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881A -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881A
KR20230063881A KR1020220144785A KR20220144785A KR20230063881A KR 20230063881 A KR20230063881 A KR 20230063881A KR 1020220144785 A KR1020220144785 A KR 1020220144785A KR 20220144785 A KR20220144785 A KR 20220144785A KR 20230063881 A KR20230063881 A KR 20230063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orage source
power storage
operating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채빈
김동주
김승현
김안수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ublication of KR20230063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전력저장원의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여 전력저장원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고, 전력저장원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저장원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Management Apparatus For Power Storing Sour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상세하게는 전력저장원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과정에서 충전 또는 방전 후반부에 전력저장원의 충방전이 중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자원 고갈과 심각한 기후 변화로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스마트 그리드와 신재생 에너지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는 에너지 공급이 일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에너지저장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은 신재생 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하고 스마트 그리드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사용된다.
ESS는 신재생 에너지를 통해 생산한 전력이나 전력 그리드의 유휴 전력을 전력저장원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필요한 시기에 저장했던 전력을 전력 계통에 공급하여 전력 사용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이다.
ESS는 다수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원, 전력변환시스템(Power Conversion System: PCS), 전력관리 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 등을 포함한다.
PCS는 전력저장원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으로 출력하기 위하여 전류의 특성을 변환하고, 감시-제어, 독립 운전, 계통 연계 보호 기능 등을 수행한다. EMS는 ESS를 전체적으로 관리하며, 특히 ESS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전력저장원의 충전 조건과 방전 조건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PCS는 EMS가 설정한 운용 정책에 따라 전력 그리드나 신재생 에너지 발전소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력저장원을 충전시킨다. PCS는 또한 EMS가 설정한 운용 정책에 따라 전력저장원을 방전시켜 전력 계통에 전력을 제공한다.
PCS는 제어 가능한 전력사양을 가진다. 예를 들어, PCS의 전력사양이 5000kW인 경우, PCS는 최대 5000kW의 충전 전력을 전력저장원에 공급하거나, 최대 5000kw의 방전 전력을 전력저장원으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PCS는 전력저장원의 충전전력과 방전전력이 제어 가능한 전력사양을 초과하지 않도록 전력 선로의 전압과 전류를 모니터링 한다. PCS에 포함된 전압측정센서와 전류측정센서는 측정 오차를 가진다. 만약, 전압측정센서와 전류측정센서가 1% 이내의 오차를 가진다면, 충전전력과 방전전력이 낮은 경우 PCS의 전력제어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 1%의 오차에 대응되는 전력은 50kW이다. 따라서, 충전전력과 방전전력이 50kW 이하인 경우 PCS의 전력제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하, PCS의 전력제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전력사양 구간을 불안정 전력 구간(Unstable Power Range)이라고 정의한다.
전력저장원은 관리장치를 가진다. 관리장치는 전력저장원의 충전상태와 온도에 따라 전력저장원의 허용 가능한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한다. 동작 전력 리미트는 전력저장원이 수용할 수 있는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의 최대치이다. 만약, 전력저장원에 입력되는 충전전력 또는 전력저장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전력이 동작 전력 리미트를 소정 % 초과할 경우 전력저장원 관리장치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전력저장원의 충방전을 중단시킨다. 예를 들어 동작 전력 리미트를 10~20% 초과하는 것이 충방전 중단 조건으로 설정된 경우 관리장치는 전력저장원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동작 전력 리미트를 10~20% 초과하면 전력저장원의 충방전을 즉각 중단시킨다.
PCS의 전력제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전력구간은 전력저장원의 충전상태가 만충전에 가까워지거나 만방전에 가까워질 때이다. 만충전 또는 만방전에 가까워질수록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낮아지다가 결국에는 PCS의 불안정 전력 구간 이하까지 낮아지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 했듯이, 불안정 전력 구간에서는 PCS의 전력제어 정확도가 떨어진다. 즉, 전력저장원 관리장치가 요구하는 수준으로 충전전력과 방전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불안정 전력 구간에서는 충방전 중단 조건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즉, 전력저장원에 공급되는 충전전력 또는 전력저장원으로부터 출력되는 방전전력이 동작 전력 리미트를 소정 % 초과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전력저장원이 만충전되지 못하거나 만방전되지 못하고 갑자기 동작을 멈추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배경하에 창안된 것으로서, 전력저장원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SC의 불안정 전력 구간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전력저장원의 동작이 갑자기 멈추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제어 로직이 개선된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저장원관리장치는, 전력저장원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i)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력저장원의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여 전력저장원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고, (ii) 전력저장원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PCS(Power Conversion System)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력 또는 PCS 측으로 제공되는 방전전력을 결정하고, (iii)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iv)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력저장원의 충/방전 전류, 전압 및 온도를 포함하는 동작 특성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충/방전 전류를 적산하여 상기 전력저장원의 충전상태를 결정하고, 충전상태 및 온도와 동작 전력 리미트 사이의 상관 관계를 정의한 룩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충전상태와 상기 입력된 온도에 대응되는 전력저장원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PCS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의 10% 내지 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임계값은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의 30% 내지 6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선택적으로, 상기 제2임계값은 상기 전력저장원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낮아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력저장원은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는,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의 각각에 장착된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각각은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동작 특성 정보를 센서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랙의 동작 전력 리미트와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동작 전력 리미트와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합산하여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와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제1동작 중단조건이 성립되면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제2동작 중단조건이 성립되면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전력저장원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로부터 전력저장원의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는 단계; 전력저장원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PCS(Power Conversion System)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력 또는 PCS 측으로 제공되는 방전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에 각각에 장착된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와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각각이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로부터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여 배터리 랙의 동작 전력 리미트와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부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제어부가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동작 전력 리미트와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합산하여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와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제어부가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측으로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제어부가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상기 전체의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측으로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가 상기 동작 중단 메시지의 수신에 응하여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저장원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의 불안정 전력 구간 이하로 낮아질 경우 충방전 중단 조건이 완화된다. 따라서, 충전 후반부 또는 방전 후반부에 전력저장원의 동작이 중단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전력저장원을 만충전 상태까지 충전하고 만방전 상태까지 방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력저장원의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출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10)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10)는 전력저장원(11)에 결합된다. 전력저장원(11)은 스위치(12)를 통해 PCS(13)에 연결된다. PCS(13)는 ESS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전력저장원(11)에 저장된 전력을 계통으로 출력하거나 계통의 전력을 전력저장원(11)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류의 특성을 변환하고, 감시-제어, 독립 운전, 계통 연계 보호 기능 등을 수행한다.
전력저장원(11)은 복수의 배터리(14)를 포함한다. 복수의 배터리(14)는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복수의 배터리는 배터리 랙(Rack)에 탑재될 수 있다. 배터리 랙은 ESS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배터리(14)가 적재될 수 있는 선반 구조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배터리 랙은 ESS에 포함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14)는 리튬 이온 전지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이 배터리(14)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치(12)는 PCS(13)와 전력저장원(11)을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하는 부품이다. 스위치(12)는 릴레이 스위치 또는 전력 반도체 스위치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스위치(12)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력저장원 관리장치(10)는 전력저장원(11)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1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센서부(15)는 전압 측정부(15a), 전류 측정부(15b) 및 온도 측정부(15c)를 포함한다.
전압 측정부(15a)는 복수의 배터리 셀(14)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동안 각 배터리 셀의 전압을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측정하고, 전압 측정값을 제어부(16)로 출력한다.
전압 측정부(15a)는 당업계에 알려진 전압측정회로일 수 있다. 전압측정회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류 측정부(15b)는 복수의 배터리 셀(14)을 통해 흐르는 충/방전 전류를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측정하고, 전류 측정값을 제어부(16)로 출력한다.
전류 측정부(15b)는 당업계에 알려진 전류측정회로일 수 있다. 전류 측정부(15b)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홀센서나 센스 저항일 수 있다. 전압값은 오옴의 법칙에 의해 전류값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온도 측정부(15c)는 복수의 배터리 셀(14)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동안 각 배터리 셀(14)의 온도를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측정하고 온도 측정값을 제어부(16)로 출력한다.
온도 측정부(15c)는 당업계에 알려진 온도측정회로일 수 있다. 온도 측정부(15c)는 온도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출력하는 열전대 또는 온도측정소자일 수 있다. 전압값은 전압-온도 변환 룩업 테이블(함수)을 이용하여 온도값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전력저장원 관리장치(10)는 제어부(16)을 포함한다. 제어부(16)는 센서부(15)로부터 전력저장원(11)의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여 전력저장원(11)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한다. 동작 특성 정보는 전력저장원(11)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셀(14)에 대한 전압, 충/방전 전류 및 온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작 전력 리미트는 전력저장원(11)에 인가될 수 있는 충전전력의 최대치 또는 전력저장원(11)으로부터 계통에 출력될 수 있는 방전전력의 최대치이다.
제어부(16)는 복수의 배터리 셀(14) 각각에 대해 충/방전 전류를 적산하여 각 배터리 셀의 충전상태를 결정하고, 배터리 셀들의 충전상태를 합산하여 전력저장원(11)의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결정할 수 있다.
충/방전 전류의 적산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쿠울롱 카운팅법을 이용한다. 충/방전 전류의 적산 시 충전상태의 초기값은 복수의 배터리 셀(14)이 무부하 상태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한 이후에 측정한 안정화 전압을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안정화 전압과 충전상태 간의 상관 관계를 미리 정의한 룩업 정보를 참조하여 안정화 전압에 대응되는 충전상태를 룩업하고 룩업된 충전상태를 충전상태의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다른 예에서 복수의 배터리 셀(14) 각각에 대한 전압, 충/방전 전류 및 온도에 관한 정보를 확장칼만필터에 입력하여 각 배터리 셀의 충전상태를 결정하고, 배터리 셀들의 충전상태를 합산하여 전력저장원(11)의 충전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셀의 전압, 충/방전 전류 및 온도로부터 충전상태를 결정할 수 있는 확장칼만필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확장칼만필터를 이용한 충전 상태의 추정은, 일 예로서 그레고리 엘 플레트(Gregory L. Plett)씨의 논문 “Extended Kalman filtering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s of LiPB-based HEV battery packs Parts 1, 2 and 3”(Journal of Power Source 134, 2004, 252-261)를 참조 가능하고,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위 논문이 합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6)는 전력저장원(11)의 충전상태 및 온도와 동작 전력 리미트 간의 상관 관계를 정의한 룩업 정보를 참조하여 전력저장원(11)의 현재 충전상태와 현재 온도에 대응되는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저장원(11)은 HVAC(Heating,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 장치에 의해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전력저장원(11)의 온도는 배터리 셀들의 평균 온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력저장원(11)의 온도는 배터리 셀들의 최고 온도일 수 있다.
동작 전력 리미트는 룩업 정보를 참조하는 방식 이외에 다른 공지의 방식으로도 결정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6)는 또한 전력저장원(11)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동안 PCS(13)로부터 전력저장원(11)으로 공급되는 충전전력 또는 전력저장원(11)으로부터 PCS(13) 측으로 제공되는 방전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6)는 복수의 배터리 셀(11)의 총 전압과 충/방전 전류를 곱셈 연산하여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총 전압은 각 배터리 셀의 전압을 합산하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각 배터리 셀의 전압과 충/방전 전류는 센서부(15)를 통해 얻은 동작 특성 정보를 참조하여 얻을 수 있다.
제어부(16)는 PCS(13)와 전력저장원(11)이 연결된 전력 라인의 전류와 전압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여 PCS(13)로부터 전력저장원(11)으로 공급되는 충전전력 또는 전력저장원(11)으로부터 PCS(13) 측으로 제공되는 방전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력저장원 관리장치(11)는 전력 라인의 전류와 전압을 모니터하기 위한 전류 측정부(미도시)와 전압 측정부(미도시)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에 속하는지 여부, 그리고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임계치 이상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 전력저장원(11)의 동작을 유지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16)는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전력저장원(11)의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조건(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되면, 제어부(16)는 스위치(12)를 턴오프시켜 전력저장원(11)의 충전 또는 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제어부(16)는 스위치(12)의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전력저장원(11)의 충전 또는 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어부(16)는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전력저장원(11)의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조건(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되면, 제어부(16)는 스위치(12)를 턴오프시켜 전력저장원(11)의 충전 또는 방전을 중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제어부(16)는 스위치(12)의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전력저장원(11)의 충전 또는 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제1임계값은 동작 전력 리미트를 기준으로 10% 내지 30%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는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전력저장원(11)의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10% 내지 30% 이상인 조건이 충족될 때 전력저장원(11)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제2임계값은 동작 전력 리미트를 기준으로 30% 내지 60%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는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전력저장원(11)의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30% 내지 60% 이상인 조건이 충족될 때 전력저장원(11)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동작 중단조건은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일 때 적용된다. 불안정 전력 구간은 PCS의 전압 및 전류 측정오차에서 비롯된 것이다. 일 예에서, 전압 및 전류 측정오차가 1%라면, 불안정 전력 구간은 PCS의 출력 사양*측정오차에 해당하는 전력 구간이다. 만약, PCS의 출력 사양이 5000kW라면, 불안정 전력 구간은 0 내지 50kW 사이의 구간이다.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불안정 전력 구간으로 진입하는 시점은 전력저장원(11)이 만충전 상태 또는 만방전 상태에 근접한 때이다. 이 때는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제2임계값을 제1임계값보다 증가시키더라도 안전성에 대한 이슈는 발행하지 않는다. 전력저장원(11)이 복수의 배터리 셀(14)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2임계값이 제1임계값보다 크더라도 각 배터리 셀의 관점에서는 동작 전력 리미트를 초과하는 정도가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다.
위와 같이, PCS(13)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불안정 전력 구간으로 진입하였을 때 전력저장원(11)의 충방전 중단 조건을 제1임계값에서 제2임계값으로 증가시키면, 배터리 셀의 안전성 이슈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충전후반부 또는 방전후반부에 전력저장원(11)의 동작이 갑자기 중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전력저장원(11)을 만충전 상태부터 만방전 상태까지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사용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제2임계값은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의 수준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에 속하고 그 값이 작을수록 제2임계값을 단계적으로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낮아질수록 배터리 셀의 안전성 이슈가 일어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전력저장원 관리장치(10)는 저장매체(17)와 통신 인터페이스(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매체(17)는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기록하고 소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저장매체(17)는 RAM, ROM, 레지스터,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 또는 자기기록 매체일 수 있다.
저장매체(17)는 제어부(16)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도록 예컨대 데이터 버스 등을 통해 제어부(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저장매체(17)는 제어부(16)가 수행하는 각종 제어 로직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또는 제어 로직이 실행될 때 발생되는 데이터, 및/또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나 룩업 정보/테이블 등을 저장 및/또는 갱신 및/또는 소거 및/또는 전송한다.
제어부(16)는 통신 인터페이스(18)를 통해 PCS(13)와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16)는 통신 인터페이스(18)를 통해 PCS(13)의 불안정 전력 구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매체(17)에 기록할 수 있다. 저장매체(17)에 저장된 불안정 전력 구간에 관한 정보는 제1동작 중단조건과 제2동작 중단조건의 충족 여부를 결정할 때 참조될 수 있다.
제어부(16)는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8)를 통해 PCS(13) 측으로 동작 전력 리미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PCS(13)는 동작 전력 리미트를 초과하지 않도록 충전전력을 전력저장원(11)에 공급한다. 이 때, PCS(13)는 전력 그리드의 교류 전력을 충전 전력에 상응하는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저장원(11)에 제공한다. 또한, PCS(13)는 동작 전력 리미트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력저장원(11)으로부터 직류 형태의 방전 전력을 제공 받고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여 전력 그리드에 공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8)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공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인터페이스(18)는 CAN 통신 인터페이스, 데이지체인(daisy-chain) 인터페이스, 이더넷(Ethernet) 통신 인터페이스, WI-FI; 블루투스(Blue tooth); 또는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20)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 있어서 전력저장원(11)은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을 포함한다. 각 배터리 랙은 제1실시예의 전력저장원(11)과 마찬가지로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전력저장원 관리장치(20)는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는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에 각각 결합된 제1 내지 제n센서부(15-1~15-n)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센서부(15-1~15-n) 각각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압 측정부(15a), 전류 측정부(15b) 및 온도 측정부(15c)를 포함한다.
전력저장원 관리장치(20)는 또한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와 각각 결합된 제1 내지 제n저장매체(17-1~17-n)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저장원 관리장치(20)는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와 각각 결합된 제1 내지 제n통신 인터페이스(18-1~18-n)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저장매체(17-1~17-n)와 제1 내지 제n통신 인터페이스(18-1~18-n)에 관한 구성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전력저장원 관리장치(20)는 또한 마스터 제어부(21)를 포함한다. 마스터 제어부(21)는 저장매체(22) 및 통신 인터페이스(23)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저장매체(22) 및 통신 인터페이스(23)에 관한 구성은 제1실시예의 저장매체(17) 및 통신 인터페이스(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마스터 제어부(21)는 통신 인터페이스(23)를 통해서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마스터 제어부(21)와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들(16-1~16-n, 23)이 사용될 것임은 자명하다. 따라서 제어부들 상호간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의 송수신을 설명할 때 통신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 ~ 16-n)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슬레이브 제어부(16-1)는 자신이 장착된 제1배터리 랙(11-1)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15-1)로부터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여 제1배터리 랙(11-1)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여 통신을 통해 마스터 제어부(21) 측으로 전송한다. 제2슬레이브 제어부(16-2)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n)도 자신이 장착된 제2 내지 제n배터리 랙(11-2~11-n)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각각 결정하여 통신을 통해 마스터 제어부(21)로 전송한다. 동작 전력 리미트의 결정 방법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슬레이브 제어부(16-1)는 또한 제1배터리 랙(11-1)이 충전 또는 방전되는 동안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하여 통신을 통해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마스터 제어부(21)로 제공한다. 제2슬레이브 제어부(16-2)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n)도 자신이 장착된 제2 내지 제n배터리 랙(11-2~11-n)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하여 통신을 통해 마스터 제어부(21)로 전송한다.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의 결정 방법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마스터 제어부(21)는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로부터 동작 전력 리미트가 전송되면 각 값을 모두 합산하여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의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마스터 제어부(21)는 또한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로부터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전송되면 각 값을 모두 합산하여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의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터 제어부(21)는 또한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이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조건(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제1임계값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의 10% 내지 30%로 설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제1동작 중단조건이 성립되면, 마스터 제어부(21)는 통신을 통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 측으로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전송한다. 반면, 제1동작 중단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마스터 제어부(21)는 통신을 통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 측으로 동작 유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스터 제어부(21)는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이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조건(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 제2임계값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의 30% 내지 60%로 설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제2동작 중단조건이 성립되면, 마스터 제어부(21)는 통신을 통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 측으로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전송한다. 반면, 제2동작 중단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마스터 제어부(21)는 통신을 통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 측으로 동작 유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1슬레이브 제어부(16-1)은 통신을 통해 마스터 제어부(21)로부터 동작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이 장착된 제1배터리 랙(11-1)에 설치된 스위치(12-1)를 턴오프시켜 제1배터리 랙(11-1)의 충전 또는 방전을 중단시킨다. 반면, 제1슬레이브 제어부(16-1)가 통신을 통해 마스터 제어부(21)로부터 동작 유지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이 장착된 제1배터리 랙(11-1)에 설치된 스위치(12-1)의 턴온 상태를 유지시켜 제1배터리 랙(11-1)의 충전 또는 방전을 계속해서 유지한다.
제2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2~16-n)도 제1슬레이브 제어부(16-1)와마찬가지로 통신을 통해 동작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면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동작을 중단시키며, 반대로 통신을 통해 동작 유지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동작을 계속해서 유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3에 개시된 방법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10)의 제어방법이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3의 단계들에 대한 수행주체는 제1실시예의 제어부(16)이다. 또한, 도 3의 단계들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제어부(16)는 센서부(15)로부터 전력저장원(11)의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한다.
이어서, 단계 S20에서, 제어부(16)는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저장원(11)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30에서, 제어부(16)는 PCS(13)로부터 전력저장원(11)으로 공급되는 충전전력 또는 전력저장원(11)으로부터 PCS(13) 측으로 공급되는 방전전력을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40에서, 제어부(16)는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큰 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0의 판단이 YES이면, 제어부(16)는 단계 S50에서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전력저장원(11)의 충전상태 및 온도에 대응되는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단계 S50의 판단이 YES이면, 제어부(16)는 단계 S70에서 전력 라인에 설치된 스위치(12)를 턴오프시켜 전력저장원(11)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반면, 단계 S50의 판단이 NO이면, 제어부(16)는 단계 S80에서 전력 라인에 설치된 스위치(12)의 턴온 상태를 유지시켜 전력저장원(11)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한편, 단계 S40의 판단이 NO인 경우, 제어부(16)는 단계 S60에서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전력저장원(11)의 충전상태 및 온도에 대응되는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단계 S60의 판단이 YES이면, 제어부(16)는 단계 S90에서 전력 라인에 설치된 스위치(12)를 턴오프시켜 전력저장원(11)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반면, 단계 S60의 판단이 NO이면, 제어부(16)는 단계 S100에서 전력 라인에 설치된 스위치(12)의 턴온 상태를 유지시켜 전력저장원(11)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저장원(11)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에 속할 경우 전력저장원(11)의 충/방전 중단 조건을 증가시켜 완화시킴으로써 충전 후반부 또는 방전 후반부에서 전력저장원(11)의 동작이 중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전력저장원(11)을 만충전 상태까지 충전하고 만방전 상태까지 방전하여 전력저장원(11)의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20)의 제어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에 개시된 방법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20)의 제어방법이며, 도 4의 단계들에 대한 수행주체는 제2실시예의 제1 내지 제n슬레이부 제어부(16-1~16-n) 또는 마스터 제어부(21)이다. 또한, 도 4의 단계들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200에서, 제1슬레이브 제어부(16-1)는 자신이 장착된 제1배터리 랙(11-1)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15-1)로부터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여 제1배터리 랙(11-1)의 동작 출력 리미트를 결정하여 마스터 제어부(21)로 제공한다. 제2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2~16-n)도 제1슬레이브 제어부(16-1)과 마찬가지로 제2 내지 제n배터리 랙(11-2~11-n)의 동작 출력 리미트를 결정하여 마스터 제어부(21)로 제공한다.
이어서, 단계 S210에서, 마스터 제어부(21)는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로부터 전송된 동작 출력 리미트를 모두 합산하여 전체 동작 출력 리미트를 결정한다.
이어서, 단계 S220에서, 마스터 제어부(21)는 제1 내지 제2배터리 랙(11-1~11-n)이 동작하는 동안 PCS(13)로부터 공급되는 전체 충전전력 또는 PCS(13)측으로 공급되는 전체 방전전력을 결정한다.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의 결정을 위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는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하여 통신을 통해 마스터 제어부(2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마스터 제어부(21)는 각 배터리 랙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모두 합산하여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스터 제어부(21)는 전력 라인에 설치된 전압 측정부(미도시)와 전류 측정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전력 라인의 전압과 전류를 각각 측정하고, 전압과 전류의 곱셈 연산을 통해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각 배터리 랙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은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단계 S220 이후에 단계 S230이 진행된다.
단계 S230에서, 마스터 제어부(21)는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큰지 결정한다.
단계 S230의 판단이 YES이면, 마스터 제어부(21)는 단계 S240에서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이 전체 동작 출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S240의 판단이 YES이면, 마스터 제어부(21)는 단계 S250에서 동작 중단 메시지를 통신을 통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 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는 단계 S260에서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스위치를 턴오프시켜 배터리 랙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단계 S240의 판단이 NO이면, 마스터 제어부(21)는 단계 S270에서 동작 유지 메시지를 통신을 통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 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는 단계 S280에서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스위치의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 랙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한편, 단계 S230의 판단이 NO이면, 마스터 제어부(21)는 단계 S255에서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이 전체 동작 출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S255의 판단이 YES이면, 마스터 제어부(21)는 단계 S290에서 동작 중단 메시지를 통신을 통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 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는 단계 S300에서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스위치를 턴오프시켜 배터리 랙의 동작을 중단시킨다.
단계 S255의 판단이 NO이면, 마스터 제어부(21)는 단계 S310에서 동작 유지 메시지를 통신을 통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 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16-1~16-n)는 단계 S320에서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스위치의 턴온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 랙의 동작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의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이 PCS(13)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에 속할 경우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의 충방전 중단 조건을 증가시켜 완화시킴으로써 충전 후반부 또는 방전 후반부에서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의 동작이 중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을 만충전 상태까지 충전하고 만방전 상태까지 방전하여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11-1~11-n)의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16, 16-1~16-n, 21)는 제어회로일 수 있다. 제어부(16, 16-1~16-n, 21)는 상술한 다양한 제어 로직들을 실행하기 위해 당업계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제어부(16, 16-1~16-n, 21)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컴퓨터 부품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저장매체(17, 17-1~17-n)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디바이스의 종류에 상관 없이 정보가 저장되는 디바이스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특정 메모리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6, 16-1~16-n, 21)의 다양한 제어 로직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합되고, 조합된 제어 로직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 체계로 작성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해 접근이 가능한 것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 예시로서, 상기 기록매체는 ROM, RAM, 레지스터,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광 데이터 기록장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드 체계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 분산되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합된 제어 로직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양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부'라고 명명된 구성 요소들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요소들이라고 하기 보다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요소들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와 선택적으로 통합되거나 각각의 구성요소가 제어 로직(들)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서브 구성요소들로 분할될 수 있다. 하지만 구성요소들이 통합 또는 분할되더라도 기능의 동일성이 인정될 수 있다면 통합 또는 분할된 구성요소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5)

  1. 전력저장원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i)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력저장원의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여 전력저장원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고, (ii) 전력저장원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PCS(Power Conversion System)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력 또는 PCS 측으로 제공되는 방전전력을 결정하고, (iii)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iv)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도록 구성된,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력저장원의 충/방전 전류, 전압 및 온도를 포함하는 동작 특성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충/방전 전류를 적산하여 상기 전력저장원의 충전상태를 결정하고, 충전상태 및 온도와 동작 전력 리미트 사이의 상관 관계를 정의한 룩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충전상태와 상기 입력된 온도에 대응되는 전력저장원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PCS로부터 제공 받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의 10% 내지 30%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계값은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의 30% 내지 60%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계값은 상기 전력저장원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낮아질수록 증가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저장원은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8.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의 각각에 장착된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각각은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동작 특성 정보를 센서부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배터리 랙의 동작 전력 리미트와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동작 전력 리미트와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합산하여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와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제1동작 중단조건이 성립되면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제2동작 중단조건이 성립되면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9. 전력저장원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로부터 전력저장원의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는 단계;
    전력저장원이 동작하는 동안 상기 동작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PCS(Power Conversion System)로부터 공급되는 충전전력 또는 PCS 측으로 제공되는 방전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상기 충전전력 또는 상기 방전전력이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전력저장원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력저장원의 충/방전 전류, 전압 및 온도를 포함하는동작 특성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충/방전 전류를 적산하여 상기 전력저장원의 충전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충전상태 및 온도와 동작 전력 리미트 사이의 상관 관계를 정의한 룩업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결정된 충전상태와 상기 입력된 온도에 대응되는 전력저장원의 동작 전력 리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에 관한 정보를 상기 PCS로부터 제공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의 10% 내지 30%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계값은 상기 동작 전력 리미트의 30% 내지 60%인,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계값은 상기 전력저장원의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이 낮아질수록 증가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 내지 제n배터리 랙에 각각에 장착된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와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와 통신이 가능하게 결합된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각각이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동작 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로부터 동작 특성 정보를 취득하여 배터리 랙의 동작 전력 리미트와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결정하여 상기 마스터 제어부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제어부가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동작 전력 리미트와 충전전력 또는 방전전력을 합산하여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와 전체 충전전력 또는 전체 방전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제어부가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보다 크고,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1임계값 이상인 제1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측으로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제어부가 상기 전체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PCS의 미리 설정된 불안정 전력 구간 이내이고, 상기 전체의 충전전력 또는 상기 전체 방전전력이 상기 전체 동작 전력 리미트보다 제2임계값(제1임계값보다 큼) 이상인 제2동작 중단조건이 충족될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 측으로 동작 중단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내지 제n슬레이브 제어부가 상기 동작 중단 메시지의 수신에 응하여 자신이 장착된 배터리 랙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원 관리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144785A 2021-11-02 2022-11-02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638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49215 2021-11-02
KR1020210149215 2021-11-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881A true KR20230063881A (ko) 2023-05-09

Family

ID=8624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785A KR20230063881A (ko) 2021-11-02 2022-11-02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04044A1 (ko)
JP (1) JP2024510602A (ko)
KR (1) KR20230063881A (ko)
CN (1) CN116964894A (ko)
WO (1) WO202308065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1598B2 (ja) * 2004-12-13 2009-03-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US20120276208A1 (en) 2011-04-27 2012-11-01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Acute cognitive and mood effects of plant polysaccharides in adult human subjects
US9277298B2 (en) * 2011-09-20 2016-03-0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anaging apparatus,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US11916422B2 (en) * 2019-01-31 2024-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power control in a power grid
KR102084676B1 (ko) * 2019-08-20 2020-03-04 주식회사 케이디티 Ess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063692B1 (ko) * 2019-08-20 2020-01-09 (주)피앤이이노텍 발전 시스템과 연계하여 배터리 랙들을 충방전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4044A1 (en) 2024-01-10
JP2024510602A (ja) 2024-03-08
WO2023080650A1 (ko) 2023-05-11
CN116964894A (zh)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6654B2 (ja) 省エネルギー及び速いセルバランシングが可能な充電制御装置及び方法
EP2654176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7973515B2 (en) Power management systems with controllable adapter output
US5565759A (en) Smart battery providing battery life and recharge time prediction
JP5385719B2 (ja) 組電池の管理装置
EP2985857A1 (en) Storage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battery management method
KR102439179B1 (ko) 배터리 랙 상태 추정 장치 및 방법
CN111845455A (zh) 电动汽车蓄电池充电控制方法及装置
US20220077710A1 (en) Battery controller, wireless battery control system, battery pack, and battery balancing method
KR20190127060A (ko) 배터리 모듈 밸런싱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30063881A (ko) 전력저장원 관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767542A (zh) 用于管理电池的功率节省型装置和方法
US20220373606A1 (en) Power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US20230333529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upper power management devic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US20230291222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power feeding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KR20210114757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방법
AU2016238069C1 (en) Storage battery management device, control device, storage battery module, and storage battery management method
US20230333525A1 (en) Upper power management device, power interchang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217159359U (zh) 一种传感器电源管理系统
KR20240020590A (ko) 배터리 화재 예측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배터리 시스템
WO2021192108A1 (ja) 電力管理装置、給電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CN113452129A (zh) 电能质量监测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20230174322A (ko) 내부 누설 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배터리 셀 컨트롤러
JP2023181752A (ja) 電源システム、電源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07816A (ja) 電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