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764A -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764A
KR20230067764A KR1020210152531A KR20210152531A KR20230067764A KR 20230067764 A KR20230067764 A KR 20230067764A KR 1020210152531 A KR1020210152531 A KR 1020210152531A KR 20210152531 A KR20210152531 A KR 20210152531A KR 20230067764 A KR20230067764 A KR 20230067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unit
coupling
closing device
lou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7537B1 (ko
Inventor
임태규
임준영
Original Assignee
임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규 filed Critical 임태규
Priority to KR102021015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5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67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구성이 조립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모터가 형성되어 작동 시 미세한 시간차로 먼저 작동된 모터의 역부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EASY-TO-INSTALL LOU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본 발명은 루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창틀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louver)는 통풍이나 환기가 되는 곳에 설치되며, 길고 가는 평판을 수평, 수직 및 격자 모양 등으로 개구부의 앞면에 설치하여 직사광선이나 비를 막고, 통풍이나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루버는 루버홀더에 의해 정렬된 루버 일측 단이 루버 틀 내 루버홀더와 연결되어 레버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레버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움직여 루버의 개방 또는 폐쇄로 이분하여 조절하였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 홈 시대가 급속도롤 확산되면서 에어컨도 자동 또는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에어컨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이 작동하는 경우 실외기가 배출하는 더운 열기의 외부배출을 위해서는 실외기실의 루버도 자동으로 개방되어야 실외기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과 화재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방충망과 루버 창틀이 하나의 창틀에 설치됨으로써, 실제로 루버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방충망 프레임과 루버창틀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게 제공되어 루버 전동 개폐에 내장되는 모터는 소형감속기어 모터가 적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루버의 크기에 따라 대형 루버의 루버전동개폐기에 종래의 소형감속기어 모터가 적용될 경우, 소형감속기어 모터의 작은 토크로 인하여 루버의 날개가 바람의 저항을 극복하면서 개폐되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제조사별로 손잡이, 레버의 회전 반경 및 커넥터의 형태가 다르고, 레버의 잠금장치 형태, 커넥터와 루버 블레이드 구동축의 구성 등이 제각기 상이하기 때문에 모터를 통해 자동 개폐기능을 수행하려 하더라도 각 루버 제조사의 개폐구동 방식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3444호(이하 ‘문헌 1’)의 “전동식 루버 개폐장치”에서, 수동손잡이가 필요 없는 전동식 루버 개폐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수동 손잡이가 필요 없어 디자인의 통일이 가능하고, 외관상 깔끔하며, 루버 개폐장치의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끼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맞추어 전동식 루버 개폐장치의 조립 방법을 다르게 적용하여야 하며, 정전이나 고정 시에는 사용자가 수동 조작으로 직접 개폐를 하지 못하는 기능상 단점이 있다.
또한, 문헌 1에 따른 전동식 루버 개폐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설치 후 사용자에게 정상적인 설치 또는 작동여부를 육안으로 신속하게 식별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1695호(이하 ‘문헌 2’)의 “루버시스템의 전동오퍼레이터”에서, 구성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형성된 루버시스템의 전동오퍼레이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에 설치되어 협소한 공간에서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경우 작동이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600호(이하 ‘문헌 3’)의 “루버장치용 전동개폐장치”에서, 블레이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개폐유닛의 조절레버와 모터를 이용한 동력장치와의 사이에 개폐작동레버를 개입시켜 작동시키도록 형성된 루버장치용 전동개폐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루버장치와 개폐동력장치를 개폐작동레버에 의해 연결하여 줌으로써, 루버장치와는 별개로 개폐동력장치를 용이하게 제조 및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체결핀에 의해 가변축봉이 장착되어 체결핀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239호(이하 ‘문헌 4’)의 “조립이 용이하고 자동 및 수동전환이 가능한 시스템루버 개폐 장치”에서, 자동 및 수동전환이 가능하여 긴급 상황 또는 고장 시 수동으로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실외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루버 개폐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평소에는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개폐하고 긴급 상황 또는 고장 시 수동으로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실외기의 과열로 인한 화재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스위치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시키도록 형성되어 화재 등과 같은 외부 자극에 의해 스위치가 손상 되거나 결합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수동제어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34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169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060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23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구성이 조립에 의해 쉽게 설치 및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창틀의 루버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방향에 맞추어 이동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레버가 삽입되어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구동부에 연결 형성된 퀵릴리즈레버 또는 외부고정부에 의해 모터의 위치를 제어시킴으로써 정전 또는 고장 시 사용자가 무동력 상태의 루버 날개를 수동으로 회전 조작시킬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판과 연동 형성된 화면표시부에 의해 설치 완료 후 메시지를 통하여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에 의해 실외기실 온도를 제어시킬 수 있으며, 버튼부에 의해 사용자 설정에 따른 부분개방온도를 용이하게 설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육안으로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제2신호부와 연동 형성된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가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의 전원 차단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제2신호부 조작으로 전원을 제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동부(500)를 기준으로 구동부(500) 외측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메인프레임(100); 메인프레임(100)과 마주보는 측에 결합되며, 구동부(500)의 외측 일측, 좌측, 우측 또는 상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결합프레임(200);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 하측에 결합되어 구동부(500)의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베이스프레임(300);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형성되며, 구동부(500)에 포함된 레버(540)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기판(400); 및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기판(400)과 연결되며, 레버(540)의 위치에 따라 루버의 각도를 조절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구동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메인프레임(100) 내측에 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및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하측에 이동부(530)의 상측, 하측, 일측 또는 타측을 감싸는 형태로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및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하측에 이동부(530)의 상측, 하측, 일측 또는 타측을 감싸는 형태로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프레임(200) 상측에 기판(400)의 신호에 의해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 또는 구동부(500) 상태를 나타내도록 형성된 화면표시부(410); 및 화면표시부(410)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버튼부(4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베이스프레임(300)은 상측 또는 하측면을 기준으로 180° 회전되어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에 조립될 수 있도록 대칭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500)는 기어샤프트(520)와 연결되어 하나 이상 형성된 모터(510); 모터(51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어샤프트(520); 모터(510)에 의해 기어샤프트(52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레버(54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기어샤프트(520)를 감싸도록 형성된 이동부(530); 및 이동부(530)와 연결 형성되며, 이동부(530)의 위치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레버(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판(400) 상측 일측에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 또는 구동부(500) 상태가 외부에 식별될 수 있도록 화면표시부(410)와 연동 형성된 제1신호부(410-1); 제1신호부(410-1)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버튼부(411)를 관통하여 사용자의 제어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신호부(411-1); 제1신호부(410-1)와 연동 형성되며, 기판(400) 내측에 외부 온도, 조도 또는 풍량을 포함하는 외부 환경변화 측정, 실외기 작동 또는 구동부(500)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412); 및 제2신호부(411-1)와 연동 형성되며, 제2신호부(411-1)의 조작에 의해 기판(400)에 전류공급, 차단 또는 루버 날개의 각도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어부(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레버(540)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말단이 폐쇄 또는 개방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부(5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500)와 연결 형성되며, 결합프레임(200)의 좌측 또는 우측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퀵릴리즈레버(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구동부(500)와 연결 형성되며, 결합프레임(200)의 좌측 또는 우측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외부고정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이 조립에 의해 쉽게 설치 및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창틀의 루버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방향에 맞추어 이동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레버가 삽입됨으로써, 창틀의 루버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방향, 다양한 형태의 레버 등의 다양한 조건에 맞추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레버가이드레일 및 제2레버가이드레일에 의해 레버 회전 시 구동축으로부터 이탈이 예방되어 루버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제1레버가이드레일 및 제2레버가이드레일 외측 기판에 부착된 부품의 손상이 차단되어 협소한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구동부에 연결 형성된 퀵릴리즈레버 또는 외부고정부에 의해 모터의 위치를 제어시킴으로써 정전 또는 고장 시 사용자가 무동력 상태의 루버 날개를 수동으로 회전 조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판과 연동 형성된 화면표시부에 의해 설치 완료 후 메시지를 통하여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에 의해 실외기실 온도를 제어시킬 수 있으며, 버튼부에 의해 사용자 설정에 따른 부분개방온도를 용이하게 설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육안으로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조사별로 각기 상이한 레버의 구동축결합과 각도조절부의 길이 또는 창틀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공장에서 각 구성이 조립에 의해 용이하게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어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의 메인프레임 및 결합프레임 내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의 베이스프레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의 구동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루버 개폐장치, 20: 구동축
100: 메인프레임, 110: 제1레버가이드레일, 120: 제1이동부가이드레일, 130: 제1모터수용공간, 140: 제1-1결합부, 141: 제1-1결합돌기, 150: 제1-2결합부, 170: 제1-1상부기판고정부
200: 결합프레임, 210: 제2레버가이드레일, 220: 제2이동부가이드레일, 230: 제2모터수용공간, 240: 제2-1결합부, 241: 제2-1결합돌기, 250: 제2-2결합부, 260: 제2-3결합부, 270: 제2-1상부기판고정부
300: 베이스프레임, 340: 제3-1결합부, 341: 제3-2결합부, 350: 레버삽입홀, 351: 레버삽입가이드, 360: 제3-1고정부
400: 기판, 410: 화면표시부, 410-1: 제1신호부, 411: 버튼부, 411-1: 제2신호부, 412: 센서, 413: 제어부
500: 구동부, 510: 모터, 511: 모터샤프트, 512: 모터스페이셔, 513: 모터이동가이드, 520: 기어샤프트, 530: 이동부, 531: 위치감지턱, 532: 레버결합구, 533: 결합톱니, 534: 제1레버결합구링, 535: 제2레버결합구링, 540: 레버, 541: 구동축결합홀, 542: 각도조절부, 543: 레버결합홀, 550: 퀵릴리즈레버, 560: 외부고정부, 561: 외부고정부받침대, 570: 압축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 개폐장치(10) 및 구동축(2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루버 개폐장치(10)는 메인프레임(100), 결합프레임(200), 베이스프레임(300), 기판(4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은 구동부(500)를 기준으로 구동부(500) 외측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프레임(100)은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 제1모터수용공간(130) 제1-1결합부(140) 및 제1-2결합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레버가이드레일(110)은 메인프레임(1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레버가이드레일(110)은 호 형상으로 돌출됨으로써, 제1레버가이드레일(110)의 궤적을 따라 레버(540)의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레버가이드레일(110)이 형성됨으로써, 기어샤프트(520) 양단에 위치되는 레버(540)의 이탈에 따른 기판(400)의 손상을 예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은 제1레버가이드레일(110)과 마찬가지로 메인프레임(1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은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하측에 형성되어 이동부(530)가 기어샤프트(5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은 이동부(530)의 상측, 하측, 일측 또는 타측을 감싸는 형태로 양 단에 반원을 포함하는 트랙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에 이동부(530)가 걸림으로써 외부 자극에 의해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1모터수용공간(130)은 메인프레임(100)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모터수용공간(130)은 모터(510) 또는 모터(510) 외측에 형성된 모터스페이셔(5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의 결합에 의해 제1모터수용공간(130) 내측에 모터(510)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됨과 동시에, 모터(510)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의 결합에 의해 제1모터수용공간(130)과 제2모터수용공간(230)이 결합되어 내측에 모터(510)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모터(510)의 외주면을 감싸 모터(510)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모터수용공간(130)은 모터(510)의 개수에 의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1-1결합부(140)는 메인프레임(100) 하측 내측에 외측방향으로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1결합부(140) 내측 하측에 내측 방향으로 제1-1결합돌기(141)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300)의 제3-1결합부(340)가 걸림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1결합돌기(141)는 메인프레임(100)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1결합돌기(141)가 메인프레임(100)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높이만큼 메인프레임(100)의 외측면은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프레임(100)의 하측면은 제1-1결합돌기(141)에 의해 베이스프레임(300)의 제3-1결합부(340)와 결합됨과 동시에 베이스프레임(300) 내측에 인입되도록 조립되어 메인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300)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2결합부(150)는 메인프레임(1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2결합부(150)는 결합프레임(200)의 제2-2결합부(250)와 결합되어 메인프레임(100)이 결합프레임(200)과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을 포함하여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2결합부(150)는 메인프레임(100)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제1-2결합부(150)가 메인프레임(100)에 관통 형성될 경우, 제1-2결합부(150)와 제2-2결합부(250)의 결합에 의해 메인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이 조립되며, 하나 이상의 캡이 외부로부터 제1-2결합부(150) 내측에 인입됨으로써 제2-2결합부(250)가 제1-2결합부(15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캡의 외경은 제1-2결합부(150)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며, 내경은 제2-2결합부(250)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2결합부(150)와 제2-2결합부(250)가 결합에 의해 조립되고,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가 제1-2결합부(150)와 제2-2결합부(250)가 조립된 부분까지 고정됨으로써 고정이 수행된 다음, 캡이 외부로부터 제1-2결합부(150)내에 조립되어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의 외측면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메인프레임(1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1상부기판고정부(17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1-1상부기판고정부(170)가 형성됨으로써,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형성되는 기판(4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1상부기판고정부(170)는 상, 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을 이루며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상부기판고정부(170)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기판(400)이 안착됨으로써, 기판(400)이 메인프레임(100) 내측 상측에 밀착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이 형성됨으로써, 기판(400) 및 구동부(500)가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기판(400) 및 구동부(500)를 보호하며,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고, 이동부(530) 및 레버(540)가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및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프레임(200)은 메인프레임(100)과 마주보는 측에 결합되며, 구동부(500)의 외측 일측, 좌측, 우측 또는 상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 제2모터수용공간(230), 제2-1결합부(240) 및 제2-2결합부(2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2레버가이드레일(210)은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레버가이드레일(210)은 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2레버가이드레일(210)의 궤적을 따라 레버(540)의 각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레버가이드레일(210)이 형성됨으로써, 기어샤프트(520) 양단에 위치되는 레버(540)의 이탈에 따른 기판(400)의 부품 손상을 예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은 이동부(530)가 기어샤프트(52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하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은 이동부(530)의 상측, 하측, 일측 또는 타측을 감싸는 형태로 양 단에 반원을 포함하는 트랙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에 이동부(530)가 걸림으로써 외부 자극에 의해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에 이동부(530)의 레버결합구(532)와 결합 형성된 레버결합구링(535) 외주면이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에 걸림으로써 외부 자극에 의해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및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이 형성됨으로써, 레버(540)가 기어샤프트(520)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300)을 루버 개폐장치(1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을 기준으로 180° 회전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창틀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2모터수용공간(230)은 결합프레임(200)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모터수용공간(230)은 모터(510) 또는 모터(510) 외측에 형성된 모터스페이셔(51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의 결합에 의해 제2모터수용공간(230) 내측에 모터(510)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됨과 동시에, 모터(510)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2모터수용공간(230)은 모터(510)의 개수에 의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1결합부(240)는 결합프레임(200) 하측 내측에 외측방향으로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1결합부(240) 내측 하측에 내측 방향으로 제2-1결합돌기(241)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300)의 제3-1결합부(340)가 걸림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1결합돌기(241)는 결합프레임(200)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1결합돌기(241)가 결합프레임(200)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높이만큼 결합프레임(200)의 외측면은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프레임(200)의 하측면은 제2-1결합돌기(241)에 의해 베이스프레임(300)의 제3-1결합부(340)와 결합됨과 동시에 베이스프레임(300) 내측에 인입되도록 조립되어 결합프레임(200)과 베이스프레임(300)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2결합부(250)는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내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2결합부(250)는 제1-2결합부(150)에 인입됨으로써, 메인프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이 조립될 수 있도록 제2-2결합부(250)의 외경은 제1-2결합부(150)의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1상부기판고정부(27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2-1상부기판고정부(270)가 형성됨으로써,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형성되는 기판(4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1상부기판고정부(270)는 상, 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을 이루며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1상부기판고정부(270)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기판(400)이 안착됨으로써, 기판(4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결합프레임(200)의 각 구성은 메인프레임(10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창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결합프레임(200)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제2-3결합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프레임(200) 하측은 좌측 또는 우측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3결합부(260)는 결합프레임(200)에 관통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가 창틀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결합프레임(200)이 형성됨으로써, 간단한 조립에 의해 메인프레임(100)과 결합되어 내측에 기판(400) 또는 구동부(500)가 안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외부 자극으로부터 기판(400) 또는 구동부(500)가 보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며, 메인프레임(100)과 마찬가지로 이동부(530) 및 레버(540)가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및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00)은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 하측에 결합되어 구동부(500)의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베이스프레임(300)은 제3-1결합부(340) 및 레버삽입홀(35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3-1결합부(34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00) 내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1결합부(340)는 제1-1결합부(140) 또는 제2-1결합부(240) 내측에 인입됨과 동시에 제1-1결합돌기(141) 또는 제2-1결합돌기(241)와 맞물리거나 걸림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측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1-1결합돌기(141) 또는 제2-1결합돌기(241)가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의 하측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단차가 형성될 경우, 내측에 단차를 수용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300)의 외주면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3-2결합부(341)가 더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제3-1결합부(340)가 제1-1결합돌기(141) 또는 제2-1결합돌기(241)에 결합됨과 동시에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의 하측면은 제3-2결합부(341) 내측에 인입됨으로써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이 베이스프레임(3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레버삽입홀(350)은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0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레버삽입홀(350)은 베이스프레임(300)의 하측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상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 레버삽입홀(350)은 베이스프레임(300)의 하측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레버삽입홀(350)이 베이스프레임(300)의 하측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상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경우,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창틀의 방향에 의해 레버(540)가 간섭받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540)의 조립 위치에 따라 베이스프레임(30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을 기준으로 180° 회전시켜 조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레버삽입홀(350)이 형성됨으로써, 레버(540)가 베이스프레임(300) 또는 이동부(530)의 레버결합구(53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레버삽입홀(350)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레버삽입가이드(351)가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삽입가이드(351)가 형성됨으로써, 외부 자극에 의해 레버(540)의 변형이 최소화 되며, 작업자가 레버(540) 삽입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레버삽입가이드(351)는 레버(540)의 수직도를 유지하여 기판(400)에 설치된 부품의 간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00) 하측에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3-1고정부(3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3-1고정부(360)가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와 연동 형성된 전선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1고정부(360)는 곡선을 포함하는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전선이 당겨질 경우, 제3-1고정부(360)로부터 전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프레임(300)이 형성됨으로써, 기판(400) 또는 구동부(500)의 하측면을 외부자극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버(540)가 안정적으로 회전되어 루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300)은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창틀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선택되는 어느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레버(540)가 이동부(530)에 조립되는 방향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면을 기준으로 180° 회전됨으로써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에 조립될 수 있도록 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판(400)은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형성되며, 구동부(500)에 포함된 레버(540)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판(400)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또는 외부 환경변화에 따라 이동부(530)를 이동시킴으로써 레버(5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기판(400)은 구동부(500)와 연결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모터(510) 또는 이동부(530)와 연결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기판(400)의 신호에 의해 모터(510) 또는 이동부(530)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510) 또는 이동부(530)가 작동됨으로써 레버(54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기판(400) 하측에 인덕션 회로 또는 포토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는 센서가 형성되어 위치감지턱(531)에 의해 이동부(530)의 위치 및 레버(540)의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기판(400)은 메인프레임(100), 결합프레임(200) 및 베이스프레임(300)의 조립에 의해 내측에 형성된 공간의 가운데에 배치됨으로써, 레버(540)의 좌측 또는 우측 회전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부 환경변화에 따라 레버(5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기판(400) 내측에 외부 환경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412)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센서(412)에 의한 값에 따라 모터(510) 또는 이동부(530)를 제어시킬 수 있는 제어부가 기판(400) 내측에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기판(400)의 신호에 의해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정보 또는 구동부(500) 상태를 나타내도록 형성된 화면표시부(410)가 결합프레임(200) 상측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화면표시부(410)에 의해 레버(540)의 이동방향 또는 전원 상태 등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레버(540)의 회전에 의해 루버가 상측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화면표시부(410) 상측에 조명이 켜질 수 있으며, 루버가 하측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화면표시부(410) 하측에 조명이 켜짐으로써, 외부로부터 레버(540) 또는 루버의 회전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기판(400)에 외부 환경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412)가 형성될 경우, 화면표시부(410)는 외부 온도, 조도 또는 풍량 등을 포함하는 기판(400)의 센서(412)에 의한 값을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만약, 화면표시부(410)가 더 형성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상측면은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화면표시부(410)가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센서(412)는 기판(400) 상측 일측에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 실외기 작동 감지 또는 구동부(500) 상태가 외부에 식별될 수 있도록 화면표시부(410)와 연동 형성된 제1신호부(410-1)와 연동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센서(412)에 의한 외부 환경변화 값은 제1신호부(410-1)에 전달되며, 제1신호부(410-1)와 연동 형성된 화면표시부(410)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외부환경변화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결합프레임(200) 상측에 화면표시부(410)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버튼부(41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버튼부(411)가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루버 개폐장치(10)의 전원, 루버 개폐장치(10)와 연동 형성된 루버 날개의 각도 등을 제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버튼부(411)는 기판(400) 상측에 위치하며, 화면표시부(410)와 연동 형성된 별도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화면표시부(41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버튼부(411)는 제2신호부(411-1) 및 제어부(413)와 연동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2신호부(411-1)는 제1신호부(410)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버튼부(411)를 관통하여 사용자의 제어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버튼부(411)를 통하여 제2신호부(411-1)를 누름으로써, 기판(400)에 전류공급, 차단 또는 루버 날개의 각도를 제어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413)는 제2신호부(411-1)와 연동될 수 있도록 기판(400) 내측에 형성되며, 제2신호부(411-1)의 조작에 의해 기판(400)에 전류공급, 차단 또는 루버 날개의 각도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413)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루버 개폐장치(10)의 전원을 제어시키거나, 루버 날개의 각도를 조절시켜 실외기가 설치된 내부 온도를 신속하게 제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 루버 개폐장치(1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실외기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412)의 연결이 불량일 경우, 제어부(413)에 의해 전류를 인가시켜 루버 개폐장치(10)를 작동시킬 때 화면표시부(410)에 루버 개폐장치(10)의 외부에 전선으로 연결된 실외기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412)의 연결 상태가 불량임이 표시됨으로써, 실외기 작동을 감지하는 센서(412)의 설치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루버 개폐장치(10)의 설치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경우, 화면표시부(410)에는 실외기실 온도가 표시되며 이후 사용자는 버튼부(411)를 통해 부분개방 온도를 설정시킴으로써 육안으로 설치현장에서 부분개방 작동 테스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루버 개폐장치(10)의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기판(400)은 PCB기판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는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기판(400)과 연결되며, 레버(540)의 위치에 따라 루버의 각도를 조절하여 개폐시킬 수 있다.
구동부(500)가 조립식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조립 순서에 의해 모터(510), 기어샤프트(520) 또는 이동부(53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시 모터(510)의 수평 이동을 통 모터샤프트(511)가 기어샤프트(520)로부터 분리되어 모터(510)의 정지력이 차단되어 루버 개폐장치(10)가 무동력 상태로 전환되어 정전 또는 고장 시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루버 개폐장치(10)와 연동 형성된 날개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500)는 모터(510), 기어샤프트(520), 이동부(530) 및 레버(5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모터(510)는 기어샤프트(520)와 연결되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모터(510)는 기어샤프트(52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모터(510)의 동력에 의해 기어샤프트(52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모터(510)는 기어샤프트(520)를 기준으로 양 단에 각각 연결 형성됨으로써,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두 개의 모터(510)가 기어샤프트(520) 양 단에 형성될 경우,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창틀과 방충망 창틀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소형 감소기어 모터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설치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토크 부족 문제가 해결됨으로써, 대형 루버창의 루버 개폐장치(10)를 적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모터(510)가 형성되어 두 모터(510)에 동시에 전원을 인가시킬 경우, 모터(510)의 감속기어 맞물림 상태 등의 차이로 인하여 각각 모터(510)의 구동 시점이 미세하게 차이가 발생되어 늦게 구동되는 모터(510)가 먼저 구동되는 모터(510)의 동작을 순간적으로 방해함으로써, 먼저 구동되는 모터(510) 측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고장 등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늦게 작동되는 모터(510)에는 먼저 작동된 모터(510)로 인해 충격이 가해지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510) 내에 형성된 모터샤프트(511)는 기어샤프트(520)와 연결 형성되어 모터(510)의 과부화 및 충격을 예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모터(510)는 기판(400)과 연결되어 기판(400)의 신호에 따라 모터(510)의 구동이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판(400)에 의해 측정된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루버의 각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용이하게 제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기어샤프트(520)는 모터(51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두 개의 모터(510)가 형성될 경우, 기어샤프트(520)는 두 모터(5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모터(510)의 동력에 의해 기어샤프트(520)의 회전이 수행됨으로써, 이동부(530)가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 또는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어샤프트(520)는 외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나선형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기어샤프트(520)의 단부는 모터(510) 내에 형성된 모터샤프트(511)에 인입됨으로써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이동부(530)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10)는 모터스페이셔(512) 및 모터이동가이드(51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모터스페이셔(512)는 모터(5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모터(510)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을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모터스페이셔(512)는 메인플레임(100)과 결합프레임(200)의 결합에 의해 내측에 형성된 제1모터수용공간(130) 및 제2모터수용공간(23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모터스페이셔(512)는 모터(510) 상단 또는 하단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모터(510)가 수평을 유지하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모터이동가이드(513)는 모터스페이셔(512) 내측에 형성되며, 모터(510) 좌측 또는 우측에 연동 형성되어, 모터샤프트(511)가 기어샤프트(520)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부(530)는 모터(510)에 의해 기어샤프트(52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레버(54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기어샤프트(520)를 감싸도록 위치감지턱(531), 레버결합구(532), 결합톱니(533), 제1레버결합구링(534) 및 제2레버결합구링(535)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이동부(530)는 내측에 기어샤프트(520)가 관통되어 모터(510)의 동력 또는 기판(400)의 신호에 따라 기어샤프트(520)가 회전됨과 동시에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어샤프트(520)의 외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나선형 돌기가 형성될 경우, 이동부(530)는 기어샤프트(520)로부터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내측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관통 형성된 결합톱니(533)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결합톱니(533)는 기어샤프트(520)의 외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나선형 돌기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나선형 구조로 형성되어 이동부(530)가 기어샤프트(520)의 회전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위치감지턱(531)은 이동부(530)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위치감지턱(531)은 기어샤프트(520)와 평행을 이루며 이동부(530) 상측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어샤프트(520)의 회전수 또는 회전 속도에 따라 이동부(530)가 긴밀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위치감지턱(531)은 기판(400)에 인접하도록 이동부(530) 상단에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기판(400) 하단에 형성된 인덕션 회로의 저항 값의 감지를 통해 이동부(530)의 위치와 레버(54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감지턱(531)과 기판(400) 하단에 인덕션회로 또는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센서에 포함된 다수의 수광부와 발광부에서 감지를 통해 이동부(530)의 위치와 레버(54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레버결합구(532)는 이동부(53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레버결합구(532)는 기어샤프트(520)를 기준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제1레버결합구링(534), 제2레버결합구링(535) 또는 레버(54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조립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레버결합구(532)는 이동부(530)의 일측 및 타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창틀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1레버결합구링(534)은 내측에 레버결합구(532)가 관통함으로써, 레버(540)가 이동부(53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레버(540)가 베이스프레임(300)을 기준으로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레버결합구링(534)은 레버결합구(532)에 레버(540)와 함께 관통함으로써 결합 형성되어 이동부(530) 이동에 따른 레버(540)의 이탈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레버결합구링(534)은 레버(540)가 레버결합구(532)에 먼저 조립된 다음 제1레버결합구링(534)이 조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레버결합구링(535)은 내측에 레버결합구(532)가 관통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레버결합구링(535)은 제1레버결합구링(534)이 조립된 측의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레버결합구(532)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제2레버결합구링(535)은 제1레버결합구링(534)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레버결합구(532)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레버(540)가 이동부(530)로부터 결합되는 방향을 혼동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1레버결합구링(534) 및 제2레버결합구링(535)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레버(540) 조립위치가 제1레버결합구링(534) 및 제2레버결합구링(535)에 의해 변경되어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창틀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1레버결합구링(534) 또는 제2레버결합구링(535)에 의해 이동부(530)가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 또는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레버결합구링(534) 또는 제2레버결합구링(535)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 또는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레버결합구링(534) 및 제2레버결합구링(535)은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버결합구(532)는 끝단이 작은 지름의 단차로 형성되어 단차 부위에 제1레버결합구링(534) 또는 제2레버결합구링(535)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레버결합구링(534) 또는 제2레버결합구링(535)이 서로 구분 없이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 또는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으며, 이동부(530)에 결합되는 레버(540)의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베이스프레임(300)에 포함된 레버삽입홀(350)의 방향에 맞추어 레버(540)를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1레버결합구링(534) 또는 제2레버결합구링(535)에 의해 레버(540)의 수직도를 유지하여 기판(400)에 설치된 부품의 간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이동부(530)가 형성됨으로써, 기어샤프트(520)의 회전에 의한 이동부(530)의 이동길이에 따라 레버(540)의 각도가 조절되어 루버의 각도가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레버(540)는 이동부(530)와 연결 형성되며, 이동부(530)의 위치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도록 구동축결합홀(541), 각도조절부(542) 및 레버결합홀(54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레버(540)가 형성됨으로써, 레버(540) 및 루버와 연결 형성된 구동축(20)이 외부 환경변화에 따라 일정각도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레버(540)는 상측이 베이스프레임(300) 내측에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레버(540)는 레버삽입홀(35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레버(540) 내측에 구동축(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에 구동축결합홀(54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구동축(20)은 구동축결합홀(541)을 관통하여 조립됨으로써, 레버(540)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20)의 회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구동축결합홀(541)은 구동축(20)이 구동축결합홀(541)의 하측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각도조절부(542)는 레버(540)의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말단이 폐쇄 또는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각도조절부(542)는 레버(540)의 상측 좌측 또는 우측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각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542)는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또는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궤도를 따라 회전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부(530)의 이동 길이에 따라 각도조절부(542)의 회전이 긴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542) 말단은 폐쇄 또는 개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542) 말단이 폐쇄형으로 형성될 경우, 각도조절부(542) 내측에 관통 형성된 레버결합홀(543)의 말단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버결합홀(543)은 제1레버결합구링(534) 또는 제2레버결합구링(535)이 관통하여 조립되어, 이동부(530)의 이동길이에 따라 레버(540)의 회전이 충분한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부(530)의 이동길이에 따라 레버결합홀(543)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각도조절부(542)가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또는 제2레버가이드레일(210)의 궤도를 따라 충분히 회전됨에 따라, 레버(540)의 회전이 이동부(530)의 이동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90°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542) 말단이 개방형으로 형성될 경우, 각도조절부(542) 내측에 관통 형성된 레버결합홀(543)의 말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레버결합홀(543)의 상측이 개방될 수 있다.
이때, 레버결합홀(543)은 하측 방향으로 움푹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제1레버결합구링(534) 또는 제2레버결합구링(535)에 관통 조립되지 않고, 레버결합구(532)에 직접 삽입을 통해 조립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최종 제조되는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창틀 또는 레버삽입홀(35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레버(540)를 제외한 상태로 조립이 수행된 다음, 창틀 또는 레버삽입홀(35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따라 외부로부터 레버삽입홀(350)에 레버(540)를 관통시킴과 동시에 단부가 개방 형성된 레버결합홀(543)을 레결합구(532)에 직접 삽입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각 구성이 조립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모터(510)가 형성되어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창틀과 방충망 창틀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소형 감속기어 모터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설치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크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대형 루버창의 전동식 개폐장치에 적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및 제2레버가이드레일(210)에 의해 창틀의 방향에 간섭되지 않고 설치가 용이하며, 레버(540) 이탈에 따른 기판(400)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 구성이 조립에 의해 쉽게 설치 및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창틀의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방향에 맞추어 이동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레버(540)가 삽입됨으로써, 창틀의 루버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방향, 다양한 형태의 레버(540) 등의 다양한 조건에 맞추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또한,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 및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에 이동부(530) 양단에 형성된 레버결합구(532)가 삽입되어 창틀의 좌측 또는 우측 설치된 루버 개폐장치(10)의 방향에 맞추어 좌측 또는 우측의 레버결합구(532)에 레버(540)를 삽입함으로써 루버 개폐장치(10)의 조립 방법을 다르게 할 필요가 없이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및 제2레버가이드레일(210)에 의해 레버(540) 회전 시 구동축으로부터 이탈이 예방되어 루버 개폐 작동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및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외측 기판(400)에 부착된 부품의 손상이 차단되어 협소한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기판(400)과 연동 형성된 화면표시부(410)에 의해 설치 완료 후 메시지를 통하여 설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412)에 의해 실외기실 온도를 제어시킬 수 있으며, 버튼부(411)에 의해 사용자 설정에 따른 부분개방온도를 용이하게 설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육안으로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제조사별로 각기 상이한 레버(540)의 구동축결합홀(541)과 각도조절부(542)의 길이 또는 창틀 설치위치에 관계없이 공장에서 각 구성이 조립에 의해 용이하게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어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와 연결 형성되며, 결합프레임(200)의 좌측 또는 우측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퀵릴리즈레버(5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모터수용공간(130) 및 제2모터수용공간(230) 내측에 형성된 모터(510) 외주면은 모터이동가이드(513)에 의해 감싸지도록 형성되며, 퀵릴리즈레버(550)에 의해 모터(510)의 일측면에 스프링형태로 형성된 압축부(570)에 의한 열림 및 닫힘 방향의 작동 시 모터(510)가 뒤틀림 없이 수평방향으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모터 샤프트(511)가 기어샤프트(520)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정전 또는 고장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릴리즈레버(550)를 열림 방향으로 조작하여 모터(510)와 모터이동가이드(513)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터샤프트(511)가 기어샤프트(520)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기어샤프트(520)는 무동력상태로 전환시켜 수동으로 루버 날개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루버의 각도를 조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무동력상태로 전환된 루버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조정시킨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퀵릴리즈레버(550)를 닫힘 방향으로 조작시켜 모터샤프트(511)와 기어샤프트(520)를 결합시킴으로써 모터(510) 정지력에 의해 루버가 움직이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퀵릴리즈레버(550)와 모터(5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압축부(570)는 모터(510)와 연결 형성됨에 따라, 모터(510)의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퀵릴리즈레버(550)와 압축부(570) 및 모터이동가이드(513)가 형성됨으로써, 정전 또는 고정 시 클러치 구조로 형성된 퀵릴리즈레버(550)와 압축부(570)에 의해 감속기어 모터(510)의 정지력을 용이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구동부(500)에 연결 형성된 퀵릴리즈레버(550)에 의해 모터(510)의 위치를 제어시킴으로써 정전 또는 고장 시 사용자가 무동력 상태의 루버 날개를 수동으로 회전 조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500)와 연결 형성되며, 결합프레임(200)의 좌측 또는 우측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외부고정부(5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외부고정부(560)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외부로부터 루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전 또는 고정 시 외부고정부(560)의 회전에 의해 감속기어 모터(510)의 정지력을 용이하게 차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외부고정부(560)는 외부고정부받침대(561), 압축부(57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외부고정부(560)는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고정부(560)는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을 관통하여 모터(510), 모터스페이셔(512) 또는 모터이동가이드(51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동 형성됨으로써, 정전 또는 고장 시 외부로부터 외부고정부(560)를 회전시킴으로써 수동으로 루버 날개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외부고정부(560)가 모터이동가이드(512)와 연결 형성되어 외부고정부(56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루버 날개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한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수행될 경우, 회전에 의해 외부고정부(560)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모터이동가이드(512)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모터샤프트(511)가 기어샤프트(5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외부고정부(560)가 모터이동가이드(512)와 연결 형성되어 외부고정부(56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루버 날개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수행될 경우, 회전에 의해 외부고정부(560)는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 방향으로 이동되고, 모터샤프트(511)에 형성된 홈이 기어샤프트(520) 말단에 결합됨으로써 루버 날개의 회전이 정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부고정부(560)의 회전이 수행됨에 따라, 모터스페이셔(512) 또는 모터이동가이드(513)에 의해 모터(510)의 진동이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에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고정부받침대(561)는 외부고정부(560) 말단에 결합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을 관통하여 내측에 형성된 외부고정부(560) 말단과 결합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외부고정부(560) 조작 시 지면으로부터 외부고정부(560)의 수평이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축부(570)는 모터(510), 모터스페이셔(512) 또는 모터이동가이드(51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 형성된 기어샤프트(520)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압축부(570)는 스프링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모터(510) 이동에 따른 진동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모터(510)가 지면으로부터 수평을 유지하며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외부고정부(560)는 구동부(500)에 연결 형성된 외부고정부(560)에 의해 모터(510)의 위치를 제어시킴으로써 정전 또는 고장 시 사용자가 무동력 상태의 루버 날개를 수동으로 회전 조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루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구성이 조립에 의해 쉽게 설치 및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창틀의 루버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방향에 맞추어 이동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 레버가 삽입됨으로써, 창틀의 루버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방향, 다양한 형태의 레버 등의 다양한 조건에 맞추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10)

  1. 구동부(500)를 기준으로 구동부(500) 외측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메인프레임(100);
    메인프레임(100)과 마주보는 측에 결합되며, 구동부(500)의 외측 일측, 좌측, 우측 또는 상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결합프레임(200);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 하측에 결합되어 구동부(500)의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베이스프레임(300);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형성되며, 구동부(500)에 포함된 레버(540)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기판(400); 및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기판(400)과 연결되며, 레버(540)의 위치에 따라 루버의 각도를 조절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구동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인프레임(100) 내측에 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및
    제1레버가이드레일(110) 하측에 이동부(530)의 상측, 하측, 일측 또는 타측을 감싸는 형태로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이동부가이드레일(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프레임(200) 내측에 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및
    제2레버가이드레일(210) 하측에 이동부(530)의 상측, 하측, 일측 또는 타측을 감싸는 형태로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이동부가이드레일(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4. 청구항 1에 있어서,
    결합프레임(200) 상측에 기판(400)의 신호에 의해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 또는 구동부(500) 상태를 나타내도록 형성된 화면표시부(410); 및
    화면표시부(410)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된 버튼부(4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300)은 상측 또는 하측면을 기준으로 180° 회전되어 메인프레임(100) 또는 결합프레임(200)에 조립될 수 있도록 대칭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6.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부(500)는
    기어샤프트(520)와 연결되어 하나 이상 형성된 모터(510);
    모터(510)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어샤프트(520);
    모터(510)에 의해 기어샤프트(52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레버(54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기어샤프트(520)를 감싸도록 형성된 이동부(530); 및
    이동부(530)와 연결 형성되며, 이동부(530)의 위치에 의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된 레버(5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7. 청구항 1에 있어서,
    기판(400) 상측 일측에 외부 환경 변화에 따른 정보 또는 구동부(500) 상태가 외부에 식별될 수 있도록 화면표시부(410)와 연동 형성된 제1신호부(410-1);
    제1신호부(410-1)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며, 버튼부(411)를 관통하여 사용자의 제어될 수 있도록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신호부(411-1);
    제1신호부(410-1)와 연동 형성되며, 기판(400) 내측에 외부 온도, 조도 또는 풍량을 포함하는 외부 환경변화 측정, 실외기 작동 또는 구동부(500)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412); 및
    제2신호부(411-1)와 연동 형성되며, 제2신호부(411-1)의 조작에 의해 기판(400)에 전류공급, 차단 또는 루버 날개의 각도를 제어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어부(4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8. 청구항 6에 있어서,
    레버(540)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말단이 폐쇄 또는 개방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부(5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9.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부(500)와 연결 형성되며, 결합프레임(200)의 좌측 또는 우측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퀵릴리즈레버(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부(500)와 연결 형성되며, 결합프레임(200)의 좌측 또는 우측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외부고정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10).
KR1020210152531A 2021-11-08 2021-11-08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 KR102647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531A KR102647537B1 (ko) 2021-11-08 2021-11-08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531A KR102647537B1 (ko) 2021-11-08 2021-11-08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764A true KR20230067764A (ko) 2023-05-17
KR102647537B1 KR102647537B1 (ko) 2024-03-14

Family

ID=8654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531A KR102647537B1 (ko) 2021-11-08 2021-11-08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5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738A (ko) * 2006-02-08 2007-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용 자동 환기시스템
KR20100063975A (ko) * 2008-12-04 2010-06-14 이상면 환기창용 보턴형 개폐핸들유닛
KR20110135474A (ko) * 2010-06-11 2011-12-19 황육익 시스템 루버
KR200488680Y1 (ko) * 2017-11-06 2019-03-08 손병구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2003444B1 (ko) * 2018-02-08 2019-07-25 임태규 전동식 루버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738A (ko) * 2006-02-08 2007-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용 자동 환기시스템
KR20100063975A (ko) * 2008-12-04 2010-06-14 이상면 환기창용 보턴형 개폐핸들유닛
KR20110135474A (ko) * 2010-06-11 2011-12-19 황육익 시스템 루버
KR200488680Y1 (ko) * 2017-11-06 2019-03-08 손병구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2003444B1 (ko) * 2018-02-08 2019-07-25 임태규 전동식 루버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537B1 (ko)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7041B (zh) 出风结构及空调器
US20210396410A1 (en) Wall mount connector including memory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US20070271848A1 (en) Integrated power window and skylight operating systems
EP1746237A2 (en) An operator system and a aperture member comprising such a system
US20220018185A1 (en) Electromechanical actuator and blackout device comprising such an actuator
CN111201362B (zh) 管状机电致动器,具有这种致动器的家用自动化控制设备以及这种致动器的装配方法
US20080217460A1 (en) Lifting Apparatus Having Lifting Reel
US20170234565A1 (en) Wall mountable connector for an hvac controller
KR20230067764A (ko) 설치가 용이한 루버 개폐장치
KR20200102027A (ko) 환기창용 시스템 루버
KR101487377B1 (ko) 루버시스템의 구동장치
CN111212955B (zh) 管形机电致动器、具有这种致动器的家用自动化控制设备、以及这种致动器的装配方法
KR102228140B1 (ko) 실외기실 상태 변화에 따른 환기창용 자동 개폐시스템
US20240076936A1 (en) External motor drive system adjusting for creep in window covering system with continuous cord loop
KR102003444B1 (ko) 전동식 루버 개폐장치
CN111201361B (zh) 管形机电致动器以及具有这种致动器的住宅自动化设备
KR20140030950A (ko) 배연루버 개폐장치
US11713619B2 (en) Screening device
KR101720471B1 (ko)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KR102475349B1 (ko) 실외기실 상태 변화에 따른 환기창용 자동 개폐시스템
KR102130641B1 (ko) 실외기실 상태 변화에 따른 환기창용 자동 개폐시스템
KR101589158B1 (ko) 쌍 미닫이 창문용 개폐장치
JP5632669B2 (ja) シャッターケース連結カバーの取付構造
JPH0816426B2 (ja) 電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