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6007A - 신규한 보조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보조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6007A
KR20230066007A KR1020237009319A KR20237009319A KR20230066007A KR 20230066007 A KR20230066007 A KR 20230066007A KR 1020237009319 A KR1020237009319 A KR 1020237009319A KR 20237009319 A KR20237009319 A KR 20237009319A KR 20230066007 A KR20230066007 A KR 20230066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domain
receptor
car
chimeric anti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리 저우
공 천
시아오옌 지앙
지앙타오 런
시아오홍 허
옌빈 왕
루 한
Original Assignee
바이오헝 테라퓨틱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헝 테라퓨틱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오헝 테라퓨틱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66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6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T-cell receptor (TcR)-CD3 comple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1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cell type used
    • A61K39/4611T-cells, e.g.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 lymphokine-activated killer cells [LAK] or regulatory T cells [Tr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3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recombinant expression
    • A61K39/4631Chimeric Antigen Receptors [C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3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recombinant expression
    • A61K39/4632T-cell receptors [TCR]; antibody T-cell receptor constr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9/464411Immunoglobulin super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46Cellular immunotherapy
    • A61K39/464Cellular immunotherapy characterised by the antigen targeted or presented
    • A61K39/4643Vertebrate antigens
    • A61K39/4644Cancer antigens
    • A61K39/464402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A61K39/464411Immunoglobulin superfamily
    • A61K39/464412CD19 or B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17CD8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03Immunoglobulin superfamily
    • C07K14/70525ICAM molecules, e.g. CD50, CD54, CD10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705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4/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36T lymphocy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8Antigen-pulsed cells, e.g. T-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1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 A61K2239/11Antigen recognition domain
    • A61K2239/13Antibody-ba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1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 A61K2239/21Transmembrane dom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1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e of the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 A61K2239/22Intracellular dom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27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argeting or presenting multiple antigens
    • A61K2239/28Expressing multiple CARs, TCRs or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z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38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9/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 A61K2239/46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cellular immunotherapy of group A61K39/46 characterised by the cancer treated
    • A61K2239/48Blood cells, e.g. leukemia or lympho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2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signal seque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01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 C07K2319/03Fusion polypeptide containing a localisation/targetting motif containing a transmembrane se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3Fusion polypeptide fusions for targeting to specific cell types, e.g. tissue specific targeting, targeting of a bacterial subspec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12N2510/02Cells for pro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40/00Reverse transcribing RNA viruses
    • C12N2740/00011Details
    • C12N2740/10011Retroviridae
    • C12N2740/15011Lentivirus, not HIV, e.g. FIV, SIV
    • C12N2740/15041Use of virus, viral particle or viral elements as a v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제공하며, 여기에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 막횡단 도메인, 보조자극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이 포함되고, 여기에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포함하는 조작된 면역 세포 및 암, 자가면역성 질환, 감염과 같은 질환 치료에서의 용도를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한 보조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본 발명은 면역치료 분야에 속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신규한 보조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러한 유형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포함하는 조작된 면역 세포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암 면역 치료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키메라 항원 수용체 T세포(CAR-T) 관련 면역 치료법이 혈액 종양의 치료에서 우수한 임상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CAR-T 세포 면역 치료법은 T 세포를 체외에서 종양 항원을 인식할 수 있도록 유전적으로 변형시키고, 일정 수량으로 증폭시킨 후 다시 환자 체내에 재주입해 암세포를 사멸시킴으로써 종양 치료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현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4세대의 상이한 CAR 구조가 출현했다. 1세대 CAR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CD3ζ와 같은 1차 신호전달 도메인만 포함하므로, CAR을 운반하는 세포(예를 들어 CAR-T 세포)는 활성이 낮고 생체 내 생존 시간이 짧다. 2세대 CAR은 CD28 또는 4-1BB와 같은 보조자극 도메인을 도입하여, 세포가 지속적으로 증식하고 항종양 활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3세대 CAR은 2개의 보조자극 도메인(예를 들어 CD28+4-1BB)을 포함하고, 4세대 CAR은 사이토카인 또는 보조자극 리간드를 추가하여 T 세포 반응을 더욱 향상시키거나, 자살 유전자를 추가하여 필요 시 CAR-T 세포가 자멸하도록 만든다. 현재 임상 연구에서 대부분 사용하는 것은 여전히 2세대 CAR 구조이다.
그러나, CAR-T 세포치료법은 임상 적용에서 여전히 몇 가지 문제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혈액 종양 치료에서 종양 재발 현상이 많고, 고형 종양 치료에서 반응율이 높지 않은 문제 등이 있다. 이는 복잡한 종양 미세 환경, CAR-T 세포 고갈 등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내에서 CAR-T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종양 미세 환경의 면역 억제 작용에 저항하며, 종양에 대한 CAR-T 세포 요법의 전반적인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의 CART 세포 요법을 개선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하다.
따라서 제1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제공하며, 여기에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 막횡단 도메인, 보조자극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이 포함되고, 여기에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는 2B4, DNAM-1 및 LFA-1로부터 선택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B4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는 CD48, CD112, CD155, ICAM1, ICAM2 또는 ICAM3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D155 및 ICAM-3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에 포함된 보조자극 도메인은 CD155, ICAM3 및 2B4 단백질로부터 선택된 세포내 영역을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CD155 세포내 영역은 SEQ ID NO:2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며; ICAM3 세포내 영역은 SEQ ID NO:2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며; 2B4 세포내 영역은 SEQ ID NO:3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TLR1,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LR10, CARD11, CD2, CD7, CD8,, CD27, CD28, CD30, CD40, CD83, CD134(OX40), CD137(4-1BB), CD270(HVEM), CD272(BTLA), CD276(B7-H3), CD278(ICOS), CD357(GITR), DAP10, DAP12, LAT, NKG2C, SLP76, PD-1, LIGHT, TRIM, CD94, LTB, ZAP70 및 이들의 조합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신호전달 도메인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CD27, CD28, CD134, CD137 또는 CD278의 신호전달 도메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D28 및/또는 CD137의 신호전달 도메인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부분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면역글로불린 분자, Fab, Fab', F(ab')2, Fv 단편, scFv 항체 단편, 중쇄 항체, 선형 항체, sdAb 또는 나노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CD2, CD3, CD4, CD5, CD7, CD8, CD14, CD15, CD46, CD70, TSHR, CD19, CD123, CD22, BAFF-R, CD30, CD171, CS-1, CLL-1, CD33, EGFRvIII, GD2, GD3, BCMA, GPRC5D, Tn Ag, PSMA, ROR1, FLT3, FAP, TAG72, CD38, CD44v6, CEA, EPCAM, B7H3, KIT, IL-13Ra2, 메소텔린, IL-l lRa, PSCA, PRSS21, VEGFR2, LewisY, CD24, PDGFR-β, SSEA-4, CD20, AFP, Folate 수용체 α, ERBB2(Her2/neu), MUC1, EGFR, CS1, CD138, NCAM, Claudin18.2, Prostase, PAP, ELF2M, Ephrin B2, IGF-I 수용체, CAIX, LMP2, gploo, bcr-abl, 티로시나아제, EphA2, Fucosyl GMl, sLe, GM3, TGS5, HMWMAA, o-아세틸-GD2, Folate 수용체 β, TEM1/CD248, TEM7R, CLDN6, GPRC5D, CXORF61, CD97, CD179a, ALK, 폴리시알산, PLAC1, GloboH, NY-BR-1, UPK2, HAVCR1, ADRB3, PANX3, GPR20, LY6K, OR51E2, TARP, WT1, NY-ESO-1, LAGE-la, MAGE-A1, 레구메인, HPV E6, E7, MAGE Al, ETV6-AML, 정자 단백질 17, XAGE1, Tie 2, MAD-CT-1, MAD-CT-2, Fos 관련 항원 1, p53, p53 돌연변이체, 전립선 특이적 단백질, 서비빈과 텔로머라제, PCTA-l/Galectin 8, MelanA/MARTl, Ras 돌연변이체, hTERT, 육종 전좌 중단점, ML-IAP, ERG(TMPRSS2 ETS 융합 유전자), NA17, PAX3, 안드로겐 수용체, Cyclin Bl, MYCN, RhoC, TRP-2, CYP1B 1, BORIS, SART3, PAX5, OY-TES 1, LCK, AKAP-4, SSX2, RAGE-1, 인간 텔로머라제 역전사 효소, RU1, RU2, 장 카르복실에스테라아제, mut hsp70-2, CD79a, CD79b, CD72, LAIR1, FCAR, LILRA2, CD300LF, CLEC12A, BST2, EMR2, LY75, GPC3, FCRL5, IGLL1, PD1, PDL1, PDL2, TGFβ, APRIL, NKG2D, NKG2D 리간드, 및/또는 병원체 특이적 항원, 바이오틴화 분자, HIV, HCV, HBV 및/또는 기타 병원체 발현의 분자; 및/또는 네오에피토프 또는 네오항원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표적과 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CD19, CD20, CD22, CD30, CD33, CD38, CD123, CD138, CD171, MUC1, AFP, Folate 수용체 α, CEA, PSCA, PSMA, Her2, EGFR, IL13Ra2, GD2, NKG2D, EGFRvIII, CS1, BCMA, 메소텔린 및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표적과 결합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막횡단 도메인은 TCRα 사슬, TCRβ 사슬, TCRγ 사슬, TCRδ 사슬, CD3ζ 서브유닛, CD3ε 서브유닛, CD3γ 서브유닛, CD3δ 서브유닛, CD45, CD4, CD5, CD8α, CD9, CD16, CD22, CD33, CD28, CD37, CD64, CD80, CD86, CD134, CD137 및 CD154 단백질의 막횡단 도메인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FcRγ, FcRβ, CD3γ, CD3δ, CD3ε, CD3ζ, CD22, CD79a, CD79b 및 CD66d 단백질의 신호전달 도메인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CD3ζ 신호전달 도메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신규한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핵산 분자 및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더 제공한다.
제2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신규한 키메라 항원 수용체, 핵산 분자 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조작된 면역 세포를 더 제공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조작된 면역 세포 중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사용되는 상응하는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리간드의 발현은 억제 또는 침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는 2B4이고,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는 CD155 또는 ICAM3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조작된 면역 세포는 적어도 하나의 CD52, GR, dCK, TCR/CD3 유전자(예를 들어 TRAC, TRBC, CD3γ, CD3δ, CD3ε, CD3ζ), MHC 관련 유전자(HLA-A, HLA-B, HLA-C, B2M, HLA-DPA, HLA-DQ, HLA-DRA, TAP1, TAP2, LMP2, LMP7, RFX5, RFXAP, RFXANK, CIITA) 및 면역 체크포인트 유전자, 예를 들어 PD1, LAG3, TIM3, CTLA4, PPP2CA, PPP2CB, PTPN6, PTPN22, PDCD1, HAVCR2, BTLA, CD160, TIGIT, CD96, CRTAM, TNFRSF10B, TNFRSF10A, CASP8, CASP10, CASP3, CASP6, CASP7, FADD, FAS, TGFBRII, TGFRBRI, SMAD2, SMAD3, SMAD4, SMAD10, SKI, SKIL, TGIF1, IL10RA, IL10RB, HMOX2, IL6R, IL6ST, EIF2AK4, CSK, PAG1, SIT, FOXP3, PRDM1, BATF, GUCY1A2, GUCY1A3, GUCY1B2 및 GUCY1B3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 또는 침묵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된 면역 세포는 적어도 하나의 TRAC, TRBC, HLA-A, HLA-B, HLA-C, B2M, RFX5, RFXAP, RFXANK, CIITA, PD1, LAG3, TIM3, CTLA4로부터 선택되는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 또는 침묵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조작된 면역 세포는 T 세포, 대식 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NK 세포 또는 NKT 세포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T 세포는 CD4+/CD8+ T 세포, CD4+ 헬퍼 T 세포, CD8+ T 세포, 종양 침윤 세포, 기억 T 세포, 나이브 T 세포, γδ-T 세포 또는 αβ-T 세포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면역 세포는 성체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제대혈줄기세포, 전구세포, 골수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전능줄기세포 또는 조혈줄기세포 등과 같은 줄기세포에서 유래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된 면역 세포, 핵산 분자 또는 벡터,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더 제공한다.
제3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암, 감염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피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는 상기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세포 또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암, 감염 또는 자가면역성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키메라 항원 수용체, 핵산 분자, 벡터, 조작된 면역 세포 또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추가적인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제공하여, CD28 또는 4-1BB와 같은 종래의 보조자극 도메인에 비해, 보다 강한 활성화 능력을 가지며, CAR 세포의 사멸 능력을 향상시킨다. (2) 범용 CAR 세포의 경우, 숙주 NK 세포가 외인성 CAR 세포를 사멸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CAR 세포 중의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침묵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CAR 중에 상응하여 억제 또는 침묵된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시키는 것은 CAR 세포의 사멸 활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과학 및 기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키메라 항원 수용체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키메라 항원 수용체" 또는 "CAR"은 인공적으로 구축된 하이브리드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폴리펩티드는 일반적으로 리간드 결합 도메인(예를 들어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부분), 막횡단 도메인, 보조자극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한다. 각 도메인 사이는 링커에 의해 연결된다. CAR은 항체의 항원 결합 특성을 이용하여 비MHC 제한 방식으로 T 세포 및 기타 면역 세포의 특이성과 반응성을 선택한 표적으로 재지정할 수 있다. 비MHC 제한 항원 인식은 CAR를 발현하는 면역 세포가 항원 처리와 독립적으로 항원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므로, 종양 탈출의 주요 메커니즘은 우회한다.
제1 양상에 있어서, 본 발명은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제공하며, 여기에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 막횡단 도메인, 보조자극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이 포함되고, 여기에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포함한다.
보조자극 도메인은 보조자극 분자로부터의 세포내 기능적 신호전달 도메인이고, 여기에는 상기 보조자극 분자의 전체 세포내 영역 또는 이의 기능적 단편이 포함된다. "보조자극 분자"는 T 세포 상에서 보조자극 리간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함으로써, T 세포의 보조자극 반응(예를 들어, 증식)을 매개하는 동족 결합 배우체를 의미한다. 종래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CD28 또는 4-1BB의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신규한 보조자극 도메인, 즉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신규한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추가하는 것이 CAR 세포의 표적 세포에 대한 사멸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응하는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CAR 세포 내에서의 발현이 억제 또는 침묵되는 경우에 그러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NK 활성화 수용체"는 통상적으로 면역 수용체 티로신 기반의 활성화 모티프(Immunoreceptor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 ITAM)를 갖거나 NK 세포 활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NK 세포 표면 수용체를 의미한다.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 또는 "NK 활성화 리간드"는 NK 활성화 수용체와 결합하는 분자를 의미한다. NK 활성화 수용체의 주요 기능은 NK 세포를 활성화하여 세포 독성 작용을 발휘시켜 사이토카인을 방출하게 하는 것이다. NK 세포는 활성화 수용체와 억제 수용체 사이의 균형을 통해 활성화 상태를 조절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NK 억제 수용체는 신호 전달 균형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여 NK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여 자신의 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MHC-I류 분자 발현이 비정상적인 경우, 예를 들어 인위적으로 억제되거나 녹아웃되면, NK 활성화 수용체가 주도하게 되고, NK 세포는 이러한 유형의 MHC-I 발현이 비정상인 세포를 "비자아"로 인식하여 사멸시키게 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NK 활성화 수용체는 2B4이다. 2B4는 CD244로도 불리는 막 단백질이며, NK 세포, CD8+T 세포, 단핵구 및 과립구 표면에 광범위하게 발현된다. 2B4의 세포외 영역은 하나의 V형 면역글로불린 도메인과 하나의 C2형 면역글로불린 유사 도메인을 갖고, 막횡단 영역은 어떠한 하전된 아미노산도 포함하지 않으며, 세포내 영역은 면역수용체 티로신 전환 모티프(Immunoreceptor tyrosine-based inhibitory switch motif, ITSM)를 포함한다. 해당 모티프는 어댑터 단백질 SAP, EAT-2, DRT 등의 세포질 SH2 영역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2B4 가교는 ITSM 중의 티로신을 인산화하고 어댑터 단백질을 모집하며, 여기에서 2B4와 SAP에 의해 형성된 복합체는 NK 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 2B4는 독립적인 수용체가 아니며, 이는 NK 세포의 보조 활성화 수용체로서, 다른 NCR 수용체와의 공동 작용에 의존하여 개시된다. 2B4의 리간드는 CD48이며, 조혈 세포주 및 일부 B 림프구 상에 고도로 발현된다. 따라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는 CD48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NK 활성화 수용체는 DNAM-1이다. DNAM-1은 CD226으로도 불리며, NK 세포 기능을 개시하는 주요 보조 활성화 수용체이다. DNAM-1은 2개의 면역글로불린 V 유사 도메인의 세포막외 도메인, 1개의 막횡단 도메인, 및 티로신과 세린 잔기에 대한 잠재적인 인산화 부위를 함유하는 세포질 도메인을 함유한다. DNAM-1은 T 세포, NK 세포, NKT 세포, 단핵구, 과립구 및 혈소판을 포함하는 다양한 혈세포 상에 발현된다. DNAM-1은 CD155와 CD112의 공통 수용체이다. CD112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수용체로 인간의 넥틴(nectin) 계열에 속하는 Ca2+ 비의존성 IgSF 부착 분자이며, 이 계열 구성원은 상동 또는 이종 형태를 통해 상호작용하여 세포간 부착을 일으킨다. CD155는 nectin과 구조가 유사하며, 폴리오바이러스 수용체(Polyclonal Antibody to Poliovirus Receptor, PVR)로도 불린다. 따라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는 CD112 및 CD155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NK 활성화 수용체는 LFA-1이다. LFA-1은 2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비공유 결합으로 연결된 것이며, α 소단위(CD11a)와 β 소단위(CD18)이다. LFA-1의 리간드는 면역글로불린 상과 구성원 ICAM1, ICAM2 및 ICAM3을 포함하며, 이들은 세포간 접착 분자이고, 백혈구를 손상 부위의 상피 세포에 접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ICAM1은 림프구, 내피 세포, 단핵구 및 종양 세포와 같은 다양한 세포 상에서 발현될 수 있으며, 사이토카인의 유도에 의해 조절된다. ICAM2는 백혈구, 내피 세포 및 혈소판 상에서 발현될 수 있고, ICAM3은 백혈구 상에서만 발현된다. 이들 둘은 사이토카인의 유도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다. 이 세 가지 리간드는 각각 LFA-1의 α 소단위 내의 상이한 영역과 결합된다. ICAM 분자와 LFA-1 사이의 상호 결합은 세포 독성 T 세포 및 NK 세포 매개의 면역 사멸에 필요한 보조자극 신호를 제공하여 면역 반응을 활성화한다. 연구에 따르면, ICAM1은 결장 직장암 세포에서 NKG2D에 의해 매개되는 NK 세포의 사멸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는 ICAM1, ICAM2 및 ICAM3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2B4, CD48, DNAM-1, CD112, CD155, LFA-1, ICAM1, ICAM2 또는 ICAM3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세포내 영역은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의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B4, CD155 및 ICAM3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2B4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하며, 이는 SEQ ID NO: 3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거나, 이의 암호화 서열은 SEQ ID NO: 32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CD155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하며, 이는 SEQ ID NO: 2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거나, 이의 암호화 서열은 SEQ ID NO: 30으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ICAM3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하며, 이는 SEQ ID NO: 2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거나, 이의 암호화 서열은 SEQ ID NO: 28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기타 공지된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는 NKG2C, NKG2E, NKG2D, NKG2F, NKG2H와 같은 NKG2 계열 단백질 및 이와 결합되는 HLA-E, Qa1b, MICA, MICB, ULBP1, ULBP2, ULBP3, ULBP4, ULBP5, ULBP6, Rae-1, H60, MULT1 등과 같은 리간드; NKp30, NKp44, NKp46 또는 NKp80과 같은 자연 세포 독성 수용체(Natural cytotoxicity receptors, NCR) 계열 및 이와 결합되는 B7-H6, BAG6, PfEMP1, HSPGS, AICL과 같은 리간드; KIR2DS1, KIR2DS2, KIR2DS3, KIR2DS4, KIR2DS5, KIR3DS1 등과 같은 KIR-S 계열 및 이와 결합되는 리간드; CD2와 같은 보조 활성화 수용체 및 이와 결합되는 CD58 및 CD59와 같은 리간드; STAT1, JAK1, IFNGR2, JAK2, IFNGR1 등과 같은 IFNγ 신호 전달 경로와 관련된 분자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보조자극 도메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TLR1,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LR10, CARD11, CD2, CD7, CD8, CD27, CD28, CD30, CD40, CD83, CD134(OX40), CD137(4-1BB), CD270(HVEM), CD272(BTLA), CD276(B7-H3), CD278(ICOS), CD357(GITR), DAP10, DAP12, LAT, NKG2C, SLP76, PD-1, LIGHT, TRIM, CD94, LTB 또는 ZAP70 단백질의 세포내 영역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4-1BB, CD28, CD27, OX40 또는 이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BB, CD28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은 2B4 세포내 영역과 4-1BB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은 CD155 세포내 영역과 4-1BB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은 ICAM3 세포내 영역과 4-1BB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은 2B4 세포내 영역과 CD28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은 CD155 세포내 영역과 CD28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은 ICAM3 세포내 영역과 CD28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포함한다.
보조자극 도메인으로서의 4-1BB와 CD28 세포내 영역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다. 예를 들어, 4-1BB 세포내 영역은 SEQ ID NO: 9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거나, 이의 암호화 서열은 SEQ ID NO: 10으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CD28 세포내 영역은 SEQ ID NO: 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거나, 이의 암호화 서열은 SEQ ID NO: 8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리간드(예를 들어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 또는 기능적 변이체를 의미한다.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항체 구조일 수 있으며, 단일 클론 항체, 다중 클론 항체, 재조합 항체, 인간 항체, 인간화 항체, 뮤린 항체, 키메라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면역글로불린 분자, Fab, Fab', F(ab')2, Fv 단편, scFv, 이황화 결합 Fv(sdFv), 항체의 중쇄 가변 영역(VH) 또는 경쇄 가변 영역(VL), 선형 항체, 중쇄 항체, 단일 도메인 항체(Single domain antibody, sdAb), 나노 항체(Nanobody, Nb), 재조합 피브로넥틴 도메인, anticalin 및 DARPIN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면역글로불린 분자, Fab, Fab', F(ab')2, Fv 단편, scFv, 선형 항체, 중쇄 항체, sdAb 및 나노 항체로부터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Fab, Fab', F(ab')2, scFv, 중쇄 항체, sdAb 및 나노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1가 또는 2가일 수 있고, 단일 특이성, 이중 특이성 또는 다중 특이성 항체일 수 있다. "Fab"는 면역글로불린 분자가 파파인에 의해 절단된 후 생성된 2개의 동일 단편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한다.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된 완전한 경쇄와 중쇄의 N-말단 부분으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중쇄 N-말단 부분은 중쇄 가변 영역과 CH1을 포함한다. 완전한 IgG와 비교하여, Fab는 Fc 단편이 없고, 유동성과 조직 침투 능력이 더 높으며, 항체 효과를 매개하지 않고 항원에 1가로 결합할 수 있다.
"단일쇄 항체" 또는 "scFv"는 중쇄 가변 영역(VH) 및 경쇄 가변 영역(VL)이 링커에 의해 연결된 항체이다. 링커의 최적 길이 및/또는 아미노산 조성이 선택될 수 있다. 링커의 길이는 scFv의 가변 도메인 폴딩 및 상호작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실상 비교적 짧은 링커(예를 들어 5-10개 아미노산 사이)를 사용하면 사슬 내 폴딩을 방지할 수 있다. 링커의 크기 및 조성의 선택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Hollinger et al., 1993Proc Natl Acad. Sci. U.S.A. 90:6444-6448;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5/0100543, 2005/0175606, 2007/0014794; 및 PCT 공개 번호 WO2006/020258 및 WO2007/024715를 참조하며, 이는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었다. scFv는 임의의 순서로 연결된 VH 및 VL, 예를 들어 VH-링커-VL 또는 VL-링커-VH를 포함할 수 있다.
"중쇄 항체"는 경쇄가 자연적으로 결핍된 항체를 지칭하며, 해당 항체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일반적인 CH2와 CH3 영역을 포함하고, 주로 낙타과에 존재한다. 최근 몇 년 동안 연골어류에서 경쇄나 다른 단백질 분자가 수반되지 않는 중쇄 항체와 유사한 항원 수용체(new or nurse shark antigen receptor, NAR)가 발견되었다. NAR 분자는 Ig 아형과 막횡단 및 분비 방식 등에서 기능적 특징이 유사하기 때문에, 면역글로불린 네오항원 수용체(Ig new antigen receptor, IgNAR)로도 불린다.
"단일 도메인 항체" 또는 "sdAb"는 경쇄 항체 가변 영역 또는 중쇄 항체 가변 영역으로만 구성된 유전적으로 조작된 항체를 의미한다. 낙타과에서 발견되는 sdAb는 중쇄 항체 가변 영역만 포함하며, VHH 또는 "나노 항체"로도 불린다. 이는 원래 중쇄 항체에 해당하는 구조적 안정성 및 항원과의 결합 활성을 가지는, 현재 공지된 결합 가능 표적 항원의 최소 단위이다. 기본적인 VHH는 N-말단에서 C-말단까지 FR1-CDR1-FR2-CDR2-FR3-CDR3-FR4의 구조를 가지며, 여기에서 CDR은 상보성 결정 영역을 의미하고, FR은 프레임워크 영역을 의미한다.
"기능적 변이체" 또는 "기능적 단편"이라는 용어는 기본적으로 모체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지만 해당 모체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변형(예를 들어, 치환, 결실 또는 삽입)을 포함하는 변이체를 의미한다. 조건은 상기 변이체가 모체 아미노산 서열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항체의 경우, 그 기능적 단편은 그 항원 결합 부분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보존적 변형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보존적 변형"이라는 용어는 해당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항체 단편의 결합 특성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거나 변경시키지 않는 아미노산 변형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존적 변형에는 아미노산 치환, 추가 및 결실이 포함된다. 변형은 당업계에 공지된 표준 기술, 예를 들어 부위 지정 돌연변이유발 및 PCR-매개 돌연변이유발에 의해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에 도입될 수 있다.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은 아미노산 잔기가 유사한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잔기로 대체되는 것이다. 유사한 측쇄를 갖는 아미노산 잔기의 계열은 당업계에 정의되어 있으며, 염기성 측쇄(예를 들어,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산성 측쇄(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하전되지 않은 극성 측쇄(예를 들어, 글리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세린, 트레오닌, 티로신, 시스테인), 비극성 측쇄(예를 들어,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페닐알라닌, 메티오닌, 트립토판), β-분지형 측쇄(예를 들어, 트레오닌, 발린, 이소류신) 및 방향족 측쇄(예를 들어, 티로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 히스티딘)가 포함된다. 보존적 변형은 예를 들어 극성, 전하, 용해도, 소수성, 친수성 및/또는 관련된 잔기의 양친매성 성질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적 변이체" 또는 "기능적 단편"은 모체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 서열 상동성을 가지며, 모체 아미노산의 생물학적 활성, 예를 들어 결합 활성을 유지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서열 상동성"은 2개의(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이 비교에서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잔기를 갖는 정도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백분율로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동일성은 비교되는 서열의 전체 길이 상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완전히 동일한 서열의 2개 카피는 100% 동일성을 갖는다. 당업자는 일부 알고리즘이 표준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서열 상동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며, 예를 들어 Blast(Altschul 등(1997)Nucleic Acids Res.25: 3389-3402), Blast2(Altschul 등(1990) J.Mol.Biol.215: 403-410), Smith-Waterman(Smith 등(1981) J.Mol.Biol.147: 195-197) 및 ClustalW가 있다.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선택은 종양 특이적 항원 또는 종양 관련 항원과 같은 구체적인 질병 상태와 관련된 표적 세포 상에서 인식되는 세포 표면 마커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CD2, CD3, CD4, CD5, CD7, CD8, CD14, CD15, CD46, CD70, TSHR, CD19, CD123, CD22, CD30, CD171, CS-1, CLL-1, CD33, EGFRvIII, GD2, GD3, BCMA, Tn Ag, PSMA, ROR1, FLT3, FAP, TAG72, CD38, CD44v6, CEA, EPCAM, B7H3, KIT, IL-13Ra2, 메소텔린, IL-l lRa, PSCA, PRSS21, VEGFR2, LewisY, CD24, PDGFR-β, SSEA-4, CD20, Folate 수용체 α, ERBB2(Her2/neu), MUC1, EGFR, NCAM, Prostase, PAP, ELF2M, Ephrin B2, IGF-I 수용체, CAIX, LMP2, gplOO, bcr-abl, 티로시나아제, EphA2, Fucosyl GMl, sLe, GM3, TGS5, HMWMAA, o-아세틸-GD2, Folate 수용체 β, TEM1/CD248, TEM7R, CLDN6, GPRC5D, CXORF61, CD97, CD 179a, ALK, 폴리시알산, PLAC1, GloboH, NY-BR-1, UPK2, HAVCR1, ADRB3, PANX3, GPR20, LY6K, OR51E2, TARP, WT1, NY-ESO-1, LAGE-la, MAGE-A1, 레구메인, HPV E6, E7, MAGE Al, ETV6-AML, 정자 단백질 17, XAGE1, Tie 2, MAD-CT-1, MAD-CT-2, Fos 관련 항원 1, p53, p53 돌연변이체, 전립선 특이적 단백질, 서비빈과 텔로머라제, PCTA-l/Galectin 8, MelanA/MARTl, Ras 돌연변이체, hTERT, 육종 전좌 중단점, ML-IAP, ERG(TMPRSS2 ETS 융합 유전자), NA17, PAX3, 안드로겐 수용체, Cyclin Bl, MYCN, RhoC, TRP-2, CYP1B 1, BORIS, SART3, PAX5, OY-TES 1, LCK, AKAP-4, SSX2, RAGE-1, 인간 텔로머라제 역전사 효소, RU1, RU2, 장 카르복실에스테라아제, mut hsp70-2, CD79a, CD79b, CD72, LAIR1, FCAR, LILRA2, CD300LF, CLEC12A, BST2, EMR2, LY75, GPC3, FCRL5, IGLL1, PD1, PDL1, PDL2, TGFβ, APRIL, Claudin18.2, NKG2D, NKG2D 리간드, 및/또는 병원체 특이적 항원, 바이오틴화 분자, HIV, HCV, HBV 및/또는 기타 병원체에 의해 발현되는 분자; 및/또는 네오에피토프 또는 네오항원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표적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적은 CD7, CD19, CD20, CD22, BAFF-R, CD33, EGFRvIII, BCMA, GPRC5D, PSMA, ROR1, FAP, ERBB2(Her2/neu), MUC1, EGFR, CAIX, WT1, NY-ESO-1, CD79a, CD79b, GPC3, Claudin18.2, NKG2D 및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표적화할 항원에 따라, 본 발명의 CAR은 해당 항원에 특이적인 리간드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D19가 표적화할 항원인 경우 CD19 항체는 본 발명의 리간드 결합 도메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CD19를 표적화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항-CD19 항체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i) 각각 SEQ ID NO: 33, 34 및 35로 표시되는 CDR-L1, CDR-L2 및 CDR-L3, 및 SEQ ID NO: 36, 37 및 38로 표시되는 CDR-H1, CDR-H2 및 CDR-H3; 또는 (ii) 각각 SEQ ID NO: 39, 40 및 41로 표시되는 CDR-L1, CDR-L2 및 CDR-L3, 및 SEQ ID NO: 42, 43 및 44로 표시되는 CDR-H1, CDR-H2 및 CDR-H3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CD19 항체는 SEQ ID NO: 1의 1 내지 107번째 또는 SEQ ID NO: 25의 1 내지 107번째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경쇄 가변 영역 서열 및 SEQ ID NO: 1의 123 내지 242번째 또는 SEQ ID NO: 25의 123 내지 238번째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중쇄 가변 영역 서열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막횡단 도메인"은 면역 세포(예를 들어, 림프구, NK 세포 또는 NKT 세포)의 표면에서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시킬 수 있고, 표적 세포에 대한 면역 세포의 세포 반응을 안내할 수 있는 폴리펩티드 구조를 의미한다. 막횡단 도메인은 천연 또는 합성일 수 있으며, 임의 막결합 또는 막횡단 단백질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키메라 항원 수용체와 표적 항원이 결합하면, 막횡단 도메인은 신호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막횡단 도메인은 예를 들어 TCRα 사슬, TCRβ 사슬, TCRγ 사슬, TCRδ 사슬, CD3ζ 서브유닛, CD3ε 서브유닛, CD3γ 서브유닛, CD3δ 서브유닛, CD45, CD4, CD5, CD8α, CD9, CD16, CD22, CD33, CD28, CD37, CD64, CD80, CD86, CD134, CD137, CD154 및 이의 기능적 단편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또는 막횡단 도메인은 합성된 것일 수 있으며, 주로 류신과 발린 같은 소수성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막횡단 도메인은 CD8α 사슬 또는 CD28로부터 유래된다. 이는 SEQ ID NO: 3 또는 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 서열 상동성을 갖거나, 이의 암호화 서열은 SEQ ID NO: 4 또는 6으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과 막횡단 도메인 사이에 위치한 힌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힌지 영역"은 일반적으로 막횡단 도메인을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연결하도록 작용하는 임의의 올리고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힌지 영역은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더 큰 유연성과 접근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힌지 영역은 최대 300개의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개의 아미노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영역은 CD8, CD4 또는 CD28의 세포외 영역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항체 불변 영역으로부터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와 같이 천연 분자로부터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유래될 수 있다. 또는 힌지 영역은 자연 발생 힌지 서열에 대응하는 합성 서열이거나, 완전히 합성된 힌지 서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힌지 영역은 CD8α 사슬, FcγRIIIα 수용체, CD28, IgG4 또는 IgG1의 힌지 영역 부분을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D8α, CD28 또는 IgG4로부터의 힌지이며, 이는 SEQ ID NO: 19, 21 또는 2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거나, 이의 암호화 서열은 SEQ ID NO: 20, 22 또는 24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효과기 기능 신호를 전달하고 세포가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단백질의 일부를 의미하며, 1차 신호전달 도메인으로도 불린다.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리간드 결합 도메인에 의한 항원의 결합 후 세포내 신호전달을 담당하여 면역 세포 및 면역 반응의 활성화를 유발한다. 다시 말해,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CAR이 발현되는 면역 세포의 정상적인 이펙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T 세포의 이펙터 기능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포함하여 세포용해 활성 또는 헬퍼 활성일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에 포함된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T 세포 수용체 및 보조 수용체의 세포질 서열일 수 있으며, 이는 항원 수용체 결합 후 함께 작용하여 신호전달뿐만 아니라, 이러한 서열의 모든 파생물 또는 변이체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모든 합성 서열을 개시한다.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많은 면역수용체 티로신 기반 활성화 모티프(Immunoreceptor Tyrosine-based Activation Motifs, ITAM)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의 비제한적 예시에는 FcRγ, FcRβ, CD3γ, CD3δ, CD3ε, CD3ζ, CD22, CD79a, CD79b 및 CD66d 등의 세포내 영역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의 신호전달 도메인은 CD3ζ 세포내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SEQ ID NO: 11 또는 1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거나, 이의 암호화 서열은 SEQ ID NO: 12 또는 14로 표시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보조자극 도메인과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임의 순서로 조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자극 도메인은 막 근위부에 위치하고,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막 원위부에 위치하거나, 자극 도메인은 막 원위부에 위치하고,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막 근위부에 위치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보조자극 도메인이 포함되는 경우, 보조자극 도메인은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은 T 세포와 같은 세포에서 발현될 때 신생 단백질이 소포체에 이어서 세포 표면에 지시되도록 신호 펩티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펩티드의 코어는 단일 α-나선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는 긴 길이의 소수성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펩티드의 말단에는 통상적으로 신호 펩티다제에 의해 인식되고 절단되는 아미노산 영역이 있다. 신호 펩티다제는 전좌 동안 또는 완료 후 절단되어 유리 신호 펩티드 및 성숙 단백질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유리 신호 펩티드는 특정 프로테아제에 의해 소화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신호 펩티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CD8α, IgG1, GM-CSFRα, B2M 등에서 유래된 신호 펩티드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펩티드는 SEQ ID NO: 15 또는 1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동일성을 갖거나, 해당 신호 펩티드의 코딩 서열은 SEQ ID NO: 16 또는 18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95%, 97%, 99% 또는 100%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은 CAR의 발현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구조는 이합체화 도메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상응하는 리간드에 결합할 때 구조적 변화를 유발하고 세포외 결합 도메인을 노출시켜 표적 항원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한다. 또는 스위치 도메인을 사용하여 결합 도메인과 신호 도메인을 각각 연결할 수 있으며, 스위치 도메인이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만(예를 들어 유도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결합 도메인 및 신호 도메인이 이량체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신호 경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스위치 구조는 마스킹 펩티드 형태일 수도 있다. 마스킹 펩티드는 세포외 결합 도메인을 마스킹하여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킹 펩티드가 예를 들어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되면, 세포외 결합 도메인이 노출되어 하나의 "일반적인" CAR 구조가 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스위치 구성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CAR은 자살 유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외인성 물질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세포사 신호를 발현시켜 필요할 때(예를 들어, 심각한 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때) CAR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살 유전자는 CD20 에피토프, RQR8 등과 같은 삽입된 에피토프 형태일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이러한 에피토프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 또는 시약을 추가하여 CAR 세포를 제거할 수 있다. 자살 유전자는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 티미딘 키나아제(HSV-TK)일 수 있으며, 해당 유전자는 간시클로버 치료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을 유발한다. 자살 유전자는 iCaspase-9일 수도 있으며, iCaspase-9의 이량체화는 AP1903 및 AP20187과 같은 화학적 유도 약물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운스트림 Caspase3 분자를 활성화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자살 유전자는 모두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핵산과 벡터
본 발명은 핵산 분자를 더 제공하며, 여기에는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더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핵산 분자"는 리보뉴클레오티드 및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의 서열을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변형되거나 변형되지 않은 RNA 또는 DNA, 각각 단일 가닥 및/또는 이중 가닥 형태의 선형 또는 원형, 또는 이들의 혼합물(하이브리드 분자 포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핵산은 DNA(dsDNA, ssDNA, cDNA와 같은), RNA(dsRNA, ssRNA, mRNA, ivtRNA와 같은), 이들의 조합 또는 유도체(PNA와 같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핵산은 DNA 또는 RNA, 더욱 바람직하게는 mRNA이다.
핵산은 일반적인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 또는 일반적이지 않은 결합(펩티드 핵산(PNA)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아미드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산은 하나 이상의 변형된 염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리틸화된 염기 및 일반적이지 않은 염기(예를 들어 이노신)가 있다. 본 발명의 다중 사슬 CAR이 폴리뉴클레오티드로부터 발현될 수 있는 한, 화학적, 효소적 또는 대사적 변형을 포함하는 다른 변형이 고려될 수도 있다. 핵산은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핵산은 조절 서열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전사 제어 요소(프로모터, 인핸서, 오퍼레이터, 리프레서 및 전사 종결 신호 포함), 리보솜 결합 부위, 인트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핵산 서열은 코돈 최적화를 수행하여 필요한 숙주 세포(예를 들어, 면역 세포)에서 최적의 발현을 수행하거나, 박테리아, 효모 또는 곤충 세포에서의 발현에 사용할 수 있다. 코돈 최적화는 표적 서열에 존재하는 주어진 물종의 고도로 발현된 유전자 중 일반적으로 드문 코돈을 그러한 물종의 고도로 발현된 유전자 중 일반적인 코돈으로 치환하는 것을 말하며, 치환 전후의 코돈은 동일한 아미노산을 암호화한다. 따라서 최적 코돈의 선택은 숙주 게놈의 코돈 사용 편향에 따라 달라진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벡터"는 (외인성) 유전 물질을 숙주 세포로 전달하기 위한 비히클로 사용되는 핵산 분자이며, 상기 핵산 분자는 예를 들어 숙주 세포에서 복제 및/또는 발현될 수 있다.
벡터는 일반적으로 표적화 벡터 및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표적화 벡터"는 분리된 핵산을 예를 들어, 특정 표적화 부위의 서열을 사용하여 상동 재조합 또는 하이브리드 재조합효소에 의해 세포 내부로 전달하는 매체이다. "발현 벡터"는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것과 같은 이종 핵산 서열의 전사 및 적합한 숙주 세포에서의 이들의 mRNA 번역에 사용되는 벡터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다수가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벡터는 플라스미드, 바이러스(예를 들어 레트로바이러스, 렌티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백시니아바이러스, 라우스육종바이러스(RSV), 폴리오마바이러스 및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AAV) 등), 파지, 파지미드, 코스미드 및 인공 염색체(BAC 및 YAC 포함)를 포함한다. 벡터 자체는 통상적으로 뉴클레오티드 서열이며, 통상적으로 삽입물(트랜스진)을 포함하는 DNA 서열과 벡터의 "백본" 역할을 하는 비교적 큰 서열이다. 조작된 벡터는 통상적으로 숙주 세포의 자율 복제 기점(폴리뉴클레오티드의 안정적인 발현이 필요한 경우), 선별 마커 및 제한 효소 절단 부위(예를 들어 다중 클론 부위, MCS 등)도 포함한다. 벡터는 프로모터, 폴리A 꼬리(polyA), 3' UTR, 인핸서, 터미네이터, 인슐레이터, 오퍼레이터, 선별 마커, 리포터 유전자, 표적화 서열 및/또는 단백질 정제 태그 등 요소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벡터는 체외 전사된 벡터이다.
조작된 면역 세포
본 발명은 조작된 면역 세포를 제공하며, 여기에는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 핵산 분자 또는 벡터가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면역 세포"는 하나 이상의 이펙터 기능(예를 들어, 세포독성 세포 사멸 활성, 사이토카인 분비, ADCC 및/또는 CDC 유도)을 갖는 면역계의 임의의 세포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면역 세포는 T 세포, 대식 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NK 세포 및/또는 NKT 세포일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면역 세포는 성체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제대혈줄기세포, 전구세포, 골수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전능줄기세포 또는 조혈줄기세포 등과 같은 줄기세포에서 유래한다. 바람직하게는, 면역 세포는 T 세포이다. T 세포는 1차 T 세포와 같이 체외 배양된 T 세포, 또는 Jurkat, SupT1 등과 같이 체외 배양된 T 세포주의 T 세포, 또는 피험자로부터 획득한 T 세포와 같은 임의의 T 세포일 수 있다. 피험자의 예시에는 인간, 개, 고양이, 마우스, 래트 및 이들의 트랜스진 물종을 포함한다. T 세포는 말초혈액 단핵 세포, 골수, 림프절 조직, 제대혈, 흉선 조직, 감염 부위로부터의 조직, 복수, 흉막 삼출액, 비장 조직 및 종양을 비롯한 다양한 출처에서 얻을 수 있다. T 세포는 농축되거나 정제될 수도 있다. T 세포는 임의 발육 단계에 있는 CD4+CD8+ T 세포, CD4+ 헬퍼 T 세포(예를 들어, Th1 및 Th2 세포), CD8+ T 세포(예를 들어, 세포독성 T 세포), CD4-CD8-T 세포, 종양 침윤 세포, 기억 T 세포, 나이브 T 세포, γδ-T 세포, αβ-T 세포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면역 세포는 인간 T 세포이다. Ficoll 분리와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혈액으로부터 T 세포를 얻을 수 있다.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예를 들어, 형질도입, 형질감염, 형질전환 등)을 채택하여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 및 임의 선택된 외인성 유전자를 면역 세포에 도입할 수 있다. "형질감염"은 핵산 분자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벡터 포함)를 표적 세포에 도입하는 과정이다. 한 가지 예시는 RNA 형질감염, 즉 RNA(예를 들어 체외 전사된 RNA, ivtRNA)를 숙주 세포에 도입하는 과정이다. 해당 용어는 주로 진핵 세포의 비바이러스 방법에 사용된다. "형질도입"이라는 용어는 통상적으로 바이러스 매개의 핵산 분자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전달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동물 세포의 형질감염은 통상적으로 세포막에 일시적인 기공 또는 "구멍"을 열어 물질 섭취를 허용하는 것이다. 인산칼슘 사용, 전기천공법, 세포 압출 또는 양이온성 지질을 물질과 혼합하여 세포막과 융합하고 이들의 운반물을 내부의 리포좀에 침착시켜 형질감염을 수행할 수 있다. 진핵 숙주 세포를 형질감염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기술에는 지질 소포-매개 섭취, 열 충격-매개 섭취, 인산칼슘-매개 형질감염(인산칼슘/DNA 공침전), 미세주입 및 전기천공법이 포함된다. 용어 "형질전환"은 핵산 분자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벡터 포함)의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비동물 진핵 세포(식물 세포 포함)로의 비-바이러스 전달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형질전환은 박테리아 또는 비동물성 진핵 세포의 유전적 변형이며, 이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세포막에 의한 직접적인 섭취와 외인성 유전 물질(핵산 분자)의 후속 통합에 의해 생성된다. 형질전환은 수동 수단으로 수행할 수 있다. 형질전환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세포나 박테리아가 수용능 상태에 있어야 한다. 원핵 형질전환의 경우, 기술에는 열충격 매개 섭취, 완전한 세포와 세균 원형질체의 융합, 미세주입 및 전기천공법이 포함될 수 있다. 핵산 또는 벡터가 면역 세포에 도입된 후, 당업자는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 수득된 면역 세포를 증폭 및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조작된 면역 세포 중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사용되는 상응하는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리간드의 발현은 억제 또는 침묵된다. 범용 CAR 세포를 제조하여 이식편대숙주병의 위험을 줄일 때, 통상적으로 HLA, B2M, CIITA, RFX5 등과 같은 CAR 세포 중의 내인성 MHC 관련 유전자를 녹아웃하여, CAR 세포가 수용체의 T 세포로부터 공격 받지 않도록 하여, CAR 세포의 생존과 치료 효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NK 억제 수용체, 예를 들어 NKG2A는 MHC 관련 유전자에도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은 정상적인 경우 NK 세포 중의 억제 신호가 주도하여 세포를 "자아"로 인식하고 공격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CAR 세포 중의 내인성 MHC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거나 침묵되면, 환자 체내 NK 세포의 억제 신호가 해제되고 활성화 신호가 주도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CAR 세포가 환자 체내 NK 세포를 "비자아"로 인식하여 사멸시키게 된다. 이 경우, NK 세포의 활성화 신호를 감소시키고 생체 내에서 NK 세포에 의한 외인성 CAR 세포의 사멸을 줄이기 위해, CAR 세포 중의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침묵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여기에서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발현이 억제되거나 침묵되는 CAR 세포에서, 상응하는 억제되거나 침묵된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를 포함하는 세포내 영역이 보조자극 도메인으로서 CAR 세포의 사멸 활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NK 활성화 리간드의 발현이 억제되거나 침묵되는 CAR 세포에서, 상응하는 억제되거나 침묵된 NK 활성화 리간드 또는 이의 수용체의 세포내 영역이 보조자극 도메인으로서 CAR 세포의 사멸 활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작된 면역 세포의 내인성 NK 활성화 리간드 CD155의 발현은 억제되거나 침묵되며, 그 발현된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CD155 세포내 영역 또는 CD155 수용체(예를 들어 DNAM-1)를 포함하는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사용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작된 면역 세포의 내인성 NK 활성화 리간드 ICAM3의 발현은 억제되거나 침묵되며, 그 발현된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ICAM3 세포내 영역 또는 ICAM3의 수용체(예를 들어 LFA-1)를 포함하는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사용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작된 면역 세포의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 2B4의 발현은 억제되거나 침묵되며, 그 발현된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2B4 세포내 영역 또는 2B4의 리간드(예를 들어 CD48)를 포함하는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자는 NK 활성화 리간드 또는 이의 수용체의 발현을 개별적으로 억제하거나 침묵시키면 생체 내에서 조작된 면역 세포(예를 들어 CAR-T 세포)의 증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그 지속성을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종양 세포에 대한 지속적인 사멸 효과를 향상시켜 생체 내의 종양 억제 효과를 개선할 수 있음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였다.
따라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은 조작된 면역 세포를 더 제공하며, 여기에서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발현이 억제 또는 침묵되고, 여기에서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는 2B4, DNAM-1 및 LFA-1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는 CD48, CD112, CD155, ICAM1, ICAM2 및 ICAM3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CD48 또는 ICAM3의 발현이 억제되거나 침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여기에서 NK 활성화 리간드 또는 이의 수용체의 발현이 억제되거나 침묵되는 조작된 면역 세포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또는 재조합 T 세포 수용체를 더 발현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에서 NK 활성화 리간드 또는 이의 수용체의 발현이 억제되거나 침묵되는 조작된 면역 세포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더 발현하고,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 막횡단 도메인, 보조자극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CD27, CD28, CD134, CD137 또는 CD278의 신호전달 도메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NK 활성화 리간드 또는 이의 수용체의 발현이 억제되거나 침묵되는 조작된 면역 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이식편대숙주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상기 조작된 면역 세포는 적어도 하나의 CD52, GR, dCK, TCR/CD3 유전자(예를 들어 TRAC, TRBC, CD3γ, CD3δ, CD3ε, CD3ζ), MHC 관련 유전자(HLA-A, HLA-B, HLA-C, B2M, HLA-DPA, HLA-DQ, HLA-DRA, TAP1, TAP2, LMP2, LMP7, RFX5, RFXAP, RFXANK, CIITA) 및 면역 체크포인트 유전자, 예를 들어 PD1, LAG3, TIM3, CTLA4, PPP2CA, PPP2CB, PTPN6, PTPN22, PDCD1, HAVCR2, BTLA, CD160, TIGIT, CD96, CRTAM, TNFRSF10B, TNFRSF10A, CASP8, CASP10, CASP3, CASP6, CASP7, FADD, FAS, TGFBRII, TGFRBRI, SMAD2, SMAD3, SMAD4, SMAD10, SKI, SKIL, TGIF1, IL10RA, IL10RB, HMOX2, IL6R, IL6ST, EIF2AK4, CSK, PAG1, SIT, FOXP3, PRDM1, BATF, GUCY1A2, GUCY1A3, GUCY1B2 및 GUCY1B3으로부터 선택되는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 또는 침묵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된 면역 세포는 적어도 하나의 TRAC, TRBC, HLA-A, HLA-B, HLA-C, B2M, RFX5, RFXAP, RFXANK, CIITA, PD1, LAG3, TIM3, CTLA4로부터 선택되는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거나 침묵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TRAC, TRBC, HLA-A, HLA-B, HLA-C, B2M, RFX5, RFXAP, RFXANK, CIITA이다.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거나 유전자를 침묵시키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안티센스 RNA, RNA 디코이, RNA 앱타머, siRNA, shRNA/miRNA, 트랜스-우성-음성 단백질(TNP), 키메라/융합 단백질, 케모카인 리간드, 항감염성 세포 단백질, 세포내 항체(sFv), 뉴클레오시드 유사체(NRTI), 비-뉴클레오시드 유사체(NNRTI), 인테그라제 억제제(올리고뉴클레오티드, 디뉴클레오티드 및 화학제)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 또한 예를 들어 메가뉴클레아제, 징크 핑거 뉴클레아제, TALE 뉴클레아제 또는 CRISPR 시스템 중의 Cas 효소에 의해 매개된 DNA 단편화를 통해 유전자를 침묵시킬 수도 있다.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활성제로 본 발명에 따른 키메라 항원 수용체, 핵산 분자, 벡터 또는 조작된 면역 세포,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더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피험자 및 활성 성분과 약리학적 및/또는 생리학적으로 적합(즉, 원하지 않는 국소적 또는 전신적 효과를 일으키지 않고 원하는 치료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음)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의미하며, 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Edited by Gennaro AR,19th ed.Pennsylvania:Mack Publishing Company,1995 참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의 예시에는 충전제, 결합제, 붕해제, 코팅제, 흡착제, 접착방지제, 유동보조제, 산화방지제, 향미제, 착색제, 감미제, 용매, 공용매, 완충제, 킬레이트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습윤제, 방부제, 유화제, 코팅제, 등장화제, 흡수 지연제, 안정화제 및 장력 조절제가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부형제의 선택은 본 발명의 원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부형제는 식염수,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및 물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적합한 부형제의 선택은 특히 사용되는 활성제, 치료할 질병 및 약학 조성물의 원하는 제형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투여 경로에 적합하다. 통상적으로, 투여는 비경구적으로 수행된다. 비경구 전달 방법은 국소, 동맥내, 근육내, 피하, 골수내, 척수강내, 심실내, 정맥내, 복강내, 자궁내, 질내, 설하 또는 비강내 투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 예컨대 고체, 액체, 기체 또는 동결건조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특히 연고, 크림, 경피 패치, 겔, 분말, 정제, 용액, 기체 에어로졸 형태, 과립, 환제, 현탁액, 에멀젼, 캡슐, 시럽, 엘릭시르, 추출물, 팅크 또는 액체 추출물의 형태, 또는 원하는 투여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약제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공지된 공정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혼합, 용해, 과립화, 당의정 제조, 밀링, 유화, 캡슐화, 포매 또는 동결건조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것과 같은 면역 세포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용액 형태로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완충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치료될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다른 약제와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조합에 적합한 약제의 바람직한 예시에는 시스플라틴, 메이탄신 유도체, 라첼마이신(rachelmycin), 칼리케아미신(calicheamicin), 도세탁셀, 에토포사이드, 겜시타빈, 이포스파미드, 이리노테칸, 멜팔란, 미톡산트론, 소르피머 나트륨 포르피린 II(sorfimer sodiumphotofrin II), 테모졸로미드, 토포테칸, 트리메트레이트 글루쿠로네이트(trimetreate glucuronate), 아우리스타틴 E(auristatin E), 빈크리스틴 및 독소루비신과 같은 항암 약물; 리신, 디프테리아 독소, 슈도모나스 박테리아 외독소 A, DNase 및 RNase와 같은 펩티드 세포 독소; 요오드 131, 레늄 186, 인듐 111, 이리듐 90, 비스무트 210 및 213, 악티늄 225 및 아스타틴 213과 같은 방사성 핵종; 항체-지정 효소 전구 약물 등의 전구 약물; 혈소판 인자 4, 흑색종 성장 촉진 단백질 등과 같은 면역자극제; 항-CD3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보체 활성제, 이종 단백질 도메인, 동종 단백질 도메인, 바이러스/박테리아 단백질 도메인 및 바이러스/박테리아 펩티드와 같은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화학 요법, 방사선 요법과 같이 다른 하나 이상의 치료 방법과 조합 사용될 수 있다.
치료 응용
본 발명은 암, 감염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앓고 있는 피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에는 상기 피험자에게 유효량의 본 발명에 따른 면역 세포 또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암, 감염 또는 자가면역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서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 핵산 분자, 벡터, 조작된 면역 세포 및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유효량의 본 발명의 면역 세포 및/또는 약학 조성물은 피험자에게 직접 투여된다.
다른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생체외 치료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a) 면역 세포가 포함된 샘플을 제공하는 단계; (b) 생체 외에서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외인성 유전자(존재한다면)를 상기 면역 세포에 도입하고, 상기 면역 세포 중 특정 유전자의 발현(필요하다면)을 선택적으로 억제하거나 침묵시켜, 변형된 면역 세포를 획득하는 단계; 및 (c) 이를 필요로 하는 피험자에게 상기 변형된 면역 세포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a)에서 제공되는 면역 세포는 대식 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T 세포, NK 세포 및/또는 NKT 세포에서 선택되며, 상기 면역 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피험자의 샘플(특히 혈액 샘플)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발현할 수 있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원하는 생물학적 이펙터로서 기능할 수 있는 다른 면역 세포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선택된 면역 세포는 피험자의 면역계에 적합하다. 즉, 바람직하게는 상기 면역 세포는 면역원성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범용 수용체 세포", 즉 원하는 생물학적 이펙터로서 기능하는 보편적으로 적합하며 체외 성장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림프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세포를 사용하면 피험자 자신의 림프구를 획득 및/또는 제공할 필요가 없다. 단계 (c)의 생체외 도입은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핵산 또는 벡터를 전기천공을 통해 면역 세포에 도입하거나 면역 세포를 바이러스 벡터로 감염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바이러스 벡터는 전술한 렌티바이러스 벡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 벡터 또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이다. 생각할 수 있는 다른 방법에는 형질감염 시약(예를 들어, 리포솜) 또는 일시적 RNA 형질감염의 사용이 포함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자가 또는 동종이계 세포이며, 바람직하게는 T 세포, 대식 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NK 세포 및/또는 NKT 세포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 세포, NK 세포 또는 NKT 세포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자가"는 개체에서 유래한 임의 물질이 나중에 동일한 해당 개체에 재도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동종이계"는 임의 물질이 해당 물질이 도입된 개체와 동일한 물종의 상이한 동물 또는 상이한 환자로부터 유래된 것을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유전자좌의 유전자가 다를 때, 둘 이상의 개체가 서로 동종이계로 간주된다. 어떤 경우에는 동일한 물종에서 유래한 각 개체의 동종이계 물질이 유전자 상에서 항원 상호작용이 발생할 만큼 충분히 다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험자"는 포유동물이다. 포유동물은 인간, 인간이 아닌 영장류, 생쥐, 쥐, 개, 고양이, 말 또는 소일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인간 이외의 포유동물은 암 동물 모델을 대표하는 피험자로 사용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험자는 인간이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암은 뇌신경아교종, 모세포종, 육종, 기저세포암종, 담도암, 방광암, 골암, 뇌 및 CNS암, 유방암, 복막암, 자궁경부암, 융모막암종, 결장 및 직장암, 결합조직암, 소화기암, 자궁내막암, 식도암, 눈암, 두경부암, 위암(위장암 포함), 교모세포종(GBM), 간암, 간세포암, 상피내종양, 신장암, 후두암, 간종양, 폐암(예를 들어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아데노이드 폐암 및 편평 폐암), 흑색종, 골수종, 신경모세포종, 구강암(예를 들어 입술, 혀, 입과 목), 난소암, 췌장암, 전립선암, 중피종, 망막모세포종, 횡문근육종, 직장암, 호흡기암, 타액선암, 피부암, 편평세포암, 위암, 고환암, 갑상선암, 자궁암 또는 자궁내막암, 비뇨기의 악성 종양, 외음부암, Waldenstrom 마크로글로불린혈증, 림프종(호지킨 림프종 및 비호지킨 림프종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B세포 림프종(저등급/여포성 비호지킨 림프종(NHL), 소림프구성(SL) NHL, 중간 등급/여포성 NHL, 중간 등급 미만성 NHL, 고급 면역모세포성 NHL, 고급 림프모구성 NHL, 고급 소형 비균열 세포성 NHL, 대형 종양 질환 NHL 포함), 맨틀 세포 림프종, AIDS 관련 림프종, 버킷 림프종,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여포성 림프종, MALT 림프종, 변연부 림프종, 형질모세포 림프종, 형질세포 유사 수지상세포종양 등), 백혈병(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 예를 들어 급성 골수성 백혈병(미분화형 및 부분 분화형 포함),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급성 골수단핵구 백혈병, 급성 단핵구 백혈병, 적백혈병, 급성 거핵모구성 백혈병과 같은 급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단핵구 백혈병과 같은 만성 백혈병; 털상세포백혈병, 전림프구성 백혈병, 형질세포 백혈병, 성인T세포 백혈병, 호산구성 백혈병, 호염기성 백혈병 등과 같은 기타 특수한 유형의 백혈병 포함), 모세포형질세포 유사 수지상 세포 종양, 악성 림프증식성 질환, 골수 발육 이상, 다발성 골수종, 골수 증식 이상, 및 이식 후 림프증식성 장애(PTLD)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작된 면역 세포 또는 약학 조성물을 사용해 치료할 수 있는 질병은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뇌신경아교종, 췌장암, 위암 등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감염에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및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 질환에는 제1형 당뇨병, 체강 질병, 그레이브스병, 염증성 장 질환, 다발성 경화증,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애디슨병, 쇼그렌 증후군, 하시모토 갑상선염, 중증 근무력증, 혈관 염증, 악성 빈혈 및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도면 및 실시예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모순되지 않는 경우, 본원의 실시예와 실시예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bbzi3-CAR T 세포 및 bbz155-CAR T 세포 중 scFv의 발현 수준이다.
도 2는 bbzi3-CAR T 세포 및 bbz155-CAR T 세포의 표적 세포에 대한 사멸 효과이다.
도 3은 bbzi3-CAR T 세포 및 bbz155-CAR T 세포의 사이토카인 방출 수준이다.
도 4는 그중 상응하는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가 녹아웃되는 CAR-T 세포 scFv의 발현 수준이다.
도 5는 그중 상응하는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가 녹아웃되는 CAR-T 세포의 표적 세포에 대한 사멸 효과이다.
도 6은 그중 상응하는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가 녹아웃되는 CAR-T 세포의 사이토카인 방출 수준이다.
도 7은 bbz2B4-CAR T 세포 및 CD48이 녹아웃된 CAR-T 세포의 scFv 발현 수준이다.
도 8은 bbz2B4-CAR T 세포 및 CD48이 녹아웃된 CAR-T 세포의 표적 세포에 대한 사멸 효과이다.
도 9는 마우스 체내에서 i3KO-bbz-CAR T 세포 및 bzz-CAR T 세포의 시간 변화에 따른 증식 수준이다.
도 10은 i3KO-bbz-CAR T 세포 및 bzz-CAR T 세포 처리를 거친 마우스 종양의 시간 변화에 따른 부하이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사용된 T 세포는 Ficoll-PaqueTM PREMIUM(GE Healthcare, Cat. No. 17-5442-02)을 통해 백혈구 분리술을 사용하여 건강한 공여자로부터 분리된 1차 인간 CD4+CD8+T 세포이다.
실시예 1. CAR T 세포 제조
CD8α 신호 펩티드(SEQ ID NO: 15), 항-CD19 scFv(SEQ ID NO: 1), CD8α 힌지 영역(SEQ ID NO: 19), CD8α 막횡단 영역(SEQ ID NO: 3), 4-1BB 세포내 영역(SEQ ID NO: 9), CD3ζ 세포내 영역(SEQ ID NO: 11) 및 NK 활성화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추가 보조자극 도메인(CD155 세포내 영역(SEQ ID NO: 29) 또는 ICAM3 세포내 영역(SEQ ID NO: 27))으로 사용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서열을 합성하고, 이를 pLVX 벡터(Public Protein/Plasmid Library(PPL), Cat. No: PPL00157-4a)로 클로닝하고, 시퀀싱을 통해 표적 서열의 정확한 삽입을 확인한다.
멸균 튜브에 3ml Opti-MEM(Gibco, Cat. No. 31985-070)을 첨가하여 상기 플라스미드를 희석한 다음, 플라스미드:바이러스 패키징 벡터: 바이러스 엔벨로프 벡터=4:2:1의 비율에 따라 psPAX2(Addgene, Cat. No. 12260) 및 엔벨로프 벡터 pMD2.G(Addgene, Cat. No. 12259)를 첨가한다. 그 후, 120ul X-treme GENE HP DNA 형질감염 시약(Roche, Cat. No. 06366236001)을 추가하고 즉시 혼합하며 실온에서 15분 동안 배양한 후, 플라스미드/벡터/형질감염 시약 혼합물을 293T 세포의 배양 플라스크에 점적한다. 24시간 및 48시간에 바이러스를 수집하고 이를 합친 후, 초속 원심분리(25000g, 4℃, 2.5시간)로 농축된 렌티바이러스를 수득하였다.
DynaBeads CD3/CD28 CTSTM(Gibco, Cat. No. 40203D)로 T 세포를 활성화하고 37℃ 및 5% CO2 하에서 1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농축된 렌티바이러스를 첨가하고, 계속해서 3일 동안 배양한 후, bbzi3-CAR 및 bbz155-CAR을 발현하는 T 세포를 수득하였다. 추가적인 보조자극 도메인을 포함하지 않는 bbz-CAR T 세포(즉, CD8α 신호 펩티드-항-CD19 scFv-CD8α 힌지 영역-CD8α 막횡단 영역-4-1BB 세포내 영역-CD3ζ 세포내 영역) 및 변형되지 않은 야생형 T 세포(NT)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37℃ 및 5% CO2 하에서 11일 동안 배양한 후, Biotin-SP(long spacer) AffiniPure Goat Anti-Mouse IgG, F(ab')2 Fragment Specific(min X Hu, Bov, Hrs Sr Prot)(jackson immunoresearch, Cat. No. 115-065-072)을 1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APC Streptavidin(BD Pharmingen, Cat. No. 554067) 또는 PE Streptavidin(BD Pharmingen, Cat. No. 554061)을 2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CAR-T 세포 상의 scFv의 발현 수준을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CAR T 세포 중의 scFv는 모두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CAR T 세포의 표적 세포에 대한 사멸 효과 및 사이토카인 방출
2.1 표적 세포에 대한 사멸 능력 검출
먼저 1x104/웰로 플루오레세인 유전자를 휴대한 Nalm6 표적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편 후, 2:1의 이펙터 대 표적비(즉, 이펙터 T 세포와 표적 세포의 비율)로 NT 세포, bbz-CAR T 세포, bbzi3-CAR T 세포 및 bbz155-CAR 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펴고 공동 배양을 수행하며, 16 내지 18시간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해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계산 공식 (표적 세포 형광 평균값-샘플 형광 평균값)/표적 세포 형광 평균값 ×100%에 따라, 사멸 효율을 계산하여 획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종래 구조의 bbz-CAR T 세포와 비교하여, NK 활성화 리간드 ICAM3 또는 CD155의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CAR T 세포의 사멸 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2 사이토카인 방출 수준 검출
(1) 세포 공동 배양 상청액 수집
1x105/웰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표적 세포 Nalm6 또는 비표적 세포 Jurkat를 편 후, 1:1의 비율로 본 발명의 NT 세포, bbz-CAR T 세포, bbzi3-CAR T 세포 및 bbz155-CAR T 세포를 각각 표적 세포 또는 비표적 세포와 공동 배양하며, 18 내지 24시간 후 세포 공동 배양 상청액을 수집하였다.
(2) 상청액에서 IL-2 및 IFN-γ 분비량의 ELISA 검출
포획 항체 Purified anti-human IL2 Antibody(Biolegend, Cat. No. 500302) 또는 Purified anti-human IFN-γAntibody (Biolegend, Cat. No. 506502)를 사용하여 96-웰 플레이트를 코팅하고 4℃에서 밤새 배양한 후, 항체 용액을 제거하고, 250μL의 2% BSA(sigma, Cat. No. V900933-1kg)의 PBST(0.1% Tween을 함유하는 1XPBS) 용액을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플레이트를 250μL PBST(0.1% Tween이 포함된 1XPBS)로 3회 세척하였다. 50 μL의 세포 공동 배양 상청액 또는 표준품을 각 웰에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250μL의 PBST(0.1% Tween을 함유하는 1XPBS)로 플레이트를 3회 세척하였다. 그 후 각 웰에 50μL 검출 항체 Anti-Interferon gamma 항체[MD-1](Biotin)(abcam, Cat. No. ab25017)를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250μL의 PBST(0.1% Tween을 포함하는 1XPBS)로 플레이트를 3회 세척하였다. 다시 HRP Streptavidin(Biolegend, Cat. No. 405210)을 첨가하고, 37℃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상청액을 버리고, 250μL의 PBST(0.1% Tween을 함유하는 1XPBS)를 첨가하며, 5회 세척하였다. 각 웰에 50μL의 TMB 기질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의 어두운 곳에서 30분 동안 발생시킨 후, 각 웰에 50μL 1mol/L H2SO4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이 정지하고 30분 이내에,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해 450nm 지점의 흡광도를 검출하고, 표준 곡선(표준품의 판독값과 농도에 따라 제도)에 따라 사이토카인의 함량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종래 구조의 bbz-CAR T 세포와 비교하여, NK 활성화 리간드 ICAM3 또는 CD155의 세포내 영역을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CAR T 세포의 사이토카인 방출 수준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NK 활성화 리간드가 녹아웃된 CAR T 세포
CRISP/Cas9 시스템을 통해 각각 bbzi3-CAR 및 bbz155-CAR T 세포 중의 상응하는 NK 활성화 리간드를 녹아웃시켜, ICAM3이 녹아웃된 i3KO-bbzi3-CAR T 세포 및 CD155이 녹아웃된 155KO-bbz155-CAR T 세포를 수득하였다. 동일한 방식을 통해 bbz-CAR T 세포 중의 ICAM3 또는 CD155도 녹아웃하여, 그 중 ICAM3이 녹아웃된 i3KO-bbz-CAR T 세포 및 CD155가 녹아웃된 155KO-bbz-CAR T 세포를 수득하였다.
CAR T 세포를 37℃ 및 5% CO2 하에서 11일 동안 배양한 후, APC-anti human CD155(biolegend, Cat. No. 337618) 및 PE-anti human ICAM3(biolegend, Cat. No. 330005) 항체를 사용하여, 유세포 분석기로 CD155 및 ICAM3 유전자 편집 효율을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표1. 유전자 편집 효율
Figure pct00001
다양한 NK 활성화 리간드가 모두 효과적으로 녹아웃되었음을 알 수 있다.
37℃ 및 5% CO2 하에서 11일 동안 배양한 후, Biotin-SP(long spacer) AffiniPure Goat Anti-Mouse IgG, F(ab')2 Fragment Specific(min X Hu, Bov, Hrs Sr Prot)(jackson immunoresearch, Cat. No. 115-065-072)을 1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APC Streptavidin(BD Pharmingen, Cat. No. 554067) 또는 PE Streptavidin(BD Pharmingen, Cat. No. 554061)을 2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상기 CAR T 세포 상의 scFv의 발현 수준을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CAR T 세포 중의 scFv는 모두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1의 방법에 따라 상기 CAR T 세포의 Nalm6 표적 세포에 대한 사멸 능력을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응하는 NK 활성화 리간드를 녹아웃시킨 후, NK 활성화 리간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포내 영역이 CAR-T 세포의 사멸 능력을 현저하게 강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2의 방법에 따라 상기 CAR T 세포와 Nalm6 표적 세포 공동 배양 후의 사이토카인 방출 수준을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응하는 NK 활성화 리간드를 녹아웃시킨 후, NK 활성화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CAR T 세포가 IFN-γ를 분비하는 더 강한 능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i3KO-bbz-CAR T 그룹과 비교하여 i3KO-bbzi3-CAR T군 세포 IL-2의 분비 수준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상기 결과는, NK 활성화 리간드를 녹아웃시키는 배경 하에서, 상응하는 NK 활성화 리간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포내 영역이 CAR-T 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설명한다.
실시예 4 NK 활성화 수용체의 세포내 분절을 발현하는 CAR T 세포
실시예 1의 방식에 따라 bbz2B4-CAR T 세포를 제조하였으며, 이와 bbz-CAR T 세포의 차이점은 CAR 구조에 NK 활성화 수용체 2B4의 세포내 영역(SEQ ID NO: 31)이 추가적인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더 포함된다는 점이다. 동시에 CRISP/Cas9 시스템을 통해 bbz-CAR T 세포와 bbz2B4-CAR T 세포 중의 CD48 유전자(즉, 2B4의 리간드)를 녹아웃시켜, 그 중 CD48이 녹아웃된 48KO-bbz-CAR T 세포와 48KO-bbz2B4 CAR T 세포를 수득하였다.
CAR T 세포를 37℃, 5% CO2 하에서 11일 동안 배양한 후, PE-anti human CD48(biolegend, Cat. No. 336708)을 이용하여 CD48의 유전자 편집 효율을 검출하여, CD48이 효과적으로 녹아웃됨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2. 유전자 편집 효율
Figure pct00002
37℃ 및 5% CO2 하에서 11일 동안 배양한 후, Biotin-SP(long spacer) AffiniPure Goat Anti-Mouse IgG, F(ab')2 Fragment Specific(min X Hu, Bov, Hrs Sr Prot)(jackson immunoresearch, Cat. No. 115-065-072)을 1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APC Streptavidin(BD Pharmingen, Cat. No. 554067) 또는 PE Streptavidin(BD Pharmingen, Cat. No. 554061)을 2차 항체로 사용하였고,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상기 CAR T 세포 상의 scFv의 발현 수준을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CAR T 세포 중의 scFv는 모두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중 2.1의 방식에 따라 상기 CAR T 세포의 Nalm6 세포에 대한 사멸 효과를 검출하였다(도 8). 결과는, 종래 구조의 CAR T 세포(즉, bbz-CAR)와 비교하거나 그 중 NK 활성화 리간드 CD48이 녹아웃된 CAR-T 세포(즉, 48KO-bbz-CAR)와 비교하여, CAR 구조에 NK 활성화 리간드의 수용체 2B4의 세포내 영역을 추가적인 보조자극 도메인으로 더 포함하면 CAR T 세포의 사멸 능력이 현저하게 강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출원인은 종래의 CAR-T 세포와 비교하여, NK 활성화 리간드 CD48을 추가로 녹아웃해도 CAR-T 세포의 표적 세포에 대한 사멸 능력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예기치 않게 발견하였다(도 8, bbz-CAR vs 48KO-bbz-CAR을 참조).
실시예 5 NK 활성화 리간드가 녹아웃된 CAR-T 세포의 생체 내 항종양 효과
NK 활성화 리간드의 녹아웃이 CAR-T 세포 생체 내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검증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하기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8주령의 건강한 암컷 NCG 마우스 15마리를 NT군(음성 대조군), bbz-CAR T군(양성 대조군) 및 i3KO-bbz-CAR T군의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0일째(D0)에, 5x105개 Raji 세포를 각 마우스의 꼬리 정맥에 주사하였다. 3일 후(D3), 그룹화 상황에 따라 2x106개 NT 세포, bzz-CAR T 세포 또는 i3KO-bbz-CAR T 세포를 각 마우스의 꼬리 정맥에 주사하였다. 유세포 분석법으로 종양 부하 및 CAR T 세포의 생체 내 증식 변화를 정기적으로 평가하였다.
도 9는 마우스 생체 내에서 CAR T 세포의 시간 변화에 따른 증식 수준을 도시하였다. D21부터 i3KO-bbz-CAR T 세포의 증식 수준이 종래의 bbz-CAR T 세포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bzz-CAR T 세포는 D28에 마우스 체내에서 검출되지 않은 반면, i3KO-bbz-CAR T 세포는 D48까지 마우스 체내에서 계속 증식되었다. 이는 NK 활성화 리간드 ICAM3 녹아웃이 생체 내에서 CAR T 세포의 증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생체 내에서 CAR T 세포의 생존 시간을 연장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0은 마우스 생체 내 종양 부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도시하였다. NT군에 비해, bbz-CAR T 세포와 i3KO-bbz-CAR T 세포 모두 종양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D39부터 bbz-CAR T군 마우스 생체 내 종양이 재발하기 시작한 반면, i3KO-bbz-CAR T군 마우스 생체 내의 종양은 계속 억제되었다.
상기 데이터는 NK 활성화 리간드(예를 들어 ICAM3)만 녹아웃하면 생체 내에서 CAR T 세포의 지속성을 연장하여, 종양 세포에 대한 지속적인 사멸 효과를 향상시키고, 생체 내의 종양 억제 효과를 개선하며, 마우스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원리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등가 대체, 개선 등이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이해한다.
SEQUENCE LISTING <110> Bioheng Therapeutics Limited <120>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rising novel co-stimulatory domain and use thereof <130> BHPCT14 <150> CN2020109474070 <151> 2020-09-10 <150> PCT/CN2021/117402 <151> 2021-09-09 <160> 44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2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1 <400> 1 Asp Ile Gln Met Thr Gln Thr Thr Ser Ser Leu Ser Ala Ser Leu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Se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Ser Lys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Asp Gly Thr Val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His Thr Ser Arg Leu His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Tyr Ser Leu Thr Ile Ser Asn Leu Glu Gln 65 70 75 80 Glu Asp Ile Ala Thr Tyr Phe Cys Gln Gln Gly Asn Thr Leu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Ile Thr Gly Gly Gly Gly Ser 100 105 110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Val Lys Leu Gln Glu 115 120 125 Ser Gly Pro Gly Leu Val Ala Pro Ser Gln Ser Leu Ser Val Thr Cys 130 135 140 Thr Val Ser Gly Val Ser Leu Pro Asp Tyr Gly Val Ser Trp Ile Arg 145 150 155 160 Gln Pro Pro Arg Lys Gly Leu Glu Trp Leu Gly Val Ile Trp Gly Ser 165 170 175 Glu Thr Thr Tyr Tyr Asn Ser Ala Leu Lys Ser Arg Leu Thr Ile Ile 180 185 190 Lys Asp Asn Ser Lys Ser Gln Val Phe Leu Lys Met Asn Ser Leu Gln 195 200 205 Thr Asp Asp Thr Ala Ile Tyr Tyr Cys Ala Lys His Tyr Tyr Tyr Gly 210 215 220 Gly Ser Tyr Ala Met Asp Tyr Trp Gly Gln Gly Thr Ser Val Thr Val 225 230 235 240 Ser Ser <210> 2 <211> 7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1 <400> 2 gacatccaga tgacacagac tacatcctcc ctgtctgcct ctctgggaga cagagtcacc 60 atcagttgca gggcaagtca ggacattagt aaatatttaa attggtatca gcagaaacca 120 gatggaactg ttaaactcct gatctaccat acatcaagat tacactcagg agtcccatca 180 aggttcagtg gcagtgggtc tggaacagat tattctctca ccattagcaa cctggagcaa 240 gaagatattg ccacttactt ttgccaacag ggtaatacgc ttccgtacac gttcggaggg 300 gggaccaagc tggagatcac aggtggcggt ggctcgggcg gtggtgggtc gggtggcggc 360 ggatctgagg tgaaactgca ggagtcagga cctggcctgg tggcgccctc acagagcctg 420 tccgtcacat gcactgtctc aggggtctca ttacccgact atggtgtaag ctggattcgc 480 cagcctccac gaaagggtct ggagtggctg ggagtaatat ggggtagtga aaccacatac 540 tataattcag ctctcaaatc cagactgacc atcatcaagg acaactccaa gagccaagtt 600 ttcttaaaaa tgaacagtct gcaaactgat gacacagcca tttactactg tgccaaacat 660 tattactacg gtggtagcta tgctatggac tactggggcc aaggaacctc agtcaccgtc 720 tcctca 726 <210> 3 <211> 2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8alpha transmembrane domain <400> 3 Ile Tyr Ile Trp Ala Pro Leu Ala Gly Thr Cys Gly Val Leu Leu Leu 1 5 10 15 Ser Leu Val Ile Thr Leu Tyr Cys Lys 20 25 <210> 4 <211> 7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8alpha transmembrane domain <400> 4 atctacatct gggcgccctt ggccgggact tgtggggtcc ttctcctgtc actggttatc 60 accctttact gcaaa 75 <210> 5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28 transmembrane domain <400> 5 Phe Trp Val Leu Val Val Val Gly Gly Val Leu Ala Cys Tyr Ser Leu 1 5 10 15 Leu Val Thr Val Ala Phe Ile Ile Phe Trp Val 20 25 <210> 6 <211> 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28 transmembrane domain <400> 6 ttttgggtcc tcgtcgtagt tggaggggta cttgcctgtt atagcctcct ggttaccgta 60 gcatttatta tattctgggt g 81 <210> 7 <211> 4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28 intracellular domain <400> 7 Arg Ser Lys Arg Ser Arg Leu Leu His Ser Asp Tyr Met Asn Met Thr 1 5 10 15 Pro Arg Arg Pro Gly Pro Thr Arg Lys His Tyr Gln Pro Tyr Ala Pro 20 25 30 Pro Arg Asp Phe Ala Ala Tyr Arg Ser 35 40 <210> 8 <211> 1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28 intracellular domain <400> 8 aggagtaaga ggagcaggct cctgcacagt gactacatga acatgactcc ccgccgcccc 60 gggcccaccc gcaagcatta ccagccctat gccccaccac gcgacttcgc agcctatcgc 120 tcc 123 <210> 9 <211> 4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1BB intracellular domain <400> 9 Arg Gly Arg Lys Lys Leu Leu Tyr Ile Phe Lys Gln Pro Phe Met Arg 1 5 10 15 Pro Val Gln Thr Thr Gln Glu Glu Asp Gly Cys Ser Cys Arg Phe Pro 20 25 30 Glu Glu Glu Glu Gly Gly Cys Glu 35 40 <210> 10 <211> 1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1BB intracellular domain <400> 10 cggggcagaa agaaactcct gtatatattc aaacaaccat ttatgagacc agtacaaact 60 actcaagagg aagatggctg tagctgccga tttccagaag aagaagaagg aggatgtgaa 120 <210> 11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zeta intracellular domain <400> 11 Leu Arg Val Lys Phe Ser Arg Ser Ala Asp Ala Pro Ala Tyr Gln Gln 1 5 10 15 Gly Gln Asn Gln Leu Tyr Asn Glu Leu Asn Leu Gly Arg Arg Glu Glu 20 25 30 Tyr Asp Val Leu Asp Lys Arg Arg Gly Arg Asp Pro Glu Met Gly Gly 35 40 45 Lys Pro Arg Arg Lys Asn Pro Gln Glu Gly Leu Tyr Asn Glu Leu Gln 50 55 60 Lys Asp Lys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Gly Met Lys Gly Glu 65 70 75 80 Arg Arg Arg Gly Lys Gly His Asp Gly Leu Tyr Gln Gly Leu Ser Thr 85 90 95 Ala Thr Lys Asp Thr Tyr Asp Ala Leu His Met Gln Ala Leu Pro Pro 100 105 110 Arg <210> 12 <211> 3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zeta intracellular domain <400> 12 ctgagagtga agttcagcag gagcgcagac gcccccgcgt accagcaggg ccagaaccag 60 ctctataacg agctcaatct aggacgaaga gaggagtacg atgttttgga caagagacgt 120 ggccgggacc ctgagatggg gggaaagccg agaaggaaga accctcagga aggcctgtac 180 aatgaactgc agaaagataa gatggcggag gcctacagtg agattgggat gaaaggcgag 240 cgccggaggg gcaaggggca cgatggcctt taccagggtc tcagtacagc caccaaggac 300 acctacgacg cccttcacat gcaggccctg ccccctcgc 339 <210> 13 <211> 1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zeta intracellular domain <400> 13 Leu Arg Val Lys Phe Ser Arg Ser Ala Asp Ala Pro Ala Tyr Gln Gln 1 5 10 15 Gly Gln Asn Gln Leu Phe Asn Glu Leu Asn Leu Gly Arg Arg Glu Glu 20 25 30 Phe Asp Val Leu Asp Lys Arg Arg Gly Arg Asp Pro Glu Met Gly Gly 35 40 45 Lys Pro Gln Arg Arg Lys Asn Pro Gln Glu Gly Leu Tyr Asn Glu Leu 50 55 60 Gln Lys Asp Lys Met Ala Glu Ala Tyr Ser Glu Ile Gly Met Lys Gly 65 70 75 80 Glu Arg Arg Arg Gly Lys Gly His Asp Gly Leu Phe Gln Gly Leu Ser 85 90 95 Thr Ala Thr Lys Asp Thr Phe Asp Ala Leu His Met Gln Ala Leu Pro 100 105 110 Pro Arg <210> 14 <211> 3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zeta intracellular domain <400> 14 ctgagagtga agttcagcag gagcgcagac gcccccgcgt accagcaggg ccagaaccag 60 ctctttaacg agctcaatct aggacgaaga gaggagttcg atgttttgga caagagacgt 120 ggccgggacc ctgagatggg gggaaagccg cagagaagga agaaccctca ggaaggcctg 180 tacaatgaac tgcagaaaga taagatggcg gaggcctaca gtgagattgg gatgaaaggc 240 gagcgccgga ggggcaaggg gcacgatggc cttttccagg gtctcagtac agccaccaag 300 gacacctttg acgcccttca catgcaggcc ctgccccctc gc 342 <210> 15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M signal peptide <400> 15 Met Ser Arg Ser Val Ala Leu Ala Val Leu Ala Leu Leu Ser Leu Ser 1 5 10 15 Gly Leu Glu Ala 20 <210> 16 <211> 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B2M signal peptide <400> 16 atgtcccgct ctgttgcttt ggctgtgctg gcccttttgt cccttagcgg actggaggcc 60 <210> 17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8alpha signal peptide <400> 17 Met Ala Leu Pro Val Thr Ala Leu Leu Leu Pro Leu Ala Leu Leu Leu 1 5 10 15 His Ala Ala Arg Pro 20 <210> 18 <211> 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8alpha signal peptide <400> 18 atggccttac cagtgaccgc cttgctcctg ccgctggcct tgctgctcca cgccgccagg 60 ccg 63 <210> 19 <211> 4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8alpha hinge <400> 19 Thr Thr Thr Pro Ala Pro Arg Pro Pro Thr Pro Ala Pro Thr Ile Ala 1 5 10 15 Ser Gln Pro Leu Ser Leu Arg Pro Glu Ala Cys Arg Pro Ala Ala Gly 20 25 30 Gly Ala Val His Thr Arg Gly Leu Asp Phe Ala Cys Asp 35 40 45 <210> 20 <211> 1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8alpha hinge <400> 20 accacgacgc cagcgccgcg accaccaaca ccggcgccca ccatcgcgtc gcagcccctg 60 tccctgcgcc cagaggcgtg ccggccagcg gcggggggcg cagtgcacac gagggggctg 120 gacttcgcct gtgat 135 <210> 21 <211> 3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28 hinge <400> 21 Ile Glu Val Met Tyr Pro Pro Pro Tyr Leu Asp Asn Glu Lys Ser Asn 1 5 10 15 Gly Thr Ile Ile His Val Lys Gly Lys His Leu Cys Pro Ser Pro Leu 20 25 30 Phe Pro Gly Pro Ser Lys Pro 35 <210> 22 <211> 1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28 hinge <400> 22 attgaagtta tgtatcctcc tccttaccta gacaatgaga agagcaatgg aaccattatc 60 catgtgaaag ggaaacacct ttgtccaagt cccctatttc ccggaccttc taagccc 117 <210> 23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G4 hinge <400> 23 Glu Ser Lys Tyr Gly Pro Pro Cys Pro Pro Cys Pro 1 5 10 <210> 24 <211> 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gG4 hinge <400> 24 gaaagcaaat acgggccgcc gtgtccaccc tgtccg 36 <210> 25 <211> 23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2 <400> 25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Ala Ser Leu Ser Thr Ser Leu Gly 1 5 10 15 Glu Thr Val Thr Ile Gln Cys Gln Ala Ser Glu Asp Ile Tyr Ser Gly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Ser Pro Gln Leu Leu Ile 35 40 45 Tyr Gly Ala Ser Asp Leu Gln Asp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Gln Tyr Ser Leu Lys Ile Thr Ser Met Gln Thr 65 70 75 80 Glu Asp Glu Gly Val Tyr Phe Cys Gln Gln Gly Leu Thr Tyr Pro Arg 85 90 95 Thr Phe Gly Gly Gly Thr Lys Leu Glu Leu Lys Gly Gly Gly Gly Ser 100 105 110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u Val Gln Leu Gln Gln 115 120 125 Ser Gly Ala Glu Leu Val Arg Pro Gly Thr Ser Val Lys Leu Ser Cys 130 135 140 Lys Val Ser Gly Asp Thr Ile Thr Phe Tyr Tyr Met His Phe Val Lys 145 150 155 160 Gln Arg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Gly Arg Ile Asp Pro Glu 165 170 175 Asp Glu Ser Thr Lys Tyr Ser Glu Lys Phe Lys Asn Lys Ala Thr Leu 180 185 190 Thr Ala Asp Thr Ser Ser Asn Thr Ala Tyr Leu Lys Leu Ser Ser Leu 195 200 205 Thr Ser Glu Asp Thr Ala Thr Tyr Phe Cys Ile Tyr Gly Gly Tyr Tyr 210 215 220 Phe Asp Tyr Trp Gly Gln Gly Val Met Val Thr Val Ser Ser 225 230 235 <210> 26 <211> 71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2 <400> 26 gacatccaga tgacccagag ccctgccagc ctgtctacca gcctgggcga gacagtgacc 60 atccagtgtc aggccagcga ggacatctac tctggcctgg cttggtatca gcagaagccc 120 ggcaagagcc ctcagctgct gatctacggc gccagcgacc tgcaggacgg cgtgcctagc 180 agattcagcg gcagcggctc cggaacccag tacagcctga agatcaccag catgcagacc 240 gaggacgagg gcgtgtactt ctgccagcaa ggcctgacct accctagaac cttcggagga 300 ggcaccaagc tggaactgaa gggcggaggc ggaagtggag gcggaggatc tggcggcgga 360 ggctctgaag tgcagctgca gcagtctggc gctgaactgg tccggcctgg cactagcgtg 420 aagctgtcct gcaaggtgtc cggcgacacc atcaccttct actacatgca cttcgtgaag 480 cagaggccag gacagggcct ggaatggatc ggcagaatcg accctgagga cgagagcacc 540 aagtacagcg agaagttcaa gaacaaggcc accctgaccg ccgacaccag cagcaacacc 600 gcctacctga agctgtctag cctgacctcc gaggacaccg ccacctactt ttgcatctac 660 ggcggctact acttcgacta ctggggccag ggcgtgatgg tcaccgtgtc cagc 714 <210> 27 <211> 3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AM3 intracellular domain <400> 27 Arg Glu His Gln Arg Ser Gly Ser Tyr His Val Arg Glu Glu Ser Thr 1 5 10 15 Tyr Leu Pro Leu Thr Ser Met Gln Pro Thr Glu Ala Met Gly Glu Glu 20 25 30 Pro Ser Arg Ala Glu 35 <210> 28 <211> 1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CAM3 intracellular domain <400> 28 cgcgaacacc agagatcagg gtcttaccac gtaagagaag aaagtaccta ccttcctttg 60 acaagtatgc agccaacgga ggctatgggt gaggaacctt ccagagcgga a 111 <210> 29 <211> 5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55 intracellular domain <400> 29 Ser Lys Cys Ser Arg Glu Val Leu Trp His Cys His Leu Cys Pro Ser 1 5 10 15 Ser Thr Glu His Ala Ser Ala Ser Ala Asn Gly His Val Ser Tyr Ser 20 25 30 Ala Val Ser Arg Glu Asn Ser Ser Ser Gln Asp Pro Gln Thr Glu Gly 35 40 45 Thr Arg 50 <210> 30 <211> 1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55 intracellular domain <400> 30 tccaaatgtt cccgtgaggt cctttggcac tgtcatctgt gtccctcgag tacagagcat 60 gccagcgcct cagctaatgg gcatgtctcc tattcagctg tgagcagaga gaacagctct 120 tcccaggatc cacagacaga gggcacaagg 150 <210> 31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B4 intracellular domain <400> 31 Arg Lys Arg Lys Glu Lys Gln Ser Glu Thr Ser Pro Lys Glu Phe Leu 1 5 10 15 Thr Ile Tyr Glu Asp Val Lys Asp Leu Lys Thr Arg Arg Asn His Glu 20 25 30 Gln Glu Gln Thr Phe Pro Gly Gly Gly Ser Thr Ile Tyr Ser Met Ile 35 40 45 Gln Ser Gln Ser Ser Ala Pro Thr Ser Gln Glu Pro Ala Tyr Thr Leu 50 55 60 Tyr Ser Leu Ile Gln Pro Ser Arg Lys Ser Gly Ser Arg Lys Arg Asn 65 70 75 80 His Ser Pro Ser Phe Asn Ser Thr Ile Tyr Glu Val Ile Gly Lys Ser 85 90 95 Gln Pro Lys Ala Gln Asn Pro Ala Arg Leu Ser Arg Lys Glu Leu Glu 100 105 110 Asn Phe Asp Val Tyr Ser 115 <210> 32 <211> 35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B4 intracellular domain <400> 32 agaaagagga aggagaagca gtcagagacc agtcccaagg aatttttgac aatttacgaa 60 gatgtcaagg atctgaaaac caggagaaat cacgagcagg agcagacttt tcctggaggg 120 gggagcacca tctactctat gatccagtcc cagtcttctg ctcccacgtc acaagaacct 180 gcatatacat tatattcatt aattcagcct tccaggaagt ctggatccag gaagaggaac 240 cacagccctt ccttcaatag cactatctat gaagtgattg gaaagagtca acctaaagcc 300 cagaaccctg ctcgattgag ccgcaaagag ctggagaact ttgatgttta ttcc 354 <210> 3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1 CDR-L1 <400> 33 Arg Ala Ser Gln Asp Ile Ser Lys Tyr Leu Asn 1 5 10 <210> 3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1 CDR-L2 <400> 34 His Thr Ser Arg Leu His Ser 1 5 <210> 3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1 CDR-L3 <400> 35 Gln Gln Gly Asn Thr Leu Pro Tyr Thr 1 5 <210> 3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1 CDR-H1 <400> 36 Gly Val Ser Leu Pro Asp Tyr 1 5 <210> 37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1 CDR-H2 <400> 37 Trp Gly Ser Glu Thr 1 5 <210> 38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1 CDR-H3 <400> 38 His Tyr Tyr Tyr Gly Gly Ser Tyr Ala Met Asp Tyr 1 5 10 <210> 39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2 CDR-L1 <400> 39 Gln Ala Ser Glu Asp Ile Tyr Ser Gly Leu Ala 1 5 10 <210> 4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2 CDR-L2 <400> 40 Gly Ala Ser Asp Leu Gln Asp 1 5 <210> 4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2 CDR-L3 <400> 41 Gln Gln Gly Leu Thr Tyr Pro Arg Thr 1 5 <210> 4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2 CDR-H1 <400> 42 Gly Asp Thr Ile Thr Phe Tyr 1 5 <210> 43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2 CDR-H2 <400> 43 Asp Pro Glu Asp Glu Ser 1 5 <210> 4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19 scFv-2 CDR-H3 <400> 44 Gly Gly Tyr Tyr Phe Asp Tyr 1 5

Claims (21)

  1. 키메라 항원 수용체에 있어서,
    리간드 결합 도메인, 막횡단 도메인, 보조자극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세포내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는 2B4, DNAM-1 및 LFA-1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는 CD48, CD112, CD155, ICAM1, ICAM2 및 ICAM3로부터 선택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CD155, ICAM3 및 2B4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세포내 영역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D155 세포내 영역은 SEQ ID NO:25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며; ICAM3 세포내 영역은 SEQ ID NO:2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며; 2B4 세포내 영역은 SEQ ID NO:27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90%, 95%, 97% 또는 99% 또는 100%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TLR1, TLR2, TLR3, TLR4, TLR5, TLR6, TLR7, TLR8, TLR9, TLR10, CARD11, CD2, CD7, CD8, CD27, CD28, CD30, CD40, CD83, CD134, CD137, CD270, CD272, CD276, CD278, CD357, DAP10, DAP12, LAT, NKG2C, SLP76, PD-1, LIGHT, TRIM, CD94, LTB, ZAP70 및 이들의 조합 단백질로부터 선택되는 신호전달 도메인을 더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CD27, CD28, CD134, CD137 또는 CD278의 신호전달 도메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면역글로불린 분자, Fab, Fab', F(ab')2, Fv 단편, scFv, 선형 항체, 중쇄 항체, sdAb 또는 나노 항체로부터 선택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 결합 도메인은 CD2, CD3, CD4, CD5, CD7, CD8, CD14, CD15, CD46, CD70, TSHR, CD19, CD123, CD22, BAFF-R, CD30, CD171, CS-1, CLL-1, CD33, EGFRvIII, GD2, GD3, BCMA, GPRC5D, Tn Ag, PSMA, ROR1, FLT3, FAP, TAG72, CD38, CD44v6, CEA, EPCAM, B7H3, KIT, IL-13Ra2, 메소텔린, IL-l lRa, PSCA, PRSS21, VEGFR2, LewisY, CD24, PDGFR-β, SSEA-4, CD20, AFP, Folate 수용체 α, ERBB2(Her2/neu), MUC1, EGFR, CS1, CD138, NCAM, Claudin18.2, Prostase, PAP, ELF2M, Ephrin B2, IGF-I 수용체, CAIX, LMP2, gploo, bcr-abl, 티로시나아제, EphA2, Fucosyl GMl, sLe, GM3, TGS5, HMWMAA, o-아세틸-GD2, Folate 수용체 β, TEM1/CD248, TEM7R, CLDN6, GPRC5D, CXORF61, CD97, CD179a, ALK, 폴리시알산, PLAC1, GloboH, NY-BR-1, UPK2, HAVCR1, ADRB3, PANX3, GPR20, LY6K, OR51E2, TARP, WT1, NY-ESO-1, LAGE-la, MAGE-A1, 레구메인, HPV E6, E7, MAGE Al, ETV6-AML, 정자 단백질 17, XAGE1, Tie 2, MAD-CT-1, MAD-CT-2, Fos 관련 항원 1, p53, p53 돌연변이체, 전립선 특이적 단백질, 서비빈과 텔로머라제, PCTA-l/Galectin 8, MelanA/MARTl, Ras 돌연변이체, hTERT, 육종 전좌 중단점, ML-IAP, ERG(TMPRSS2 ETS 융합 유전자), NA17, PAX3, 안드로겐 수용체, Cyclin Bl, MYCN, RhoC, TRP-2, CYP1B 1, BORIS, SART3, PAX5, OY-TES 1, LCK, AKAP-4, SSX2, RAGE-1, 인간 텔로머라제 역전사 효소, RU1, RU2, 장 카르복실에스테라아제, mut hsp70-2, CD79a, CD79b, CD72, LAIR1, FCAR, LILRA2, CD300LF, CLEC12A, BST2, EMR2, LY75, GPC3, FCRL5, IGLL1, PD1, PDL1, PDL2, TGFβ, APRIL, NKG2D, NKG2D 리간드, 및/또는 병원체 특이적 항원, 바이오틴화 분자, HIV, HCV, HBV 및/또는 기타 병원체 발현의 분자; 및/또는 네오에피토프 또는 네오항원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표적과 결합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횡단 도메인은 TCRα 사슬, TCRβ 사슬, TCRγ 사슬, TCRδ 사슬, CD3ζ 서브유닛, CD3ε 서브유닛, CD3γ 서브유닛, CD3δ 서브유닛, CD45, CD4, CD5, CD8α, CD9, CD16, CD22, CD33, CD28, CD37, CD64, CD80, CD86, CD134, CD137 및 CD154 단백질의 막횡단 도메인으로부터 선택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은 FcRγ, FcRβ, CD3γ, CD3δ, CD3ε, CD3ζ, CD22, CD79a, CD79b 및 CD66d 단백질의 신호전달 도메인으로부터 선택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암호화하는 핵산 분자.
  11. 제10항에 따른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메라 항원 수용체, 제10항에 따른 핵산 분자 또는 제11항에 따른 벡터를 포함하는 조작된 면역 세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된 면역 세포 중 보조자극 도메인인 상응하는 내인성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리간드의 발현이 억제 또는 침묵되는 조작된 면역 세포.
  14. 조작된 면역 세포에 있어서,
    NK 활성화 수용체 또는 이의 리간드의 발현이 억제 또는 침묵되고, 여기에서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는 2B4, DNAM-1 및 LFA-1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NK 활성화 수용체의 리간드는 CD48, CD112, CD155, ICAM1, ICAM2 및 ICAM3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작된 면역 세포.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적어도 하나의 TRAC, TRBC, HLA-A, HLA-B, HLA-C, B2M, RFX5, RFXAP, RFXANK, CIITA, PD1, LAG3, TIM3, CTLA4로부터 선택되는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 또는 침묵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조작된 면역 세포.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T 세포,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단핵구, NK 세포 또는 NKT 세포로부터 선택되는 조작된 면역 세포.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성체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제대혈줄기세포, 전구세포, 골수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전능줄기세포 또는 조혈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하는 조작된 면역 세포.
  18.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또는 재조합 T 세포 수용체를 더 발현하는 조작된 면역 세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 세포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를 더 발현하고, 상기 키메라 항원 수용체는 리간드 결합 도메인, 막횡단 도메인, 보조자극 도메인 및 세포내 신호전달 도메인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보조자극 도메인은 CD27, CD28, CD134, CD137 또는 CD278의 신호전달 도메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작된 면역 세포.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작된 면역 세포, 및 복수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1. 암, 감염 또는 자가면역성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의 제조에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메라 항원 수용체, 제10항에 따른 핵산 분자, 제11항에 따른 벡터,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작된 면역 세포 또는 제20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용도.
KR1020237009319A 2020-09-10 2021-09-09 신규한 보조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KR202300660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947407.0 2020-09-10
CN202010947407.0A CN114163532A (zh) 2020-09-10 2020-09-10 包含新型共刺激结构域的嵌合抗原受体及其用途
PCT/CN2021/117402 WO2022052981A1 (zh) 2020-09-10 2021-09-09 包含新型共刺激结构域的嵌合抗原受体及其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6007A true KR20230066007A (ko) 2023-05-12

Family

ID=8047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319A KR20230066007A (ko) 2020-09-10 2021-09-09 신규한 보조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09308A1 (ko)
EP (1) EP4194472A1 (ko)
JP (1) JP2023545907A (ko)
KR (1) KR20230066007A (ko)
CN (1) CN114163532A (ko)
AU (1) AU2021338819A1 (ko)
CA (1) CA3192412A1 (ko)
WO (1) WO2022052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67650B (zh) * 2024-01-15 2024-04-02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共表达细胞间黏附分子icam2的car-t细胞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1168A (en) 1995-03-01 1998-03-24 Genentech, Inc. Method for making heteromultimeric polypeptides
CN1294148C (zh) 2001-04-11 2007-01-10 中国科学院遗传与发育生物学研究所 环状单链三特异抗体
US20050100543A1 (en) 2003-07-01 2005-05-12 Immunomedics, Inc. Multivalent carriers of bi-specific antibodies
JP2008512352A (ja) 2004-07-17 2008-04-24 イムクローン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新規な四価の二重特異性抗体
EP2500352A1 (en) 2005-08-19 2012-09-19 Abbott Laboratories Dual variable domain immunoglobulin and uses thereof
EP3623380A1 (en) * 2013-03-15 2020-03-18 Michael C. Milone Targeting cytotoxic cells with chimeric receptors for adoptive immunotherapy
JO3620B1 (ar) * 2015-08-05 2020-08-27 Amgen Res Munich Gmbh مثبطات نقطة فحص مناعية للاستخدام في علاج سرطانات محمولة عبر الدم
JOP20180042A1 (ar) * 2017-04-24 2019-01-30 Kite Pharma Inc نطاقات ربط مولد ضد متوافقة مع البشر وطرق الاستخدام
WO2019091478A1 (en) * 2017-11-10 2019-05-16 Chineo Medical Technology Co., Ltd. Modified immune cells and uses thereof
CN107982538B (zh) * 2017-12-26 2021-10-22 深圳市体内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8913709A (zh) * 2018-06-26 2018-11-30 山东兴瑞生物科技有限公司 用于治疗hcc的核酸、其制备方法、具有该核酸的car-t细胞及细胞的制备方法
CN110904045A (zh) * 2018-09-17 2020-03-24 中国科学院动物研究所 经修饰的t细胞、其制备方法及用途
CN109694875B (zh) * 2018-12-27 2022-04-29 山东兴瑞生物科技有限公司 抗CII嵌合抗原受体编码基因、慢病毒质粒、Treg免疫细胞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92412A1 (en) 2022-03-17
EP4194472A1 (en) 2023-06-14
US20240009308A1 (en) 2024-01-11
JP2023545907A (ja) 2023-11-01
WO2022052981A1 (zh) 2022-03-17
CN114163532A (zh) 2022-03-11
AU2021338819A1 (en) 202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29001B (zh) 靶向nk激活性受体的嵌合抗原受体
KR20220145374A (ko) 신규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그 용도
JP2023534928A (ja) 改変免疫細胞及びその使用
WO2022166365A1 (zh) 新型嵌合抗原受体及其用途
US20230242661A1 (en) Engineered immune cell expressing nk inhibitory molecule and use thereof
KR20230095083A (ko) Cd7 표적의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CA3189677A1 (en) Chimeric molecules providing targeted costimulation for adoptive cell therapy
US20230248768A1 (en) Engineered immune cell for allotransplantation
KR20230066007A (ko) 신규한 보조자극 도메인을 포함하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
US20230133564A1 (en) Cd3-fusion protein and uses thereof
CN114015656A (zh) 用于同种异体移植的工程化免疫细胞
CN115785279A (zh) 包含新型共刺激结构域的嵌合抗原受体及其用途
EP4186929A1 (en) Novel co-stimulatory domain and uses thereof
WO2023016284A1 (zh) 工程化免疫细胞及其用途
WO2022267983A1 (zh) 工程化免疫细胞及其用途
WO2023025009A1 (zh) 工程化免疫细胞及其用途
WO2023035947A1 (zh) 工程化免疫细胞及其用途
CN116103239A (zh) 工程化免疫细胞及其用途
CN117430712A (zh) 靶向cxcr6的嵌合抗原受体及其用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