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740A -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0740A KR20180060740A KR1020160160587A KR20160160587A KR20180060740A KR 20180060740 A KR20180060740 A KR 20180060740A KR 1020160160587 A KR1020160160587 A KR 1020160160587A KR 20160160587 A KR20160160587 A KR 20160160587A KR 20180060740 A KR20180060740 A KR 201800607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temperature
- voltage
- power supply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77—Cooling or ventila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 화상 형성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전원 공급부 내의 온도를 저감시키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팬을 포함하는 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상형성장치 내의 팬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인쇄제어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팬(fan)이 구비되는데, 종래에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팬의 동작을 제어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팬을 동작시키고, 대기 상태인 경우에는 팬을 동작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화상형성장치의 많은 열은 SMPS에서 발생하나, 앞선 종래의 방식은 SMPS의 온도가 저감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불필요하게 팬을 동작시킴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고 팬의 수명을 떨어트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 내의 팬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내의 온도를 저감시키며,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팬을 포함하는 팬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팬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이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미만이면 상기 동작하는 팬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되는 듀티비를 갖는 PWM 제어 신호를 상기 팬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팬에 기설정된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2차측 회로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 센서는 NTC 서미스터(thermistor)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2차 측 회로가 구성되는 기판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전압 값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 및 상기 전압 비교부의 출력 값에 따라 상기 팬에 기설정된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팬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팬에 공급되는 전원을 가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센서부는 일 단이 상기 기설정된 전압을 입력받고, 타 단이 상기 스위칭 회로에 연결되는 제2 NTC 서미스터(thermistor), 및 일 단이 상기 제2 NTC 서미스터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압 비교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전압이 상기 기설정된 전압보다 크면 온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압 비교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전압이 기설정된 제1 전압보다 크면 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온도 센서의 전압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전압보다 작은 제2 전압보다 작으면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방법은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중에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팬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이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미만이면 상기 동작하는 팬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되는 듀티비를 갖는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2차측 회로에 배치되는 NTC 서미스터(thermistor)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화상 형성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 및 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9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10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11은 히스테리시스가 적용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히스테리시스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화상 형성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 및 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9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10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
도 11은 히스테리시스가 적용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히스테리시스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센서부(110), 팬부(120) 및 전원 공급부(200)를 포함한다.
센서부(110)는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 센서는 전원 공급부의 2차측 회로에 배치될 수 있으며, NTC 서미스터(therm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온도 센서가 전원 공급부의 2차측 회로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온도 센서는 전원 공급부의 1차측 회로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1차측 회로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의 전원은 전원 공급부의 2차측 회로로부터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NTC 서미스터는 PTC 서미스터, 열전쌍, 온도 측정 저항체 등 온도 측정이 가능한 전자 소자로 대체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팬부(120)는 전원 공급부(200) 내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팬은 화상형성장치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기계장치로, 유동을 일으키는 날개차(impeller)와 날개차를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팬부(120)는 팬의 모터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회로는 후술할 프로세서(18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에 구동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제어 신호는 모터의 구동 속도도 조정 가능한 PWM 신호일 수 있다.
한편, 구동 회로는 프로세서(180)의 제어 없이 직접 센서부(110)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모터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현 예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원 공급부(20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200)는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입력받고, 화상형성장치에 필요한 DC의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200)는 복수의 구동 전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에 대응하여 팬의 동작을 제어하는바, 전원 공급부의 열적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실질적으로 팬 구동이 필요한 시점에서만 팬을 구동하는바, 화상형성장치 내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팬 및 SMPS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센서부(110), 팬부(120), 통신 인터페이스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조작 입력부(150), 저장부(160), 화상 형성부(170), 프로세서(180) 및 전원 공급부(200)로 구성된다.
센서부(110), 팬부(120) 및 전원 공급부(200)의 동작은 도 1의 동작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모바일 기기(Smart Phone, Tablet PC),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파일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LCD, CRT, OLED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조작 입력부(15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조작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인쇄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팩스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 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조작 입력부(15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4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60)는 각종 정착 조건(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온도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70)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70)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부(170)는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 과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7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8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CPU, ASI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200)가 배치되는 기판(201)과 구별되는 메인 보드(10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화상 형성부(170)를 제어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80)는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팬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센서부(110)의 온도 센서의 전압 값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200) 내의 온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온도에 따라 팬의 동작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팬을 구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값(예를 들어, 60도) 이상이면 팬을 동작시키고, 기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60도) 미만이면 팬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제어 신호를 팬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팬이 빈번하게 동작하지 않도록 감지되는 온도 값에 히스테리시스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온도(예를 들어, 60도) 이상이면 팬을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예를 들어, 50도) 미만이 되면 팬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단순히 팬의 동작 상태를 온/오프하는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팬의 속도도 제어할 수 있는 PWM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0)는 감지된 온도가 고온(예를 들어, 70도)이면 빠른 쿨링을 위하여 높은 팬 속도로 동작하도록 하는 높은 듀티(예를 들어, 100%)를 갖는 PWM 신호를 출력하고, 감지된 온도가 비교적 낮은 온도(예를 들어, 61도)이면 낮은 듀티(예를 들어, 30%)를 갖는 PWM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80)가 팬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상술한 프로세서(180)의 팬 제어는 소프트웨어 방식이 아닌 하드웨어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80)가 인쇄도 제어하고 팬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IC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쇄 제어와 팬 제어는 서로 다른 IC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2를 설명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80)가 하나의 팬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프로세서(180)는 복수의 팬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 내는 복수의 팬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 측에 배치되는 팬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하고, 나머지 팬들에 대해서는 종래의 방식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일반적인 기능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구성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가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스캔 기능을 수행하는 스캔부, 팩스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팩스 송수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화상 형성부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부(170)는 감광체(171), 대전기(172), 노광기(173), 현상기(174), 전사기(175), 및 정착기(178)를 구비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70)는 기록매체(P)를 공급하는 급지 수단(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감광체(171)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71)는 그 형태에 따라서 감광드럼, 감광벨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전기(172)는 감광체(17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대전기(172)는 코로나 대전기,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노광기(17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체(171)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킴으로써 감광체(171)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킨다. 일 예로서, 노광기(173)는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감광체(171)에 조사함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노광기(173)는 광주사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LED가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현상기(174)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며,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174)는 현상제를 정전 잠상으로 공급하는 현상 롤러(17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상제는 현상 롤러(175)와 감광체(171) 사이에 형성되는 현상 전계에 의하여 현상 롤러(175)로부터 감광체(171)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공급될 수 있다.
감광체(171)에 형성된 가시적인 화상은 전사기(175) 또는 중간 전사 벨트(미도시)에 의하여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전사기(175)는 예를 들어 정전 전사 방식에 의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킬 수 있다. 가시적인 화상은 기록 매체(P)에 정전 인력에 의하여 부착된다.
정착기(178)는 기록 매체(P) 상의 가시적인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인쇄작업이 완료된다.
상술한 현상제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이 경우, 현상제를 저장하는 유닛(예를 들어, 상술한 현상기(174) 자체를 새로이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사용과정에서 교체할 수 있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들을 소모품 유닛 또는 교체 가능 유닛이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모품 유닛에는 해당 소모품 유닛의 적절한 관리를 위하여 메모리(또는 CRUM 칩)이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 및 팬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200)는 SMPS 기판(201) 상에 배치되며, 1차측 영역(202), 2차측 영역(203)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00)는 변압기(21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변압기의 1차 권선 측에 연결되는 1차측 회로와 변압기(210)의 2차 권선 측에 연결되는 2차측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00)의 1차측 회로는 외부로부터 AC 전원을 입력받는 입력단, 입력된 AC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 회로, 정류된 AC 회로를 평활하는 평활부와 평활된 AC 전원을 선택적으로 변압기의 1차 권선에 제공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1차측 회로는 도 4의 1차측 영역(202)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00)의 2차측 회로는 변압기의 2차측 권선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2차측 회로는 2차측 영역(203)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2차측 영역(203)에는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110)도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온도 센서(110)는 SMPS 기판(201)에 솔더링 되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 부재(예를 들어, 테이프) 등을 통하여 부착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2차측 영역(203)에는 팬의 구동을 위한 구동 회로도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팬(120)은 전원 공급부(20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외부의 공기를 전원 공급부(200) 내로 유입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110)가 팬의 동작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위치라면, 온도 센서(110)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팬부(120)의 동작에 따라 즉각적인 온도 변화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부(200) 내의 전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않은 경우라도 온도 센서(110)는 팬이 동작하지 않아도 될 온도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온도 센서(110)가 배치되는 경우라면 감지된 온도에 대해서 히스테리시스를 반영하여 팬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온도 센서(1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가 아니라 SMPS 기판(201)의 반대 면(즉, 후면)에 배치되는 경우, 즉, 온도 센서가 팬의 동작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를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면,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해서 히스테리시스를 반영하지 않고 팬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도시함에 있어서, 팬이 전원 공급부(200)의 좌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도시된 형태와 다른 위치에 팬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팬만이 배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복수의 팬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팬을 속도 및 온/오프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응되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는 센서부(110), 프로세서(180), 스위칭 회로(310)로 구성된다.
센서부(110)는 NTC 서미스터(111)를 포함한다.
NTC 서미스터(111)는 SMPS 기판(201)에 배치되며, 일 단은 저항의 타 단과 프로세서(180)의 입력단에 공통 연결되며, 타 단은 접지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저항이 메인 보드(101)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SMPS 기판(201)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NTC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이 떨어지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올라가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은 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프로세서(180)의 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압 값은 낮아지게 된다.
프로세서(180)는 메인 보드(101)에 배치되며,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전압 값에 대응하여 팬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기설정된 전압 값 이하가 되면 팬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기설정된 전압 값을 초과하면 팬 정지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0)는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에 히스테리시스를 반영하여 기설정된 제1 전압 값 이하면 팬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기설정된 제1 전압 값보다 높은 제2 전압 값을 초과하게 되면 비로소 팬 정지를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80)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는 팬의 속도 제어가 가능한 PWM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80)는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기설정된 전압 값 이하이면 팬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되,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에 대응되는 듀티비를 갖는 PWM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31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팬부의 모터에 구동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이러한 스위칭 회로(310)는 별도의 회로 기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SMPS 기판(201)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스위칭 회로(310)는 팬부(120) 내의 구성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회로(310)는 제1 트랜지스터(311), 제2 트랜지스터(312), 커패시터(313), 저항(3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311)는 프로세서(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된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랜지스터(311)는 하이 값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턴-온되고, 로우 값의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턴-온프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312)는 제1 트랜지스터(311)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설정된 구동 전압(24V)을 팬 모터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 트랜지스터(312)는 제1 트랜지스터(311)가 턴-온 상태이면 구동 전압을 팬의 모터에 제공하고, 제1 트랜지스터(311)가 턴-오프 상태이면 구동 전압을 팬의 모터에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이 값의 제어 신호가 프로세서(180)로부터 입력되면, 제1 트랜지스터(311)가 턴-온되고, 순차적으로 제2 트랜지스터(312)가 턴-온되어 구동 전압이 팬의 모터에 제공된다.
모터의 구동 중에 로우 값의 제어 신호가 프로세서(180)로부터 입력되면, 제1 트랜지스터(311)가 턴-오프되고, 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312)도 턴-오프되고, 따라서, 구동 전압이 팬의 모터에 제공되지 않는다.
한편, 프로세서(18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PWM 신호인 경우, PWM 신호의 한 주기 내에서 온 듀티일 때 상술한 하이 값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하고, 오프 듀티일 때 상술한 로우 값의 제어 신호가 입력된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하면, 이러한 온/오프 동작이 주기 단위로 반복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프로세서(180)가 팬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전용의 하드웨어 구성이 팬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하드웨어 적으로 팬을 온/오프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응되는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는 센서부(110'), 스위칭 회로(310) 및 전압 비교부(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110'), 스위칭 회로(310), 전압 비교부(320)는 SMPS 기판(201)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NTC 서미스터(111) 및 저항(112)으로 구성된다.
NTC 서미스터(111)는 일 단이 저항(112)의 타 단과 전압 비교부(320)의 입력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된다.
저항(112)은 기설정된 저항 값을 가지며, 일 단은 기설정된 전압(5V)을 입력받고, 타 단은 NTC 서미스터(111)와 전압 비교부(320)의 입력단에 공통 연결된다.
전압 비교부(320)는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과 기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하고,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으면 하이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비교부(320)는 - 입력단으로 NTC 서미스터의 전압 값을 입력받고, + 입력단으로 기설정된 기준 값을 입력받는 비교기로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310)는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팬의 모터에 구동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스위칭 회로(3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와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도 6의 회로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낮은 상태이면, 전압 비교부(32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그에 따라 스위칭 회로(310)도 구동 전원을 팬에 제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오르게 되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은 낮아지며, NTC 서미스터(110)의 전압 값이 기준 전압 값(Vref)보다 떨어지게 되면 비교기(320)는 하이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비교기(320)가 하이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제1 트랜지스터(311)가 턴-온된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311)의 턴-온되면 제2 트랜지스터(312) 역시 턴-온되어 기설정된 구동 전압이 팬에 제공된다.
그리고 팬의 동작에 의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낮아지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은 높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기설정된 기준 전압 값보다 높아지면 비교기(320)는 로우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311) 및 제2 트랜지스터(312)는 턴-오프되어 팬에 구동 전원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예에 다른 팬 제어 회로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동작하는바, 상기 구성이 SMPS에 실장되더라도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2 실시 예에 다른 팬 제어 회로는 팬의 동작을 온/오프만 제어하는바 온도 센서(111)가 팬의 동작에 따라 영향을 적게 받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하드웨어적으로 팬을 온/오프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응되는 회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는 센서부(110') 및 스위칭 회로(3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110')와 스위칭 회로(310')는 SMPS 기판(201)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NTC 서미스터(111), 저항(112)으로 구성된다.
NTC 서미스터(111)는 일 단이 저항(112)의 타 단과 스위칭 회로(310')의 입력단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된다.
저항(112)은 기설정된 저항 값을 가지며, 일 단은 기설정된 전압(5V)을 입력받고, 타 단은 NTC 서미스터(111)와 스위칭 회로(310')의 입력단에 공통 연결된다.
스위칭 회로(310')는 온도 센서의 온도 값에 따라 팬의 모터에 구동 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칭 회로(310')는 제1 트랜지스터(311), 제2 트랜지스터(312), 커패시터(313), 저항(324), 제3 트랜지스터(315), 제2 저항(3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315)는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된다. 구체적으로, 제3 트랜지스터(315)는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트랜지스터의 턴온에 필요한 전압 이상이면 턴-온되고, 그 이하이면 턴-오프 상태를 갖는다.
제1 트랜지스터(311)는 제3 트랜지스터(315)의 턴-온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된다. 구체적으로, 제1 트랜지스터(311)는 제3 트랜지스터(315)가 턴-온되면 턴-오프 상태가 되고, 제3 트랜지스터(315)가 턴-오프되면 턴-온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312)는 제1 트랜지스터(312)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설정된 구동 전압(예를 들어, 24V)를 팬의 팬 모터에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도 7의 회로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낮으면, NTC 서미스터(111)는 비교적 높은 저항 값을 갖는다. 그에 따라 제3 트랜지스터(315)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 트랜지스터(311)의 게이트에는 스레스홀드 전압 이하의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바, 제1 트랜지스터(311)는 턴-오프 상태이고, 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312)도 턴-오프 상태이다. 따라서, 팬에는 구동 전원이 입력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오르게 되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은 낮아지며, NTC 서미스터(110)의 전압 값이 제3 트랜지스터(315)를 턴-오프 시키는 전압 값까지 떨어지게 되면, 제3 트랜지스터(315)는 턴-오프된다.
제3 트랜지스터(315)가 턴-오프되면, 제1 트랜지스터(311)의 게이트에는 기설정된 전압(5V)이 인가되어 제1 트랜지스터(311)는 턴-온된다. 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312) 역시 턴-온되어 기설정된 구동 전압이 팬에 제공된다.
그리고 팬의 동작에 의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점차 낮아지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은 다시 높아지게 되다. 그리고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이 제3 트랜지스터(315)를 턴-온 시키는 전압 값 이상이 되면, 제3 트랜지스터(315)는 턴-온된다. 그에 따라서 제1 트랜지스터(311), 제2 트랜지스터(312)는 턴-오프되고, 팬에 구동 전원은 입력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예에 다른 팬 제어 회로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동작하는바, 상기 구성이 SMPS에 실장되더라도 많은 면적을 차지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3 실시 예에 다른 팬 제어 회로는 팬의 동작을 온/오프만 제어하는바 온도 센서(111)가 팬의 동작에 따라 영향을 적게 받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하드웨어적으로 팬을 속도 및 온/오프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응되는 회로도이다. 그리고 제4 실시예에서 팬은 입력되는 구동 전원의 크기에 따라 회전 속도가 가변되는 모터로 동작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는 센서부(110'), 스위칭 회로(310'), 제2 센서부(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110'), 스위칭 회로(310'), 제2 센서부(330)는 SMPS 기판(201)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10') 및 스위칭 회로(310')의 구성은 도 7의 구성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센서부(330)는 감지된 온도에 비례한 구동 전원을 스위칭 회로(31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330)는 감지된 온도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구동 전원을 스위칭 회로(310')에 제공하고 감지된 온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구동 전원을 스위칭 회로(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부(330)는 제2 NTC 서미스터(331), 저항(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NTC 서미스터(331)는 일 단이 기설정된 전압(24V)을 입력받고, 타 단은 저항(332)의 일 단과 제2 트랜지스터(312)에 공통 연결된다. 여기서 제2 NTC 서미스터(331)는 제1 NTC 서미스터(111)의 인근에 배치되며, 제1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 변화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저항 값이 변화할 수 있다.
저항(332)은 일 단이 제2 NTC 서미스터(331)의 타 단과 제2 트랜지스터(312)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은 접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도 8의 회로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낮으면, NTC 서미스터(111)는 비교적 높은 저항 값을 갖으며, 그에 따라 제3 트랜지스터(315)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311)의 게이트에는 낮은 전압이 인가되어 제1 트랜지스터(311)는 턴-오프 상태이다. 따라서 제2 트랜지스터(312)도 턴-오프 상태이고, 팬에는 구동 전원도 인가되지 않는다. 이때 제2 NTC 서미스터(331)도 낮은 온도를 갖기 때문에 비교적은 낮은 크기의 구동 전원이 제2 트랜지스터(312)에 제공되지만, 제2 트랜지스터(312)가 턴-오프 상태인바 낮은 구동 전원이 제2 트랜지스터(312)에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의 온도가 오르게 되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은 낮아지며,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제3 트랜지스터(315)를 턴-오프 시키는 전압 값까지 떨어지게 되면, 제1 트랜지스터(311)의 게이트에는 기설정된 전압(5V)이 인가되어 제1 트랜지스터(311)는 턴-온된다. 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312) 역시 턴-온되어 제2 센서부의 중간 노드의 전압이 팬에 제공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의 턴-온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오르게 되면, 제2 NTC 서미스터(331)는 점차 낮은 전압 값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312)는 점차 높아지는 구동 전압이 전달된다. 즉, 전원 공급부의 온도가 오를수록 팬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도 증가하여 팬의 속도도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전원 공급부의 온도가 점차 낮아지면, 제2 NTC 서미스터(331)의 저항 값은 커지고, 제2 트랜지스터(312)는 점차 낮아지는 구동 전압이 전달된다. 따라서, 팬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은 감소하고, 그에 따라 팬의 속도도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의 온도가 더욱 낮아지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이 매우 높아지게 되어 제3 트랜지스터(315)가 턴-온된다. 그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311) 및 제2 트랜지스터(312)는 턴-오프되고, 그에 따라 팬의 동작은 중단된다.
이와 같이 제4 실시 예에 다른 팬 제어 회로는 팬을 온/오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속도 제어도 가능한바, 보다 효율적으로 팬 제어가 가능하다.
도 9는 제5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하드웨어적으로 팬을 히스테리시스 방식으로 온/오프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응되는 회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5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는 센서부(110"), 스위칭 회로(310) 및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110"), 스위칭 회로(310),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SMPS 기판(201)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NTC 서미스터(111), 저항(112)으로 구성된다.
NTC 서미스터(111)는 일 단이 기설정된 전압(5V)을 입력받고, 타 단이 저항(112)의 일 단과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의 입력단에 공통 연결된다.
저항(112)은 기설정된 저항 값을 가지며, NTC 서미스터(111)의 타 단과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의 입력단에 공통 연결된다. 타 단은 접지된다.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과 두 개의 기설정된 값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기설정된 제1 기준 값보다 높으면 하이 값의 출력값을 출력하고,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이 제1 기준 값보다 낮은 제2 기준 값보다 낮으면 로우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310)는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의 출력 신호에 따라 팬의 모터에 구동 전원(예를 들어, 24V)을 선택적으로 인가한다. 스위칭 회로(31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와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도 9의 회로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낮으면,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로우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에 따라 스위칭 회로(310)도 구동 전원을 팬에 제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오르게 되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NTC 서미스터(111)의 양단 전압 값은 낮아지나, 비교부(340)로 들어가는 입력 전압 값은 커지며(즉, 저항(112)의 전압 값은 커지며),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하이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가 하이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제1 트랜지스터(311)가 턴-온되고, 그에 대응하여 제2 트랜지스터(312) 역시 턴-온되어 기설정된 구동 전압이 팬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팬은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팬의 동작에 의하여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낮아지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도 다시 높아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저항(112)의 전압 값은 낮아진다. 다만, 비교부(340)의 입력단의 전압 값이 조금 낮아지더라도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하이 값의 제어 신호의 출력을 유지한다.
그리고 비교부(340)의 입력단의 전압 값(즉, 저항(112)의 전압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낮아지면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비로소 로우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311), 제2 트랜지스터(312)도 턴-오프되고 그에 따라 구동 전원도 팬에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5 실시 예에 다른 팬 제어 회로는 히스테리시스 방식으로 팬 동작을 제어하는바, 온도 센서가 펜의 영향을 받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의 회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0은 하드웨어적으로 팬을 히스테리시스 방식으로 온/오프 제어하면서 속도도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응되는 회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6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회로는 센서부(110"), 스위칭 회로(310), 제2 센서부(330) 및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부(110'), 스위칭 회로(310), 제2 센서부(330) 및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SMPS 기판(201)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부(110"), 스위칭 회로(310) 및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의 구성은 도 9와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센서부(330)는 감지된 온도에 비례한 구동 전원을 스위칭 회로(31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2 센서부(330)는 감지된 온도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높은 구동 전원을 스위칭 회로(310)에 제공하고 감지된 온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낮은 구동 전원을 스위칭 회로(3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부(330)는 제2 NTC 서미스터(331), 저항(3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NTC 서미스터(331)는 일 단이 기설정된 전압(24V)을 입력받고, 타 단은 저항(332)의 일 단과 제2 트랜지스터(312)에 공통 연결된다. 여기서 제2 NTC 서미스터(331)는 제1 NTC 서미스터(111)의 인근에 배치되며, 제1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 변화에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저항 값이 변화할 수 있다.
저항(332)은 일 단이 제2 NTC 서미스터(331)의 타 단과 제2 트랜지스터(312)에 공통 연결되고, 타 단은 접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도 10의 회로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낮으면,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로우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에 따라 스위칭 회로(310)도 구동 전원을 팬에 제공하지 않는다. 이때 제2 NTC 서미스터(331)도 낮은 온도를 갖기 때문에 비교적은 낮은 크기의 구동 전원이 제2 트랜지스터(312)에 제공되지만, 제2 트랜지스터(312)가 턴-오프 상태일 때는 낮은 구동 전원이 제2 트랜지스터(312)에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가 오르게 되면, NTC 서미스터(111)의 저항 값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NTC 서미스터(111)의 전압 값은 낮아지며, 저항(112)의 전압 값은 높아진다.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의 입력 전압(즉, 저항(112)의 전압)이 제1 기준 전압 값(Vref)보다 올라가게 되면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하이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가 하이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제1 트랜지스터(311)가 턴-온되고, 그에 대응하여 제2 트랜지스터(312) 역시 턴-온되어 기설정된 구동 전압이 팬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팬은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트랜지스터(312)의 턴-온 상태에서 전원 공급부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오르게 되면, 제2 NTC 서미스터(331)는 점차 낮은 전압 값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312)는 점차 높아지는 구동 전압이 전달된다. 즉, 전원 공급부의 온도가 오를수록 팬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도 증가하여 팬의 속도도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전원 공급부의 온도가 점차 낮아지면, 제2 NTC 서미스터(331)의 저항 값은 커지고, 제2 트랜지스터(312)는 점차 낮아지는 구동 전압이 전달된다. 따라서, 팬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은 감소하고, 그에 따라 팬의 속도도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의 온도가 더욱 낮아지면,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의 입력 전압 값이 제2 기준 값보다 낮아지고, 히스테리시스 비교부(340)는 비로소 로우 값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311), 제2 트랜지스터(312)도 턴-오프되고 그에 따라 구동 전원도 팬에 제공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6 실시 예에 다른 팬 제어 회로는 히스테리시스 방식으로 팬 동작을 제어하는바, 온도 센서가 펜의 영향을 받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팬을 온/오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속도 제어도 가능한바, 보다 효율적으로 팬 제어가 가능하다.
도 11은 히스테리시스가 적용된 경우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히스테리시스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비교하면, 히스테리시스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 팬의 동작은 다소 빈번하게 온/오프 제어되나 히스테리시스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팬의 동작이 둔감하게 제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가 팬의 동작에 따라 민감하게 변환하는 곳에 배치된 경우라면, 히스테리시스 방식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팬이 빈번하게 동작할 수 있으면 감성 소음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히스테리시스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잦은 온도 변화에 둔감하게 팬이 동작하게 되고, 그에 따라 팬 소음을 줄이고 팬의 수명도 늘릴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가 입력되면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중 또는 대기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전원 공급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1310).
그리고 감지된 온도에 따라 팬 동작을 제어한다(S132). 구체적으로,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팬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는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온도 이상이면 팬이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미만이면 팬을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어 신호는 단순히 팬을 온/오프 제어하는 신호일 수도 있지만, 팬의 속도도 가변할 수 있는 PWM 신호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팬 제어 방법은 전원 공급부(200)의 온도에 대응하여 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바, 화상형성장치 내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팬 및 SMPS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3과 같은 팬 제어 방법은 도 1 또는 2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팬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술한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화상형성장치
110: 센서부
120: 팬부 130: 통신 인터페이스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조작 입력부
160: 저장부 170: 화상 형성부
180: 프로세서 200: 전원 공급부
120: 팬부 130: 통신 인터페이스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조작 입력부
160: 저장부 170: 화상 형성부
180: 프로세서 200: 전원 공급부
Claims (18)
-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
상기 화상 형성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내의 온도를 저감시키며,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팬을 포함하는 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팬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이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미만이면 상기 동작하는 팬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되는 듀티비를 갖는 PWM 제어 신호를 상기 팬에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팬에 기설정된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2차측 회로에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NTC 서미스터(thermistor)인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2차 측 회로가 구성되는 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전압 값을 비교하는 전압 비교부; 및
상기 전압 비교부의 출력 값에 따라 상기 팬에 기설정된 전압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팬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팬에 공급되는 전원을 가변하는 제2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부는,
일 단이 상기 기설정된 전압을 입력받고, 타 단이 상기 스위칭 회로에 연결되는 제2 NTC 서미스터(thermistor); 및
일 단이 상기 제2 NTC 서미스터의 타 단에 연결되고 타 단이 접지되는 제2 저항;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비교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전압이 상기 기설정된 전압보다 크면 온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비교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전압이 기설정된 제1 전압보다 크면 온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온도 센서의 전압이 상기 기설정된 제1 전압보다 작은 제2 전압보다 작으면 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 내의 온도를 저감시키는 팬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중에 상기 전원 공급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팬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팬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팬 제어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온도 이상이면 상기 팬이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 미만이면 상기 동작하는 팬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팬 제어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되는 듀티비를 갖는 PWM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팬 제어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공급부의 2차측 회로에 배치되는 NTC 서미스터(thermistor)를 이용하여 온도를 감지하는 팬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587A KR20180060740A (ko) | 2016-11-29 | 2016-11-29 |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 |
PCT/KR2017/006290 WO2018101561A1 (ko) | 2016-11-29 | 2017-06-16 |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587A KR20180060740A (ko) | 2016-11-29 | 2016-11-29 |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740A true KR20180060740A (ko) | 2018-06-07 |
Family
ID=6224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0587A KR20180060740A (ko) | 2016-11-29 | 2016-11-29 |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060740A (ko) |
WO (1) | WO2018101561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9939B1 (ko) * | 2022-06-02 | 2023-09-1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Pra용 팬 구동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93357B2 (en) * | 2020-08-28 | 2023-07-04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rolable fan |
CN112698557A (zh) * | 2020-10-23 | 2021-04-23 | 宁波得力科贝技术有限公司 | 一种防结雾打印机及打印机工作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43341A (ja) * | 1997-11-07 | 1999-05-28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2001318574A (ja) * | 2000-05-08 | 2001-11-16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2002229417A (ja) * | 2001-01-31 | 2002-08-14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2004361796A (ja) * | 2003-06-06 | 2004-12-24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13228510A (ja) * | 2012-04-25 | 2013-11-07 | Oki Data Corp | 画像形成装置 |
-
2016
- 2016-11-29 KR KR1020160160587A patent/KR20180060740A/ko unknown
-
2017
- 2017-06-16 WO PCT/KR2017/006290 patent/WO201810156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9939B1 (ko) * | 2022-06-02 | 2023-09-18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Pra용 팬 구동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101561A1 (ko) | 2018-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1347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fuser | |
EP2741146A2 (en) |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printing apparatus, and program | |
KR20180060740A (ko) | 화상형성장치 및 팬 제어 방법 | |
US888606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eveloping unit thereof | |
US11310391B2 (en) | Jam detec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based on sizes of motor currents measured in multiple intervals | |
US1144735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 |
US10892685B2 (en) | Pow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11467519B2 (en) | Error detection in temperature sensors of fuser | |
US10645251B2 (en) |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can | |
US1013977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fer power thereof | |
US11474446B2 (en) | Identifying occurrence of background based on an image density | |
US11431277B2 (en) | Temperature estimation of step motor based on sensing voltage thereof | |
JP7468188B2 (ja) |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11194279B2 (en) |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 |
KR20190009609A (ko)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 |
JP2019159208A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 |
US11143993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fuser using waveform number or phase control based on operation mode | |
WO2021076511A1 (en) | Error detection using dual checks of analog signals | |
KR20190016288A (ko) | 화상형성장치 및 정착기 구동 제어 방법 | |
JP2017062417A (ja) | 画像形成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