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173A -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173A
KR20230061173A KR1020210146140A KR20210146140A KR20230061173A KR 20230061173 A KR20230061173 A KR 20230061173A KR 1020210146140 A KR1020210146140 A KR 1020210146140A KR 20210146140 A KR20210146140 A KR 20210146140A KR 20230061173 A KR20230061173 A KR 20230061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able
binding
vehicle
low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984B1 (ko
Inventor
이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14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98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는: 한 가닥 이상 배열되는 케이블의 각 도체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차폐선 각각의 하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로어패드, 차폐선 각각의 상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어퍼패드, 및 대향하는 로어패드와 어퍼패드를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GROUND PAD OF WIR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금속성 패드를 차량에 배선된 복수 가닥의 케이블 각각의 차폐선에 접한 채, 한 쌍의 패드 중 어느 하나의 패드를 차체에 접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케이블의 접지를 위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원가와 중량을 줄이고, 접지 작업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비롯하여 전기자동차나 연료전지 자동차에는 차량 구동을 위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된다.
고전압 배터리는 다수의 단위전지 또는 모듈을 연결하여 고전압을 만들 수 있는 배터리팩이 구성되며, 이를 이용하여 높은 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고전압 배터리에서 만들어진 고전압의 전류가 차량의 구동 중 사용될 수 있도록 직경이 큰 고전압 케이블을 이용하여 고전압의 전류를 흘려보내게 된다.
고전압 케이블에는 고전류가 흐름에 따라 고전압 케이블로부터 고전압 케이블의 주변으로 전자파를 방출하므로 고전압 케이블의 주변부품에 전자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고전압 케이블은 외부 노이즈에 대해서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해서 차폐를 적용한다. 차폐는 개별 차폐와 일괄 차폐 타입으로 구성되며, 편조선이 케이블 내부에 적용되면 개별차폐, 케이블 외부를 감싸면 일괄차폐로 분류된다.
개별 차폐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도체, 절연체, 편조선, 테이핑, 쉬즈로 구성된다. 도체는 전원 연결을 위해 유닛과 체결되고, 절연체는 도체와 편조선 사이 쇼트(short)를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편조선은 접지를 구성하여 도체에 노이즈 유입을 방지한다. 따라서, 차체와 편조선을 연결하여 접지를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6696호(공개일:2019.06.14.)에는 "고전압 케이블 조립체용 접지클립"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고전압 케이블은 접지를 위해 편조선을 구비하는데, 편조선을 접지하기 위해서 연결되는 케이블과 차체에 고정하는 어스 터미널, 편조선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스플라이스 터미널, 케이블을 감싸는 외장재까지 다양한 부품이 구비됨에 따라, 다수의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금속성 패드를 차량에 배선된 복수 가닥의 케이블 각각의 차폐선에 접한 채, 한 쌍의 패드 중 어느 하나의 패드를 차체에 접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케이블의 접지를 위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원가와 중량을 줄이고, 접지 작업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는: 한 가닥 이상 배열되는 케이블의 각 도체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차폐선 각각의 하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로어패드; 상기 차폐선 각각의 상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어퍼패드; 및 대향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결속부는,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속한 채 상기 차폐선의 접지를 위해 차체에 연결되는 접지결속부재를 포함한다.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끼리 상기 접지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차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예로, 상기 결속부는, 상기 차체를 향하는 상기 로어패드의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끼워지는 후크; 및 상기 로어패드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어퍼결속홀에 삽입된 후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차폐선을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한 쌍의 금속성 패드를 차량에 배선된 복수 가닥의 케이블 각각의 차폐선에 접한 채, 한 쌍의 패드 중 어느 하나의 패드를 차체에 접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케이블의 접지를 위한 부품을 최소화하여 원가와 중량을 줄이고, 접지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접지장치를 차체에서 분리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초기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접지장치를 차체에서 분리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초기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20)의 접지장치(100)는 로어패드(110), 어퍼패드(120) 및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지장치(100)는 차량의 차체(10)에 배선된 케이블(20) 특히, 고전압용 케이블(20)을 차체(10)에 접지[ground]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케이블(20)은 도전성 도체(22), 절연성 절연내피(24), 차폐선(26) 및 절연성 절연외피(28)로 이루어진다.
절연내피(24)는 도체(22)와 차폐선(26) 사이에 구비되어, 도체(22)와 차폐선(26)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절연외피(28)는 차폐선(26)의 외측을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로어패드(110)는 차체(10)에 한 가닥 이상으로 배열되는 케이블(20)의 각 도체(22)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차폐선(26)을 노출시킨 상태로, 해당 차폐선(26)의 하측 둘레면에 접하게 구비되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로어패드(110)는 차폐선(26)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폐선(26)과 면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어퍼패드(120)는 해당 차폐선(26)의 상측 둘레면에 접하도록 구비되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어퍼패드(120)는 차폐선(26)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폐선(26)과 면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특히, 케이블(20)이 복수 가닥일 경우, 대향하게 배치되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는 각 차폐선(26)에 동시에 접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복수 가닥의 케이블(20)이 동시에 접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결속부(130)는 대향하게 배치되어 쌍을 이루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를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대응되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열되는 케이블(20)의 가닥수만큼의 수용홈부(140)를 함몰 형성한다.
편의상, 수용홈부(140)는 어퍼패드(12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복수 가닥의 케이블(20)의 차폐선(26)이 로어패드(110) 상에 놓인 채, 어퍼패드(120)의 수용홈부(140)가 해당 차폐선(26)의 상부 둘레면을 일대일로 수용한다. 그리고 나서, 결속부(130)가 대응되는 어퍼패드(120)와 로어패드(110)를 결속함에 따라, 복수 가닥의 케이블(20) 또는 대응되는 차폐선(26)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소정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차폐선(26)이 수용홈부(140)에 의해 어퍼패드(120)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접지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실시예로, 결속부(130)는 대응되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를 결속한 채 차폐선(26)의 접지를 위해 차체(10)에 연결되는 접지결속부재(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접지 신뢰성 확보를 위해,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는 일부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응되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자유단을 이루는 타측끼리 접지결속부재(132)에 의해 차체(10)에 결속된다. 이때, 로어패드(110)의 일측과 어퍼패드(120)의 일측은 접힘에 의한 내부 응력 부하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곡률지게 연결될 수 있다.
로어패드(110)는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로어결속홀(112)을 통공하고, 어퍼패드(120)는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 어퍼결속홀(122)이 통공된다.
그래서,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가 복수 가닥의 케이블(20)의 차폐선(26)을 접할 경우, 로어결속홀(112)과 어퍼결속홀(122)이 상하 방향으로 일치된다.
아울러, 접지결속부재(132)는 볼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는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접지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20)의 접지장치(100)는 로어패드(110), 어퍼패드(120) 및 결속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로어패드(110) 및 어퍼패드(1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결속부(130)는 후크(133) 및 결합부재(134)를 포함한다.
이때, 어퍼패드(120)는 하나 이상의 어퍼결속홀(122)을 통공한다. 편의상, 어퍼결속홀(122)은 어퍼패드(120)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후크(133)는 차체(10)를 향하는 로어패드(110)의 타측면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후크(133)가 차체(10)의 고정홀(12)에 끼움됨에 따라, 로어패드(110)가 차체(10)에 고정된다. 이때, 후크(133)는 로어패드(110)에 일체로 구비되고, 후크(133)와 로어패드(110)는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후크(133)가 차체(10)에 접촉된 채 고정됨으로써, 케이블(20)의 접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부재(134)는 로어패드(110)의 일측면에 일체로 돌출되어 정해진 어퍼결속홀(122)에 삽입된 후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결합부재(134)는 로어패드(110)와 어퍼패드(120)가 면접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래서, 케이블(20)의 접지 신뢰성이 확보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20: 케이블
22: 도체 24: 절연내피
26: 차폐선 28: 절연외피
100: 접지장치 110: 로어패드
112: 로어결속홀 120: 어퍼패드
122: 어퍼결속홀 130: 결속부
132: 접지결속부재 133: 후크
134: 결합부재

Claims (5)

  1. 한 가닥 이상 배열되는 케이블의 각 도체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차폐선 각각의 하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로어패드;
    상기 차폐선 각각의 상측 둘레면에 동시에 접하고, 통전 재질인 어퍼패드; 및
    대향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속한 채 상기 차폐선의 접지를 위해 차체에 연결되는 접지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힌지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끼리 상기 접지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차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패드는 하나 이상의 어퍼결속홀을 통공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차체를 향하는 상기 로어패드의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체에 끼워지는 후크; 및
    상기 로어패드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어퍼결속홀에 삽입된 후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응되는 상기 로어패드와 상기 어퍼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 또는 상기 차폐선을 일대일 수용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KR1020210146140A 2021-10-28 2021-10-28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KR102620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140A KR102620984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140A KR102620984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173A true KR20230061173A (ko) 2023-05-08
KR102620984B1 KR102620984B1 (ko) 2024-01-05

Family

ID=8638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140A KR102620984B1 (ko) 2021-10-28 2021-10-28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9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909A (ja) * 1996-04-26 1997-11-11 Takeuchi Kogyo Kk グランディングクランプ
JP2003018729A (ja) * 2001-06-29 2003-01-17 Seiwa Electric Mfg Co Ltd ケーブルクランプ
US20070246616A1 (en) * 2006-04-21 2007-10-25 Michael Budagher Stackable transmission line hanger
JP2016073088A (ja) * 2014-09-30 2016-05-09 竹内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909A (ja) * 1996-04-26 1997-11-11 Takeuchi Kogyo Kk グランディングクランプ
JP2003018729A (ja) * 2001-06-29 2003-01-17 Seiwa Electric Mfg Co Ltd ケーブルクランプ
US20070246616A1 (en) * 2006-04-21 2007-10-25 Michael Budagher Stackable transmission line hanger
JP2016073088A (ja) * 2014-09-30 2016-05-09 竹内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984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2153B2 (en) Wire harness with coaxial composite conductive path
CN103917413B (zh) 带有保护部件的线束
US9490613B2 (en) Wire harness
US9236720B2 (en) High voltage conductive wire and wire harness
US20180233893A1 (en) Structure of Inter-Conducting Path Connecting Portion and Wire Harness
WO2011096426A1 (ja) ワイヤハーネス
US9087620B2 (en) Braid and wire harness
JP2006156051A (ja) 高圧用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3115072A (ja) シールド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9252575B2 (en) High-voltage conduction path and wiring harness
WO2013065728A1 (ja) 電線分岐構造
EP3674146A1 (en) Exterior member and wire harness
CN109390091B (zh) 具有包围电线的屏蔽部件的线束
KR20230061173A (ko)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KR20230061174A (ko) 차량용 케이블의 접지장치
US11362460B2 (en) Connector
KR102655225B1 (ko) 차폐전선용 조인트 커넥터
JP5781289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US20230040692A1 (en) Wire harness
CN111712120B (zh) 机动车辆的牵引电池的导电体和信号导体的保持设备
CN114078611A (zh) 线束
JP2020065342A (ja) シールド電線の設置構造、分岐コネクタおよびバッテリパック
JP2018163840A (ja) 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