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80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0807A KR20230060807A KR1020210145399A KR20210145399A KR20230060807A KR 20230060807 A KR20230060807 A KR 20230060807A KR 1020210145399 A KR1020210145399 A KR 1020210145399A KR 20210145399 A KR20210145399 A KR 20210145399A KR 20230060807 A KR20230060807 A KR 202300608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isplay panel
- thickness
- unit
- polariz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97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820 Pressure-sensitive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3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88 Nematic liquid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90 Smectic liquid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81 Si3N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1 inorganic composite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QVNEWCFYHHQES-UHFFFAOYSA-N silicon nitride Chemical compound N12[Si]34N5[Si]62N3[Si]51N64 HQVNEWCFYHHQ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부, 편광부, 및 표시 패널부와 편광부 사이에 배치된 중립면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고, 중립면 보상부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며, 제1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8Pa ∼ 1010Pa이며, 제2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4Pa ∼ 106Pa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등 매우 다양한 종류로 구현된다.
최근에는 폴더블(Foldable) 표시 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 장치, 및 스트레쳐블(Stretchable) 표시 장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플렉서블(Flexible)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어, 휴대 편의성이 증대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평판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접히거나, 말려지거나,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것과 같이 유연성을 갖는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폴더블 표시 장치는 휴대 시에는 접어서 작은 면적을 차지하고, 사용 시에는 펼쳐서 넓은 표시 화면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폴더블 표시 장치의 사용자는 폴더블 표시 장치를 접었다 펴는 동작을 많은 횟수로 반복하게 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커버 윈도우부(Cover window), 편광부, 표시 패널부, 및 플레이트 어셈블리(Plate assembly)부와 같이 다양한 기능과 다양한 물성을 갖는 복수의 층들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이너 폴딩(Inner folding) 방식, 또는 표시 패널부가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폴딩(Outer folding) 방식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폴딩되는 경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들에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층들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므로, 각각의 층들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의 크기 및 종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이너 폴딩 방식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편광부의 하부 영역에는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강하게 인가될 수 있고, 표시 패널부의 상부 영역에는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이 강하게 인가될 수 있다.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의 차이가 커지게 되면 복수의 층들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도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편광부의 하부 영역에 있는 층에서는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고, 표시 패널부의 상부 영역에 있는 층에서는 크랙뿐만 아니라 층의 들뜸 현상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표시 장치의 각각의 층들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여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의 차이를 감소시켜,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 사이에 인가되는 스트레스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위상차에 따른 표시 패널부의 얼룩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천공(Puncture)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편광부의 크랙 발생과, 표시 패널부의 크랙 발생 및 들뜸 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너 폴딩 방식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부, 편광부, 및 표시 패널부와 편광부 사이에 배치된 중립면 보상부를 포함한다.
중립면 보상부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며, 제1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x108Pa ∼ 1.0x1010Pa이며, 제2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x104Pa ∼ 1.0x106Pa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부, 편광부, 및 표시 패널부와 편광부 사이에 배치된 중립면 보상부를 포함하고, 표시 패널부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다.
중립면 보상부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며, 제1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x108Pa ∼ 1.0x1010Pa이며, 제2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x104Pa ∼ 1.0x106Pa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 사이에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는 중립면 보상부를 배치하므로,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의 차이를 감소시켜,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립면 보상부는 일정 수준 이하의 위상차를 가지므로, 위상차에 따른 얼룩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립면 보상부를 배치하므로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의 천공(Puncture)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부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편광부의 하부 영역에 인장 응력이 인가되고, 표시 패널부의 상부 영역에 압축 응력이 인가되더라도,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립면 보상부로 인하여 스트레스의 차이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편광부의 크랙 발생과, 표시 패널부의 크랙 발생 및 들뜸 현상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및 일부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편광부, 접착부, 및 표시 패널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편광부의 액정층의 크랙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b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표시 패널부의 캐소드 전극의 들뜸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및 일부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적층된 편광부, 접착부, 및 표시 패널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와, 제3 실시예에 따라 적층된 편광부, 접착부, 중립면 보상부, 및 표시 패널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중립면 보상부의 제1 층 및 제2 층의 두께와, 이에 따른 제2 층의 탄성 모듈러스의 적용 가능한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표시 장치에 입사된 광이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의 반사판을 통해서 방출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위상차에 따른 얼룩을 비교할 수 있도록, 도 6의 원편광판에 따른 기준예의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반사 시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도 8a와 대비하여 위상차가 하향된 경우,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반사 시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도 8a와 대비하여 위상차가 상향된 경우,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반사 시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원편광판에 따른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편광부, 접착부, 및 표시 패널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편광부의 액정층의 크랙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b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표시 패널부의 캐소드 전극의 들뜸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및 일부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적층된 편광부, 접착부, 및 표시 패널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와, 제3 실시예에 따라 적층된 편광부, 접착부, 중립면 보상부, 및 표시 패널부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중립면 보상부의 제1 층 및 제2 층의 두께와, 이에 따른 제2 층의 탄성 모듈러스의 적용 가능한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표시 장치에 입사된 광이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의 반사판을 통해서 방출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는 위상차에 따른 얼룩을 비교할 수 있도록, 도 6의 원편광판에 따른 기준예의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반사 시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도 8a와 대비하여 위상차가 하향된 경우,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반사 시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도 8a와 대비하여 위상차가 상향된 경우,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반사 시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원편광판에 따른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의 차이를 감소시켜,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및 일부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플레이트 어셈블리부(Plate Assembly: 100), 표시 패널부(200), 접착부(400), 편광부(500), 및 커버 윈도우부(Cover Window: 6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부(600)는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부(600)는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를 외부 충격과 스크래치 등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부(600)는 보호층(610), 패턴층(620), 및 커버 윈도우(6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610)은 표시 패널(220)이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층일 수 있다. 보호층(610)은 데코층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턴층(620)은 보호층(610)의 테두리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층(620)은 표시 패널(220)의 베젤 영역(또는 비표시영역)에 대응되도록 보호층(6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패턴층(620)은 보호층(610)의 배면(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패턴층(620)은 실질적으로 장식이 인쇄되는 층으로 장식층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턴층(620)은 블랙 잉크(Black ink) 또는 카본 블랙(carbon black) 등과 같은 유기물, 또는 실리콘 산화막(SiO2), 실리콘 질화막(SiNx), 및 금속 등과 같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턴층(620)은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층(620)이 있는 경우, 표시 패널부(200)가 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표시 패널부(200)의 베젤 영역은 표시 패널부(200)의 표시 영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표시 패널부(200)의 화면이 넓어 보이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보호층(610)과 패턴층(620) 상에는 커버 윈도우(63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630)는 커버 윈도우(630)의 하부에 있는 보호층(610), 패턴층(620), 편광부(500), 및 표시 패널부(200) 등을 외부의 충격, 습기, 및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630)는 내충격성 및 광투과성을 갖는 글라스(Glass)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630)를 글라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력이나 스트레스에 의해서 커버 윈도우(630)가 깨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커버 윈도우(630)의 일면에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 윈도우(630)를 플라스틱 필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크릴(Acrylic) 필름, 투명 폴리이미드(Colorless PI) 필름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630) 상에는 하드 코팅층이 배치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커버 윈도우(630)를 보호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투명한 유무기 복합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 윈도우(63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투광성의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 어셈블리부(100)는 표시 패널부(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어셈블리부(100)는 표시 패널부(200)를 외부의 습기, 열, 및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표시 패널부(2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플레이트 어셈블리부(100)는 표시 패널부(200)를 보호하도록 내충격성을 갖는 프레임(Frame)일 수 있다.
플레이트 어셈블리부(100)는 하부 플레이트(110), 및 상부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20)는 하부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10)와 상부 플레이트(120)는 열 전도율이 높고 전하의 이동이 잘 될 수 있는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20) 상에는 지지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층(130)은 표시 패널부(200)의 배면(또는 후면)에 배치되며, 표시 패널부(200)를 외부의 습기, 열, 및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지지층(130)은 표시 패널부(200)의 배면을 지지하는 백 플레이트(Back plate)일 수 있다. 지지층(13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한 플레이트 어셈블리부(100), 및 커버 윈도우부(600)들은 서로 인접한 층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제1 내지 제5 접착층(101, 103, 105, 601, 60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플레이트(110)와 상부 플레이트(120) 사이에 제1 접착층(101)이 배치되고, 상부 플레이트(120)와 지지층(130) 사이에 제2 접착층(103)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층(130)과 표시 패널부(200) 사이에 제3 접착층(105)이 배치되어, 서로 인접한 층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편광부(500)와 보호층(610) 사이에 제4 접착층(601)이 배치되고, 보호층(610)과 커버 윈도우(630) 사이에 제5 접착층(603)이 배치되어, 서로 인접한 층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접착층(101, 103, 105, 601, 603)은 높은 접착력 및/또는 높은 투명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제1 내지 제5 접착층(101, 103, 105, 601, 603)은 접착 기능뿐만 아니라 점착 기능을 갖는 층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접착층(101, 103, 105, 601, 603)은 서로 인접한 층들 사이에 형성되어 굴곡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포나 박리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접착력을 갖는 동시에, 표시 장치(1)에 사용 가능한 점탄성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접착층(101, 103, 105, 601, 603)은 아크릴계 조성물 또는 실리콘계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5 접착층(101, 103, 105, 601, 603)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조성물 또는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어셈블리부(100)와 커버 윈도우부(600) 사이에는 표시 패널부(200), 접착부(400), 및 편광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어셈블리부(100) 상에는 표시 패널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부(200)는 어레이부(210), 화소부(220), 밀봉층(230), 및 터치 전극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부(200)는 구현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부(20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지만, 플렉서블 표시 장치 구현에 유리한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등일 수 있다.
어레이부(210)는 복수의 화소에 각종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신호 라인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라인들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화소 구동 전원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211) 상에 버퍼층(213)이 형성되고, 버퍼층(213) 상에는 액티브층(214), 게이트 전극(216), 제1 전극(218a), 및 제2 전극(218b)을 포함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11)과 버퍼층 (213) 사이에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액티브층(214)에 광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광층(212)이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214)과 게이트 전극(216) 사이에는 액티브층(214)과 게이트 전극(216)을 절연시킬 수 있는 게이트 절연층(215)이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214)과 게이트 전극(216) 상에는 층간 절연층(217)이 배치되고, 층간 절연층(217)에 형성되는 컨택홀들을 통해서 제1 전극(218a)과 제2 전극(218b)은 각각 액티브층(2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218a)은 소스 전극이고, 제2 전극(218b)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다.
화소부(220)는 신호 라인들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의 화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화소 영역에는 신호 라인들에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화소 영역에 있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애노드(Anode) 전극(222), 애노드 전극(222) 상에 형성된 발광 소자층(224), 및 발광 소자층(2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캐소드(Cathode) 전극(225)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와 애노드 전극(222) 사이에는 제1 패시베이션층(219)과 오버 코트층(22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시베이션층(219)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오버 코트층(221)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 전극(222)은 제1 패시베이션층(219)과 오버 코트층(221)에 형성되는 컨택홀을 통해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218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224)은, 예를 들면, 애노드 전극(222)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예를 들어 화이트(White) 광과 같이 화소 별로 동일한 색의 광을 발광하도록 구현되거나,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광과 같이 화소 별로 상이한 색을 발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유기 발광 소자는 화소별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이 발광하는 제1 소자층으로 구성하고, 제1 소자층 상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이 발광하는 제2 소자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소자층과 제2 소자층 사이에는 전하생성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전하생성층은 N형 전하생성층 및 P형 전하생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발광 소자층(224)은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집적 회로(IC) 또는 칩(Chip) 형태로 구현된 발광 다이오드이며, 애노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 및 캐소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발광 소자층(224)들 사이의 경계에는 뱅크층(223)이 배치되어,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는 발광 소자층(224)들의 색상이 혼색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캐소드 전극(225) 상에는 평탄화층(226)과 제2 패시베이션층(227)이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층(226)은 유기물로 이루어지고, 제2 패시베이션층(227)은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패시베이션층(227) 상에는 밀봉층(230)이 배치되어, 발광 소자층(224)에 수분 또는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봉층(230)은 접착층(228)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봉층(230) 상에는 터치 전극층(240)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전극층(240)은 표시 패널부(200)의 밀봉층(230) 상에 터치 전극 및 터치 라인이 위치하는 ToE 구조(Touch Sensor on Encapsulation)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전극층(240)은 화면 터치 유무나 터치 좌표 등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커버 윈도우부(600)를 통해 사용자 또는 도구의 터치에 의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전극층(240)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광학 방식, 또는 전자기 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전극층(240)은 다수의 터치 전극과, 터치 전극들을 터치 센싱 회로와 연결해주기 위한 다수의 터치 라우팅 배선 등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부(200) 상에는 편광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부(200)와 편광부(500) 사이에는 접착부(400)가 배치되어, 편광부(500)를 표시 패널부(2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부(400)는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5 접착층(101, 103, 105, 601, 603)들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부(200)는 박막 트랜지스터, 신호 라인, 전극, 및 발광 소자층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부(200)로 입사된 외광은 상기와 같은 금속 물질에 의해서 반사될 수 있고, 외부광의 반사로 인해 표시 장치(1)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부(500)는 선택적으로 광을 투과시킴으로써 표시 패널부(200)로 입사하는 외부 광의 반사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의 야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편광부(500)는 편광 상태가 무질서하게 섞여 있는, 편광되지 않은 광에서 특정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광학부일 수 있다.
편광부(500)는 보상 필름층(510), 위상차 필름층(520), 편광 필름층(530), 및 기재층(540)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층(530)은 흡수축에 평행한 선편광은 흡수하고, 흡수축과 수직한 선편광, 즉, 투과축에 평행한 선편광은 투과시킬 수 있는 편광자일 수 있다.
편광 필름층(530)은 요오드 이온(Iodine ions)이나 이색성 염료(Dichroic dyes)가 염착되어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편광 필름층(530) 상에는 기재층(540)이 배치될 수 있다.
기재층(540)은 외부의 수분 등으로부터 편광 필름층(530)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일 수 있다.
기재층(540)에는 반사 방지, 눈부심 방지, 및/또는 표면 강화를 위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기재층(54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환상 올레핀 고분자,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편광 필름층(530)의 하부에는 위상차 필름층(52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 필름층(530)의 하부는 표시 패널부(200)가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필름층(530)은 사분파장 필름층(Quarter wave plate: QWP)(또는 λ/4 plate)일 수 있다.
사분파장 필름층은 λ/4의 위상지연을 가지므로, 입사되는 빛의 편광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분파장 필름층을 통과한 선편광은 원편광으로 바뀌고, 사분파장 필름층을 통과한 원편광은 선편광으로 바뀔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분파장 필름층은 역파장 분산성, 플랫파장 분산성, 정파장 분산성과 같이 다양한 파장 분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필름층(530)은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사분파장 필름층(rQWP)일 수 있다.
광은 파장 별로 원편광이 되기 위해 필요한 위상지연 값이 다르다.
이와 관련하여, 역파장 분산성을 갖는 사분파장 필름층(rQWP)은 정파장 분산성이나 플랫파장 분산성을 갖는 사분파장 필름층과 대비하여 파장 별로 광이 원편광에 가깝게 되도록 위상지연을 부여해줄 수 있다.
위상차 필름층(520)은 일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은 네마틱(Nematic) 액정 또는 스메틱(Smectic) 액정일 수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층(520)은 액정과 이색성 염료를 혼합하여 코팅한 후에 광배향을 함으로써 일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상차 필름층(520)은 기판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액정과 이색성 염료를 혼합한 후 코팅하고 편광 자외선(UV)으로 배향시켜 형성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층(520)의 하부에는 보상 필름층(510)이 배치될 수 있다.
보상 필름층(510)은 정면 방향에서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에서의 외부 광의 반사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시야각에 따른 외부 광의 반사율을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 필름층(510)은 +C 플레이트층(Positive C plate)일 수 있다.
+C 플레이트층은 nx=ny<nz (nx는 x 방향의 굴절률, ny는 y 방향의 굴절률, nz는 z 방향의 굴절률)일 수 있다.
보상 필름층(510)은 일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은 네마틱 액정 또는 스메틱 액정일 수 있다.
또한, 보상 필름층(510)은 액정과 이색성 염료를 혼합하여 코팅한 후에 광배향을 함으로써 일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상 필름층(510)은 기판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액정과 이색성 염료를 혼합한 후 코팅하고 편광 자외선(UV)으로 배향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부(200)와 편광부(500)를 포함하고, 표시 패널부(200)와 편광부(500)의 사이에는 접착부(400)가 배치되어 편광부(500)를 표시 패널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편광부(500)는 접착부(400)를 매개로 하여 표시 패널부(200)와 라미네이션(Lamination)될 수 있다.
편광부(500)의 기재층(540), 편광 필름층(530), 위상차 필름층(520), 및 보상 필름층(510)은 표시 패널부(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상차 필름층(520)과 보상 필름층(510)은 편광부(500)의 전체 영역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편광부(50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부(500)의 위상차 필름층(520)과 보상 필름층(510)은 일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은 스트레스에 취약하므로, 편광부(500)의 하부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에 취약한 층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부(200)는 어레이부(210), 화소부(220), 및 밀봉층(230)을 포함할 수 있고, 어레이부(210), 화소부(220), 및 밀봉층(230)은 편광부(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화소부(220)는 애노드 전극(222), 발광 소자층(224), 및 캐소드 전극(225)을 포함할 수 있고, 애노드 전극(222), 발광 소자층(224), 및 캐소드 전극(225)은 편광부(5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캐소드 전극(225)과 밀봉층(230)은 표시 패널부(200)의 전체 영역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225)과 밀봉층(230)의 사이에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평탄화층(226)과 무기물을 포함하는 제2 패시베이션층(227)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밀봉층(230)은 외부의 수분 및 산소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무기물, 유기물, 또는 유무기물의 복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225)과 밀봉층(230)이 배치되는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 영역에는 유기물층과 무기물층들이 섞여서 적층되어 있으므로, 스트레스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스트레스에 취약한 층들이 배치되게 된다.
표시 장치(1)가 플렉서블 표시 장치인 경우 접착부(400)를 사이에 둔 편광부(500)의 하부 영역과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 영역을 중심으로 더욱 큰 스트레스가 인가될 수 있다.
도 3은 표시 패널부(200)가 내측에 위치하는 이너 폴딩(Inner folding) 방식으로 표시 장치(1)를 폴딩하는 경우,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편광부(500), 접착부(400), 및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커버 윈도우(630)의 두께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다른 구성들의 조건들은 동일하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630)의 두께(w1)는 60㎛이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630)의 두께(w2)는 90㎛이다.
커버 윈도우(630)의 두께 변화에 따라서,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편광부(500)는 모듈러스가 상대적으로 높고 접착부(400)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커버 윈도우(63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 인장 응력(Tensile stress)이 강하게 걸릴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부(200)는 모듈러스가 상대적으로 높고 접착부(40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커버 윈도우(63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경우 압축 응력(Compressive stress)이 강하게 걸릴 수 있다.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부(400)는 모듈러스가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표시 패널부(200)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과 편광부(500)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A')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A”)의 크기의 차이(A)가 상당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A')의 크기는 (+) 인장 방향으로 약 0.025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A”의 크기는 (-) 압축 방향으로 약 0.012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A')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A”의 크기의 차이(A)는 약 0.037의 비율 차이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도,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B')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B”)의 크기의 차이(B)가 상당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B')의 크기는 (+) 인장 방향으로 약 0.03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B”)의 크기는 (-) 압축 방향으로 약 0.01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B')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B”)의 크기의 차이(B)는 약 0.04의 비율 차이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편광부(500)의 하부 영역에 인장 응력이 강하게 걸리게 되면, 편광부(500)의 하부 영역에서는 크랙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도 4a는 편광부(500)의 액정을 포함하는 층에서 발생되는 크랙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층들이 적층된 편광부(500)에서 사선 방향으로 복수의 크랙들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 영역에 압축 응력이 강하게 걸리게 되면,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 영역에서는 크랙이 발생하거나, 층의 들뜸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도 4b는 표시 패널부(200)의 캐소드 전극(225)이 들뜨게 되는, 층의 들뜸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부(200)의 발광 소자층(224) 상에 배치된 캐소드 전극(225)과 밀봉층(230)이 발광 소자층(224)으로부터 들뜨게 되는 들뜸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편광부(500)의 하부 영역에서의 크랙 현상이나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 영역에서의 층의 들뜸 현상은 표시 장치의 각 층들의 두께 산포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얇은 커버 윈도우(630)의 두께를 갖는 제1 실시예는, 표시 패널부(200)에서 캐소드 전극(225)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커버 윈도우(630)의 두께를 갖는 제2 실시예는, 편광부(500)에서 위상차 필름층(520)이나 보상 필름층(510)의 크랙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의 차이를 감소시켜,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 및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표시 패널부(200)와 편광부(500)의 접착부(400) 사이에 중립면 보상부(300)가 추가로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는 중립면 보상부(300)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하고,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표시 패널부(200)와 편광부(500) 사이에는 중립면 보상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편광부(500)와 중립면 보상부(300) 사이에는 접착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중립면 보상부(300)는 제1 층(310)과 제2 층(30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층(310)은 중립면 보상층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층(301)은 고정층, 또는 접착층일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립면 보상부(300)의 제1 층(310)은 편광부(5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편광부(500)와 접촉할 수 있다.
중립면 보상부(300)의 제2 층(301)은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부(20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층(31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필름일 수 있다.
제2 층(301)은 아크릴계 조성물 또는 실리콘계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층(301)은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조성물 또는 감압성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중립면 보상부(300)는 인장 응력이 강하게 걸리는 편광부(500)와 압축 응력이 강하게 걸리는 표시 패널부(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트레스의 차이를 감소시켜주는 보상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명세서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라 적층된 편광부(500), 접착부(400), 및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와, 제3 실시예에 따라 적층된 편광부(500), 접착부(400), 중립면 보상부(300), 및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스트레스의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예에서, 중립면 보상부(300)의 두께는 60㎛이고, 접착부(400)의 두께는 50㎛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가 접착부(40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거나 접합될 수 있다.
편광부(500)의 위상차 필름층(520) 및 보상 필름층(510)이 위치하는 하부 영역과, 표시 패널부(200)의 캐소드 전극(225)이 위치하는 상부 영역은, 각각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의 차이에 의한 크랙 발생의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에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A')의 크기는 (+) 인장 방향으로 약 0.025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A”의 크기는 (-) 압축 방향으로 약 0.012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A')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A”의 크기의 차이(A)는 약 0.037의 비율 차이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A')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A”의 크기의 차이(A)가 상당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B')의 크기는 (+) 인장 방향으로 약 0.03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B”의 크기는 (-) 압축 방향으로 약 0.01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B')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B”의 크기의 차이(B)는 약 0.04의 비율 차이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도,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B”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B”)의 크기의 차이(B)가 상당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제3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C')의 크기는 (+) 인장 방향으로 약 0.023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C”)의 크기는 (-) 압축 방향으로 약 0.006의 비율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C')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C”)의 크기의 차이(C)는 약 0.029의 비율 차이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는, 편광부(500)에 인가되는 인장 응력(C')의 크기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압축 응력(C”의 크기의 차이(C)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이(A)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이(B)보다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부(500)의 하부 영역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을 감소시키고,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 영역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와 같이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 사이에 중립면 보상부(300)가 추가로 배치되는 경우, 중립면 보상부(300)는 편광부(500)의 하부 영역과 표시 패널부(200)의 상부 영역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주는 보상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 사이에 제1 층(310)과 제2 층(301)을 포함하는 중립면 보상부(300)를 배치하므로,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과 압축 응력의 차이를 감소시켜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중립면 보상부(300)의, 제1 층(310)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x108Pa ∼ 1.0x1010Pa이며, 제2 층(301)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x104Pa ∼ 1.0x106P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모듈러스는 -20℃를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것이다.
제1 층(310)의 두께 및 모듈러스와, 제2 층(301)의 두께 및 모듈러스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에 인가되는 스트레스가 달라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층(310)의 두께는 25㎛이고, 제2 층(301)의 두께는 25㎛이며, 제2 층(301)의 모듈러스는 0.7x105Pa ∼ 2.3x105Pa일 수 있다.
또한, 제1 층(310)의 두께는 50㎛이고, 제2 층(301)의 두께는 25㎛이며, 제2 층 (301)의 모듈러스는 0.5x105Pa ∼ 2.5x105Pa일 수 있다.
또한, 제1 층(310)의 두께는 25㎛이고, 제2 층(301)의 두께는 50㎛이며, 제2 층(301)의 모듈러스는 1.0x105Pa ∼ 2.2x105Pa일 수 있다.
또한, 제1 층(310)의 두께는 50㎛이고, 제2 층(301)의 두께는 50㎛이며, 제2 층(301)의 모듈러스는 0.6x105Pa ∼ 2.4x105Pa일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중립면 보상부(300)의 제1 층(310)과 제2 층(301)의 두께와, 이에 따른 제2 층(301)의 탄성 모듈러스의 범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층(310)의 두께가 25㎛ ∼ 50㎛이고, 제2 층(301)의 두께가 25㎛ ∼ 50㎛인 경우에 있어서, 각 구간 별로 제2 층(301)의 탄성 모듈러스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측정하여 이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제1 층(310)의 두께와 제2 층(301)의 두께에 따라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제2 층(301)의 모듈러스의 적용 가능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층(310)의 두께가 50㎛이고, 제2 층(301)의 두께가 25㎛인 경우에, 제2 층(301)의 모듈러스가 0.5x105Pa ∼ 2.5x105Pa이며, 이들의 구성에서 적용 가능한 제2 층(301)의 탄성 모듈러스의 범위가 가장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표 1 내지 표 4는 제1 층(310)의 두께가 25㎛ ∼ 50㎛이고, 제2 층(301)의 두께가 25㎛ ∼ 50㎛인 경우에 있어서, 두께가 1㎛ 단위로 변화하는 것을 기준으로 측정한 제2 층(301)의 탄성 모듈러스의 최소값과 최대값 수치를 나타낸 것이다.
중립면 보상부(300)의 면상 위상차(Rin)는 5nm이하이거나, 중립면 보상부(30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는 40nm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부(500)에 포함되는 위상차 필름이나 편광자와 같은 광학용 필름이 아닌 경우, 위상차는 연신에 따라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위상차 값 및 산포에 대한 조절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립면 보상부(300)의 면상 위상차(Rin)를 5nm이하로 하거나, 중립면 보상부(30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를 40nm이하로 함으로써, 중립면 보상부(300) 내에 위상차 산포가 포함되더라도 산포에 의한 표시 장치의 위치별 반사 방지 차이에 의한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중립면 보상부(300)의 면상 위상차(Rin) 발생에 따른 위상차의 증가는 편광부(500)의 위상차 필름층(520)에서 보상할 수 있다.
위상차 얼룩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의 도 7,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7은 표시 장치에 입사된 광이 편광부와 표시 패널부의 반사판을 통해서 방출되는 광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 패널부의 반사판(710) 상에는 접착층(720)이 배치되고, 접착층(720) 상에는 위상 지연층(730), 내부 보호기재(740), 편광자(750), 및 외부 보호기재(760)가 배치될 수 있다.
편광자(750)는 0도의 위상차를 갖는 PVA(polyvinyl alcohol) 필름일 수 있고, 위상 지연층(730)은 사분파장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비편광된 광은 편광자(750)를 통과(①)하면서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하나인 제1 편광 직교 성분만이 투과될 수 있다.
편광된 광은 위상 지연층(730)을 통과(②)하면서 원편광으로 변환되고, 원편광된 광은 표시 패널부의 반사판(710)에 의해 반사되면서 원편광 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원편광된 광이 다시 위상 지연층(730)을 통과(③)하면서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다른 하나인 제2 편광 직교 성분만이 투과될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 직교 성분은 편광자(750)를 통과하지 못하여(④) 외부로 광이 방출되지 못하게 되어, 편광부는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원편광판의 광 경로를 참고하여,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를 통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는 위상차에 따른 얼룩을 비교할 수 있도록, 도 7의 원편광판에 따른 실험예의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반사 시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원편광판을 지나는 광의 편광 상태 변화(①, ②, ③, ④)를 푸앙카레 구로 표현한 것이다.
푸앙카레 구는 빛의 모든 편광 상태를 구면 상에 표현한 것으로, 적도는 선 편광(liner polarization)을 나타내고, 극점 S3는 좌원 편광(left-handed circular polarization)을, 반대 극점인 -S3는 우원 편광(righthanded circular polarization)을 나타내며, 상반구는 좌원 타원 편광(left-handed elliptical polarization)을, 하반구는 우원 타원 편광(right-handed elliptical polarization)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b는, 녹색-적색 색좌표(a*) 및 청색-황색 색좌표(b*)를 통해서 색공간을 표현한 것으로, a* 값이 양의 방향으로 커지게 되면 대상물이 더욱 적색(Red)을 띄게 되고, a* 값이 음의 방향으로 커지게 되면 대상물이 더욱 녹색(Green)을 띄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a와 도 8b를 참고하면, 기준이 되는 원편광판을 광이 통과하는 경우, 대상물인 표시 장치는 적색 색상의 반사 시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a는 도 8a와 대비하여 위상차가 하향된 경우,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반사 시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를 참고하면, 기준이 되는 도 8a와 도 8b에 대비하여 위상차가 하향하게 되는 경우, 더 밝은 적색 시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위상차가 하향하게 되는 경우, 기준이 되는 도 8a과 대비하여,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은 상대적으로 좌원 타원 편광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b를 참고하면, a* 값은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기준이 되는 도 8b와 대비하여 대상물은 더욱 적색을 띄게 될 수 있다.
도 10a는 도 8a와 대비하여 위상차가 상향된 경우,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앙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b는 반사 시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를 참고하면, 기준이 되는 도 8a와 도 8b에 대비하여 위상차가 상향하게 되는 경우, 시안(Cyan) 시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a를 참고하면, 위상차가 상향하게 되는 경우, 기준이 되는 도 8a과 대비하여,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은 상대적으로 우원 타원 편광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b를 참고하면, a* 값은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기준이 되는 도 8b와 대비하여 대상물은 더욱 녹색을 띄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위상차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면 기준이 되는 기준예 대비하여, 색상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층의 산포가 큰 경우 위치별 위상차가 상이하여 색상이 달라지므로, 표시 장치에서 얼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립면 보상부(300)의 면상 위상차(Rin)를 5nm이하로 하거나, 중립면 보상부(30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를 40nm이하로 함으로써, 중립면 보상부(300) 내에 위상차 산포가 포함되더라도 산포에 의한 표시 장치의 위치별 반사 방지 차이에 기인하는 얼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중립면 보상부(300)의 면상 위상차(Rin) 축은 사분파장 필름층(QWP)인 위상차 필름층(520)의 면상 위상차(Rin) 축과 수평 또는 수직일 수 있다.
도 11은 도 7에 따른 원편광판에 의한 광의 편광 상태 변화를 푸잉카레 구(Poincare sphere)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편광판의 0도의 위상차를 갖는 PVA 필름인 편광자(750)와 사분파장 위상차 필름인 위상 지연층(730)의 축을 최적화시켰기 때문에, 반사에 따른 푸앙카레 구의 움직임은 S1(①), S3(②), S1(③, ④) 순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중립면 보상부(300)가 사분파장 위상차 필름의 축과 수평 또는 수직인 경우에는, 편광자를 투과한 선편광에 적용되는 위상지연값은 사분파장 위상차 필름(140nm) ± 중립면 보상부(300)의 위상차(5nm)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중립면 보상부(300)가 사분파장 위상차 필름의 축과 45도 또는 임의의 각도의 축으로 변경될 경우에는, 편광자를 투과한 선편광에 적용되는 위상지연값은 사분파장 위상차 필름(140nm) ± 중립면 보상부(300)의 위상차(5nm)가 그대로 적용되지 않아 조절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는 국부적 반사 얼룩, 표시 장치의 생산 차수 별로 다르게 발생할 수 있는 공정 오차에 의한 반사율 차이, 공정 부착 산포에 의한 반사율, 및 색상 차이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중립면 보상부(300)는 일정 수준 이하의 최소한의 위상차를 가지므로, 위상차에 따른 얼룩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부(500)와 표시 패널부(200) 사이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립면 보상부(300)를 배치하므로 표시 장치(1)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므로, 표시 장치(1)의 천공(Puncture)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천공 강도가 증가하게 되는 경우, 표시 장치(1)를 폴딩 하는 경우에도 각 층들간의 박리 현상이나 편광부의 크랙 현상의 발생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부, 편광부, 및 표시 패널부와 편광부 사이에 배치된 중립면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립면 보상부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며, 제1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8Pa ∼ 1010Pa이며, 제2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4Pa ∼ 106P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부는 편광 필름층, 위상차 필름층, 및 보상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중립면 보상부의 면상 위상차(Rin)는 5nm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중립면 보상부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는 40nm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차 필름층은 사분파장 필름층이고, 중립면 보상부의 면상 위상차(Rin) 축은 사분파장 필름층의 면상 위상차(Rin) 축과 수평 또는 수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의 두께는 25㎛이고, 제2 층의 두께는 25㎛이며, 제2 층의 모듈러스는 0.7x105Pa ∼ 2.3x105P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의 두께는 50㎛이고, 제2 층의 두께는 25㎛이며, 제2 층의 모듈러스는 0.5x105Pa ∼ 2.5x105P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의 두께는 25㎛이고, 제2 층의 두께는 50㎛이며, 제2 층의 모듈러스는 1.0x105Pa ∼ 2.2x105P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층의 두께는 50㎛이고, 제2 층의 두께는 50㎛이며, 제2 층의 모듈러스는 0.6x105Pa ∼ 2.4x105Pa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편광 필름층, 위상차 필름층, 및 보상 필름층은 중립면 보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차 필름층은 사분파장 필름층이고, 보상 필름층은 +C 플레이트층이며, 사분파장 필름층과 +C 플레이트층은 일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부는 중립면 보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된 애노드 전극, 발광 소자층, 캐소드 전극, 및 밀봉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부는 터치 전극층을 포함하고, 터치 전극층은 밀봉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부, 편광부, 및 표시 패널부와 편광부 사이에 배치된 중립면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립면 보상부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며, 제1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8Pa ∼ 1010Pa이며, 제2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4Pa ∼ 106Pa일 수 있고, 표시 패널부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는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표시 장치
100: 플레이트 어셈블리부
110: 하부 플레이트 120: 상부 플레이트
130: 지지층
200: 표시 패널부 210: 어레이부
211: 베이스 기판 212: 차광층
213: 버퍼층 214: 액티브층
215: 게이트 절연층 216: 게이트 전극
217: 층간 절연층 218a. 218b: 제1 전극, 제2 전극
219: 제1 패시베이션층 220: 화소부
221: 오버 코트층 222: 애노드 전극
223: 뱅크층 224: 발광 소자층
225: 캐소드 전극 226: 평탄화층
227: 제2 패시베이션층 228: 접착층
230: 밀봉층 240: 터치 전극층
300: 중립면 보상부 310: 제1 층
301: 제2 층 400: 접착부
500: 편광부 510: 보상 필름층
520: 위상차 필름층 530: 편광 필름층
540: 기재층
600: 커버 윈도우부 610: 보호층
620: 패턴층 630: 커버 윈도우
101, 103, 601, 603: 접착층
710: 반사판 720: 접착층
730: 위상 지연층 740: 내부 보호기재
750: 편광 필름층 760: 외부 보호기재
110: 하부 플레이트 120: 상부 플레이트
130: 지지층
200: 표시 패널부 210: 어레이부
211: 베이스 기판 212: 차광층
213: 버퍼층 214: 액티브층
215: 게이트 절연층 216: 게이트 전극
217: 층간 절연층 218a. 218b: 제1 전극, 제2 전극
219: 제1 패시베이션층 220: 화소부
221: 오버 코트층 222: 애노드 전극
223: 뱅크층 224: 발광 소자층
225: 캐소드 전극 226: 평탄화층
227: 제2 패시베이션층 228: 접착층
230: 밀봉층 240: 터치 전극층
300: 중립면 보상부 310: 제1 층
301: 제2 층 400: 접착부
500: 편광부 510: 보상 필름층
520: 위상차 필름층 530: 편광 필름층
540: 기재층
600: 커버 윈도우부 610: 보호층
620: 패턴층 630: 커버 윈도우
101, 103, 601, 603: 접착층
710: 반사판 720: 접착층
730: 위상 지연층 740: 내부 보호기재
750: 편광 필름층 760: 외부 보호기재
Claims (14)
- 표시 패널부;
편광부; 및
상기 표시 패널부와 상기 편광부 사이에 배치된 중립면 보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립면 보상부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8Pa ∼ 1010Pa이며,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4Pa ∼ 106Pa인,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부는 편광 필름층, 위상차 필름층, 및 보상 필름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면 보상부의 면상 위상차(Rin)는 5nm이하인,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립면 보상부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는 40nm이하인,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층은 사분파장 필름층(QWP)이고,
상기 중립면 보상부의 면상 위상차(Rin) 축은 상기 사분파장 필름층의 면상 위상차(Rin) 축과 수평 또는 수직인,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25㎛이고,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25㎛이며,
상기 제2 층의 모듈러스는 0.7x105Pa ∼ 2.3x105Pa인,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50㎛이고,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25㎛이며,
상기 제2 층의 모듈러스는 0.5x105Pa ∼ 2.5x105Pa인,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25㎛이고,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50㎛이며,
상기 제2 층의 모듈러스는 1.0x105Pa ∼ 2.2x105Pa인,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50㎛이고,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50㎛이며,
상기 제2 층의 모듈러스는 0.6x105Pa ∼ 2.4x105Pa인, 표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층, 상기 위상차 필름층, 및 상기 보상 필름층은 상기 중립면 보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된, 표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층은 사분파장 필름층이고,
상기 보상 필름층은 +C 플레이트층이며,
상기 사분파장 필름층과 상기 +C 플레이트층은 일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부는 상기 중립면 보상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된 애노드 전극, 발광 소자층, 캐소드 전극, 및 밀봉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부는 터치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전극층은 상기 밀봉층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 표시 패널부;
편광부; 및
상기 표시 패널부와 상기 편광부 사이에 배치된 중립면 보상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립면 보상부는 제1 층과 제2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8Pa ∼ 1010Pa이며,
상기 제2 층의 두께는 20㎛ ∼ 60㎛이고, 모듈러스는 104Pa ∼ 106Pa이며,
상기 표시 패널부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399A KR20230060807A (ko) | 2021-10-28 | 2021-10-28 | 표시 장치 |
US17/954,115 US20230139767A1 (en) | 2021-10-28 | 2022-09-27 | Display apparatus |
CN202211259957.9A CN116052532A (zh) | 2021-10-28 | 2022-10-14 | 显示装置和中性面补偿构件 |
JP2022168554A JP2023066393A (ja) | 2021-10-28 | 2022-10-20 | 表示装置 |
GB2215765.5A GB2614384A (en) | 2021-10-28 | 2022-10-25 | Display apparatus |
DE102022128315.1A DE102022128315A1 (de) | 2021-10-28 | 2022-10-26 | Anzeigevorrichtu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5399A KR20230060807A (ko) | 2021-10-28 | 2021-10-28 |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0807A true KR20230060807A (ko) | 2023-05-08 |
Family
ID=8481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5399A KR20230060807A (ko) | 2021-10-28 | 2021-10-28 |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39767A1 (ko) |
JP (1) | JP2023066393A (ko) |
KR (1) | KR20230060807A (ko) |
CN (1) | CN116052532A (ko) |
DE (1) | DE102022128315A1 (ko) |
GB (1) | GB2614384A (ko) |
Family Cites Families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66455B2 (ja) * | 2001-10-01 | 2008-10-15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偏光フィルム及び発光装置 |
TWI266907B (en) * | 2002-07-24 | 2006-11-21 | Nitto Denko Corp | Polarizing device, optical thin film u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JP4098747B2 (ja) * | 2003-05-28 | 2008-06-11 |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 両面発光型表示装置 |
JP2007182557A (ja) * | 2005-12-06 | 2007-07-19 | Jsr Corp | 耐衝撃粘着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衝撃粘着積層構造体 |
JP2007279383A (ja) * | 2006-04-06 | 2007-10-25 | Sharp Corp | 積層型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
JP4697098B2 (ja) * | 2006-09-05 | 2011-06-08 | 東ソー株式会社 | 位相差フィルム |
JP4413935B2 (ja) * | 2007-02-13 | 2010-02-10 |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 液晶表示装置 |
CN100507681C (zh) * | 2007-05-15 | 2009-07-01 |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 液晶显示面板 |
KR102000145B1 (ko) * | 2013-01-04 | 2019-07-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광시야각 액정표시장치 |
KR102080011B1 (ko) * | 2013-06-13 | 2020-02-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1692351B1 (ko) * | 2013-11-27 | 2017-01-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EP3089551B1 (en) * | 2013-12-26 | 2020-04-15 | Zeon Corporation | Sealing film,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
KR102138036B1 (ko) * | 2014-01-07 | 2020-07-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2069286B1 (ko) * | 2015-11-20 | 2020-01-22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JP7042020B2 (ja) * | 2016-08-15 | 2022-03-25 | 日東電工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
US10147772B2 (en) * | 2016-08-23 | 2018-12-04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Foldable OLED device with compatible flexural stiffness of layers |
KR20180047473A (ko) * | 2016-10-31 | 2018-05-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
KR102714994B1 (ko) * | 2016-11-28 | 2024-10-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KR102024264B1 (ko) * | 2017-01-25 | 2019-09-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
WO2018180938A1 (ja) * | 2017-03-30 | 2018-10-04 | シャープ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
KR102505265B1 (ko) * | 2017-06-23 | 2023-03-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 장치 |
KR102318145B1 (ko) * | 2017-09-15 | 2021-10-26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391396B1 (ko) * | 2017-09-28 | 2022-04-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서블 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KR102311310B1 (ko) * | 2017-11-24 | 2021-10-12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CN111527427B (zh) * | 2017-12-28 | 2023-06-20 | 住友化学株式会社 | 偏振板 |
JP7441610B2 (ja) * | 2018-04-20 | 2024-03-01 | 日東電工株式会社 | 位相差層付き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
JP6896787B2 (ja) * | 2018-04-27 | 2021-06-30 | 住友化学株式会社 | 光学フィルム、光学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
JP7300813B2 (ja) * | 2018-07-09 | 2023-06-30 | Tianma Japan株式会社 | 表示装置 |
JP7567785B2 (ja) * | 2019-05-28 | 2024-10-16 | 東洋紡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偏光子転写用積層体 |
JP6970723B2 (ja) * | 2019-10-04 | 2021-11-24 | 日東電工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基材積層体 |
JP6869409B2 (ja) * | 2019-10-28 | 2021-05-12 | 住友化学株式会社 |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
WO2021166434A1 (ja) * | 2020-02-21 | 2021-08-26 | 住友化学株式会社 |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
-
2021
- 2021-10-28 KR KR1020210145399A patent/KR2023006080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2
- 2022-09-27 US US17/954,115 patent/US20230139767A1/en active Pending
- 2022-10-14 CN CN202211259957.9A patent/CN116052532A/zh active Pending
- 2022-10-20 JP JP2022168554A patent/JP2023066393A/ja active Pending
- 2022-10-25 GB GB2215765.5A patent/GB2614384A/en active Pending
- 2022-10-26 DE DE102022128315.1A patent/DE102022128315A1/de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02215765D0 (en) | 2022-12-07 |
CN116052532A (zh) | 2023-05-02 |
GB2614384A (en) | 2023-07-05 |
JP2023066393A (ja) | 2023-05-15 |
US20230139767A1 (en) | 2023-05-04 |
DE102022128315A1 (de) | 2023-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91139B2 (en) | Display apparatus | |
US8970812B2 (en) | Circular polarising plate and a reflective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TW20102279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touch screen function | |
JP2009042762A (ja) | ディスプレイ装置用色補償フィルム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光学フィルタ | |
KR102177588B1 (ko) | 나노캡슐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
CN107942571A (zh) | 线栅偏光器以及使用此线栅偏光器的显示面板 | |
US20130194281A1 (en) | Moisture Barrier for Electronic Devices | |
US10871666B2 (en) | Display device comprising a viewing angle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linear polarizer, an optically anisotropic layer, a viewing angle control cell, and a second linear polarizer | |
JP6263860B2 (ja) |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の表示品質改善方法 | |
CN110709761B (zh) | 液晶显示面板以及液晶显示装置 | |
KR20150033822A (ko) | 표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 |
KR20230060807A (ko) | 표시 장치 | |
CN107256881B (zh) |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 |
KR101195852B1 (ko) | 디스플레이 장치용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US9696581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CN114076668A (zh) | 光学检查装置和使用其的光学检查方法 | |
US8810753B2 (en) |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20170079651A (ko) |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 |
KR20130062180A (ko) | 광학 보상 필름 | |
KR101916948B1 (ko) | 표시장치 | |
KR101094406B1 (ko) | 색보상 편광 광학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508543B1 (ko) |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 |
US20220236470A1 (en) |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51590B1 (ko) |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 |
US20230296900A1 (en) | Augmented reality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