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067A - 톱니기어를 통한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톱니기어를 통한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067A
KR20230067067A KR1020210152761A KR20210152761A KR20230067067A KR 20230067067 A KR20230067067 A KR 20230067067A KR 1020210152761 A KR1020210152761 A KR 1020210152761A KR 20210152761 A KR20210152761 A KR 20210152761A KR 20230067067 A KR20230067067 A KR 20230067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astening
hinge piece
pillar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Priority to KR102021015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067A/ko
Publication of KR2023006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에 있어서, 기둥측과 난간측에 각각 내부에 경사진 톱니 기어가 형성된 통공을 가지는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를 구현하고 경사진 톱니 기어를 가지는 플랜지가 구비된 힌지편이 각각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의 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한 후, 두 개의 힌지편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기둥과 난간을 결속시킴으로써 각도 조절이 자유로우며, 힌지편과 체결구간 경사진 톱니 기어의 맞물림을 통한 체결 방식으로인해 기둥과 난간의 연결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보다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톱니기어를 통한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DESIGN-TYPE FENCE FASTENING STRUCTURE FOR EASY ANGLE AND DIRECTION ADJUSTMENT USING TOOTHED GEARS}
본 발명은 디자인형 울타리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둥측과 난간측에 각각 내부에 경사진 톱니 기어가 형성된 통공을 가지는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를 구현하고 경사진 톱니 기어를 가지는 플랜지가 구비된 힌지편이 각각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의 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한 후, 두 개의 힌지편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기둥과 난간을 결속시킴으로써 각도 조절이 자유로우며, 힌지편과 체결구간 경사진 톱니 기어의 맞물림을 통한 체결 방식으로인해 기둥과 난간의 연결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보다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자인형 울타리란 등산로나 산책로, 건축물의 계단이나 옥상 또는 테라스 등에 이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설치하는 펜스를 말하는데, 디자인형 울타리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태로 고정되는 기둥과, 인접한 기둥 사이를 연결하여 울타리 역할을 하는 난간으로 구성되며, 경사진 곳이나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은 지면의 경사 각도에 맞춰 경사지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근래 들어 등산, 트래킹, 둘레길 걷기 등과 같은 야외 활동이 많아지고 사회적으로 친자연환경 붐이 일면서 등산로나 산책로 또는 생태공원 등에 목재(데크)로 만든 계단이나 디자인형 울타리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계단이나 옥상 또는 테라스 등에 설치되는 디자인형 울타리는 일반적으로 철제로 만들어진 것이 많고, 건축물의 계단은 경사가 일정하지만 옥상이나 테라스 등은 바닥이 평평하기 때문에 기둥과 난간을 고정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도 경사용과 수평용으로 구분되어 있고, 같은 경사용도 경사 각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게 만들어져 있다.
한편, 등산로나 생태공원 등과 같은 야외에 설치하는 디자인형 울타리는 경사도 일정하지 않지만 대부분 친환경적 소재인 목재로 만든 것을 설치하기 때문에 기둥과 난간을 용접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가 없어서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수평인 곳에 일직선으로 설치하는 디자인형 울타리는 기둥(1)과 난간(2)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일체형 체결부재(3)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 된다.
하지만, 도 1b와 같이, 경사면에 설치되는 계단의 디자인형 울타리는 난간의 경사가 계단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수직으로 설치된 기둥(1)과 난간(2)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가 각 기둥마다 설치 각도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에 수평면에 일직선으로 설치하는 디자인형 울타리(도 1a)에서 사용한 것과 같이 모두 동일한 체결부재를 사용할 수가 없어서, 경사면에 설치하는 디자인형 울타리는 볼트와 너트(4)를 사용하여 난간(2)을 기둥(1)에 고정 결합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지금까지는 계단의 경사와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곳에 설치되는 디자인형 울타리의 각 기둥과 난간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각도로 그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적절한 체결부재가 없어서 볼트와 너트로 난간을 기둥에 고정 결합시킬 수밖에 없기 때문에 디자인 울타리 설치시 많은 제약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850327호(등록일자 2018년 04월 13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둥측과 난간측에 각각 내부에 경사진 톱니 기어가 형성된 통공을 가지는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를 구현하고 경사진 톱니 기어를 가지는 플랜지가 구비된 힌지편이 각각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의 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한 후, 두 개의 힌지편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기둥과 난간을 결속시킴으로써 각도 조절이 자유로우며, 힌지편과 체결구간 경사진 톱니 기어의 맞물림을 통한 체결 방식으로인해 기둥과 난간의 연결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보다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로서, 중심부분에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판상의 기둥측 체결구와, 일단에 형성된 제1 플랜지부가 상기 기둥측 체결구의 후면에 걸리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에서 돌출된 제1 피벗이 상기 제1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기둥측 체결구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힌지편과, 상기 난간에 고정 결합되고, 판상의 부재로 제작되어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이며, 개구된 면에 대응되는 제2 판상의 중심 부분에 제2 통공이 형성된 난간측 체결구와, 일단에 형성된 제2 플랜지부가 상기 난간측 체결구에 걸리면서 상기 제2 플랜지부에서 돌출된 제2 피벗이 상기 제2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난간측 체결구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공은 제1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에는 제1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되고,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제1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에는 상기 제1 체결 톱니 기어와 체결되는 제2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공은 제2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3 경사면에는 제3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되고, 제2 플랜지부는 상기 제2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4 경사면에는 상기 제3 체결 톱니 기어와 체결되는 제4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측 체결구는, 상기 제1 통공이 형성된 상기 제1 판상 상부측의 제1 면과 상기 제1 판상 하부측의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통공의 지름이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통공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통공이 상기 제1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편이 상기 제2 면상 형성된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관통하여 상기 기둥측 체결구에 삽입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2 면상 일측에는 상기 제1 힌지편이 상기 제1 통공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방지시키기 위한 제1 힌지편 잠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측 체결구는,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된 상기 제2 판상 상부측의 제3 면과 상기 제2 판상 하부측의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통공의 지름이 상기 제3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통공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통공이 상기 제2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편이 상기 제4 면상 형성된 상기 제2 통공을 통해 관통하여 상기 난간측 체결구에 삽입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4 면상 일측에는 상기 제2 힌지편이 상기 제2 통공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방지시키기 위한 제2 힌지편 잠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힌지편 잠금부는, 상기 제2 면상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1 돌출부재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면상 상기 제1 통공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통공 영역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편이 상기 제1 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1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힌지편 잠금부는, 상기 제4 면상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4 면상 상기 제2 통공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통공 영역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편이 상기 제2 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피벗은, 끝단이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 형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의 일측은 절단해서 제거하여 평면 형상으로 형성한 제1 수평부와, 평면 단면이 ∩ 형상인 상기 제1 수평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피벗은, 끝단이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 형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의 일측은 절단해서 제거하여 평면 형상으로 형성한 제2 수평부와, 평면 단면이 ∩ 형상인 상기 제2 수평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 톱니 기어와 상기 제2 체결 톱니 기어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힌지편의 돌출 각도를 조절시킨다.
또한, 상기 제1 피벗과 상기 제2 피벗의 체결 시,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가 서로 맞대도록 정렬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에 체결수단을 관통시켜 상기 제1 피벗과 상기 제2 피벗을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측 체결구와 상기 난간측 체결구 하면에는 각각 기둥 및 난간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고정홀과 제2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에 있어서, 기둥측과 난간측에 각각 내부에 경사진 톱니 기어가 형성된 통공을 가지는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를 구현하고 경사진 톱니 기어를 가지는 플랜지가 구비된 힌지편이 각각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의 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한 후, 두 개의 힌지편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기둥과 난간을 결속시킴으로써 각도 조절이 자유로우며, 힌지편과 체결구간 경사진 톱니 기어의 맞물림을 통한 체결 방식으로인해 기둥과 난간의 연결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보다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 디자인 울타리 기둥과 난간의 체결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기둥측 체결구와 제1 힌지편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난간측 체결구와 제2 힌지편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둥측 체결구와 제1 힌지편 및 난간측 체결구와 제2 힌지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둥측 체결구상 형성된 제1 힌지편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간측 체결구상 형성된 제2 힌지편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둥 없이 난간을 서로 연결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기둥측 체결구와 제1 힌지편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난간측 체결구와 제2 힌지편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둥측 체결구와 제1 힌지편 및 난간측 체결구와 제2 힌지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둥측 체결구상 형성된 제1 힌지편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난간측 체결구상 형성된 제2 힌지편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둥 없이 난간을 서로 연결한 도면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체결부재의 각 구성 요소의 구조와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둥측 체결구(10)는, 판상(板狀)이고, 제1 판상 중심부분에 제1 통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판상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한 제1 고정홀(18)에 볼트를 삽입하여 기둥에 고정 결합된다. 또, 난간측 체결구(20)는 판상(板狀)의 부재로 만들어져서 일면(一面)이 개구(開口)된 육면체 형상이고, 개구된 면에 대응되는 제2 판상 중심부분에 제2 통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육면체 하면에 형성한 제2 고정홀(28)에 볼트를 삽입하여 난간에 고정 결합된다.
제1 힌지편(13)의 단부(端部)에 위치한 제1 플랜지부(14)는 기둥측 체결구(10)의 후면(즉 고정 결합된 후 기둥측)에 위치하고, 돌출 형성된 제1 피벗(pivot, 16)이 제1 통공(11)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기둥측 체결구(10)의 전면(즉 고정 결합된 후 난간측)으로 제1 피벗(16)이 돌출되게 된다.
또한, 제2 힌지편(23)의 단부에 위치한 제2 플랜지부(24)는 난간측 체결구(20)의 후면(즉 고정 결합된 후 난간측)에 위치하고, 돌출 형성된 제2 피벗(26)이 제2 통공(21)을 관통하여 끼워져서, 난간측 체결구(20)의 전면(즉 고정 결합된 후 기둥측)으로 제2 피벗(26)이 돌출되게 된다.
여기서, 제1 통공은(11)은 제1 경사각도(θ1)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에는 제1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된다. 또한, 제1 플랜지부(14)는 제1 통공과 마찬가지로 제1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에는 제1 체결 톱니 기어와 체결되는 제2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된다.
또한, 제2 통공(21)은 제2 경사각도(θ2)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3 경사면에는 제3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되고, 제2 플랜지부(24)는 제2 통공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4 경사면에는 상기 제3 체결 톱니 기어와 체결되는 제4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플랜지부(14)와 제2 플랜지부(24)는 도 2 내지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경사각도 또는 제2 경사각도를 가지는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제1 통공(11)과 제2 통공(21)에는 제1 경사각도 또는 제2 경사각도를 가지는 대응되는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된다. 이때, 제1 플랜지부와 제1 통공을 체결 톱니 기어를 서로 맞물리도록 체결하는 과정에서 톱니 기어가 체결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힌지편(13)과 제2 힌지편(23)이 제1 통공 또는 제2 통공을 통해 돌출되는 각도를 조절시킬 수 있다.
이때, 통공과 플랜지부에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체결 톱니 기어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제1 힌지편 또는 제2 힌지편의 돌출 각도를 조정함에 따라 각도를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된 각도로 돌출된 제1 힌지편과 제2 힌지편이 서로 맞물린 톱니 기어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각도가 조절된 이후에도 보다 안정적으로 조절된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잇다.
제1 힌지편과 제2 힌지편은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4, 24)와, 플랜지부에서 돌출된 피벗(16, 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및 제2 힌지편(13, 23)은, 일단(一端)에 제1 및 제2 플랜지부(14, 24)가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부(14, 24)에서 돌출된 제1 및 제2 피벗(16, 26)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피벗(16, 26)은, 상기 각 플랜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및 제2 통공(11, 21)에 끼워지는 원기둥 형상에서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의 일측을 절단해서 제거하는 것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피벗(16)은 끝단이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 형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의 일측은 절단해서 제거하여 평면 형상으로 형성한 제1 수평부(16b)가 형성될 수 있고, 평면 단면이 ∩ 형상인 상기 제1 수평부의 중심 부분에는 제1 수평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1 체결홀(1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피벗은 끝단이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 형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의 일측은 절단해서 제거하여 평면 형상으로 형성한 제2 수평부(26b)가 형성될 수 있고, 평면 단면이 ∩ 형상인 상기 제2 수평부의 중심 부분에는 제2 수평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피벗과 제2 피벗은 단부가 둥그렇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 피벗과 제2 피벗을 회동시켰을 때 단부가 서로 대응되는 힌지편에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단부를 둥그렇게 만든 원뿔대 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기둥과 난간의 설치 방향을 고려하여 제1 힌지편(13)과 제2 힌지편(23)을 회전시켜 위치를 정해서 고정시킨 다음, 기둥과 난간의 설치 각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 피벗(16, 26)에 형성된 각 수평부끼리 맞대고 각도를 조절한 후 위치가 정해지면, 제1 및 제2 체결홀(17, 27)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관통시키고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물론 각 체결홀의 단부에는 볼트머리나 너트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둥측 체결구(10)는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공이 형성된 상기 제1 판상 상부측의 제1 면(600)과 상기 제1 판상 하부측의 제2 면(6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통공의 지름이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통공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통공이 상기 제1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힌지편이 상기 제2 면상 형성된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관통하여 상기 기둥측 체결구에 삽입되어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2 면상 일측에는 상기 제1 힌지편이 상기 제1 통공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방지시키기 위한 제1 힌지편 잠금부(6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힌지편 잠금부는 제1 돌출부재(654)와 제1 회전부재(65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재는 제2 면상 일측에 설치되어 제1 회전부재가 회전 운동하는 것을 지지한다.
제1 회전 부재(652)는 상기 제1 돌출부재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면상 상기 제1 통공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통공 영역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편이 상기 제1 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 난간측 체결구(20)는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된 상기 제2 판상 상부측의 제3 면(700)과 상기 제2 판상 하부측의 제4 면(7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통공의 지름이 상기 제3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통공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통공이 상기 제2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힌지편이 상기 제4 면상 형성된 상기 제2 통공을 통해 관통하여 상기 난간측 체결구에 삽입되어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4 면상 일측에는 상기 제2 힌지편이 상기 제2 통공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방지시키기 위한 제2 힌지편 잠금부(7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제2 힌지편 잠금부는 제2 돌출부재(754)와 제2 회전부재(75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재는 제4 면상 일측에 설치되어 제2 회전부재가 회전 운동하는 것을 지지한다.
제2 회전부재는 상기 제2 돌출부재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4 면상 상기 제2 통공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통공 영역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편이 상기 제2 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또한, 난간을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연결하여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8 내지 도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기둥 없이 난간에 형성되는 제2 힌지편을 각각 서로 연결하여 수평 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게 하거나 높낮이 다른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게 디자인 울타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 모서리 부분에 기둥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디자인 울타리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설치시간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기둥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디자인 울타리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에 있어서, 기둥측과 난간측에 각각 내부에 경사진 톱니 기어가 형성된 통공을 가지는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를 구현하고 경사진 톱니 기어를 가지는 플랜지가 구비된 힌지편이 각각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의 통공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한 후, 두 개의 힌지편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기둥과 난간을 결속시킴으로써 각도 조절이 자유로우며, 힌지편과 체결구간 경사진 톱니 기어의 맞물림을 통한 체결 방식으로인해 기둥과 난간의 연결 각도 조절이 용이하고 보다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 기둥측 체결구 11 : 제1 통공
13 : 제1 힌지편 14 : 제1 플랜지부
16 : 제1 피벗 20 : 난간측 체결구
21 : 제2 통공 24 : 제2 플랜지부
26 : 제2 피벗

Claims (9)

  1.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로서,
    중심부분에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에 고정 결합되는 제1 판상의 기둥측 체결구와,
    일단에 형성된 제1 플랜지부가 상기 기둥측 체결구의 후면에 걸리면서 상기 제1 플랜지부에서 돌출된 제1 피벗이 상기 제1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기둥측 체결구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힌지편과,
    상기 난간에 고정 결합되고, 판상의 부재로 제작되어 일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이며, 개구된 면에 대응되는 제2 판상의 중심 부분에 제2 통공이 형성된 난간측 체결구와,
    일단에 형성된 제2 플랜지부가 상기 난간측 체결구에 걸리면서 상기 제2 플랜지부에서 돌출된 제2 피벗이 상기 제2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난간측 체결구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힌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공은 제1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에는 제1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되고, 제1 플랜지부는 상기 제1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에는 상기 제1 체결 톱니 기어와 체결되는 제2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통공은 제2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3 경사면에는 제3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되고, 제2 플랜지부는 상기 제2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단이 지게 형성된 제4 경사면에는 상기 제3 체결 톱니 기어와 체결되는 제4 체결 톱니 기어가 형성되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측 체결구는,
    상기 제1 통공이 형성된 상기 제1 판상 상부측의 제1 면과 상기 제1 판상 하부측의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통공의 지름이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상기 제1 통공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통공이 상기 제1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편이 상기 제2 면상 형성된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관통하여 상기 기둥측 체결구에 삽입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2 면상 일측에는 상기 제1 힌지편이 상기 제1 통공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방지시키기 위한 제1 힌지편 잠금부가 형성되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측 체결구는,
    상기 제2 통공이 형성된 상기 제2 판상 상부측의 제3 면과 상기 제2 판상 하부측의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통공의 지름이 상기 제3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통공의 지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통공이 상기 제2 경사각도로 단이 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편이 상기 제4 면상 형성된 상기 제2 통공을 통해 관통하여 상기 난간측 체결구에 삽입되어 돌출되고,
    상기 제4 면상 일측에는 상기 제2 힌지편이 상기 제2 통공에 삽입된 후 이탈되는 방지시키기 위한 제2 힌지편 잠금부가 형성되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편 잠금부는,
    상기 제2 면상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1 돌출부재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면상 상기 제1 통공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통공 영역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제1 힌지편이 상기 제1 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1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편 잠금부는,
    상기 제4 면상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4 면상 상기 제2 통공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통공 영역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제2 힌지편이 상기 제2 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제2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벗은,
    끝단이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 형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의 일측은 절단해서 제거하여 평면 형상으로 형성한 제1 수평부와,
    평면 단면이 ∩ 형상인 상기 제1 수평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체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피벗은,
    끝단이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 형상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의 일측은 절단해서 제거하여 평면 형상으로 형성한 제2 수평부와,
    평면 단면이 ∩ 형상인 상기 제2 수평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체결홀을 포함하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톱니 기어와 상기 제2 체결 톱니 기어의 체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통해 제1 힌지편의 돌출 각도를 조절시키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벗과 상기 제2 피벗의 체결 시, 상기 제1 수평부와 상기 제2 수평부가 서로 맞대도록 정렬되며, 상기 제1 체결홀과 상기 제2 체결홀에 체결수단을 관통시켜 상기 제1 피벗과 상기 제2 피벗을 체결시키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측 체결구와 상기 난간측 체결구 하면에는 각각 기둥 및 난간에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제1 고정홀과 제2 고정홀이 형성되는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KR1020210152761A 2021-11-09 2021-11-09 톱니기어를 통한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KR20230067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61A KR20230067067A (ko) 2021-11-09 2021-11-09 톱니기어를 통한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61A KR20230067067A (ko) 2021-11-09 2021-11-09 톱니기어를 통한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067A true KR20230067067A (ko) 2023-05-16

Family

ID=86546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761A KR20230067067A (ko) 2021-11-09 2021-11-09 톱니기어를 통한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70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349B1 (ko) * 2023-05-26 2023-12-07 위테크 주식회사 무피스 타입으로 시공성이 향상된 멀티 휀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327B1 (ko) 2017-07-31 2018-04-25 휴인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327B1 (ko) 2017-07-31 2018-04-25 휴인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349B1 (ko) * 2023-05-26 2023-12-07 위테크 주식회사 무피스 타입으로 시공성이 향상된 멀티 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261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CA2413295C (en) Railing with pivotally connected pickets
KR101302070B1 (ko)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장치
US4923176A (en) Fence angular connector assembly
US9909337B1 (en) Fencing system
US20110073823A1 (en) Panel and kit for constructing fence
KR102055652B1 (ko)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KR20230067067A (ko) 톱니기어를 통한 각도와 방향 조절이 용이한 디자인형 울타리 체결구조
US11692383B2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KR102016341B1 (ko) 충격저항성과 강도가 강화된 디자인형 울타리
EP3902958A1 (en) Anchor and railing assembly
US10947738B2 (en) Adjustable balustrade system
KR101663738B1 (ko) 계단용 난간
KR100868932B1 (ko) 목재 기둥 설치구조
KR20120033608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JP2013531156A (ja) フェンス用の関節型ブラケット
KR200494417Y1 (ko) 거리 및 각도조절형 비계수평재
KR101219360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KR101099637B1 (ko) 핸드레일 서포트어셈블리
KR102451668B1 (ko) 난간 구조체
KR101932012B1 (ko)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GB2430006A (en) Clamping unit for a stairway
KR102620886B1 (ko) 난간
KR102423773B1 (ko) 하우징을 이용한 난간부재 연결장치
KR102626644B1 (ko) 각도조절 난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