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767A -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 Google Patents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767A
KR20230061767A KR1020210146329A KR20210146329A KR20230061767A KR 20230061767 A KR20230061767 A KR 20230061767A KR 1020210146329 A KR1020210146329 A KR 1020210146329A KR 20210146329 A KR20210146329 A KR 20210146329A KR 20230061767 A KR20230061767 A KR 20230061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power supply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용
공영강
김명원
김기연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14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1767A/ko
Priority to PCT/US2022/045600 priority patent/WO2023075997A1/en
Publication of KR20230061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8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by power-on test, e.g. power-on self test [PO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15Redundant power suppl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06F11/27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5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if the computing system is on, off, available, not avai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74Indicating or reporting
    • H04N1/00076Indicating or repor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3Control thereof using a back-up supply, e.g. in case of main-supply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99Detection of supply level or supply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1Using different supplies or connection to an external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프로세서가 탑재된 메인보드,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 외부 장치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유선 인터페이스, 전원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 디스플레이 및 턴 온 명령이 입력된 상태에서 감지 회로에 의해 전원 장치가 미동작 상태로 감지되면,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부팅되며, 부팅이 완료되면,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Status display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power input through wired interface }
화상 형성 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각 단계의 순서는 선행 단계가 논리적 및 시간적으로 반드시 후행 단계에 앞서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각 단계의 순서는 비제한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위와 같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후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이 선행 단계로 설명된 과정보다 앞서서 수행되더라도 개시의 본질에는 영향이 없으며 권리범위 역시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프로세서(120)가 탑재된 메인보드(110), 전원 장치(130), 유선 인터페이스(140), 감지 회로(150) 및 디스플레이(16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다양한 화상형성작업(image forming job)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하여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메인보드(110)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한 반도체류를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100)의 시스템을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보드(110)는 시스템 전원으로 3.3V를 사용할 수 있다. 전원 장치(130)로부터 5V의 전원을 공급받으면 컨버터를 이용하여 3.3V의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SoC(System on Chip)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인스트럭션에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턴 온 명령이 입력되면 전원 장치(130)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부팅될 수 있다. 턴 온 명령은 화상형성장치(100)의 구동을 시작하기 위한 명령이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턴 온 명령은 화상형성장치(100)에 구비된 전원 버튼을 눌러 입력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구동 명령이 입력될 수도 있다.
전원 장치(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전원 장치(130)는 메인보드(11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화상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원 장치(130)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으며, SMPS는 메인보드(110)와 다른 보드들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장치(130)는 HVPS(High Voltag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으며, HVPS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현상 유닛, 대전 유닛, 전사 유닛 등에 고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 장치(130)는 전원 케이블을 통해 입력된 AC(Alternating Current) 전원을 DC(Direct Current) 전원으로 컨버트하여 메인보드(110)에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140)는 유선 케이블로 외부 장치와 화상형성장치(10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일 예에 따라 유선 인터페이스(140)는 USB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으며, USB 케이블로 외부 장치인 PC를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할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후면 또는 측면에 커넥터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데이터 등을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선 인터페이스(140)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5V의 VBUS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140)에 보조 배터리 등을 연결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VBUS 전원을 입력할 수도 있다.
감지 회로(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장치(13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일 예에 따라 전원 장치(130)로부터 메인보드(110)에 구동 전원이 공급되나, 전원 장치(130)의 고장 등으로 전원 장치(130)의 전원이 메인보드(110)에 공급되지 않으면, 감지 회로(150)는 전원 장치(130)가 미동작 상태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감지 회로(150)는 전원 장치(130)의 상태에 따라 프로세서(120)에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감지 회로(150)에서 감지된 전원 장치(130)의 상태에 따라, 전원 장치(130)가 정상인 경우, 전원 장치(13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할 수 있다. 전원 장치(13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부팅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제어되며,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PDP(Plasma Display Panel),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장치(130)는 제1 전원 장치(131) 및 제2 전원 장치(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 회로(150)는 제1 스위치(151), 제2 스위치(152) 및 제3 스위치(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원 스위치(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장치(131)는 메인보드(11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2 전원 장치(132)는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화성형성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유닛으로, 현상 유닛, 대전 유닛, 전사 유닛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원 장치(132)는 고전압이 필요한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제1 전원 장치(131)보다 큰 전압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전원 장치(131)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감지 회로(150)는 제1 내지 제3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장치(13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51)는 전원 장치(130)로부터 구동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제2 스위치(152)는 제1 스위치(151)의 출력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제3 스위치(153)는 제2 스위치(152)의 온/오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154)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배치된 전원 키의 조작과 연동하여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54)는 제3 스위치(153)의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스위치(154)의 온/오프에 따라 제3 스위치(1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 방법은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해 턴 온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나,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 요소 중 일부가 고장 상태일 경우 화상형성장치(100)가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 장치(130)가 고장 상태일 경우 메인보드(110)에 구동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120)가 부팅되지 않아 화상형성장치(100)가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전원 장치(130)는 정상이나 메인보드(110) 자체가 고장 상태일 경우, 구동 전원이 입력되어도 프로세서(120)가 부팅되지 않을 수 있다. 기존에는 턴 온 명령에도 화상형성장치(100)가 구동되지 않을 때 화상형성장치(100)의 유닛들을 교체하며 고장 원인을 판단해야 했다. 이 경우 불필요한 유닛 교체가 필요하며,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조에 따라 유닛의 교체가 어렵거나, 유닛 교체 중 다른 고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프로세서(120)를 부팅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고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유선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100)에 턴 온 명령을 입력한다.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 구성(300)에서는, 전원 장치(130)를 통해 5V의 구동 전원이 공급되며,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5V의 VBUS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감지 회로(150)에서는 전원 장치(130)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제1 내지 제3 스위치(151, 152, 153)를 동작할 수 있다.
전원 장치(130)로부터 구동 전원이 제1 스위치(151)로 공급되면, 제1 스위치(151)로부터 제1 신호가 프로세서(120) 및 제2 스위치(152)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 장치(130)의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52)는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오프 상태가 되고, 제3 스위치(153)로 오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스위치(153)는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오프 상태가 되고,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메인보드(110)에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전원 장치(130)로부터 구동 전원이 제1 스위치(151)로 공급되지 않으면, 제1 스위치(151)로부터 제2 신호가 프로세서(120) 및 제2 스위치(152)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된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52)는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온 상태가 되고, 제3 스위치(153)로 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스위치(153)는 온 신호가 입력되면 온 상태가 되고,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메인보드(110)에 공급할 수 있다. 감지 회로(150)의 전원 장치(130) 동작 감지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전원 장치(130)의 구동 전원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경우, 부팅이 완료되면 전원 장치(130)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60)에 전원 케이블 점검 또는 전원 장치 점검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60)의 LED를 점등하여 사용자가 고장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장치의 화면에도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전원이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프로세서(120)가 부팅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메인보드(110) 자체의 고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턴 온 명령에 의해 전원 장치(130)가 동작하여 구동 전원을 제공하면, 구동 전원을 이용하여 노멀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노멀 부팅은 통상적인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시작을 의미하며, 프로세서(120)의 부팅과 함께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 유닛들을 워밍업 시킬 수 있다. 구성 유닛들의 워밍업은, 모터가 포함된 구성 유닛들의 모터를 회전시키거나, 정착 유닛의 온도를 올리는 동작 등을 의미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턴 온 명령에 대해 전원 장치(13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서비스 모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드 부팅은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 유닛들은 비워밍업 상태로 두고 메인보드(110)만 부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드로 부팅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20)는 전원 장치(130)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에 배치된 전원 키의 조작과 연동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전원 스위치(154)는 제3 스위치(153)의 입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54)가 온 되면, 제3 스위치(153)로 온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54)가 오프 되면, 제3 스위치(153)에는 제2 스위치(152)의 신호가 공급되고, 제3 스위치(153)는 제2 스위치(152)의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회로도(400)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151, 152)는 NPN 타입의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스위치(153)는 P channel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스위치(151)에 전원 장치(130)의 전원이 입력되면, 제1 스위치(151)의 컬렉터에 0V 전압이 걸리므로, 프로세서(120)에는 0V의 제1 신호가 입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1 신호가 입력되면 노멀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51)에 전원 장치(130)의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1 스위치(151)의 컬렉터에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5V 전원이 프로세서(120)에 공급되며, 프로세서(120)에 5V의 제2 신호가 입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서비스 모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51)에 전원 장치(130)의 전원이 입력되지 않아 오프 상태가 되면, 제2 스위치(152)는 온 상태가 되며, 제2 스위치(152)의 컬렉터에 0V가 걸린다. 제2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제3 스위치도 온 상태가 되므로, 제3 스위치(153)는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입력된 5V의 전원을 메인보드(110)에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154)와 연동된 전원 키가 눌리면 잠시 동안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메인보드(110)로 공급된다. 이때 전원 장치(130)에서 5V의 전원이 메인보드(110)에 공급되는 정상 상태에서는, 제1 스위치(151)가 온 되고, 제2 스위치(152)가 오프 되므로, 전원 키의 누름 해제와 동시에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고, 메인보드(110)는 전원 장치(13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러나 전원 장치(130)의 고장으로 전원 장치(130)의 전원이 메인보드(110)에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반대로 제1 스위치(151)가 오프 상태가 되고 제2 스위치(152)가 온 상태가 되므로, 전원 키의 누름 해제에도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이 메인보드(110)에 계속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위치(151)가 오프 상태가 되므로, 서비스 모드 신호가 0V에서 5V로 바뀌어 프로세서(120)가 이를 감지하여 서비스 모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비교하여, 도 5의 구성(500)에서는 전원 장치(130)가 메인보드(110)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장치(131) 및 화상형성장치(100)에 포함된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장치(13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제2 전원 장치(132)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구동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나, 제1 전원 장치(131)로부터 메인보드(1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면,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제1 전원 장치(131)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메인보드(110)의 고장 싱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전원 장치(131)로부터 메인보드(110)의 구동 전원이 공급되나, 제2 전원 장치(132)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의 구동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면, 제1 전원 장치(13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부팅이 완료되면, 제2 전원 장치(132)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전원 장치(131, 132) 모두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면,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는 부팅을 미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원 장치(132)의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만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20)의 부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1 전원 장치(131)의 전압은 5V이고, 제2 전원 장치(132)의 전압은 24V이며, 상대적으로 큰 전압의 제2 전원 장치(132)보다 작은 전압의 제1 전원 장치(131)가 더 고장이 잘 발생한다. 따라서 전원 장치(130)의 고장 상태의 상당 부분은 제1 전원 장치(131)의 고장인 경우가 많으며, 제2 전원 장치(132)의 고장은 많지 않다. 이에 따라 전원 장치(130)의 전원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을 판단하기 위해 제2 전원 장치(132)의 전원이 입력되는 것을 전제로 프로세서(120)의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전원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20)의 부팅을 수행하므로, 전원 케이블이 비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전원 장치(130)의 고장 상태인 것으로 오인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전원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메인보드(110)의 부팅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를 다루는데 있어 일반적인 기기 동작 상식에 부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회로도(600)에서 제2 전원 장치(132)의 동작과 관련하여, 제2 전원 장치(132)를 통해 전원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2 스위치(152)에 오프 신호가 입력되고, 제3 스위치(153)가 오프 되므로 유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이 메인보드(110)에 공급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 스위치(151, 152, 153) 및 전원 스위치(154)의 동작과 관련해서는 상술한 바와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은, 턴 온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가 탑재된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S710), 전원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720), 전원 장치가 미동작 상태로 감지되면(S730), 프로세서가 화상형성장치와 유선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단계(S740) 및 부팅이 완료되면,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S7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원 장치가 동작 상태로 감지되면(S730), 전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단계(S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턴 온 명령과 관련된 내용, 전원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 유선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 및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은, 턴 온 명령에 의해 전원 장치가 동작하여 구동 전원을 제공하면(S830), 전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전원을 이용하여 노멀 부팅을 수행하면서(S860),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유닛들을 워밍업시키는 단계(S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원 장치가 미동작하면(S830),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서비스 모드로 부팅하는 단계(S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멀 부팅과 관련된 내용 및 서비스 모드와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은, 제1 스위치에 전원 장치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제1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어 제1 신호를 제2 스위치 및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제1 스위치에 전원 장치로부터 구동 전원이 미공급되면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어 제2 신호를 제2 스위치 및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단계, 제2 스위치에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어 제3 스위치로 오프 신호를 제공하고, 제2 스위치에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어 제3 스위치로 온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제3 스위치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제3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메인보드에 공급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에 제1 신호가 인가되면 노멀 부팅을 수행하고, 프로세서에 제2 신호가 인가되면 서비스 모드로 부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은, 제3 스위치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제3 스위치에 온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전원 스위치가 오프 되면, 제2 스위치의 신호를 제3 스위치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스위치 및 전원 스위치의 동작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장치로부터 구동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나(S930),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장치로부터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S940),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단계(S950) 및 부팅이 완료되면 제1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S9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은, 제2 전원 장치로부터 구동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나(S930), 제1 전원 장치로부터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S945), 제1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단계(S980) 및 부팅이 완료되면 제2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S9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은, 제2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S930), 제1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S945), 외부 장치로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는 부팅을 미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원 장치와 관련된 내용,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상술한 부분에서 기재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1000)는 상술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1000)는 턴 온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가 탑재된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프로그램 코드(1010), 전원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프로그램 코드(1020), 전원 장치가 미동작 상태로 감지되면, 프로세서가 화상형성장치와 유선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프로그램 코드(1030) 및 부팅이 완료되면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프로그램 코드(10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언어로 제작되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각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어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메인보드
120: 프로세서 130: 전원 장치
140: 유선 인터페이스 150: 감지 회로
160: 디스플레이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탑재된 메인보드;
    상기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
    외부 장치와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유선 인터페이스;
    상기 전원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 회로;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턴 온 명령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회로에 의해 상기 전원 장치가 미동작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부팅되며, 상기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턴 온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 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하면, 상기 구동 전원을 이용하여 노멀 부팅을 수행하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유닛들을 워밍업시키고,
    상기 전원 장치가 미동작하면,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서비스 모드로 부팅하며,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유닛들은 비워밍업 상태로 두고 상기 메인보드를 구동하여 상기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모드인,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을 인가받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출력에 따라 제어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온 상태가 되어 제1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구동 전원이 미공급되면 오프 상태가 되어 제2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프로세서로 제공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오프 상태가 되어 상기 제3 스위치로 오프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1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어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제3 스위치로 온 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제2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온 상태가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메인 보드로 공급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노멀 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서비스 모드로 부팅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배치된 전원 키의 조작과 연동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전원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메인보드에 공급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 되면, 상기 제2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장치;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나, 상기 제1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보드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며,
    상기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나, 상기 제2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면, 상기 제1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며,
    상기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장치 모두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는 부팅을 미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
  8.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에 있어서,
    턴 온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가 탑재된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전원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원 장치가 미동작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유선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태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턴 온 명령에 의해 상기 전원 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구동 전원을 제공하면, 상기 구동 전원을 이용하여 노멀 부팅을 수행하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유닛들을 워밍업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장치가 미동작하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서비스 모드로 부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모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유닛들은 비워밍업 상태로 두고 상기 메인보드를 구동하여 상기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모드인, 상태 표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스위치에 상기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면 온 상태가 되어 제1 신호를 제2 스위치 및 상기 프로세서로 제공하고, 상기 제1 스위치에 상기 구동 전원이 미공급되면 오프 상태가 되어 제2 신호를 상기 제2 스위치 및 상기 프로세서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스위치에 상기 제1 신호가 입력되면 오프 상태가 되어 제3 스위치로 오프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스위치에 상기 제2 신호가 입력되면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제3 스위치로 온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3 스위치에 온 신호가 입력되면 온 상태가 되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메인보드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제1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노멀 부팅을 수행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제2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서비스 모드로 부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태 표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위치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제3 스위치에 온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스위치가 오프 되면, 상기 제2 스위치의 신호를 상기 제3 스위치에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스위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배치된 전원 키의 조작과 연동하여 온 또는 오프 되는 스위치인, 상태 표시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된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나, 상기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태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전원이 공급되나, 상기 제2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제1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태 표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원 장치 모두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는 부팅을 미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태 표시 방법.
  15.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 방법은,
    턴 온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가 탑재된 메인보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장치로 동작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전원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원 장치가 미동작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유선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부팅하는 단계; 및
    상기 부팅이 완료되면, 상기 전원 장치의 고장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210146329A 2021-10-29 2021-10-29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KR20230061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329A KR20230061767A (ko) 2021-10-29 2021-10-29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PCT/US2022/045600 WO2023075997A1 (en) 2021-10-29 2022-10-04 Status display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power input through wired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329A KR20230061767A (ko) 2021-10-29 2021-10-29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767A true KR20230061767A (ko) 2023-05-09

Family

ID=8435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329A KR20230061767A (ko) 2021-10-29 2021-10-29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1767A (ko)
WO (1) WO20230759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1516B2 (ja) * 2017-05-18 2021-07-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7229727B2 (ja) * 2018-11-05 2023-02-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075386A (ja) * 2018-11-06 2020-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997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51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plurality of power supply units for supplying power to fan
US958468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o control display of state or setting information
US100449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101626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fault diagnosis method
US98860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50098104A1 (en) Setting power savings modes based on ambient light and user set time periods
US897175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ischarging electric charge charged to a capacitor and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electric charge charged to a capacitor
KR20230061767A (ko)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표시
US120817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home screen
JP202012145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60740A (ko)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
US9905141B2 (en) Image output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6166668B2 (ja) 電源制御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7318528B2 (ja) 電源回路、及び電源回路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073030A (ja) 電子機器および終了処理プログラム
KR20230036440A (ko) 정착기의 온도에 기초한 정착기 가열 제어
JP5318808B2 (ja) 電源制御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6869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eventing risk of shortened lifetime of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924059B2 (en) Apparatus having power-saving function,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9704077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having voltage generating unit outputting control voltage
US20230379417A1 (en) Power sequence control of integrated scanner assembly and image forming engine
US2013026560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20261236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JP2010280199A (ja)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00363762A1 (en)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