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870A -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870A
KR20230064870A KR1020210150432A KR20210150432A KR20230064870A KR 20230064870 A KR20230064870 A KR 20230064870A KR 1020210150432 A KR1020210150432 A KR 1020210150432A KR 20210150432 A KR20210150432 A KR 20210150432A KR 20230064870 A KR20230064870 A KR 2023006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sychological
server
user
musical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
김수현
Original Assignee
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filed Critical 김훈
Priority to KR102021015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870A/ko
Publication of KR2023006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2Knowledge-based neural networks; Logical representations of neural networ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6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sychia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시력 장애인이 사용자 단말 상에서 악기를 선택하고 연주를 하면 인공지능(AI)이 연주패턴에 따라 함께 연주하면서 자동으로 개인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는,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PSYCHOANALYSIS SERVER FOR PEOPLE WITH LOW VISION THROUGH ONLINE MUSIC ACTIVITY AND PSYCHOLOGICAL ANALYSIS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시력 장애인이 사용자 단말 상에서 악기를 선택하고 연주를 하면 인공지능(AI)이 연주패턴에 따라 함께 연주하면서 자동으로 개인의 심리 상태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는,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인간의 심리를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분류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었다. MMPI, MBTI등 객관식문항을 통한 성격검사방법, 로샤(Rorschach) 등의 그림을 통한 검사방법, 스트레스 지수를 기계적으로 측정하는 기계검사방법 등이 그것이다. 즉, 사람의 심리를 분석하는 것은 심리학자들이 진단대상자를 오랜 시간에 걸쳐 관찰하고, 상담을 해야만 가능할 수 있을 것이지만, 심리학자들의 오랜 연구 끝에 상술한 객관적이고 획일적인 방법을 통해서도 어느 정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661698호 공보(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은 고객 단말기와 심리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고객 단말기를 통해 심리분석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b)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동그라미, 세모, 네모 및 S 문자가 표시된 4가지 도형으로 구성된 문항도형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항도형에서 하나의 도형을 선택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제시된 답안공간에 크기나 위치에 관계없이 3번 그려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도형을 상기 4가지 도형별 및 도형의 배치에 따른 유형으로 입력 데이터를 분류하는 단계; (e)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유형별 분석 데이터와 상기 분류된 입력 데이터와 매칭하고 기하심리 검사 결과를 상기 사용자 고객 단말기로 표시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가 검사유형을 선택하고,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선택한 검사유형에 따른 문항을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고, 상기 각 문항의 해당 정도를 나타내는 점수에 체크하여 입력하는 단계; 및 (g)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입력된 문항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분류된 성격유형을 나타내는 상기 4가지 도형을 포함하는 다수의 도형유형으로 분류하고, 상기 각 검사유형에 따라 상기 각 도형에 점수가 표시된 심리검사 결과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하 심리 검사 결과는, 상기 유형별 분석 데이터와 함께 상기 유형별 분석 데이터에 따른 셀프코칭 질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사람이 단말기를 통해 직접 읽고 답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답을 기초로 심리 분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저시력 장애인의 심리분석 방법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661698호{발명의 명칭: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항을 읽고 답하기 어려운 저시력 장애인이 편리하게 심리분석에 참여할 수 있고, 피험자의 심리적 상태와 내면적인 문제를 반영한 심리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연주 음을 청취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악기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악기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악기 선택 정보 관리부; 상기 선택된 악기의 연주가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받고, 연주 음 데이터 및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에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시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획득하고, 해당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상기 악기의 연주 음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하도록 구성된 합주 환경 제공부; 및 상기 악기 선택 정보 관리부로부터 수집된 선택된 악기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악기의 연주 음 정보와 심리분석용 합주 음 정보가 매칭된 음 정보를 입력받아 이 매칭된 음 정보로부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심리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심리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시키는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연주 음 데이터에 대해 후속하여 재생되는 순차 패턴 모드, 상기 연주 음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되는 동시 패턴 모드, 및 상기 연주 음 데이터에 대해 후속하면서 동시에 재생되는 순차 및 동시 패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악기를 사용자가 즉석에서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악기 연주 환경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은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연주 음을 청취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악기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악기가 선택된 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선택된 악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악기의 연주가 이루어지면,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연주 음 데이터 및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에 상기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시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상기 악기의 연주 음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하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선택된 악기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악기의 연주 음 정보와 심리분석용 합주 음 정보가 매칭된 음 정보를 입력받아 이 매칭된 음 정보로부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추출된 상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심리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심리분석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 연주 음을 청취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악기 목록을 제공하여 선택된 악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선택된 악기의 연주가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 모델에 입력시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획득하며, 획득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상기 악기의 연주 음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한 후, 수집된 상기 선택된 악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악기의 연주 음 정보와 심리분석용 합주 음 정보가 매칭된 음 정보를 입력받아 이 매칭된 음 정보로부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심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문항을 읽고 답하기 어려운 저시력 장애인이 편리하게 심리분석에 참여할 수 있고, 피험자의 심리적 상태와 내면적인 문제를 반영한 심리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심리분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도 2b는 도 1의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에서 이용하는 학습 모델을 기계 학습시키는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 도시된 각 시스템에서, 몇몇 경우에서의 요소는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를 가져서 표현된 요소가 상이하거나 유사할 수가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요소는 상이한 구현을 가지고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거나 기술된 시스템 중 몇몇 또는 전부와 작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된 다양한 요소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어느 것이 제1 요소로 지칭되는지 및 어느 것이 제2 요소로 불리는지는 임의적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 '전달' 또는 '제공'한다 함은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물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심리분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를 포함하는 심리분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M)이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100)와 유, 무선으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며, 통신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M)은 심리분석을 받고자 하는 저시력 장애인이 소지한 단말(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PC, 노트북, 넷북 등이 사용될 수 있음)로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앱이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M)은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100)로부터 연주 음을 청취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악기 목록 정보를 수신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기 정보를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M)은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100)로부터 선택된 악기 정보에 대한 즉흥 연주 환경을 제공받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즉흥 연주가 이루어지면,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심리분석 서버(1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M)은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100)로부터 악기의 연주 음과 매칭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입력받아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M)은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100)로부터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 및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된 심리분석 결과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는 악기 선택과 매칭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질 및 성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는 선택된 악기의 연주 활동에 따른 사용자(연주자)의 심리 상태를 더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악기 선택과 매칭되는 심리 관련 정보 및 사용자의 악기 연주 활동에 따른 심리 관련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현재 악기를 연주하는 사용자(연주)의 심리 상태의 분석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 선택 정보 관리부(110), 악기 연주 환경 제공부(120), 합주 환경 제공부(130), 및 심리분석부(130)를 포함한다.
악기 선택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M)에 연주 음을 청취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악기 목록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M)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기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악기 연주 환경 제공부(120)는 악기 선택 정보 관리부(110)에서 수집된 악기 정보에 해당하는 선택된 악기를 사용자가 즉석에서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사용자 단말(M)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연주 가능한 악기는 건반악기, 타악기, 현악기 등 종류가 다양하며, 연주법에 대한 설명도 함께 제공되므로 초보자도 쉽게 연주할 수 있다. 악기 연주 환경은 악기 선택과 선택된 악기의 음량, 빠르기 등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자에 의해 악기 연주 시 설정될 수도 있고, 기본값으로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합주 환경 제공부(130은 사용자가 악기 연주 환경 제공부(120)에 의해 제공된 연주 환경을 통해 악기에 대한 연주가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M)로부터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받고, 연주 음 데이터 및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에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시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획득하고, 획득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악기의 연주 음과 매칭시켜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에는 인공신경망 등 다양한 기계 학습 모델이 포함될 수 있다.
기계 학습시키는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M)로부터 입력되는 연주 음 데이터(심리분석 대상자의 연주 음 데이터)에 대해 후속하여 재생되는 순차 패턴 모드, 연주 음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되는 동시 패턴 모드, 및 연주 음 데이터에 대해 후속하면서 동시에 재생되는 순차 및 동시 패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순차 패턴 모드, 동시 패턴 모드 및 순차ㅇ동시 패턴 모드를 포함하는 '합주 모드'는 사용자(연주자)가 악기를 연주하는 동안에 순차 패턴 --> 동시 패턴 --> 순차ㅇ동시 패턴 모드 순으로 설정되어 진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연주자)의 악기 연주를 통해 심리를 분석하는 심리분석자의 판단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되어 진행될 수도 있다.
심리분석부(140)는 악기 선택 정보 관리부(110)로부터 수집된 선택된 악기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을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재생되는 악기의 연주 음 정보와 심리분석용 합주 음 정보가 매칭된 음 정보를 입력받아 이 매칭된 음 정보로부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 및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심리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M)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심리분석부(140)는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결정 시 악기 정보를 이용하였으나, 악기 명 데이터, 및 기질 및 성향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에 선택된 악기 정보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심리분석부(140)는 추출된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하였으나,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 및 심리 성향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에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입력시켜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의 심리분석 서버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도 2b는 도 1의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이하, 심리분석 서버라 함)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의미한다.
먼저, 심리분석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M)에 연주 음을 청취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악기 목록을 제공하고(S10),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사용자가 악기를 선택하면 심리분석 서버(100)가 선택된 악기 정보를 수집한다(S20).
다음, 심리분석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M)에 선택된 악기를 사용자가 즉석에서 연주할 수 있는 환경(즉흥 악기 연주 환경)을 제공하여(S3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연주가 이루어지면(S40), 심리분석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M)로부터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받는다(S50).
다음, 심리분석 서버(100)가 연주 음 데이터 및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에 스텝(S50)에서 입력받은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시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획득한다(S60).
다음, 심리분석 서버(100)가 스텝(S60)에서 획득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악기의 연주 음과 매칭시켜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재생한다(S70).
다음, 심리분석 서버(100)가 스텝(S20)에서 수집된 선택된 악기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을 결정한다 (S80).
다음, 심리분석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재생되는 악기의 연주 음 정보와 심리분석용 합주 음 정보가 매칭된 악기 연주음 정보를 입력받아 이 매칭된 악기 연주음 정보로부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추출한다(S90).
다음, 심리분석 서버(100)가 스텝(S90)에서 추출된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한다(S100).
다음, 심리분석 서버(100)가 스텝(S8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 및 스텝(S100)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심리를 분석하고(S110), 그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M)에 제공한다(S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심리분석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 연주 음을 청취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악기 목록을 제공하여 선택된 악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악기를 사용자가 즉석에서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 후, 상기 선택된 악기의 연주가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받아 학습 모델에 입력시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획득하며, 획득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상기 악기의 연주 음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한 후, 수집된 상기 선택된 악기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악기의 연주 음 정보와 심리분석용 합주 음 정보가 매칭된 음 정보를 입력받아 이 매칭된 음 정보로부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심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문항을 읽고 답하기 어려운 저시력 장애인이 편리하게 심리분석에 참여할 수 있고, 피험자의 심리적 상태와 내면적인 문제를 반영한 심리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는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M: 사용자 단말
100: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110: 악기 선택 정보 관리부
120: 악기 연주 환경 제공부
130: 합주 환경 제공부
140: 심리분석부

Claims (5)

  1. 사용자 단말에 연주 음을 청취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악기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악기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악기 선택 정보 관리부;
    상기 선택된 악기의 연주가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받고, 연주 음 데이터 및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에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시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획득하고, 해당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상기 악기의 연주 음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하도록 구성된 합주 환경 제공부; 및
    상기 악기 선택 정보 관리부로부터 수집된 선택된 악기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악기의 연주 음 정보와 심리분석용 합주 음 정보가 매칭된 음 정보를 입력받아 이 매칭된 음 정보로부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심리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심리분석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시키는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연주 음 데이터에 대해 후속하여 재생되는 순차 패턴 모드, 상기 연주 음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되는 동시 패턴 모드, 및 상기 연주 음 데이터에 대해 후속하면서 동시에 재생되는 순차 및 동시 패턴 모드를 포함하는,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선택된 악기를 사용자가 즉석에서 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악기 연주 환경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4.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으로서,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연주 음을 청취하면서 선택할 수 있는 악기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악기가 선택된 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선택된 악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악기의 연주가 이루어지면,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해당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연주 음 데이터 및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의 데이터 세트로 기계 학습된 학습 모델에 상기 악기의 연주 음 정보를 입력시켜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심리분석용 합주 음을 상기 악기의 연주 음과 매칭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하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선택된 악기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악기의 연주 음 정보와 심리분석용 합주 음 정보가 매칭된 음 정보를 입력받아 이 매칭된 음 정보로부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추출된 상기 리듬, 빠르기 및 음량 정보를 이용하여 그와 매칭되는 사용자의 심리 성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심리분석 서버가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기질 및 성향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심리 성향 정보를 이용하여 심리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리분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학습시키는 심리분석용 합주 음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연주 음 데이터에 대해 후속하여 재생되는 순차 패턴 모드, 상기 연주 음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되는 동시 패턴 모드, 및 상기 연주 음 데이터에 대해 후속하면서 동시에 재생되는 순차 및 동시 패턴 모드를 포함하는 심리분석 방법.
KR1020210150432A 2021-11-04 2021-11-04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 KR20230064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32A KR20230064870A (ko) 2021-11-04 2021-11-04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432A KR20230064870A (ko) 2021-11-04 2021-11-04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870A true KR20230064870A (ko) 2023-05-11

Family

ID=8637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432A KR20230064870A (ko) 2021-11-04 2021-11-04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87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698B1 (ko) 2014-06-19 2016-10-05 오미라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698B1 (ko) 2014-06-19 2016-10-05 오미라 도형 및 문항 검사를 통한 온라인 심리분석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594B2 (en) Stimulus information compiling method and system for tests
US6341267B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matching individuals with behavioral requirements and for managing providers of services to evaluate or increase individuals' behavioral capabilities
US20070254270A1 (en) Application of multi-media technology to computer administered personal assessment, self discovery and personal developmental feedback
US20080280269A1 (en) A Homework Assignment and Assessment System for Spoken Language Education and Testing
CN101493831A (zh) 实时本地音乐回放和远程服务器歌词定时同步的系统和方法
CN110069707A (zh) 一种人工智能自适应互动教学系统
Streeter et al. Computer aided music therapy evaluation: Testing the Music Therapy Logbook prototype 1 system
WO2008041881A1 (fr) Procédé permettant de déterminer l'état de stress d'un individu en fonction de sa voix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CN106846211A (zh) 基于物联网的儿童听力筛查系统
KR101508927B1 (ko) 개인용 악기연주 연습시스템
CN110652294B (zh) 基于脑电信号的创造力人格特质测量方法及装置
KR20190093770A (ko) 인공지능기반 맞춤형 음악추천에 따른 학습생성데이터의 다자간 모바일 컨텐츠 공유서비스 및 시스템
CN110853624A (zh) 言语康复训练系统
KR20110092538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자기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TW201913546A (zh) 心理與行為狀態評量暨診斷方法及系統
JP6115976B1 (ja) 情報処理機器、プログラム
KR20230064870A (ko) 온라인 음악 활동을 통한 저시력 장애인 심리분석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심리분석 방법
CN114694837A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认知功能障碍训练系统
Seiça et al. Contrasts and similarities between two audio research communities in evaluating auditory artefacts
JP20150258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92259B2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58265B2 (ja) 特性評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09377806A (zh) 一种基于学习等级的测试题分配方法及学习客户端
JP6589040B1 (ja) 音声分析装置、音声分析方法、音声分析プログラム及び音声分析システム
CN114694803A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认知功能障碍评估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