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3123A - 이동식 목욕차량 - Google Patents

이동식 목욕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3123A
KR20230063123A KR1020210148025A KR20210148025A KR20230063123A KR 20230063123 A KR20230063123 A KR 20230063123A KR 1020210148025 A KR1020210148025 A KR 1020210148025A KR 20210148025 A KR20210148025 A KR 20210148025A KR 20230063123 A KR20230063123 A KR 2023006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tub
frame
sewage tank
disposed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210148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3123A/ko
Publication of KR2023006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anitation devices
    • B60R15/02Wash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목욕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은 이동 목욕차의 내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둘 이상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하나 이상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투수홀을 개폐하는 마개가 마련된 욕조틀; 상기 기둥부 사이에 배치되고 유입관이 형성되며 상기 욕조틀에서 사용된 물이 저장되는 오수탱크; 및 상기 오수탱크의 유입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욕조틀의 투수홀 측에 타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욕조틀의 물이 상기 오수탱크로 배출되도록 하는 주름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목욕차량{Movable bath car}
본 발명은 이동식 목욕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장애우 등은 각 가정 또는 병원, 요양소, 복지시설 등에서 보호자나 도우미 등의 보호를 받게 되며, 청결한 신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목욕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목욕시설이 멀리 있거나 부족한 등의 경우에도 이용상 불편함을 감수하고 목욕을 행하였으나, 종래에는 이동목욕차량이 개발되어 상기의 불편함이 많이 해소되고 있다.
종래 이동목욕차량은 주로 버스의 내부 또는 탑차의 적재함에 목욕실을 구비하고, 상기 목욕실의 내부에는 물탱크와 보일러, 욕조 등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목욕 후 사용된 물(오수)을 외부에 배수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환경관련 문제로 인해 오수를 아무 곳에 버릴 수 없다. 따라서, 목욕실 내에 오수탱크를 설치하고, 오수를 오수탱크에 저장한 후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여 오수를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동목욕차량의 목욕실 내에 오수탱크가 설치됨으로 인해, 목욕실 내부 공간이 더욱 협소해짐에 따라, 목욕도우미들이 목욕실 내에서 움직이기에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욕조를 기울여 욕조의 오수를 오수탱크로 배출함에 따라, 욕조의 오수를 오수탱크로 배출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목욕실의 내부공간을 넓힐 수 있고, 욕조의 오수를 오수탱크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동식 목욕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은 이동 목욕차의 목욕실 내부 바닥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둘 이상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하나 이상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투수홀을 개폐하는 마개가 마련된 욕조틀; 상기 기둥부 사이에 배치되고 유입관이 형성되며 상기 욕조틀에서 사용된 물이 저장되는 오수탱크; 및 상기 오수탱크의 유입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욕조틀의 투수홀 측에 타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욕조틀의 물이 상기 오수탱크로 배출되도록 하는 주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내부에 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를 통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욕조틀이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투수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욕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는 상기 관통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플레이트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욕조틀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난간대; 및 상기 욕조플레이트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욕조틀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욕조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막대 및 상기 수평지지막대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지지막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오수탱크의 측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오수탱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은 욕조에 오수탱크가 일체화될 수 있어 목욕실의 내부 공간을 넓힐 수 있으므로, 목욕실의 내부가 깔끔해지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목욕도우미들이 목욕실 내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은 주름관을 통해 욕조틀의 오수를 오수탱크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은 유입관이 오수탱크의 측부에서 상측방향으로부터 기울어져 있으므로, 욕조틀의 오수를 오수탱크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의 하부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의 상부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의 욕조틀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의 욕조플레이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의 오수탱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10)는 이동 목욕차의 목욕실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10)는 하부프레임(100), 기둥부(200), 상부프레임(300), 욕조틀(400), 욕조플레이트(500), 난간대(Q), 사이드 지지대(R), 오수탱크(600) 및 주름관(7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4를 참고하면, 하부프레임(100)은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이동 목욕차의 내부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프레임(100)의 상단에는 기둥부(2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200)는 둘 이상으로 마련되고 이동 목욕차의 목욕실 내부 바닥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1을 참고하면, 기둥부(20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기둥부(200)는 하부프레임(100)의 상단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하부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기둥부(200)는 내부에 실린더가 마련되고 실린더를 통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는 유압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다.
도1 및 도5를 참고하면, 상부프레임(300)은 기둥부(2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300)은 사각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300)의 외측 측부에는 복수개의 힌지브라켓(31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브라켓(310)에는 사이드 지지대(R)의 하단에 마련된 힌지결합부(Ra)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힌지브라켓(310)에는 힌지축(32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축(320)은 힌지결합부(Ra)에 형성된 장공을 통과한 후 힌지브라켓(310)에 설치되어 힌지결합부(Ra)를 힌지브라켓(3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지지대(R)는 힌지축(32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힌지축(320)이 힌지결합부(Ra)에 형성된 장공(Ras)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사이드 지지대(R)는 힌지축(32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축(320)이 힌지결합부(Ra)에 형성된 장공(Ras)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힌지결합부(Ra)의 측부가 상부프레임(300)에 접촉되어, 사이드 지지대(R)는 상부프레임(30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300)의 내측에는 상부프레임(300)의 휨을 방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 지지바(330)가 고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부프레임(300)의 내측 일측부에는 한 쌍의 제1 회전브라켓(340)이 각각 프레임 지지바(330)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300)의 내측 타측부에는 레일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레일브라켓(350)이 각각 프레임 지지바(330)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브라켓(340) 사이에는 제2 회전브라켓(220)이 힌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브라켓(220)은 기둥부(2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브라켓(350) 사이에는 한 쌍의 제2 레일브라켓(210)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제1 레일브라켓(35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일브라켓(210)은 제1 레일브라켓(350)의 레일홈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일브라켓(210)은 기둥부(2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제2 회전브라켓(220) 및 제2 레일브라켓(210)은 서로 이격된 기둥부(20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레일브라켓(210)이 고정된 기둥부(20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상부프레임(300)은 기울어 질 수 있다.
욕조틀(400)은 기둥부(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400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욕조틀(400)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투수홀(400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욕조틀(400)에는 투수홀(400h)을 개폐하는 마개(410)가 마련될 수 있다.
욕조플레이트(500)는 상부프레임(30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욕조플레이트(500)의 상단에는 욕조틀(400)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욕조플레이트(500)에는 투수홀(400h)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500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수홀(400h)과 관통홀(500h)은 연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욕조플레이트(500)의 하부에는 욕조플레이트(5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욕조플레이트 지지막대(51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욕조플레이트 지지막대(510)는 수평지지막대(512) 및 수직지지막대(5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막대(511)와 수평지지막대(512)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욕조플레이트(500)를 지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욕조플레이트(500)의 하부에는 수평지지막대(512) 및 수평지지막대(512)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지지막대(511)가 설치되어 욕조플레이트(500)를 지지할 수 있다.
난간대(Q)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난간대(Q)는 욕조플레이트(500)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욕조틀(400)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 지지대(R)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지지대(R)의 하단에는 힌지결합부(R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힌지결합부(Ra)에는 장공(Ras)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지지대(R)는 욕조플레이트(500)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프레임(300)의 좌우측에 마련된 힌지브라켓(310)에 힌지결합부(Ra)를 통해 각각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지지대(R)는 욕조틀(400)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오수탱크(600)는 기둥부(200) 사이에 배치되고 욕조틀(400)에서 사용된 물(오수)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오수탱크(600)는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수탱크(600)의 상부에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6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640)의 상단에는 개폐도어 손잡이(64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오수탱크(600)는 측부에는 이동용 손잡이(63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오수탱크(600)는 측부 상단에 하나 이상의 유입관(6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관(610)은 오수탱크(600)로부터 상측방향으로 기울어짐으로써, 오수가 오수탱크(600)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수탱크(600)의 측부 하단에는 배출관(620)이 마련될 수 있다.
주름관(700)은 오수탱크(600)의 유입관(6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욕조틀(400)의 투수홀(400h) 측에 타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름관(700)은 욕조틀(400)의 오수가 오수탱크(60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주름관(700)의 타단부는 욕조틀(400)의 투수홀(400h)에 연통되는 관통홀(500h)에 연결될 수 있다. 정리하면, 욕조틀(400)의 오수는 투수홀(400h), 관통홀(500h), 주름관(700) 및 유입관(610)을 통과하여 오수탱크(600)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욕조틀(400)의 마개(410)를 통해 투수홀(400h)을 개방시키면, 욕조틀(400)의 오수는 오수탱크(60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10)는 욕조에 오수탱크(600)가 일체화될 수 있어 목욕실의 내부 공간을 넓힐 수 있으므로, 목욕실의 내부가 깔끔해지고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10)는 주름관(700)을 통해 욕조틀(400)의 오수를 오수탱크(600)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목욕차량(10)는 유입관(610)이 오수탱크(600)의 측부에서 상측방향으로부터 기울어져 있으므로, 욕조틀(400)의 오수를 오수탱크(600)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이동식 목욕차량
100 : 하부프레임 200 : 기둥부
300 : 상부프레임 400 : 욕조틀
500 : 욕조플레이트 600 : 오수탱크
700 : 주름관 Q : 난간대
R : 사이드 지지대

Claims (6)

  1. 이동 목욕차의 목욕실 내부 바닥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둘 이상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하나 이상의 투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투수홀을 개폐하는 마개가 마련된 욕조틀;
    상기 기둥부 사이에 배치되고 유입관이 형성되며 상기 욕조틀에서 사용된 물이 저장되는 오수탱크; 및
    상기 오수탱크의 유입관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욕조틀의 투수홀 측에 타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욕조틀의 물이 상기 오수탱크로 배출되도록 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이동식 목욕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내부에 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는 이동식 목욕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욕조틀이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투수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욕조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는 상기 관통홀에 연결되는 이동식 목욕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플레이트의 전후방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욕조틀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난간대; 및
    상기 욕조플레이트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좌우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욕조틀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사이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목욕차량.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욕조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수평지지막대 및 상기 수평지지막대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지지막대가 설치되는 이동식 목욕차량.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오수탱크의 측부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오수탱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이동식 목욕차량.
KR1020210148025A 2021-11-01 2021-11-01 이동식 목욕차량 KR20230063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25A KR20230063123A (ko) 2021-11-01 2021-11-01 이동식 목욕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025A KR20230063123A (ko) 2021-11-01 2021-11-01 이동식 목욕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123A true KR20230063123A (ko) 2023-05-09

Family

ID=8640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025A KR20230063123A (ko) 2021-11-01 2021-11-01 이동식 목욕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31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9090C2 (ru) Защитно-маскировочный кожух для унитаза и унитаз с таким кожухом
KR20230063123A (ko) 이동식 목욕차량
KR102208538B1 (ko) 이동 목욕차용 오수탱크 일체형 욕조
US5048132A (en) Bath/shower seat assembly and enclosure
WO2000027266A1 (en) Expandable shower enclosure
WO2011155856A1 (en) Tilting bathtub
JP2919825B1 (ja) 介護用ベッド
GB2200382A (en) Apparatus for cleansing a bowl-like article or other article supported on or above a floor surface
JP7373281B2 (ja) 壁掛け便器
CN220458257U (zh) 一种可折叠收纳的宠物洗澡箱
JP2002309787A (ja) サニタリユニット
CN220757265U (zh) 一种卫浴一体柜
KR100746123B1 (ko) 다기능 이동식 화장실
KR102424452B1 (ko) 캠핑트레일러용 샤워부스 설치장치
JP3048179U (ja) 浴槽兼用ベッド
CN213526123U (zh) 移动式洗漱车
JPH0747571Y2 (ja) 壁掛便器を有するトイレの床補強フレームの構造
JP2528318Y2 (ja) 多目的水槽の設置構造
AU709168B3 (en) A space saving combination shower and bath assembly
KR0119384Y1 (ko) 직립식 빨래대
AU2004210619B2 (en) A Bath Assembly and System
JP2007054580A (ja) 入浴補助装置
AU2004100297A4 (en) A Bath Assembly and System
JPS604479Y2 (ja) 洋風便器付洗面化粧台
JPH0130191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