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556A - 렌즈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를 구비하는 악세사리 - Google Patents

렌즈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를 구비하는 악세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556A
KR20230061556A KR1020237013438A KR20237013438A KR20230061556A KR 20230061556 A KR20230061556 A KR 20230061556A KR 1020237013438 A KR1020237013438 A KR 1020237013438A KR 20237013438 A KR20237013438 A KR 20237013438A KR 20230061556 A KR20230061556 A KR 20230061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unt
terminal
camera
bayo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사 타무라
쿠니히코 사사키
토시노리 야마자키
마사야스 시게마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6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7Details of energy supply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촬상 장치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악세사리이며, 복수의 제1의 바요넷 클로부와 계합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제2의 바요넷 클로부를 구비하는 제2의 마운트부와, 복수의 제1의 단자부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제2의 단자부와, 악세사리 본체와, 상기 제2의 마운트부를 상기 악세사리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복수의 제2의 단자부는 복수의 제2의 바요넷 클로부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제2의 단자부 중 촬상 장치와 악세사리와의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제2의 단자부의 모두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렌즈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를 구비하는 악세사리{LENS MOUNT AND ACCESSORY COMPRISING LENS MOUNT}
본 발명은, 렌즈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를 구비하는 악세사리, 악세사리를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및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단자 핀을 가지는 카메라와, 복수의 단자 핀과 접촉해서 카메라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면을 가지고, 카메라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교환 렌즈 등의 카메라 악세사리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카메라 및 카메라 악세사리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교환 렌즈는, 카메라측에 설치된 복수의 바요넷 클로(claw)부와 결합가능한 복수의 바요넷 클로부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교환 렌즈를 카메라에 장착했을 때에, 카메라측의 복수의 단자 핀 중 교환 렌즈의 종류를 판정하기 위한 단자 핀과 접촉하는 교환 렌즈측의 단자면이, 교환 렌즈측의 소정의 바요넷 클로부가 설치되는 각도범위 내에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교환 렌즈는, 이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카메라에 장착되는 교환 렌즈의 종류의 판정을 보다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2014-13331호 공보
여기서, 카메라측의 복수의 단자 핀의 중에는, 전술한 카메라에 장착되는 교환 렌즈의 종류를 판정하는 단자 핀 이외에, 카메라와 교환 렌즈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단자부도 있다. 카메라와 교환 렌즈와의 사이의 통신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카메라측의 통신용 단자부에 해당하는 단자 핀이, 교환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에 해당하는 단자면에, 보다 안정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는 카메라측의 통신용 단자부에 해당하는 단자 핀을, 교환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에 해당하는 단자면에, 보다 안정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구성에 관한 개시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렌즈 마운트와, 촬상 장치와 안정하게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악세사리 및 이것을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바요넷 클로부와 복수의 제1 단자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마운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렌즈 마운트로서, 상기 복수의 제1 바요넷 클로부와의 계합이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및
상기 렌즈 마운트가 상기 카메라 마운트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단자부-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상기 렌즈 마운트의 종류를 판별하는데 사용되는 TYPE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렌즈 마운트의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고 MIF 단자부를 통과하는 반직선은, 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중에서 소정의 바요넷 클로부를 통과하는, 렌즈 마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마운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렌즈 마운트, 촬상 장치와 안정하게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악세사리 및 이것을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1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와 교환 렌즈의 블록도
[도1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와 교환 렌즈의 단자부의 블록도
[도2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와 교환 렌즈의 전체 개략도
[도2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교환 렌즈를 카메라로부터 뗀 상태의 전체 개략도
[도3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3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교환 렌즈의 분해 사시도
[도4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의 상세도
[도4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의 상세도
[도4c]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의 상세도
[도5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의 정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5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의 정위치 상태의 VB-VB단면도
[도6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의 종위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6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의 종위치 상태의 VIB-VIB단면도
[도7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렌즈 마운트의 록(lock) 위상상태에 있어서의 상세도
[도7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렌즈 마운트의 록 위상상태에 있어서의 상세도
[도8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접점 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8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접점 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9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렌즈 접점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9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렌즈 접점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a]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에 교환 렌즈를 부착할 때의 삽입 위상상태를 카메라 촬영자측에서 본 도면
[도10b]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에 교환 렌즈를 부착할 때의 록 위상상태를 카메라 촬영자측에서 본 도면
[도11] 렌즈 마운트와 렌즈측 단자부 보유 부재의 사시도
[도12] 변형 예에 있어서의 마운트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13a] 변형 예에 있어서의 비결합 상태의 마운트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13b] 변형 예에 있어서의 비결합 상태의 마운트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13c] 변형 예에 있어서의 비결합 상태의 마운트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14a] 변형 예에 있어서의 결합 상태의 마운트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14b] 변형 예에 있어서의 결합 상태의 마운트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14c] 변형 예에 있어서의 결합 상태의 마운트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15a] 카메라 본체(10)에 장착가능한 제1의 변환 어댑터(40) 및 제2의 교환 렌즈(50)를 설명하는 도
[도15b] 카메라 본체(10)에 장착가능한 제1의 변환 어댑터(40) 및 제2의 교환 렌즈(50)를 설명하는 도
[도16a] 카메라 본체(60)에 장착가능한 제2의 변환 어댑터(70) 및 제1의 교환 렌즈(100)를 설명하는 도
[도16b] 카메라 본체(60)에 장착가능한 제2의 변환 어댑터(70) 및 제1의 교환 렌즈(100)를 설명하는 도
[도17a]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한쪽의 끝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4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17b]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한쪽의 끝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4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17c]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한쪽의 끝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4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18a]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다른쪽의 끝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3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18b]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다른쪽의 끝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3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19a] 서로 간섭하는 클로부와 잘린부분을 가지는 소정의 촬상 장치(1000)와 소정의 교환 렌즈(2000)와의 장착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19b] 서로 간섭하는 클로부와 잘린부분을 가지는 소정의 촬상 장치(1000)와 소정의 교환 렌즈(2000)와의 장착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0a]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1301)측을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부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
[도20b]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1301)측을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부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
[도21a]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렌즈 마운트(1301)측 및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 대응하지 않는 클로부를 잘린부분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1b]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렌즈 마운트(1301)측 및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 대응하지 않는 클로부를 잘린부분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1c]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렌즈 마운트(1301)측 및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 대응하지 않는 클로부를 잘린부분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1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렌즈 마운트(1301)측 및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 대응하지 않는 클로부를 잘린부분에 삽입하려고 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2a]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한쪽의 끝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2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2b]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한쪽의 끝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2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3a]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다른쪽의 끝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5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3b]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다른쪽의 끝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5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3c]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다른쪽의 끝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5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부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도24a]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기준이 되는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1501)측의 기준이 되는 클로부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부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
[도24b]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기준이 되는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1501)측의 기준이 되는 클로부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부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
[도25a]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기준이 되는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1501)측의 기준이외의 클로부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부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
[도25b]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기준이 되는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1501)측의 기준이외의 클로부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부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
[도25c]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기준이 되는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1501)측의 기준이외의 클로부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부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
[도25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기준이 되는 오목부에 렌즈 마운트(1501)측의 기준이외의 클로부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부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
[도26]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401)측과 렌즈 마운트(501)측의 각각에 설치된 클로부끼리를 계합시킨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
먼저, 도1a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카메라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악세사리로서의 교환 렌즈(광학기기, 악세사리, 렌즈 장치)(100)와, 교환 렌즈 (10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카메라 본체(촬상 장치)(10)로 구성되어 있다. 즉, 교환 렌즈(100)는 카메라 본체(10)에 대하여 장착 가능, 착탈가능하다.
(교환 렌즈(100)의 구성)
교환 렌즈(100)는, 렌즈(101)와, 렌즈(101)에 포함되는 도시되지 않은 렌즈 유닛이나 조리개 등의 광학부재를 이동 또는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부(102)를 가진다. 또한, 교환 렌즈(100)는, 마운트(1)를 통해 카메라 제어부(18)와의 통신을 제어하거나, 렌즈 구동부(102)를 제어하거나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렌즈 제어부(103)를 가진다. 또한, 렌즈(101)는 렌즈 유닛을 1개만 구비하고 있어도, 렌즈 유닛을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조리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여기서 말하는 렌즈 유닛은 주밍 혹은 포커싱시에 인접하는 렌즈 유닛과의 간격이 변화되는 1장의 단렌즈, 1장의 접합 렌즈, 혹은 복수의 렌즈의 집합을 나타내는 언어다. 또한, 렌즈(101)는 주밍을 위해 광축방향에 이동하는 렌즈 유닛인 줌렌즈 유닛, 포커싱을 위해 광축방향에 이동하는 포커싱 렌즈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렌즈(101)는, 손진동 보정을 위해 광축방향과 다른 방향에 이동하는 시프트 렌즈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단, 렌즈(101)는 줌렌즈 유닛 및 시프트 렌즈 유닛을 갖지 않고 있어도 좋다.
(카메라 본체(10)의 구성)
카메라 본체(10)는, 교환 렌즈(100)안의 렌즈(101)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으로서의 피사체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전하축적형의 고체촬상 소자로서의 이미지 센서(촬상 소자)(11)를 가진다. 또한, 카메라 본체(10)는, 이미지 센서(11)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12)와, A/D변환부(12)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각종 화상처리를 행해서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화상처리부(13)를 가진다.
화상처리부(13)로 생성된 영상신호(정지 화상이나 동화상)는, 표시부(14)에 표시되거나, 기록 매체(15)에 기록되거나 한다. 또한, 카메라 본체(10)는, 영상신호에 대한 처리를 행할 때의 버퍼로서의 기능을 달성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카메라 제어부(18)가 사용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메모리(16)를 가진다. 또한, 카메라 본체(10)는,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 영상신호의 기록을 개시시키는 촬영 스위치 및 각종 메뉴의 설치를 행하기 위한 선택/설치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카메라 조작 입력부(17)를 가진다.
또, 카메라 본체(10)는, 카메라 조작 입력부(17)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해서 각종 설치를 행하거나, 마운트(1)를 통해 교환 렌즈(100)에 구비된 렌즈 제어부(103)와의 통신을 제어하거나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부(18)를 가진다.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전기적인 접속 구성)
다음에, 도1b를 사용하여,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전기적인 접속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b에는, 마운트(1)를 통해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가 접속되었을 때의 전기 회로구성과, 그것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마운트(1)에 설치된 단자부(전기접점)와, 각 단자부의 각각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의 마운트(1)는 카메라 본체(10)측의 마운트부(제1의 마운트부)A와 교환 렌즈(100)측의 마운트부(제2의 마운트부)B로 구성되어 있고, 마운트부A 및 마운트부B는 상대측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단자부(접점 혹은 전기접점)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운트(1)는, 카메라 본체(10)로부터 교환 렌즈(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단자부인 VDD단자부와 VBAT단자부와, 접지 단자부인 DGND단자부와 PGND단자부를 구비한다. 마운트(1)는 더욱이, 카메라 제어부(18)와 렌즈 제어부(103)가 통신하기 위한 통신용 단자부인 LCLK단자부, DCL단자부, DLC단자부, DLC2단자부, CS단자부, DCA단자부를 구비한다. 마운트(1)는 더욱이, 그 밖의 단자부로서,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MIF단자부,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TYPE단자부를 구비한다. 이하, 각 단자부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또, 도1b에 있어서, 카메라 전원부(1103)는, 장착된 악세사리에 대하여, VDD단자를 통해 급전하기 위한 전원, 또는 전원전환부(1104)를 통해 제1통신용I/F부(1102a)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통신 제어용 전원(VDD)을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 전원부(1103)는, 장착된 악세사리에 대하여 VBAT단자를 통해 급전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구동용 전원(VBAT)을 생성한다.
또, 카메라 전원부(1103)는, 카메라 제어부(18) 및 제1통신용I/F부(1102a)와 제2·제3통신용I/F부(1102b)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3.3V의 전원을 생성한다. 또한, 카메라 전원부(1103)는, 전원전환부(1104)를 통해 제1통신용I/F부(1102a)와 제2·제3통신용I/F부(1102b)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3.0V의 전원을 생성한다.
전원전환부(1104)는, 카메라 전원부(1103)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전환부(1104)는, 카메라 전원부(1103)에서 생성된 VDD와 3.0V의 전원 중 어느 한쪽만을 통신 인터페이스용의 전원 Vs로서 제1통신용I/F부(1102a)에 대하여 공급한다. 또한, 전원전압의 전환은, 카메라 제어부(1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실행된다.
렌즈 전원부(1203)는, 카메라 본체(10)측으로부터 공급된 VDD에 근거하여, 렌즈 제어부(103), 및, 렌즈측 통신용I/F부(1205)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전압으로서 3.0V의 전원을 생성한다. 또한, 교환 렌즈(100)가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로, 교환 렌즈(100)측의 구동회로부(1204)에는, 전술한 카메라 전원부(1103)로부터 VBAT단자를 통해 구동용 전원(VBAT)이 공급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제어부(103)와 렌즈측 통신용I/F부(1205)의 전원전압의 레벨을 동일(3.0V)로서 하고 있지만, 렌즈 제어부(103)가 나타내는 전압 레벨은 3.3V로 설정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이 경우, 렌즈측 통신용I/F부(1205)에 대하여 3.0V와 3.3V의 전압 레벨의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렌즈 전원부(1203)는, 3.0V 및 3.3V의 전원을 생성한다.
(전원 단자부)
VDD 단자부는, 주로 통신 제어에 사용되는 통신 전력으로서의 통신 제어용 전원(VDD)을 카메라 본체(10)로부터 교환 렌즈(100)에 전원공급하기 위한 단자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제어용 전원을 5.0V로 하고 있다. VBAT 단자부는, 상기 통신 제어를 제외하는, 주로 모터 등을 포함하는 기계적인 구동계 등의 동작에 사용되는 구동전력으로서의 구동용 전원(VBAT)을 카메라 본체(10)로부터 교환 렌즈(100)에 전원공급하기 위한 단자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용 전원을 4.25V로 하고 있다.
(접지 단자부)
DGND 단자부는,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의 통신 제어계를 접지에 접속하는 단자부다. 즉, 상기 VDD전원에 대응한 접지(GND)단자부다. 여기에서의 접지는 전지 등의 전원의 부극측과 동레벨로 하는 것이다. PGND 단자부는,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에 설치된 모터 등을 포함하는 기계적 구동계와를 접지에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다. 즉, 상기 VBAT전원에 대응한 접지(GND)단자부다.
(통신용 단자부)
통신용 단자부는, 제1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1통신부인 단자부 군(LCLK, DCL, DLC단자부), 제1의 통신과는 독립된 제2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2통신부인 단자부(DLC2단자부)를 구비한다. 통신용 단자부는 더욱이, 제1 및 제2의 통신과는 독립된 제3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3통신부인 단자부 군(CS, DCA단자부)를 구비한다. 카메라 제어부(18)와 렌즈 제어부(103)는, 이것들의 통신용 단자부를 통해 각각 독립된 제1, 제2, 제3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LCLK단자부는, 카메라 본체(10)로부터 교환 렌즈(100)에 출력되는 통신 클록 신호용의 단자부이며, 교환 렌즈(100)의 비지 상태를 카메라 본체(10)가 감시하기 위한 단자부이기도 하다. DCL단자부는,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양방향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부이며, CMOS타입의 인터페이스다. DLC 단자부는, 교환 렌즈(100)로부터 카메라 본체(10)에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부이며, CMOS타입의 인터페이스다.
DLC2단자부는, 교환 렌즈(100)로부터 카메라 본체(10)에 출력되는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부이며, CMOS타입의 인터페이스다. DCA 단자부는,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양방향 통신 데이터용의 단자부이며, CMOS타입의 인터페이스다. CS 단자부는,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통신 요구 신호 단자부이며, 오픈 타입의 인터페이스다.
(기타의 단자부)
MIF 단자부는, 교환 렌즈(100)가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것인가 아닌가, 교환 렌즈(100)가 카메라 본체(10)로부터 떼진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하기 위한 단자부다. 카메라 제어부(18)는, MIF단자부의 전압 레벨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한 후, VDD단자부나 VBAT단자부에의 전원공급을 시작하고, 통신을 시작한다. 즉, MIF단자부는 카메라 본체(10)로부터 교환 렌즈(100)에의 전원공급 시작의 계기가 된다.
TYPE단자부는, 상술한 대로,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단자부다. 카메라 제어부(18)는, TYPE단자부의 신호의 전압을 검출하고, 그 값에 근거하여,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카메라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한다. 교환 렌즈(100)는, 후술하는 소정의 저항값에서 DGND단자부에 풀다운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는, 제1통신부, 및 제2통신부, 및 제3통신부의 단자부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 전압을 3.0V로 하여 통신을 행한다.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기계적인 접속 구성)
도2a 및 도2b는,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의 외관 사시도다. 도2a는,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b는, 카메라 본체(10)로부터 교환 렌즈(100)가 떼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의 기준면끼리가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교환 렌즈(100)가 비록(non-lock) 위치로부터 록 위치에 이동함으로써 서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카메라 마운트(201)는 촬상 장치측의 마운트부(제1의 마운트부)이며, 렌즈 마운트(301)는 광학기기측의 마운트부(제2의 마운트부)다.
또, 후술한 제2변환 어댑터(70)는 카메라 본체(10)가 가지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같은 구성의 카메라 마운트(1201)를 가진다. 그리고, 제1의 변환 어댑터(40)는 제1의 렌즈(100)(교환 렌즈(100))가 가지는 렌즈 마운트(301)와 같은 구성의 렌즈 마운트(1301)를 가진다.
또,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의 형상은 링 형상이지만, 이하에 나타내는 형상이여도 좋다. 다시 말해,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의 형상, 특히 개구부의 형상 혹은 상대측에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은 원호형상이여도 좋다. 바꿔 말하면, 카메라 마운트(201)와 렌즈 마운트(301)의 형상, 특히 개구부의 형상 혹은 상대측에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일부 부족하고 있는 링 형상이여도 좋다.
도3a 및 도3b는,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의 분해 사시도다. 도3a는 카메라 본체(10)의 분해 사시도, 도3b는 교환 렌즈(100)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광축(3000)은 교환 렌즈(100)가 구비하는 렌즈(101)의 광축이며, 교환 렌즈(100)가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로 광축(3000)위를 통과하는 촬영 광속이 촬상 센서(11)에 입사 가능해진다.
(카메라 본체(10)가 구비하는 각 부재)
다음에, 카메라 본체(10)가 구비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록 핀(202)은 카메라 본체(10)와 카메라 악세사리와의 장착 상태를 규제(록)하기 위한 규제 수단(록 부재, 볼록부)이다. 또한, 록 핀(202)은, 광축(3000)과 평행한 방향에 진퇴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교환 렌즈(100)가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에, 록 핀(202)이 렌즈 마운트(301)의 록 핀용 홈(오목부, 홈부)(301z)에 밀치고 들어가고, 서로의 장착 상태를 록 할 수 있다.
보유 부재(203)는, 카메라 본체(10)측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 핀 203a∼203k, 203m을 보유하는 카메라측의 단자보유 부재다.
카메라 본체부재(204)는, 카메라 본체(10)의 각 부재를 보유하는 카메라 케이스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카메라 마운트(201)와 보유 부재(203)는, 카메라 마운트(201)용의 체결 나사(205a∼205d) 및 도시되지 않은 보유 부재(203)용의 체결 나사에 의해, 카메라 본체부재(204)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부재(204)는 이미지 센서(11)를 탑재한 도시되지 않은 촬상 유닛이나, 도시되지 않은 셔터 유닛을 보유하고 있다.
렌즈 마운트 부세 부재(206)는, 후술하는 렌즈 마운트(301)에 설치된 제1∼제3의 렌즈 클로부(복수의 제2의 결합부, 복수의 제2의 바요넷 클로부)301d∼301f를 카메라 마운트(201)측에 인입하는 카메라측의 부세 부재다. 렌즈 마운트 부세 부재(206)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카메라 본체부재(204)의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 있다.
(교환 렌즈(100)가 구비하는 각 부재)
다음에, 교환 렌즈(100)가 구비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각각 설명한다.
프론트 렌즈(101a) 및 리어 렌즈(101b)는, 렌즈(101)에 포함되는 광학부재다. 물론, 렌즈(101)는 프론트 렌즈(101a) 및 리어 렌즈(101b) 이외에도 렌즈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렌즈 마운트(301)는, 교환 렌즈(100)측의 마운트부다. 렌즈 경통(악세사리 본체)(302)은, 렌즈(101)를 보유하는 렌즈 보유 부재다. 렌즈 마운트(301)는, 렌즈 마운트 체결 나사 304a∼304d에 의해 렌즈 경통(302)에 체결되어 있다.
보유 부재(303)는, 교환 렌즈(100)측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면 303a∼303k, 303m을 보유하기 위한 렌즈측의 단자보유부다. 보유 부재(303)는, 렌즈 마운트(301)에 렌즈 접점 보유부 체결 나사(305a, 305b)로 체결되어 있다.
(카메라 마운트(201)의 구성)
다음에, 도4a 내지 도6b를 사용해서 카메라 마운트(20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4a, 4b는, 카메라 마운트(201)를 카메라 본체(10)의 촬영자측(카메라 본체(10)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도다. 도5a는,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가 장착되었을 때에 사용 빈도가 높은 상태인,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그립(204a)가 피사체측으로부터 보아서 좌측에 위치하는 정위치 상태를 나타낸 도다.
도5b는 교환 렌즈(100)가 장착되어, 정위치 상태에 있는 카메라 본체(10)의 VB-VB방향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다. VB-VB방향은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방향이다. 도6a는,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정위치 상태의 다음에 빈도가 높은 카메라 그립(204a)을 상측에 카메라 본체(10)를 구비한(카메라 마운트(201)를 촬영자측으로부터 보아서, 록 핀(202)이 하측에 위치한다) 종위치 상태를 나타낸 도다. 도6b는, 교환 렌즈(100)가 장착되어, 종위치 상태에 있는 카메라 본체(10)의 VIB-VIB방향 단면도의 일부 확대도다. VIB-VIB방향은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을 통과함과 아울러 VB-VB방향과 직교하는 수직방향이다.
도4a,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201)에는, 카메라 마운트(201)가 가지는 개구부의 지름방향 및 둘레방향에 폭을 가지는 복수의 제1의 계합부(복수의 제1의 바요넷 클로부)로서 복수의 카메라 클로부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복수의 카메라 클로부란, 제1의 카메라 클로부(카메라측 바요넷 클로부)(201a), 제2의 카메라 클로부(201b), 제3의 카메라 클로부(201c)다.
도4a, 4b에 있어서,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와 제2의 카메라 클로부(201b)의 사이의 공간을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제1의 카메라 오목부)(201d), 제2의 카메라 클로부(201b)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201c)와의 사이의 공간을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201e)로 한다. 그리고, 제3의 카메라 클로부(201c)와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와의 사이의 공간을 제3의 카메라 잘린부분(201f)으로 한다.
여기서,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의 양단부를 제1의 단부(201al), 제2의 단부(201a2)로 하고, 제2의 카메라 클로부(201b)의 양단부를 제3의 단부(201b1), 제4의 단부(201b2)로 한다. 그리고, 제3의 카메라 클로부(201c)의 양단부를 제5의 단부(201c1), 제6의 단부(201c2)로 한다.
또,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1의 단부(201a1)를 잇는 선과,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2의 단부(201a2)와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를 θa로 한다.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3의 단부(201b1)를 잇는 선과,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4의 단부(201b2)와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를 θb로 한다. 그리고,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5의 단부(201c1)을 잇는 선과,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6의 단부(201c2)와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를 θc로 한다. 이 때, 도4a,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θa=48°, θb=40°, θc=92°이다. θa, θb, θc는 각각, 각 카메라 클로부의 원주방향의 각도다.
또,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2의 단부(201a2)를 잇는 선과,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3의 단부(201b1)와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를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201d)의 원주방향의 각도로 할 때, 이 각도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57°다. 마찬가지로,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201e)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66°, 제3의 카메라 잘린부분(201f)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57°이다.
또,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록 핀(202)의 중심과를 잇는 선분을 기준선으로 한다. 그리고,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1의 단부(201a1)와를 잇는 선과 기준선이 이루는 각도로부터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과 제2의 단부(201a2)와를 잇는 선과 기준선이 이루는 각도까지를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의 배치 각도범위로 한다. 이 때,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의 배치 각도범위는 169°내지 217°이다. 마찬가지로, 제2의 카메라 클로부(201b)의 배치 각도범위는 274°내지 314°이며, 제3의 카메라 클로부(201c)의 배치 각도범위는 20°내지 112°이다.
여기서, 록 핀(202)의 중심과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인 중심선(3002)에서 θa를 상측의 중심선(3002)보다도 상측의 각도θa1과 하측의 각도θa2로 나눈다. 이때, 본 실시 형태에서는, θc≥θa+θb, 및 θa1+θc>θa2+θb라고 하는 관계가 성립하도록 각 카메라 클로부 및 카메라 잘린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카메라 마운트(201)의 수평방향의 중심선(3002)보다 위의 카메라 클로부의 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교환 렌즈(100)가 장착된 정위치 상태의 카메라 본체(10)에 있어서, 교환 렌즈(100)의 중량을 지지할 때에 각 카메라 클로부의 변형을 억제함과 아울러, 교환 렌즈(100)의 수직방향의 기울기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본체(10)가 정위치 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3003)이 제3의 카메라 클로부(201c)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도록, 제3의 카메라 클로부(201c)가 배치되어 있다. 중심선 3003은, 록 핀(202)의 중심과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인 중심선 3002와 직교하고,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이다.
또, 중심선(3003)은 광축(3000)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중심선(3003)은 카메라 본체(10)가 수평면에 두어졌을 때에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축과 직교하고,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수직선이다.
이 구성에 의해, 도5b와 같이, 정위치 상태에 있어서 광축(3000)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제3의 렌즈 클로부(301f)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201c)와의 사이의 간격△1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위치 상태의 카메라 본체(10) 및 교환 렌즈(100)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201)가 교환 렌즈(100)의 중량을 지지할 때의, 카메라 본체(10)에 대한 교환 렌즈(100)의 중력방향(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의 덜컹거림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본체(10)가 정위치 상태에 있을 때에 카메라 마운트(201)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3002)이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도록,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도6b와 같이, 종위치 상태에 있어서 광축(3000)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제1의 렌즈 클로부(301d)와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와의 사이의 간격△2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 렌즈(100)가 장착된 종위치 상태의 카메라 본체(10)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201)가 교환 렌즈(100)의 중량을 지지할 때에 생기는, 카메라 본체(10)에 대한 교환 렌즈(100)의 중력방향에의 덜컹거림을 저감할 수 있다.
(렌즈 마운트(301)의 구성)
다음에, 도7 내지 도9a, 9b를 사용해서 렌즈 마운트(30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7은, 촬영자측으로부터 보아서, 록 핀용 홈(301z)이 좌측에 위치하는 정위치 상태의 카메라 본체(10)에 록된 상태(록 위상상태)의 교환 렌즈(100)의 렌즈 마운트(301)를 촬영자측에서 본 도다.
렌즈 마운트(301)에는, 렌즈 마운트(301)가 가지는 개구부의 지름방향 및 둘레방향에 폭을 가지는 복수의 제2의 계합부로서, 제1의 렌즈 클로부(렌즈측 바요넷 클로부)(301d), 제2의 렌즈 클로부(301e), 제3의 렌즈 클로부(301f)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 마운트(301)에는, 교환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장착할 때에, 교환 렌즈(100)가 원하는 위치로부터 그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둘레방향용의 위치결정 핀(301y)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 핀(301y)이 제4의 단부(201b2)와 접촉함으로써, 교환 렌즈(100)는 상기한 원하는 위치이상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도7에 있어서, 제3의 렌즈 클로부(301f)와 제1의 렌즈 클로부(301d)와의 사이의 공간을 제1의 렌즈 잘린부분(301a), 제1의 렌즈 클로부(301d)와 제2의 렌즈 클로부(301e)와의 사이의 공간을 제2의 렌즈 잘린부분(301b)로 한다. 그리고, 제2의 렌즈 클로부(301e)와 제3의 렌즈 클로부(301f)와의 사이의 공간을 제3의 렌즈 잘린부분(301c)로 한다.
또, 제1의 렌즈 클로부(301d)의 양단부를 제1의 단부(301d1), 제2의 단부(301d2)로 하고 제2의 렌즈 클로부(301e)의 양단부를 제3의 단부(301e1), 제4의 단부(301e2)로 한다. 그리고, 제3의 렌즈 클로부(301f)의 양단부를 제5의 단부(301f1), 제6의 단부(301f2)로 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렌즈 클로부(301e)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53°, 제2의 렌즈 클로부(301d)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62°, 제3의 렌즈 클로부(301f)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53°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1의 렌즈 클로부(301e)의 원주방향의 각도란,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과 제1의 단부(301d1)와를 잇는 선과,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과 제2의 단부(301d2)와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다. 제2의 렌즈 클로부(301d) 및 제3의 렌즈 클로부(301f)의 원주방향의 각도도 제1의 렌즈 클로부(301d)의 원주방향의 각도와 마찬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또,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과 제5의 단부301f1을 잇는 선과,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과 제1의 단부(301d1)과를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를 제1의 렌즈 잘린부분(301a)의 원주방향의 각도로 할 때, 이 각도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52°이다. 마찬가지로, 제2의 렌즈 잘린부분(301b)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44°, 제3의 렌즈 잘린부분(301c)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96°이다.
또,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과 록 핀용 홈(301z)의 중심과를 잇는 선분을 기준선으로 한다. 그리고,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과 제1의 단부(301d1)과를 잇는 선과 기준선이 이루는 각도로부터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과 제2의 단부(301d2)와를 잇는 선과 기준선이 이루는 각도까지를 제1의 렌즈 클로부(301d)의 배치 각도범위로 한다. 이때, 제1의 렌즈 클로부(301d)의 배치 각도범위는 159°내지 212°이다. 마찬가지로, 제2의 렌즈 클로부(301e)의 배치 각도범위는 256°내지 318°이며, 제3의 렌즈 클로부(301f)의 배치 각도범위는 54°내지 107°이다.
여기서, 정위치 상태에 있어서, 록 핀용 홈(301z)의 중심과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 3006과 직교하고,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을 중심선 3005로 한다. 이때, 중심선 3005는 제2의 렌즈 클로부(301e)의 적어도 일부와 제3의 렌즈 클로부(301f)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도5b에 나타낸 간격△1이나 교환 렌즈(100)가 수직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려고 하는 것에 의한 각 렌즈 클로부의 변형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중심선(3005)은 교환 렌즈(100)가 장착된 카메라 본체(10)를 수평면에 두었을 때에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과 직교하고,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수직선이다.
또, 중심선(3006)이 제1의 렌즈 클로부(301d)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도록 제1의 렌즈 클로부(301d)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도6b에 나타낸 간격△2이나 교환 렌즈(100)가 수직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려고 하는 것에 의한 각 렌즈 클로부의 변형을 저감할 수 있다.
(카메라 마운트(201)와 카메라측 단자부와의 배치 관계)
다음에, 도8a, 8b를 사용해서 전술한 카메라 마운트(201)와 카메라측 단자부와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8a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복수의 카메라측 단자부(제1의 단자부)인 복수의 단자 핀 203a∼203k, 203m, 및 보유 부재(203)의 배치 관계를 피사체측(카메라 본체(10)의 정면측)으로부터 본 도다. 도8b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단자 핀 203a∼203k, 203m, 및 보유 부재(203)를 피사체측(카메라 본체(10)의 정면측)의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도다.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부재(203)에는 단자 핀 203a∼203k, 203m이 카메라 단자 핀 배열 선(3001)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단자 핀 203a∼203k, 203m은, 광축(3000)과 평행한 방향에 진퇴가능한 가동방식의 단자부이며, 교환 렌즈(100)측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으로 부세되어 있다.
전술한 도1b에 도시한 각 단자부와 각 단자 핀과의 관계는 다음에 도시한 대로다. 다시 말해, 단자 핀 203a가 카메라측VDD단자부, 단자 핀 203b가 카메라측VBAT단자부, 단자 핀 203c가 카메라측TYPE단자부, 단자 핀 203d가 카메라측PGND단자부, 단자 핀 203e가 카메라측MIF단자부다. 그리고, 단자 핀 203f가 카메라측DCL단자부, 단자 핀 203g가 카메라측DLC단자부, 단자 핀 203h가 카메라측LCLK단자부, 단자 핀 203i가 카메라측DLC2단자부, 단자 핀 203L이 카메라측DCA단자부다. 그리고, 단자 핀 203k가 카메라측CS단자부, 단자 핀 203m이 카메라측DGND단자부다.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핀 203a, 203b, 203c, 203d의 광축(3000)방향의 높이는 단자 핀 203e, 203f, 203g, 203h, 203i, 203L, 203k, 203m의 광축(3000)방향의 높이보다도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보유 부재(203)가 광축(3000)방향의 높이가 서로 다른 2개의 면을 가지고 있고, 높은쪽의 면에 단자 핀 203a, 203b, 203c, 203d가 설치되어 있고, 낮은 쪽의 면에 나머지의 단자 핀이 설치되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단자 핀이 동일 높이의 면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교환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부착할 때에 생기는 카메라측 단자부가 렌즈측 단자부 위를 미끄러지는 것에 의한 단자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교환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장착하기 위해서 교환 렌즈(100)를 록 위치로부터 비록 위치로 회전시킬 때에 단자 핀 203e∼203k, 203m이 렌즈측 단자부와 접촉하지 않는 기간이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단자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렌즈 마운트(301)와 렌즈측 단자부와의 관계)
다음에, 도9a, 9b를 사용해서 전술한 렌즈 마운트(301)와 렌즈측 단자부와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a는, 교환 렌즈(100)가 전술한 록 위상상태에 있을 때의 렌즈 마운트(301)와, 복수의 렌즈측 단자부(제2의 단자부)인 단자면 303a∼303k, 303m 및 보유 부재(303)의 배치 관계를 촬영자측에서 본 도다. 도9b는, 교환 렌즈(100)가 전술한 록 위상상태에 있을 때의 렌즈 마운트(301)와 단자면 303a∼303k, 303m 및 보유 부재(303)를 교환 렌즈(100)가 카메라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의 촬영자측의 비스듬하게 위쪽에서 본 도다.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부재(303)에는 단자면 303a∼303k, 303m이 렌즈 접점 배열 선(3004) 위에 배열되어 있다. 전술한 도1b에 도시한 각 단자부와 각 단자면과의 관계는 다음에 도시한 대로다. 다시 말해, 단자면 303a가 렌즈측VDD단자부, 단자면 303b가 렌즈측VBAT단자부, 단자면 303c가 렌즈측TYPE단자부, 단자면 303d가 렌즈측PGND단자부, 단자면 303e가 렌즈측MIF단자부다.
그리고, 단자면 303f가 렌즈측DCL단자부, 단자면 303g가 렌즈측DLC단자부, 단자면 303h가 렌즈측LCLK단자부, 단자면 303i가 렌즈측DLC2단자부, 단자면 303L이 렌즈측DCA단자부다. 그리고, 단자면 303k가 렌즈측CS단자부, 단자면 303m이 렌즈측DGND단자부다.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면 303a, 303b, 303c, 303d의 광축(3000)방향의 높이는 단자면 303e, 303f, 303g, 303h, 303i, 303L, 303k, 303m의 광축(3000)방향의 높이보다도 낮아져 있다. 이것은, 보유 부재(303)가 광축(3000)방향의 높이가 서로 다른 2개의 면을 가지고 있고, 낮은 쪽의 면에 단자면 303a, 303b, 303c, 303d가 설치되어 있고, 높은 쪽의 면에 나머지의 단자면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카메라측 단자부의 구성에 대하여, 렌즈측 단자부가 이 구성을 취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단자부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303n 및 303q는, 교환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장착하기 위해서 교환 렌즈(100)를 회전시킬 때에 단자 핀을 이미지 센서(11)측에 밀어 넣기 위한 유인(guiding) 경사면이다. 유인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본체(10)측에 설치된 각 단자 핀의 렌즈 마운트(301)와의 접촉압이 단계적으로 완만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10)측에 설치된 각 단자 핀의 변형이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교환 렌즈(100)의 카메라 본체(10)에의 부착 동작)
다음에, 도10a, 10b를 사용하여, 교환 렌즈(100)의 카메라 본체(10)에의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 본체(10)에의 교환 렌즈(100)등의 카메라 악세사리의 장착은, 크게 나누어서 다음에 서술하는 제1의 동작과 제2의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제1의 동작은, 각 렌즈 클로부가 각 카메라 잘린부분에 밀치고 들어가도록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사이의 회전 방향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맞춰서 교환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7b에 도시하는 렌즈측 지름 끼워맞춤부(301x)와 도4c에 도시하는 카메라측 지름 끼워맞춤부(201x)를 지름 끼워맞춤을 하게 하는 동작이다. 또한, 제2의 동작은 렌즈측 지름 끼워맞춤부(301x)와 카메라측 지름 끼워맞춤부(201x)가 지름 끼워맞춰진 상태에서 록 위치를 향해서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가 서로 바요넷 결합을 한 상태로 하는 동작이다.
도10a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를 부착할 때의 삽입 위상상태(제1의 상태)를 카메라 마운트(201)측(촬영자측)으로부터 본 도다. 여기에서 말하는 삽입 위상상태란, 제1의 렌즈 클로부(301d)를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201d)에, 제2의 렌즈 클로부(301e)를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201e)에, 제3의 렌즈 클로부(301f)를 제3의 카메라 잘린부분(201f)에 삽입한 상태의 것이다. 이 상태에서 렌즈측 지름 끼워맞춤부(301x)와 카메라측 지름 끼워맞춤부(201x)가 지름 끼워맞춤하고 있다.
도10b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가 부착할 때의 록 위상상태(제2의 상태)를 카메라 마운트(201)측(촬영자측)으로부터 본 도다. 여기에서 말하는 록 위상상태란, 전술한 도10a에 도시하는 삽입 위상상태로부터, 교환 렌즈(100)의 피사체측에서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교환 렌즈(100)를 약 60°회전시켜서 각 렌즈 클로부와 각 카메라 클로부와를 서로 계합시킨 상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록 위상상태에서는 제1의 렌즈 클로부(301d)는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의 이미지 센서(11)측에, 제2의 렌즈 클로부(301e)는 제2의 카메라 클로부(201b)의 이미지 센서(11)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3의 렌즈 클로부(301f)는 제3의 카메라 클로부(201c)의 이미지 센서(11)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렌즈 클로부와 카메라 클로부가 서로 계합하고 있고, 또한, 록 핀(202)이 록 핀용 홈(301z)에 삽입되어서 교환 렌즈(100)의 회전이 록 된다. 또한, 록 위상상태에서는 각 렌즈 클로부는 렌즈 마운트 부세 부재(206)에 의해 이미지 센서(11)의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한, 렌즈 마운트 부세 부재(206) 대신에, 각 카메라 클로부에 판 스프링부를 설치해도 좋다.
또, 전술한 유인 경사면 303n 및 303q에 의해, 교환 렌즈(100)가 삽입 위상상태로부터 록 위상상태로 천이할 때에, 카메라 본체(10)측의 각 단자 핀이 이미지 센서(11)측에 가압된다.
그리고, 이것들 카메라 본체(10)측의 각 단자 핀은 가압된 채 단자면 303a∼303k, 303m이 대응하는 개소에 접촉한다. 또한, 처음에 접촉하는 것은 단자 핀 203m과 단자면 303e이다.
(렌즈 클로부와 렌즈측MIF단자부와의 배치 관계)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측MIF단자부인 단자면 303e가,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 C내에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각도범위 C는, 광축(3000)의 방향에서 볼 때(광학기기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에, 광축(3000)(광학기기의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제3의 단부 (301e1)를 통과하는 반직선과, 광축(3000)으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제4의 단부(301e2)를 통과하는 반직선과의 사이의 범위다. 단자면 303e가,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C내에 있다란, 다음과 같이 바꿔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축(3000)의 방향에서 볼 때, 광축(3000)으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제3의 단부(301e1)를 통과하는 반직선을 제1의 선으로 하고, 광축(3000)이 끝으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제4의 단부(301e2)를 통과하는 반직선을 제2의 선으로 한다. 그리고, 렌즈측 지름 끼워맞춤부(301x)의 외주와 제1의 선과 제2의 선으로 둘러싸여져 있는 영역에 단자면 303e가 있다고 바꿔 말할 수 있다. 또한, 후술의 각도범위 D 및 E를 사용한 표현도 상기한 각도범위 C와 마찬가지로 바꿔 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MIF단자부는,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단자부다. 또한, MIF단자부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가 장착된 것이 검출되면, VDD 단자부나 VBAT단자부에의 전원공급이 개시되고,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사이의 통신이 시작한다. 이 때문에, 카메라측의 MIF단자부인 단자 핀 203e와 렌즈측의 MIF단자부인 단자면 303e는 서로 안정하게 상대방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9a에 도시하는 전술한 구성에 의해, 카메라 본체(10)에 교환 렌즈(100)가 장착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카메라측의 MIF단자부가 렌즈측의 MIF단자부에 의해 안정하게 접촉할 수 있다. 카메라측의 MIF단자부와 렌즈측의 MIF단자부가 서로 안정하게 상대방에 접촉함으로써,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사이의 통신을 안정하게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의 작동이 안정하게 고속통신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사이의 통신을 보다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의 한층 더 고속화에 의해 카메라 본체(10) 및 교환 렌즈(100)의 유용성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정보를 카메라 본체(10)와 교환 렌즈(100)와의 사이에서 교환 함으로써 카메라 시스템에 새기능을 갖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렌즈측MIF단자부인 단자면 303e가,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 C내에 있다란, 다음과 같이 바꿔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렌즈측MIF단자부인 단자면 303e와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반직선이, 소정의 제2의 바요넷 클로부인 제2의 렌즈 클로부(301e)를 통과한다. 또 바꿔 말하면,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렌즈측MIF단자부인 단자면 303e를 통과하는 반직선이 소정의 제2의 바요넷 클로부인 제2의 렌즈 클로부(301e)를 통과한다.
또,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을, 악세사리가 교환 렌즈일 경우에는 그 교환 렌즈의 광축으로 하여도 좋고, 렌즈 마운트(301)의 개구부의 중심축으로 하여도 좋다.
또,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렌즈측의 단자부가, 복수의 렌즈측의 바요넷 클로부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렌즈측의 바요넷 클로부는, 렌즈 마운트(301)가 가지는 개구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 복수의 렌즈측의 단자부는 이 개구부내에 있다.
(렌즈 클로부와 렌즈측 통신용 단자부와의 배치 관계)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측MIF단자부인 단자면 303e에 더하여,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도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 C내에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란, 단자면 303f, 단자면 303g, 단자면 303h, 단자면 303i, 단자면 303L, 단자면 303k이다.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의 모두가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 C내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교환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부착했을 때에 카메라 클로부와 렌즈 클로부가 바요넷 결합함으로써 안정되어 있는 영역 혹은 그 영역에 가깝게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제로 촬영을 행할 때에 교환 렌즈(100)와 카메라 본체(10)와의 사이의 통신을 보다 안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의 모두가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 C내에 있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의 반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할이상이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 C내에 있으면 좋다.
또한, 전술한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의 모두가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 C내에 있다란, 다음과 같이 바꿔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9a 및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복수의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의 각각과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복수의 반직선의 모두가 소정의 제2의 바요넷 클로부인 제2의 렌즈 클로부(301e)를 통과한다. 바꿔 말하면,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복수의 렌즈측의 통신용 단자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반직선의 모두가 소정의 제2의 바요넷 클로부인 제2의 렌즈 클로부(301e)를 통과한다.
또, 도9a 및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측의 단자보유부인 보유 부재(303)의 둘레방향의 길이는, 1개의 렌즈측의 바요넷 클로부보다도 길다. 이 때문에, 모든 렌즈측의 단자부를 각도범위 C내에 둘 수는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중요한 렌즈측MIF단자부인 단자면 303e 및 렌즈측 통신용 단자부의 모두를 우선해서 각도범위 C내에 두고 있다.
(렌즈 클로부와 위치결정 핀(303p)과의 배치 관계)
다음에, 도11을 사용하여, 렌즈 클로부와 위치결정 핀(볼록부)(303p)과의 배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치결정 핀(303p)은 보유 부재(303)에 설치되고, 렌즈 마운트(301)가 가지는 개구부의 지름방향 외측에 연장되는 핀이다. 위치결정 핀(303p)이 렌즈 마운트에 설치된 구멍부 301h3에 삽입됨으로써, 렌즈 마운트(301)에 대한 보유 부재(303)의 위치가 결정된다. 위치결정 핀(303p)이 구멍부 301h3에 삽입된 상태에서, 렌즈 마운트(301)에 설치된 구멍부 301h2와 301h4와 도시되지 않은 나사를 사용해서 보유 부재(303)를 렌즈 마운트(301)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구멍부 301h1은, 교환 렌즈(100)가 원하는 위치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전술한 위치결정 핀(301y)이 삽입되는 구멍부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구멍부는 관통구멍부이지만, 예를 들면 구멍부 301h3은 위치결정 핀(303p)과 계합하는 것이라면, 관통구멍부가 아니고 밑바닥이 있는 오목부이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측MIF단자부인 단자면 303e가,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 C내에 있다. 이것에 더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 핀(303p)도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 C내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교환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부착했을 때에 카메라 클로부와 렌즈 클로부가 바요넷 결합함으로써 안정되어 있는 영역 혹은 그 영역에 가깝게 위치결정 핀(303p)이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실제로 촬영을 행할 때에 진동이나 낙하시의 충격 등의 외력이 교환 렌즈(100) 혹은 카메라 본체(10)에 합류했을 때에 보유 부재(303)의 위치가 어긋나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위치결정 핀(303p)도 제2의 렌즈 클로부(301e)가 설치되어 있는 각도범위내 C에 있다란, 다음과 같이 바꿔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위치결정 핀(303p)과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반직선은, 소정의 제2의 바요넷 클로부인 제2의 렌즈 클로부(301e)를 통과한다.
(단자면 303e와 위치결정 핀(303p)과의 배치 관계)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교환 렌즈(100)가 삽입 위상상태로부터 록 위상상태로 천이할 때에, 최초에 접촉하는 단자 핀과 단자면은, 단자 핀203m과 단자면 303e다. 이 때문에, 교환 렌즈(100)를 카메라 본체(10)에 부착할 때에 단자면 303e가 안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마운트(301)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단자면 303e를 위치결정 핀(303p)의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환 렌즈(100)가 삽입 위상상태로부터 록 위상상태로 천이할 때에, 최초에 단자 핀이 접촉하는 단자면인 단자면 303e와 단자 핀이 보다 안정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전술한 위치결정 핀(303p)의 근방에 단자면 303e가 설치되어 있다란, 구체적으로는 이하를 말한다. 다시 말해, 정위치 상태(록 핀용 홈(301z)이 좌측)의 교환 렌즈(100)에 있어서, 단자면 303d의 중심과 광축(3000)을 통과하는 선과, 단자면 303g의 중심과 광축(3000)을 통과하는 선과의 사이의 각도범위 D내에 위치결정 핀(303p)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면 303d는 단자면 303e로부터의 반시계회전 방향에 있어서 단자면 303e의 옆의 단자면이며, 단자면 303g은 단자면 303e로부터의 시계회전 방향에 있어서 단자면 303e의 2개 옆의 단자면이다. 또한, 단자면 303e의 중심과 광축(3000)을 통과하는 선과, 단자면 303g의 중심과 광축(3000)을 통과하는 선과의 사이의 각도범위E에 위치결정 핀(303p)이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면 303e와 위치결정 핀(303p)과의 배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바꿔 말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렌즈측MIF단자부인 단자면 303e를 기준단자부로 하고, 복수의 렌즈측 단자부 중 단자면 303e로부터 보아서 제1의 방향(도9a에 있어서의 반시계회전 방향)에 있어서 가장 단자면 303e에 가까운 렌즈측 단자부를 제1의 인접단자부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의 인접단자부는 단자면 303d다.
그리고, 복수의 렌즈측 단자부 중 단자면 303e로부터 보아서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인 제2의 방향(도9a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에 있어서 가장 단자면 303e에 가까운 렌즈측 단자부를 제2의 인접단자부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의 인접단자부는 단자면 303f다. 그리고, 복수의 렌즈측 단자부 중 제2의 방향에 있어서 가장 제2의 인접단자부에 가까운 렌즈측 단자부를 제3의 인접단자부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의 인접단자부는 단자면 303g이다.
이 때, 위치결정 핀(303p) 및 구멍부(301h3)는, 단자면 303d로부터 단자면 303g까지의 각도범위 D내에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 핀(303p) 및 구멍부(301h3)가, 단자면 303e로부터 단자면 303g까지의 각도범위 E내에 있다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각도범위 D는, 광축(3000)의 방향에서 볼 때, 광축(3000)으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단자면 303d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직선과, 광축(3000)으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단자면 303g의 중심을 통과하는 반직선과의 사이의 범위다. 각도범위 E도, 광축(3000), 단자면 303e의 중심, 단자면 303g의 중심을 사용해서 각도범위 D와 마찬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이상의 배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바꿔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위치결정 핀(303p) 및 구멍부(301h3)는,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과 제1의 인접단자부를 통과하는 반직선과,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과 제3의 인접단자부를 통과하는 반직선과의 사이의 영역내에 있다.
그리고,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위치결정 핀(303p) 및 구멍부(301h3)는,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과 기준단자부를 통과하는 반직선과,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과 제3의 인접단자부를 통과하는 반직선과의 사이의 영역내에 있다.
또, 단자면의 중심이란, 단자면이 직사각형일 경우에는 광축방향에서 볼 때의 단자면의 2개의 대각선의 교점이다. 단자면이 직사각형일 경우 혹은 원형 등 직사각형이 아닌 등의 경우에는 광축방향에서 볼 때의 단자면의 중심을 단자면의 중심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9a, 9b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측의 TYPE단자부인 단자면 303c는 각도범위 C내에는 없다. 바꿔 말하면,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카메라에 장착된 악세사리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렌즈측의 TYPE단자부인 단자면 303c와 렌즈 마운트(301)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반직선은, 복수의 제2의 바요넷 클로부의 사이인 잘린부분을 지나간다.
(변형 예)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기기로서의 교환 렌즈(100)를 예시해서 교환 렌즈(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기기는 교환 렌즈(100)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교환 렌즈(100)와 카메라 본체(10)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댑터를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광학기기(악세사리)로 하고, 이 어댑터의 교환 렌즈(100)측의 마운트를 교환 렌즈(100)와 같은 구성의 마운트로 하여도 좋다. 교환 렌즈(100)에 있어서도 어댑터에 있어서도 렌즈 마운트(301)가 체결 나사(마운트 고정 부재) 304a∼304d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부재를 악세사리 본체로 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보유 부재(303)가 위치결정 핀(303p)을 가지고, 렌즈 마운트(301)가 구멍부(301h3)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보유 부재(303)가 구멍부 혹은 오목부를 가지고, 렌즈 마운트(301)가 이 구멍부 혹은 오목부에 계합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다시 말해, 보유 부재(303)와 렌즈 마운트(301) 중 한쪽이 볼록부를 가지고, 다른쪽이 구멍부 혹은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마운트에 설치된 3개의 바요넷 클로부의 각각을, 더욱 세분화하도록 분할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다시 말해, 1개의 바요넷 클로부를 복수의 바요넷 클로부의 집합(바요넷 클로군)으로 하여서 형성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예를 들면, 1개의 바요넷 클로부에 홈부를 설치했을 경우가, 이것에 해당한다. 이 경우, 각 마운트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배치되는 바요넷 클로군의 각도범위는, 전술한 실시 형태대로다.
또,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마운트와 악세사리 마운트의 어느 하나를 구비한 기기를 다른쪽의 마운트를 구비한 기기에 대하여 실제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쌍방의 기기끼리를 바요넷 결합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마운트와 악세사리 마운트끼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카메라 마운트와 악세사리 마운트끼리의 바요넷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이하, 이 상세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관련되는 마운트 기구(5000)의 분해 사시도다. 도13a, 13b 및 13c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관련되는 마운트 기구(5000)의 비결합 상태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4a, 14b 및 14c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관련되는 마운트 기구(5000)의 결합 상태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또한, 도12∼14에 있어서는, 설명을 위해, 마운트 기구(5000)의 가동 마운트부(5010)와, 마운트 기구(5000)의 가동 마운트부(5010)와 바요넷 결합이 가능한 렌즈 마운트(301)를 동시에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착한다.
도12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변형 예의 마운트 기구(5000)는, 광축(3000)을 중심축으로 하여, 렌즈 마운트(301)가 부착되는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조작부(5030), 고정 마운트부(5020), 가동 마운트부(5010), 접점보유 부재(203)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503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링형상의 조작 수단이며, 팔부(5040)와 나사에 의해, 가동 마운트부(501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 예에서는, 2중심축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팔부(5040)를 사용하고, 조작부(5030)와 가동 마운트부(5010)가 계 2개소로 고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조작부(5030)가 회전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가동 마운트부(5010)도 일체적으로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가동 마운트부(5010)에는, 렌즈 마운트(301)에 설치된 바요넷 클로부 301a∼301c와 각각 바요넷 결합이 가능한 가동 마운트 클로부 5011a, 5011b, 501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마운트부(5010)에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나사산이 있는 나사부(5012)가 설치되어 있고, 가동 마운트부(50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의 회전에 따라, 후술하는 고정 마운트부(5020)의 나사부(5022)와의 나사 결합 상태가 변화된다.
고정 마운트부(5020)에는, 렌즈 마운트(301)의 마운트면과 접촉하는 카메라 마운트면(5021)과, 전술한 가동 마운트부(5010)의 나사부 5012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 5022가 구비되어 있다. 고정 마운트부(5020)는, 전술한 가동 마운트부(5010)와는 다르고, 조작부(50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는 없다.
다음에, 도13a 내지 도14c를 참조하여, 본 변형 예에 관련되는 마운트 기구의 바요넷 결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렌즈 마운트(301)에 설치된 각 바요넷 클로는, 조작부(5030)의 개구부분 및 고정 마운트부(5020)의 개구부분을 삽통한 상태에서, 가동 마운트(5010)의 가동 마운트 클로부 5011a∼c와 계합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13a, 13b 및 13c에 도시하는 상태는, 조작부(5030)가 비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다. 이 상태에서는, 렌즈 마운트(301)의 렌즈 마운트면과 고정 마운트부(5020)의 카메라 마운트면(5021)을 접촉하지만,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렌즈 마운트(301) 및 가동 마운트부(5010)의 각각의 클로부끼리가 서로 계합하지 않고 겹치지 않는다. 도13c는, 도13b에 도시하는 XIIIC-XIIIC단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부(5030)를 회전 조작한 상태의 마운트 기구(5000)를 예시하는 것이 도14a, 14b 및 14c다.
도14a, 14b 및 14c에 도시하는 상태는, 조작부(5030)가 록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다. 이 상태에서는, 중심축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렌즈 마운트(301) 및 가동 마운트(5010)의 각각의 클로부끼리가 서로 중첩됨으로써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계합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조작부(5030)의 회전 조작에 따라, 고정 마운트부(5020)의 나사부(5022)와 가동 마운트부(5010)의 나사부와의 나사 결합 상태가 변화되고, 가동 마운트부(5010)가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촬상 장치측으로 이동한다. 도14c는, 도14b에 도시하는 XIVC-XIVC단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13c 및 도14c에 도시하는 것 같이, 마운트 기구(5000)의 비록 상태가 록 상태로 변화되는 것에 따라, 중심축 방향에 있어서, 가동 마운트부(5010)가 고정 마운트부(50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해, 렌즈 마운트(301)측의 바요넷 클로와 계합한 상태의 가동 마운트 클로부 5011a∼5011c의 각각이, 촬상 장치측으로 이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 예의 마운트 기구(5000)는, 렌즈 마운트측의 클로부와 계합가능한 클로부를 구비한 가동 마운트부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의해, 가동 마운트부를 고정 마운트부에 대하여 중심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본 변형 예의 마운트 기구(5000)는, 렌즈 마운트와 카메라측의 마운트와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양자간에 생기는 간극(간격)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변형 예에서는, 촬상 장치측에 마운트 기구(5000)를 설치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교환 렌즈 등의 카메라 악세사리측에 마운트 기구(5000)를 구비하는 구성에 적용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기기로서의 교환 렌즈(100)를 예시해서 교환 렌즈(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광학기기는 교환 렌즈(100)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교환 렌즈(100)와 카메라 본체(10)와의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댑터를 본 발명에서 말하는 광학기기(악세사리)로 하여도 좋다. 이하, 이 어댑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15a∼도16b를 참조하여, 전술한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마운트(201)에 장착가능한 카메라 악세사리인 변환 어댑터(어댑터 장치)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5a 및 15b는, 카메라 본체(10)에 장착가능한 제1의 변환 어댑터(40) 및 제2의 교환 렌즈(50)를 설명하는 도다. 도15a는, 카메라 본체(10)에 제1의 변환 어댑터(40)를 통해 제2의 교환 렌즈(50)가 장착된 상태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5b는 카메라 본체(10), 제1의 변환 어댑터(40), 제2의 교환 렌즈(50)를 각각 뗀 상태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카메라 본체(10)에 대하여 제2의 교환 렌즈(이하, 제2의 렌즈라 칭한다)(50)는, 플랜지 백이 짧지만 카메라 마운트(201)와 동일한 마운트 지름을 가지는 렌즈 마운트(501)를 구비하고 있다. 다시 말해, 제2의 렌즈(50)는, 전술한 교환 렌즈(이후 제1의 렌즈라고 함)(100)와 동일한 마운트 지름이지만, 제1의 렌즈(100)와는 다르고, 카메라 본체(10)에의 직접 장착에 대응하지 않고 있는 카메라 악세사리다.
도16a 및 16b는, 카메라 본체(60)에 장착가능한 제2의 변환 어댑터(70) 및 제1의 렌즈(100)를 설명하는 도다. 도16a는 카메라 본체(60)에 제2의 변환 어댑터(70)를 통해 제1의 렌즈(100)가 장착된 상태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하고, 도16b는 카메라 본체(60), 제2의 변환 어댑터(70), 제1의 렌즈(100)를 각각 뗀 상태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플랜지 백이 짧은 촬상 장치에 플랜지 백이 긴 교환 렌즈가 직접 장착되면, 정확한 위치에 초점이 맺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그 때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것으로 부자연스러운 화상이 취득되어버린다. 예를 들면, 전술한 카메라 본체(10)에 플랜지 백이 긴 제2의 렌즈(50)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상술한 문제가 생긴다.
마찬가지로, 플랜지 백이 긴 촬상 장치에 플랜지 백이 짧은 교환 렌즈가 직접 장착되었을 경우도, 정확한 위치에 초점이 맺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기고, 그 때에 피사체를 촬상하는 것으로 부자연스러운 화상이 취득되어버린다. 예를 들면, 전술한 카메라 본체(10)보다도 플랜지 백이 긴 제2의 촬상 장치로서 카메라 본체(60)에, 플랜지 백이 짧은 제1의 렌즈(100)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상술한 문제가 생긴다.
특히, 카메라 본체 10 및 카메라 본체 60과, 제1의 렌즈(100) 및 제2의 렌즈(50)은 동일한 마운트 지름을 갖기 때문에, 어느 촬상 장치와 교환 렌즈가 직접 장착에 대응한 플랜지 백을 가질지를 양자의 외관으로부터 유저가 판단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서로 대응하지 않는 플랜지 백을 가지는 촬상 장치와 교환 렌즈가 잘못해서 직접 장착되지 않도록, 소정의 촬상 장치에는 대응하는 교환 렌즈만이 직접 접속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대응하지 않는 교환 렌즈를 촬상 장치에 장착할 경우, 플랜지 백을 조정하는 데는, 양자간에 변환 어댑터를 통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변환 어댑터의 한쪽의 측에 촬상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해당 변환 어댑터의 다른쪽의 측에 해당 촬상 장치에의 직접 접속에 대응한 교환 렌즈가 잘못해서 장착되어버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초점이 맺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변환 어댑터의 한쪽의 측과 다른쪽의 측에서는 각각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및 카메라 악세사리를 제한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플랜지 백이 짧은 촬상 장치에 플랜지 백이 긴 교환 렌즈를 장착할 경우, 한쪽의 끝측이 해당 촬상 장치에만 장착가능하며, 다른쪽의 끝측이 해당 교환 렌즈에만 장착가능한 변환 어댑터가 바람직하다. 또한, 플랜지 백이 긴 촬상 장치에 플랜지 백이 짧은 교환 렌즈를 장착할 경우, 한쪽의 끝측이 해당 촬상 장치에만 장착가능하며, 다른쪽의 끝측이 해당 교환 렌즈에만 장착가능한 변환 어댑터가 바람직하다.
제1의 변환 어댑터(40)에는,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끝측에, 렌즈 마운트(1301)가 어댑터 경통(40a)에 대하여 체결 나사(도시되지 않음)로 부착되어 있다. 이 렌즈 마운트(1301)는, 전술한 카메라 본체(1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201)에 착탈할 수 있는 악세사리 마운트다.
또,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끝측에는, 카메라 마운트(1401)가 어댑터 경통(40a)에 대하여 체결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카메라 마운트(1401)는, 제2의 렌즈(50)의 렌즈 마운트(501)에 착탈할 수 있는 카메라 마운트다. 또한,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카메라 마운트(1401)는, 제2의 렌즈(50)에 있어서의 플랜지 백에 대응한 위치에 카메라 본체(10)의 촬상 센서(11)의 촬상면이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2의 변환 어댑터(70)에는,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끝측에, 렌즈 마운트(1501)가 어댑터 경통(70a)에 대하여 체결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렌즈 마운트(1501)는, 카메라 본체(6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401)에 착탈할 수 있는 악세사리 마운트다.
또, 제2의 변환 어댑터(70)에는,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끝측에, 카메라 마운트(1201)가 어댑터 경통(70a)에 대하여 체결 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카메라 마운트(12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의 렌즈(100)의 렌즈 마운트(301)를 착탈할 수 있는 카메라 마운트다.
또, 제2의 변환 어댑터(70)에는,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어댑터 경통(70a)과 렌즈 마운트(1501)의 사이에, 제1의 광학부재(701a), 제2의 광학부재(70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의 광학부재(701a), 제2의 광학부재(701b)에 의해, 제2의 변환 어댑터(70)는, 카메라 본체(60)에 배치된 촬상 센서의 촬상면에 맞춰서 제1의 렌즈(100)의 플랜지 백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재는 편의상 2개의 렌즈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음에, 도17a∼도21d를 참조하여,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카메라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가 배설되어 있는 각도(위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7a, 17b 및 17c는,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한쪽의 끝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4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7a는, 배면측(카메라 본체(10)측)으로부터 본, 카메라 마운트(14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록 핀(1401z)을 기준으로 한 카메라 클로부 및 카메라 잘린부분이 차지하는 각도범위를 설명한 도다. 도17b는, 배면측(카메라 본체(10)측)으로부터 본, 카메라 마운트(14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 클로부 1401a∼1401c가 차지하는 각도범위를 설명하는 도다. 도17c는, 도17b에 도시하는 XVIIC-XVIIC단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제1의 변환 어댑터(40)는, 플랜지 백이 짧은 카메라 본체(10)에 플랜지 백이 긴 제2의 렌즈(50)를 장착하는데도 사용하는 마운트 어댑터다. 따라서, 제1의 변환 어댑터(40)로서는, 렌즈 마운트(1301)에 플랜지 백이 긴 카메라 본체(60)에 직접 장착할 수 없고, 카메라 마운트(1401)에 플랜지 백이 짧은 제1의 렌즈(100)가 직접 장착할 수 없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해당 구성에 의해, 제1의 변환 어댑터(40)에 있어서의 한쪽의 끝(제1의 끝)측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301)와, 다른쪽의 끝(제2의 끝)측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401)가, 각각 직접 장착할 수 없는 클로부 및 잘린부분의 위치 관계를 충족시킬 수 있다.
카메라 마운트(1401)에는 원주방향(내경방향)을 향하여,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 제2의 카메라 클로부(1401b), 제3의 카메라 클로부(1401c)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17a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마운트(1401)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경우, 록 핀(1401z)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 클로부가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다. 그리고,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2의 카메라 클로부(1401b), 제3의 카메라 클로부(1401c)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 카메라 마운트(1401)에는 원주방향(내경방향)을 향하여,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d),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e), 제3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f)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또한, 도17a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마운트(1401)을 배면측에서 보았을 경우, 록 핀(1401z)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잘린부분이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e)이다. 그리고,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e)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3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f),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d)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 도17c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는, 카메라 악세사리가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카메라 악세사리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끼워맞춤부(1401x)가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 끼워맞춤부(1401x)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지름을 마운트 지름으로 한다.
또, 제1의 변환 어댑터(40)와 제2의 렌즈(50)와의 바요넷 결합의 방식은, 전술한 카메라 본체(10)와 제1의 렌즈(100)와의 바요넷 결합의 방식과 대략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설명을 위해, 카메라 클로부 1401a, 1401b, 1401c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각각을, 제1의 단부 1401a1, 제2의 단부 1401a2, 제3의 단부 1401b1, 제4의 단부 1401b2, 제5의 단부 1401c1, 제6의 단부 1401c2로 칭한다. 각각의 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마운트(1401)를 배면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순서대로 부번을 부착한다.
도17a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의 변환 어댑터(40)에 있어서, 각 카메라 클로부 및 각 카메라 잘린부분의, 카메라 마운트(1401)의 원주방향으로 차지하는 각도(각도범위)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의 각도θA1=56°, 제2의 카메라 클로부(1401b)의 각도θA2=62°, 제3의 카메라 클로부(1401c)의 각도θA3=62°이다. 또한,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d)의 각도는 57°,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e)의 각도는 66°, 제3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f)의 각도는 57°이다. 다시 말해, 카메라 마운트(1401)는, 전술한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마운트(201)에 대하여, 각 카메라 클로부의 각도는 다르지만, 각 카메라 잘린부분의 각도는 동일하다.
또, 제1의 변환 어댑터(40)를 배면측에서 카메라 클로부를 보았을 경우, 카메라 마운트(14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각 카메라 클로부가 배치되는 록 핀 (1401z)의 위치(기준위치라고 칭한다)를 기준으로 한 시계 방향의 각도는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159°내지 215°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의 카메라 클로부(1401b)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272°내지 334°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의 카메라 클로부(1401c)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40°내지 102°의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에, 도18a 및 18b는,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다른쪽의 끝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3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8a는, 배면측에서 본, 렌즈 마운트(13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록 핀(1301z)을 기준으로 한 렌즈 클로 및 렌즈 잘린부분이 차지하는 각도범위를 설명한 도다. 도18b는, 배면측에서 본, 렌즈 마운트(13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 잘린부분 1301a∼1301c가 차지하는 각도범위를 설명하는 도다.
도18b에 도시하는 것 같이, 각 렌즈 잘린부분의, 렌즈 마운트(1301)의 원주방향으로 차지하는 각도(각도범위)는, 제1의 렌즈 잘린부분(1301a)의 각도를 θA4, 제2의 렌즈 잘린부분(1301b)의 각도를 θA5로 한다. 또한, 제1의 변환 어댑터(40)의 렌즈 마운트(1301)에 있어서의 각 클로 및 잘린부분의 설치 각도는, 전술한 제1의 렌즈(100)의 렌즈 마운트(301)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의 변환 어댑터(40)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301)와 카메라 마운트(1401)와의 각 클로와 잘린부분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각도를 비교한다. 예를 들면, 렌즈 마운트(1301)측에 있어서, 최소의 각도를 가지는 제2의 렌즈 잘린부분(1301b)의 각도θA5는 44°이며, 이것에 대하여,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 최소의 각도를 가지는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의 각도θA1은 56°이다. 다시 말해, 렌즈 마운트(1301)측에 있어서의 가장 작은 각도를 가지는 잘린부분에서도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의 가장 작은 각도를 가지는 클로쪽이 크다(θA5<θA1). 이 경우, 렌즈 마운트(1301)측의 잘린부분과 카메라 마운트(1401)측의 클로 중, 적어도 1개이상의 렌즈 잘린부분과 카메라 클로부끼리는 서로 간섭한다. 따라서, 카메라 마운트(1401)측과 렌즈 마운트(1301)측의 광축끼리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카메라 본체에 교환 렌즈를 장착하려고 하여도, 클로부와 잘린부분이 간섭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교환 렌즈를 장착할 수는 없다.
그러나, 1개의 클로부와 잘린부분이 서로 간섭하고 있는 것만으로는, 렌즈 마운트측의 각 잘린부분에 카메라 마운트측의 각 클로를 삽입 가능해질 경우가 있다. 도19a 및 19b는, 서로 간섭하는 클로부와 잘린부분을 가지는 소정의 촬상 장치(1000)와 소정의 교환 렌즈(2000)와의 장착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9a는, 서로 간섭하는 클로부와 잘린부분을 가지는 소정의 촬상 장치에 소정의 교환 렌즈를 장착하는 도중의 정면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19b는, 도19a에 도시하는 XIXB-XIXB단면의 단면도다.
예를 들면, 도19a, 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마운트측의 광축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측의 광축을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에서, 카메라 클로부의 일단을 렌즈 잘린부분에 삽입하고, 그 상태로부터 렌즈 마운트와 카메라 마운트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킨다. 이 경우, 본래는 서로 간섭하는 카메라 클로부와 렌즈 잘린부분이여도, 렌즈 마운트와 카메라 마운트와의 상대 회전 도중에 서로의 간섭이 해소되어서, 해당 렌즈 잘린부분에 카메라 클로부가 삽입된 상태로 천이가능하다. 이 경우, 다른 카메라 클로부와 렌즈 잘린부분이 간섭하지 않고 있으면,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교환 렌즈를 장착가능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이 되는 렌즈 클로에 인접하는 소정의 렌즈 잘린부분의 각도가, 기준이 되는 카메라 잘린부분에 인접하는 2개의 카메라 클로부의 각도보다도 작아지도록, 렌즈 마운트(1301)측과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의 각 클로부와 잘린부분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렌즈 클로부(1301d)에 인접하는 제1의 렌즈 잘린부분(1301a)와 제2의 렌즈 오목부(1301b)의 각도θA4, θA5가,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d)에 인접하는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와 제2의 클로(1401b)의 각도θA1, θA2보다도 작다. 즉, θA4(52°)가 θA1(56°)보다 작고, θA5(44°)가 θA2(62°)보다도 작다(θA4<θA1, θA5<θA2).
따라서, 도20a 및 20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제1의 렌즈 클로부(1301d)를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d)에 삽입시키려고 하여도, 제2의 렌즈 클로부(1301e)가 제2의 카메라 클로부(1401b)와, 제3의 렌즈 클로(1301f)가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가 확실히 간섭한다.
도20a 및 20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1301)측을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다. 도20a는, 제3의 렌즈 클로부(1301f)와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도20b는, 제2의 렌즈 클로부(1301e)와 제2의 카메라 클로부(1401b)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응하지 않는 교환 렌즈와 촬상 장치의 각 마운트부에 있어서의 각 클로 중, 서로의 2개의 클로끼리가 간섭하도록, 대응하지 않는 교환 렌즈와 촬상 장치, 및 변환 어댑터의 각 마운트부를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대응하지 않는 교환 렌즈가 촬상 장치에 오장착되거나, 혹은, 변환 어댑터의 양단에 설치된 각 마운트부에 대응하지 않는 교환 렌즈 및 촬상 장치가 오장착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이여도, 예를 들면, 3개의 클로를 대응하지 않는 잘린부분에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에, 각 클로부 및 잘린부분의 각도에 따라서는, 2개의 클로부가 잘린부분에 삽입되어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더욱이, 적어도 2개가 인접하는 렌즈 잘린부분의 각도가, 모든 카메라 클로부의 각도보다도 작은 구성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렌즈 잘린부분(1301a)와 제2의 렌즈 잘린부분(1301b)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각도θA4, θA5가, 제1∼제3의 카메라 클로부 1401a∼1401c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각도θA1∼θA3보다도 작다. 다시 말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마운트(1301)측과 카메라 마운트(1401)측의 각 클로부 및 각 잘린부분의 관계는, θA4<θA1, θA4<θA2, θA4<θA3, θA5<θA1, θA5<θA2, θA5<θA3을 충족시킨다.
도21a, 21b, 21c 및 21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렌즈 마운트(1301)측 및 카메라 마운트(1401)측에 있어서, 대응하지 않는 클로부를 잘린부분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21a는 제1의 렌즈 클로부(1301d)를 제3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f)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의, 제3의 렌즈 클로부(1301f)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1401c)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21b는 제1의 렌즈 클로부(1301d)를 제3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f)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의, 제2의 렌즈 클로부(1301e)와 제1의 카메라 클로부(1401a)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21c는 제1의 렌즈 클로부(1301d)를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e)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의, 제3의 렌즈 클로부(1301f)와 제2의 카메라 클로부(1401b)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21d는 제1의 렌즈 클로부(1301d)를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1401e)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의, 제2의 렌즈 클로부(1301e)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1401c)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21a∼d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마운트(1301)와 카메라 마운트(1401)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에 따르지 않고, 적어도 2개소의 렌즈 클로부와 카메라 클로부끼리가 간섭한다.
이 구성에 의해, 렌즈 마운트 301(1301)을 구비한 교환 렌즈 및 변환 어댑터가, 카메라 마운트 401(1401)을 구비한 촬상 장치 및 변환 어댑터에 오장착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22a∼26을 참조하여,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카메라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가 배설되어 있는 각도(위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의 변환 어댑터(70)는, 플랜지 백이 긴 카메라 본체(60)에 플랜지 백이 짧은 제1의 렌즈(100)를 장착하는데도 사용하는 마운트 어댑터다.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한쪽의 끝(제3의 끝)측에는 렌즈 마운트(1501)가 설치되고, 다른쪽의 끝(제4의 끝)측에는 카메라 마운트(120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카메라 마운트(201)는, 전술한 제1의 촬상 장치인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마운트(120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다. 또한,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렌즈 마운트(1501)는, 전술한 제2의 렌즈(50)의 렌즈 마운트(50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의 변환 어댑터(70)로서는, 렌즈 마운트(1501)에 플랜지 백이 짧은 카메라 본체(10)에 직접 장착할 수 없고, 카메라 마운트(1201)에 플랜지 백이 긴 제2의 렌즈(50)가 직접 장착할 수 없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해당 구성은, 제2의 변환 어댑터(70)에 있어서의 한쪽의 끝(제3의 끝)측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501)와, 다른쪽의 끝(제4의 끝)측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201)가 각각 직접 장착할 수 없는 클로부 및 잘린부분의 위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22a 및 22b는,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한쪽의 끝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2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22a는, 배면측에서 본,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록 핀(1202)을 기준으로 한 카메라 클로부 및 카메라 잘린부분이 차지하는 각도범위를 설명한 도다. 도22b는, 배면측에서 본,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카메라 클로부 1201a∼1201c에 관해서 각 클로가 설치되는 각도범위를 설명하는 도다. 또한,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카메라 마운트(1201)에 있어서의 각 클로부 및 잘린부분의 설치 각도는, 전술한 카메라 본체(10)의 카메라 마운트(201)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22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의 제6의 끝(11201c2)으로부터 제1의 카메라 클로부(201a)를 포함해 제2의 카메라 클로부(1201b)의 제3의 끝(1201b1)까지의 각도를 θA6(162°)로 한다. 또한,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1의 카메라 클로부(1201a)의 제2의 끝(1201a2)으로부터 제2의 카메라 클로부(1201b)를 포함해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의 제5의 끝(1201c1)까지의 각도를 θA7(163°)로 한다. 또한, 카메라 마운트(12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2의 카메라 클로부(1201b)의 제4의 끝(1201b2)으로부터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를 포함해 제1의 카메라 클로부(1201a)의 제1의 끝(1201a1)까지의 각도를 θA8(215°)로 한다.
다음에, 도23a, 23b 및 23c는, 제2의 변환 어댑터(70)의 다른쪽의 끝에 설치된 렌즈 마운트(1501)에 있어서의 바요넷 클로의 설치 각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23a는, 배면측에서 본,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록 핀이 삽입되는 오목부(1501z)를 기준으로 한 렌즈 클로부 및 렌즈 잘린부분이 차지하는 각도범위를 설명한 도다. 도23b는, 배면측에서 본,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 잘린부분 1501a∼1501c에 관해서 각 잘린부분이 설치되는 각도범위를 설명하는 도다. 도23c는, 도23b에 도시하는 XXIIIC-XXIIIC단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렌즈 마운트(1501)에는 원주방향(내경방향)을 향하여,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또한, 도23a에 도시하는 것 같이 렌즈 마운트(15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상기 록 핀이 삽입되는 상기 오목부(1501z)로부터 가장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렌즈 클로부가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다. 그리고,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 렌즈 마운트(1501)에는 원주방향(내경방향)을 향하여, 제1의 렌즈 잘린부분(1501a), 제2의 렌즈 잘린부분(1501b), 제3의 렌즈 잘린부분(1501c)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23a에 도시하는 것 같이 렌즈 마운트(15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 오목부(1501z)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잘린부분이 제3의 렌즈 잘린부분(1501c)이다. 그리고, 제3의 렌즈 잘린부분(1501c)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1의 렌즈 잘린부분(1501a), 제2의 렌즈 잘린부분(1501b)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명을 위해, 렌즈 클로부(1501d, 1501e, 1501f)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각각을, 제1의 단부(1501d1), 제2의 단부(1501d2), 제3의 단부(1501e1), 제4의 단부(1501e2), 제5의 단부(1501f1), 제6의 단부(1501f2)라고 칭한다. 각각의 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마운트(1501)를 배면측에서 본 경우에,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순서대로 부번을 부착한다.
도23a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렌즈 클로부 및 각 렌즈 잘린부분의,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으로 차지하는 각도(각도범위)를,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의 각도는 53°,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의 각도는 62°,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의 각도는 53°이다. 즉,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각 렌즈 클로부의 각도는 전술한 렌즈 마운트(301)측에 있어서의 렌즈 클로부의 각도와 동일하다.
이것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1501)측의 렌즈 잘린부분의 각도는, 전술한 렌즈 마운트(1301)측의 렌즈 잘린부분의 각도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제1의 렌즈 잘린부분(1501a)의 각도는 60°, 제2의 렌즈 잘린부분(1501b)의 각도는 66°, 제3의 렌즈 잘린부분(1501c)의 각도는 66°이다.
또, 배면측에서 렌즈 클로부를 본 경우에,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각 렌즈 클로부가 배치되는 오목부(1501z)의 위치(기준위치라고 칭한다)를 기준으로 한 시계 방향의 각도는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157°내지 2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276°내지 338°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는, 기준위치를 기점으로 44°내지 97°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 도23c에 도시하는 것 같이, 렌즈 마운트(1501)측에는, 촬상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촬상 장치의 광축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끼워맞춤부(1501x)가 원주방향에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마운트(1201)측에 있어서, 끼워맞춤부(1501x)의 광축과 수직한 방향에 있어서의 지름을 마운트 지름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각 카메라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에 있어서의 마운트 지름은 대략 동일한 길이인 것으로 한다.
또, 도23b에 도시하는 것 같이,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의 제5의 끝(1501f1)으로부터 제1의 렌즈 잘린부분(1501a)를 포함해 제1의 렌즈 클로부(5101d)의 제2의 끝(1501d2)까지의 각도를 θA9(166°)로 한다. 또한,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의 제1의 끝(1501d1)으로부터 제2의 렌즈 잘린부분(1501b)를 포함해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의 제4의 끝(1501e2)까지의 각도를 θA1O(181°)으로 한다. 또한, 렌즈 마운트(1501)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의 제3의 끝(1501e1)으로부터 제3의 렌즈 잘린부분(1501c)를 포함해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의 제6의 끝(1501f2)까지의 각도를 θA11(181°)로 한다.
제2의 변환 어댑터(70)에 설치된 카메라 마운트(1201)와 렌즈 마운트(1501)와의 각 클로부와 잘린부분의 원주방향에 있어서의 각도를 비교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마운트(1201)측에 있어서의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의 각도(92°)는,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렌즈 잘린부분 중 최대의 각도를 가지는 제2, 제3의 렌즈 잘린부분(1501b, 501c)의 각도(66°)보다도 크다. 다시 말해, 카메라 마운트(1201)측에 있어서의 적어도 1개의 카메라 클로부의 각도가,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최대의 각도를 가지는 렌즈 잘린부분의 각도보다도 크다.
이 경우,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클로부와 렌즈 마운트(1501)측의 잘린부분 중, 적어도 1개이상의 카메라 클로부와 렌즈 잘린부분끼리는 서로 간섭한다. 따라서, 카메라 마운트(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의 광축끼리가 대략 평행이 되도록 카메라 본체에 교환 렌즈를 장착하려고 하여도, 클로부와 잘린부분이 간섭하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교환 렌즈를 장착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전술한 제1의 변환 어댑터(40)에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1개의 클로부와 잘린부분이 서로 간섭하고 있는 것만으로는, 렌즈 마운트측의 각 잘린부분에 카메라 마운트측의 각 클로부를 삽입 가능해질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마운트측의 광축에 대하여 렌즈 마운트측의 광축을 비스듬히 기울인 상태에서, 카메라 클로부의 일단을 렌즈 잘린부분에 삽입하고, 렌즈 마운트와 카메라 마운트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카메라 본체에 대하여 교환 렌즈를 장착할 수 있을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주방향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클로부 및 잘린부분를, θA6<θA9, 또한 θA7<θA1O을 만족시키도록 배설한다. 도24a 및 24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기준이 되는 잘린부분에 렌즈 마운트(1501)측의 기준이 되는 클로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부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다. 도24a는,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도24b는,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24a, b에 도시하는 것 같이, 예를 들면, 기준이 되는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를 기준이 되는 카메라 잘린부분(1201d)에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가 제2, 제3의 렌즈 클로부(1501e, 501f)와 간섭한다.
즉, 배면측에서 보아서, 기준이 되는 1개의 렌즈 클로부와, 그의 시계 방향으로 그 방향에 인접하는 다른 렌즈 클로부와, 이것들의 렌즈 클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잘린부분의 각도의 총합을 제1의 각도로 한다. 그리고, 배면측에서 보아서, 기준이 되는 1개의 카메라 잘린부분와, 그의 시계 방향으로 그 방향에 인접하는 다른 카메라 잘린부분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클로부의 각도의 총합을 제2의 각도로 한다. 또한, 배면측에서 보아서, 기준이 되는 1개의 렌즈 클로부와, 그의 반시계 방향으로 그 방향에 인접하는 다른 렌즈 클로부와, 이것들의 렌즈 클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잘린부분의 각도의 총합을 제3의 각도로 한다. 더욱이, 배면측에서 보아서, 기준이 되는 1개의 카메라 잘린부분와, 그의 반시계 방향으로 그 방향에 인접하는 다른 카메라 잘린부분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카메라 클로부의 각도의 총합을 제4의 각도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의 각도가 제2의 각도보다도 크고 제3의 각도가 제4의 각도보다도 커지도록, 카메라 마운트(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클로부 및 잘린부분을 배설하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적어도 2개의 렌즈 클로부와 1개의 카메라 클로가 서로 간섭한다. 따라서, 대응하지 않는 교환 렌즈가 촬상 장치에 오장착되거나, 혹은, 변환 어댑터의 양단에 설치된 각 마운트부에 대응하지 않는 교환 렌즈 및 촬상 장치가 오장착되는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조건을 충족시킬 경우이어도, 예를 들면, 3개의 클로부를 대응하지 않는 잘린부분에 삽입하려고 했을 경우에, 각 클로부 및 클로부의 각도에 따라서는, 2개의 클로부가 잘린부분에 삽입되어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주방향에 있어서, 카메라 마운트(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클로부 및 잘린부분를, θA6<θA9, θA6<θA1O, θA6<θA11 또한 θA7<θA9, θA7<θA1O, θA7<θA11을 만족시키도록 배설한다. 다시 말해, 배면측에서 보아서, 전술한 기준이 되는 렌즈 클로부이외의 2개의 클로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잘린부분의 총합을 제5의 각도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제2의 각도 및 제4의 각도가, 제1의 각도 및 제3의 각도 및 제5의 각도의 어느 것보다도 작아지도록, 카메라 마운트(1201)측과 렌즈 마운트(1501)측에 있어서의 클로부 및 잘린부분을 배설하면 좋다.
도25a, 25b, 25c 및 25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1201)측의 기준이 되는 잘린부분에 렌즈 마운트(1501)측의 기준이외의 클로부를 장착하려고 했을 때의, 클로끼리의 간섭하는 모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도다. 도25a는,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를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1201d)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의,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25b는,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를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1201d)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의,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25c는,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를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1201d)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의, 제2의 렌즈 클로부(1501e)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25d는, 제3의 렌즈 클로부(1501f)를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1201d)에 삽입하려고 할 경우의, 제1의 렌즈 클로부(1501d)와 제3의 카메라 클로부(1201c)가 간섭하는 모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25a∼d에 도시하는 것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마운트(1501)와 카메라 마운트(1201)의 상대적인 회전 각도에 따르지 않고, 적어도 2개 렌즈 클로부가 1개의 카메라 클로부와 간섭한다. 이 구성에 의해, 렌즈 마운트 501(1501)을 구비한 교환 렌즈 및 변환 어댑터가, 카메라 마운트 201(1201)을 구비한 촬상 장치 및 변환 어댑터에 오장착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카메라 마운트(401)측과 렌즈 마운트(501)측의 각각에 설치된 클로부끼리를 계합시킨 상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도다. 도26에 도시하는 것 같이, 제1의 렌즈 클로부(501d)는 제1의 카메라 잘린부분(401d)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렌즈 클로부(501e)는 제2의 카메라 잘린부분(401e)에 삽입할 수 있다. 더욱이, 제3의 렌즈 클로부(501f)는 제3의 카메라 잘린부분(401f)에 삽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카메라 마운트(401)측과 렌즈 마운트(501)측은, 서로 직접 장착에 대응한 조합이다. 또한, 도10a에 도시한 것 같이, 카메라 마운트(201)측과 렌즈 마운트(301)측은, 서로 직접 장착에 대응한 조합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 백이 긴 촬상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60))에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401)와, 플랜지 백이 긴 교환 렌즈(예를 들면 제2의 렌즈(50))에 대응하는 렌즈 마운트(501)는 서로 직접 장착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플랜지 백이 짧은 촬상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10))에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플랜지 백이 긴 교환 렌즈(예를 들면 제2의 렌즈(50))에 대응하는 렌즈 마운트(501)는 서로 직접 장착을 할 수 없다.
또한, 플랜지 백이 짧은 촬상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10))에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201)와, 플랜지 백이 짧은 교환 렌즈(예를 들면 제1의 렌즈(100))에 대응하는 렌즈 마운트(301)는 서로 직접 장착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플랜지 백이 긴 촬상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60))에 대응하는 카메라 마운트(401)와, 플랜지 백이 짧은 교환 렌즈(예를 들면 제1의 렌즈(100))에 대응하는 렌즈 마운트(301)는 서로 직접 장착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채용한 촬상 장치 및 카메라 악세사리는, 대략 동일한 마운트 지름을 갖지만 서로 대응하지 않는 촬상 장치 및 카메라 악세사리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Claims (23)

  1. 복수의 제1 바요넷 클로부와 복수의 제1 단자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마운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렌즈 마운트로서,
    상기 복수의 제1 바요넷 클로부와의 계합이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및
    상기 렌즈 마운트가 상기 카메라 마운트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단자부-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상기 렌즈 마운트의 종류를 판별하는데 사용되는 TYPE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렌즈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렌즈 마운트의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고 MIF 단자부를 통과하는 반직선은, 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중에서 소정의 바요넷 클로부를 통과하는, 렌즈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상기 카메라 마운트와 상기 렌즈 마운트의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복수의 통신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단자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반직선의 모두가, 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중에서 소정의 바요넷 클로부를 통과하는, 렌즈 마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를 보유하는 단자보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자보유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에 대해 상기 단자보유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구비하는, 렌즈 마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위치결정부를 통과하는 반직선은, 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중에서 소정의 바요넷 클로부를 통과하는, 렌즈 마운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상기 렌즈 마운트가 상기 카메라 마운트에 장착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데 사용되는 MIF 단자부를 구비하고,
    제1 인접단자가 상기 MIF 단자부에 대해 한쪽에 상기 MIF 단자부에 인접한 단자이고, 제2 인접단자가 상기 MIF 단자부에 대해 다른 쪽에 상기 MIF 단자부에 인접한 단자이고, 제3 인접단자가 상기 제2 인접단자에 인접한 단자일 때,
    상기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인접단자를 통과하는 반직선과,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 인접단자를 통과하는 반직선의 사이의, 영역 내부에 있는, 렌즈 마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위치결정부는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MIF 단자부를 통과하는 반직선과,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3 인접단자를 통과하는 반직선의 사이의, 영역 내부에 있는, 렌즈 마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상기 카메라 마운트와 상기 렌즈 마운트의 통신 제어계를, 접지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단자와,
    상기 통신 제어계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력을 상기 카메라 마운트로부터 상기 렌즈 마운트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단자를 구비하는, 렌즈 마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상기 카메라 마운트와 상기 렌즈 마운트의 기계적 구동계를, 접지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단자와,
    상기 기계적 구동계의 동작에 사용되는 전력을 상기 카메라 마운트로부터 상기 렌즈 마운트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단자를 구비하는, 렌즈 마운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제1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카메라 마운트로부터 출력되는 클록 신호를 상기 렌즈 마운트에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자와,
    상기 카메라 마운트와 상기 렌즈 마운트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구성된 단자와,
    상기 렌즈 마운트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 마운트에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자를 구비하는, 렌즈 마운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상기 제1 통신과는 독립된 제2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렌즈 마운트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 마운트에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자를 구비하는, 렌즈 마운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상기 제1 통신 및 상기 제2 통신과는 독립된 제3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제3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3 통신부는,
    상기 카메라 마운트와 상기 렌즈 마운트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구성된 단자와,
    상기 카메라 마운트와 상기 렌즈 마운트 사이의 통신 요구 신호를 통신하도록 구성된 단자를 구비하는, 렌즈 마운트.
  12. 청구항 1에 따른 렌즈 마운트; 및
    렌즈를 구비하는, 악세사리.
  13. 청구항 1에 따른 렌즈 마운트를 구비한 악세사리로서,
    상기 악세사리는 렌즈 장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악세사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치의 복수의 바요넷 클로부와 계합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의 원주방향의 가장 작은 각도는, 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사이의 잘린부분의 원주방향의 가장 작은 각도보다 큰, 악세사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마운트가 상기 카메라 마운트에 장착될 때 상기 카메라 마운트에 대해 설치된 규제하는 부가 삽입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는, 상기 규제부에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제1 및 제2 인접 바요넷 클로부와, 상기 제1 및 제2 인접 바요넷 클로부에 대해 상기 규제부의 상기 원주방향으로의 반대측에 배치된 반대측 바요넷 클로부를 구비하는, 악세사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치의 복수의 바요넷 클로부와 계합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대측 바요넷 클로부에 인접한 제1 잘린부분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상기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잘린부분에 중첩하는 상기 제3 바요넷 클로부의 각도보다 작고,
    상기 반대측 바요넷 클로부에 인접한 제2 잘린부분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상기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2 잘린부분에 중첩하는 상기 제3 바요넷 클로부의 각도보다 작은, 악세사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치의 복수의 바요넷 클로부와 계합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대측 바요넷 클로부에 인접한 제1 잘린부분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상기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의 각각의 원주방향의 각도보다 작고,
    상기 반대측 바요넷 클로부에 인접한 제2 잘린부분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상기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의 각각의 원주방향의 각도보다 작은, 악세사리.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치의 복수의 바요넷 클로부와 계합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대측 바요넷 클로부와 상기 제1 인접 바요넷 클로부와의 가장 떨어진 단부 사이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상기 반대측 바요넷 클로부에 중첩하는 상기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 사이의 제1 잘린부분과 상기 제1 인접 바요넷 클로부에 중첩하는 상기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 사이의 제2 잘린부분과의 가장 떨어진 단부 사이의 원주방향의 각도보다 큰, 악세사리.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치의 복수의 바요넷 클로부와 계합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반대측 바요넷 클로부에 중첩하는 상기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 사이의 제1 잘린부분과 상기 제1 인접 바요넷 클로부에 중첩하는 상기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 사이의 제2 잘린부분과의 가장 떨어진 단부 사이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중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상기 제2 바요넷 클로부의 가장 떨어진 단부 사이의 원주방향의 각도보다 작고,
    상기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잘린부분과, 상기 제2 인접 바요넷 클로부에 중첩하는 상기 복수의 제3 바요넷 클로부 사이의 제3 잘린부분과의 가장 떨어진 단부 사이의 원주방향의 각도는, 상기 제2 바요넷 클로부의 가장 떨어진 단부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악세사리.
  20. 카메라 마운트로서,
    복수의 제1 바요넷 클로부; 및
    복수의 제1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마운트는,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마운트 또는 청구항 12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악세사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마운트.
  21.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제1 바요넷 클로부와 복수의 제1 단자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마운트; 및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렌즈 마운트 또는 청구항 12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악세사리를 구비하는, 카메라 시스템.
  22. 촬상 장치로서,
    청구항 20에 따른 카메라 마운트; 및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23. 복수의 제1 바요넷 클로부와 복수의 제1 단자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마운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렌즈 마운트로서,
    상기 복수의 제1 바요넷 클로부와의 계합이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및
    상기 렌즈 마운트가 상기 카메라 마운트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의 제1 단자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2 단자부-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는, 상기 카메라 마운트와 상기 렌즈 마운트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통신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자부의 개수는 12개이고,
    상기 렌즈 마운트의 중심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렌즈 마운트의 중심축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단자부를 통과하는 복수의 반직선의 모두가, 상기 복수의 제2 바요넷 클로부 중에서 소정의 바요넷 클로부를 통과하는, 렌즈 마운트.


KR1020237013438A 2018-09-03 2018-09-03 렌즈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를 구비하는 악세사리 KR202300615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7007228A KR102525789B1 (ko) 2018-09-03 2018-09-03 악세사리 및 이것을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카메라 시스템
PCT/JP2018/032552 WO2020049607A1 (ja) 2018-09-03 2018-09-03 アクセサリ及びこれを装着可能な撮像装置、カメラ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228A Division KR102525789B1 (ko) 2018-09-03 2018-09-03 악세사리 및 이것을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556A true KR20230061556A (ko) 2023-05-08

Family

ID=697230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228A KR102525789B1 (ko) 2018-09-03 2018-09-03 악세사리 및 이것을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카메라 시스템
KR1020237013438A KR20230061556A (ko) 2018-09-03 2018-09-03 렌즈 마운트 및 렌즈 마운트를 구비하는 악세사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228A KR102525789B1 (ko) 2018-09-03 2018-09-03 악세사리 및 이것을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500270B2 (ko)
JP (3) JP7171744B2 (ko)
KR (2) KR102525789B1 (ko)
WO (1) WO2020049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56846S1 (en) * 2020-11-11 2022-07-0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me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3331A (ja) 2012-07-05 2014-01-23 Canon Inc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8742A (ja) * 1982-09-13 1984-03-21 Ricoh Co Ltd カメラのマウント信号端子
JPS63172257A (ja) * 1987-01-12 1988-07-15 Canon Inc 光学付属機器の電気回路接続用コネクタ
JPH03111828A (ja) * 1989-09-27 1991-05-13 Canon Inc 撮影装置
JPH06197305A (ja) * 1991-11-01 1994-07-15 Nikon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US7941045B2 (en) * 2008-10-30 2011-05-10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body, interchangeable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CN102402098B (zh) * 2010-09-09 2014-03-26 株式会社尼康 可换透镜、相机主体及电子设备
JP5948742B2 (ja) 2011-06-27 2016-07-06 三菱化学株式会社 有機電子デバイス用組成物、有機電子デバイスの作製方法、有機電子デバイス及び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5418552B2 (ja) * 2011-07-22 2014-02-19 株式会社ニコン アダプター、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ー制御プログラム
JP5257537B2 (ja) * 2011-09-20 2013-08-07 株式会社ニコン 交換レンズ
JP5316686B2 (ja) * 2011-09-20 2013-10-16 株式会社ニコン 交換レンズ
RU2556296C2 (ru) * 2012-04-04 2015-07-10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Аксессуар для камеры и камера
JP5822861B2 (ja) * 2012-04-04 2015-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JP5701267B2 (ja) * 2012-07-20 2015-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アクセサリ
JP6838928B2 (ja) * 2016-10-18 2021-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マウントアダプタ
JP6529535B2 (ja) 2017-04-25 2019-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CN208401980U (zh) * 2017-05-31 2019-01-18 佳能株式会社 摄像设备和配件
US10895710B2 (en) * 2017-10-26 2021-01-19 Nikon Corporation Accesso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3331A (ja) 2012-07-05 2014-01-23 Canon Inc カメラアクセサリおよび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9607A1 (ja) 2020-03-12
JP2024061919A (ja) 2024-05-08
JP2022183285A (ja) 2022-12-08
KR20210042145A (ko) 2021-04-16
US11500270B2 (en) 2022-11-15
JPWO2020049607A1 (ja) 2021-08-26
US20210181603A1 (en) 2021-06-17
US20230116290A1 (en) 2023-04-13
JP7467564B2 (ja) 2024-04-15
JP7171744B2 (ja) 2022-11-15
KR102525789B1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94934B2 (ja) レンズマウント及びこれを装着可能なカメラマウント、撮像装置
JP7305833B2 (ja) レンズマウント及びこれを装着可能なカメラマウント、撮像装置
JP7342198B2 (ja) マウント装置、撮像装置、アダプタ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JP7409620B2 (ja) マウント装置、アダプタ装置、撮像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JP2023130432A (ja) マウント装置およびアクセサリ
JP2024061919A (ja) レンズマウント及びこれを装着可能なカメラマウント、マウン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