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311A - 캠핑카용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캠핑카용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311A
KR20230060311A KR1020210144904A KR20210144904A KR20230060311A KR 20230060311 A KR20230060311 A KR 20230060311A KR 1020210144904 A KR1020210144904 A KR 1020210144904A KR 20210144904 A KR20210144904 A KR 20210144904A KR 20230060311 A KR20230060311 A KR 20230060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 exchange
heating water
l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겸
Original Assignee
김태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겸 filed Critical 김태겸
Priority to KR1020210144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311A/ko
Publication of KR20230060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by regulating the speed of a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28D21/0005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8D21/0007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24D2200/18Flue gas recu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카의 바닥 또는 베드 등의 난방을 위해 캠핑카에 장착되어 캠핑카의 무시동히터에서 발생하는 배기열을 이용하여 캠핑카의 내부를 난방하도록 한 캠핑카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난방수가 저장되는 난방수탱크와, 상기 난방수탱크의 난방수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열교환 하는 열교환수단과, 상기 열교환수단의 보온 및 보호는 보호수단과, 상기 난방수탱크의 난방수를 캠핑카의 목적하는 곳에 난방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캠핑카용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For Camping Car}
본 발명은 캠핑카의 바닥 또는 베드 난방을 위해 캠핑카에 장착된 무시동히터에서 발생하는 배기열을 이용하여 캠핑카의 내부를 난방하도록 한 캠핑카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카라 함은 드라이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각종 생활설비를 갖춘 캠핑카를 말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캠핑카는 버스나 차내를 가옥과 같이 개조하여 차량을 겸할 수 있는 타입과, 트레일러와 같이 캠핑카에 의해 견인되는 웨건 타입으로 구분되며, 그 내부에는 여행 중 취사 및 수면이 가능하도록 침실을 비롯하여 화장실, 주방 등이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캠핑카에는 그 부대시설로서 샤워 등에 필요한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온수기와, 실내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시설, 취사를 위한 조리기구 등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부대시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에너지원으로 전기와 LPG를 필요로 한다.
특히 동절기에 캠핑카 내에서 취침을 하는 경우 난방을 위해 차량의 엔진을 켜두게 되면 연료소모가 매우 많아 비용 부담이 크며, 엔진 가동에 따른 배기가스에 의한 공기 오염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근 캠핑카 또는 장기간 운전해야 하는 상용차에서 무시동 히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무시동 히터란 시동을 켜지 않은 채 실내외 공기를 직접 가열해 차량 내부로 그 열을 전달하는 난방장치를 말하는 것이며, 기존의 엔진 열을 이용한 난방방식에 비해 연료의 소모량이 10%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비용부담과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상술한 것처럼 캠핑카의 경우에는 차량 내에서 샤워를 할 수도 있고, 온수매트를 사용하는 경우 온수매트의 충전 수를 가열할 필요도 있는데, 기존에는 온수 생성을 위한 별도의 온수기를 장착해야 하였으므로 온수기의 가동에 따른 별도의 연료소모와, 보일러의 추가 장착에 따른 장착공간 확보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825692호의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차량용 온수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차량의 연료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발화하여 차량의 내부로 난방을 위한 가열공기를 공급하는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차량용 온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시동 히터의 배기부와 연결되어 상기 무시동 히터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배기열을 통해 축열재를 가열하는 가열기(100)와;
상기 가열기(100)에서 가열된 축열재를 저장하는 축열탱크(200)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기(100)는 상기 축열재가 충진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가열본체(110)와, 상기 가열본체(1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상기 무시동 히터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된 후 상기 가열본체(11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열본체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재와 열교환되는 열교환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부(140)는 배기가스의 열이 상기 축열재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열교환 구간이 증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본체(110)의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이동방향을 따라 진행할수록 점점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25692호(공고일 ; 2018.01.30.) 한국등록특허 제10-1932015호(공고일 : 2018.12.24.) 한국등록특허 제10-1769766호(공고일 : 2017.08.21.)
본 발명은 캠핑카를 난방함에 있어 캠핑카에 설치된 무시동히터의 배기열이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열 교환라인을 이용하여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형태가 되도록 감아 형성된 열교환수단을 진행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수단을 진행하는 난방수를 가열하고 그 가열된 난방수를 캠핑카의 목적하는 곳으로 순환시켜 난방함으로써 폐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은 물론, 캠핑카의 난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캠핑카용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용 난방장치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내부에 난방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확보되고, 일 측에는 수압조절밸브(11)와 온도측정센서(12) 및 보충수공급구(13)가 설치되며, 타 측에는 가열수를 공급받는 가열수입구(15)와 가열수를 배출하는 제1펌프(P1)가 설치된 가열수출구(16)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수입구의 인접 위치에는 난방수를 공급받는 난방수입구(18)와 난방수를 배출하는 제2펌프(P2)가 설치된 난방수출구(19)가 형성된 난방수탱크(10);
무시동히터의 배기관(D)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기에 의해 열 교환되어 가열수를 발생시키도록 난방매체가 진행하는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열 교환라인(21)을 내부가 주름관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는 중공 파이프형태가 되도록 감아 형성시키고, 상기 파이프형태의 입구 중공에는 상기 배기관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파이프형태의 출구 중공에는 배기파이프(22)가 연결설치되고 외부는 단열부재(23)로 감싸여진 열교환수단(20);
상기 열교환수단의 보온과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열교환수단이 수용되는 보호파이프(31)가 마련되고, 그 보호파이프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배기관이 관통하는 일측캡(32)이 설치되어 상기 보호파이프의 일측단을 실링하며, 상기 보호파이프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배기파이프가 관통하는 타측캡(33)을 설치하여 보호파이프의 타측단부를 실링 하도록 형성된 보호수단(30);
상기 열 교환라인의 일측단부는 제1연결라인(L1)을 매개로 상기 가열수출구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열 교환라인의 타측단부는 제2연결라인(L2)을 매개로 상기 가열수입구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난방수입구와 난방수출구에는 난방수가 순환하며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는 난방라인(L3)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연결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캠핑카용 난방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핑카를 난방함에 있어 캠핑카에 설치된 무시동히터의 배기열이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열 교환라인을 이용하여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형태가 되도록 감아 형성된 열교환수단을 진행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수단을 진행하는 난방수를 가열하고 그 가열된 난방수를 캠핑카의 목적하는 곳으로 순환시켜 난방함으로써 폐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은 물론, 캠핑카의 난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차량용 온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캠핑카용 난방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캠핑카용 난방장치에서 난방수탱크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캠핑카용 난방장치에서 열교환수단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캠핑카용 난방장치에서 열교환수단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캠핑카용 난방장치에서 보호수단 발췌 사시도.
본 발명은 캠핑카의 바닥 또는 베드 등의 난방을 위해 캠핑카에 장착된 캠핑카의 무시동히터에서 발생하는 배기열을 이용하여 캠핑카의 내부를 난방하도록 한 캠핑카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캠핑카용 난방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난방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확보되고, 일 측에는 수압조절밸브(11)와 온도측정센서(12) 및 보충수공급구(13)가 설치되며, 타 측에는 가열수를 공급받는 가열수입구(15)와 가열수를 배출하는 제1펌프(P1)가 설치된 가열수출구(16)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수입구의 인접 위치에는 난방수를 공급받는 난방수입구(18)와 난방수를 배출하는 제2펌프(P2)가 설치된 난방수출구(19)가 형성된 난방수탱크(10);
무시동히터의 배기관(D)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기에 의해 열 교환되어 가열수를 발생시키도록 난방매체가 진행하는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열 교환라인(21)을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형태가 되도록 감아 형성시키고, 상기 파이프형태의 입구 중공에는 상기 배기관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파이프형태의 출구 중공에는 배기파이프(22)가 연결설치되고 외부는 단열부재(23)로 감싸여진 열교환수단(20);
상기 열교환수단의 보온과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열교환수단이 수용되는 보호파이프(31)가 마련되고, 그 보호파이프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배기관이 관통하는 일측캡(32)이 설치되어 상기 보호파이프의 일측단을 실링하며, 상기 보호파이프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배기파이프가 관통하는 타측캡(33)을 설치하여 보호파이프의 타측단부를 실링하도록 형성된 보호수단(30);
상기 열 교환라인의 일측단부는 제1연결라인(L1)을 매개로 상기 가열수출구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열 교환라인의 타측단부는 제2연결라인(L2)을 매개로 상기 가열수입구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난방수입구와 난방수출구에는 난방수가 순환하며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는 난방라인(L3)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연결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난방수탱크(10)는, 상기 열교환수단(20)에서 가열된 고온의 가열수와, 상기 난방라인(L3)에서 목적하는 곳을 순환하고 돌아온 상온의 난방수가 합쳐지는 곳이다.
상기와 같이 가열수와, 난방수가 합쳐지는 난방수탱크(10)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난방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확보되고, 일 측에는 난방수탱크(10) 내부의 압이 강하면 그 강한 압을 외부로 배출시켜 난방수탱크(10)의 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수압조절밸브(11)가 설치된다.
또 상기 수압조절밸브(11)의 일측에는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 온도가 목적온도를 초과하면 제1펌프(P1)의 작동을 정지시켜 난방수탱크(10) 내의 난방수를 열교환수단(20)으로 공급하는 것을 중단시키고,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 온도가 목적온도 미만이면 제1펌프(P1)를 작동시켜 열교환수단(20)으로 난방수탱크(10) 내부의 난방수를 공급하여 가열하여 다시 난방수탱크(10)로 공급하도록 하는 온도제어기(40)와 연결설치되는 온도측정센서(12)가 설치된다.
또 상기 온도측정센서(12)의 일측에는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가 부족할 때에 보충하는 보충수공급구(13)가 설치되는데, 그 보충수공급구(13)에는 밸브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난방수탱크(10)의 타 측에는 상기 열교환수단(20)으로부터 가열수를 공급받는 가열수입구(15)가 연결설치되고, 그 가열수입구(15)의 인접위치에는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를 열교환수단(20)으로 공급하는 가열수출구(16)가 설치되는데, 상기 가열수출구(16)에는 난방수탱크(10) 내의 난방수를 인위적으로 열교환수단(20)으로 공급하는 제1펌프(P1)가 설치된다.
또 상기 가열수입구(15)의 인접 위치에는 캠핑카의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고 돌아오는 난방수를 공급받는 난방수입구(18)가 설치되고, 그 난방수입구(18)의 인접 위치에는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를 캠핑카의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도록 배출하는 난방수출구(19)가 형성되며, 상기 난방수출구(19)에는 난방수탱크(10) 내의 난방수를 인위적으로 배출하는 제2펌프(P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난방수탱크(10)의 하부 양측에는 난방수탱크(10)를 캠핑카의 선택된 곳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브래킷(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난방수입구(18)에는, 온도측정센서(S)가 설치되고 그 온도측정센서(S)는 난방수탱크(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온도제어기(40)와 연결 설치되어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고 돌아온 난방라인(L3)의 난방수 온도가 목적온도 미만이면 제2펌프(P2)를 작동시켜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가 순환되게 하고, 캠핑카의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고 돌아온 난방수의 온도가 목적온도 이상이면 제2펌프(P2)의 작동을 정지시켜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 순환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열교환수단(20)은, 캠핑카의 무시동히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기로 상기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가열수로 열교환시킨 후 다시 상기 난방수탱크(10)로 공급하여 난방수탱크(10)에 있는 난방수와 합쳐지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상기 열교환수단(2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핑카에 설치된 무시동히터의 배기관(D)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기에 의해 열 교환되어 가열수를 발생시키도록 난방매체(물 또는 부동액 등)가 진행하는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열 교환라인(21)을 이용하여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형태가 되도록 감아 형성시키고, 상기 파이프형태의 입구 중공에는 상기 캠핑카에 설치된 무시동히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관(D)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파이프형태의 출구 중공에는 열교환수단(20)의 내부 중공을 진행한 배기가스를 받아 배출시키는 배기파이프(22)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수단(20)의 내부 중공은,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열 교환라인(21)을 감아 형성시켰기 때문에 상기 중공의 내주면은 주름관의 형태와 같이 요철이 형성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진행할 때에 배기가스의 열기와 접촉될 수 있는 면적이 최대로 확보됨은 물론, 배기가스의 진행이 정체되어 열 교환라인(21)의 가열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열교환수단(20)의 외부는 단열부재(23)로 감싸 열교환수단(20)의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도록 하였으며, 단열부재(23)는 석고로 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열교환수단(20)의 열기에 의해 변형되거나 화재의 위험성이 없는 단열부재(23)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열교환수단(20)은,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2 내지 5가닥의 각 열 교환라인(21)이 밀착되며 1열로 배열 형성되고, 그 1열로 배열 형성된 상기 각 열 교환라인(21)의 일측단부는 제1연결라인(L1)으로 진행하는 난방수가 상기 각 열 교환라인(21)으로 분배 공급되도록 하는 제1연결구(24)를 설치되고, 상기 각 열 교환라인(21)의 타측단부는 각 열 교환라인(21)의 가열수가 모여 상기 제2연결라인(L2)으로 공급되도록 각 열 교환라인(21)을 일체화시키는 제2연결구(25)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열교환수단(20)을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2 내지 5가닥의 각 열 교환라인(21)이 밀착되며 1열로 배열 형성된 것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를 복수 가닥의 각 열 교환라인(21)으로 공급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열교환 표면적을 최대로 넓게 하여 난방수의 열교환 즉 가열수를 신속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제1연결구(24)와 제2연결구(25)를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제1연결라인(L1)으로 진행하는 난방수가 상기 각 열 교환라인(21)으로 분배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각 열 교환라인(21)의 가열수가 모여 상기 제2연결라인(L2)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수단(20)은,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2 내지 5가닥의 열 교환라인(21)이 밀착되며 1열로 배열 형성된 열 교환라인(21)이 복수 층이 되도록 감아 형성시킴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 열교환 면적을 최대로 넓게 함은 물론, 난방수 순환시간이 최대로 확보되게 하여 난방수를 열교환에 따른 가열수의 형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수단(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수단(20)의 보온과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수용되게 형성된 보호파이프(31)가 마련되고, 그 보호파이프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배기관(D)이 관통하는 일측캡(32)이 설치되어 상기 보호파이프(31)의 일측단을 실링하며, 상기 보호파이프(31)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배기파이프(22)가 관통하는 타측캡(33)을 설치하여 보호파이프(31)의 타측단부를 실링하도록 하였다.
상기의 보호수단(30) 설명에서 보호파이프(31)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의 일측캡(32)과 타측캡(33)을 이용하여 막는 이유는, 보호파이프(31)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일측캡(32)에 제1씰링부재(34)를 이용하여 배기관(D)을 설치하는 이유는, 일측캡(32)과 배기관(D) 사이로 배기가스가 누기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호수단(30) 또는 배기관(D)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타측캡(33)에 제2씰링부재(35)를 이용하여 배기파이프(22)를 설치하는 이유는, 타측캡(33)과 배기파이프(22) 사이로 배기가스가 누기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호수단(30) 또는 배기파이프(22)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캠핑카용 난방장치는, 난방수탱크(10)의 난방매체를 열교환수단(20)에서 열교환 하여 가열수를 형성시키고, 그 가열수는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와 합쳐저 열교환 되면서 난방수가 되며, 상기 난방수탱크(10)의 난방수는 난방라인(L3)을 통하여 캠핑카의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1 및 제2연결라인(L1,L2) 또는 난방라인(L3) 중 어느 한 라인에는 캠핑카에서 온수의 사용이 필요할 때 그 온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온수라인(도면 미도시)을 분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캠핑카용 난방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핑카에 설치된 무시동히터의 배기열이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열 교환라인을 이용하여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형태가 되도록 감아 형성된 열교환수단을 진행하도록 하여 상기 열교환수단을 진행하는 난방수를 가열하고 그 가열된 난방수를 캠핑카의 목적하는 곳으로 순환시켜 난방함으로써 폐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은 물론, 캠핑카의 난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난방수탱크 11 : 수압조절밸브
12 : 온도측정센서 13 : 보충수공급구
14 : 고정브래킷 15 : 가열수입구
16 : 가열수출구 18 : 난방수입구
19 : 난방수출구 20 : 열교환수단
21 : 열 교환라인 22 : 배기파이프
23 : 단열부재 24 : 제1연결구
25 : 제2연결구 30 : 보호수단
31 : 보호파이프 32 : 일측캡
33 : 타측캡 34 : 제1씰링부재
35 : 제2씰링부재 40 : 온도제어기
L1 : 제1연결라인 L2 : 제2연결라인
L3 : 난방라인 P1 : 제1펌프
P2 : 제2펌프 S : 온도측정센서

Claims (8)

  1. 내부에 난방수가 저장되는 공간이 확보되고, 일 측에는 수압조절밸브(11)와 온도측정센서(12) 및 보충수공급구(13)가 설치되며, 타 측에는 가열수를 공급받는 가열수입구(15)와 가열수를 배출하는 제1펌프(P1)가 설치된 가열수출구(16)가 설치되고. 상기 가열수입구의 인접 위치에는 난방수를 공급받는 난방수입구(18)와 난방수를 배출하는 제2펌프(P2)가 설치된 난방수출구(19)가 형성된 난방수탱크(10);
    무시동히터의 배기관(D)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기에 의해 열 교환되어 가열수를 발생시키도록 난방매체가 진행하는 복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열 교환라인(21)을 내부가 주름관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는 중공 파이프형태가 되도록 감아 형성시키고, 상기 파이프형태의 입구 중공에는 상기 배기관이 연결설치되며, 상기 파이프형태의 출구 중공에는 배기파이프(22)가 연결설치되고 외부는 단열부재(23)로 감싸여진 열교환수단(20);
    상기 열교환수단의 보온과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열교환수단이 수용되는 보호파이프(31)가 마련되고, 그 보호파이프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배기관이 관통하는 일측캡(32)이 설치되어 상기 보호파이프의 일측단을 실링하며, 상기 보호파이프의 타측단부에는 상기 배기파이프가 관통하는 타측캡(33)을 설치하여 보호파이프의 타측단부를 실링하도록 형성된 보호수단(30);
    상기 열 교환라인의 일측단부는 제1연결라인(L1)을 매개로 상기 가열수출구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열 교환라인의 타측단부는 제2연결라인(L2)을 매개로 상기 가열수입구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난방수입구와 난방수출구에는 난방수가 순환하며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는 난방라인(L3)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연결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수단은,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2 내지 5가닥의 열 교환라인이 밀착되며 1열로 배열 형성되고, 그 1열로 배열 형성된 상기 각 열 교환라인의 일측단부는 상기 제1연결라인으로 진행하는 난방수를 상기 각 열 교환라인으로 분배 공급되도록 하는 제1연결구(24)를 설치되고, 상기 각 열 교환라인의 타측단부는 각 열 교환라인의 가열수가 모여 상기 제2연결라인으로 공급되도록 각 열 교환라인을 일체화시키는 제2연결구(25)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난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는 보호파이프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난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수단은, 동일한 크기의 외경을 갖는 2 내지 5가닥의 원형 열 교환라인이 밀착되며 1열로 배열 형성된 열 교환라인이 복수 층이 되도록 감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난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탱크의 일측에는 상기 온도측정센서와 연결설치되는 온도제어기(40)가 설치되고 그 온도제어기는 난방수탱크의 온도가 목적온도 이상이면 제1펌프의 작동을 정지시켜 열 교환라인으로의 난방수 공급을 중단하고, 난방수탱크의 온도가 목적온도 미만이면 제1펌프의 작동시켜 열 교환라인으로의 난방수를 공급 가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난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입구에는, 온도측정센서(S)가 설치되고 그 온도측정센서는 난방수탱크의 일측에 설치되는 온도제어기(40)와 연결 설치되어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고 돌아온 난방수의 온도가 목적온도 미만이면 제2펌프를 작동시켜 난방라인(L3)으로 난방수가 순환되게 하고, 목적하는 곳을 난방하고 돌아온 난방수의 온도가 목적온도 이상이면 제2펌프의 작동을 정지시켜 난방라인(L3)의 난방수 순환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난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캡의 배기관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배기가스의 누기를 방지하는 제1씰링부재(34)가 설치되고, 상기 타측캡의 배기파이프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제2씰링부재(3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난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연결라인 또는 난방라인 중 어느 한 라인에는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온수라인을 연결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용 난방장치.
KR1020210144904A 2021-10-27 2021-10-27 캠핑카용 난방장치 KR202300603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904A KR20230060311A (ko) 2021-10-27 2021-10-27 캠핑카용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904A KR20230060311A (ko) 2021-10-27 2021-10-27 캠핑카용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311A true KR20230060311A (ko) 2023-05-04

Family

ID=8637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904A KR20230060311A (ko) 2021-10-27 2021-10-27 캠핑카용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31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66B1 (ko) 2015-12-10 2017-08-21 신성오토텍 주식회사 냉각수 폐열을 이용한 무시동 난방 장치
KR101825692B1 (ko) 2016-04-25 2018-02-05 신상훈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차량용 온수 시스템
KR101932015B1 (ko) 2017-07-12 2018-12-24 (주)제이앤에스이엔지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및 난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9766B1 (ko) 2015-12-10 2017-08-21 신성오토텍 주식회사 냉각수 폐열을 이용한 무시동 난방 장치
KR101825692B1 (ko) 2016-04-25 2018-02-05 신상훈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차량용 온수 시스템
KR101932015B1 (ko) 2017-07-12 2018-12-24 (주)제이앤에스이엔지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및 난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015B1 (ko) 캠핑카용 난방장치
WO2017188544A1 (ko)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차량용 온수 시스템
US20150165871A1 (en) Vehicle heat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US6732940B2 (en) Compact vehicle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08603B1 (ko) 캠핑카용 저탕식 복합보일러 장치
KR101932015B1 (ko)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및 난방방법
AU2010235986A1 (en) Domestic water heater and method for heating water for domestic use
KR102049201B1 (ko) 캠핑카의 난방시스템
KR102049202B1 (ko) 캠핑카의 난방 제어시스템
EP0921361B1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cooling
KR20230060311A (ko) 캠핑카용 난방장치
KR20200120444A (ko)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공급장치
KR101075890B1 (ko) 보조 난방장치
KR102303398B1 (ko) 캠핑카용 난방장치
CN206510725U (zh) 一种房车用多功能热循环加热系统
US2760726A (en) Combination radiant and convection heating system
KR102049203B1 (ko) 캠핑카의 난방용 부동액탱크 구조
KR102004653B1 (ko) 캠핑카용 난방장치
KR102276134B1 (ko) 캠핑카용 다기능 보일러 시스템
KR200223226Y1 (ko) 화물자동차용 온풍순환식 온돌난방장치
KR102561255B1 (ko) 캠핑카용 다목적 히터
KR101498928B1 (ko) 고층건물용 차량 잉여배열 활용장치
JP3164094U (ja) 深夜電力利用型床暖房システム
CA1107702A (en) Heating unit for hot water room heating systems
CA2875413A1 (en) Vehicle heat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