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313A -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 Google Patents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313A
KR20230064313A KR1020210149770A KR20210149770A KR20230064313A KR 20230064313 A KR20230064313 A KR 20230064313A KR 1020210149770 A KR1020210149770 A KR 1020210149770A KR 20210149770 A KR20210149770 A KR 20210149770A KR 20230064313 A KR20230064313 A KR 20230064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rock bolt
inspection rod
nut
ro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국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테크노
Priority to KR102021014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4313A/ko
Publication of KR20230064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에 관한 것으로, 터널 내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상기 터널의 내면에 천공된 복수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터널의 내면을 보강하는 락볼트의 시공여부와 개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터널의 내면에 도포되는 숏크리트층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락볼트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되며 상기 숏크리트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형상의 검측봉 본체와; 상기 터널의 내면 외부로 돌출된 상기 락볼트의 두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의 내면과 접촉되는 지압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의 외면에 상기 검측봉 본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터널면에 설치되어야 할 락볼트의 개수가 누락되지 않고 락볼트가 제대로 시공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락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지압판을 고정하는 너트를 이용하여 검측봉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자재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도 검측봉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검측봉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INSPECTION ROD FOR INDICATING ROCK BOLT}
본 발명은 건설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면에 설치되어야 할 락볼트의 개수가 누락되지 않고 락볼트가 제대로 시공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터널 내면에 락볼트가 설치된 터널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터널공사를 할 때는 발파를 통해 터널을 일정한 거리만큼 굴착한 후, 쇼크리트층과 락볼트(10)를 이용하여 굴착된 터널의 내부를 보강하고, 다시 발파를 통해 터널의 길이를 연장하고, 쇼크리트층과 락볼트(10)를 이용하여 연장된 터널의 내부를 다시 보강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양단이 개방된 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락볼트(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터널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터널 주변의 지반(1)에 고정되는 볼트축(11)과, 상기 볼트축(11)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판(12) 및 너트부재(13)로 구성된다.
락볼트(10)를 이용하여 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 발파를 통해 일정한 거리만큼 터널을 굴착한 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널이 굴착된 지반(1)의 내측면에 기초쇼크리트층(2)을 타설한다.
그리고, 상기 기초쇼크리트층(2)의 내측면으로부터 주변의 지반(1)까지 연장된 고정공(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3)에 상기 볼트축(11)을 삽입하여 그라우팅한후, 상기 볼트축(11)의 내측단에 상기 지지판(12)과 너트부재(13)를 결합하여 조이고, 상기 기초쇼크리트층(2)의 내측면에 상기 볼트축(11)의 단부가 매입될 정도의 두께로 마감쇼크리트층(4)을 타설하여 락볼트(10)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감쇼크리트층(4)의 시공이 완료되면, 다시 발파를 통해 일정거리만큼 터널을 굴착하고, 새롭게 굴착된 터널의 지반(1) 내측면을 전술한 방법을 다시 보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터널이 점차 길어지도록 하며, 터널의 양단이 완전히 개방되면, 상기 마감쇼크리트층(4)의 내측을 마감처리 하여, 터널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이와 같이 터널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터널의 내부에 설계시 정해진 만큼의 락볼트(10)가 정확히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락볼트(10)는 터널의 내부에 매우 많은 수가 설치될 뿐 아니라, 락볼트(10)를 설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작업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이러한 락볼트(10)를 설계된 것 보다 적은 수만 시공하는 경우로 인하여 시공 불량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락볼트(10)의 시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락볼트(10)를 시공한 후에는 상기 기초쇼크리트층(2)의 내측면에 마감쇼크리트층(4)이 타설되어 락볼트(10)가 가려지게 됨으로, 락볼트(10)의 시공후 락볼트(10)가 정확한 개수만큼 시공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널면에 설치되어야 할 락볼트의 개수가 누락되지 않고 락볼트가 제대로 시공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락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지압판을 고정하는 너트를 이용하여 검측봉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자재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도 검측봉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검측봉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은, 터널 내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상기 터널의 내면에 천공된 복수의 천공홀에 삽입되어 상기 터널의 내면을 보강하는 락볼트의 시공여부와 개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터널의 내면에 도포되는 숏크리트층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락볼트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되며 상기 숏크리트층의 외부로 돌출되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형상의 검측봉 본체와; 상기 터널의 내면 외부로 돌출된 상기 락볼트의 두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의 내면과 접촉되는 지압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의 외면에 상기 검측봉 본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측에 상기 검측봉 본체가 고정되고, 상기 너트의 외면에 권취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검측봉 본체가 상기 너트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띠형상의 가압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밴드는 상기 너트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너트의 외형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너트의 외면 일측에 고정되며 중앙 영역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에 상기 검측봉 본체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일정 높이를 갖는 링형상의 체결구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구의 상기 체결공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검측봉 본체의 단부 외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와 상기 검측봉 본체는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의 내면 상측에는 상기 체결구의 판면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돌출 형성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검측봉 본체의 단부 외면에는 상기 돌기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구와 상기 검측봉 본체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에 고정된 상기 검측봉 본체의 단부와 반대측 단부의 외면에는 어두운 장소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광물질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검측봉 본체는 플렉시블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은, 터널면에 설치되어야 할 락볼트의 개수가 누락되지 않고 락볼트가 제대로 시공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락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지압판을 고정하는 너트를 이용하여 검측봉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자재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도 검측봉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검측봉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널 내면에 락볼트가 설치된 터널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이 터널 내면에 설치된 락볼트에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이 락볼트 단부에 체결된 너트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이 락볼트 단부에 체결된 너트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이 락볼트 단부에 체결된 너트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이 터널 내면에 설치된 락볼트에 고정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이 락볼트 단부에 체결된 너트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이 락볼트 단부에 체결된 너트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이 락볼트 단부에 체결된 너트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은, 터널 내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상기 터널의 내면에 천공된 복수의 천공홀(3)에 삽입되어 상기 터널의 내면을 보강하는 락볼트(10)의 시공여부와 개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터널의 내면에 도포되는 숏크리트층(2, 4)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락볼트(10)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되며 상기 숏크리트층(2, 4)의 외부로 돌출되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형상의 검측봉 본체(100)와; 상기 터널의 내면 외부로 돌출된 상기 락볼트(10)의 두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의 내면과 접촉되는 지압판(12)을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13)의 외면에 상기 검측봉 본체(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선, 락볼트(10)는 터널 내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터널의 내면에 천공된 복수의 천공홀(3)에 삽입 시공되어 터널의 내면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천공홀(3)에 삽입된 후에 1차숏크리트층(2)과 2차숏크리트층(4)으로 이루어지는 숏크리트층이 터널의 내면에 도포되어 시공됨으로써 외부와 차폐된다.
이러한 락볼트(10)의 단부는 이형철근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터널 내면의 외부로 락볼트(10)의 단부가 돌출되게 시공된 후에 락볼트(10)의 단부에는 지압판(12)이 설치된다.
지압판(12)은 판면 중앙에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이 락볼트(10)의 단부에 삽입된 후에 별도의 너트(13)가 락볼트(10)의 단부에 체결되어 자입판(12)이 터널의 내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숏크리트층(2, 4)에 의하여 락볼트(10)가 외부와 차폐됨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락볼트(10)가 제대로 시공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용이하게 확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락볼트(10)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숏크리트층(2, 4)의 외부로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의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하여 육안으로 즉각즉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은 일부가 숏크리트층(2, 4)의 외부로 돌출되어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검측봉 본체(100)와, 검측봉 본체(100)를 결과적으로 락볼트(10)와 일대일로 대응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측봉 본체(100)는 락볼트(10)의 일측에 고정시에 단부 일부가 숏크리트층(2, 4)의 외부로 돌출되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검측봉 본체(100)는 플렉시블한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숏크리트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공시에 작업자가 검측봉 본체(100)로 인하여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너트(13)에 고정되는 검측봉 본체(100)의 단부와 반대측 단부인 외부로 노출되는 검측봉 본체(100)의 외면에는 어두운 장소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광물질(130)이 도포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검측봉 본체(100)의 단부가 너트(13)의 일측에 구비되는 체결구(220)에 의하여 너트(13)에 고정되는 경우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측봉 본체(100)의 단부 외면에는 걸림홈(120)이 함몰 형성되거나 혹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측봉 본체(100)의 단부 외면에는 나사산(11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200)은 검측봉 본체(100)를 락볼트(10)와 일대일 대응되게 락볼트(10)의 일측에 구비된 너트(13)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의 경우에는 가압밴드(210)로 구성될 수 있다.
가압밴드(210)는 일측에 상기 검측봉 본체(100)가 고정되고, 너트(13)의 외면에 권취되어 고정됨으로써 검측봉 본체(100)가 너트(13)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띠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가압밴드(210)는 너트(13)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횡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너트(13)의 외형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200)은 너트(13)의 외면 일측에 고정되며 중앙 영역에 체결공(221)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공(221)에 상기 검측봉 본체(1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일정 높이를 갖는 링형상의 체결구(220)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수단(200)이 체결구(220)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가압밴드(210)와 같은 별도의 구성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조그만 크기의 체결구(220)만 너트(13)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하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너트(13)의 일측에 너트(13)의 직경 방향을 따라 체결구(220)가 돌출되게 구비되기 때문에 너트(13)를 락볼트(10)에 초기 결합시에 너트(13)를 회전시키기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체결구(220)와 검측봉 본체(100)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221)의 체결공 내면에 나사산(222)이 형성되고, 상기 검측봉 본체(100)의 단부 외면에도 나사산(110)이 형성되어 체결구(220)와 상기 검측봉 본체(100)는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구(220)와 검측봉 본체(100)가 나사 결합되는 경우에는 체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220)와 검측봉 본체(100)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는 체결구(220)의 내면 상측에 체결구(220)의 판면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돌출 형성된 돌기(223)가 구비되고, 검측봉 본체(100)의 단부 외면에는 돌기(223)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체결구(220)와 검측봉 본체(10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홈(120)이 함몰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구(220)와 검측봉 본체(100)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기(223)의 외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걸림홈(120)의 외면도 돌기(223)의 외면과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결합 및 분리시에 돌기(223)와 걸림홈(120)의 상호 접촉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체결구(220)와 검측봉 본체(100)가 돌기(223)와 걸림홈(120)으로 구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경우에는 체결 및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은 터널면에 설치되어야 할 락볼트의 개수가 누락되지 않고 락볼트가 제대로 시공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락볼트의 단부에 체결되어 지압판을 고정하는 너트를 이용하여 검측봉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자재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고서도 검측봉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검측봉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락볼트 11 : 볼트축
12 : 지압판 13 : 너트
100 : 검측봉 본체 110 : 나사산
120 : 걸림홈 130 : 형광물질
200 : 고정수단 210 : 가압밴드
220 : 체결구 221 : 체결공
222 : 나사산 223 : 돌기

Claims (8)

  1. 터널 내면의 붕괴를 방지하도록 상기 터널의 내면에 천공된 복수의 천공홀(3)에 삽입되어 상기 터널의 내면을 보강하는 락볼트(10)의 시공여부와 개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터널의 내면에 도포되는 숏크리트층(2, 4)의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락볼트(10)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되며 상기 숏크리트층(2, 4)의 외부로 돌출되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형상의 검측봉 본체(100)와;
    상기 터널의 내면 외부로 돌출된 상기 락볼트(10)의 두부에 설치되어 상기 터널의 내면과 접촉되는 지압판(12)을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13)의 외면에 상기 검측봉 본체(1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0)은 일측에 상기 검측봉 본체(100)가 고정되고, 상기 너트(13)의 외면에 권취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검측봉 본체(100)가 상기 너트(13)의 외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띠형상의 가압밴드(2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밴드(210)는 상기 너트(13)의 외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너트(13)의 외형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기 너트(13)의 외면 일측에 고정되며 중앙 영역에 체결공(22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21)에 상기 검측봉 본체(1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일정 높이를 갖는 링형상의 체결구(2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21)의 상기 체결공 내면에는 나사산(222)이 형성되고, 상기 검측봉 본체(100)의 단부 외면에도 나사산(11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220)와 상기 검측봉 본체(100)는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20)의 내면 상측에는 상기 체결구(220)의 판면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돌출 형성된 돌기(223)가 구비되고, 상기 검측봉 본체(100)의 단부 외면에는 상기 돌기(223)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구(220)와 상기 검측봉 본체(10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홈(120)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13)에 고정된 상기 검측봉 본체(100)의 단부와 반대측 단부의 외면에는 어두운 장소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광물질(130)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봉 본체(100)는 플렉시블한 연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KR1020210149770A 2021-11-03 2021-11-03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KR20230064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70A KR20230064313A (ko) 2021-11-03 2021-11-03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770A KR20230064313A (ko) 2021-11-03 2021-11-03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313A true KR20230064313A (ko) 2023-05-10

Family

ID=86386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770A KR20230064313A (ko) 2021-11-03 2021-11-03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43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375B1 (ko) 설치깊이 조절 기능을 갖는 터널구축용 로크볼트 유닛
JP2016169493A (ja) 既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101505548B1 (ko) 락볼트 시공확인용 검측봉
JP2018035553A (ja) 可縮支保工の設計方法
KR20230064313A (ko) 락볼트 확인용 검측봉
JP2012001981A (ja) Sc杭,前記sc杭用の杭頭補強筋,及び前記sc杭に対する前記杭頭補強筋の取付方法
KR101029320B1 (ko) 암반 파쇄대구간 보강을 위한 록볼트 및 이를 이용한 암반파쇄대구간 보강방법
KR101513011B1 (ko) 락볼트 시공확인용 검측봉
JP2013015006A (ja) 立坑の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5148099A (ja) 山留め支保工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端部金物
KR102269636B1 (ko) 지반 보강용 네일링 조립체
JP2020023818A (ja) 矩形立坑及びその構築方法
KR102242116B1 (ko) 락볼트 위치 확인용 고정너트
KR102161411B1 (ko) 볼조인트 고정장치를 이용한 블록 또는 세그먼트 고정 구조
KR20090019189A (ko) 확장형 앵커
KR101065619B1 (ko) 인접한 터널 사이에 록볼트를 대신하여 타이로드를 설치하는 방법
JP6514018B2 (ja) トンネル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7211779B2 (ja) シールド発進側立坑壁およびシールド発進側立坑壁の施工方法
JP6884663B2 (ja) 既設構造物の補修・補強方法
KR102110260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US8087211B2 (en) Composite anchor bol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JP2013036269A (ja) Sc杭
JP7438513B2 (ja) セグメントピース及びセグメントリング
KR101134167B1 (ko) 네일링 장치
JP2023086044A (ja) 構造体の構築方法および型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