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734A - Solidarity structure of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olidarity structure of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734A
KR20230061734A KR1020210146275A KR20210146275A KR20230061734A KR 20230061734 A KR20230061734 A KR 20230061734A KR 1020210146275 A KR1020210146275 A KR 1020210146275A KR 20210146275 A KR20210146275 A KR 20210146275A KR 20230061734 A KR20230061734 A KR 20230061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protrusion
substrate
fixing
fram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9279B1 (en
Inventor
정진석
정인영
Original Assignee
정진석
정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석, 정인영 filed Critical 정진석
Priority to KR102021014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279B1/en
Publication of KR20230061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ing structure of a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binding structure of a wire rope frame structure comprises: a fixing means formed by punching at regular intervals from a substrate to form fixing holes in which fixing nails are driven so that a wire rope is fixed on the substrate; and a support means for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 mold so that the fixing part can be buried in a concrete structure. The fixing means includes a first protrusion portion, which has a first hole portion formed in the substrate and forms a fixing portion, of which one e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and is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and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to compress and fix the wire rope. The support means includes a second hole portion,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portions, and a second protrusion portion, of which an e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and is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and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xing portion which wraps around the wire rope from the substrate,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wire rope binding operations,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ensuring that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is embedded within the concrete structure without excessive exposure.

Description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및 그 제조 방법{Solidarity structure of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Solidarity structure of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량, 터널 등의 보강 공사시에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매설되는 와이어 로프 철골 구조물의 결속이 압착 방식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로프 결속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면서, 표면에는 양쪽으로 돌출되는 엠보싱 돌기를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콘크리트와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면서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이 과도하게 노출됨이 없이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매설되도록 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wire rope binding work by enabling simple and robust binding of wire rope steel structures buried inside concrete structures during reinforcement work such as bridges and tunnels by a compression method, , A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to form embossed projections protruding on both sides on the surface to improve the strength and improve the binding force with the concrete, while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is not excessively exposed in the concrete structure. It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rope frame structure to be buried.

철근은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봉강으로 건축 구조물을 신축하거나 유지 보수하기 위해 터설되는 콘크리트는 내부에 철근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reinforcing bar is a steel bar used for reinforcing concrete, and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improved by installing the reinforcing bar inside the concrete to be installed for new construction or maintenance of the building structure.

일반적인 형태의 철근은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으로 나누어진다.Reinforcing bars in general form are divided into circular reinforcing bars and deformed reinforcing bars.

원형철근은 가공성은 우수하나 부착성이 낮아 구조용으로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형철근은 부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원형 단면의 둘레에 길이방향으로 돌기가 있도록 제조된 철근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Circular reinforcing bars have excellent workability, but are rarely used for structural purposes due to their low adhesion. Deformed reinforcing bars are generally used as reinforcing bars manufactured to have protrus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a circular cross section to increase attachment strength.

철근은 교량, 건물, 원자력 발전소 등 건축의 중추적 자재로 사용되며,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크며, 인장에 취약한 콘크리트를 보완하여 콘크리트 균열 발생시 균열 폭을 줄여 주는 장점이 있어 건축과 토목 현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Reinforcing bars are used as a pivotal material for construction such as bridges, buildings, and nuclear power plants, and are widely used in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sites because they have high adhesion to concrete and reduce the width of cracks when concrete cracks occur by supplementing concrete that is vulnerable to tension. .

건축물의 철근은 건축 과정에서 철근 콘크리트의 가장 주된 자재이자, 건축공학에서 굉장히 중요하게 다루는 역학 구조체 중 하나로, 통상 탄소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양구조물 등에서 해수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에폭시 도막 철근이나 아연 도금 철근,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철근, 더 높은 부식환경에서는 섬유에폭시 수지 분체 철근을 사용하기도 한다Reinforcing bars in buildings are the main material of reinforced concrete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mechanical structures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They are usually made of carbon steel. Stainless steel rebar, in highly corrosive environments, fiber epoxy resin powder rebar may be used.

크기와 명칭 또한 용도와 모양, 사용처에 따라 제각기 다른 사이즈의 철근,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데, 기본 철근은 끝이 뭉툭하지만 자르는 과정에서 날카로워지는 경우도 있고 철근 자체가 무겁기 때문에 공사장에서 철근에 찔리거나 철근에 깔리는 인명 사고도 종종 일어나는 편이다. 특히 25mm x 10m 철근은 단 25가닥만으로 1톤에 육박할 만큼 무겁고 두꺼우며, 당연히 굵을수록 잘 휘지도 않는다.The size and name are also referred to as different sizes of reinforcing bars or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the purpose, shape, and place of use. The basic reinforcing bars have blunt ends, but sometimes become sharp during the cutting process, and because the reinforcing bars themselves are heavy, they are often stabbed by reinforcing bars or reinforcing bars at construction sites. Accidents involving human life often occur. In particular, a 25mm x 10m reinforcing bar is heavy and thick enough to weigh nearly 1 ton with just 25 strands, and of course, the thicker it is, the less bendable it is.

철근은 굵을수록 기둥과 보에 사용되며, 얇을수록 슬라브와 벽채, 혹은 굵은 기둥근들이 서로 흩어져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일정 간격으로 둥글게 감싸는 역할을 하는 기둥 후프, 벽체 철근들이 벌어지지 않도록 벽체 철근에 수직으로 양 끝에 모이는 스트랩, 벽체 철근과 수직으로 길게 결속되는 족싱 등으로 사용된다.The thicker the reinforcing bars, the more they are used for columns and beams. The thinner the reinforcing bars, the more they are used for slabs and walls, or the column hoops that play a role in roundly wrapping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the thick pillar bars from scattering and distorting each other, and the wall reinforcing bars to prevent the wall reinforcing bars from spreading. It is used as a strap that gathers at both ends vertically and as a jokxing that is vertically tied to a wall rebar.

최근의 건축 현장에서는 철근 콘크리트에서 콘크리트 타설 부위에 사용되는 심재로 와이어 로프로 된 골조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construction sites, frame structures made of wire ropes are used as core materials used in concrete casting parts in reinforced concrete.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은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가 격자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철근을 설치하는 것에 비해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굴곡 형성이 용이하여 다양한 건축 구조물의 신설 및 유지 보수 과정에 따르는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심재로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is formed by combining longitudinal wires and transverse wires in the form of a lattice. Compared to installing reinforcing bars, it is not only easier to construct, but also easier to form bends, so it can be used in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various building structures. It is widely used as a core material in the casting process.

이와 같은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에서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는 각 교차 지점이 용접되거나 클립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결속이 이루어져 왔다.In such a wire rope frame structure, the longitudinal wires and the transverse wires have been bound by welding or fixing each intersection point by a clip.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의 각 교차 저점을 용접하거나 클립으로 결속하는 방법은 종방향 와이어와 횡방향 와이어를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으나, 양자 모두 번거로움이 따르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이어서 와이어 로프 결속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결과적으로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제작할 때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The method of welding or binding each intersection point of the longitudinal wire and the transverse wire to be able to bind the longitudinal wire and the transverse wire, but both of them require cumbersome work, so the wire rope Since the binding operation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ivity decreases when manufacturing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또한, 와이어 로프 결속 방법은 용접에 의한 와이어 결속방법의 경우 와이어 로프 용접 과정에서 가해지는 고열로 인하여 와이어 로프의 금속 조직에 변형이 발생하여 파단강도가 취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클립에 의해 결속할 경우 클립 제작에 별도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을 뿐 아니라 클립 이탈시 와이어 로프의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wire rope bind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breaking strength is weakened due to deformation of the metal structure of the wire rope due to the high heat applied during the wire rope welding process in the case of the wire binding method by welding.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of the clip required extra cost and time, and when the clip was released, the binding state of the wire rope could not be maintain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durability.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 제작 과정에서 간편하고 견고하게 골조 구조물의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로프 결속 구조로 대한민국 특허 제10-1202166호 "와이어 로프 망의 제작을 위한 와이어 로프 결속 구조"가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Korean Patent No. 10-1202166 "Wire Rope Binding Structure for Manufacturing Wire Rope Network" is a wire rope binding structure that enables simple and solid binding of the frame structur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 has been proposed.

이러한 기술은 도 1에서 보듯이 일정한 폭의 띠 형태로 된 금속재의 것으로, 굽힘 가공에 의해 형성된 반원형태의 함몰부(1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되게 마련되고, 각 함몰부(11)의 일측 상부에 일체로 이어지면서 굽힘 가공에 의해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2)가 마련된 기판(100과, 기판(100의 각 함몰부(11)에 안착되는 것으로, 동일 직경의 와이어가 꼬여서 된 와이어 로프(20)로 이루어지되,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열되는 기판(100의 각 함몰부(11)에 와이어 로프(20)가 안착된 이후 기판(100의 각 돌출부가 와이어 로프 상면의 굴곡을 따라 압착되어 기판(100 상에 와이어 로프(20)가 결속되도록 하며, 연속하여 배치된 기판(100에 대하여 선순위 기판(100과 차순위 기판을 동일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돌출부(12)가 동일 방향에서 압착되어 와이어 로프(20)가 결속되도록 하거나, 선순위 기판(100과 차순위 기판을 반대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선순위 기판(100의 돌출부(12)와 차순위 기판(100의 돌출부(12)가 서로 반대 방향에서 압착되어 와이어 로프(20)가 결속되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is technology is of a metal material in the form of a band of a certain width, and semicircular depressions 11 formed by bending are continuously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nd one side of each depression 11 A substrate 100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12 protruding upward by bending whil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and a wire rope made by twisting wires of the same diameter ( 20), but after the wire rope 20 is seated in each depression 11 of the substrate 100 continuous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each protrusion of the substrate 100 is pressed along the curv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rope to the substrate ( The wire rope 20 is bound on the 100, and by arranging the priority board 100 and the next boar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secutively arranged boards 100, the protrusion 12 is compress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wire rope 20 ) are bound together, or by arranging the priority board 100 and the next board in opposite directions, the protrusion 12 of the priority board 100 and the protrusion 12 of the next board 100 are compressed in opposite directions to form a wire rope 20 is made to bind.

이러한 와이어 로프 결속 구조는 와이어 로프(20)가 안착되는 반원형 형상의 함몰부(11)와 절곡되는 돌출부(12)를 형성하는 금형이 복잡하게 제작되고, 그 제작 공정이 어려을 뿐만 아리라, 돌출부(12)가 접쳐지면서 절곡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 로프(20)를 결속시키기 위한 압착공정시 돌출부(12)에서 스프링백(spring back)과 같은 현상이 발생하여 와이어 로프(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없게 됨으로써 흔들림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In this wire rope binding structure, the mold forming the semicircular depression 11 on which the wire rope 20 is seated and the protrusion 12 to be bent are complicatedly manufactur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not only difficult, but also the protrusion 12 ) is folded and formed, so that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for binding the wire rope 20, a phenomenon such as spring back occurs in the protrusion 12, making it impossible to firmly fix the wire rope 20. It is causing vibration.

또한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이 거푸집에 근접 설치될 경우 와이어 로프(20)를 감싸는 돌출부(12)가 거푸집에 접촉됨으로 거푸집 제거 후에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돌출부(12)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is installed close to the formwork, the protrusion 12 surrounding the wire rope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rmwork, so that the protrusion 12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is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 formwork is removed, impairing the aesthetics. There is also

KR 10-1202166 B1 (2012. 11. 09.)KR 10-1202166 B1 (2012. 11. 09.) KR 20-0449326 Y1 (2010. 06. 23.)KR 20-0449326 Y1 (2010. 06. 23.) KR 20-209-0012405 U (209. 12. 03.)KR 20-209-0012405 U (209. 12. 03.) KR 20-209-0011884 U (209. 11. 24.)KR 20-209-0011884 U (209. 11. 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에 비하여 제작 금형이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고, 금속재 띠의 형태로 되는 골조 포면의 양쪽으로 돌출되는 엠보싱 돌출돌기에 의해 강도를 향상시키면서 골조 기판의 천공에 의해 콘크리트와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종래에 이중구조로 되는 돌출부에 비하여 기판에 와이어 로프의 결속이 압착 방식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 로프 결속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면서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또한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manufacturing mold can be configured simp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the embossing protrusion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frame surface in the form of a metal b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with concrete by perforating the frame substrate while improving the strength by the above, an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rotrusions having a double structure, the bonding of the wire rope to the substrate can be done simply and firmly by the compression method, so that the wi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while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rope binding work, and also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rope frame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will b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금속재 띠로 되는 골조에 와이어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고정부에 와이어 로프가 압착 고정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에 있어서, 기판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고정못이 타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에 와이어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부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될 수 있도록 거푸집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기판에 제1 천공부를 형성하면서 한쪽 단부가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면서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와이어 로프를 압착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며,The binding structure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wire rope is pressed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ix the wire rope to the frame made of metal strips with a certain width and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In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a fixing hole in which a fixing nail is set is formed by punch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wire rope to the substrate, and a formwork so that the fixing part can b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And a support means for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wherein the fixing means has one e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while forming a first perforation in the substrate, and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while being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I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forming a fixing portion for pressing and fixing the wire rope,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돌출부 사이에서 제2 천공부를 형성하면서 한쪽 단부가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면서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기판으로부터 와이어 로프를 감싸며 압착 고정되는 고정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supporting means forms a second perforation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and a second protrusion having the other end protruding upward while being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is formed, , The second protrusion is to include that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x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protrusion surrounds the wire rope from the substrate and is fixed by compression.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기판은 어느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형성되는 제1 돌출돌기와, 상기 제1 돌출돌기가 형성된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형성되는 제2 돌출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차되며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has a first protrusion formed by emboss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by embossing from one side on which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to the other side. It includes those formed by intersecting at regular intervals.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second protrusion is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cluding those formed obliquely in directions that cross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돌출부는 양쪽면을 관통하는 천공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otrusion includes the formation of perforations penetrating both side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제조 방법은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폭을 가지고 금속재 띠로 되는 기판에 와이어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기판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고정용 못이 타정되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와이어 로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띠 형상의 금속재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고정용 못이 타정되는 고정공을 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형성되는 제1 천공부로부터 한쪽 단부가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어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와이어 로프를 감싸며 압착 고정시키는 제1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형성되는 제2 천공부로부터 한쪽 단부가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어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돌출부가 와이어 로프를 감싸며 고정하는 고정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되는 제2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어느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제1 돌출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돌출돌기가 형성된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제2 돌출돌기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과 제2 돌출부 사이에 와이어 로프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돌출부를 가압하여 제2 돌출부가 와이어 로프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시키도록 제1 절곡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제2 절곡부를 절곡하여 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re rope frame structure is punch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to fix the wire rope to a substrate made of a metal strip with a certain width to fix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to a concrete structure. In manufacturing a wire rope frame structure in which a fixing hole into which a nail for fixing is set is formed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a wire rope is formed and embedded in a concrete structure, forming a strip-shaped metal substrate; punching a fixing hole into which a nail for fixing is driven by punch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One end of the first perforation formed by punch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and is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to surround the wire rope and press and fix it. 1 forming a protrusion; One end of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formed by punch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and is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and the first protrusion cuts the wire rope forming a second protrusion tha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xing portion wrapped around and fixed; Embossing from one side of the substrate to the other side to form a first protrusion, and embossing from one side on which the first protrusion is formed to the other side to form a second protrusion to cross at regular intervals step; positioning a wire rop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econd protrusion; Pressing the second protrusion to form a first bent portion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surrounds and fix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rope, while bending the second bent portion from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to form a fixing portion. .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에 따르는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2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제2 돌출부의 양쪽면을 관통하는 천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the second protrusion further comprises forming a perforation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second protrusion.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은 종래에 와이어 로프가 기판의 함몰부에 안착된 다음 이중으로 형성되는 기판의 돌출부가 와이어 로프 상면의 굴곡을 따라 압착됨으로써 기판상에 와이어 로프가 결속되는 구조와 달리, 단일체 구조의 제1 돌출부가 와이어 로프에 압착됨에 따라 와이어 로프 결속 작업에 필요한 금형의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고,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제작하는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wire rope is bound on the board by placing the wire rope on the concave part of the board and then pressing the protruding part of the board formed in a double shape along the curv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rope. , As the first protrusion of the monolithic structure is pressed to the wire rope, the structure of the mold required for the wire rope binding operation can be simplified, and the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can be shorten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manufacturing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be able to

또한 단일체 구조의 제1 돌출부는 종래의 이중 구조에 의한 돌출부와는 달리 와이어 로프를 압착 고정시키는 고정부에 스프링 백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되어 고정부에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1 돌출부의 압착 상태를 인위적으로 해제하지 않는 한 결속 상태가 항구적으로 유지되어 장기간 견고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of the monolithic structure, unlike the conventional protrusion of the double structure, does not cause a spring back phenomenon at the fixing par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wire rope, so that shaking does not occur at the fixing part and the pressing state of the first protrusion is maintained. Since the bound state is permanently maintained unless it is artificially released, so that the solid bound stat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 rope frame structure with excellent durability.

또한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돌출부가 기판으로부터 와이어 로프를 감싸며 압착 고정되는 고정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거푸집에 접촉되면서 와이어 로프를 압착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완전히 매설됨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xing part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surrounds the wire rope from the substrate and is crimped and fixed, so that the fixing part crimping and fixing the wire rope while contacting the formwork is completely buried in the concrete structure. It has the effect of beautifying the appearance.

또한, 기판 표면에는 양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엠보싱 돌기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며, 기판에 형성되는 제1 천공부와 제2 천공부, 그리고 제2 돌출부에 형성되는 천공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콘크리트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trength is improved by embossing protrusions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surface, and concret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perforation part, the second perforation part formed in the substrate, and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second protrusion part to improve the binding force of the concrete. be able to do

도 1은 종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일부 사시도
(b)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구성하는 기판의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구성하는 기판의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일부 사시도
(b)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일부 사시도
(b)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제조 공정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순서도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wire rope frame structure,
(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b) is a cross sec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ubstrate constituting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8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manufacturing process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범위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r shown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is capable of implementation in other embodiments and of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n addition,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in the embodiments with respect to terms such as the orientation of devices or elements are merely used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indicate or imply that related devices or elements should simply have a specific orientation. . For exampl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e embodiments and claims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terms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relative significance or meaning.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in order for the inventor to explain the terms and concepts of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i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and concept of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clear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descrip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these many modifications.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구성하는 기판의 일부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은 골조(10)와 와이어 로프(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combining the frame 10 and the wire rope 20.

골조(10)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금속재 띠로 되는 기판(100)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와이어 로프(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1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거푸집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지지수단으로 제2 돌출부(120)가 일체로 형성되면서, 제1 돌출부(110)와 제2 돌출부(120) 사이에 고정용 못(130)이 타정되는 고정공(140)이 형성된다.The frame 10 is formed of a substrate 100 made of a metal strip having a certain width, and a first protrusion 110 is formed as a means for fixing the wire rope 20, and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is attached to the concrete structure. As the second protrusion 120 is integrally formed as a support means that maintain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oncrete structure or formwork so that it can be buried, fixing nails 130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10 and the second protrusion 120 The fixing hole 140 to be driven is formed.

제1 돌출부(110)는 펀칭에 의해 기판(100)에 제1 천공부(111)를 형성하면서 한쪽 단부가 기판(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면서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first protrusion 110 has one e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100 while forming the first perforation 111 in the substrate 100 by punching, and the other end is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It is formed by protruding upward.

이러한 제1 돌출부(110)는 와이어 로프(20) 직경의 원주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와이어 로프(20)를 감싸면서 압착되어 와이어 로프(20)를 압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protrusion 110 is formed long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wire rope 20 and is compressed while wrapping the wire rope 20 so that the wire rope 20 can be compressed and fixed.

이에 따라, 제1 돌출부(110)는 와이어 로프(20)에 압착 고정되면서 고정부(150)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제1 돌출부(110)를 가압 벤딩하여서 되는 제1 절곡부(151)와 제2 절곡부(152)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110 forms the fixing part 150 while being compressed and fixed to the wire rope 20 . The fixing part 150 is composed of a first bent part 151 and a second bent part 152 formed by bending the first protruding part 110 under pressure.

이러한 제1 돌출부(110)는 기판(100)으로부터 와이어 로프를 감싸며 압착 고정되는 고정부(15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The first protrusion 110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xing part 150 that is pressed and fixed while wrapping the wire rope from the substrate 100 .

상기 제2 돌출부(120)는 상기 제1 돌출부(110) 사이에서 펀칭에 의해 기판(100)에 제1 천공부(121)를 형성하면서 한쪽 단부가 기판(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면서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The second protrusion 120 has one e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100 while forming a first perforation 121 in the substrate 100 by punching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110, integrally While being bent from the formed portion,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제2 천공부(121)는 제2 돌출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펀칭 공정에 의해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과 콘크리트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The second perforation part 121 is formed naturally by a punching process for forming the second protrusion part 120, and allows the concrete to be poured in to improv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the concrete.

바람직하게, 제2 돌출부는(120)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재 및 운송시 인접한 장애물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에 매설될 때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강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Preferably, while the second protrusions 120 are continuous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that crosses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mitigate the impact caused by adjacent obstacles during loading and transportation. In addition, when buried in concrete, it serves to reinforce the concrete structure.

제1 돌출부(110)와 제2 돌출부(120) 사이에는 고정용 못(130)이 삽입되는 고정공(140)이 형성된다.A fixing hole 140 into which a fixing nail 130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10 and the second protrusion 120 .

상기 고정공(140)은 고정용 못(130)이 타정되어 콘크리트 타설 부위, 또는 거푸집에 와이어3로프 골조 구조물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되며, 고정용 못(130)이 타정되지 않을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과 콘크리트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the fixing hole 140, the fixing nail 130 is set so that the wire 3 rope frame structure can be fixed to the concrete casting site or formwork, and when the fixing nail 130 is not set, the As the concrete is introduced,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the concrete can be improved.

기판(100)의 표면에는 엠보싱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돌기(16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160 formed by embossing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돌출돌기(160)는 기판(100)의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형성되는 제1 돌출돌기(161)와, 상기 제1 돌출돌기(161)가 형성된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형성되는 제2 돌출돌기(16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차되며 형성된다.The protrusion 160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61 formed by embossing from one side of the substrate 100 to the other side, and embossing from one side on which the first protrusion 161 is formed to the other side.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s 162 formed by intersecting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돌출돌기(160)는 기판(100)의 가압에 의한 소성변형에 의햐 형성됨으로써, 기판(100)의 단면 손실이 없이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The protruding protrusion 160 is formed by plastic deformation by pressing the substrate 100, so that the strength of the substrate 100 can be reinforced without loss of cross section.

이러한 복수의 돌출돌기(160)가 형성되는 패턴은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ttern in which the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160 are formed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구성하는 기판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Figure 4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ubstrate constituting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2 돌출부(1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엇갈리며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상기 제1 돌출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부(150)의 높이(h1)보다 제2 돌출부(120)의 높이(h2)가 더 높게 형성되어 기판(100)으로부터 와이어 로프(20)를 감싸며 압착 고정되는 고정부(150)의 높이(h2)보다 더 높은 높이(h1)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20 are alternately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height h1 of the fixing portion 150 formed by the first protrusions 110 is higher than the second protrusions. The height (h2) of (120)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h2) of the fixing part 150, which wraps around the wire rope 20 from the substrate 100 and is fixed by compression, is formed at a higher height (h1).

와이어 로프(20)는 동일 직경으로 된 다수의 와이어가 꼬여서 형성되는 통상적인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wire rope 20 is a common on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wires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와이어 로프(20)는 기판(100)에 안착되어 절곡되는 제2 돌출부(120)에 의해 고정된다.The wire rope 20 is fixed by the second protrusion 120 that is seated on the substrate 100 and bent.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이 시공된 상태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도 5를 참조하면, 제2 돌출부(120)의 높이(h2)은 제1 돌출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부(150)의 높이(h1)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제2 돌출부(120)의 단부가 콘크리트 면이나 거푸집(300)에 접촉됨으로써 와이어 로프(20)를 감싸며 고정하고 있는 고정부(150)가 콘크리트 면이나 거푸집(300)에 접촉하지 않고 일정 공간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됨이 없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height h2 of the second protrusion 120 is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fixing part 150 formed by the first protrusion 110,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120 By contacting the end of the concrete surface or the formwork 300, the fixing part 150 surrounding and fixing the wire rope 20 forms a certain space without contacting the concrete surface or formwork 300, so that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will be buried in the concrete that will be poured without i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2 돌출부(120)의 양쪽면을 관통하는 천공(122)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 perforations 122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second protrusion 120 are formed.

상기 천공(122)은 제2 천공부(12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제2 돌출부(120)의 일단부가 절곡 성형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천공(122)은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골조(10)와 콘크리트와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perforations 122 may be formed before one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120 is bent and mold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econd perforations 121 . The perforation 122 allows concrete to flow in to improv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frame 10 and the concrete.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2 돌출부(120)의 단부에 만곡되는 벤딩부(123)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7 , a bent portion 123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120 .

이러한 벤딩부(123)는 골조(10)의 적재 운반시 인접한 물체와의 마찰 및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벤딩부(123)에도 천공(122)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bending part 123 can prevent friction and interference with adjacent objects during loading and transporting of the frame 10. Of course, the perforation 122 may be formed in the bending portion 123 as well.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에서 기판(100)과 와이어 로프(20)가 결속되는 제조 과정을 설명한다.In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a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e substrate 100 and the wire rope 20 are bound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조 공정 순서도를 나타내고 있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콘크리트(C)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폭을 가지고 금속재 띠로 되는 기판(100)을 성형하고(S100), 기판(10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고정용 못이 타정되는 고정공(140)을 천공한다.(도 8의 (a) 참조, S200)First, in order to fix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to the concrete (C) structure, a substrate 100 made of a metal strip with a certain width is molded (S100), and punched at a regular interval from the substrate 100, and the nail for fixing is tableted The fixing hole 140 is drilled. (See FIG. 8 (a), S200)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제1 천공부(111)를 형성하면서, 한쪽 단부는 기판(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어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10)를 형성한다. (도 8의 (b) 참조, S300)While forming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1 by punch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100, one e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100, and is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is upward. A protruding first protrusion 110 is formed. (See (b) of FIG. 8, S300)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제2 천공부(121)를 형성하면서, 한쪽 단부는 기판(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어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20)를 형성한다. (도 8의 (c) 참조, S400)While punch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100 to form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121, one e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100, and is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is upward. A protruding second protrusion 120 is formed. (See (c) of FIG. 8, S400)

기판(10)의 양쪽면을 엠보싱하여 제1 돌출돌기(161)와 제2 돌출돌기(162)를 형성한다. (도 8의 (d) 참조, S500)Both sides of the substrate 10 are embossed to form first protrusions 161 and second protrusions 162 . (See (d) of FIG. 8, S500)

제1 돌출돌기(161)와 제2 돌출돌기(162)가 형성된 복수의 기판(100)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배열한다.The plurality of substrates 100 on which the first protrusion 161 and the second protrusion 162 are formed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기판(100)과 제1 돌출부(110) 사이에 와이어 로프(20)를 위치시킨다.(도 8의 (e) 참조) 이때, 와이어 로프(20)는 보빈에 감겨진 롤 상태(도시되지 아니함)에서 성형기에 공급된다.The wire rope 20 is positioned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first protrusion 110 (see (e) of FIG. 8). At this time, the wire rope 20 is wound on a bobbin in a roll state (not shown). ) is supplied to the molding machine.

상기 제1 돌출부(110)를 가압하여 제1 돌출부(110)가 고정부(150)를 형성하며 와이어 로프(20)를 감싸며 고정되게 한다.(도 8의 (f) 참조, S600)The first protrusion 110 is pressed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110 forms a fixing portion 150 and wraps around the wire rope 20 to be fixed. (See FIG. 8(f), S600)

여기서 제1 돌출부(110)는 기판(100)으로부터 타발되는 단일 단면체허 형성되어 와이어 로프(20)의 외주면에 압착될 때 스프링백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어 와이어 로프(20)와 밀접하게 압착됨으로써 와이어 로프(20)와 기판(100)의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져서 흔들림이 방지된다.Here, the first protrusion 110 is formed as a single cross-section punched out from the substrate 100 so that when it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rope 20, the springback phenomenon can be minimized by being closely pressed against the wire rope 20. The binding between the wire rope 20 and the substrate 100 is firmly made so that shaking is prevented.

위와 같은 제조 공정에 따라 제조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은 제2 돌출부(120)의 선단부가 콘크리트(C) 타설 부위, 또는 거푸집(300)에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제2 돌출부(120)에 벤딩부(123)가 형성되어있을 경우 벤딩부(123)에 의해 접된 물체와의 마찰과 간섭을 최소화시키며 골조의 위치를 자리잡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고정공(140)에 고정용 못(130)을 타정한 다음 콘크리트(C) 타설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manufacturing process is install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rotrusion 120 is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C) casting site or the formwork 300. At this time, when the bending portion 123 is formed on the second protrusion 120,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osition the frame while minimizing friction and interference with an object contacted by the bending portion 123. Thereafter, the fixing nail 130 is tableted in the fixing hole 140, and then the concrete (C) is poured.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C)는 제1 천공부(111)와 제2 천공부(121), 또는 천공(122)에 유입되어 와이어로프 골조 구조물과의 결속력이 향상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crete (C) to be poured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perforated part 111, the second perforated part 121, or the perforated part 122, so that the binding force with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is improved.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looked at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relate to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so that various alternativ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of examples.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ince there may be embodiments in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these many modifications.

10: 골조
20: 와이어 로프
100: 기판
110: 제1 돌출부 111: 제1 천공부
120: 제2 돌출부 121: 제2 천공부
122: 천공 123: 벤딩부
130: 고정용 못
140: 고정공
150: 고정부
151: 제1 절곡부 152: 제2 절곡부
160: 돌출돌기
161: 제1 돌출돌기 162: 제2 돌출돌기
300: 거푸집 C: 콘크리트
10: framework
20: wire rope
100: substrate
110: first protrusion 111: first perforation
120: second protrusion 121: second perforation
122: perforation 123: bending part
130: nail for fixing
140: fixed hole
150: fixing part
151: first bent portion 152: second bent portion
160: protrusion
161: first protrusion 162: second protrusion
300: formwork C: concrete

Claims (7)

일정한 폭을 가지고 금속재 띠로 되는 골조(10)에 와이어 로프(20)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고정부(150)에 와이어 로프(20)가 압착 고정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에 있어서,
기판(10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고정못(130)이 타정되는 고정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100)에 와이어 로프(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부(150)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될 수 있도록 거푸집(300)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기판(100)에 제1 천공부(111)를 형성하면서 한쪽 단부가 기판(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면서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와이어 로프(20)를 압착 고정시키는 고정부(150)를 형성하는 제1 돌출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돌출부(110) 사이에서 제2 천공부(121)를 형성하면서 한쪽 단부가 기판(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면서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120)는 상기 제1 돌출부(110)가 기판(100)으로부터 와이어 로프(20)를 감싸며 압착 고정되는 고정부(150)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A wire rope frame in which the wire rope 20 is pressed and fixed to the fixing part 15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ix the wire rope 20 to the frame 10 made of a metal strip with a certain width and embedded in a concrete structure in the structure,
The fixing hole 140 into which the fixing nail 130 is tableted is formed by punch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100,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wire rope 20 to the substrate 100;
It includes a support means for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ormwork 300 so that the fixing part 150 can be embedded in the concrete structure,
The fixing means is:
While forming the first perforation part 111 in the substrate 100, one e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100, and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while being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to form the wire rope 20. It includes a first protrusion 110 forming a fixing part 15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support means is:
The second perforation 12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s 110, one end of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bstrate 100, and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while being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A protrusion 120 is formed,
The second protrusion 120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xing part 150 to which the first protrusion 110 surrounds the wire rope 20 from the substrate 100 and is crimped and fixed. bonding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100)은:
어느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형성되는 제1 돌출돌기(161)와,
상기 제1 돌출돌기(161)가 형성된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형성되는 제2 돌출돌기(16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차되며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strate 100 is:
A first protrusion 161 formed by emboss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binding structure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comprising the second protrusions 162 formed by embossing from one side on which the first protrusions 161 are formed to the other side are crossed at regular interva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12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rotrusion 120 is:
formed continuously at regular intervals. Binding structure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including those formed inclined in directions crossing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120)는:
양쪽면을 관통하는 천공(122)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rotrusion 120 is:
Binding structure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comprising the formation of perforations 122 penetrating both si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120)는:
단부가 만곡되는 벤딩부(123)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결속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rotrusion 120 is:
Binding structure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comprising the formation of a bending portion 123 having an end curved.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폭을 가지고 금속재 띠로 되는 기판(100)에 와이어 로프(20)를 고정시키기 위해 기판(10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고정용 못(130)이 타정되는 고정공(140)이 형성되고, 와이어 로프(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50)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띠 형상의 금속재 기판(100)을 형성하는 단계(S100)와;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고정용 못(130)이 타정되는 고정공(140)을 천공하는 단계(S200)와;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형성되는 제1 천공부(111)로부터 한쪽 단부가 기판(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어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와이어 로프(20)를 감싸며 압착 고정시키는 제1 돌출부(110)를 형성하는 단계(300)와;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펀칭하여 형성되는 제2 천공부(121)로부터 한쪽 단부가 기판(100)과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된 부위로부터 절곡되어 다른 한쪽의 단부가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돌출부(110)가 와이어 로프(20)를 감싸며 고정하는 고정부(150)의 높이보다 더 높게 되는 제2 돌출부(120)를 형성하는 단계(S400)와;
상기 기판(100)의 어느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제1 돌출돌기(16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돌출돌기(161)가 형성된 한쪽면으로부터 다른 한쪽면으로 엠보싱하여 제2 돌출돌기(162)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차되게 형성하는 단계(S500)와;
상기 기판(100)과 제1 돌출부(110) 사이에 와이어 로프(20)를 위치시키는 단계(S600)와;
상기 제1 돌출부(110)를 가압하여 제1 돌출부(110)가 와이어 로프(20)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시키도록 제1 절곡부(151)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절곡부(151)의 단부로부터 제2 절곡부(152)를 절곡하여 고정부(150)를 형성하는 단계(S700)를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제조 방법.
In order to fix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to the concrete structure, in order to fix the wire rope 20 to the board 100 made of a metal strip with a certain width, punching at a certain interval from the board 100, the nail 130 for fixing In manufacturing a wire rope frame structure in which a fixing hole 140 to be tableted is formed and a fixing part 150 for fixing the wire rope 20 is formed and embedded in a concrete structure,
forming a strip-shaped metal substrate 100 (S100);
Punching a fixing hole 140 into which a fixing nail 130 is tableted by punch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100 (S200);
One end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111 formed by punch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1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100, and is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Step 300 of forming a first protrusion 110 wrapped around the wire rope 20 and pressing and fixing it;
One end of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121 formed by punch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substrate 1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bstrate 100, and is bent from the integrally formed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protrudes upward and forming a second protrusion 120 tha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xing part 150 for fixing the first protrusion 110 while surrounding the wire rope 20 (S400);
First protrusions 161 are formed by embossing from one side of the substrate 100 to the other side, and second protrusions are formed by embossing from one side on which the first protrusions 161 are formed to the other side. Forming (162) to cross at regular intervals (S500);
Positioning the wire rope 20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first protrusion 110 (S600);
Pressing the first protrusion 110 to form a first bent portion 151 so that the first protrusion 110 surrounds and fix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rope 20, th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151 Forming the fixing part 150 by bending the second bent part 152 from the (S700)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ire rope frame structure.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돌출부(120)를 형성하는 단계(S300)는:
제2 돌출부(120)의 양쪽면을 관통하는 천공(122)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로프 골조 구조물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Forming the second protrusion 120 (S300)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ire rope framing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forming perforations 122 penetrating both sides of the second protrusion 120.
KR1020210146275A 2021-10-29 2021-10-29 Solidarity structure of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69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75A KR102569279B1 (en) 2021-10-29 2021-10-29 Solidarity structure of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275A KR102569279B1 (en) 2021-10-29 2021-10-29 Solidarity structure of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734A true KR20230061734A (en) 2023-05-09
KR102569279B1 KR102569279B1 (en) 2023-08-21

Family

ID=86409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275A KR102569279B1 (en) 2021-10-29 2021-10-29 Solidarity structure of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27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660A (en) * 1996-10-18 1998-05-12 Nippon Kokan Light Steel Kk Bar type spacer for bar arrangement in composite slab valley
KR100648413B1 (en) * 2005-12-16 2006-11-27 주식회사 청림테크 Wire mesh for repairing concrete structure
JP2007332629A (en) * 2006-06-14 2007-12-27 Meekusu Kk Reinforcement receiving spacer
KR200449326Y1 (en) 2008-06-12 2010-07-01 이종백 Pipe Wire Clip
KR101202166B1 (en) 2010-06-01 2012-11-15 크린파워(주) wire rope binding structure for production of wire rope mes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660A (en) * 1996-10-18 1998-05-12 Nippon Kokan Light Steel Kk Bar type spacer for bar arrangement in composite slab valley
KR100648413B1 (en) * 2005-12-16 2006-11-27 주식회사 청림테크 Wire mesh for repairing concrete structure
JP2007332629A (en) * 2006-06-14 2007-12-27 Meekusu Kk Reinforcement receiving spacer
KR200449326Y1 (en) 2008-06-12 2010-07-01 이종백 Pipe Wire Clip
KR101202166B1 (en) 2010-06-01 2012-11-15 크린파워(주) wire rope binding structure for production of wire rope me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279B1 (en)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2802A (en) Arrangement at a beam or building element and a mould for making a beam or building element
AU782975B2 (en) A reinforcing cage for an armoured concrete element
KR102569279B1 (en) Solidarity structure of wire rope fram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52930B1 (en) Shear force reinforcing apparatus of concrete filled steel tube column-reinforced concrete flat slab joint
KR101006975B1 (en) Slim floor system by continuous two-way hollow core slab
KR101024991B1 (en) Hollowness slab type-deck plate structure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KR20150019274A (en) Wide PC beam for slim floor
KR101202166B1 (en) wire rope binding structure for production of wire rope mesh
JP2013221372A (en) Joint structure of reinforcement and method for reinforcing bridge pier
KR100751502B1 (en) Deck plate
JP4474669B2 (en) Unit rebar connection method
KR20050059663A (en) Deck plate with reinforcement bar tru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1107509A (en) Shearing reinforcement bar and shearing reinforcement structure of flat slab
CN100420805C (en) Hollow component for concrete
KR100541609B1 (en) Structure for debonding of prestressed concrete beam member with prestressing tend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beam member thereby
JP6162479B2 (en) Concrete beam
JP3939686B2 (en) Formwork panel and building formwork using the same and concrete foundation
KR0180079B1 (en) Dech girder of reinforced concrete slab
JP2009264045A (en) Reinforcement arrangement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construction beam
KR200345110Y1 (en) Reinforcing bar assembly
JP6381744B2 (en) Column beam frame
KR20090079561A (en) Shear reinforcement device in the slab-column connection
KR100518931B1 (en) An iron frame
KR200351530Y1 (en) Deck Plate with Reinforcement Bar Truss
JPH0443526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