의 바닥 골조부(12)를 구성하는 것으로, 양방향에 마련된 기초 바닥 프레임(120) 사이에 설치되되, 양단이 각각 기초 바닥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연결 바닥 프레임(125)은 기초 바닥 프레임(120)과 같이 수평으로 뉘어 설치되되, 기초 바닥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과는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이루도록 뉘어 양단이 기초 바닥 프레임(1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양측에 기초 바닥 프레임(120)이 구성되어 있고, 양측 기초 바닥 프레임(120) 사이로 기초 바닥 프레임(120)과는 수직으로 길이 방향을 형성하는 연결 바닥 프레임(125)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 연결 바닥 프레임(125)은 양단이 제1 연결 브라켓(210)에 의해 기초 바닥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결 브라켓(210)은 후술할 제2 연결 브라켓(220) 및 제3 연결 브라켓(230)과 형태는 동일한 것으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를 베이스로 하되,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6개의 면 중 연속된 2개의 면이 개방된 형태의 브라켓일 수 있다. 여기서, 연속된 2개의 개방면은 연결 바닥 프레임(125)이 삽입될 면으로써, 제1 연결 브라켓(210)의 경우 기초 바닥 프레임(120)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면과, 바닥 골조부(12)의 내측을 향하는 일측면이 개방면이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기초 바닥 프레임(120)과 연결 바닥 프레임(125)이 구성하는 바닥 골조부(12)에는 수요자가 원하는 형태의 바닥재를 깔아 조립식 건축물의 내장을 커스터 마이징 할 수 있다.
복수의 기둥 프레임(130)은 조립식 건축물(10)의 기둥 골조부(13)를 구성하는 것으로, 기초 바닥 프레임(120) 또는 연결 바닥 프레임(125)에 기립 설치되어 기둥을 구성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기둥 프레임(130)은 상술한 제1 연결 브라켓(210)과 형태는 동일하나 개방면이 위치를 달리하는 제2 연결 브라켓(220)에 의해 기초 바닥 프레임(120) 또는 연결 바닥 프레임(125)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 브라켓(2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130)을 외측에서 쉽게 삽입하도록 기초 바닥 프레임(120) 또는 연결 바닥 프레임(125) 상단에 고정되어 개방면이 상면과, 정면 또는 후면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기둥 프레임(130)을 설치 위치에 따라 정면 또는 후면 방향에서 밀어 넣어 제2 연결 브라켓(220)으로 삽입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기둥 연결 프레임(140)은 기둥 프레임(130)간을 연결하는 조립식 건축물(10)의 기둥 연결 골조부(14)를 구성하는 것으로, 2개의 기둥 프레임(130)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제3 연결 브라켓(230)에 의해 기둥 프레임(13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연결 브라켓(230)은 상술한 제2 연결 브라켓(220)과는 형태와 개방면의 위치는 동일하나, 설치되는 위치를 달리하는 것으로, 제3 연결 브라켓(230)은 기둥 프레임(130)의 상부에 고정되고 개방면이 상면과, 정면 또는 후면에 위치될 수 있고 기둥 연결 프레임(140)은 양단이 각각 제3 연결 브라켓(230)에 삽입되어 기둥 프레임(130)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연결 브라켓(230)의 고정 위치와 기둥 프레임(130)의 연결 위치는 예시적인 것일 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지붕 기초 프레임(150)은 조립식 건축물(10)의 지붕 골조부(15)를 구성하는 것으로, 복수의 기둥 연결 프레임(140)의 상단에서 두 개의 기둥 연결 프레임(140)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지붕 기초 프레임(150)의 양 단부는 각각 서로 떨어진 기둥 연결 프레임(1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붕 기초 프레임(150)은 기둥 연결 프레임(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4 연결 브라켓(240) 또는 제5 연결 브라켓(250)에 의해 기둥 연결 프레임(140)에 고정될 수 있다.
제4 연결 브라켓(240)은 기둥 프레임(130)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241)와, 제1 고정 플레이트(241)에서 경사각을 갖고 연장 형성되어 지붕 기초 프레임(150)의 일면 또는 양면을 지지 고정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242)를 포함하는 연결 브라켓이며, 제5 연결 브라켓(250)은 기둥 연결 프레임(140)에 고정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251)와, 제2 고정 플레이트(251)에서 직립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지붕 기초 프레임(150)의 일면을 지지 고정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252)를 포함하는 연결 브라켓일 수 있다.
지붕 기초 프레임(150)은 2개의 제4 연결 브라켓(240) 사이나, 양면을 지지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제5 연결 브라켓(250)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또는 제4 연결 브라켓(240)과 일면을 지지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제5 연결 브라켓(250) 사이로 삽입되거나, 제4 연결 브라켓(240) 또는 제5 연결 브라켓(250)과 기둥 프레임(130) 사이 등으로 삽입되어 대응되는 브라켓 또는 프레임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지붕 프레임(155)은 조립식 건축물(10)의 지붕 골조부(15)를 구성하는 것으로, 복수의 지붕 기초 프레임(15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지붕 기초 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6 연결 브라켓(260) 또는 제7 연결 브라켓(270)에 의해 지붕 기초 프레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6 연결 브라켓(260)은 제1 내지 제3 연결 브라켓(210 내지 230)과 같이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6개의 면 중 연속된 2개의 면이 개방된 형태의 브라켓이며, 제7 연결 브라켓(270)은 지붕 기초 프레임(150)에 고정되는 제3 고정 플레이트(271)와, 제3 고정 플레이트(271)에서 직립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지붕 프레임(155)의 일면을 지지 고정하는 제3 지지 플레이트(272)를 포함하는 브라켓일 수 있다.
상기의 제6 연결 브라켓(260)과 제7 연결 브라켓(270)으로 지지 고정된 복수의 지붕 프레임(155)이 설치되면, 외장재인 벽판(160)과 지붕판(170)을 조립하여 조립식 건축물(10)을 완성할 수 있다.
벽판(160)은 조립식 건축물(10)의 벽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바닥 골조부(12), 기둥 골조부(13) 및 기둥 연결 골조부(14)를 기초로 조립식 건축물(10)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고, 지붕판(170)은 지붕 골조부(15)를 기초로 조립식 건축물(10)의 지붕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요자는 상기와 같은 조립식 건축물(10)을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와 조립도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고, 용접 같은 어려운 작업이 없어 시공 전문 능력이 없어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내장재는 수요자의 기호에 맞추어 수요자가 마련해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일률적인 조립식 건축물(10)이 아니라 수요자의 기호에 맞춘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10)은 단층형, 복층형, 복층 데크형의 3가지 형태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는 기둥 프레임(130) 높이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기둥 프레임(130)이 모두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단층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둥 프레임(130)이 제1 높이를 갖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130)으로 형성되는 제1 기둥 프레임 군(130a) 및 제1 높이보다는 더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130)으로 형성되는 제2 기둥 프레임 군(130b)을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복층형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형태가 복층형인데, 도면을 참조하면 전방에 위치한 제1 기둥 프레임 군(130a) 보다 후방에 위치된 제2 기둥 프레임 군(130b)의 기둥 프레임(130)들이 높이가 더 높아 복층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복층을 오르기 위해 사다리가 필요하므로, 복층형의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추가적으로 사다리(180)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제2 높이는 단수만 의미하는 것이 아닌 복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2 높이가 더 높은 복수로 마련될수록 층수도 증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복층 데크형은, 복층형에서 낮은측의 지붕판(170)을 데크로 구성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전방에 형성된 지붕이 데크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데크 주변에는 낙하를 막기 위해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데크 주변에 기립 설치될 수 있는 낙하방지막(미도시)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10)은 기둥 프레임(130)의 높이를 달리하여 지붕 형태를 달리 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둥 프레임 군(130a)과 제2 기둥 프레임 군(130b)의 중심에 위치된 기둥의 높이만 높게 하여 지붕 형태를 'ㅅ' 형태로 만들 수도 있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맨 우측 또는 좌측의 기둥의 높이만 높게 하여 지붕 형태를 '/' 또는 '\' 등으로 만들 수 있다.
도 8의 (a) 및 (b)는 돌기홈과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일 위치에서 조립되는 연결 바닥 프레임과 제1 연결 브라켓의 분해도 및 조립도이고, (c) 및 (d)는 돌기홈과 고정돌기가 타 위치에서 조립되는 연결 바닥 프레임과 제1 연결 브라켓의 분해도 및 조립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프레임과,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연결 브라켓 중, 하나에는 돌기홈(300)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돌기홈(30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50)를 마련하여 각 프레임과 연결 브라켓간을 고정돌기로 결속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바닥 프레임(125)에 돌기홈(300)이 형성되면, 대응되는 제1 연결 브라켓(210)에는 상기 돌기홈(300)에 삽입되는 고정돌기(350)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돌기홈(300)과 고정돌기(350)는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조립 위치마다 개수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 중단, 후단의 세 부분에 연결 바닥 프레임(125)과 제1 연결 브라켓(210)이 설치된다 가정하면, 전단에 위치해야 하는 연결 바닥 프레임(125)과 제1 연결 브라켓(210) 사이에는 돌기홈(300)과 고정돌기(350)가 각 1개씩 마련되고, 중단은 각 2개씩, 후단은 각 3개씩 마련되어 설치위치를 쉽게 확인하고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판(160)이 기둥 프레임(130)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140)에 걸 수 있는 걸쇠(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의 (a) 및 (b)는 걸쇠를 이용하여 벽판을 설치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걸쇠(400)와 벽판(160) 사이에는 힌지(450)가 구성되어 걸쇠(400)에 대해 벽판(16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벽판(160) 설치 시 걸쇠(400)를 기둥 프레임(130)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140) 걸어 놓은 상태로 벽판을 부착 또는 결합함으로써 보다 힘을 들이지 않고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에 정확히 벽판(160)을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기둥 프레임(130)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140)에 삽입 고정시키는 삽입부(510)와, 삽입부(510)에서 'ㄴ' 형태로 연장되어 벽판(160)을 끼울 수 있는 벽판 끼움부(520)로 구성되는 벽판 위치 정렬 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벽판 위치 정렬 부재를 이용하여 벽판을 설치하는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벽판 위치 정렬 부재(500)는 삽입부(510)를 기둥 연결 프레임(140)에 삽입 고정 시킨 상태에서 벽판(160)이 벽판 끼움부(520)로 끼워지도록 하여 벽판(160)을 지지함과 동시에 벽판(160)이 반듯이 설치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요자는 보다 쉽고 정확하게 조립식 건축물(10)을 조립할 수 있다.
이때, 벽판 위치 정렬 부재(500)의 삽입부(510)와 벽판 끼움부(520) 등은 기둥 프레임(130)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거나, 벽판 끼움부(520)에 끼워진 벽판(160)이 회전하지 않도록 사각 단면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삽입홈, 삽입돌기 및 결속부재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의 (a)는 도 11 및 도 12의 삽입홈, 삽입돌기 및 결속부재를 이용한 벽판의 조립 전 개략도이며, (b)는 도 11 및 도 12의 삽입홈, 삽입돌기 및 결속부재를 이용한 벽판의 조립 후 개략도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벽판(160)은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일측에 삽입홈(600)이 마련되고, 타측에는 삽입홈(60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650)가 마련되며,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양단이 상기 삽입홈(600)과 삽입돌기(650)에 각각 삽입되어 삽입홈(600)과 삽입돌기(650)를 결속시키며, 외주면에는 마찰 향상을 위한 마찰링(675)이 복수로 마련되는 결속부재(6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벽판(160)은 삽입홈(600)과 삽입돌기(650)로 서로 연결하며 위치를 반듯이 정렬시키되, 복수의 마찰링(675)으로 마찰을 형성하는 결속부재(670)로 결속하여 삽입홈(600)에서 삽입돌기(6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벽판(160)간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조립식 건축물
11 : 지지 골조부
12 : 바닥 골조부
13 : 기둥 골조부
14 : 기둥 연결 골조부
15 : 지붕 골조부
110 : 지지 프레임
115 : 플랜지
115a : 체결공
120 : 기초 바닥 프레임
125 : 연결 바닥 프레임
130 : 기둥 프레임
130a : 제1 기둥 프레임 군
130b : 제2 기둥 프레임 군
140 : 기둥 연결 프레임
150 : 지붕 기초 프레임
155 : 지붕 프레임
160 : 벽판
170 : 지붕판
180 : 사다리
210 : 제1 연결 브라켓
220 : 제2 연결 브라켓
230 : 제3 연결 브라켓
240 : 제4 연결 브라켓
241 : 제1 고정 플레이트
242 : 제1 지지 플레이트
250 : 제5 연결 브라켓
251 : 제2 고정 플레이트
252 : 제2 지지 플레이트
260 : 제6 연결 브라켓
270 : 제7 연결 브라켓
271 : 제3 고정 플레이트
272 : 제3 지지 플레이트
300 : 돌기홈
350 : 고정돌기
400 : 걸쇠
450 : 힌지
500 : 벽판 위치 정렬 부재
510 : 삽입부
520 : 벽판 끼움부
600 : 삽입홈
650 : 삽입돌기
670 : 결속부재
675 : 마찰링

Claims (10)

  1. 지면이나 초석을 받침 삼아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 골조부; 상기 지지 골조부를 받침 삼아 지지 골조부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닥 골조부; 상기 바닥 골조부를 받침 삼아 바닥 골조부 상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 골조부; 상기 기둥 골조부 상단에서 기둥 골조부 사이를 연결하는 기둥 연결 골조부 및 상기 기둥 골조부를 받침 삼아 기둥 골조부 상단에 설치되는 지붕 골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건축물을 조립할 수 있는 DIY 세트로서,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지지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지면이나 초석을 지지 삼아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바닥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바닥 골조부의 양측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부분 이상에서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을 따라 수평으로 뉘여 각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기초 바닥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바닥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양방향 기초 바닥 프레임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제1 연결 브라켓에 의해 두 개의 기초 바닥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 바닥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기둥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2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기초 바닥 프레임 또는 연결 바닥 프레임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기둥 연결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2개의 기둥 프레임 사이에서 양단이 각각 상기 제3 연결 브라켓에 의해 기둥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기둥 연결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기둥 연결 프레임의 상단에서 두 개의 기둥 연결 프레임간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상기 기둥 연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4 연결 브라켓 또는 제5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기둥 연결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붕 기초 프레임;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 골조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지붕 기초 프레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제6 연결 브라켓 또는 제7 연결 브라켓에 의해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붕 프레임;
    상기 바닥 골조부, 기둥 골조부 및 기둥 연결 골조부를 기초로 조립식 건축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판 및
    상기 지붕 골조부를 기초로 조립식 건축물의 지붕면을 형성하는 지붕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 프레임은,
    제1 높이를 갖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1 기둥 프레임 군 및
    상기 제1 높이보다는 더 높은 제2 높이를 갖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제2 기둥 프레임 군을 포함하여,
    상기 조립식 건축물이 적어도 두 개의 다른 높이를 형성하는 복층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둥 프레임 군에 또는 제2 기둥 프레임 군에 속한 복수의 기둥 프레임 중 일부 복수의 기둥 프레임은 다른 높이의 기둥 프레임을 제공하여,
    상기 조립식 건축물이 각기 다른 지붕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 브라켓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6개의 면 중 연속된 2개의 면이 개방된 형태의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연결 브라켓은,
    상기 기둥 프레임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1 고정 플레이트에서 경사각을 갖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의 일면 또는 양면을 지지 고정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5 연결 브라켓은,
    상기 기둥 연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고정 플레이트에서 직립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의 일면을 지지 고정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연결 브라켓은,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6개의 면 중 연속된 2개의 면이 개방된 형태의 브라켓이며,
    상기 제7 연결 브라켓은,
    상기 지붕 기초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제3 고정 플레이트에서 직립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붕 프레임의 일면을 지지 고정하는 제3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과,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연결 브라켓 중,
    하나에는 돌기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마련하여 각 프레임과 연결 브라켓간을 고정돌기로 결속시키되,
    상기 돌기홈과 고정돌기는,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조립 위치마다 다르게 개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은,
    상기 기둥 프레임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에 걸 수 있는 걸쇠를 포함하며,
    상기 걸쇠와 벽판 사이에는 힌지가 구성되어 걸쇠에 대해 벽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프레임 또는 기둥 연결 프레임에 삽입 고정시키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ㄴ'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벽판을 끼울 수 있는 벽판 끼움부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벽판을 설정된 위치에 반듯이 정렬 시킬 수 있는 벽판 위치 정렬 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은,
    일측에 삽입홈이 마련되고, 타측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마련되되,
    상기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는,
    양단이 상기 삽입홈과 삽입돌기에 각각 삽입되어 삽입홈과 삽입돌기를 결속시키며, 외주면에는 마찰 향상을 위한 마찰링이 복수로 마련되는 결속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KR1020210155024A 2021-11-11 2021-11-11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KR20230068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24A KR20230068838A (ko) 2021-11-11 2021-11-11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024A KR20230068838A (ko) 2021-11-11 2021-11-11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838A true KR20230068838A (ko) 2023-05-18

Family

ID=8654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024A KR20230068838A (ko) 2021-11-11 2021-11-11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8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817B1 (ko)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JP5061253B2 (ja) 壁板材及び木造軸組構造
US4058909A (en) Construction kit
US4184296A (en) Prefabricated prismatic structure for building
KR20230068838A (ko) 조립식 건축물 diy 세트
KR20090046140A (ko) 단위구조체로 이루어진 조립식 한옥
JP7475675B2 (ja) 耐力柱ユニット及び当該耐力柱ユニットを組み込んだ改良型木造躯体構造、並びにその建築工法
US8667751B2 (en) Set of elements for constructing a wooden wall and method for using such elements
US3962839A (en) Structural wall element, especially load bearing wall element
JPH03132536A (ja) ユニット住宅の施工方法
JP5312163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4189817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20160078094A (ko) 모듈러 유닛용 슬래브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JP7426974B2 (ja) 階段室の施工方法及び階段室構造
JP5066354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JP3528874B2 (ja) 集合住宅
CN102356201A (zh) 折叠支撑或框架结构
JP4656750B2 (ja) ユニット建物
JPH04131470A (ja) プレハブトイレルームの組立方法
JPH0144691Y2 (ko)
JP3126572B2 (ja) 建物ユニットの界壁構造および界壁施工方法
EP4179165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for a building structure
JP2690828B2 (ja) 住戸ユニット
JP3127972B2 (ja) 建物ユニットの界壁施工方法
JP2622220B2 (ja) 住戸ユニットおよび住戸ユニット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