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2856A - 카트리지,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2856A
KR20230062856A KR1020237011446A KR20237011446A KR20230062856A KR 20230062856 A KR20230062856 A KR 20230062856A KR 1020237011446 A KR1020237011446 A KR 1020237011446A KR 20237011446 A KR20237011446 A KR 20237011446A KR 20230062856 A KR20230062856 A KR 20230062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liquid
wall
mounting portion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미 나가시마
요시히로 고이즈미
슌 오야
šœ 오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6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Landscapes

  • Ink Jet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카트리지 내에 소비되지 않고 잔류하는 액체의 양을 저감한다. 카트리지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와,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전방벽과, 전방벽과 교차하며, 상기 액체 도입부와 접속하는 액체 공급부가 배치된 바닥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장치
본 개시는 카트리지, 인쇄 시스템, 인쇄 장치에 대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쇄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대해, 카트리지를 인쇄 장치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전방벽에 액체 공급부를 배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 WO 2013/105504 호
종래의 기술에서는, 전방벽에 액체 공급부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공급부를 거쳐서 인쇄 장치에 카트리지에 수용된 액체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내에 소비되지 않고 잔류하는 액체의 양이 증대할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도입부를 갖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 교차하며, 상기 액체 도입부와 접속하는 액체 공급부가 배치된 바닥벽을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인쇄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인쇄 시스템은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갖는 인쇄 장치와, 상기 형태의 상기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이 인쇄 장치는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카트리지가 삽입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실과,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액체 도입부로서, 상기 카트리지의 액체 공급부에 접속되는 액체 도입부를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로서의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Z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3-3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영역(R4)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Y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카트리지 장착부에 카트리지가 장착된 도면이다.
도 7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 장착부를 +Z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카트리지 장착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장치측 단자부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 1 종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종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종 카트리지의 일부를 도시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14는 제 1 종 카트리지의 일부를 도시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15는 제 1 종 카트리지의 제 1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제 2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 1 종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 1 종 카트리지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제 1 종 카트리지의 상면도이다.
도 20은 제 2 종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2 종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제 2 종 카트리지의 배면도이다.
도 23은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1 도이다.
도 24는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2 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3 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단면도이다.
A. 실시형태:
A-1. 인쇄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로서의 인쇄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서로 직교하는 3개의 공간축인 XYZ축이 묘사되어 있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은, 각각, X축, Y축, Z축을 따른 정의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X축, Y축, Z축을 따른 정의 방향을, 각각, +X 방향, +Y 방향, +Z 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의 화살표가 향하고 있는 방향과 역의 방향이, 각각 X축, Y축, Z축을 따른 부의 방향이다. X축, Y축, Z축을 따른 부의 방향을, 각각 -X 방향, -Y 방향, -Z 방향으로 한다. X축, Y축, Z축을 따른 방향으로 정부(positive and negative)를 문제삼지 않는 것을, 각각 X 방향, Y 방향, Z 방향이라 칭한다. 이 이후에 도시하는 도면 및 설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인쇄 시스템(1)은 인쇄 장치(10)와, 인쇄 장치(10)에 액체인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4)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10)는, 잉크를 토출 헤드(22)로부터 토출하는 잉크젯 프린터이다. 이 인쇄 장치(10)는, 포스터 등의 넓은 지면의 용지(A2 내지 A0 등)에 인쇄를 실행하는 대형 프린터이다. 인쇄 장치(10)는 카트리지 장착부(6)와, 제어부(31)와, 캐리지(20)와, 토출 헤드(22)와, 구동 기구(30)를 구비한다. 또한, 인쇄 장치(10)는 인쇄 장치(10)의 동작을 이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15)을 구비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는, 복수의 카트리지(4)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블랙,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4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4종류의 카트리지(4)가 1개씩, 즉, 합계 4개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다. 블랙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K)라고도 칭하며, 옐로우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Y)라 칭하며, 마젠타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M)라고도 칭하며, 시안의 잉크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4C)라고도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K)는 카트리지(4C, 4M, 4Y)보다 많은 액체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4K)를 제 1 종 카트리지(4A)라고도 칭하며, 카트리지(4C, 4M, 4Y)를 제 2 종 카트리지(4B)라고도 칭한다.
인쇄 장치(10)는 +Y 방향측의 전면으로 교환용 커버(13)를 갖는다. 교환용 커버(13)의 +Z 방향측을 +Y 방향측인 바로앞측으로 넘어뜨리면,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개구가 나타나고, 카트리지(4)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장착되면, 액체 유통관으로서의 튜브(24)를 거쳐서 캐리지(20)에 마련된 토출 헤드(22)에 잉크가 공급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두차(water head difference)를 이용하여, 카트리지(4)로부터 토출 헤드(22)에 잉크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액체 저류부(699) 내의 잉크의 액면과 토출 헤드(22)의 수두차에 의해 잉크가 토출 헤드(22)에 공급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의 도시하지 않은 펌프 기구에 의해, 카트리지(4) 내의 잉크를 흡인하는 것에 의해, 잉크가 토출 헤드(22)에 공급되어도 좋다. 또한, 튜브(24)는 잉크의 종류마다 마련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며, 액체로서의 잉크가 인쇄 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는 상태를 "장착 상태"라고도 칭한다.
토출 헤드(22)에는, 잉크의 종류마다 노즐이 마련되어 있다. 토출 헤드(22)는 노즐로부터 인쇄 용지(2)를 향해 잉크를 토출하는 문자나 화상 등의 데이터를 인쇄한다. 또한,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하는 형태나, 카트리지(4) 및 카트리지 장착부(6)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장치(10)는, 카트리지 장착부(6)가 캐리지(20)의 움직임과는 연동하지 않는, 이른바 "오프 캐리지 타입"이라 칭하는 프린터이다. 캐리지(20)에 카트리지 장착부(6)가 마련되며, 캐리지(20)와 함께 카트리지 장착부(6)가 이동하는, 이른바 "온 캐리지 타입"이라 칭하는 프린터에도 본 개시는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31)는 인쇄 장치(10)의 각 부의 제어나, 카트리지(4)와의 신호의 주고받음을 실행한다. 캐리지(20)는 토출 헤드(22)를 인쇄 용지(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제어부(31)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캐리지를 왕복동시킨다. 구동 기구(30)는 타이밍 벨트(32)와, 구동 모터(34)를 구비한다. 타이밍 벨트(32)를 거쳐서 구동 모터(34)의 동력을 캐리지(20)에 전달하는 것에 의해, 캐리지(20)가 X 방향을 따른 방향인 주 주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인쇄 장치(10)는 인쇄 용지(2)를 +Y 방향인 부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반송 기구를 구비한다. 인쇄가 실행될 때에는, 반송 기구에 의해 인쇄 용지(2)가 부 주사 방향으로 이동하고, 전면 커버(11) 상에 인쇄 완료 후의 인쇄 용지(2)가 출력된다.
또한, 캐리지(20)를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킨 인쇄 영역 외의 위치에는, 홈 포지션이라 칭하는 영역이 마련되어 있으며, 홈 포지션에는, 정상적으로 인쇄를 실행시키기 위한 메인터넌스를 실행하는 메인터넌스 기구가 탑재되어 있다. 메인터넌스 기구는, 토출 헤드(22)의 저면측에서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가압되며, 노즐을 둘러싸도록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캡 부재(8)나, 토출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하기 위해 캡 부재(8)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나, 캡 부재(8)가 토출 헤드(22)의 노즐면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 공간에 부압을 도입하는 도시하지 않은 흡인 펌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시스템(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인쇄 용지(2)를 반송하는 부 주사 방향을 따른 축을 Y축으로 하고, 중력 방향을 따른 축을 Z축으로 하고, 캐리지(20)의 이동 방향을 따른 축을 X축으로 한다. 여기에서, "인쇄 시스템(1)의 사용 상태"는, 수평인 면에 인쇄 시스템(1)이 설치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 주사 방향을 +Y 방향, 그 역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중력 방향을 -Z 방향, 반중력 방향을 +Z 방향으로 한다. X 방향과 Y 방향은 수평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또한, 인쇄 시스템(1)을 전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X 방향으로 하고, 그 역 방향을 -X 방향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을 위해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삽입되는 삽입 방향이 -Y 방향이며,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이 +Y 방향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장착부(6) 중, -Y 방향측을 안쪽측이라고도 칭하고, +Y 방향측을 바로앞측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카트리지(4)의 배열 방향이 X 방향이 된다.
A-2.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의 개략 구성:
도 2는 카트리지 장착부(6)를 +Z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3-3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영역(R4)의 확대도이다. 도 2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에는 카트리지(4K)가 장착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카트리지(4)의 장착 과정 및 장착 상태의 개략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카트리지(4C, 4M, 4Y, 4K)에 대해, 장착 과정 및 장착 상태는 동일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고,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1 장치벽(67)이 갖는 삽발 개구부(674)를 거쳐서,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수용실(61)은 카트리지(4)를 수용한다. 삽발 개구부(674)는 카트리지(4)의 수용실(61)로의 출입구이다.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지지 부재(610)에 의해 -Z 방향측으로부터 카트리지(4)가 지지된다. 또한,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장착된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액체 공급부(442)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액체 도입부(642)가 접속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액체 수용부(450)에 수용된 잉크가, 액체 공급부(442)를 거쳐서 액체 도입부(642)에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부(442)로부터 액체 도입부(642)에 잉크가 공급되는 한편, 액체 저류부(699)에 수용된 공기가 기포가 되어 액체 도입부(642), 액체 공급부(442)를 유통하여 액체 수용부(450)에 유통된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부(450)의 기액 교환이 실행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가 액체 수용부(450)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대기 연통로를 가지며, 이 대기 연통로를 거쳐서 기액 교환이 실행되어도 좋다. 대기 연통로는 액체 공급부(442)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450)를 형성하는 벽에 형성된다.
액체 도입부(642)는 카트리지(4)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수용한다. 액체 도입부(642)는 통형상의 부재이며, 내부에 액체를 유통시키는 내부 유로를 갖는다. 액체 도입부(642)는 기단부(642a)와 선단부(642b)를 갖는다. 선단부(642b)에는, 내부 유로에 연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를 거쳐서 액체 공급부(442)의 잉크가 내부 유로에 유통한다. 기단부(642a)는 액체 저류부(699)에 접속되어 있으며, 내부 유로를 유통한 잉크를 액체 저류부(699)에 유통시킨다. 액체 저류부(699)는 수용실(61)의 -Z 방향측에 위치한다. 액체 저류부(699)는 도 1에 도시하는 튜브(24)를 거쳐서 토출 헤드(22)와 연통한다. 이상과 같이, 액체 도입부(642)는 액체 저류부(699)와 튜브(24)를 거쳐서 토출 헤드(22)와 연통한다. 액체 도입부(642)의 중심축(CA1)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과 평행이며, Z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즉, 액체 도입부(642)가 연장되는 방향인 중심축(CA1)을 따른 방향은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과 교차한다.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은 액체 공급부(44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회로 기판(50)과,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치측 단자부(70)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장치측 단자부(70)는 보지 기구(73)에 의해 보지된다. 장치측 단자부(70)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와, 단자 보지부(750)와, 커넥터(739)를 갖는다.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의 각각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의 판 부재이다. 장치측 단자(721)는 단자 회전 지점(Rp)을 가지며, 단자 회전 지점(Rp)을 지점으로 단부인 회로 기판(50)의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접촉하는 부분을 탄성 변형할 수 있다. 탄성 변형하는 방향은 Y 방향과 Z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단자 보지부(750)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를 보지한다. 커넥터(739)는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739)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인쇄 장치(10)의 제어부(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회로 기판(50)과 제어부(31)가 데이터 통신 가능해진다.
보지 기구(73)는 부세 부재(780)와, 장착 부재(782)를 갖는다. 부세 부재(780)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장착 부재(782)는 내측에 부세 부재(780)를 배치한다. 또한, 장착 부재(782)에는 장치측 단자부(70)가 장착되어 있다. 부세 부재(780)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압축된다. 이에 의해, 부세 부재(780)는 장착 부재(782)를 거쳐서 장치측 단자부(70)를 제 1 장치벽(67)측인 카트리지(4)의 분리 방향측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Fa)을 가한다. 외력(Fa)에 의해, 장치측 단자부(70)는 회로 기판(50)에 가압되기 때문에, 장치측 단자(721)와 카트리지측 단자(521)의 접촉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보지 기구(73)는 장치측 단자부(70)를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보지한다. 또한, 부세 부재(780)의 장치측 단자부(70)측의 일단부는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X 방향 및 Z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치측 단자부(70)는, 보지 기구(73)에 의해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X 방향 및 Z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 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장착 과정은 단자 접속 과정과, 단자 접속 과정 다음에 실행되는 공급부 접속 과정에 의해 구성된다. 단자 접속 과정은, 제 1 장치벽(67)의 삽발 개구부(674)를 거쳐서, 카트리지(4)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함으로써, 장치측 단자(721)와 카트리지측 단자(521)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과정이다. 공급부 접속 과정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721)와 카트리지측 단자(521)의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 부재(610)가 갖는 변위 기구로서의 회전 지점(698)을 지점으로 하여, 카트리지(4)의 후면(47)측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접속 방향(D2)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도입부(642)와 액체 공급부(442)를 접속하는 과정이다. 회전 지점(698)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제 2 장치벽(62)측에 마련되어 있다.
공급부 접속 과정에 있어서는, 카트리지(4)가 갖는 오목형상의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에, 카트리지 장착부(6)가 갖는 돌기인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가 인입되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에 의한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과 교차하는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위치결정이 실행된다.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일단부(644a)와 타단부(644b)를 갖는다. 일단부(644a)는 액체 저류부(699)측에 위치한다. 일단부(644a)는 타단부(644b)보다 수용실(61)측에 위치한다.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는, 지지 부재(610)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주벽(main wall)(613)은 Y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구체적으로, 지지 부재(610)의 주벽(613)은 +Y축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하측인 -Z 방향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다. 이 주벽(613)은, 카트리지(4)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초기 배치 상태에서는, Y 방향으로 평행이다.
카트리지 장착부(6)는,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610)를 초기 배치 상태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외력(Ft1)을 지지 부재(610)에 가하는 장치 부세 부재(625)를 갖는다. 장치 부세 부재(625)는 지지 부재(610)와 액체 저류부(699) 사이에 마련된 코일 스프링이며, 장착 상태에서는 압축 상태가 된다. 압축 상태에 의해 +Z 방향 성분을 갖는 외력(Ft1)을 지지 부재(610)에 가한다. 한편,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맞물림부(497)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착 맞물림부(697)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장착 맞물림부(697)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맞물림 형성체(677)에 형성되어 있다.
A-3. 카트리지 장착부(6)의 상세 구성:
도 5는 카트리지 장착부(6)를 +Y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장착된 도면이다. 도 7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 장착부(6)를 +Z 방향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장치측 단자부(70)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서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카트리지 장착부(6)의 일부의 구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해, X 방향을 폭 방향, Y 방향을 안길이 방향, Z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이하에 있어서, 특별히 상태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초기 배치 상태일 때의 카트리지 장착부(6)를 전제로 각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카트리지(4)가 수용되는 수용실(61)을 형성한다. 수용실(61)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수용실(61) 중, 각 카트리지(4C, 4M, 4Y, 4K)를 수용하는 부분인 슬롯(61C, 61M, 61Y, 61K)은 대체로 각 카트리지(4C, 4M, 4Y, 4K)의 외관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K)는 다른 카트리지(4C, 4M, 4Y)에 비해, 수용하는 액체의 양을 크게 하기 때문에, Y 방향의 치수가 크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롯(61K)의 폭은, 다른 슬롯(61C, 61M, 61Y)의 폭보다 크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수용실(61)을 형성하는 6개의 장치벽(62, 63, 64, 65, 66, 67)을 갖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벽"은 단일의 벽에 부가하여, 복수의 벽에 의해 구성된 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 2 장치벽(62)은 수용실(61)의 -Y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제 2 장치벽(62)은 인쇄 장치(10)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대체로 수직인 벽이다.
제 1 장치벽(67)은 Y 방향에 있어서, 제 2 장치벽(62)과 대향한다. 제 1 장치벽(67)은 카트리지(4)를 수용실(61)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에 통과시키는 삽발 개구부(674)를 형성한다.
장치 상벽(63)은 수용실(61)의 +Z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장치 바닥벽(64)은, Z 방향에 있어서 장치 상벽(63)과 대향하여, 수용실(61)의 -Z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장치 바닥벽(64)은 지지 부재(61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장치 바닥벽(64)은 복수의 개구부(614)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614)는 슬롯(61C, 61M, 61Y, 61K)을 따라서 4개 형성되어 있다. 장치 상벽(63) 및 장치 바닥벽(64)은, 제 2 장치벽(62)과 제 1 장치벽(67)과 교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만난다"나 " 교차한다"는 (ⅰ) 2개의 요소가 서로 교차하며 실제로 만나는 상태, (ⅱ) 한쪽의 요소를 연장한 경우에 다른쪽의 요소와 만나는 상태, 및 (ⅲ) 상호의 요소를 각각 연장한 경우에 서로의 요소가 만나는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제 1 장치 측벽(65)은 수용실(61)의+X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제 2 장치 측벽(66)은, X 방향에 있어서 제 1 장치 측벽(65)과 대향하며, 수용실(61)의 -X 방향측의 벽을 형성한다. 제 1 장치 측벽(65) 및 제 2 장치 측벽(66)은 제 2 장치벽(62)과, 제 1 장치벽(67)과, 장치 상벽(63)과, 장치 바닥벽(64)과 교차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또한 지지 부재(610)와, 액체 도입부(642)와,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와, 장치 안내부(602)와, 맞물림 형성체(677)를 갖는다. 지지 부재(610)는 장착되는 카트리지(4)의 수에 따라서 복수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610)는 4개 마련되어 있다. 지지 부재(610)는 수용실(61)의 중력 방향측의 장치 바닥벽(64)을 형성한다. 지지 부재(610)는 카트리지(4)를 중력 방향측인 -Z 방향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지지 부재(610)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재이다. 지지 부재(610)는 오목형상이다. 지지 부재(610)는 장치 바닥벽(64)을 형성하는 주벽(613)과,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을 갖는다.
주벽(613)은 중력 방향측에 위치하는 오목형상의 바닥부를 형성한다. 주벽(613) 중 제 1 장치벽(67)측의 단부에는 개구부(61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614)는 주벽(613)의 두께 방향으로 주벽(613)을 관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측벽(611)은 주벽(613)의 +X 방향측 단부로부터 반중력 방향인 +Z 방향으로 솟아오른다. 제 2 지지 측벽(612)은 주벽(613)의 -X축 방향측 단부로부터 +Z 방향으로 솟아오른다.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은 X 방향으로 대향한다.
장치 안내부(602)는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 및 분리 방향으로 안내한다. 장치 안내부(602)는 지지 부재(610)마다 마련되어 있다. 장치 안내부(602)는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의 각각에 마련되어 있다. 장치 안내부(602)는 제 1 지지 측벽(611)과 제 2 지지 측벽(612)에 마련된 돌기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측벽(611)에 마련된 제 1 장치 안내부(602a)는 제 1 지지 측벽(611)으로부터 제 2 지지 측벽(612)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이다. 제 1 장치 안내부(602a)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제 1 장치 안내부(602a)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제 2 지지 측벽(612)에 마련된 제 2 장치 안내부(602b)는 제 2 지지 측벽(612)으로부터 제 1 지지 측벽(611)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이다. 제 2 장치 안내부(602b)는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제 2 장치 안내부(602b)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도입부(642)는 카트리지(4)의 액체를 수용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의 초기 배치 상태에서는, 액체 도입부(642)는, 수용실(61)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이, 수용실(61)보다 -Z 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액체 도입부(642)는 지지 부재(610)에 대해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되는 경우에, 액체 도입부(642)에 카트리지(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도입부(642)의 선단부(642b)는,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지지 부재(610)를 접속 방향(D2)으로 회전 이동시켜 개구부(614)를 누르는 것에 의해, 수용실(61) 내에 배치된다. 즉, 변위 기구로서의 회전 지점(698)은, 지지 부재(610)를 회전 이동시켜 개구부(614)를 중력 방향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개구부(614)를 거쳐서 액체 도입부(642)의 선단부(642b)를, 수용실(61) 내에 배치시킨다.
도 7에 도시하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에 수용하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의 위치결정이 실행된다. 카트리지 장착부(6)의 초기 배치 상태에서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수용실(61) 내에 위치하는 일이 없이, 수용실(61)보다 -Z 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는 지지 부재(610)에 대해 수용실(61)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삽입되는 경우에,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에 카트리지(4)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의 타단부(644b)는,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지지 부재(610)를 접속 방향(D2)으로 회전시켜 개구부(614)를 누르는 것에 의해, 수용실(61) 내에 배치된다. 즉, 회전 지점(698)은 지지 부재(610)를 회전시켜 개구부(614)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개구부(614)를 거쳐서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의 타단부(644b)를 수용실(61) 내에 배치시킨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6)는, 또한 장치측 단자부(70)와, 장치측 식별 부재(630)를 갖는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부(70)가 갖는 단자 보지부(750)는 장치측 단자(721)가 노출된 보지부 표면(750fa)과, 제 1 보지부 측벽(750ft)과, 제 2 보지부 측벽(750fw)을 구비한다. 제 1 보지부 측벽(750ft)은 단자 보지부(750)의+X 방향측의 측벽을 형성한다. 제 2 보지부 측벽(750fw)은 단자 보지부(750)의 -X 방향측의 측벽을 형성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수용실(61)의 각 슬롯(61C, 61M, 61Y, 61K)에 올바른 종류의 카트리지(4C, 4M, 4Y, 4K)가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카트리지(4C, 4M, 4Y, 4K)가 수용하는 액체의 색에 따라서, 상이한 패턴 형상을 형성한다. 도 8에서는, 각 슬롯(61C, 61M, 61Y, 61K)에 있어서,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편의상 동일한 패턴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상이한 패턴 형상이 된다.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지지 부재(610)의 주벽(613)에 마련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리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패턴 형상은 리브의 수와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카트리지(4)에도, 리브에 의해 형성된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는 카트리지(4)의 종류, 즉 수용하는 액체의 색에 따라서, 상이한 패턴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올바른 종류의 카트리지(4)가 대응하는 슬롯(61C 내지 61K)에 삽입되는 경우는, 장치측 식별 부재(630)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가 충돌하는 일이 없이, 끼워맞춰진다. 한편,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슬롯(61C 내지 61K)에 삽입된 경우는, 장치측 식별 부재(630)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가 충돌하여, 더욱 카트리지(4)의 삽입이 저해된다. 이에 의해,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각 슬롯(61C 내지 61K)에 장착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부(70)는, 상술한 복수의 장치측 단자(721), 단자 보지부(750), 커넥터(739)에 부가하여,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를 갖는다.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는 카트리지(4)의 수용실(61)로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카트리지(4)의 단자 위치결정부에 수용되어,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X 방향과 Y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장치측 단자(721)와 카트리지측 단자(521)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한 위치결정이 실행된다.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는 슬롯(61C 내지 61K)마다 2개씩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 중, 한쪽을 제 1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t)라고도 칭하며, 다른쪽을 제 2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w)라고도 칭한다. 제 1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t)와 제 2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w)는 각각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기둥 형상 부재이다. 제 1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t)는 제 1 보지부 측벽(750ft)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w)는 제 2 보지부 측벽(750fw)에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보지부(750)의 보지부 표면(750fa)은 +Y 방향 성분, 및 +Z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며, Y 방향 및 Z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장치측 단자(721) 중 회로 기판(50)과 접촉하는 단자 접점(722)은 보지부 표면(750f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단자 접점(722)은 화살표(YR1)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의 +Y 방향측 단부는 단자 접점(722)에 비해 +Y 방향측에 위치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측 단자부(70)와,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각각 지지 부재(610)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 부재(610)가 연장되는 방향인 Y 방향에 대해, 장치측 단자부(70) 및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액체 도입부(642)나 개구부(614)를 사이에 두고 제 1 장치벽(67)과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장치측 단자부(70) 및 장치측 식별 부재(630)는 제 2 장치벽(62)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장치측 단자부(70)는 장치측 식별 부재(630)에 비해 -Y 방향측인 제 2 장치벽(62)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와 장치측 식별 부재(630)의 끼워맞춤이 개시된 후에, 장치측 단자(721)와 카트리지측 단자(521)의 접촉이 개시된다. 따라서,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장치측 단자(721)가 접촉하여, 잘못된 종류의 카트리지(4)가 장착된 상태로 회로 기판(50)의 기억 장치와 제어부(31)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물림 형성체(677)는 지지 부재(610)보다 +Y 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 형성체(677)는 삽발 개구부(674)보다 -Z 방향측에 위치한다. 맞물림 형성체(677)에는, 각 슬롯(61C 내지 61K)에 대응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장착 맞물림부(697)가 4개 배치되어 있다.
A-4. 카트리지(4)의 상세 구성:
도 11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종 카트리지(4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일부를 도시하는 제 1 도이다. 도 14는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일부를 도시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15는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제 1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제 2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배면도이다. 도 19는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상면도이다. 카트리지(4)에 대해, Y 방향은 안길이 방향, Z 방향이 높이 방향, X 방향이 폭 방향이다. 카트리지(4)는 대용량의 액체를 수용하며, 외형이 큰 카트리지이다. 카트리지(4)의 외형에 대해, Y 방향의 치수가 가장 크고, Z 방향의 치수, X 방향의 치수의 순서로 작다. 카트리지(4)를 도시하는 도면에 대해, X 방향, Y 방향, Z 방향은,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인 단자 접속 과정의 완료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즉, 카트리지(4)를 도시하는 도면에 대해, X 방향, Y 방향, Z 방향은 지지 부재(610)를 회전 이동시키는 공급부 접속 과정 전의 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종 카트리지(4A)는 상벽(43)을 형성하는 액체 수용체(401)와, 바닥벽(44)을 형성하는 어댑터(402)를 구비한다. 어댑터(402)는 액체 수용체(401)에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된다.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는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상이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액체 수용체(401)를 형성하는 부재는 어댑터(402)를 형성하는 부재보다 경량이어도 좋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외형은 대략 직방체 형상이다. 제 1 종 카트리지(4A)는 외피를 형성하는 본체(41)와, 본체(41)에 장착된 회로 기판(50)을 구비한다. 본체(41)는 상술의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종 카트리지(4A)의 본체(41)는 전방벽(42)과, 후방벽(47)과, 상벽(43)과, 바닥벽(44)과, 제 1 측벽(45)과, 제 2 측벽(46)과, 코너부(89)를 갖는다. 각 벽(42, 43, 44, 45, 46, 47)은 각 면(42, 43, 44, 45, 46, 47)이라고도 칭한다. 전방벽(42)과 후방벽(47)은 삽입 방향을 따른 Y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다. 상벽(43)과 바닥벽(44)은 Z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다. Z 방향은 액체 공급부(442)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른 중심축(CA2)과 평행이다. 제 1 측벽(45)과 제 2 측벽(46)은 X 방향에 있어서 대향한다. X 방향은 Y 방향과 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벽(42)은 카트리지(4)가 장착부(6)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측에 위치한다. 즉, 전방벽(42)은 삽입 방향측인 -Y 방향측의 삽입 선단부면을 형성한다. 후방벽(47)은 분리 방향인 +Y 방향측의 면을 형성한다. 상벽(43)은 +Z 방향측에 위치하며, 전방벽(42)과 후방벽(47)과 교차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벽(44)은 장착 상태에 있어서, 중력 방향측인 -Z 방향측에 위치하며, 도 3에 도시하는 접속 방향(D2)의 접속 선단부면을 형성한다. 즉, 바닥벽(44)은 접속 방향(D2)측에 위치한다. 바닥벽(44)은 전방벽(42)과 후방벽(47)과 교차한다. 바닥벽(44)에는, 삽입 개구부(446)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개구부(446) 내에는, 액체 공급부(442)가 배치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이 삽입 개구부(446)를 통하도록 액체 공급부(442)는 배치된다. 카트리지(4)의 장착 과정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6)의 액체 도입부(642)가 삽입 개구부(446)에 삽통된다. 삽입 개구부(446) 및 액체 공급부(442)는, 삽입 방향에 대해, 카트리지(4)의 중앙부(MP)와, 후방벽(47)측의 단부 사이의 영역(RY)에 위치한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45)은 -X 방향측에 위치하며, 제 2 측벽(46)은 +X 방향측에 위치한다. 제 1 측벽(45)과 제 2 측벽(46)은, 각각 전방벽(42)과, 후방벽(47)과, 상벽(43)과, 바닥벽(44)과 교차한다. 코너부(89)는 전방벽(42)과 바닥벽(44)이 교차하는 코너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코너부(89)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90)를 갖는다.
제 1 종 카트리지(4A)는,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450)와, 액체 공급부(442)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와,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와, 회로 기판(50)과, 카트리지 안내부(447)와, 도 18에 도시하는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를 구비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액체 공급부(442)는 액체 수용부(450)와 연통하며, 중심축(CA2)을 갖는다. 중심축(CA2)을 따른 방향은 Z 방향이다. 액체 공급부(442)가 연장되는 방향인 중심축(CA)을 따른 방향은 삽입 방향인 -Y 방향과 교차한다. 즉, 액체 공급부(442)는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본 실시형태에서는 Z 방향으로 연장된다. 액체 공급부(442)는 액체 수용체(401)의 바닥벽인 수용체 바닥벽(431)으로부터 어댑터(402)측으로 돌출되는 통형상 부재이다. 액체 공급부(442)는 어댑터(402)의 오목형상의 공급부 배치실(461)에 배치된다. 공급부 배치실(461)의 오목형상의 바닥부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삽입 개구부(446)가 형성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442)는 내부 유로(449)를 가지며, 액체 수용부(450)의 액체를 외부인 액체 도입부(642)에 유통시킨다. 액체 공급부(442)의 기단부인 공급 기단부(442e2)는 액체 수용체(401)의 바닥벽인 수용체 바닥벽(431)에 접속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442)의 선단부인 공급 선단부(442e1)는 외부를 향하여 개구된다. 액체 공급부(442)의 내부 유로(449)에는, 내부 유로(449)를 개폐하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 기구는 공급 선단부(442e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밸브 시트와, 밸브 본체와, 부세 부재를 갖는다. 밸브 시트는 고무나 엘라스토머에 의해 형성된 원환상의 부재이다. 밸브 본체는 기둥 형상 부재이며, 밸브 시트에 형성된 밸브 구멍을 폐색한다. 부세 부재는 밸브 본체를 밸브 시트측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이다.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는, 액체 도입부(642)가 밸브 본체를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밸브 기구가 밸브 개방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는,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의 올바른 슬롯(61C, 61M, 61Y, 61K)에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는, 바닥벽(44) 중에서 전방벽(42)에 가까운 측,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너부(89)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 리브이다.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는 카트리지(4C, 4M, 4Y, 4K)가 수용하는 액체의 색에 따라서, 상이한 패턴 형상을 형성한다. 패턴 형상은 리브의 수와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를 수용하여, 액체 공급부(442)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위치결정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공급부 접속 과정에 있어서,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를 수용하여, 접속 방향(D2)과 교차하는 방향의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의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위치결정을 실행한다.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바닥벽(44)에 형성되며, 바닥벽(44)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바닥벽(44)을 관통하는 구멍이어도 좋다.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오목부이며, 바닥벽(44)의 외표면측에 형성된 입구부의 개구 면적은 입구부보다 안쪽측인 오목부의 바닥부측의 개구 면적보다 크다. 이에 의해, 공급부 접속 과정에 있어서,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삽입 방향에 대해, 액체 공급부(442)나 삽입 개구부(446)를 사이에 두고 회로 기판(50)이 갖는 카트리지측 단자(521)와는 반대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는 바닥벽(44) 중에서 후방벽(47)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는 후방벽(47)에 마련되어 있다.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는 후방벽(47)의 외표면으로부터 오목한 오목부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0)은 코너부(89)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50)은 표면(50fa)에 배치된 복수의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이면에 배치된 기억 장치(525)를 갖는다. 장치측 단자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카트리지측 단자(521)는 배선을 거쳐서 기억 장치(52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측 단자(52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9개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측 단자(521)가 배치된 표면(50fa)은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 표면(50fa)은 -Z 방향 성분과 -Y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며,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기억 장치(525)에는, 카트리지(4)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제조년월일이나 액체 잔량이 기억되어 있다. 장착 상태에서, 복수의 카트리지측 단자(521)가 대응하는 장치측 단자(721)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인쇄 장치(10)의 제어부(31)와, 기억 장치(52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50)은 코너부(89)의 오목부(90)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90)는 전방벽(42)과 바닥벽(44)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90)는 전방벽(42) 측에 위치하는 입구 개구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전방벽(982)과, 오목부(90)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바닥벽(988)과, 한쌍의 오목부 측벽(902t, 902w)을 갖는다.
오목부 바닥벽(988)은 Y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부분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지는 부분은, Y 방향에 대해 오목부 전방벽(982)을 향함에 따라서, +Z 방향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다. 이 경사진 부분에 회로 기판(50)은 배치된다.
한쌍의 오목부 측벽(902t, 902w)은 오목부 바닥벽(988)의 접속된 벽이다. 한쌍의 오목부 측벽(902t, 902w)은 X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1 오목부 측벽(902t)은 오목부 바닥벽(988)의 -X 방향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오목부 측벽(902w)은 오목부 바닥벽(988)의 +X 방향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오목부 측벽(902t)과 제 2 오목부 측벽(902w)을 구별하는 일이 없이 이용하는 경우에는, 오목부 측벽(902)이라 칭한다. 오목부 전방벽(982)에 형성된 개구인 입구 개구부는 장치측 단자부(70)가 오목부(90)에 삽입될 때의 입구가 된다.
한쌍의 오목부 측벽(902t, 902w)에는, 한쌍의 단자 위치결정부(906t, 906w)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단자 위치결정부(906t, 906w)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 보도록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단자 위치결정부(906t, 906w)를 구별하여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 1 단자 위치결정부(906t), 제 2 단자 위치결정부(906w)라고도 칭하며, 구별하여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자 위치결정부(906)라고도 칭한다. 단자 위치결정부(906)는 오목부 측벽(902)에 형성된 홈이다. 제 1 단자 위치결정부(906t)는 제 1 오목부 측벽(902t)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한 형상의 홈이다. 제 2 단자 위치결정부(906w)는 제 2 오목부 측벽(902w)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한 형상의 홈이다.
제 1 단자 위치결정부(906t)는, 단자 접속 과정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제 1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t)를 수용한다. 즉, 제 1 단자 위치결정부(906t)에는, 제 1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t)가 삽입된다. 제 2 단자 위치결정부(906w)는, 단자 접속 과정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제 2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w)를 수용한다. 즉, 제 2 단자 위치결정부(906t)에는, 제 2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w)가 삽입된다. 단자 위치결정부(906)로의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의 삽입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와 장치측 식별 부재(630)의 끼워맞춤이 개시된 후에 실행된다. 또한, 단자 위치결정부(906)로의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의 삽입은 장치측 단자(721)와 카트리지측 단자(521)의 접촉을 개시하기 전에 개시된다.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가 단자 위치결정부(906)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와 단자 위치결정부(906)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521)의 장치측 단자(721)에 대한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Z 방향과 X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움직임이 규제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521)의 장치측 단자(721)에 대한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Z 방향과 X 방향의 위치결정이 실행된다. 단자 위치결정부(906)는 +Y 방향측에 단부벽(916)을 갖는다. 이 단부벽(916)에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756)의 선단부가 닿은 접촉 위치로부터, 더욱 카트리지(4)가 삽입 방향측으로 전진하는 것에 의해, 단자 접속 과정은 완료된다. 접촉 위치로부터 카트리지(4)가 삽입 방향측으로 더욱 전진하는 것에 의해, 보지 기구(73)가 삽입 방향측으로 압입된다. 이에 의해, 장치측 단자부(70)는 카트리지(4)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삽입 방향측으로 이동한다. 단자 접속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부세 부재(780)가 압축된 상태가 된다. 또한, 단자 접속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장치측 단자(721)와 카트리지측 단자(521)가 접촉한다.
도 11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삽입 방향인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카트리지 장착부(6)의 장치 안내부(602)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안내된다.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제 1 측벽(45)과 제 2 측벽(46)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는 제 1 측벽(45)에 형성된 카트리지 안내부(447)에 싱글 해칭을 부여하고 있다.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단차에 의해 제 1 측벽(45)과 제 2 측벽(46)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4)의 폭에 대해, 바닥벽(44)을 포함하는 일부분은 바닥벽측 부분보다 바닥벽(44)으로부터 이격된 부분에 있는 타부분보다 작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안내부(447)를 형성하는 단차가 형성된다.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Z 방향을 향하는 면이다. 제 1 측벽(45)에 형성된 카트리지 안내부(447)를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라고도 칭하며, 제 2 측벽(46)에 형성된 카트리지 안내부(447)를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라고도 칭한다.
카트리지 장착부(6)에 카트리지(4)가 삽입된 경우, 장치 안내부(602)의 +Z 방향측의 면과 카트리지 안내부(447)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안내된다. 제 1 장치 안내부(602a)의 +Z 방향측의 면은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와 접촉하고, 제 2 장치 안내부(602b)의 +Z 방향측의 면은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와 접촉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402)는 단자 위치결정부(906)와, 카트리지측 단자(521)를 갖는 코너부(89)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와, 삽입 개구부(446)와,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와, 카트리지 안내부(447)와, 공급부 배치실(461)을 갖는다.
도 20은 제 2 종 카트리지(4B)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2 종 카트리지(4B)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제 2 종 카트리지(4B)의 배면도이다. 제 2 종 카트리지(4B)와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상이한 점은, 액체 수용체(401B)의 폭이, 도 11에 도시하는 액체 수용체(401)의 폭보다 작은 점이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체(401B)에 형성된 액체 수용부(450)를 수용할 수 있는 액체의 양은 액체 수용체(401)에 형성된 액체 수용부(450)를 수용할 수 있는 액체의 양보다 작다. 제 2 종 카트리지(4B)의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종 카트리지(4A)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첨부와 함께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종 카트리지(4B)의 어댑터(402)는 제 1 종 카트리지(4A)의 어댑터(402)와,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가 형성하는 패턴 형상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다. 이에 의해, 용량이 상이한 카트리지(4A, 4B)에 대해, 어댑터(402)를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다.
A-5.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 과정:
도 23은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1 도면이다. 도 24는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2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단면도이며, 도 2의 3-3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제 3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단면도이며, 도 2의 3-3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는 단자 접속 과정을 도시하며, 도 26 및 도 27은 공급부 접속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의 삽발 개구부(674)로부터 수용실(61) 내에 삽입한다. 카트리지(4)의 카트리지 장착부(6)로의 삽입 방향(D1)은 -Y 방향이며, 카트리지 안내부(447)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이다.
카트리지(4)가 도 23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더욱 삽입 방향(D1)으로 전진하면,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접속 과정이 완료된다. 도 24에 도시하는 단자 접속 과정의 완료 상태에서는, 어댑터(402)의 +Y 방향측의 단부(402e)가 맞물림 형성체(677)보다 삽입 방향측에 위치한다. 또한,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접속 과정의 완료 상태에서는,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장치측 단자(721)가 접촉되어 있다. 또한, 단자 접속 과정의 완료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780)가 압축되어 있으며, 부세 부재(780)로부터 장치측 단자부(70)가 외력(Fa)을 받는다. 이용자는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측으로 가압하면서, 회전 지점(698)을 지점으로 한 접속 방향(D2)으로 카트리지(4)를 회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공급부 접속 과정을 실행한다.
카트리지(4)가 접속 방향(D2)으로 회전 이동하면, 액체 도입부(642)와 액체 공급부(442)의 접속이 개시되기 전에, 공급부 위치결정부(448)에 의한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의 수용이 개시되고, 그 후, 액체 도입부(642)에 대한 액체 공급부(442)의 위치결정이 개시된다. 즉, 액체 공급부(442)에 의한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과 교차하는 움직임이 규제된다. 공급부 접속 과정에 있어서는,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644)가 액체 도입부(642)에 삽입될 때에, 카트리지(4)가 Y 방향으로 미소하게 이동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부세 부재(780)가 신축하는 것에 의해, 장치측 단자부(70)가 카트리지측 단자(521)의 움직임에 추종하도록 움직인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장치측 단자(721)의 접촉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부 접속 과정이 완료된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는, 회로 기판(50)의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장치측 단자부(70)의 장치측 단자(721)가 접촉하고, 액체 공급부(442)와 액체 도입부(642)가 접속한다. 장착 상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D1)과, 액체 공급부(442)가 연장되는 방향은 교차한다. 또한, 장착 상태에서는, 액체 공급부(442)가 연장되는 방향이 중력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이 되도록, 카트리지(4)가 카트리지 장착부(6)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 내의 액체를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부(450) 내에 소비되는 일이 없이 잔류하는 액체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액체 공급부(442)가 연장되는 방향과, 중력 방향이, 0°보다 크고 15° 이하의 범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액체 공급부(442)가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또한, 장착 상태에서는, 장착 맞물림부(697)와 카트리지 맞물림부(497)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를 유지한다. 이용자는 카트리지(4)의 후방벽(47)측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회전 지점(698)을 지점으로 하여 접속 방향(D2)과는 반대 방향인 접속 해제 방향(D3)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본체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장착 맞물림부(697)가 변위되어, 장착 맞물림부(697)와 카트리지 맞물림부(497)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전방벽(42)과 교차하는 바닥벽(44)에 액체 공급부(442)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착 상태에서, 중력 방향측에 바닥벽(44)이 위치하므로, 액체 수용부(450)의 액체를 원활하게 액체 공급부(442)에 유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소비되는 일이 없이 잔류하는 액체 수용부(450)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D1) 및 삽입 방향(D1)과 반대 방향인 분리 방향은 Y 방향이며, 수평 방향을 따른 방향이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해 삽발할 때에는, 수평 방향으로 카트리지(4)를 이동시키면 되므로, 카트리지(4)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대용량의 액체를 수용하는 외형이 큰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해 수평 방향을 따라서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4)의 조작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4)의 삽입 방향(D1)과, 액체 공급부(442)가 연장되는 방향이 교차하는 것에 의해, 삽입 방향(D1)을 수평 방향으로 하고, 연장되는 방향을 연직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4)의 조작성을 향상하면서, 액체 수용부(450) 내에 소비되는 일이 없이, 잔류하는 액체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1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카트리지 안내부(447)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삽입 방향(D1)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외형은 삽입 방향(D1)이 가장 크다. 따라서, 카트리지(4)가, 삽입 방향으로 안내되는 카트리지 안내부(447)를 갖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삽입 방향(D1)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안내부(447)는 제 1 측벽(45)에 형성된 제 1 카트리지 안내부(447a)와, 제 1 측벽(45)에 대응하는 제 2 측벽(46)에 형성된 제 2 카트리지 안내부(447b)를 갖는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폭 방향 양측에 카트리지 안내부(447)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에 대해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카트리지(4)의 삽입 자세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측 단자(521)를 갖는 회로 기판(50)이, 전방벽(42)과 바닥벽(44)이 교차하는 코너부(89)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를 카트리지 장착부(6)의 수용실(61)에 대해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장치측 단자(721)의 접촉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가 코너부(89)에 단자 위치결정부(906)를 갖는 것에 의해, 장착 과정에 있어서, 카트리지측 단자(521)와 장치측 단자(721)의 접촉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는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를 가지므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450)의 용량이 상이한 복수의 액체 수용체(401, 401B)에 대해, 공통의 어댑터(402)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4)가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를 갖는 것에 의해, 액체가 소비된 후에 있어서, 액체 수용체(401)를 어댑터(402)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액체 수용체(401)를 어댑터(402)에 장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의 리사이클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이한 종류의 액체 수용체(401, 401B)에 대해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어댑터(402)에, 카트리지 장착부(6)와 협동하는 요소인, 단자 위치결정부(906)나 공급부 위치결정부(448)나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430)나 카트리지 맞물림부(497)나 카트리지 안내부(447)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액체 수용체(401)의 종류가 상이하여도, 동일한 종류의 어댑터(402)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4)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액체 수용체(401, 401B)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발 개구부(674)를 거쳐서 수용실(61)에 카트리지(4)를 삽입한 후에,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개구부(614)를 중력 방향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도입부(642)의 선단부(642b)를 수용실(61) 내에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도입부(642)와 액체 공급부(442)를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4)를 수용실(61)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카트리지(4)가 삽입 방향(D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액체 도입부(642)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 다른 실시형태:
B-1.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 방향(D1)은 수평 방향에 평행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방향(D1)은 수평 방향 성분을 가지면,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삽입 방향(D1)은 수평 방향에 대해 0°보다 크고 15° 이하의 범위 내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카트리지(4)의 장착 상태에서는, 액체 공급부(442)의 중심축(CA2)은 중력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었지만, 중력 방향을 따른 방향이어도 좋다.
B-2. 다른 실시형태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4)가 회전 지점(698)을 중심으로 하여 접속 방향(D2)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와 액체 도입부(642)가 접속되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610) 전체를 -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4)를 -Z 방향으로 이동시켜, 액체 공급부(442)와 액체 도입부(642)가 접속하여도 좋다. 즉, 단자 접속 과정은 지지 부재(610)가 중력 방향인 -Z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개구부(614)를 중력 방향인 -Z 방향으로 변위시켜, 개구부(614)를 거쳐서 액체 도입부(642)의 선단부(642b)를 수용실(61) 내에 배치시켜도 좋다. 또한, 지지 부재(610)의 위치는 고정되고, 액체 도입부(642)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442)에 접속되어도 좋다.
B-3. 다른 실시형태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수용체(401)와 어댑터(402)는 별체였지만 일체여도 좋다.
B-4. 다른 실시형태 4:
본 개시는 잉크젯 프린터 및 그 잉크 카트리지로 한정되지 않으며,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분사하는 임의의 인쇄 장치 및 그 카트리지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각종 인쇄 장치 및 그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다.
(1) 팩시밀리 장치 등의 화상 기록 장치
(2)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용의 칼라 필터의 제조에 이용되는 색재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3)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나, 면발광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의 전극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재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4) 바이오칩 제조에 이용되는 생체 유기물을 포함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5)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인쇄 장치
(6) 윤활유의 인쇄 장치
(7) 수지액의 인쇄 장치
(8) 시계나 카메라 등의 정밀 기계에 핀 포인트로 윤활유를 분사하는 인쇄 장치
(9) 광통신 소자 등에 이용되는 미소 반구 렌즈(광학 렌즈) 등을 형성하기 위해 자외선 경화 수지액 등의 투명 수지액을 기판 상에 분사하는 인쇄 장치
(10) 기판 등을 에칭하기 위해 산성 또는 알칼리성의 에칭액을 분사하는 인쇄 장치
(11) 다른 임의의 미소량의 액적을 토출시키는 액체 분사 헤드를 구비하는 인쇄 장치
또한, "액적"은 인쇄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액체 상태를 말하며, 입자형상, 눈물형상, 실형상으로 꼬리를 갖는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액체"는 인쇄 장치를 분사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좋다. 예를 들면, "액체"는 물질이 액상일 때의 재료이면 좋으며, 점성이 높거나 또는 낮은 액 상태의 재료, 및 졸, 겔수, 그 외의 무기 용제, 유기 용제, 용액, 액상 수지, 액상 금속과 같은 액 상태의 재료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물질의 하나의 상태로서의 액체 뿐만 아니라, 안료나 금속 입자 등의 고형물로 이루어지는 기능 재료의 입자가 용매에 용해, 분산 또는 혼합된 것 등도 "액체"에 포함된다. 또한, 액체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잉크나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잉크는 일반적인 수성 잉크 및 유성 잉크 및 젤 잉크, 핫멜트 잉크 등의 각종 액체 형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C. 다른 형태:
본 개시는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 기재하는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형태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상술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교체나, 조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적인 것으로 하고,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개시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도입부를 갖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이 카트리지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 교차하며, 상기 액체 도입부와 접속하는 액체 공급부가 배치된 바닥벽을 구비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전방벽과 교차하는 바닥벽에 액체 공급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체 수용부의 액체를 원활하게 액체 공급부에 유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소비되는 일이 없이 잔류하는 액체 수용부의 액체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액체 공급부가 연장되는 방향이 중력 방향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이 되도록,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액체 공급부내의 액체를 원활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소비되는 일이 없이 잔류하는 액체 수용부의 액체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3) 상기 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안내되는 카트리지 안내부를 추가로 갖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 안내부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카트리지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4) 상기 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전방벽과 상기 바닥벽과 교차하는 제 1 측벽과, 상기 전방벽과 상기 바닥벽과 교차하며, 상기 제 1 측벽과 대향하는 제 2 측벽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 1 측벽에 형성된 제 1 카트리지 안내부와, 상기 제 2 측벽에 형성된 제 2 카트리지 안내부를 가져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카트리지 안내부가 제 1 측벽에 형성되며, 제 2 카트리지 안내부가 제 1 측벽에 대응하는 제 2 측벽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를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카트리지의 삽입 자세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5) 상기 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전방벽과 상기 바닥벽이 교차하는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에 배치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가 갖는 장치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카트리지측 단자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장치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카트리지측 단자를 갖는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6) 상기 형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공급부를 갖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벽을 형성하는 어댑터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액체 공급부를 배치하는 공급부 배치실과,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통되는 삽입 개구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와, 어댑터를 갖는 것에 의해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예를 들면, 액체 수용부의 용량이 상이한 복수의 액체 수용체에 대해, 공통의 어댑터를 이용할 수 있다.
(7)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가 배치된 상기 코너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어댑터가 코너부를 갖는 것에 의해, 어댑터에 카트리지측 단자를 배치할 수 있다.
(8)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카트리지 안내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어댑터에 카트리지 안내부를 배치할 수 있다.
(9) 본 개시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인쇄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인쇄 시스템은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도입부를 갖는 인쇄 장치와, 상기 형태의 상기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의 액체 공급부가,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전방벽과 교차하는 바닥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체 수용부의 액체를 원활하게 액체 공급부에 유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소비되는 일이 없이 잔류하는 액체 수용부의 액체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10)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과,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액체 공급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교차하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삽입 방향과 액체 공급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교차하므로, 카트리지의 조작성을 향상하면서, 소비되는 일이 없이 잔류하는 액체 수용부의 액체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11) 본 개시의 제 3 형태에 의하면,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이 인쇄 장치는 상기 형태의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카트리지가 삽입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실과,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액체 도입부로서, 상기 카트리지의 액체 공급부에 접속되는 액체 도입부를 갖는다. 이 형태에 의하면,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전방벽과 교차하는 바닥벽에 액체 공급부가 배치된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부의 액체를 원활하게 액체 공급부를 거쳐서 카트리지 장착부 측에 유통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소비되는 일이 없이 잔류하는 액체 수용부의 액체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12)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또한 상기 수용실의 출입구인 삽발 개구부를 갖는 제 1 장치벽과, 상기 제 1 장치벽과 대향하는 제 2 장치벽과 개구부를 갖는 장치 바닥벽을 형성하며,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상기 장치 바닥벽은 상기 제 1 장치벽과 상기 제 2 장치벽과 교차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액체 도입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수용실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중력 방향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액체 도입부의 선단부를, 상기 수용실 내로 배치시키는 변위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삽발 개구부를 거쳐서 수용실에 카트리지를 삽입한 후에, 개구부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도입부의 선단부를 수용실 내로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도입부와 액체 공급부를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 형태 외에, 카트리지의 제조 방법,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로의 장착 기구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1: 인쇄 시스템 2: 인쇄 용지
4, 4C, 4M, 4Y, 4K: 카트리지 4A: 제 1 종 카트리지
4B: 제 2 종 카트리지 6: 카트리지 장착부
8: 캡 부재 10: 인쇄 장치
13: 교환용 커버 15: 조작 버튼
20: 캐리지 22: 토출 헤드
24: 튜브 30: 구동 기구
31: 제어부 32: 타이밍 벨트
34: 구동 모터 41: 본체
42: 전방벽 43: 상벽
44: 바닥벽 45: 제 1 측벽
46: 제 2 측벽 47: 후방벽
50: 회로 기판 50fa: 표면
61: 수용실 61C, 61M, 61Y, 61K: 슬롯
62: 제 2 장치벽 63: 장치 상벽
64: 장치 바닥벽 65: 제 1 장치 측벽
66: 제 2 장치 측벽 67: 제 1 장치벽
70: 장치측 단자부 73: 보지 기구
89: 코너부 90: 오목부
401, 401B: 액체 수용체 402: 어댑터
402e: 단부 430: 카트리지측 식별 부재
431: 수용체 바닥벽 442: 액체 공급부
446: 삽입 개구부 447: 카트리지 안내부
447a: 제 1 카트리지 안내부 447b: 제 2 카트리지 안내부
448: 공급부 위치결정부 449: 내부 유로
450: 액체 수용부 461: 공급부 배치실
497: 카트리지 맞물림부 521: 카트리지측 단자
525: 기억 장치 602: 장치 안내부
602a: 제 1 장치 안내부 602b: 제 2 장치 안내부
610: 지지 부재 611: 제 1 지지 측벽
612: 제 2 지지 측벽 613: 주벽
614: 개구부 625: 장치 부세 부재
630: 장치측 식별 부재 642: 액체 도입부
642a: 기단부 642b: 선단부
644: 장치측 공급부 위치결정부 644a: 일단부
644b: 타단부 674: 삽발 개구부
677: 맞물림 형성체 697: 장착 맞물림부
698: 회전 지점 699: 액체 저류부
721: 장치측 단자 722: 단자 접점
739: 커넥터 750: 단자 보지부
750fa: 보지부 표면 750ft: 제 1 보지부 측벽
750fw: 제 2 보지부 측벽 756: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
756t: 제 1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 756w: 제 2 장치측 단자 위치결정부
780: 부세 부재 782: 장착 부재
902: 오목부 측벽 902t: 제 1 오목부 측벽
902w: 제 2 오목부 측벽 906: 단자 위치결정부
906t: 제 1 단자 위치결정부 906w: 제 2 단자 위치결정부
916: 단부벽 982: 오목부 전방벽
988: 오목부 바닥벽 442e1: 공급 선단부
442e2: 공급 기단부 CA1, CA2: 중심축
D1: 삽입 방향 D2: 접속 방향
D3: 접속 해제 방향 Fa: 외력
Ft1: 외력 MP: 중앙부
Rp: 단자 회전 지점 RY: 외력

Claims (12)

  1.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도입부를 갖는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측에 위치하는 전방벽과,
    상기 전방벽과 교차하며, 상기 액체 도입부와 접속하는 액체 공급부가 배치된 바닥벽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트리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의해 상기 삽입 방향으로 안내되는 카트리지 안내부를 추가로 갖는
    카트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과 상기 바닥벽과 교차하는 제 1 측벽과,
    상기 전방벽과 상기 바닥벽과 교차하며, 상기 제 1 측벽과 대향하는 제 2 측벽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카트리지 안내부는,
    상기 제 1 측벽에 형성된 제 1 카트리지 안내부와,
    상기 제 2 측벽에 형성된 제 2 카트리지 안내부를 갖는
    카트리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벽과 상기 바닥벽이 교차하는 코너부와,
    상기 코너부에 배치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가 갖는 장치측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카트리지측 단자를 추가로 구비하는
    카트리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 공급부를 갖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장착되고, 상기 바닥벽을 형성하는 어댑터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액체 공급부를 배치하는 공급부 배치실과, 상기 액체 도입부가 삽통되는 삽입 개구부를 갖는
    카트리지.
  7. 제 5 항을 인용하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카트리지측 단자가 배치된 상기 코너부를 갖는
    카트리지.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을 인용하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카트리지 안내부를 갖는
    카트리지.
  9.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갖는 인쇄 장치와,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인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삽입되는 삽입 방향과,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액체 공급부가 연장되는 방향은 교차하는
    인쇄 시스템.
  11. 인쇄 장치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카트리지가 삽입되며,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수용실과,
    상기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액체 도입부로서, 상기 카트리지의 액체 공급부에 접속되는 액체 도입부를 갖는
    인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수용실의 출입구인 삽발 개구부를 갖는 제 1 장치벽과,
    상기 제 1 장치벽과 대향하는 제 2 장치벽과,
    개구부를 갖는 장치 바닥벽을 형성하며,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 상기 장치 바닥벽은 상기 제 1 장치벽과 상기 제 2 장치벽과 교차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액체 도입부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 상기 수용실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상기 지지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중력 방향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액체 도입부의 선단부를 상기 수용실 내로 배치시키는 변위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인쇄 장치.
KR1020237011446A 2020-09-25 2021-09-16 카트리지,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장치 KR20230062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0611 2020-09-25
JP2020160611A JP2022053794A (ja) 2020-09-25 2020-09-25 カートリッジ、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PCT/JP2021/034178 WO2022065203A1 (ja) 2020-09-25 2021-09-16 カートリッジ、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856A true KR20230062856A (ko) 2023-05-09

Family

ID=80845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446A KR20230062856A (ko) 2020-09-25 2021-09-16 카트리지,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47653A1 (ko)
JP (1) JP2022053794A (ko)
KR (1) KR20230062856A (ko)
CN (1) CN116261521A (ko)
MX (1) MX2023003234A (ko)
WO (1) WO202206520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504A1 (ja) 2012-01-13 2013-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印刷材供給システム、印刷装置、液体収容容器、印刷システム、及び端子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0315B2 (ja) * 2000-12-25 2006-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6043922A (ja) * 2004-07-30 2006-02-16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タンクホルダ、前記インクタンクの装着方法および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
JP2006056118A (ja) * 2004-08-19 2006-03-02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インクタンクホルダ、カートリッジ、および記録装置
JP4872584B2 (ja) * 2006-10-05 2012-0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
JP5750849B2 (ja) * 2010-09-03 2015-07-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カートリッジセット、及び、アダプターセット
JP2017056686A (ja) * 2015-09-18 2017-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子接続部および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5504A1 (ja) 2012-01-13 2013-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印刷材供給システム、印刷装置、液体収容容器、印刷システム、及び端子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3003234A (es) 2023-04-14
WO2022065203A1 (ja) 2022-03-31
JP2022053794A (ja) 2022-04-06
CN116261521A (zh) 2023-06-13
US20230347653A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3398B2 (en) Cartridg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device
US11691427B2 (en) Cartridge,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system
US11807015B2 (en) Cartridge
KR20220133111A (ko) 카트리지
EP4063129A1 (en) Cartridge
CN115593114A (zh) 容器和印刷系统
WO2019098287A1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噴射装置
KR20230062856A (ko) 카트리지, 인쇄 시스템, 및 인쇄 장치
WO2022091759A1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印刷システム
TWI803355B (zh) 卡匣及印刷系統
JP2023009790A (ja) カートリッジ
KR20230158523A (ko) 카트리지
CN115139654A (zh) 盒以及印刷系统
CN117042972A (zh)
JP2022191134A (ja) カートリッジ
CN117584625A (z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