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691A -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691A
KR20230067691A KR1020237013448A KR20237013448A KR20230067691A KR 20230067691 A KR20230067691 A KR 20230067691A KR 1020237013448 A KR1020237013448 A KR 1020237013448A KR 20237013448 A KR20237013448 A KR 20237013448A KR 20230067691 A KR20230067691 A KR 20230067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grade
component
vehicle
group
o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왕
타오 마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6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6Improving the dynamic response of the control system, e.g. improving the speed of regulation or avoiding hunting or overshoo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wherein the sending and receiving network entities apply hybrid encryption, i.e. combination of symmetric and asymmetric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2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 H04L63/166Implementing security features at a particular protocol layer at the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0Integrity
    • H04W12/108Source 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이 방법은,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을 결정하는 단계(S404) ― 각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S405) ―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임 ―, 서버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S409)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자율 주행 또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기능을 개선하는 데 추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 인터넷(Internet of vehicles), 예를 들어, V2X(vehicle-to-everything), LTE-V(long term evolution-vehicle) 및 V2V(vehicle-to-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커넥티드(connected) 차량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Over the air(OΤA)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기술로, 스마트 TV,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및 셋톱박스와 같은 디바이스의 업그레이드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OTA 기술은 주로 자동 업그레이드를 위해 네트워크(예를 들어, Wi-Fi, 3G 또는 4G)를 통해 OTA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된다(또는 업그레이드를 위해 SD 카드에 OTA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됨). OTA 업그레이드는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지능형 커넥티드(connected) 차량이 개발됨에 따라 OTA 업그레이드는 차량 기능 업그레이드의 주요 방법이 되고 있다. 차량 판매 회사(즉,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자(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는 OTA 기술을 이용해 차량의 관련 소프트웨어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한다. 이를 통해 판매 회사는 리콜 비용을 줄이고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차량은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노드는 서로 연관될 수 있고 서로 협력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업그레이드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component)의 노드들과 관련되며, 모든 노드의 업그레이드를 조정하기 위해 OTA 마스터(Master) 모듈이 사용된다. OTA 마스터 모듈은 차량의 노드들 중 하나의(또는 하나 이상의) 노드(예를 들어, 게이트웨이(gateway, GW) 또는 텔레매틱스 박스(telematics box, T-Box))에 구성되고 다른 노드의 OTA 슬레이브(Slave) 모듈을 조정 및 제어하여 함께 차량 업그레이드를 완료한다. 그러나, OTA 마스터 모듈이 설치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다른 노드의 업그레이드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식에서, OTA 마스터 모듈은 복수의 OTA 슬레이브 모듈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을 다운로드하여 배포해야 한다. 이는 OTA 마스터 모듈의 스토리지(storage) 및 부하에 큰 부담을 주며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 및 차량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큰 경우 OTA 마스터 모듈의 저장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부 차량 구성요소들을 적시에 업그레이드할 수 없다. 또 다른 예로, 차량의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의 효율성은 점점 낮아지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 및 차량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개시하며, 이 방법은,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을 결정하는 단계 ― 각각의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임 ―, 및
서버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업그레이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서버는 하나의 서버일 수도 있고,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을 중앙 집중식으로 저장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들, 그룹 구성 정보 또는 업그레이드 정책 정보를 분산 방식으로 저장하는 분산형 서버 클러스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산형 서버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일 수 있다. 클러스터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버,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 DNS(Domain Name System)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들은 서로 협업하여 컴퓨팅, 데이터 저장 및 통신과 같은 기능을 함께 완료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는 단일 서버, 분산형 서버 및 서버 클러스터를 총칭하여 서버라고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차량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그룹이 하나의 구성요소만 포함하는 경우, 해당 구성요소는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일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대상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차량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 모듈로 배치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메인 제어기 및/또는 차량 통합 유닛에 배치될 수 있음).
또한, 서버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제2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2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며, 여기서 제2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2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서버는 제2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2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며, 여기서 제2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2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방법은,
서버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서버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서버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서버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서버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다운로드 주소에 서명할 수 있고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명을 검증할 수 있으므로, 다운로드 주소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다운로드 주소의 변조를 방지하며 차량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의 보안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OTA 기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이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 및 차량의 각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통신하여 차량의 각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의 완료를 보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 모듈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하드웨어 모듈일 수도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T-Box는 OTA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OTA 모듈은 OTA 기술을 지원한다. 따라서, T-Box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간주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OTA 기술을 지원하는 구성요소가 차량에 사전 조립되고, 프로세서, 집적회로 등이 해당 구성요소에 통합된다. OTA 기술을 지원하는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간주될 수 있다.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보안 채널은 적어도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보안 채널,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을 포함한다.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표시하기 위한 그룹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서버가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서버에 사전 구성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사전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식을 기술한다. 서버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룹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특정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서버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방법은,
서버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을 더 포함한다.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는 구성요소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교정 데이터 버전 정보, 하드웨어 버전 정보(예를 들어, 하드웨어의 사양, 모델 또는 하드웨어의 식별자(상이한 하드웨어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되어야 하는 소프트웨어는 상이할 수 있음)), 구성요소의 식별자(identify, ID), 구성요소의 버전 번호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카메라는 카메라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카메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버전 번호 "v12.5.8"은 카메라의 버전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카메라의 메인 제어 칩과 감광 칩의 사양 및 모델도 카메라의 버전 정보일 수 있다.
서버가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개시하며, 이 방법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고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고, 제1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및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서버에 보고하고, 서버는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다운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다운로드 주소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이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보고 노드에 의해 전송된,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고 노드는 차량의 도메인 제어기, 게이트웨이, 분산 게이트웨이, 차량 통합 유닛 등일 수 있다. 보고 노드는 보고 노드가 수집한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콕핏 도메인 제어기(Cockpit Domain Controller, CDC)는 콕핏 도메인의 복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마이크, 레이더, 스피커 및 키리스 시동(keyless start)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버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하나의 영역에서 기능을 갖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구성요소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해당 구성요소 그룹에서 중앙 집중식 컴퓨팅 기능을 갖는 제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메인 제어기(domain controller, DC) 및 차량 통합 유닛(vehicle integration unit, VIU))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구성요소의 구성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먼저 결정한 다음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근접한 구성요소들을 구성요소 그룹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보안 인증서에 기초하여 서버와 보안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이 경우, 보안 인증서가 배포된 구성요소만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에 대한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현재 노드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현재 노드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고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메인 제어기(DC) 또는 차량 통합 유닛(VIU)이다.
제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의 부하는 제1 임계값 이하이고/이하이거나,
보안 인증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개시하며, 이 방법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 및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방법은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적용되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자신이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점검, 압축 해제, 디코딩, 구성요소 그룹 내 데이터 분배, 프로그램 다운로드, 프로그램 설치 또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데이터 설정 등의 업그레이드 관련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3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방법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고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방법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 제1 보안 채널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됨 ―를 더 포함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3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서버에 의해 서명되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서명을 검증하는 단계, 및
서명에 대한 검증이 성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업그레이드 전에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먼저 서명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키지의 소스를 검증하여 신뢰할 수 없는 서버에 대한 연결 설정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의 보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개시하며, 이 방법은,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및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서버로부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은 차량에 적용될 수 있고, 차량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자신이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고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고, 제1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및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4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4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제4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4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고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4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서버에 의해 서명되고, 방법은,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서명을 검증하는 단계, 및
서명에 대한 검증이 성공하는 것에 응답하여,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업그레이드 전에,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먼저 서명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키지의 소스를 검증하여 신뢰할 수 없는 서버에 대한 연결 설정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의 보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개시하며, 이 방법은,
서버가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버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업그레이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5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방법은,
서버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서버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서버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는,
서버가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서버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서버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5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보안 채널은 적어도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보안 채널,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을 포함한다.
제5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5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서버가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서버에 사전 구성된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식을 기술한다. 서버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룹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특정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서버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방법은,
서버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를 더 포함한다.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서버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버가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개시하며, 이 방법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 및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또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에 배치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복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한다. 버전 정보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다운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다운로드 주소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이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제6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메인 제어기(DC) 또는 차량 통합 유닛(VIU)이다.
제6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의 부하는 제1 임계값 이하이고/이하이거나,
보안 인증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개시하며, 이 방법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각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고,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며,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각각의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처리 유닛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임 ―, 및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됨 ―을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서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업그레이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8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유닛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신 유닛은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송신 유닛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8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보안 채널은 적어도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보안 채널,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을 포함한다.
제8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수신 유닛은, 수신 유닛을 사용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전송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8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유닛은,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사전 구성된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룹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특정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제8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
처리 유닛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및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고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데 사용되고, 제1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을 포함한다.
송신 유닛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서버에 보고하고, 서버는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다운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다운로드 주소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이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9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제9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9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보고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보고 노드는 차량의 도메인 제어기, 게이트웨이, 분산 게이트웨이, 차량 통합 유닛 등일 수 있다. 보고 노드는 보고 노드가 수집한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콕핏 도메인 제어기(Cockpit Domain Controller, CDC)는 콕핏 도메인의 복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마이크, 레이더, 스피커 및 키리스 시동(keyless start)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버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버전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9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하나의 영역에서 기능을 갖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구성요소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해당 구성요소 그룹에서 중앙 집중식 컴퓨팅 기능을 갖는 제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메인 제어기(DC) 및 차량 통합 유닛(VIU))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구성요소의 구성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먼저 결정한 다음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근접한 구성요소들을 구성요소 그룹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보안 인증서에 기초하여 서버와 보안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이 경우, 보안 인증서가 배포된 구성요소만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에 대한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현재 노드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현재 노드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제9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고 버전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로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버전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9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메인 제어기(DC) 또는 차량 통합 유닛(VIU)이다.
제9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의 부하는 제1 임계값 이하이고/이하이거나,
보안 인증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 및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에 사용되며,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전송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자신이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모든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그룹의 근접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0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여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0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 제1 보안 채널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됨 ―,
수신 유닛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0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서버에 의해 서명되고, 처리 유닛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서명을 검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처리 유닛은, 서명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업그레이드 전에 업그레이드 제어 장치는 먼저 서명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키지의 소스를 검증하여 신뢰할 수 없는 서버에 대한 연결 설정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의 보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을 개시한다. 차량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로부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자신이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데 사용되고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고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데 사용되고, 제1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고,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고,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1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제11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1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고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1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서버에 의해 서명되고,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서명을 검증하고,
서명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업그레이드 전에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먼저 서명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키지의 소스를 검증하여 신뢰할 수 없는 서버에 대한 연결 설정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의 보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및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을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서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업그레이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2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유닛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신 유닛은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처리 유닛은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송신 유닛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보안 채널은 적어도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보안 채널,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을 포함한다.
제1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수신 유닛을 사용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전송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처리 유닛은,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사전 구성된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룹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특정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제12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
처리 유닛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임 ―, 및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에 배치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의 복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한다. 버전 정보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다운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다운로드 주소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이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3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제13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메인 제어기(DC) 또는 차량 통합 유닛(VIU)이다.
제13 양태의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의 부하는 제1 임계값 이하이고/이하이거나,
보안 인증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개시하며, 이 장치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및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고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며,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모든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그룹의 근접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서버를 추가로 제공한다.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서버가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거나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제1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를 추가로 제공한다.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제1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제1 그룹 제어기를 추가로 제공한다. 제1 그룹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그룹 제어기가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제1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서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 및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서버는 제8 양태 또는 제8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9 양태 또는 제9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제1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서버와 차량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더 포함한다. 서버는 제12 양태 또는 제1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차량은 제11 양태 또는 제1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차량이다.
제2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3 양태 또는 제13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4 양태 또는 제14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제2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개시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6 양태 또는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2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개시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6 양태 또는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2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칩 시스템을 개시한다. 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대한 정보 입력/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6 양태 또는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7 양태 또는 제7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거나, 제5 양태 또는 제5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2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단말을 개시한다. 단말은 스마트 콕핏(cockpit) 제품, 차량 등일 수 있다. 단말은 제9 양태 또는 제9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제10 양태 또는 제10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차량은 지능형 단말 또는 드론이나 로봇과 같은 지능형 운송 차량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첨부 도면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컴퓨팅 아키텍처에 기반한 차량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가능한 구성요소 그룹의 구조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절차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절차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예(example)" 또는 "예를 들어(for example)"와 같은 용어는 예시, 실례 또는 설명을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예" 또는 "예를 들어"의 용어를 사용하여 기술된 실시예 또는 설계 방식이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방식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용어의 사용은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은 먼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시스템 아키텍처 및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본 출원에 설명된 시스템 아키텍처 및 서비스 시나리오는 본 출원의 기술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기술 솔루션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당업자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기술 솔루션이, 시스템 아키텍처가 진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가 등장함에 따른 유사한 기술 문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OTA 서버(server)(101), OTA 마스터 모듈(Master)(102) 및 OTA 슬레이브 모듈(slave)(103)을 포함한다.
OTA 서버(101)는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OTA 마스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특정 구현 시나리오에서는 OTA 서버를 OTA 클라우드라고도 한다.
OTA 마스터 모듈(Master)(102)은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로서, OTA 서버(101)에 의해 전송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차량의 구성요소(component)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TA 마스터 모듈(102)은 수신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차량의 하나 이상의 OTA 슬레이브 모듈(103)에 배포하고, 하나 이상의 OTA 슬레이브 모듈(103)로 하여금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설치 및 활성화하도록 지시하여 업그레이드를 완료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가능한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차량은 OTA 클라우드(201) 및 차량(202)을 포함한다. 차량(202)은 차량 전기/전자 아키텍처(Electrical/Electronic Architecture, E/E) 기반의 차량이다. 영역(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2)은 모바일 데이터 센터(Mobile Data Center, MDC), 인간-기계 상호작용(Human-Machine Interaction, HMI), 게이트웨이(gateway, GW), 텔레매틱스 박스(Telematics BOX, T-Box, 또는 TCU라고도 함) 및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과 같은 모듈들과 같은 구성요소(component)들을 포함할 수 있다. GW는 전체 차량의 전기/전자 아키텍처의 핵심 구성요소이다. 전체 차량 네트워크의 데이터 상호작용 허브로서 GW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서,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및 FlexRay와 같은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라우팅할 수 있다. MDC는 차량의 지능형 차량용(in-vehicle) 컴퓨팅 플랫폼이다. T-Box는 주로 차량의 외부, 백그라운드 시스템 및 휴대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HMI는 차량의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이다. ECU는 차량용 마이크로제어기이다.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OTA 마스터로 간주될 수 있는 업데이트 마스터)은 차량(202)의 GW에 배치되고, 업그레이드 슬레이브 모듈(OTA 슬레이브로 간주될 수 있는 업데이트 슬레이브)은 차량(202)의 나머지 모듈들 각각에 배치된다. GW의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은 OTA 클라우드에 의해 전송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고 이를 해당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 슬레이브 모듈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슬레이브 모듈이 업그레이드를 설치 및 활성화하도록 하여 구성요소 업그레이드를 완료한다. GW의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전체 차량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을 다운로드하고 각 구성요소로 하여금 설치를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의 스토리지 및 부하에 큰 부담을 준다.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매우 큰 경우,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의 저장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차량(202)은 전기/전자 아키텍처 기반의 차량이고 GW는 전체 차량의 전기/전자 아키텍처의 핵심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라우팅 복잡도를 줄이도록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GW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차량 아키텍처에서는 구성요소의 수가 많아질수록 구조가 복잡해진다.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장거리(장거리는,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과 업그레이드 대상 ECU 사이에서 통과해야 하는 많은 수의 홉(hop)으로 이해될 수 있음)로 ECU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컴퓨팅 아키텍처에 기초한 차량의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차량(30)은 중앙 컴퓨팅 아키텍처(Central Computing Architecture, CCA) 기반의 차량이다. CCA는 여러 차량 통합 유닛(vehicle integrated/integration unit, VIU)과 복수의 차량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복수의 VIU는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고대역폭(고화질 카메라 및 고화질 디스플레이), 저 레이턴시(low latency) 및 고신뢰성의 처리 능력을 구현하여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차량 내 네트워크 구성을 간소화하며 업그레이드 및 유지보수 효율을 향상시킨다. 차량 구성요소(예를 들어, ECU 또는 T-Box)는 VIU에 연결될 수도 있고, 콕핏 도메인 제어기(Cockpit Domain Controller, CDC), MDC 또는 차량 도메인 제어기(Vehicle Domain Controller, VDC)와 같은 도메인 제어기(domain controller, DC)에 연결된 후 DC를 통해 VIU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는, 차량에서 전자 제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종래 시스템에서 각 차량의 구성요소가 각각의 하네스(harness)를 사용하여 도메인 제어기(DC)에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차량에서 전자 제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종래 시스템에서 하네스의 길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차량(202)에 의해 사용되는 차량 전기/전자 아키텍처(Electrical/Electronic Architecture, E/E)와 비교하여, 차량(30)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요소(예를 들어, ECU 2.1, ECU 2.2 및 T-Box)는 VIU 1에 연결되고, 일부 구성요소(예를 들어, ECU 4.1 및 ECU 4.2)는 VIU 2에 연결되고, 일부 구성요소는 VIU 3에 연결되며 일부 구성요소는 VIU 4에 연결된다. 이 경우,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T-Box에 배치되면, 업그레이드되어야 하는 ECU 5.1에 대해, 배포된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경로는 VIU 1, VIU 2 및 VIU 3의 버스를 거친 후 VIU 3를 통해 ECU 5.1로 간다.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배포하는 방식에서 업그레이드 경로가 복잡하기 때문에(많은 수의 홉을 통과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증가하고 효율성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아키텍처에서, 각 노드의 연결 라인은 이더넷 기반의 버스일 수도 있고, CAN(Controller Area Network) 버스,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버스,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버스, FlexRay 등 중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S401: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구성요소는 데이터 처리 능력 또는 데이터 송수신 능력을 가진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의 다양한 GW, T-Box, VIU, DC 또는 ECU일 수도 있고, 카메라 또는 레이더와 같은 차량의 미디어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ECU는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I/O) 인터페이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A/D) 및 셰이퍼(shaper) 또는 드라이버와 같은 대구모 집적회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OTA 기술을 지원하는 전자 디바이스이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각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의 완료를 돕기 위해 서버 및 차량의 각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 모듈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하드웨어 모듈일 수도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T-Box는 OTA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OTA 모듈은 OTA 기술을 지원한다. 따라서, T-Box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간주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OTA 기술을 지원하는 구성요소는 차량에 사전 조립되고, 프로세서, 집적회로 등이 해당 구성요소에 통합된다. OTA 기술을 지원하는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간주될 수 있다.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는 구성요소의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교정 데이터 버전 정보, 하드웨어 버전 정보(예를 들어, 하드웨어 사양, 모델 또는 하드웨어 식별자(상이한 하드웨어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되어야 하는 소프트웨어는 상이할 수 있음)), 구성요소의 식별자(identify, ID), 구성요소의 버전 번호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카메라는 카메라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카메라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버전 번호 "v12.5.8"은 카메라의 버전 정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카메라의 메인 제어 칩과 감광 칩의 사양 및 모델도 카메라의 버전 정보일 수 있다.
특히,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차량의 복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는 다음과 같은 설계들이 존재할 수 있다.
설계 1: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전송된,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요소 그룹은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차량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 모듈로 배치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DC 및/또는 VIU에 배치될 수 있음).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한 후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전송된,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
설계 2: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보고 노드에 의해 전송된,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
보고 노드는 차량의 도메인 제어기, 게이트웨이, 분산 게이트웨이, 차량 통합 유닛 등일 수 있다. 보고 노드는 보고 노드가 수집한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C는 콕핏 도메인의 복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마이크, 레이더, 스피커 및 키리스 시동(keyless start)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버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설계 3: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구성요소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자신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또는 해당 구성요소에 저장된 다른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포워딩할 수 있음). 이에 상응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차량의 구성요소는 버전이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자신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사전 구성되거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관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은 단계 S402를 더 포함한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계 S402: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실제 처리 프로세스에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할 수도 있고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다시 결정할 필요가 없다. 이는 구체적으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의 구현, 사전 계약 또는 표준의 정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각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T-Box 또는 ECU와 같은 차량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그룹이 하나의 구성요소만 포함하는 경우, 해당 구성요소는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일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대상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또는 부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룹 정책은 사전 정의되거나 사전 구성된 그룹 방식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알고리즘, 모델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하나의 영역에서 기능을 갖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구성요소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해당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메인 제어기(DC) 및 차량 통합 유닛(VIU))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구성요소 그룹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하나의 VIU 및 VIU에 연결된 구성요소를 하나의 구성요소 그룹으로 사용하고, VIU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장치로 사용한다. 영역(5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요소 그룹은 도면에 도시된 VIU 1, CDC, ECU 1.1, ECU 1.2, ECU 2.1, ECU 2.2 및 T-Box를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VIU 1이다. 영역(5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요소 그룹은 도면에 도시된 VIU 2, MDC, ECU 3.1, ECU 4.1, ECU 4.2, ECU 4.3 및 VDC를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VIU 2이다. 영역(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성요소 그룹은 VIU 3, ECU 5.1, ECU 5.2 및 ECU 5.3을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VIU 3이다. 영역(5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구성요소 그룹은 VIU 4, ECU 6.1, ECU 6.2 및 ECU 6.3을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VIU 4이다. 표 1에 도시된 그룹 정보는 구성요소 그룹들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및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가능한 구성요소 그룹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VIU 또는 DC에 연결된 구성요소를 하나의 구성요소 그룹으로 사용하고, VIU 또는 DC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장치로 사용한다. 영역(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요소 그룹은 도면에 도시된 CDC, ECU 1.1 및 ECU 1.2를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CDC이다. 영역(6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성요소 그룹은 VIU 1, ECU 2.1, ECU 2.2 및 T-Box를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VIU 1이다. 영역(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성요소 그룹은 도면에 도시된 MDC 및 ECU 3.1을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MDC이다. 영역(6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구성요소 그룹은 VIU 2, ECU 4.1, ECU 4.2 및 ECU 4.3을 포함한다. 영역(6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구성요소 그룹은 VIU 3, ECU 5.1, ECU 5.2 및 ECU 5.3을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VIU 3이다. 영역(60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구성요소 그룹은 VIU 4, ECU 6.1, ECU 6.2 및 ECU 6.3을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VIU 4이다. 제7 구성요소 그룹은 VDC를 포함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VDC이다. 표 2에 도시된 그룹 정보는 구성요소 그룹들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및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구조와 도시된 ECU들의 개수는 예시일 뿐이며,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다른 ECU 및 다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형식은 세트(예를 들어, 정보 서브세트 또는 대응 세트), 매핑 테이블(예를 들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데이터 테이블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룹 정보를 데이터 테이블 형태로 기술하였으나, 이는 본 출원에서의 그룹 정보가 반드시 테이블 형태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특정 구성 조건을 충족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부하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구성요소이다. 또 다른 예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보안 인증서가 배포된 구성요소이다. 또한, 선택적으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각 구성요소의 구성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근접한 구성요소를 구성요소 그룹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능한 솔루션에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구성요소 그룹에서 중앙 집중식 컴퓨팅 기능을 갖는 제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메인 제어기(DC) 및 차량 통합 유닛(VIU))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에 대한 연결을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노드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현재 노드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부하 임계값은 제1 임계값으로 결정된다. 제1 임계값은 사전 정의된 값, 사전 구성된 값 또는 프로토콜에 사전 지정된 값이다.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후속적으로 업그레이드 작업을 완료해야 하므로 부하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구성요소가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된다. 이를 통해 해당 구성요소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으므로 후속 업그레이드 및 다운로드 작업을 가능한 한 빨리 완료하여 차량의 업그레이드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솔루션에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보안 인증서에 기초하여 서버와 보안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이 경우, 보안 인증서가 배포된 구성요소만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403: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서버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버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차량의 식별자는 차량의 차대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VIN), 차량의 모델(구체적으로, 제조업체, 모델, 생산 배치(batch) 번호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benz-S350L-2020은 Benz S350L 2020을 나타냄), 차량의 집적 회로 카드 ID(integrate circuit card identity, ICCID), 차량의 제품 일련 번호(Serial Number, SN)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그룹 정보를 더 포함하고, 그룹 정보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룹 정보는 표 1 또는 표 2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서버 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링크는 다양한 유형의 연결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선 링크(예를 들어, 광섬유), 무선 링크, 유선 링크 및 무선 링크의 조합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링크는 802.11b/g,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차량 내(in-vehicle)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기술 또는 차량 내 무선 전송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서버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기술이 존재할 수 있다.
단계 S404: 서버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서버는 하나의 서버일 수도 있고,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산형 서버는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클러스터일 수 있다. 클러스터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서버,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 DNS(Domain Name System)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들은 서로 협업하여 컴퓨팅, 데이터 저장 및 통신과 같은 기능을 함께 완료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는 단일 서버, 분산형 서버 및 서버 클러스터를 총칭하여 서버라고 한다.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적어도 다음 두 가지 구현이 존재한다.
구현 1: 서버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서버는 그룹 정보를 수신한 다음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또 다른 예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메시지를 사용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전달한다. 서버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메시지를 파싱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구현 2: 서버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차량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서버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 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서버에 사전 구성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사전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정보는 데이터베이스(구체적으로 분산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음)에 저장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다. 서버는 차량의 그룹 정보를 질의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또는 NAS 디바이스에 요청을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 또는 NAS 디바이스는 질의 결과를 서버에 반환하고, 서버는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그룹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405: 서버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업그레이드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버는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다.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패킹(packing)하여 획득된다(특정 구현 시 압축 처리 등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음).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또한, 서버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할 수 있다.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제1 구성요소 그룹에 존재한다. 따라서, 제1 구성요소 그룹 내에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업그레이드 데이터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얻기 위해 패킹된다.
차량의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이 업그레이드될 필요가 있는 경우 서버는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복수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는 하나의 구성요소 그룹만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것으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은 단계 S406을 더 포함한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계 S406: 서버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다운로드 주소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일 수 있다.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후, 서버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다운로드 주소를 이용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저장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복수의 서버 중 CDN 서버, NAS 디바이스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서버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한다. 이에 상응하여, OTA는 서버로부터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고,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를 수신하여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획득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업그레이드 순서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예를 들어, 다운로드를 위한 특정 시간, 다운로드를 위해 전원 상태가 충족해야 하는 특정 조건, 및 다운로드를 확인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해야 하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지정함).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이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 조건 및 부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낸다.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규칙(예를 들어, 복수 구성요소의 병렬 업그레이드, 직렬 업그레이드, 롤백(rollback) 시작 여부, 및 사용자에게 통지해야 하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정의한다. 업그레이드 순서는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을 업그레이드하는 업그레이드 순서(예를 들어, ECU 1이 먼저 업그레이드된 다음 ECU 2가 업그레이드됨)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의 복수의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순서(예를 들어, ECU의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이 먼저 업그레이드된 다음 사용자가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이 업그레이드됨)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데이터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버의 OTA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서버에 의해 서명될 수 있다. 이 경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 서명을 검증하여 신뢰할 수 없는 노드가 전송한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제1 다운로드 주소가 포함된 경우, 서버는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서명할 수 있다. 이 경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의 서명을 검증하고, 서명 검증에 성공한 때에만 다운로드 주소 배포 등의 후속 단계를 수행한다.
차량의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이 업그레이드될 필요가 있는 경우 서버는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복수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에 상응하여, 복수의 할당된 다운로드 주소가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다운로드 주소가 하나만 있는 것으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은 단계 S407을 더 포함한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계 S407: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 간의 통신을 위한 링크는 다양한 유형의 매체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선 링크, 무선 링크, 유선 링크 및 무선 링크의 조합 등일 수 있다. 유선 링크는 예를 들어 이더넷 기반 버스이거나, CAN 버스, LIN 버스, MOST 버스, FlexRay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링크는 802.11b/g,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차량 내(in-vehicle)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포함하는 근거리 연결 기술이다. 또 다른 예로, 무선 링크는 GSM, GPRS, UMTS, LTE(Long Term Evolution) 기반 통신 기술, 5세대 이동 통신 기술(5세대 이동 네트워크 또는 5세대 무선 시스템, 축약하여 5세대, 5G 또는 5G 기술) 또는 차량 내 무선 통신 기술을 포함하는 장거리 연결 기술일 수 있다. 물론,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기술이 존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은 단계 S408을 더 포함한다.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계 S408: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실제 처리 프로세스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할 수도 있고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통신 링크를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다운로드 주소를 사용하여 보안 채널을 설정할 필요가 없다. 이는 구체적으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의 구현, 사전 계약 또는 표준의 정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안 채널은 SSL(Secure Sockets Layer) 기반 전송 채널 또는 TLS(Transport Layer Security) 기반 전송 채널로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보안 채널은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보안 채널,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URL을 할당할 수 있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URL에 기초하여 CDN 서버와 HTTPS 보안 채널을 설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단계 S409: 서버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다양한 연결 매체(예를 들어, 무선 통신 링크, 유선 통신 링크 또는 유선 링크와 무선 링크의 조합)를 이용하여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통신하여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로부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한다.
또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이용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면, 서버는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될 수도 있고(자세한 사항은 단계 S406 및 단계 S407의 상세 설명 참조), 서버에 의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될 수도 있다.
단계 S410: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각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그룹의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에 지시하는 것 등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특히 서버에 의해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된 다음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될 수 있음)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업그레이드 조건과 업그레이드 정책을 포함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업그레이드 조건 및 업그레이드 정책에 따라, 업그레이드 조건이 만족되면 업그레이드 정책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서버에 의해 서명될 수 있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의 서명을 검증할 수 있다. 서명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자신이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솔루션은 자율 주행 또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기능을 개선하는 데 추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차량 인터넷(Internet of vehicles), 예를 들어, V2X(vehicle-to-everything), LTE-V(long term evolution-vehicle) 및 V2V(vehicle-to-vehicle)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전술한 방법 실시예는 가능한 많은 구현들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 예를 사용하여 상기 구현들 중 일부를 별도로 설명한다.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되지 않은 관련 개념이나 동작 또는 논리적 관계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자세한 내용을 재차 기술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S701: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차량의 복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획득하는 다음과 같은 솔루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솔루션 1: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보고 노드에 의해 전송된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 보고 노드는 보고 노드가 수집한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DC는 콕핏 도메인의 복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마이크, 레이더, 스피커 및 키리스 시동(keyless start)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버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솔루션 2: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구성요소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자신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또는 해당 구성요소에 저장된 다른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포워딩할 수 있음). 이에 상응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해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차량의 구성요소는 버전이 업그레이드될 때마다 자신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위치한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사전 구성될 수도 있고,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관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질의할 수도 있다.
단계 S702: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2의 관련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703: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제1 메시지는 차량의 그룹 정보를 더 포함하며, 그룹 정보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룹 정보는 표 1 또는 표 2일 수 있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서버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 및 그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704: 서버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또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메시지를 사용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전달한다. 서버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메시지를 파싱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단계 S705: 서버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5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706: 서버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6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707: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7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708: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8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709: 서버는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이용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면, 서버는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710: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10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서버는, 차량 내의 업그레이드할 구성요소 그룹에 대해, 해당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후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해당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업그레이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S801: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요소 그룹은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한 후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전송된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802: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차량의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차량의 식별자는 차량의 VIN, 차량의 모델, 차량의 ICCID, 차량의 SN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서버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버전 정보 및 차량의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803: 서버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차량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서버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 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서버에 사전 구성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에 사전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룹 정보는 데이터베이스(구체적으로 분산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음)에 저장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다.
단계 S804: 서버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5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805: 서버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6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806: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7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807: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8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808: 서버는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이용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면, 서버는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09: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10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시스템에는 서버와 차량이 포함된다. 서버와 차량을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S901: 차량이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 내에서 데이터 처리 능력과 데이터 송수신 능력을 갖춘 전자 디바이스로, 차량의 독립적인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식별자 및/또는 차량의 그룹 정보를 더 포함하고, 그룹 정보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3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서버는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버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과 서버 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링크는 다양한 유형의 연결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유선 링크(예를 들어, 광섬유), 무선 링크, 유선 링크 및 무선 링크의 조합 등일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S902: 서버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4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단계 S903: 서버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5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은 단계 S904를 더 포함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계 S904: 서버는 차량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한다. 제1 다운로드 주소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데 사용되며,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단계 S406 및 단계 S407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은 단계 S905를 더 포함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S905: 차량은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보안 채널은 SSL 기반의 전송 채널 또는 TLS 기반의 전송 채널로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보안 채널은 HTTPS 보안 채널, TLS 보안 채널, DTLS 보안 채널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URL을 할당할 수 있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URL에 기초하여 CDN 서버와 HTTPS 보안 채널을 설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S906: 서버는 차량에 1차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전송한다. 이에 상응하여,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로부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자세한 내용은 단계 S407의 상세 설명을 참조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자신이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의 개략도이다.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단계 S1001: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요소 그룹은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한 후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전송된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1002: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한다. 또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보안 채널을 설정하고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각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되는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그룹의 구성요소에 전송하고 구성요소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 등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복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한다. 버전 정보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다운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다운로드 주소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이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방법들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의 장치들을 제공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전술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예를 들어 도 4, 도 7, 도 8,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의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로의 분할은 단지 기능에 기반한 논리적 분할일 뿐이며,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구현에서, 일부 기능 모듈들은 더 작은 기능 모듈들로 세분될 수도 있고, 일부 기능 모듈들이 하나의 기능 모듈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기능 모듈들이 세분화되거나 결합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차량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에서 장치(110)에 의해 수행되는 절차는 대략 동일하다. 예를 들어, 장치(110)의 수신 유닛(1103) 및 송신 유닛(1102)은 대안적으로 통신 유닛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유닛은 해당 유닛의 프로그램 코드(즉, 프로그램 명령)에 대응한다. 유닛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유닛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대응하는 절차들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enabled).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서버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서버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장치는 처리 유닛(1101) 및 송신 유닛(1102)을 포함한다. 이 유닛들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처리 유닛(1101)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각각의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1101)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송신 유닛(1102)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서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후 이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업그레이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유닛(1101)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신 유닛(1102)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처리 유닛(1101)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송신 유닛(1102)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가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보안 채널은 적어도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보안 채널,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을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수신 유닛(1103)을 더 포함하고, 수신 유닛(1103)은, 수신 유닛을 사용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전송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유닛(1101)은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사전 구성된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룹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특정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1103)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
처리 유닛(1101)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가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획득할 수 있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장치(110)는 송신 유닛(1102) 및 수신 유닛(1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닛들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송신 유닛(1102)은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수신 유닛(1103)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고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고, 제1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송신 유닛(1102)은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서버에 보고하고, 서버는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다운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다운로드 주소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이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가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1103)은, 보고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보고 노드는 차량의 도메인 제어기, 게이트웨이, 분산 게이트웨이, 차량 통합 유닛 등일 수 있다. 보고 노드는 보고 노드가 수집한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콕핏 도메인 제어기(Cockpit Domain Controller, CDC)는 콕핏 도메인의 복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마이크, 레이더, 스피커 및 키리스 시동(keyless start)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버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버전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1101)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하나의 영역에서 기능을 갖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구성요소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해당 구성요소 그룹에서 중앙 집중식 컴퓨팅 기능을 갖는 제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메인 제어기(DC) 및 차량 통합 유닛(VIU))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구성요소의 구성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먼저 결정한 다음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근접한 구성요소들을 구성요소 그룹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보안 인증서에 기초하여 서버와 보안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이 경우, 보안 인증서가 배포된 구성요소만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에 대한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현재 노드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현재 노드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1103)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고 버전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버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메인 제어기(DC) 또는 차량 통합 유닛(VIU)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의 부하는 제1 임계값 이하이고/이하이거나,
보안 인증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10)는 처리 유닛(1101) 및 수신 유닛(1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닛들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수신 유닛(1103)은 서버에 의해 전송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처리 유닛(1101)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에 사용되고,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전송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자신이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모든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들(110)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그룹의 근접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장치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1102)을 더 포함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여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1103)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처리 유닛(1101)은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 제1 보안 채널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됨 ―,
수신 유닛(1103)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서버에 의해 서명되고, 처리 유닛(1101)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서명을 검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처리 유닛(1101)은 서명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업그레이드 전에 업그레이드 제어 장치는 먼저 서명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키지의 소스를 검증하여 신뢰할 수 없는 서버에 대한 연결 설정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의 보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2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차량(12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량일 수 있다. 차량(120)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1201) 및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1202)를 포함한다.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1201)는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1202)는 서버로부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자신이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1201)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데 사용되고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고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데 사용되고, 제1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1202)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고,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고,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1201)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고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서버에 의해 서명되고,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1202)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서명을 검증하고,
서명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업그레이드 전에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먼저 서명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키지의 소스를 검증하여 신뢰할 수 없는 서버에 대한 연결 설정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의 보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서버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서버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10)는 처리 유닛(1101), 송신 유닛(1102) 및 수신 유닛(1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닛들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수신 유닛(1103)은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처리 유닛(1101)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유닛(1102)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서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업그레이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유닛(1101)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송신 유닛(1102)은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처리 유닛(1101)은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송신 유닛(1102)은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가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보안 채널은 적어도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보안 채널,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을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1103)은, 수신 유닛을 사용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전송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처리 유닛(1101)은,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사전 구성된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룹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특정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수신 유닛(1103)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
처리 유닛(1101)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가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획득할 수 있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10)는 처리 유닛(1101), 송신 유닛(1102) 및 수신 유닛(1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닛들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수신 유닛(1103)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1101)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송신 유닛(1102)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에 배치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차량의 복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한다. 버전 정보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다운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다운로드 주소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이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메인 제어기(DC) 또는 차량 통합 유닛(VIU)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의 부하는 제1 임계값 이하이고/이하이거나,
보안 인증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10)는 송신 유닛(1102) 및 수신 유닛(1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닛들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송신 유닛(1102)은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유닛(1103)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고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며,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모든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들(110)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그룹의 근접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10)는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장치(130)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301)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버스(130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304)가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301), 프로세서(1302) 및 통신 인터페이스(1304)는 버스(1303)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메모리(1301)는 저장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저장 공간은 운영 체제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1)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컴팩트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등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2)는 산술 연산 및/또는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모듈이며, 구체적으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유닛(microprocessor unit, MPU),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및 복합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와 같은 처리 모듈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4)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하거나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이더넷 케이블과 같은 유선 링크의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무선 링크(Wi-Fi, 블루투스, 일반 무선 전송 등)의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1304)는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송신기(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송신기 또는 안테나), 수신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30)의 프로세서(1302)는 메모리(1301)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전술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예를 들어, 도 2, 도 7, 도 8,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에 기술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서버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서버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30)의 프로세서(1302)는 메모리(1301)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동작 ― 각각의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동작 ―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임 ―, 및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동작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됨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서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업그레이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사용하여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가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보안 채널은 적어도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보안 채널,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을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전송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프로세서(1302)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사전 구성된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룹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특정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
프로세서(1302)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가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획득할 수 있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업그레이드 노드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30)의 프로세서(1302)는 메모리(1301)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동작 ―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고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동작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고, 제1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및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서버에 보고하고, 서버는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다운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다운로드 주소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이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추가로 사용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가 서버에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보고 노드에 의해 전송되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보고 노드는 차량의 도메인 제어기, 게이트웨이, 분산 게이트웨이, 차량 통합 유닛 등일 수 있다. 보고 노드는 보고 노드가 수집한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콕핏 도메인 제어기(Cockpit Domain Controller, CDC)는 콕핏 도메인의 복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마이크, 레이더, 스피커 및 키리스 시동(keyless start) 모듈 중 하나 이상)의 버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그런 다음 버전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하나의 영역에서 기능을 갖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구성요소 그룹으로 그룹화한 후, 해당 구성요소 그룹에서 중앙 집중식 컴퓨팅 기능을 갖는 제어 구성요소(예를 들어, 도메인 제어기(DC) 및 차량 통합 유닛(VIU))의 부하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설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각 구성요소의 구성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먼저 결정한 다음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근접한 구성요소들을 구성요소 그룹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보안 인증서에 기초하여 서버와 보안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이 경우, 보안 인증서가 배포된 구성요소만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서버에 대한 연결을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현재 노드의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현재 노드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 결정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고 버전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버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메인 제어기(DC) 또는 차량 통합 유닛(VIU)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의 부하는 제1 임계값 이하이고/이하이거나,
보안 인증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30)의 프로세서(1302)는 메모리(1301)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서버에 의해 전송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 및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에 사용되고,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서버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전송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자신이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모든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들(130)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그룹의 근접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가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하여 버전 정보를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데이트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에 버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수신하고,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고 ― 제1 보안 채널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됨 ―,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사용하여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배포된다. 서버가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서버에 의해 서명되고, 프로세서(1302)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의 서명을 검증하고,
서명에 대한 검증이 성공한 것에 응답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업그레이드 전에 업그레이드 제어 장치는 먼저 서명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키지의 소스를 검증하여 신뢰할 수 없는 서버에 대한 연결 설정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업그레이드 프로세스의 보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서버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서버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30)의 프로세서(1302)는 메모리(1301)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 제1 메시지는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동작, 및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동작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서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한 다음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에 대한 업그레이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고,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사용하여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업그레이드 데이터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될 수 있으며, 그 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업그레이드를 완료하기 위해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가 필요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다운로드 주소를 배포한다. 다운로드 주소의 데이터 크기는 일반적으로 작기 때문에 다운로드 주소는 먼저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 전송된 다음 각 그룹의 대응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가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직접 설정하여 다운로드 주소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overhead)를 줄일 수 있고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업그레이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보안 채널은 적어도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보안 채널,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 또는 DTLS(datagram transport layer security) 보안 채널을 포함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방식을 기술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차량의 구성요소의 그룹 정보를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전송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가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은 사전 구성된 정책, 차량의 노드 연결 관계, 각 노드의 구성, 부하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사전 구성된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전술한 구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식을 기술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룹 정보를 질의할 수 있다. 특정 모델의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 정보는 사전 구성되거나 사전 정의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어, 차량의 차대번호 또는 차량의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여 차량의 구성요소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1302)는,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 제1 메시지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가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버전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패키징하여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획득할 수 있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OTA 마스터 노드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30)의 프로세서(1302)는 메모리(1301)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동작 ―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임 ―, 및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동작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에 배치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차량의 복수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집한다. 버전 정보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구성요소를 결정하고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업그레이드 패키지에는 다운로드 주소가 할당되고,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다운로드 주소를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하여,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해당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이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모든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근접한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다운로드 주소는 특히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에 포함되고, 다운로드 정책 패키지는 다운로드 정책, 업그레이드 조건, 업그레이드 정책 또는 제1 다운로드 주소의 유효 시간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다운로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하고, 업그레이드 조건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업그레이드 정책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규칙을 정의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메인 제어기(DC) 또는 차량 통합 유닛(VIU)이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의 부하는 제1 임계값 이하이고/이하이거나,
보안 인증서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배포된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거나, 칩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 내의 모듈일 수 있다. 장치(130)의 프로세서(1302)는 메모리(1301)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는 동작, 및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통신 인터페이스(1304)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 ―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고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가 속한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며, 구성요소 그룹들에 대한 업그레이드 패키지들은 또한 동시에 다운로드될 수 있어 모든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들(130)이 동시에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모듈이 차량의 노드들을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량 업그레이드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는 그룹의 근접한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수 있으므로 차량 업그레이드 복잡성이 감소된다. 또한, 각 구성요소 그룹의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130)는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해당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적시에 업그레이드를 모니터링, 감지 및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요소의 업그레이드가 최대한 빨리 완료될 수 있으며 차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각 유닛의 구현에 대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서버,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 및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서버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기술된 서버이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기술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이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 4, 도 7 또는 도 8에 기술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서버와 차량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서버는 도 9에 기술된 서버이고, 차량은 도 9에 기술된 차량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차량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도 10에 기술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이고,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 10에 기술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도 4, 도 7, 도 8,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이 구현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칩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대한 정보 입력/출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도 4, 도 7, 도 8,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이 구현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칩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데이터를 수신 및/또는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도 4, 도 7, 도 8,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의 방법이 구현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차량을 개시한다. 차량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도 4, 도 7, 도 8, 도 9 또는 도 10에 기술된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이다.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도 4, 도 7, 도 8, 도 9 또는 도 10에 기술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이다. 대안적으로, 차량은 지능형 단말 또는 드론이나 로봇과 같은 운송 차량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도 4, 도 7, 도 8,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임의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이 구현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는 경우,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명령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명령이 컴퓨터에 로드(load)되고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은 모두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순서 조정, 조합 또는 삭제는 실제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장치 실시예의 모듈들은 실제 요구사항에 따라 결합, 분할 또는 제거될 수 있다.

Claims (42)

  1.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으로서,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을 결정하는 단계 ― 각각의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임 ―,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상기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버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사전 구성된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는 단계, 및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가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들의 상기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6.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량에 배치되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차량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및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상기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추가로 사용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9.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상기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서버에 의해 전송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서버에 의해 전송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상기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서버에 의해 전송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상기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보안 채널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됨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서버에 의해 전송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상기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된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12.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량에 적용되며, 상기 차량은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상기 서버로부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13.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으로서,
    서버가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들의 상기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상기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14.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량에 배치되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적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상기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가,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15.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적용되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상기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상기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가,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16.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로서,
    처리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처리 유닛은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 각각의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임 ―,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됨 ―,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할당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상기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와 함께,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나타내기 위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19.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차량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사전 구성된 구성요소 그룹 정보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버전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들의 상기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21.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로서,
    상기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장치는,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및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차량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을 포함하되,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그룹 정보를 나타내는 데 추가로 사용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24.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로서,
    상기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에 사용되며, 상기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제1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상기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고, 상기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에 기초하여,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상기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다운로드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와 제1 보안 채널을 설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 상기 제1 보안 채널은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됨 ―,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제1 보안 채널을 통해, 상기 서버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27. 차량으로서,
    상기 차량은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 및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서버에 제1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됨 ―,
    상기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상기 서버로부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도록 구성되는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
    차량.
  28.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로서,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부터 제1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1 메시지는 상기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각각은,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를 포함함 ―,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들의 상기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및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상기 차량의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을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29.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로서,
    상기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은 상기 차량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의 구성요소들의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 그룹 중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에 대한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는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임 ―, 및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상기 제1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을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30.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로서,
    상기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차량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는,
    상기 차량의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제1 구성요소 그룹(component group)의 구성요소의 버전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및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에 의해 전송되고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되는 제1 다운로드 주소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제1 업그레이드 패키지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그룹의 상기 구성요소에 대한 OTA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을 포함하는,
    차량 업그레이드 장치.
  31. 서버로서,
    상기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서버가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되는,
    서버.
  32.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로서,
    상기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가 제6항 내지 제8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되는,
    OTA 업그레이드 마스터 노드.
  33.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로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가 제9항 내지 제11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되는,
    업그레이드 제어 구성요소.
  34. 차량으로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가 제12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35.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6항 내지 제8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7.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9항 내지 제11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8.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12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9.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0.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6항 내지 제8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1.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9항 내지 제11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4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제12항에 따른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37013448A 2020-09-27 2020-09-27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202300676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8208 WO2022061843A1 (zh) 2020-09-27 2020-09-27 一种车辆升级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691A true KR20230067691A (ko) 2023-05-16

Family

ID=7529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3448A KR20230067691A (ko) 2020-09-27 2020-09-27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89174A1 (ko)
EP (1) EP4202645A4 (ko)
JP (1) JP2023544130A (ko)
KR (1) KR20230067691A (ko)
CN (2) CN112640500B (ko)
WO (1) WO2022061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64623A (zh) * 2021-04-19 2021-07-02 宝能(广州)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远程升级方法
CN113542018A (zh) * 2021-07-01 2021-10-22 东风悦享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2x的ota升级系统及升级方法
CN113641388A (zh) * 2021-08-24 2021-11-12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云手机更新方法、相关装置及计算机程序产品
CN113783950A (zh) * 2021-08-27 2021-12-10 南斗六星系统集成有限公司 一种边缘分布式ota升级系统与方法
CN113590164B (zh) * 2021-08-31 2024-03-2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整车控制器软件的升级方法及系统
CN114710407A (zh) * 2022-01-28 2022-07-05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分布式系统软件版本升级方法及装置
CN117195216A (zh) * 2022-06-01 2023-12-08 华为技术有限公司 车辆校验方法、相关装置及系统
CN115225492A (zh) * 2022-07-06 2022-10-21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升级方法及系统
IL295320A (en) * 2022-08-02 2024-03-01 Red Bend Ltd Collaborative update device
CN115412436A (zh) * 2022-08-30 2022-11-29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车窗开关的升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6088913B (zh) * 2023-04-11 2023-06-13 北京集度科技有限公司 整车升级软件的集成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1643B2 (en) * 2012-09-21 2015-07-14 Silver Sring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updating firmware for nodes in a mesh network
US10470189B2 (en) * 2016-06-27 2019-1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efficient software downloads for vehicles
CN108282389B (zh) * 2017-01-05 2021-10-15 厦门雅迅网络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can总线负载监控的车载ota升级的方法
CN109445810A (zh) * 2018-09-07 2019-03-0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自动驾驶车辆的信息升级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582344A (zh) * 2018-11-27 2019-04-05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增量更新方法、装置、云服务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862107B (zh) * 2019-03-05 2022-09-16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多线程调度指定升级方法、服务端及客户端
CN110971453B (zh) * 2019-11-15 2022-10-1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网络拓扑确定方法、装置、车辆网络拓扑结构及车辆
CN111064803A (zh) * 2019-12-26 2020-04-24 江西江铃集团新能源汽车有限公司 车辆软件升级方法及升级系统
CN111163179A (zh) * 2020-01-15 2020-05-15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终端电控模块软件远程升级的系统及方法
CN111327475A (zh) * 2020-02-20 2020-06-23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嵌入式设备升级的方法及其系统和装置
CN111669428A (zh) * 2020-04-29 2020-09-15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车辆远程升级方法及系统、云服务端
CN111614765B (zh) * 2020-05-22 2022-11-18 爱瑟福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车辆ota升级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40500A (zh) 2021-04-09
CN112640500B (zh) 2022-05-10
CN114938500A (zh) 2022-08-23
JP2023544130A (ja) 2023-10-20
US20230289174A1 (en) 2023-09-14
EP4202645A4 (en) 2023-09-27
WO2022061843A1 (zh) 2022-03-31
EP4202645A1 (en)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67691A (ko) 차량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US11687331B2 (en) Internet-of-things device blank
US20200008044A1 (en) Multi-access edge computing service for mobile user equipment method and apparatus
US11972247B2 (en) Software upgra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220326938A1 (en) Upgrade method and apparatus
US20200021669A1 (en) Internet of things gateways of moving networks
CN111385746B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设备
US20150026312A1 (en) Network service provider selection for vehicle-connected mobile devices
CN104919755A (zh) 提供可配置的通信网络路由
EP420343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multi-access edge computing server
US20210274329A1 (en) V2X Message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CN112702213A (zh) 一种网络功能nf管理方法及nf管理设备
WO2022165711A1 (zh) 基于空中下载技术ota的升级方法及装置
WO2023066166A1 (zh) 一种车载通信方法、装置及系统
WO2024008104A1 (zh) 远程升级方法及系统
CN112368997A (zh) 资源管理方法和装置
JP2023544123A (ja) データ送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インテリジェント車両、及び装置
CN111435947A (zh) 电子消息控制
CN111506356A (zh) 电子消息适配
EP3831038A1 (en) Automated relationship management of service layer entiti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WO2022205200A1 (zh) 一种版本管理方法和装置
WO2024016251A1 (zh) 一种日志上报方法及装置
US11140550B2 (en) Gateway, a CMS, a system and methods therein, for assisting a server with collecting data from a capillary device
JP632707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231638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