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230A -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230A
KR20230061230A KR1020220054425A KR20220054425A KR20230061230A KR 20230061230 A KR20230061230 A KR 20230061230A KR 1020220054425 A KR1020220054425 A KR 1020220054425A KR 20220054425 A KR20220054425 A KR 20220054425A KR 20230061230 A KR20230061230 A KR 2023006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water tank
washing
wa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155B1 (ko
Inventor
김승훈
윤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워터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워터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워터디자인
Priority to KR102022005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15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깊이를 갖고,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복수개의 판석;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수부; 상기 분수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및 상기 분수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세척부 및 상기 제2세척부를 동해, 분수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A FOUNTAIN COMPRISING CLEANING PAR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수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분수대라 함은, 건물 앞 광장, 호텔이나 건물의 1층 로비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분수가 동작되지 않은 때에는 보행도로로서 사용되고, 분수가 동작되는 경우에도 인도와 분수의 경계가 특별히 구분되지 않음으로써 자유스러운 심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의 분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바닥 분수대는, 바닥에 형성된 수조의 내부에 분수장치에 필요한 펌프, 및 분사노즐 등을 설치하고, 수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판석에 분사노즐의 상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형성한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의 주위에 조명등을 설치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는 물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된 바닥 분수대의 형태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투시 평면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10)는, 일정 깊이를 갖고,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수조(20); 상기 수조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복수개의 판석(30);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수부(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수부(40)는, 복수개의 분수노즐(41); 상기 복수개의 분수노즐(4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수배관(42); 및 상기 분수노즐(41)에 공급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수용 수중펌프(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판석은, 각각, 상기 분수노즐의 상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31)을 포함한다.
즉,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는, 상기 분수배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분수용 수중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분수노즐(41)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분수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바닥 분수대는,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판석을 지지하기 위한 판석 지지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판석 지지대는, 일반적으로, 판석 거치용 각관으로 명칭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판석 지지대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의 경우, 분수 가동시 바닥 분수대의 특성상 자연적으로 유입되는 흙 등에 의해 침전된 슬러지 및 쓰레기들이, 상기 수조에 쌓에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바닥 분수대를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어야 한다.
도 4는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청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실사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청소하는 방법은, 상술한 판석을 걷어내고, 좁고 지장물이 많은 상기 수조의 내부로 사람이 들어가서 세척을 진행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청소하는 방법은, 상기 바닥 분수대를 청소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며, 또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20-040757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닥 분수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일정 깊이를 갖고,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복수개의 판석;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수부; 상기 분수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및 상기 분수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조부는,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1깊이를 갖고, 상기 분수부가 배치되는 제1수조부; 상기 제1수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2깊이를 갖으며,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수조부; 및 상기 제1수조부 및 상기 제2수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3깊이를 갖으며, 상기 제2수조부가 길게 배치되는 제2방향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제3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깊이는 상기 제2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2깊이는 상기 제1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으로부터 각각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살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은,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1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제1분지배관;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2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제2분지배관; 및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3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제3분지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살수노즐은, 상기 제1세척부 제1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1살수노즐; 상기 제1세척부 제2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2살수노즐; 및 상기 제1세척부 제3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3살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으로부터 각각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살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1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1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2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 및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3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1측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살수노즐은,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1살수노즐; 상기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2살수노즐; 및 상기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3살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수대는, 상기 수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입수 펌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과 상기 입수 펌프부를 연결하는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과 상기 입수 펌프부를 연결하는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입수 펌프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에 공급되고, 상기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입수 펌프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과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의 각각의 경로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자동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1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을 연결하는 제1자동밸브;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2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을 연결하는 제2자동밸브; 및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3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을 연결하는 제3자동밸브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수부는, 복수개의 분수노즐; 상기 복수개의 분수노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수배관; 및 상기 분수노즐에 공급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수용 수중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 펌프부는, 물이 인입되는 물 인입배관; 상기 물 인입배관으로부터 인입된 물을 상기 분수배관에 전달하기 위한 분수배관 제1연결배관; 상기 물 인입배관으로부터 분지되는 세척수 제1분지배관;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과 연결되는 가압펌프; 일측은 상기 가압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 및 상기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과 병렬연결되는 세척수 제2분지배관; 및 상기 물 인입배관의 일정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물 인입배관과 병렬연결되되, 일측은 상기 물 인입배관의 경로 중 제1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인입배관의 타측은 상기 물 인입배관의 경로 중 제2영역에 연결되는 보조 인입배관을 포함하는 분수대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세척부 및 상기 제2세척부를 동해, 분수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수대를 청소함에 있어서,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더 나아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분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투시 평면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면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청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실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투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1방향 내부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2방향 내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수 펌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투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1방향 내부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2방향 내부 측면도이다.
이때, 도 5 내지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중, 후술하는 세척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도시하였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의 구성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는, 상술한 바닥 분수대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분수대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는, 분수대의 제1방향, 예를 들면, 분수대의 길이방향(도 5의 X 방향); 상기 분수대의 제1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분수대의 제2방향, 예를 들면, 분수대의 폭방향(도 5의 Y 방향); 및 상기 분수대의 길이방향과 상기 분수대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분수대의 높이방향(도 5의 Z 방향)을 포함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폭 및 상기 길이의 정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에서는, 상기 분수대의 제1방향을 분수대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하고, 또한, 상기 분수대의 제2방향을 분수대의 폭방향으로 정의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분수대의 제1방향을 분수대의 폭방향으로 정의하고, 또한, 상기 분수대의 제2방향을 분수대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100)는, 일정 깊이를 갖고,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수조부(120); 상기 수조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복수개의 판석(130); 및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수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수부(140)는, 복수개의 분수노즐(141); 상기 복수개의 분수노즐(14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수배관(142); 및 상기 분수노즐(141)에 공급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수용 수중펌프(14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판석은, 각각, 상기 분수노즐의 상단부가 관통되는 관통홀(131)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는, 상기 분수배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분수용 수중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분수노즐(41)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분수를 연출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는,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판석을 지지하기 위한 판석 지지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판석 지지대는, 일반적으로, 판석 거치용 각관으로 명칭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판석 지지대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상술한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분수부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조부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조부는, 수조부의 제1방향, 예를 들면, 수조부의 길이방향(도 5의 X 방향);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수조부의 제2방향, 예를 들면, 수조부의 폭방향(도 5의 Y 방향); 및 상기 수조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수조부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수조부의 높이방향(도 5의 Z 방향)을 포함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폭 및 상기 길이의 정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면에서는,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을 수조부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하고, 또한,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을 수조부의 폭방향으로 정의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을 수조부의 폭방향으로 정의하고, 또한,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을 수조부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조부(120)는,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1깊이를 갖고, 상기 분수부(140)가 배치되는 제1수조부(120a); 상기 제1수조부(120a)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일측(도 5의 X 방향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2깊이를 갖으며,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수조부(120b); 및 상기 제1수조부(120a) 및 상기 제2수조부(120b)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3깊이를 갖으며, 상기 제2수조부(120b)가 길게 배치되는 제2방향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제3수조부(120c)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3깊이는 상기 제2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2깊이는 상기 제1깊이보다 깊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수조부(120c)는, 상기 제2수조부(120b)의 제2방향(도 5의 Y 방향)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수조부(120c)는 상기 제2수조부(120c)의 제2방향의 중심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수조부(120c)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조부(120a)에는 상기 분수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수조부(120a)는 분수대 배치부로 정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수조부(120b)에는 배수 수로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2수조부(120b)는 배수 수로 피트(PIT)로 정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3수조부(120c)에는 배수 펌프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3수조부(120c)는 배수 펌프부 피트(PIT)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100)는, 상기 제3수조부에 배치되는 배수 펌프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펌프부(170)를 통해, 상기 제3수조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100)는, 상기 수조부(12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입수 펌프부(150)를 더 포함하며,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가, 상기 수조부(120)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타측(도 5의 X 방향 우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입수 펌프부(150)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입수 펌프부는, 상기 분수부 및 상기 세척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배수 펌프에 대비하여, 이를 입수 펌프부로 정의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입수 펌프부는, 상기 분수부에 물을 공급하고, 또한, 후술하는 세척부에 물을 공급하는 입수 펌부가 배치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수 펌프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면도이다.
다만,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중, 후술하는 세척부의 구성을 중점적으로 도시하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수부의 구성은, 상술한 도 5 내지 도 8의 구성을 참조할 수 있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100)는, 일정 깊이를 갖고,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수조부(120); 상기 수조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복수개의 판석(130); 및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수부(14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100)는, 상기 분수부(140)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200); 및 상기 분수부(140)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세척부(200)는 상단 세척부로 정의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세척부(300)는 하단 세척부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수부(140)의 상부영역이라 함은, 상기 복수개의 판석(130)이 배치되는 영역과 인접하는 영역을 의미하며, 또한, 상기 분수부(140)의 하부영역이라 함은, 상기 수조부(120)의 저면과 인접한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100)는, 상기 수조부(12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입수 펌프부(150)를 더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수부(140)가 작동시, 즉, 물이 상기 분수노즐(141)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분수를 연출할 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분수부(140)에 물을 공급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제1세척부(2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1세척부(200)에 물을 공급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세척부(3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2세척부(3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서는, 상기 제1세척부 및 상기 제2세척부가 동시에 작동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세척부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조부 및 상기 분수부를 세척한 이후에, 상기 제2세척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의 저면 영역을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세척부는 샤워형 세척부에 해당하고, 상기 제2세척부는 바닥형 세척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샤워형 세척부에 의해, 상기 수조부 및 상기 분수부를 전체적으로 세척한 이후에, 상기 바닥형 세척부에 의해, 상기 수조부의 저면 영역을 세척하면서, 흙 및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상술한 상기 제2수조부(120b), 즉, 배수 수로 피트(PIT)로 밀어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200)는, 상기 수조부(120)의 제1방향 타측(도 5의 X 방향 우측)에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으로부터 각각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230);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살수노즐(24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230)은,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의 제1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제1분지배관(231);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의 제2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제2분지배관(232); 및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의 제3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제3분지배관(233)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230)이 6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230)의 개수는, 상술한 수조부의 제2방향의 크기, 즉, 상기 수조부의 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230)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230)의 길이는, 상술한 수조부의 제1방향의 크기, 즉, 상기 수조부의 길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230)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제1살수노즐(240)은, 상기 제1세척부 제1분지배관(231)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1살수노즐(241); 상기 제1세척부 제2분지배관(232)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2살수노즐(242); 및 상기 제1세척부 제3분지배관(233)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3살수노즐(2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1살수노즐(241)은,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1a살수노즐(241a); 상기 제1-1a살수노즐(241a)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1방향 일측(도 5의 X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b살수노즐(241b); 및 상기 제1-1b살수노즐(241b)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1방향 일측(도 5의 X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c살수노즐(241c)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1-1살수노즐(241)의 개수가 20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1살수노즐(241)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개의 제1-1살수노즐(241)의 개수는, 상기 제1세척부 제1분지배관(231)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2살수노즐(242)은,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2a살수노즐(242a); 상기 제1-2a살수노즐(242a)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1방향 일측(도 5의 X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b살수노즐(242b); 및 상기 제1-2b살수노즐(241b)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1방향 일측(도 5의 X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c살수노즐(242c)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1-2살수노즐(242)의 개수가 20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2살수노즐(242)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개의 제1-2살수노즐(242)의 개수는, 상기 제1세척부 제2분지배관(232)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1-3살수노즐(243)은,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3a살수노즐(243a); 상기 제1-3a살수노즐(243a)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1방향 일측(도 5의 X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3b살수노즐(243b); 및 상기 제1-3b살수노즐(243b)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1방향 일측(도 5의 X 방향 좌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3c살수노즐(243c)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1-3살수노즐(243)의 개수가 20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3살수노즐(243)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개의 제1-3살수노즐(243)의 개수는, 상기 제1세척부 제3분지배관(23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100)는, 상기 수조부(12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입수 펌프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세척부(2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1세척부(2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200)는,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과 상기 입수 펌프부(150)를 연결하는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250)을 포함하며, 즉,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250)을 통해, 상기 입수 펌프부(150)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제1세척부, 즉,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200)는, 샤워형 세척부에 해당하여, 상기 수조부 및 상기 분수부를 세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세척부를 통해, 최대한의 면적을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1살수노즐(240)은, 원형의 형태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내부 측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300)는, 상기 수조부(120)의 제2방향 일측(도 5의 Y 방향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으로부터 각각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살수노즐(34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의 제1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1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331);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의 제2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332); 및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의 제3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1측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333)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이 11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의 개수는, 상술한 수조부의 제1방향의 크기, 즉, 상기 수조부의 길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의 길이는, 상술한 수조부의 제2방향의 크기, 즉, 상기 수조부의 폭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제2살수노즐(340)은,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331)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1살수노즐(341); 상기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332)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2살수노즐(342); 및 상기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333)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3살수노즐(3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2-1살수노즐(341)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1a살수노즐(341a); 상기 제2-1a살수노즐(341a)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2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1b살수노즐(341b); 및 상기 제2-1b살수노즐(341b)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2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1c살수노즐(341c)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2-1살수노즐(341)의 개수가 11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1살수노즐(341)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개의 제2-1살수노즐(341)의 개수는,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331)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2-2살수노즐(342)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2a살수노즐(342a); 상기 제2-2a살수노즐(342a)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2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b살수노즐(342b); 및 상기 제2-2b살수노즐(342b)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2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c살수노즐(342c)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2-2살수노즐(342)의 개수가 11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2살수노즐(342)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개의 제2-2살수노즐(342)의 개수는, 상기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332)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2-3살수노즐(343)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3a살수노즐(343a); 상기 제2-3a살수노즐(343a)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2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3b살수노즐(343b); 및 상기 제2-3b살수노즐(343b)과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을 기준으로, 상기 수조부(120)의 제2방향 타측(도 5의 Y 방향 하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3c살수노즐(343c)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제2-3살수노즐(343)의 개수가 11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3살수노즐(343)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복수개의 제2-3살수노즐(343)의 개수는, 상기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33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100)는, 상기 수조부(12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입수 펌프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세척부(3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2세척부(3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300)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과 상기 입수 펌프부(150)를 연결하는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350)을 포함하며, 즉, 상기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350)을 통해, 상기 입수 펌프부(150)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제2세척부, 즉,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200)는, 바닥형 세척부에 해당하여, 상기 제2세척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의 저면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이때,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형 세척부에 의해, 상기 수조부의 저면 영역을 세척하면서, 흙 및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상술한 상기 제2수조부(120b), 즉, 배수 수로 피트(PIT)로 밀어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세척부를 통해, 이물질을 상술한 배수 수로 피트(PIT)로 밀어내기 위하여,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수조부의 저면 영역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채꼴의 호의 길이 영역이 상기 수조부의 저면 영역에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세척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세척부를 통해, 이물질을 상술한 배수 수로 피트(PIT)로 밀어내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은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의 제1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1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331);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의 제2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332); 및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의 제3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1측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3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이 순차적으로 작동한다 함은, 최초,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331)이 작동한 이후에, 이후,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1측 영역에서,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2측 영역의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이 순차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331)이 작동한 이후에,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331)의 작동이 멈추고, 이후, 상기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332)이 작동하며, 이후, 상기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332)의 작동이 멈추고, 이후, 상기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333)이 작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과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의 각각의 경로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의 제1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331)을 연결하는 제1자동밸브(361);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의 제2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332)을 연결하는 제2자동밸브(362); 및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의 제3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333)을 연결하는 제3자동밸브(3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의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형 세척부에 의해, 상기 수조부의 저면 영역을 세척하면서, 흙 및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상술한 상기 제2수조부(120b), 즉, 배수 수로 피트(PIT)로 밀어냄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조부(120b)로 밀려나간 물은, 상기 제3수조부(120c)에 집결되고, 상기 제3수조부(120c)에 집결된 물은, 상기 배수 펌프부(170)를 통해, 상기 제3수조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수조부 및 상기 제3수조부에 흙 및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2수조부 및 상기 제3수조부의 상부에는 걸름망(18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걸름망에 걸러지는 이물질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청소하는 방법은, 상술한 판석을 걷어내고, 좁고 지장물이 많은 상기 수조의 내부로 사람이 들어가서 세척을 진행하는 실정이나, 일반적인 바닥 분수대를 청소하는 방법은, 상기 바닥 분수대를 청소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며, 또한,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세척부 및 상기 제2세척부를 동해, 분수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기 분수대를 청소함에 있어서,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더 나아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분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 펌프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하기로 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수 펌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수부(140)는, 복수개의 분수노즐(141); 상기 복수개의 분수노즐(14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수배관(142); 및 상기 분수노즐(141)에 공급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수용 수중펌프(143)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100)는, 상기 수조부(12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입수 펌프부(150)를 더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수부(140)가 작동시, 즉, 물이 상기 분수노즐(141)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분수를 연출할 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분수부(140)에 물을 공급하게 되고, 또한, 상기 제1세척부(2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1세척부(200)에 물을 공급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세척부(3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2세척부(3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세척부(200)는,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과 상기 입수 펌프부(150)를 연결하는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250)을 포함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세척부(300)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과 상기 입수 펌프부(150)를 연결하는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350)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수 펌프부(150)는, 물이 인입되는 물 인입배관(151); 및 상기 물 인입배관(151)으로부터 인입된 물을 상기 분수배관(142)에 전달하기 위한 분수배관 제1연결배관(152)을 포함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수부는, 상기 분수배관(142)을 통해 상기 분수노즐에 물을 공급하게 되며, 이때, 상기 분수배관(142)에는, 상기 물 인입배관(151)을 통해 인입된 물이, 상기 분수배관 제1연결배관(152)을 통해, 상기 분수배관(14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물 인입배관(151)으로부터 분지되는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과 연결되는 가압펌프(155); 및 일측은 상기 가압펌프(155)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250) 및 상기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350)과 병렬연결되는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을 포함한다.
즉, 상기 물 인입배관(15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으로 인입된 물은 상기 가압펌프(155)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으로 인입되며, 또한,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으로 인입된 물은,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250) 또는 상기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350)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1세척부(2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1세척부(200)에 물을 공급하게 되며, 또한, 상기 제2세척부(3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2세척부(3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물 인입배관(151)의 일정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물 인입배관(151)과 병렬연결되는 보조 인입배관(1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인입배관(153)이 상기 물 인입배관(151)과 병렬연결된다함은, 상기 보조 인입배관(153)의 일측은 상기 물 인입배관의 경로 중 제1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인입배관(153)의 타측은 상기 물 인입배관의 경로 중 제2영역에 연결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수부는, 상기 분수배관(142)을 통해 상기 분수노즐에 물을 공급하게 되며, 이때, 상기 분수배관(142)에는, 상기 물 인입배관(151)을 통해 인입된 물이, 상기 분수배관 제1연결배관(152)을 통해, 상기 분수배관(142)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로를, 상기 물 인입배관(151)을 통해 상기 분수부에 물이 공급되는 메인 공급라인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메인 공급라인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보조 인입배관(153)을 통해서, 상기 분수부에 물이 공급될 수 있으며, 즉, 상기 물 인입배관(151)을 통해 공급된 물은, 상기 보조 인입배관(153)을 경유하여, 상기 분수배관 제1연결배관(152)을 통해, 상기 분수배관(142)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로를, 상기 보조 인입배관(153)을 통해 상기 분수부에 물이 공급되는 보조 공급라인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 인입배관(151)의 경우, 상기 물 인입배관(151)으로부터 분지되는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세척부 또는 상기 제2세척부가 작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세척부 및 제2세척부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메인 공급라인을 폐쇄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최소한 상기 분수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공급라인과 별도의 보조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각 배관들의 물의 인입을 제어하기 위한 수동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동밸브는, 상기 물 인입배관(151)과 상기 분수배관 제1연결배관(152)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의 분지 경로 이후에 배치되는 제1수동밸브(157a);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의 경로에 배치되는 제2수동밸브(157b);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의 제1영역과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2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3수동밸브(157c); 및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의 제2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3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4수동밸브(157d)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동밸브는, 상기 물 인입배관(151)의 경로 상에 배치되되,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의 분지 경로 및 상기 보조 인입배관(153)의 일측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5수동밸브(157e); 및 상기 보조 인입배관(153)의 경로 상에 배치되는 제6수동밸브(157f)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수동밸브 내지 제6수동밸브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수동밸브 및 상기 제5수동밸브는, 필요시 급수 차단을 위한 밸브로, 예를 들어, 자동밸브 등의 교체 또는 보수시, 상기 제1수동밸브 및 상기 제5수동밸브를 OFF 시킴으로써, 급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동밸브는, 가압펌프의 이상발생시 또는 필요시 가압펌프 측으로의 급수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로, 상기 제2수동밸브를 OFF 시킴으로써, 가압펌프 측으로의 급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수동밸브는, 제1세척부에 이상 발생시, 상기 제1세척부로 공급되는 급수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로, 상기 제3수동밸브를 OFF 시킴으로써, 제1세척부 측으로의 급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수동밸브는, 제2세척부에 이상 발생시, 상기 제2세척부로 공급되는 급수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로, 상기 제4수동밸브를 OFF 시킴으로써, 제2세척부 측으로의 급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수동밸브는, 상술한 바와 같은 메인공급라인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보조 공급라인으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분수부를 작동하기 위한 것으로, 따라서, 상기 제5수동밸브는 메인공급라인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경우, OFF 상태로 있다가, 상기 보조공급라인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경우, ON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5수동밸브는 상시 ON 상태이어도 무방함은 당연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수동밸브는, 상기 가압펌프(155)와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의 사이 경로에 배치되는 제7수동밸브(157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수동밸브(157g)는, 상기 제1세척부 및 상기 제2세척부에 이상 발생시, 상기 제1세척부 및 상기 제2세척부로 공급되는 급수를 차단하기 위한 밸브로, 상기 제7수동밸브를 OFF 시킴으로써, 상기 제1세척부 및 상기 제2세척부 측으로의 급수를 차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각 배관들의 물의 인입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수배관 제1연결배관(152) 및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의 사이 경로에 위치하는 메인 자동밸브(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자동밸브(160)는, 상기 수조부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수위감지기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어, 상기 수조부에 담수를 진행하기 위한 밸브로, 상기 수조부의 수위감지기에 의해, 상기 수조부에 담수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자동밸브가 ON되어 상기 수조부에 담수를 진행하고, 상기 수조부의 수위감지기에 의해, 상기 수조부에 담수를 진행하는 것을 차단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자동밸브가 OFF되어 상기 수조부에 담수를 진행하는 것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과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250)의 사이 경로에 위치하는 제1세척부 물공급 자동밸브(170)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 자동밸브(170)의 ON/OFF에 따라, 상기 제1세척부로 물, 즉,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과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의 각각의 경로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의 ON/OFF에 따라, 상기 제2세척부로 물, 즉,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밸브들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조부에 급수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수동밸브 내지 제7수동밸브는 모두 ON 상태에 해당한다. 다만, 이 경우에, 상기 제5수동밸브는 OFF 상태이어도 무방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펌프는 정지된 상태이며,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 자동밸브(170) 및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는 OFF 된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메인 자동밸브(160)는 ON 상태에 해당하여, 상기 수조부에 급수를 진행하게 되고, 이후, 상기 수조부가 만수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인 자동밸브는 OFF 상태로 전환되며, 이때, 상기 메인 자동밸브는, 수위감지기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수조부의 청소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수동밸브 내지 제7수동밸브는 모두 ON 상태에 해당한다. 다만, 이 경우에, 상기 제5수동밸브는 OFF 상태이어도 무방함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자동밸브(160)는 OFF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가압펌프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 자동밸브(170)가 ON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제1세척부에 세척수, 즉,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세척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를 청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 자동밸브(170)가 ON 상태로 전환되어,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1세척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를 청소한 이후,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 자동밸브(170)가 OFF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가 ON 상태로 전환되어,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2세척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를 청소한 이후,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는 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는,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세척부 및 상기 제2세척부를 동해, 분수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상기 분수대를 청소함에 있어서,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더 나아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분수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어지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은 일예에 해당할 뿐, 본 발명에서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은, 분수대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구동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은, 수조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110).
즉, 상기 분수대를 청소하기 위하여, 상기 분수대의 수조부에 포함된 물을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제3수조부(120c)에 배치된 배수 펌프부(170)를 통해, 상기 수조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는 제1수조부, 제2수조부 및 제3수조부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3수조부의 깊이가, 상기 제1수조부 및 제2수조부의 깊이보다 깊기 때문에, 상기 제1수조부 및 상기 제2수조부의 물은 상기 제3수조부로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는, 수조부의 물을 배출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도 17 및 도 18에서의 자동밸브는 모두 OFF 상태에 해당하여, 상기 입수펌프부(150)로부터의 물의 공급은 없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은, 제1세척부를 구동하여, 물이 배수된 상기 수조부를 청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20).
본 단계는 상술한 제1세척부의 작동단계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1세척부(2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세척부(200)는,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210)과 상기 입수 펌프부(150)를 연결하는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250)을 포함하며, 상기 물 인입배관(15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으로 인입된 물은 상기 가압펌프(155)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으로 인입되며, 또한,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으로 인입된 물은,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250)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1세척부(2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1세척부(2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자동밸브(160)는 OFF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가압펌프가 작동하게 되며,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 자동밸브(170)가 ON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제1세척부에 세척수, 즉,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세척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를 청소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1세척부의 구동을 중단한 후, 제2세척부를 구동하여, 물이 배수된 상기 수조부를 청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30).
본 단계는 상술한 제2세척부의 작동단계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2세척부(3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세척부(300)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310)과 상기 입수 펌프부(150)를 연결하는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350)을 포함하며, 상기 물 인입배관(15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154)으로 인입된 물은 상기 가압펌프(155)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으로 인입되며, 또한, 상기 세척수 제2분지배관(156)으로 인입된 물은, 상기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350)에 인입됨으로써, 상기 제2세척부(300)의 작동시에는, 상기 입수 펌프부(150)는 상기 제2세척부(300)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자동밸브(160)는 OFF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가압펌프가 작동하게 되며,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가 ON 상태로 전환 되어, 상기 제2세척부에 세척수, 즉, 물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세척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를 청소하게 된다.
즉,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1세척부의 구동이 중단, 즉,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 자동밸브(170)가 OFF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가 ON 상태로 전환되어,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제2세척부를 통해 상기 수조부를 청소한 이후,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는 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는,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세척부를 통해, 이물질을 상술한 배수 수로 피트(PIT)로 밀어내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330)은 순차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는, 순차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단계 이후, 상기 제1세척부 및 상기 제2세척부를 통해 사용된 물을 배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S110 단계에서의 배수 펌프부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2세척부의 구동을 중단한 후, 상기 수조부에 물을 급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140).
즉, 본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은 세척부를 통해 수조부를 청소한 이후에, 분수대의 가동을 위하여, 상기 수조부에 다시 물을 급수하는 단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조부에 급수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수동밸브 내지 제7수동밸브는 모두 ON 상태에 해당하고, 상기 가압펌프는 정지된 상태이며,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 자동밸브(170) 및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360)는 OFF 된 상태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메인 자동밸브(160)는 ON 상태에 해당하여, 상기 수조부에 급수를 진행하게 되고, 이후, 상기 수조부가 만수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인 자동밸브는 OFF 상태로 전환되며, 이때, 상기 메인 자동밸브는, 수위감지기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후,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수부(140)를 가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수대를 구동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일정 깊이를 갖고,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수부;
    상기 분수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상기 분수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및
    상기 수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입수 펌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타측에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 및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과 상기 입수 펌프부를 연결하는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 및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과 상기 입수 펌프부를 연결하는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을 포함하며,상기 분수부는, 복수개의 분수노즐; 상기 복수개의 분수노즐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분수배관; 및 상기 분수노즐에 공급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수용 수중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 펌프부는, 물이 인입되는 물 인입배관; 상기 물 인입배관으로부터 인입된 물을 상기 분수배관에 전달하기 위한 분수배관 제1연결배관; 상기 물 인입배관으로부터 분지되는 세척수 제1분지배관; 상기 세척수 제1분지배관과 연결되는 가압펌프; 일측은 상기 가압펌프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 및 상기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과 병렬연결되는 세척수 제2분지배관; 및 상기 물 인입배관의 일정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물 인입배관과 병렬연결되되, 일측은 상기 물 인입배관의 경로 중 제1영역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물 인입배관의 경로 중 제2영역에 연결되는 보조 인입배관을 포함하는 분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부는,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1깊이를 갖고, 상기 분수부가 배치되는 제1수조부; 상기 제1수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2깊이를 갖으며,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수조부; 및 상기 제1수조부 및 상기 제2수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3깊이를 갖으며, 상기 제2수조부가 길게 배치되는 제2방향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제3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깊이는 상기 제2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2깊이는 상기 제1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척부는,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으로부터 각각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 및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살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세척부 분지배관은,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1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제1분지배관;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2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제2분지배관; 및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3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제3분지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살수노즐은, 상기 제1세척부 제1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1살수노즐; 상기 제1세척부 제2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2살수노즐; 및 상기 제1세척부 제3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3살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으로부터 각각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살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1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1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2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 및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3영역으로부터 분지되되,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제1측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2살수노즐은,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1살수노즐; 상기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2살수노즐; 및 상기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3살수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대는, 상기 제1세척부 제1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입수 펌프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제1세척부 물공급배관에 공급되고, 상기 제2세척부 제1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입수 펌프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과 상기 복수개의 제2세척부 분지배관의 각각의 경로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자동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자동밸브는,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1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1분지배관을 연결하는 제1자동밸브;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2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2분지배관을 연결하는 제2자동밸브; 및 상기 제2세척부 물공급배관의 제3영역과 상기 제2세척부 제3분지배관을 연결하는 제3자동밸브를 포함하는 분수대.
  9. 일정 깊이를 갖는 수조부; 및
    상기 수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부는,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1깊이를 갖고, 상기 분수부가 배치되는 제1수조부; 상기 제1수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수조부의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2깊이를 갖으며, 상기 수조부의 제2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수조부; 및 상기 제1수조부 및 상기 제2수조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수조부의 높이 방향으로 제3깊이를 갖으며, 상기 제2수조부가 길게 배치되는 제2방향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제3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깊이는 상기 제2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2깊이는 상기 제1깊이보다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세척부; 및 상기 분수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분수대.
KR1020220054425A 2021-10-28 2022-05-02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60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425A KR102604155B1 (ko) 2021-10-28 2022-05-02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810A KR102395266B1 (ko) 2021-10-28 2021-10-28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220054425A KR102604155B1 (ko) 2021-10-28 2022-05-02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810A Division KR102395266B1 (ko) 2021-10-28 2021-10-28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230A true KR20230061230A (ko) 2023-05-08
KR102604155B1 KR102604155B1 (ko) 2023-11-20

Family

ID=815831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810A KR102395266B1 (ko) 2021-10-28 2021-10-28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0220054425A KR102604155B1 (ko) 2021-10-28 2022-05-02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810A KR102395266B1 (ko) 2021-10-28 2021-10-28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5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822B1 (ko) * 2023-02-20 2024-02-13 이상욱 분수대
KR102615242B1 (ko) 2023-06-21 2023-12-18 한은희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155U (ja) * 1992-11-04 1994-05-24 株式会社シンコー 噴水カーペット
KR200407577Y1 (ko) 2005-11-22 2006-01-3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바닥 분수대
KR101480510B1 (ko) * 2014-08-29 2015-01-08 플러스파운틴(주) 이중 구조의 수조를 갖는 분수대
KR101510191B1 (ko) * 2014-02-24 2015-04-08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분수대 바닥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클린 바닥분수 시스템
KR102141180B1 (ko) * 2019-11-14 2020-08-04 남윤재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909A (ja) * 1998-12-24 2000-07-11 Yukio Watabe 水槽監視用窓内面の清掃装置
KR102118685B1 (ko) * 2020-02-28 2020-06-03 (주)한국펌프앤시스템즈 고압용 오배수 펌프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155U (ja) * 1992-11-04 1994-05-24 株式会社シンコー 噴水カーペット
KR200407577Y1 (ko) 2005-11-22 2006-01-3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바닥 분수대
KR101510191B1 (ko) * 2014-02-24 2015-04-08 주식회사에이치에스엠엔조이워터 분수대 바닥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클린 바닥분수 시스템
KR101480510B1 (ko) * 2014-08-29 2015-01-08 플러스파운틴(주) 이중 구조의 수조를 갖는 분수대
KR102141180B1 (ko) * 2019-11-14 2020-08-04 남윤재 제어판넬 및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수경 시설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155B1 (ko) 2023-11-20
KR102395266B1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61230A (ko) 세척부를 포함하는 분수대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252710B1 (ko) 욕실 청소용 스프레이 건
JPH10262471A (ja) ハウスの散水散布装置
KR101011465B1 (ko) 역세척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조
KR100856077B1 (ko) 도로청소용수 공급장치
GB2314580A (en) Diverter valve for waste water recycling assembly
JP2568805B2 (ja) 貯水槽
KR102123113B1 (ko) 노즐분사 방식을 이용한 오수 및 우수의 저류조 세척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류조 세척공법
JP2005087921A (ja) 排水管洗浄装置
US20080156719A1 (en) Automated self cleaning filter
US7344639B1 (en) Swimming pool circulation system
KR20000013475U (ko) 탈지용액중 이물제거장치
JPH10317435A (ja) 雨水利用システム
KR101081507B1 (ko) 수영장 청소 시스템
KR200205539Y1 (ko) 산세탱크의 슬러지 제거장치
RU2272861C1 (ru) Поливочно-моечн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CN214441613U (zh) 一种全自动清洗水箱
DE881179C (de) Vorrichtung zum Ableiten von Regenwasser aus einem Abfallrohr von Dachrinnen
SU1161016A1 (ru) Трубопровод поливной машины
KR200424655Y1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진 물탱크 구조
JP2008081979A (ja) 排水トラップ洗浄装置
KR200318850Y1 (ko) 공기변용 제수 밸브
KR20110030193A (ko) 위생 도기 급수 장치
JP2018096167A (ja) 便器装置
KR200246240Y1 (ko) 싱크대용 이중수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